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384B1 -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 - Google Patents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384B1
KR101807384B1 KR1020160002440A KR20160002440A KR101807384B1 KR 101807384 B1 KR101807384 B1 KR 101807384B1 KR 1020160002440 A KR1020160002440 A KR 1020160002440A KR 20160002440 A KR20160002440 A KR 20160002440A KR 101807384 B1 KR101807384 B1 KR 101807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opening
control valv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3234A (ko
Inventor
김교동
Original Assignee
김교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교동 filed Critical 김교동
Priority to KR1020160002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384B1/ko
Publication of KR20170083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16K1/04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with a cut-off member rigid with the spindle, e.g. mai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에 관한 것으로, 일단에 냉온수관 연결부가 형성되고, 측면에 수전금구 또는 변기의 연결관에 연결되는 연결관 결합부가 형성되며, 타단에 밸브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중공의 앵글형 관체인 본체의 상기 밸브 결합부에 구비되어 개폐작동을 통해 수전금구 또는 변기로 공급되는 물을 단속(斷續)하는 조절밸브체에 있어서, 상기 조절밸브체는 상기 밸브 결합부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며 일측에 작동구 삽입홈이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일체로 돌출되며, 조작레버와 결합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조절몸체와; 상기 작동구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수평 이동되어 본체 내부에 형성된 단차부를 개폐하는 작동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머리부의 작동구 삽입홈은 삼각, 사각 또는 육각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작동구는 일단에 상기 단차부와 밀착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작동구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개폐부는 상기 삽입돌기의 끝단에 형성된 원판형의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에서 연장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 고정되는 연질의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밸브체가 냉온수관과 수전금구 또는 변기의 연결관을 연결하는 본체에 구비되어 조작레버에 의해 수평 이동되는 조절몸체와 조절몸체의 단부에 삽입되어 조절몸체의 이동과 함께 수평 이동되어 본체에 형성된 단차부에 밀착되어 물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조절몸체에 삽입되어 수압에 의해 단차부를 개방하여 물을 공급하는 작동구로 이루어져 연결관을 통해 물이 역류될 시 작동구가 역류되는 수압에 의해 단차부에 밀착됨으로써 역류를 방지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 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시 작동구만 교체하여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어 교체에 따른 추가 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 {Control valves for angle valves}
본 발명은 벽체에 매설된 냉온수관에 연결되어 연결관을 통해 세면대의 수전금구 또는 변기의 저수탱크로 급수 및 차단하는 관붙이용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앵글형 관체인 본체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고, 단부의 돌출부가 조작레버와 결합된 조절몸체가 조작레버의 회전에 수평 이동되는 조절몸체와 함께 이동되는 작동구가 본체 내부의 단차부를 막아 물의 공급을 차단하며, 조절몸체가 원상태로 이동되면 수압에 의해 단차부를 개방하여 물을 공급하되 연결관을 통해 물이 역류될 시 작동구가 역류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단차부에 밀착되어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글밸브는 스톱밸브의 일종으로 유체의 입구와 출구의 방향이 직각으로 되어 있어 유체의 흐름을 직각으로 바꿔주는 것이며, 건물의 화장실이나 욕실 및 부엌의 벽체에 매립된 냉,온수관에 설치되어 냉,온수를 수전금구 또는 양변기로 급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앵글밸브는 건물 벽체의 내부를 통해 연결되는 냉,온수관에 앵글밸브의 입구가 나선체결되며, 출구방향에는 세면대 및 싱크대의 수전금구 또는 양변기에 연결되어 일측에 구비된 조작레버를 통해 냉,온수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수전금구 또는 양변기로 급수하거나, 수전금구 또는 양변기의 고장으로 인해 이들을 수리 및 교체하고자 할 때에 상기 조작레버를 조작하여 공급되는 물을 차단시켜 주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앵글밸브의 