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205B1 -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205B1
KR101808205B1 KR1020160037962A KR20160037962A KR101808205B1 KR 101808205 B1 KR101808205 B1 KR 101808205B1 KR 1020160037962 A KR1020160037962 A KR 1020160037962A KR 20160037962 A KR20160037962 A KR 20160037962A KR 101808205 B1 KR101808205 B1 KR 101808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lus
curved surface
button
curvatu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3942A (ko
Inventor
김석주
유의식
김찬얼
오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to KR1020160037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20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3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57Measuring instruments used for implanting artificial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59Femo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57Measuring instruments used for implanting artificial joints
    • A61F2002/4658Measuring instruments used for implanting artificial joints for measuring dimensions, e.g.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002/4677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using a guide wire
    • A61F2002/467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타일러스 몸체부 내에 수용되는 버튼부의 일측에 제 2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관통공은 결합부의 제 1 확경부와 대응되는 직경 크기를 가지는 제 1 곡면과 축경부와 대응되는 직경 크기를 가지는 제 2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관통공 내에 AP 사이저의 결합부가 삽입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확경부가 제 1 곡면을 따라 위치하고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완전 결합시 버튼부 일측의 탄성수단이 상기 버튼부를 탄성 가압하여 상기 축경부가 제 2 곡면을 따라 자동적으로 위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고, 해제시 상기 버튼부의 분해버튼을 눌러 상기 축경부가 제 1 곡면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스타일러스가 해제될 수 있어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용이한 결합 및 해제를 도모하고 결합 이후 상기 스타일러스의 부드러운 회전 및 유격을 최소화시켜 상기 스타일러스의 흔들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KNEE STYLUS CONNECTION ASSEMBLY}
본 발명은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타일러스 몸체부 내에 수용되는 버튼부의 일측에 제 2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관통공은 결합부의 제 1 확경부와 대응되는 직경 크기를 가지는 제 1 곡면과 축경부와 대응되는 직경 크기를 가지는 제 2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관통공 내에 AP 사이저의 결합부가 삽입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확경부가 제 1 곡면을 따라 위치하고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완전 결합시 버튼부 일측의 탄성수단이 상기 버튼부를 탄성 가압하여 상기 축경부가 제 2 곡면을 따라 자동적으로 위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고, 해제시 상기 버튼부의 분해버튼을 눌러 상기 축경부가 제 1 곡면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스타일러스가 해제될 수 있어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용이한 결합 및 해제를 도모하고 결합 이후 상기 스타일러스의 부드러운 회전 및 유격을 최소화시켜 상기 스타일러스의 흔들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관절염, 외상 등에 의해 무릎관절이 제기능을 상실하였을 때 파괴된 관절을 대치할 수 있는 임플란트를 이식하여 정상적인 무릎관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술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대퇴골(F)에는 대퇴골요소(500)가 결합되고 경골(T)에는 경골요소(500)가 결합되며 상기 대퇴골요소(500)와 경골요소(600) 사이에는 베어링(70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대퇴골(T)과 경골(F)에 대퇴골요소(500) 및 경골요소(600)를 이식하기 위해 상기 대퇴골(T)과 경골(F)에는 시술부(절개면)(510, 610)를 형성한다. 상기 시술부(510, 610) 형성 후 환자에 적합한 사이즈의 대퇴골요소(500)를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환자의 대퇴골(F)의 사이즈를 측정한다. 즉, 스타일러스(stylus)(800)를 포함하는 AP 사이저(anterior posterior sizer; AP sizer)(900)를 통해 대퇴골(F)의 전후방 사이즈를 측정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경골(T)의 절개면 및 대퇴골(F)의 관절구(condyle) 상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대퇴골(F)의 시술부에 위치하여 상기 대퇴골(F)의 전후방 사이즈를 측정하여 상기 대퇴골(F)과 대응되는 사이즈의 대퇴골요소(500)를 결정할 수 있다.
종래의 인공관절 치환술에서는 AP 사이저(900)가 일반적으로 동양인의 슬관절 사이즈에 맞추어져 있어 상대적으로 뼈의 크기가 큰 서양인들을 위해 대형의 임플란에 적합한 다른 형상의 스타일러스(800)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1종의 AP 사이저(900)와 2종의 스타일러스(800)을 제작하여 상기 AP 사이저(900)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2종의 스타일러스를 사용할 경우 상기 AP 사이저(900)와 스타일러스(800) 상호 간에 조립공차가 발생하여 유격이 생겨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여 정확한 임플란트 사이즈를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스타일러스(800)와 AP 사이저(900)의 결합은 볼(ball) 결합 타입을 취하고 있어 상기 타입의 경우 볼의 삽입 및 분해시 많은 힘이 들어가 결합 및 해제가 상대적으로 용이하지 않은 문제 역시 있었다.
