KR101808427B1 - 장입차용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장입차용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427B1
KR101808427B1 KR1020160060081A KR20160060081A KR101808427B1 KR 101808427 B1 KR101808427 B1 KR 101808427B1 KR 1020160060081 A KR1020160060081 A KR 1020160060081A KR 20160060081 A KR20160060081 A KR 20160060081A KR 101808427 B1 KR101808427 B1 KR 101808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tirring
rotated
power transmission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421A (ko
Inventor
손영락
강도연
이경열
정우현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0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42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9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1/00Charging devices
    • C10B31/02Charging devices for charging vertically
    • C10B31/04Charging devices for charging vertically coke ovens with horizontal chambers
    • B01F15/00487
    • B01F15/005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01F27/072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perpendicular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9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01F7/00125
    • B01F7/00625
    • B01F7/18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입차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입차에 장착되는 케이스부와, 케이스부에 장착되어 구동되는 모터부와, 모터부에 장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케이스부에 장착되고 동력전달부와 연결되며 동력전달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케이스부에 저장된 저장물을 교반하는 하나 이상의 교반부를 포함하여, 저장물의 경화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입차용 교반장치{STIRRING DEVICE FOR CHARGING CAR}
본 발명은 장입차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를 실링하는 몰타르를 교반하여 몰타르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입차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오븐에 장입되는 석탄은 수분 함유율이 6% 내지 10% 정도되고, 입도는 3mm 이하로 파쇄되어 석탄 저장조로 이송된다. 석탄 저장조에 이송된 석탄은 평량 작업을 거쳐 장입차로 저장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50728호(2013.05.16. 공개, 발명의 명칭 : 장입차)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를 실링하는 몰타르를 교반하여 몰타르의 경화를 방지하는 장입차용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는: 장입차에 장착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되어 구동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장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케이스부에 저장된 저장물을 교반하는 하나 이상의 교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저장물이 저장되고, 상측 일부가 개구된 개방홀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저장통부; 상기 케이스저장통부의 상측에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개방홀부를 개폐하는 케이스덮개부; 및 상기 케이스저장통부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물이 투입되는 케이스투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모터부와 상기 교반부에 연결되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는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교반연결부; 상기 교반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부를 관통하는 교반축부; 및 상기 교반축부에 형성되며, 상기 저장물을 교반하는 교반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저장물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교반하방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저장물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교반상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하방부와 상기 교반상방부가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하방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하방연결부; 상기 하방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부를 관통하는 하방축부; 및 상기 하방축부에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저장물을 하방으로 유도하는 하방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상방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상방연결부; 상기 상방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부를 관통하는 상방축부; 상기 상방축부에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저장물을 상방으로 유도하는 상방날개부; 및 상기 상반축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의 바닥면에 누적된 상기 저장물과 접촉되는 상방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는: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부를 커버하여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는 모터부의 동력이 동력전달부에 의해 하나 이상의 교반부에 전달되어 케이스부에 저장된 저장물을 교반하므로, 저용량 모터부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는 케이스덮개부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다른 설비와의 간섭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는 교반하방부와 교반상방부가 번갈아 배치되어 저장물을 교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는 상부솔부가 케이스부의 바닥면에 누적된 저장물과 접촉되어, 케이스부의 바닥면에 저장물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는 커버부가 모터부를 커버하므로, 장입차가 공급되는 석탄 중 일부가 낙하되어 모터부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가 장입차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에서 케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에서 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가 장입차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1)는 케이스부(10)와, 모터부(20)와, 동력전달부(30)와, 교반부(4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0)는 장입차(100)에 장착되고, 케이스부(10)에는 몰타르가 저장된다. 이러한 몰타르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의 밀봉을 위해 사용된다. 모터부(20)는 케이스부에 장착되어 구동되고, 동력전달부(30)는 모터부(20)에 장착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교반부(40)는 케이스부(10)에 장착되고, 동력전달부(30)와 연결되며, 동력전달부(3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케이스부(10)에 저장된 저장물인 몰타르를 교반한다. 이러한 교반부(40)는 하나 이상이 배치된다.