구조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등록특허 제10-1546573호 '관붙이용 앵글밸브'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앵글밸브의 경우 연결관을 통해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조작레버(500)를 회전시켜 조절밸브(400)로 차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밸브를 잠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나 역류를 즉시 인지할 수 없어 결과적으로 역류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앵글밸브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 등록실용신안 제20-0409455호의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관붙이 앵글밸브'가 제안되었는데 이러한 앵글밸브의 구조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글밸브를 통과한 물이 이의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물의 누수 및 고장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관붙이 앵글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내부에 물흐름구(21)를 갖고, 일측 외부에 상기 물흐름구(21)와 연통되는 토출관(30)을 갖춘 상태에서 선단부가 수도관과 체결되는 밸브몸체(20)와, 상기 밸브몸체(20)의 타측을 통해 물흐름구(21)내에 나선 결합되어 개폐밸브(40)의 조작에 의해 토출관(30)으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차단시켜 주는 차단요소(50)로 이루어진 관분이 앵글밸브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토출관(30)의 내측에 안착시켜 물의 공급시에는 물의 수압에 의해 열려 물이 공급되고, 물의 흐름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역류방지부재(60)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물의 흐름이 차단된 상태에서 수전금구 또는 양변기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의 이물질 또는 양변기의 수조내에 잔존하고 있는 각종 이물질들이 앵글밸브내로 역류에 의해 유입됨을 차단시켜 주고, 물의 누수를 예방할 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관붙이 앵글밸브의 경우 토출관(30)에 단턱을 가공하고 배출공을 갖는 관체를 결합한 후 관체에 연질의 고무재질인 차단판을 관체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제조 단가가 높아지며, 장시간 사용 후 교체에 따른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질의 고무재질인 차단판은 수압에 의해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비교적 얇게 제작되어 이물질에 의해 마모되거나 찢어져 물이 역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조절밸브체가 냉온수관과 수전금구 또는 변기의 연결관을 연결하는 본체에 구비되어 조작레버에 의해 수평 이동되는 조절몸체와 조절몸체의 단부에 삽입되어 조절몸체의 이동과 함께 수평 이동되어 본체에 형성된 단차부에 밀착되어 물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조절몸체에 삽입되어 수압에 의해 단차부를 개방하여 물을 공급하는 작동구로 이루어져 연결관을 통해 물이 역류될 시 작동구가 역류되는 수압에 의해 단차부에 밀착됨으로써 역류를 방지하고, 제작 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시 작동구만 교체하여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어 교체에 따른 추가 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단에 냉온수관 연결부가 형성되고, 측면에 수전금구 또는 변기의 연결관에 연결되는 연결관 결합부가 형성되며, 타단에 밸브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중공의 앵글형 관체인 본체의 상기 밸브 결합부에 구비되어 개폐작동을 통해 수전금구 또는 변기로 공급되는 물을 단속(斷續)하는 조절밸브체에 있어서, 상기 조절밸브체는 상기 밸브 결합부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며 일측에 작동구 삽입홈이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일체로 돌출되며, 조작레버와 결합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조절몸체와; 상기 작동구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수평 이동되어 본체 내부에 형성된 단차부를 개폐하는 작동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머리부의 작동구 삽입홈은 삼각, 사각 또는 육각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작동구는 일단에 상기 단차부와 밀착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작동구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개폐부는 상기 삽입돌기의 끝단에 형성된 원판형의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에서 연장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 고정되는 연질의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밸브체가 냉온수관과 수전금구 또는 변기의 연결관을 연결하는 본체에 구비되어 조작레버에 의해 수평 이동되는 조절몸체와 조절몸체의 단부에 삽입되어 조절몸체의 이동과 함께 수평 이동되어 본체에 형성된 단차부에 밀착되어 물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조절몸체에 