미국공개특허 US 2014/0025081호는 슬관절 측정 및 밸런싱 기구에 관한 것으로, 측정 슬라이더(120)와 결합한 스타일러스(130)가 로드(118)에 의하여 패드(142)에 결합되는 구성을 취하여 상기 스타일러스(130)가 AP 사이저로부터 해제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함과 동시에 유격을 최소화시켜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AP 사이저(900)와 스타일러스(800)의 결합 시스템 또는 어셈블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AP 사이저 결합부 일측에 형성되는 축경부가 스타일러스 버튼부의 고정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관통공 내에 고정 및 해제되어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용이한 결합 및 해제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확경부와 대응되는 직경 크기를 가지는 제 1 곡면과, 상기 축경부와 대응되는 직경 크기를 가지는 제 2 곡면을 포함하는 제 2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결합부의 제 2 관통공으로의 삽입 정도에 따라 상기 결합부가 제 1 곡면 또는 제 2 곡면을 따라 정렬될 수 있어 상기 스타일러스의 견고한 결합과 함께 걸림 현상이 없이 부드러운 회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력을 통해 버튼부를 탄성 가압하여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결합시 상기 축경부가 제 1 곡면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수단을 통하여 별도의 수동적 조치 없이 상기 스타일러스를 수직방향으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용이하면서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가 상기 축경부의 하측 말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제 2 확경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제 1 및 제 2 확경부에 의하여 상기 제 2 관통공 내에 삽입된 축경부가 상하 방향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확경부의 하측 말단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AP 사이저에 결합한 스타일러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즈가 결합하면 상기 지지부와 스타일러스 하측 말단의 위치가 서로 정확하게 일치하여 유격을 최소화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흔들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의 말단에 상측으로 일정 길이 절곡 형성되는 분해 버튼이 형성되며, 상기 분해 버튼을 누르면 상기 버튼부가 상기 탄성수단을 탄성 가압함으로 상기 축경부가 제 1 곡면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용이한 해제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 일측에 장방형 핀 수용공을 포함하여 상기 버튼부가 몸체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곡면의 곡률중심과 상기 핀 수용공의 장방형 축이 탄성수단의 복원력 작용 축 상에 위치하여 상기 버튼부를 통한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정확한 결합과 해제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부의 상측 말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 길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통해 상기 결합부와 스타일러스 간의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여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용이한 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는 대퇴골의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타일러스와, 상기 스타일러스가 장착될 수 있는 AP 사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는 대퇴골의 전방표면과 접촉하는 스타일러스 암과, 상기 스타일러스 암이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AP 사이저는 상기 버튼부와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를 상기 AP 사이저에 삽입시 상기 결합부가 상기 버튼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삽입되고, 삽입 후 상기 버튼부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결합부와 버튼부 사이에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의 상기 버튼부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버튼부를 탄성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의 상기 몸체부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제 1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두 개의 상이한 곡률중심을 가지는 제 1 곡면과 제 2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관통공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곡면의 곡률반경 크기가 상기 제 2 곡면의 곡률반경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제 2 관통공으로의 삽입 정도에 따라 각각의 제 1 곡면 또는 제 2 곡면을 따라 정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의 상기 결합부는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제 1 확경부와, 상기 제 1 확경부의 하측 말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길이 합입되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축경부와, 상기 축경부의 하측 말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제 2 확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의 상기 제 1 곡면의 곡률반경 크기가 상기 축경부만을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곡면의 곡률반경 크기가 상기 제 1 확경부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확경부를 상기 제 2 관통공에 삽입시 상기 제 2 곡면의 곡률중심이 상기 결합부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곡면의 곡률중심은 상기 중심축과 편심되며, 상기 축경부를 상기 제 2 관통공에 삽입시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 가압에 의하여 상기 제 1 곡면의 곡률중심이 상기 결합부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곡면의 곡률중심은 상기 중심축과 편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2 관통공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장방형으로 관통 형성되어 핀 삽입을 통해 상기 버튼부를 몸체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핀 수용공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핀 수용공을 통한 핀 결합을 통해 상기 버튼부가 몸체부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의 상기 제 1 곡면과 제 2 곡면의 곡률중심과 상기 핀 수용공의 장방형 축은 상기 탄성수단의 복원력 작용 축 상에 위치하여 상기 버튼부를 통한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정확한 결합과 해제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의 상기 버튼부는 상기 고정부의 말단에 상측으로 일정 길이 절곡 형성되는 분해 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분해 버튼을 눌러주면 상기 버튼부가 상기 탄성수단을 탄성 가압함으로써 상기 축경부가 제 1 곡면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의 상기 결합부는 상측 말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 길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결합부 삽입시 상기 결합부와 제 2 관통공과의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여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의 상기 결합부는 하측 말단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AP 사이저에 