일 예로, 장입차(100)에는 석탄이 저장되는 4개의 호퍼부(101)가 구비되고, 각각의 호퍼부(101)에 저장된 석탄은 스크류형 피더부(102)를 거쳐 석탄 안내장치인 드롭슬리브부(103)를 통해 코크스 오븐으로 장입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부(10)는 호퍼부(101)의 측면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만일, 장입차(100)에 4개의 호퍼부(101)가 일렬로 배치되면, 2개의 케이스부(10)가 각각 2개의 호퍼부(101)에 장착되도록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각 케이스부(10)에는 복수개의 모터부(20)가 배치되고, 각각의 모터부(20)에는 하나 이상의 교반부(4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에서 케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10)는 케이스저장통부(11)와, 케이스덮개부(12)와, 케이스투입부(13)를 포함한다.
케이스저장통부(11)는 밀폐된 박스 형상을 하여 저장물이 저장되고, 상측 일부가 개구되어 개방홀부(111)가 형성된다.
케이스덮개부(12)는 케이스저장통부(11)의 상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케이스덮개부(12)는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개방홀부(111)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덮개부(12)는 케이스저장통부(11)의 상방에 배치되는 동력전달부(30)와 간섭되지 않고 작동될 수 있으며, 케이스덮개부(12)를 통해 개방홀부(111)를 개방하면 케이스저장통부(11)에 누적된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다.
케이스투입부(13)는 케이스저장통부(11)에 형성되고 저장물이 투입된다. 일 예로, 케이스투입부(13)는 케이스저장통부(11)의 상측면에 연통되고, 상방으로 갈수록 확장된 형상을 하여 몰타르를 케이스저장통부(11)로 안내할 수 있다.
그 외, 케이스저장통부(11)의 저면에는 케이스배출부(14)가 형성되고, 케이스배출부(14)를 통해 배출되는 몰타르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의 밀봉을 위해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30)는 체인 형상을 하여 모터부(20)의 동력을 전달한다.
일 예로, 모터부(20)는 케이스저장통부(11)의 상측에 장착되고, 모터부(20)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는 동력전달부(30)는 하나 이상의 교반부(40)에 감겨 각각의 교반부(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교반부(40)는 동일한 형상이 일렬로 배치되어 저장물을 교반하는 교반부(50)와, 상이한 형상이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저장물을 교반하는 교반부(60)로 구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반부(50)는 교반연결부(51)와, 교반축부(52)와, 교반날개부(53)를 포함한다.
교반연결부(51)는 동력전달부(30)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일 예로, 교반연결부(51)는 케이스부(10)의 상방에 배치되고, 모터부(20)에 의해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는 동력전달부(30)에 감겨 회전될 수 있다.
교반축부(52)는 교반연결부(51)에서 연장되어 케이스부(10)를 관통한다. 교반축부(52)는 케이스저장통부(11)의 상측면을 관통하여 케이스저장통부(11)의 하측면에 근접되거나, 케이스저장통부(11)의 하측면까지 관통할 수 있다. 한편, 교반축부(52)에 결합되는 교반고정부(54)는 케이스저장통부(11)에 걸려 교반축부(52)의 상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교반날개부(53)는 교반축부(52)에 형성되어 저장물을 교반한다. 일 예로, 교반날개부(53)는 교반축부(52)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돌출되어 저장물을 교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반부(60)는 교반하방부(70)와 교반상방부(80)를 포함한다. 교반하방부(70)는 동력전달부(30)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저장물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교반상방부(80)는 동력전달부(30)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저장물을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교반하방부(70)와 교반상방부(80)는 번갈아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하방부(70)는 하방연결부(71)와, 하방축부(72)와, 하방날개부(73)를 포함한다.
하방연결부(71)는 동력전달부(30)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일 예로, 하방연결부(71)는 케이스부(10)의 상방에 배치되고, 모터부(20)에 의해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는 동력전달부(30)에 감겨 회전될 수 있다.
하방축부(72)는 하방연결부(71)에서 연장되어 케이스부(10)를 관통한다. 하방축부(72)는 케이스저장통부(11)의 상측면을 관통하여 케이스저장통부(11)의 하측면에 근접되거나, 케이스저장통부(11)의 하측면까지 관통할 수 있다. 한편, 하방축부(72)에 결합되는 하방고정부(74)는 케이스저장통부(11)에 걸려 하방축부(72)의 상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하방날개부(73)는 하방축부(72)에 형성되어 저장물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일 예로, 하방날개부(73)는 하방축부(72)의 둘레를 따라 나선 형상을 하여 저장물을 하방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상방부(80)는 상방연결부(81)와, 상방축부(82)와, 상방날개부(83)와, 상방솔부(84)를 포함한다.
