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799B1 - 쿨링 효과를 가지고 눈꽃입자로 분사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쿨링 효과를 가지고 눈꽃입자로 분사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799B1
KR101806799B1 KR1020150150215A KR20150150215A KR101806799B1 KR 101806799 B1 KR101806799 B1 KR 101806799B1 KR 1020150150215 A KR1020150150215 A KR 1020150150215A KR 20150150215 A KR20150150215 A KR 20150150215A KR 101806799 B1 KR101806799 B1 KR 101806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agent
cosmetic composition
aci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9757A (ko
Inventor
김선영
박천호
김연준
김형준
이정임
안소연
안지아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0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7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49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원액 및 에어로졸 분사제를 포함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원액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알코올 성분, 소프(soap) 성분, 및 파우더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피부에 도포 시 즉각적인 쿨링 효과를 가질뿐만 아니라, 원액 내 분사제 주입 시 형성되는 피커링 에멀젼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쿨링감이 느껴지는 눈꽃 입자로 분사되며, 유기자외선차단제를 적용하여 고자외선 차단효과를 가지며 백탁 없이 투명하고 끈적임 없는 사용감으로 사용성에 있어서도 좋은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쿨링 효과를 가지고 눈꽃입자로 분사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Spray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s spraying out like snowflakes with cooling effect}
본 발명은 스프레이제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유기자외선차단제와 소프(soap), 파우더를 함유하는 제형으로 분사제 주입 후 일시적인 피커링 에멀젼이 형성되어 분사 시 실제 쿨링 효과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쿨링감이 느껴지는 눈꽃 입자로 분사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제품들은 대부분 무지자외선차단제나 유기자외선차단제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를 고르게 분산시키거나 유화하여 로션이나 크림제형으로 만든 제품들이 대부분이다. 또한 내용물에 분사제를 주입하여 분사 시 가스에 의해 스프레이로 분사되는 에어로졸 제품이 있다.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 제품들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스프레이와 무스 타입 제품이다. 스프레이 타입은 높은 분사제 함량으로 주입된 가스에 의하여 로션 또는 액제의 내용물이 미세하고 고르게 분사되는 제형이다. 무스 타입은 거품을 형성할 수 있는 소프(soap) 등이 함유되고 스프레이에 비하여 낮은 분사제 함량으로 분사 시 무스와 같은 거품으로 분사되는 제형이다. 또한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제품에 여러 가지 어플리케이터를 적용하여 파스 타입, 퍼프 부착 타입 등으로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에어로졸 제품들은 부자재가 다양하게 적용되는 반면 내용물에 대한 특이성은 부족한 실정이다.
KR 10-2013-0048886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품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바는 넓은 부위에 고르게 분사되어 발리고 유기자외선차단제를 이용하여 백탁현상 없이 투명하게 발리며 분사제에 의한 실제 쿨링 효과 뿐만 아니라 분사 시 종례에 없던 특이 성상인 눈꽃 입자로 분사되어 시각적인 쿨링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원액 및 에어로졸 분사제를 포함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원액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알코올 성분, 소프(soap) 성분, 및 파우더 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분사시 실제 피부상의 쿨링 효과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쿨링감이 느껴지는 눈꽃입자의 형태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피부상의 쿨링 효과란 피부 온도가 감소하는 효과를 의미하며(도 5 참조), 눈꽃입자의 형태란 종래 스프레이나 무스형태와 달리 0.5 내지 5 mm 입자 크기를 갖는 눈꽃과 같은 형태를 의미한다(도 3, 4 참조). 본 발명은 에어로졸 분사제 및 알코올 성분으로 인해 실제 피부상에 쿨링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소프 성분 및 파우더 입자에 의해 분사 시 종례에 없던 특이 성상인 눈꽃 입자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시각적인 눈꽃 입자의 형태는 실제 쿨링효과에 더해져서 수요자에게 마치 피부에 눈이 내린 것과 같은 느낌을 주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종래 썬 스프레이에 사용되던 어떤 유기 자외선 차단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호모살레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옥토크릴렌,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4-메칠벤질리덴캠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와 달리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스프레이의 노즐을 막히게 하거나 피부에 분사시 백탁현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성분은 