결합한 스타일러스를 안착시켜 지지하는 지지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가 완전 결합한 이후 상기 스타일러스 하측 말단과 지지부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여 유격을 최소화하여 상기 스타일러스의 흔들림 현상을 방지하여 상기 스타일러스의 부드러운 회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서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AP 사이저 결합부 일측에 형성되는 축경부가 스타일러스 버튼부의 고정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관통공 내에 고정 및 해제되어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용이한 결합 및 해제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확경부와 대응되는 직경 크기를 가지는 제 1 곡면과, 상기 축경부와 대응되는 직경 크기를 가지는 제 2 곡면을 포함하는 제 2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결합부의 제 2 관통공으로의 삽입 정도에 따라 상기 결합부가 제 1 곡면 또는 제 2 곡면을 따라 정렬될 수 있어 상기 스타일러스의 견고한 결합과 함께 걸림 현상이 없이 부드러운 회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원력을 통해 버튼부를 탄성 가압하여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결합시 상기 축경부가 제 1 곡면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수단을 통하여 별도의 수동적 조치 없이 상기 스타일러스를 수직방향으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용이하면서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가 상기 축경부의 하측 말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제 2 확경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제 1 및 제 2 확경부에 의하여 상기 제 2 관통공 내에 삽입된 축경부가 상하 방향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확경부의 하측 말단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AP 사이저에 결합한 스타일러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즈가 결합하면 상기 지지부와 스타일러스 하측 말단의 위치가 서로 정확하게 일치하여 유격을 최소화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흔들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의 말단에 상측으로 일정 길이 절곡 형성되는 분해 버튼이 형성되며, 상기 분해 버튼을 누르면 상기 버튼부가 상기 탄성수단을 탄성 가압함으로 상기 축경부가 제 1 곡면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용이한 해제를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 일측에 장방형 핀 수용공을 포함하여 상기 버튼부가 몸체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곡면의 곡률중심과 상기 핀 수용공의 장방형 축이 탄성수단의 복원력 작용 축 상에 위치하여 상기 버튼부를 통한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정확한 결합과 해제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부의 상측 말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 길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통해 상기 결합부와 스타일러스 간의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여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용이한 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측에 스타일러스가 결합된 종래의 AP 사이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은 도 1에 따른 AP 사이저가 대퇴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에 따른 스타일러스의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따른 스타일러스 암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도 5에 따른 몸체부의 사시도
도 10은 도 5에 따른 몸체부의 측면도
도 11 및 도 12는 도 5에 따른 버튼부의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따른 버튼부의 평면도
도 14는 도 3에 따른 AP 사이저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따른 AP 사이저의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를 통한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참고도
도 17은 도 16에 따른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를 통한 해제과정을 보여주는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따른 스타일러스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따른 스타일러스 암의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도 5에 따른 몸체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5에 따른 몸체부의 측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5에 따른 버튼부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따른 버튼부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3에 따른 AP 사이저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따른 AP 사이저의 측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를 통한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따른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의 측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를 통한 해제과정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를 설명하면, 상기 어셈블리는 AP 사이저(anterior-posterior sizer; AP sizer)(3)의 결합부(31)에 결합 및 해제되어 상기 AP 사이저(3)가 대퇴골(femur)(F)의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타일러스(stylus)(1)와, 상기 스타일러스(1)와 결합하며 대퇴골(F)의 원위단부(distal end) 측에 부착되어 상기 대퇴골의 전후방 사이즈를 측정하는 AP 사이저(3)를 포함하여 상기 스타일러스(1)의 결합시 유격을 최소화하여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AP 사이저(3)가 대퇴골(F)의 정확한 사이즈를 측정하여 그와 대응되는 사이즈의 임플란트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스타일러스(1)의 AP 사이저(3)로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며 상기 스타일러스(1)의 부드러운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슬관절 스타일러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3 및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스타일러스(1)는 후술할 AP 사이저(3)의 결합부(31)에 결합 및 해제되며 일단이 상기 대퇴골(F)의 전방표면(anterior surface)과 접촉하여 상기 AP 사이저(3)가 대퇴골(F)의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타일러스(1)가 대퇴골(F)의 전방표면과 접촉하면 상기 AP 사이저(3) 일측의 인디케이터(indicator)가 가리키는 스케일(scale)을 읽어내어 상기 대퇴골(F)의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타일러스(1)는 스타일러스 암(11), 몸체부(13)와, 버튼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타일러스 암(11)은 후술할 몸체부(13) 및 버튼부(15)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일단이 상기 대퇴골의 전방표면과 접촉하여 상기 AP 사이저(3)가 대퇴골(F)의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스타일러스 팁(stylus tip)(111), 포스트(113)와, 결합면(1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타일러스 팁(111)은 상기 스타일러스 암(11)의 일측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대퇴골의 전방표면과 접촉하는 구성이다.