상방연결부(81)는 동력전달부(30)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일 예로, 상방연결부(81)는 케이스부(10)의 상방에 배치되고, 모터부(20)에 의해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는 동력전달부(30)에 감겨 회전될 수 있다.
상방축부(82)는 상방연결부(81)에서 연장되어 케이스부(10)를 관통한다. 상방축부(82)는 케이스저장통부(11)의 상측면을 관통하여 케이스저장통부(11)의 하측면에 근접되거나, 케이스저장통부(11)의 하측면까지 관통할 수 있다. 한편, 상방축부(82)에 결합되는 상방고정부(85)는 케이스저장통부(11)에 걸려 상방축부(82)의 상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방날개부(83)는 상방축부(82)에 형성되어 저장물을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방날개부(83)와 하방날개부(83)와 대칭되는 형상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방날개부(83)는 상방축부(82)의 둘레를 따라 나선 형상을 하여 저장물을 상방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상방솔부(84)는 상방축부(82)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케이스부(10)의 바닥면에 누적된 저장물과 접촉된다. 상방솔부(84)는 저장물과 접촉되어 바닥면에 저장물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누적된 저장물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방솔부(84)는 몰타르 교반을 위해 금속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에서 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1)는 커버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90)는 케이스부(10)에 장착되고, 모터부(20)를 커버하여 이물질 유입을 방지한다. 즉, 장입차(100)에 공급되는 석탄 중 일부가 호퍼부(101)에 투입되지 못하고 낙하할 수 있으며, 커버부(90)는 모터부(20)를 커버하여 낙하되는 석탄에 의한 모터부(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부(10)에 복수개의 모터부(20)가 장착되고, 각각의 모터부(20)가 구동되면 모터부(20)에 감긴 동력전달부(30)가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며, 동력전달부(3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교반부(40)가 회전된다. 교반부(40)는 케이스부(10)를 관통하고, 회전되면서 케이스부(10)에 저장된 저장물을 교반한다. 이로 인해, 저용량 모터부(20)가 채택되더라도 복수개의 지점에서 교반작용이 일어나 몰타르의 경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모터부(20)가 손상되더라도 나머지 모터부(20)가 구동되어 몰타르 경화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 따른 교반부(50)는 하나 이상의 교반축부(52)가 케이스부(10)에 장착되고, 각각의 교반축부(52)에 장착된 교반연결부(51)가 동력전달부(30)에 의해 회전되면서 교반축부(52)를 회전시킨다. 이때, 교반축부(52)에서 돌출되는 교반날개부(53)가 저장물을 교반한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 따른 교반부(60)는 교반하방부(70)와 교반상방부(80)가 번갈아 배치되되, 교반하방부(70)가 저장물을 하방으로 유도하면, 교반상방부(80)가 저장물을 상방으로 유도하여 저장물이 지속적으로 상하 이동된다.
즉, 하나 이상의 하방축부(72)와 상방축부(82)가 번갈아 배치되어 케이스부(10)에 장착되고, 각각의 하방축부(72)와 상방축부(82)에 장착된 하방연결부(71)와 상방연결부(81)가 동력전달부(30)에 의해 회전되면서 하방축부(72)와 상방축부(82)를 회전시킨다. 이때, 대칭되는 형상의 하방날개부(73)와 상방날개부(83)가 회전되면서 저장물을 교반한다. 한편, 상방축부(82)에 형성되는 상방솔부(84)는 케이스부(10)의 바닥면에 침전된 저장물과 접촉되어 침전된 저장물의 고착화를 막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1)는 모터부(20)의 동력이 동력전달부(30)에 의해 하나 이상의 교반부(40)에 전달되어 케이스부(10)에 저장된 저장물을 교반하므로, 저용량 모터부(20)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1)는 케이스덮개부(12)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다른 설비와의 간섭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1)는 교반하방부(70)와 교반상방부(80)가 번갈아 배치되어 저장물을 교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1)는 상부솔부(84)가 케이스부(10)의 바닥면에 누적된 저장물과 접촉되어, 케이스부(10)의 바닥면에 저장물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차용 교반장치(1)는 커버부(90)가 모터부(20)를 커버하므로, 장입차(100)가 공급되는 석탄 중 일부가 낙하되어 모터부(20)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케이스부 11 : 케이스저장통부
12 : 케이스덮개부 13 : 케이스투입부
20 : 모터부 30 : 동력전달부
40,50,60 : 교반부 51 : 교반연결부
52 : 교반축부 53 : 교반날개부
70 : 교반하방부 71 : 하방연결부
72 : 하방축부 73 : 하방날개부
80 : 교반상방부 81 : 상방연결부
82 : 상방축부 83 : 상방날개부
84 : 상방솔부 90 : 커버부

Claims (8)

  1. 장입차에 장착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되어 구동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장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케이스부에 저장된 저장물을 교반하는 하나 이상의 교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저장물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교반하방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저장물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교반상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하방부와 상기 교반상방부가 번갈아 배치되며,
    상기 교반상방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상방연결부;
