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976B1 - 냉장고의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976B1
KR101806976B1 KR1020160062209A KR20160062209A KR101806976B1 KR 101806976 B1 KR101806976 B1 KR 101806976B1 KR 1020160062209 A KR1020160062209 A KR 1020160062209A KR 20160062209 A KR20160062209 A KR 20160062209A KR 101806976 B1 KR101806976 B1 KR 101806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block
door panel
mold
base portion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1055A (ko
Inventor
김철희
곽명호
Original Assignee
김철희
곽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희, 곽명호 filed Critical 김철희
Priority to KR1020160062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976B1/ko
Publication of KR20170131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76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6Moulds or cores
    • B29C39/34Moulds or cores for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2Household appliances
    • B29L2031/7622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판넬의 요홈부를 성형하는 2개의 코어블록들이 원상복귀시 상호 간섭하도록 구성함으로써 2개의 코어블록들 중 어느 하나의 코어블록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더라도 원상복귀가 용이한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의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은 언더컷 형상의 요홈부가 형성된 냉장고 도어판넬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있어서, 상기 도어판넬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몸체와, 금형몸체의 가장자리측에 설치되어 상기 요홈부를 성형하기 위해 상기 요홈부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금형몸체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코어블록 및 외측코어블록과, 내측코어블록과 상기 외측코어블록을 간섭시키기 위한 간섭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mold for forming door panel of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판넬의 요홈부를 성형하는 2개의 코어블록들이 원상복귀시 상호 간섭하도록 구성함으로써 2개의 코어블록들 중 어느 하나의 코어블록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더라도 원상복귀가 용이한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된 식품류를 저온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식품류를 수납하기 위한 본체와 본체 내부에 수납된 식품류를 저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계부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는 냉장실 및 냉동실과 같은 수납 공간을 가지는 캐비넷과 이 캐비넷에 형성된 수납 공간, 즉 냉장실 및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가지며, 기계부는 통상의 냉매 사이클로 이루어져 있다.
냉장고의 구성요소 중 도어는 외판, 도어판넬, 단열재,가스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외판은 통상 강판을 사용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도료를 고온으로 열처리 도장한다. 도어판넬은 내충격성 스티롤 수지 또는 ABS수지를 진공 성형하여 만든다. 단열재는 통상 폴리우레탄 수지를 발포 성형하는 것에 의해 외판과 도어판넬 사이에 충전된다.
가스켓은 냉장고 몸체와 도어의 밀착부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스켓(5)은 도어판넬(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요홈부(3)에 삽입부(7)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요홈부(3)는 가스켓(5)의 삽입부(7)가 분리되지 않도록 입구가 좁은 언더컷(undercut) 형상을 가진다.
종래의 기술에 의해 도어판넬을 진공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요부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은 도어판넬(1)의 몸체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몸체(10)와, 가스켓이 삽입되는 요홈부(3)를 성형하기 위한 2개의 코어블록(11)(15)으로 구성된다.
금형몸체(10)는 도어판넬을 성형할 수 있도록 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코어블록(11)(15)은 냉장고 도어판넬의 가장자리에 가스켓이 삽입되는 요홈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금형몸체(10)의 가장자리측에 설치된다.