상기 포스트(113)는 상기 스타일러스 암(11)의 하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몸체부(13)의 포스트수용홈(131)에 삽입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암(11)을 몸체부(13)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암(11)의 회전시 몸체부(13)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포스트(113)에 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암(11)이 몸체부(13)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113)의 개수 및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 2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3)와의 결합을 안정성을 도모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3)와의 결합시 간섭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상기 암(11)의 용이한 회전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면(115)은 상기 스타일러스 암(11)의 상부면과 양 측면이 맞닿는 모서리부에 'ㄴ' 형상으로 일정 높이 및 내측으로 일정 길이 함입 형성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몸체부(13)의 결합면수용부(132)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13)가 스타일러스 암(11)으로부터 하측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3)는 상기 스타일러스 암(11)을 수용하여 상호 결합하고 후술할 버튼부(15)를 수용하며 후술할 AP 사이저(3)와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포스트수용홈(131), 결합면수용부(132), 버튼수용부(133), 탄성수단수용홈(134), 제 1 관통공(135), 상측 핀 수용홈(136)과, 하측 핀 수용홈(137)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결합부(31)가 몸체부(13)에 삽입되어 결합하면 상기 스타일러스(1)와 결합부(31)의 하부면이 서로 일치하여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타일러스(1)가 결합된 이후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대퇴골(F)의 사이즈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포스트수용홈(131)은 상기 몸체부(13)의 일측, 구체적으로 상부면에 상기 포스트(113)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홈이다. 상기 포스트수용홈(131)를 통해 상기 포스트(113)를 수용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암(11)의 전후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수용홈(131)의 개수 및 형상은 상기 포스트(113)의 개수 및 형상에 따라 결정되며, 이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결합면수용부(132)는 상기 몸체부(13)의 상부면 양 모서리부에 'ㄱ'자 형상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고 상측 말단이 내측으로 일정 길이 절곡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결합면(115)을 내측에 수용하여 상기 몸체부(13)가 스타일러스 암(11)으로부터 하측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버튼수용부(133)는 상기 몸체부(13)의 일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후술할 버튼부(15)가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15)는 상기 버튼수용부(133)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13)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수단수용홈(134)은 상기 버튼수용부(133)와 대향하는 몸체부(13)의 내측면 일측에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되며 후술할 버튼부(15)의 탄성수단(153) 일단을 수용하여 상기 탄성수단(153)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탄성수단수용홈(134)을 통해 상기 탄성수단(153)이 후술할 버튼부(15)의 바디부(151)의 정확한 위치에 복원력을 전달하여 탄성 가압할 수 있어 상기 결합부(31)의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관통공(135)은 상기 몸체부(13)의 하부면에 상측으로 일정 깊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AP 사이저(3)의 결합부(31)를 삽입 수용하여 상기 스타일러스(1)와 AP 사이저(3)가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상측 핀 수용홈(136)은 후술할 버튼부(15)의 핀 수용공(159)에 삽입되는 핀(P)의 상측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버튼부(15)의 몸체부(13) 결합시 상기 핀 수용공(159)의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 깊이 상측으로 함입 형성되는 구성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하측 핀 수용홈(137)은 후술할 버튼부(15)의 핀 수용공(159)에 삽입되는 핀(P)의 하측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버튼부(15)의 몸체부(13) 결합시 상기 핀 수용공(159)의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 깊이 하측으로 함입 형성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상하측 핀 수용홈(136, 137)에 의하여 상기 핀(P)이 견고히 고정되어 상기 버튼부(15)의 몸체부(13)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버튼부(15)는 상기 몸체부(13)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31)를 고정 및 해제하여 상기 스타일러스(1)와 AP 사이저(3)의 용이한 결합 및 해제를 