    상기 상방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부를 관통하는 상방축부;
    상기 상방축부에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저장물을 상방으로 유도하는 상방날개부; 및
    상기 상방축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의 바닥면에 누적된 상기 저장물과 접촉되는 상방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입차용 교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저장물이 저장되고, 상측 일부가 개구된 개방홀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저장통부;
    상기 케이스저장통부의 상측에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개방홀부를 개폐하는 케이스덮개부; 및
    상기 케이스저장통부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물이 투입되는 케이스투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입차용 교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모터부와 상기 교반부에 연결되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는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입차용 교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교반연결부;
    상기 교반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부를 관통하는 교반축부; 및
    상기 교반축부에 형성되며, 상기 저장물을 교반하는 교반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입차용 교반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하방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하방연결부;
    상기 하방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부를 관통하는 하방축부; 및
    상기 하방축부에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저장물을 하방으로 유도하는 하방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입차용 교반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부를 커버하여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입차용 교반장치.
KR1020160060081A 2016-05-17 2016-05-17 장입차용 교반장치 KR101808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081A KR101808427B1 (ko) 2016-05-17 2016-05-17 장입차용 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081A KR101808427B1 (ko) 2016-05-17 2016-05-17 장입차용 교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421A KR20170129421A (ko) 2017-11-27
KR101808427B1 true KR101808427B1 (ko) 2017-12-12

Family

ID=6081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081A KR101808427B1 (ko) 2016-05-17 2016-05-17 장입차용 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4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27035A (zh) * 2018-06-20 2018-12-04 珠海市高栏联合新材料有限公司 一种苯甲酸苄酯结晶釜新型搅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294Y1 (ko) * 2005-08-09 2005-10-20 이도희 원료 배합기용 회전장치
KR101522083B1 (ko) * 2013-04-03 2015-05-20 주식회사 포스코 상승관 내화연와 보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294Y1 (ko) * 2005-08-09 2005-10-20 이도희 원료 배합기용 회전장치
KR101522083B1 (ko) * 2013-04-03 2015-05-20 주식회사 포스코 상승관 내화연와 보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421A (ko) 201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427B1 (ko) 장입차용 교반장치
KR101599770B1 (ko) 버킷엘리베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제조장치
EP1559474A3 (en) Mixing apparatus with non-concentric auger
CN107185727A (zh) 自动脱油机
US4710410A (en) Dual basket small parts coating apparatus
JP2011079095A (ja) トラフ揺動式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及びトラフ揺動式ショットブラスト処理方法
CN105668269A (zh) 一种用于腻子粉加工的自动化设备
KR101377222B1 (ko)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 장치
CN211733213U (zh) 一种整车颗粒物料取样设备
KR101621443B1 (ko) 일체형 스크랩 압축장치
KR102125366B1 (ko) 부착탄 자동제거 시스템
KR101597580B1 (ko) 화물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US7967502B2 (en) Vertical mixer with moveable floor
US11643888B2 (en) Solids and liquids management system and apparatus for oil and gas well drilling
CN104773479B (zh) 一种小直径装药机刮板输送加料设备
US4032048A (en) Bin with internal sloping walls
RU164074U1 (ru) Ковшовый элеватор
CN220567990U (zh) 一种烟花内筒饼亮珠装药装置
CN110341048A (zh) 用于搅拌站生产的外掺料添加储料装置
CN207209462U (zh) 一种用于茶叶输送机的接料装置
CN206955959U (zh) 一种煤气发生炉上煤系统
CN211189955U (zh) 一种八角拌料机
CN214430968U (zh) 一种下料可控的养猪喂料器
JP2005089160A (ja) 塵芥貯留排出装置
CN213648120U (zh) 一种搅拌上料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