2개의 코어블록(11)(15)은 요홈부를 성형하는 캐비티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내측코어블록(11)과 외측코어블록(15)으로 구분된다. 언더컷 형상을 갖는 요홈부(3)의 구조상 내측코어블록(11)과 외측코어블록(15)의 상부에는 돌출되게 마련된 언더컷부(14)(1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코어블록(11)(15)은 금형몸체(10)에 힌지축(13)(17)으로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도어판넬(10)의 요홈부(3)를 캐비티로부터 취출시 2개의 코어블록(11)(15)은 요홈부(3)와 접촉하면서 상방으로 회전하고, 요홈부(3)의 취출이 완료되면 코어블록(11)(15)은 자중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금형은 2개의 코어블록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언더컷 형상의 요홈부를 취출하기가 용이하다. 하지만 종래의 금형은 2개의 코어블록이 서로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므로 이물질 등에 의해 어느 하나의 코어블록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요홈부의 추출이 완료된 후 코어블록의 원상복귀가 어려워져 제품의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 20-2010-0009475호: 냉장고 도어판넬의 가스켓 코너 삽입부의 언더컷 형성이 가능한 진공성형장치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01197호: 언더컷 취출이 가능한 냉장고 도어 백 성형용 금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도어판넬의 요홈부를 성형하는 2개의 코어블록들이 원상복귀시 상호 간섭하도록 구성함으로써 2개의 코어블록들 중 어느 하나의 코어블록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더라도 원상복귀가 용이한 냉장고의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의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은 언더컷 형상의 요홈부가 형성된 냉장고 도어판넬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있어서, 상기 도어판넬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몸체와; 상기 금형몸체의 가장자리측에 설치되어 상기 요홈부를 성형하기 위해 상기 요홈부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금형몸체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코어블록 및 외측코어블록과; 상기 내측코어블록과 상기 외측코어블록을 간섭시키기 위한 간섭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간섭수단은 상기 내측코어블록과 상기 외측코어블록중 어느 하나가 원상복귀될 때 다른 하나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측코어블록은 제 1힌지축에 의해 상기 금형몸체에 힌지결합되는 제 1베이스부와, 상기 요홈부 일측에 언더컷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1베이스부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 1언더컷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측코어블록은 상기 캐비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베이스부와 마주하며 제 2힌지축에 의해 상기 금형몸체에 힌지결합되는 제 2베이스부와, 상기 요홈부 타측에 언더컷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2베이스부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 2언더컷부를 구비하고, 상기 간섭수단은 상기 제 1베이스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베이스부의 방향으로 돌출된 간섭돌기부와, 상기 제 2베이스부의 하부에 인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간섭돌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인입홈부와, 상기 인입홈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베이스부에 형성되어 상기 간섭돌기부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턱부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판넬의 요홈부를 성형하는 2개의 코어블록들이 원상복귀시 상호 간섭하도록 구성함으로써 2개의 코어블록들 중 어느 하나의 코어블록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더라도 원상복귀가 용이하다. 따라서 제품의 성형불량 발생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도 1은 냉장고의 도어판넬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습이고,
도 2는 도어판넬에 가스켓이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모습이고,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작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은 언더컷 형상의 요홈부(3)가 형성된 냉장고 도어판넬(1)을 성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은 진공성형장치에 적용되는 금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은 크게 금형몸체(10)와, 내측코어블록(20) 및 외측코어블록(40)과, 간섭수단을 구비한다.
금형몸체(10)는 도어판넬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성형하고자 하는 도어판넬(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금형몸체(10)는 통상적인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내측코어블록(20) 및 외측코어블록(40)은 도어판넬(1)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요홈부(3)를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금형몸체(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내측코어블록(20) 및 외측코어블록(40)은 가스켓(미도시)의 삽입부가 삽입되는 요홈부(3)를 성형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한다. 내측코어블록(20)과 외측코어블록(40) 사이에는 요홈부(3)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티가 형성된다.
성형 후 언더컷 형상의 요홈부(3)가 취출될 수 있도록 내측코어블록(20) 및 외측코어블록(40)은 금형몸체(10)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시된 내측코어블록(20)은 제 1힌지축(25)에 의해 금형몸체(10)에 힌지결합되는 제 1베이스부(21)와, 제 1베이스부(21)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 1언더컷부(23)를 구비한다.
제 1베이스부(21)의 일측은 요홈부(3)의 일측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1베이스부(21)는 제 1힌지축(10)에 의해 금형몸체(10)에 힌지결합된다.
제 1언더컷부(23)는 요홈부(3) 일측에 언더컷을 형성하기 위해 제 1베이스부(21)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어판넬(1)의 성형 후 요홈부(3)의 취출이 완료되면 내측코어블록(20)이 자중에 의해 제 1힌지축(25)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내측코어블록(20)이 자중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내측코어블록(20)의 무게중심은 제 1힌지축(25)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외측코어블록(40) 방향으로 편심되게 위치한다. 따라서 제 1힌지축(25)은 제 1베이스부(21)에 편심되게 결합된다.