도모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타일러스(1)를 상기 AP 사이저(3)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후술할 결합부(31)가 상기 버튼부(15)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삽입되고, 삽입이 완료된 이후 상기 버튼부(15)가 후술할 탄성수단(153)의 복원력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버튼부(15)와 결합부(31) 사이에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며,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버튼부(15)는 고정부(151), 탄성수단(153)과, 분해 버튼(1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51)는 후술할 AP 사이저(3)의 결합부(31)를 상기 스타일러스(1)에 수직방향으로 삽입시 상기 결합부(31)를 고정하여 상기 스타일러스(1)와 AP 사이저(3)의 용이한 결합 및 해제를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제 2 관통공(151a), 핀 수용공(151b)과, 탄성수단수용부(151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관통공(151a)은 상기 고정부(151)의 일측에 두 개의 상이한 곡률중심(c1, c2)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곡면(151a-1, 151a-2)으로 이루어지는 한 개의 관통공이다. 상기 각각의 곡률중심(c1, c2)은 후술할 탄성수단(153)의 복원력(F) 작용 축 상에 위치한다.
상기 제 1 곡면(151a-1)은 상기 제 2 곡면(151a-2)에 비하여 상기 탄성수단(153)에 근접하여 위치하며, 곡률반경(r1)의 크기가 후술할 제 1 및 제 2 확경부(313, 317)의 곡률반경(r3, r5)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제 1 및 제 2 확경부(313, 317)를 수용하지 않고, 후술할 축경부(315)의 곡률반경(r4) 크기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축경부(315)만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곡면(151a-2)은 곡률반경(r2)의 크기가 상기 제 1 확경부(313)의 곡률반경(r3) 크기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31)의 제 2 관통공(151a)으로의 삽입 정도에 따라 상기 결합부(31)가 각각의 제 1 곡면(151a-1) 또는 제 2 곡면(151a-2)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타일러스(1)가 AP 사이저(3)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큰 반경(r3) 크기를 가지는 제 1 확경부(313)가 상기 제 2 관통공(151a)에 삽입되면 상기 상기 제 1 확경부(313)가 상기 버튼부(15)를 탄성 가압하여 상기 제 1 확경부(313)는 그와 대응되는 반경(r2)의 크기를 가지는 제 2 곡면(151a-2) 측에 정렬되고 상기 제 2 곡면(151a-2)의 곡률중심(c2)는 상기 결합부(31)의 중심축(a1)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곡면(151a-1)의 곡률중심(c1)과 편심된다. 계속해서 상기 축경부(315)가 상기 제 2 관통공(151a)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수단(153)의 탄성 가압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151)를 밀어내므로 상기 축경부(315)가 상기 축경부(315)를 수용하는데 적합한 반경(r1)의 크기를 가지는 제 1 곡면(151a-1) 측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곡면(151a-1)의 곡률반경(r1) 크기는 상기 제 2 곡면(151a-2)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면(s1)으로부터 제 2 접촉면(s2)의 진행 방향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축경부(315)의 반경(r4) 크기와 대략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곡면(151a-1)의 전면이 상기 축경부(315)와 접촉하여 상기 축경부(315)를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AP 사이저(3)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곡면(151a-1)의 곡률중심(c1)은 상기 결합부(31)의 중심축(a1)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곡면(151a-2)의 곡률중심(c2)은 상기 중심축(a1)과 편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관통공(151a)을 통해 상기 제 1 확경부(313)와 축경부(315)를 포함하는 결합부(31)의 삽입 고정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부(31)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상기 대퇴골(F)의 사이즈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핀 수용공(151b)은 상기 고정부(151)의 일측에 상기 제 2 관통공(151a)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장방형으로 관통 형성되어 핀(P) 삽입을 통해 상기 버튼부(15)를 몸체부(13)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후술할 분해 버튼(155)을 눌러주면 상기 고정부(151)가 탄성수단(153)의 복원력(F) 작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핀 수용공(151b)을 통해 핀(P)이 삽입되어 상기 버튼부(15)가 몸체부(13)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후술할 분해버튼(155)을 눌러주어 후술할 축경부(315)가 제 1 곡면(151a-1) 측으르부터 이탈하여 상기 스타일러스(1)로부터 AP 사이저(3)가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수단수용부(151c)는 상기 고정부(151)의 일측,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151)의 일 측면에 함입 형성되어 후술할 탄성수단(153)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구성이다.