삽입되어 수압에 의해 단차부를 개방하여 물을 공급하는 작동구로 이루어져 연결관을 통해 물이 역류될 시 작동구가 역류되는 수압에 의해 단차부에 밀착됨으로써 역류를 방지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 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시 작동구만 교체하여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어 교체에 따른 추가 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관붙이 앵글밸브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의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의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편의상 조작레버(4)를 회전시켜 이에 따라 조절밸브체(200)와 작동구(210)가 물의 공급을 차단하는 이동을 전진, 조작레버(4)를 반대로 회전시켜 이에 따라 조절밸브체(200)와 작동구(210)가 물을 공급하는 이동을 후진이라고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에 냉온수관 연결부(110)가 형성되고, 측면에 수전금구 또는 변기의 연결관(2)에 연결되는 연결관 결합부(120)가 형성되며, 타단에 밸브 결합부(130)가 일체로 형성된 중공의 앵글형 관체인 본체(100)의 상기 밸브 결합부(130)에 구비되어 개폐작동을 통해 수전금구 또는 변기로 공급되는 물을 단속(斷續)하는 조절밸브체(200)에 있어서, 상기 조절밸브체(200)는 상기 밸브 결합부(130)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131)에 체결되며 일측에 작동구 삽입홈(221a)이 형성된 머리부(221)와, 상기 머리부(221)에서 일체로 돌출되며, 조작레버(4)와 결합되는 돌출부(222)로 이루어진 조절몸체(220)와; 상기 작동구 삽입홈(221a)에 삽입된 상태로 수평 이동되어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단차부(100a)를 개폐하는 작동구(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 2에 따르면 상기 본체(100)는 상기 냉온수관 연결부(110)와 밸브 결합부(130) 사이에 지름 차이로 인해 상기 본체(100) 내부에 단차부(100a)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본체(100)는 1회 단조가공을 통해 앵글밸브 본체(100)를 형성함과 동시에 조절밸브체(200)의 개폐작동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단속하는 상기 조절밸브체(200)가 밀착되는 단차부(100a)가 내부 중앙에 형성될 수 있도록 복수의 단을 갖는 내경을 형성한다.
따라서, 벽체(3)에 매립된 냉온수관(1)에 연결되며, 제1내경(D1)을 갖는 냉온수관 연결부(110)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냉온수관 연결부(110)의 제1내경(D1)보다 큰 지름의 제2내경(D2)을 갖는 밸브 결합부(130)가 타측에 형성되어 밸브 결합부(130)에 나사결합된 상기 조절밸브체(200)의 개폐작동을 통해 상기 냉온수관 연결부(110)을 통해 수전금구 또는 변기의 연결관(2)에 연결되도록 본체(100) 둘레 일측에 돌출 형성된 연결관(2)으로 물이 공급되게 된다.
즉, 상기 조절밸브체(200)의 작동구(210)가 수평 이동되어 상기 단차부(100a)에 밀착되고 이탈됨으로써 본체(100)의 냉온수관 연결부(110)를 통해 연결관(2)으로 유입되는 물이 단속되게 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몸체(220)의 머리부(221)는 상기 밸브 결합부(130)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131)에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221b)이 형성되고, 탄성재질의 패킹부재인 오링(O-ring)(227)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오링홈(221c)이 형성되어 오링(227)이 본체(100)의 내벽과 밀착되어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머리부(221)의 일측에는 냉온수관 연결부(110)의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조작레버(4)와 결합되는 돌출부(222)가 형성되며, 조작레버(4)의 중앙에 위치한 톱니형의 홈부(4a)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부(222)의 단부 외주면에 상기 홈부(4a)와 대응되는 톱니형의 돌기(22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222)에는 상기 조작레버(4)를 관통한 나사(5)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222b)이 형성되어 조절몸체(220)와 조작레버(4)가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조작레버(4)를 회전하여 상기 조절몸체(220)가 본체(100) 내부에서 전,후진 작동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작동구(210)는 상기 머리부(221)의 작동구 삽입홈(221a)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에 삽입돌기(211)가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단차부(100a)와 밀착되는 개폐부(21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작동구 삽입홈(221a)은 삼각, 사각 또는 육각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며,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삽입돌기(211)도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작동구 삽입홈(221a)에 삽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212)는 상기 삽입돌기(211)의 