도시된 외측코어블록(40)은 제 2힌지축(45)에 의해 금형몸체(10)에 힌지결합되는 제 2베이스부(41)와, 제 2베이스부(41)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 2언더컷부(43)를 구비한다.
제 2베이스부(41)의 일측은 요홈부(3)의 일측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2베이스부(41)는 제 2힌지축(45)에 의해 금형몸체(10)에 힌지결합된다.
제 2언더컷부(43)는 요홈부(3) 타측에 언더컷을 형성하기 위해 제 2베이스부(41)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어판넬(1)의 성형 후 요홈부(3)의 취출이 완료되면 외측코어블록(40)이 자중에 의해 제 2힌지축(45)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외측코어블록(40)이 자중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외측코어블록(40)의 무게중심은 제 2힌지축(45)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내측코어블록(20) 방향으로 편심되게 위치한다. 따라서 제 2힌지축(45)은 제 2베이스부(41)에 편심되게 결합된다.
간섭수단은 내측코어블록(20)과 외측코어블록(40)의 회전시 내측코어블록(20)과 외측코어블록(40)을 서로 간섭시키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2개의 코어블록이 서로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는데 반해 본 발명은 2개의 코어블록이 작동시 서로 간섭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코어블록을 상하로 회전시키게 되면 나머지 다른 하나의 코어블록이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간섭수단의 일 예로 내측코어블록(20)과 외측코어블록(40)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할 때 다른 하나와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외측코어블록(40)이 회전할 때 외측코어블록(40)의 일부가 내측코어블록(20)과 접촉할 수 있다.
도시된 간섭수단은 일 예로 제 1베이스부(21)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 2베이스부(41)의 방향으로 돌출된 간섭돌기부(27)와, 제 2베이스부(41)의 하부에 인입되게 형성되어 간섭돌기부(27)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인입홈부(47)와, 인입홈부(47)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 2베이스부(41)에 형성되어 간섭돌기부(27)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턱부(49)를 구비한다.
간섭돌기부(27)는 제 1베이스부(21)의 하부에 형성되고, 인입홈부(47)는 제 2베이스부(41)의 하부에 형성된다. 제 1베이스부(21)와 인입홈부(47)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 1베이스부(21)에서 제 2베이스부(41)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간섭돌기부(27)는 인입홈부(47)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내측코어블록(20)과 외측코어블록(40)이 원상복귀된 상태에서는 안착턱부(49)가 간섭돌기부(27)의 상부에 놓인다. 따라서 안착턱부(49)가 간섭돌기부(27)에 포개지는 형태를 이룬다. 안착턱부(49)의 단부는 제 1베이스부(21)와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외측코어블록(40)의 안착턱부(49)가 내측코어블록(20)의 간섭돌기부(27)의 상부에 포개져 있으므로 외측코어블록(40)과 내측코어블록(20)은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 상호 간섭된다. 이러한 간섭수단에 의해 내측코어블록(20)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더라도 원상복귀가 용이하다.
냉장고 도어판넬(41)의 성형이 완료되면 금형과 상부커버(미도시) 사이의 진공 상태를 해제한 다음 상부커버를 열고 성형 완료된 냉장고 도어판넬을 금형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내측 및 외측코어블럭(20)(40)이 요홈부(3)의 언더컷 부분에 걸려 있기 때문에 내측 및 외측 코어블록은 힌지축(25)(45)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한다.