상기 탄성수단(153)은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버튼부(15)를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수단수용홈(134) 및 탄성수단수용부(151c)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151)를 가압하여 상기 스타일러스(1)와 AP 사이저(3)의 결합시 상기 축경부(315)가 자동적으로 제 1 곡면(151a-1)을 따라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곡면(151a-1, 151a-2)의 곡률중심(c1, c2)과 상기 핀 수용공(151b)의 장방형 축은 모두 상기 탄성수단(153)의 복원력(F) 작용 축 상에 위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1)와 AP 사이저(3)의 용이한 결합 및 해제를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수단(153)은 버튼부(15)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상기 몸체부(13)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이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153)은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해 버튼(155)은 상기 고정부(151)의 말단,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수단수용부(151c)의 반대편 말단에 상측으로 일정 길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AP 사이저(3)로부터의 스타일러스(1)의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분해 버튼(155)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부(15)가 상기 탄성수단(153)을 탄성가압하여 후술할 축경부(315)가 상기 제 1 곡면(151a-1)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스타일러스(1)를 AP 사이저(3)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스타일러스(1)와 AP 사이저(3)가 해제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AP 사이저(3)는 일측이 상기 경골(T)의 절개면 및 대퇴골(F)의 관절구(condyle) 상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대퇴골(F)의 절개면에 위치하여 상기 대퇴골(F)의 전후방 사이즈를 측정하여 상기 대퇴골(F)과 대응되는 사이즈의 대퇴골 요소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결합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1)는 상기 AP 사이저(3)의 최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타일러스(1) 내에 수직방향으로 삽입 고정되어 상기 스타일러스(1)와 AP 사이저(3)의 결합을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경사면(311), 제 1 확경부(313), 축경부(315), 제 2 확경부(317)와, 지지부(3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11)은 상기 결합부(31)의 상측 말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임의의 각도로 일정 길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결합부(31)가 스타일러스(1) 내로 삽입될 때에 상기 결합부(31)와 스타일러스(1) 간의 상호 간섭을 최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31) 측으로 스타일러스(1)를 누르는 것만으로도 상기 스타일러스(1)와 AP 사이저(3)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확경부(313)는 상기 결합부(31)의 일측,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면(311)의 하측 말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 확경부(313)는 상기 스타일러스(1)와 AP 사이저(3)의 결합 과정에서 후술할 축경부(315)와 대응되는 반경(r1) 크기를 가지는 제 1 곡면(151a-1) 측에 정렬될 수 없으며 상기 제 1 확경부(313)와 대응되는 반경(r2) 크기를 가지는 제 2 곡면(151a-2)을 따라 정렬된다. 상기 제 1 확경부(313)는 바람직하게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축경부(315)는 상기 제 1 확경부(313)의 하측 말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길이 함입되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축경부(315)의 반경(r4) 크기는 제 1 확경부(313)의 반경(r2)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스타일러스(1)와 AP 사이저(3)의 결합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수단(153)이 버튼부(15)를 밀어내어 상기 축경부(315)가 자동적으로 상기 제 1 곡면(151a-1)을 따라 정렬된다. 따라서, 상기 스타일러스(1)가 상기 AP 사이저(3)와 결합된 이후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축경부(315)는 바람직하게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확경부(317)는 상기 축경부(315)의 하측 말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 2 확경부(317)의 반경(r5) 크기는 상기 제 1 곡면(151a-1)을 따라 정렬될 수 없도록 제 1 곡면(151a-1)의 곡률 반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 2 관통공(151) 내에 삽입된 축경부(315)가 상하 방향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확경부(317)는 바람직하게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319)는 상기 결합부(31)의 하측 말단,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확경부(137)의 하측 말단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AP 사이저(3)에 결합한 스타일러스(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결합 이후 상기 스타일러스(1)의 하측 말단과 지지부(319)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여 유격을 최소화하여 상기 스타일러스(1)의 흔들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타일러스(1)와 AP 사이저(3)의 결합 및 해제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결합시, 상기 결합부(31)가 상기 스타일러스(1) 몸체부(13)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관통공(135) 내로 수직 방향으로 삽입된다. 