끝단에 형성된 원판형의 개폐판(213)과, 상기 개폐판(213)에서 연장되는 고정돌기(214)와, 상기 고정돌기(214)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냉온수관 연결부(110) 방향으로 외경이 확장되는 연질의 패킹부재(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패킹부재(215)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돌기(2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공(215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214)의 단부는 고정공(215a)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억지끼움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215)는 연질의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개폐부(212)는 삽입돌기(211)가 작동구 삽입홈(221a)에 자유 삽입되고, 개폐판(213)의 일면이 조절몸체(220)의 머리부(221)의 일면과 맞닿은 상태로 상기 조절몸체(220)가 전진시 함께 이동되어 패킹부재(215)가 본체(100)의 단차부(100a)에 밀착되고, 조절몸체(220)가 후진시 냉온수관(1)에서 유입된 물의 수압에 의해 후진되어 연결관(2)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구(210)는 상기 조절몸체(220)에 삽입된 상태로 조절몸체(220)에 의해 전진되어 물의 공급을 차단하고, 후진시에는 물의 수압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연결관(2)을 통해 역류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전진되어 단차부(100a)와 밀착되어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구(210)가 후진되어 상기 조절몸체(220)와 밀착될 경우 상기 작동구(210)는 상기 연결관 결합부(12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의 다른 실시예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몸체(220)는 상기 밸브 결합부(130)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131)에 체결되며, 관통공(225a)이 형성된 이동부(225)와, 일측에 상기 조작레버(4)와 결합되는 제1돌출부(224)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관통공(225a)에 삽입되되 작동구 결착홈(226a)이 형성된 제2돌출부(226)가 형성된 고정부(2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작동구(210)의 형태는 상술한 실시예의 형태와 같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225a)은 삼각, 사각 또는 육각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돌출부(226)는 상기 관통공(225a)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이동부(225)가 상기 고정부(228)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224)의 단부는 조작레버(4)의 중앙에 위치한 톱니형의 홈부(4a)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상기 홈부(4a)와 대응되는 톱니형의 돌기(224a)가 형성된다.
또한, 상술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224)에는 상기 조작레버(4)를 관통한 나사(5)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224b)이 형성되어 조절몸체(220)와 조작레버(4)가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밸브체(2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3)에 매립설치된 냉온수관(1)과 수전금구 또는 변기의 연결관(2)을 각각 연결하여 냉온수관(1)으로부터 연결관(2)을 통해 상기 수전금구 또는 변기로 물을 공급하는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 조절밸브체(200)의 개폐작동을 통해 수전금구 또는 변기로 물을 공급 및 차단하게 된다.
이때, 머리부(221)가 본체(100)의 밸브 결합부(130)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131)에 체결되고, 돌출부가 조작레버(4)와 결합된 조절몸체(220)는 조작레버(4)의 회전에 의해 후진되어 상기 조절몸체(220)에 삽입된 작동구(210)는 상기 냉온수관(1)에서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후진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구(210)는 본체(100)의 단차부(100a)에서 이격되어 냉온수관(1)에서 유입된 물을 연결관(2)을 통해 수전금구 또는 변기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관(2)을 통해 물이 역류될 경우 상기 작동구(210)는 역류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전진되어 작동구(210)의 일단에 형성된 개폐부(212)의 패킹부재(215)가 상기 단차부(100a)에 밀착되어 본체(100)로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누수에 의한 밸브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냉온수관 2: 연결관
3: 벽체 4: 조작레버
100: 본체 110: 냉온수관 연결부
120: 연결관 결합부 130: 밸브 결합부
200: 조절 밸브체 210: 작동구
211: 삽입돌기 212: 개폐부
213: 개폐판 241: 고정돌기
215: 패킹부재 220: 조절몸체
221: 머리부 222: 돌출부
224: 제1돌출부 225: 이동부
227: 오링(O-ring) 226: 제2돌출부
228: 고정부

Claims (6)