요홈부(3)의 취출이 완료되면 내측 및 외측코어블럭(20)(40)은 자중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되며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내측코어블록(20)의 제 1힌지축(25)에 이물질이 끼어 내측코어블록(20)의 자중만으로 원상복귀가 되지 않더라도 외측코어블록(40)의 원상복귀시 안착턱부(49)가 간섭돌기부(27)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외측코어블록(40)의 자중이 내측코어블록(20)에 가해지면서 내측코어블록(20)이 원상복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도어판넬 3:요홈부
10: 금형몸체 20: 내측코어블록
21: 제 1베이스부 23: 제 1언더컷부
25: 제 1힌지축 27: 간섭돌기부
40: 외측코어블록 41: 제 2베이스부
43: 제 2언더컷부 45: 제 2힌지축
49: 안착턱부

Claims (3)

  1. 언더컷 형상의 요홈부가 형성된 냉장고 도어판넬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있어서,
    상기 도어판넬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몸체와;
    상기 금형몸체의 가장자리측에 설치되어 상기 요홈부를 성형하기 위해 상기 요홈부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금형몸체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코어블록 및 외측코어블록과;
    상기 내측코어블록과 상기 외측코어블록을 간섭시키기 위한 간섭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간섭수단은 상기 외측코어블록이 원상복귀될 때 상기 내측코어블록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측코어블록은 제 1힌지축에 의해 상기 금형몸체에 힌지결합되는 제 1베이스부와, 상기 요홈부 일측에 언더컷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1베이스부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 1언더컷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측코어블록은 상기 캐비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베이스부와 마주하며 제 2힌지축에 의해 상기 금형몸체에 힌지결합되는 제 2베이스부와, 상기 요홈부 타측에 언더컷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2베이스부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 2언더컷부를 구비하고,
    상기 간섭수단은 상기 제 1베이스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베이스부의 방향으로 돌출된 간섭돌기부와, 상기 제 2베이스부의 하부에 인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간섭돌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인입홈부와, 상기 인입홈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베이스부에 형성되어 상기 간섭돌기부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
  2. 삭제
  3. 삭제
KR1020160062209A 2016-05-20 2016-05-20 냉장고의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 KR101806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209A KR101806976B1 (ko) 2016-05-20 2016-05-20 냉장고의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209A KR101806976B1 (ko) 2016-05-20 2016-05-20 냉장고의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055A KR20170131055A (ko) 2017-11-29
KR101806976B1 true KR101806976B1 (ko) 2017-12-08

Family

ID=60812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209A KR101806976B1 (ko) 2016-05-20 2016-05-20 냉장고의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9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207B1 (ko) 2013-04-09 2014-03-17 에이테크솔루션(주) 힌지 타입 언더컷취출부가 구비된 냉장고 내상 진공성형용 금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207B1 (ko) 2013-04-09 2014-03-17 에이테크솔루션(주) 힌지 타입 언더컷취출부가 구비된 냉장고 내상 진공성형용 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055A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7785B2 (en) Refrigerator
US9970703B2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639534B1 (en) Heated rotating mullion ba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id bar.
EP2730870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ner door thereof
EP3190367B1 (en) Refrigerator
EP3537073B1 (en) Refrigerator
US20160290702A1 (en) Chest with access doors
CN107218764A (zh) 冰箱
US10697693B2 (en) Refrigerator
CA2882436C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78663B1 (ko) 냉기누설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
EP2977695A1 (en) Refrigerator
KR101806976B1 (ko) 냉장고의 도어판넬 성형용 금형
KR101975825B1 (ko) 냉장고 도어 발포 성형 지그
KR20060098061A (ko) 냉장고용 캐비닛의 외판 지지용 가변 형 발포 성형지그
KR101176962B1 (ko) 냉장고
JP2007120800A (ja) 冷蔵庫の扉装置
JP2003014369A (ja) 冷蔵庫の扉構造
KR200337334Y1 (ko) 언더컷 취출부를 가지는 냉장고 도어 백 성형용 금형
EP2717003B1 (en) Door-closure structure for rotary type refrigerator door and side-by-side refrigerator having it
CN105444500A (zh) 门体结构及具有该门体结构的冰箱
US9470450B2 (en) Refrigerator having curved door edg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00191B1 (ko) 냉장고
KR102384024B1 (ko) 냉장기기 제조방법
KR20140019568A (ko) 냉장고용 홈바 도어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