결합과정에서 상기 결합부(31)의 제 1 확경부(313)가 상기 탄성수단(153)을 가압하여 상기 제 2 관통공(151)의 제 2 곡면(151a-2)에 정렬되어 삽입된다(도 16(a) 및 도 17(b) 참조). 그 후 상기 축경부(315)가 상기 제 2 관통공(151a)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수단(153)이 복원력(F)에 의해 상기 버튼부(15)를 밀어내어 축경부(315)가 자동적으로 상기 제 1 곡면(151a-1)을 따라 정렬된다(도 16(b) 및 도 17(b) 참조). 또한, 상기 결합부(31)가 몸체부(13)에 삽입되어 완전 결합되면, 상기 스타일러스(1)의 하측 말단과 AP 사이저(3)의 지지부(319)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여 유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타일러스(1)가 결합된 이후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대퇴골(F)의 사이즈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해제시, 상기 탄성수단(153)의 복원력(F) 작용 반대 방향으로 상기 분해 버튼(155)을 누르면 상기 버튼부(15)가 상기 탄성수단(153)을 탄성 가압하여 상기 축경부(315)가 제 1 곡면(151a-1)으로부터 이탈하게 한다. 그 이후, 상기 스타일러스(1)를 AP 사이저(3)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스타일러스(1)와 AP 사이저(3)가 상호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31)의 수직 방향 삽입에 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1)와 AP 사이저(3)의 결합을 할 수 있고 상기 분해 버튼(155)을 눌러주어 상호 해제를 가능하게 하여 용이한 결합 및 해제를 도모할 수 있다(도 18 참조).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스타일러스
11 : 스타일러스 암
111 : 스타일러스 팁 113: 포스트 115 : 결합면
13 : 몸체부
131 : 포스트수용홈 132 : 결합면수용부 133 : 버튼수용부
134 : 탄성수단수용홈 135 : 제 1 관통공 136 : 상측 핀 수용홈
137 : 하측 핀 수용홈
15 : 버튼부
151 : 고정부
151a : 제 2 관통공
151a-1 : 제 1 곡면 151a-2 : 제 2 곡면
151b : 핀 수용공 151c : 탄성수단수용부
153 : 탄성수단 155 : 분해 버튼
3 : AP 사이저
31 : 결합부
311 : 경사면 313 : 제 1 확경부 315 : 축경부
317 : 제 2 확경부
319 : 지지부
a1 : 제 1 관통공의 중심축 a2 : 결합부의 중심축
c1 : 제 1 곡면의 곡률중심 c2 : 제 2 곡면의 곡률중심
r1 : 제 1 곡면의 곡률반경 크기 r2 : 제 2 곡면의 곡률반경 크기
r3 : 제 1 확경부의 반경 크기 r4 : 축경부의 반경 크기
s1 : 제 1 접촉면 s2 : 제 2 접촉면

Claims (10)

  1. 대퇴골의 전방표면과 접촉하는 스타일러스 암과 상기 스타일러스 암이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와,
    상기 버튼부와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AP 사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제 1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는 두 개의 상이한 곡률중심을 가지는 제 1 곡면과 제 2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관통공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제 1 확경부와, 상기 제 1 확경부의 하측 말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길이 합입되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축경부와, 상기 축경부의 하측 말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제 2 확경부를 포함하여
    상기 스타일러스를 상기 AP 사이저에 삽입시 상기 결합부가 상기 버튼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삽입되고, 삽입 후 상기 버튼부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결합부와 버튼부 사이에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버튼부를 탄성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곡면의 곡률반경 크기가 상기 제 2 곡면의 곡률반경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제 2 관통공으로의 삽입 정도에 따라 제 1 곡면 또는 제 2 곡면을 따라 정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곡면의 곡률반경 크기가 상기 축경부만을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곡면의 곡률반경 크기가 상기 제 1 확경부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확경부를 상기 제 2 관통공에 삽입시 상기 제 2 곡면의 곡률중심이 상기 결합부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곡면의 곡률중심은 상기 중심축과 편심되며, 상기 축경부를 상기 제 2 관통공에 삽입시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 가압에 의하여 상기 제 1 곡면의 곡률중심이 상기 결합부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곡면의 곡률중심은 상기 중심축과 편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2 관통공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장방형으로 관통 형성되어 핀 삽입을 통해 상기 버튼부를 몸체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핀 수용공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핀 수용공을 통한 핀 결합을 통해 상기 버튼부가 몸체부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곡면과 제 2 곡면의 곡률중심과 상기 핀 수용공의 장방형 축은 상기 탄성수단의 복원력 작용 축 상에 