  1. 일단에 냉온수관 연결부(110)가 형성되고, 측면에 수전금구 또는 변기의 연결관(2)에 연결되는 연결관 결합부(120)가 형성되며, 타단에 밸브 결합부(130)가 일체로 형성된 중공의 앵글형 관체인 본체(100)의 상기 밸브 결합부(130)에 구비되어 개폐작동을 통해 수전금구 또는 변기로 공급되는 물을 단속(斷續)하는 조절밸브체(200)에 있어서,
    상기 조절밸브체(200)는 상기 밸브 결합부(130)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131)에 체결되며 일측에 작동구 삽입홈(221a)이 형성된 머리부(221)와, 상기 머리부(221)에서 일체로 돌출되며, 조작레버(4)와 결합되는 돌출부(222)로 이루어진 조절몸체(220)와, 상기 작동구 삽입홈(221a)에 삽입된 상태로 수평 이동되어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단차부(100a)를 개폐하는 작동구(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머리부(221)의 작동구 삽입홈(221a)은 삼각, 사각 또는 육각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작동구(210)는 일단에 상기 단차부(100a)와 밀착되는 개폐부(212)와 상기 개폐부(212)에서 돌출되며, 상기 작동구 삽입홈(221a)에 자유 삽입되는 삽입돌기(211)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부(212)는 상기 연결관 결합부(120)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삽입돌기(211)의 끝단에 형성된 원판형의 개폐판(213)과, 상기 개폐판(213)의 중앙부에서 연장되는 고정돌기(214)와, 중앙부에 상기 고정돌기(214)가 끼워지는 고정공(215a)이 형성되고, 상기 냉온수관 연결부(110) 방향으로 외경이 확장되는 연질의 패킹부재(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냉온수관 연결부(110)와 밸브 결합부(130) 사이에 지름 차이로 인해 상기 본체(100) 내부에 단차부(100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몸체(220)의 머리부(221)에는 하나 이상의 오링홈(221c)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홈(221c)에는 오링(227)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02440A 2016-01-08 2016-01-08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 KR101807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440A KR101807384B1 (ko) 2016-01-08 2016-01-08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440A KR101807384B1 (ko) 2016-01-08 2016-01-08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234A KR20170083234A (ko) 2017-07-18
KR101807384B1 true KR101807384B1 (ko) 2017-12-08

Family

ID=59430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440A KR101807384B1 (ko) 2016-01-08 2016-01-08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3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155B1 (ko) * 2018-11-09 2019-02-19 허강수 밸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앵글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60138B (zh) * 2018-10-05 2019-05-21 陳瑞泓 一字凡爾結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155B1 (ko) * 2018-11-09 2019-02-19 허강수 밸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앵글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234A (ko)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1418B1 (en) Water flow control device
US20150000769A1 (en) Anti-shake flow-limiting cutoff valve
KR101807384B1 (ko) 관붙이 앵글밸브용 조절밸브체
US6554018B1 (en) Water closet flushing system
GB2537611A (en) A drain valve and drain valve insert
US10233623B2 (en) Automatic leak-proof water inlet device for a water tank
US20180372242A1 (en) Fluid Control
US5915741A (en) Faucet cartridge puller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101753280B1 (ko) 관붙이 앵글밸브
KR101546573B1 (ko) 관붙이용 앵글밸브
US6923426B1 (en) Relief valve for use in a diaphragm flush valve
CN109654277B (zh) 带流调节功能按压阀芯
JP2011149179A (ja) ボールタップ装置
US7168450B2 (en) Valve adapter
JP2005140182A (ja) 逆止機能付き止水栓
JP2008075749A (ja) 止水栓
WO2007145445A1 (en) Angle valve cap having bidet connection distribution hole
KR20140076906A (ko) 친환경 일체형 연결 아답터
JPS636288Y2 (ko)
JP7185216B2 (ja) 圧抜き機構付き栓
JP3116869U (ja) 出水スイッチの止水弁
KR200418869Y1 (ko) 수도꼭지
CN208503564U (zh) 一种双控三通快开角阀
JP2001165378A (ja) 水栓ジョイントボックス
CN108374465B (zh) 一种多路供水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