위치하여 상기 버튼부를 통한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정확한 결합과 해제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고정부의 말단에 상측으로 일정 길이 절곡 형성되는 분해 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분해 버튼을 눌러주면 상기 버튼부가 상기 탄성수단을 탄성 가압함으로써 상기 축경부가 제 1 곡면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측 말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 길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결합부 삽입시 상기 결합부와 제 2 관통공과의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여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의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
  10.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하측 말단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AP 사이저에 결합한 스타일러스를 안착시켜 지지하는 지지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와 AP 사이저가 완전 결합한 이후 상기 스타일러스 하측 말단과 지지부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여 유격을 최소화하여 상기 스타일러스의 흔들림 현상을 방지하여 상기 스타일러스의 부드러운 회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
KR1020160037962A 2016-03-29 2016-03-29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 KR101808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962A KR101808205B1 (ko) 2016-03-29 2016-03-29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962A KR101808205B1 (ko) 2016-03-29 2016-03-29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942A KR20170113942A (ko) 2017-10-13
KR101808205B1 true KR101808205B1 (ko) 2017-12-14

Family

ID=60139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962A KR101808205B1 (ko) 2016-03-29 2016-03-29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2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0704B1 (en) * 1998-09-09 2001-09-18 Sulzer Orthoped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nterior and posterior referenced sizing and distal femur resection
US7488324B1 (en) 2003-12-08 2009-02-10 Biomet Manufacturing Corporation Femoral guide for implanting a femoral knee prosthesis
US7682362B2 (en) * 2005-02-01 2010-03-23 Smith & Nephew, Inc. Lockable orientation stylus
JP2013521991A (ja) 2010-03-22 2013-06-13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ロック可能な配向器具アセンブリ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0704B1 (en) * 1998-09-09 2001-09-18 Sulzer Orthoped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nterior and posterior referenced sizing and distal femur resection
US7488324B1 (en) 2003-12-08 2009-02-10 Biomet Manufacturing Corporation Femoral guide for implanting a femoral knee prosthesis
US7682362B2 (en) * 2005-02-01 2010-03-23 Smith & Nephew, Inc. Lockable orientation stylus
JP2013521991A (ja) 2010-03-22 2013-06-13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ロック可能な配向器具ア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942A (ko) 201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6002B2 (ja) 膝義肢
JP5415091B2 (ja) 拘束リングインサーター
US7465319B2 (en) Shoulder or hip prosthesis and process for fitting same
EP3397200B1 (en) Knee prosthetic implant
JP4750956B2 (ja) 膝義肢
JP4335759B2 (ja) モジュール型膝関節人工装具
EP0321927B1 (en) Elbow joint prosthesis
CA2218334C (en) Tibial prosthesis with mobile bearing member
JP4378253B2 (ja) 支承の前方摺動動作を制限する着脱自在ストップピンを備える人工膝
JP4202268B2 (ja) 足首関節エンドプロテーゼ
US20100010635A1 (en) Tibial trialing assembly and method of trialing a tibial implant
JP2009508615A (ja) 椎間板プロテーゼ
US10940024B2 (en) Universal femoral trial system and methods
CN104736105A (zh) 胫骨假体系统、配套组件和方法
JPS63200756A (ja) 肩部人工補装具
JPH06500036A (ja) 寛骨臼カップアッセンブリ
EP1684632B1 (en) A gauge for use in a surgical procedure
JPH06189989A (ja) 膝関節用埋込補綴
JP4198887B2 (ja) かしぎ防止型膝義肢
KR101808205B1 (ko) 슬관절 스타일러스 결합 어셈블리
JP2003507123A (ja) リンクされた顆膝置換物
CA2893463A1 (en) Shoulder prosthesis and components thereof
JP4167922B2 (ja) 軸受の前方への滑動を制限する着脱式ストップピンを有する人工補助膝
CN110680568A (zh) 人造胫骨假体及人造膝关节
EP3388043B1 (en) Joint regul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