화장품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어떤 알코올도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변성 에탄올(변성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알코올 성분은 피부에 쿨링감을 줄뿐만 아니라, 분사시 공중에서 빠른 상변화로 인해 눈꽃 입자의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프(soap)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에 거품을 형성할 수 있는 어떤 소프 성분도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라우릭애씨드, 미리스틱애씨드, 팔미틱애씨드, 스테아릭애씨드, 베헤닉애씨드, 이소스테아릭애씨드, 올레익애씨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지방산과,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소듐하이드록사이드, 트리에탄올아민, 아미노메칠프로판디올, 트로메타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중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종래 화장료에서 색소나 자외선 차단제의 분산을 위해 사용되던 계면활성제와는 구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입자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어떤 파우더 입자도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변성 실리카, 실리카실릴레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틴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친수성 무기 파우더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소수성의 유기 고분자 파우더보다는 친수성의 무기 파우더를 사용하는 경우 수상에 분산이 더 잘되어 shaking에 의해 균질한 one phase gel이 형성이 더 잘되고, 분사 시 더욱 미세한 입자의 눈꽃 성상으로 분사될 수 있게 해준다 (도 2 참조). 상기 파우더 입자는 가스와 화장료 조성물의 혼합 시 피커링 에멀젼(pickering emulsion)의 형성을 유발시켜 (도 1 참조) 분사 시 종례에 없던 특이 눈꽃 입자로 분사되게 만들어 준다 (도 3, 4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는 스프레이형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어떤 에어로졸 분사제도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프로판, n-부탄, 이소부탄, 디메틸에테르, 이산화탄소 및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유기 자외선 차단제 5 내지 50 중량%; 에탄올 성분 1내지 50 중량%; 지방산과 중화제에 의한 소프(soap) 성분 1 내지 30 중량%; 파우더 1 내지 30 중량%; 및 에어로졸 분사제 10~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알코올 성분, 소프(soap) 성분, 및 파우더를 함유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제형에 분사제를 주입하면 가스와 내용물이 혼합되면서 소프(soap) 성분과 파우더 입자에 의하여 일시적인 피커링 에멀젼(pickering emulsion)이 형성되고 이는 분사 시 종례에 없던 특이 눈꽃 입자로 분사된다. 피커링 에멀젼(pickering emulsion)이란 유화제 대신에 고체입자를 사용하여 에멀젼을 형성하거나 에멀젼을 안정화시키는 신기술이다. 본 발명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면서 자외선B 차단지수가 SPF50 이상이고, 자외선A 차단등급이 PA+++ 이상이며 분사 시 특이 눈꽃 성상으로 분사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유기 자외선 차단제 5 내지 50 중량%; 에탄올 성분 1내지 50 중량%; 지방산과 중화제에 의한 soap 성분 1내지 30 중량%; 파우더 입자 1내지 30 중량%; 및 에어로졸 분사제 10~90 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B 차단지수가 SPF50 이상이고, 자외선A 차단등급이 PA+++ 이상인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지 자외선 차단제로서 적용된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5-5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며, 이는 5 중량% 미만에서는 높은 자외선차단지수를 기대할 수 없으며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감과 피부 안전성이 나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에탄올은 사용감개선, 쿨링감, 분사력 및 원료의 용해도를 높여줄 수 있으며, 특히 soap의 용해도를 향상시키고 내용물의 분사력을 향상시켜 미세하고 균일한 눈꽃 입자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에탄올이 1-5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며, 이는 1 중량% 미만에서는 쿨링감과 용해도 개선을 기대할수 없으며 6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안전성과 취가 나빠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지방산과 중화제에 의한 soap 성분은 눈꽃 입자를 형성하는 것에 주요 역할을 한다. 지방산과 중화제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원료들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 지방산은 라우릭애씨드, 미리스틱애씨드, 팔미틱애씨드, 스테아릭애씨드, 베헤닉애씨드, 이소스테아릭애씨드, 올레익애씨드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 할 수 있다. 중화제는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소듐하이드록사이드, 트리에탄올아민, 아미노메칠프로판디올, 트로메타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지방산과 중화제에 의한 soap 성분이 1-3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며, 이는 1 중량% 미만에서는 눈꽃 입자 형성을 기대할 수 없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사양상과 사용감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파우더는 분사제 주입 후 눈꽃 입자를 형성하는 것에 주요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실리카, 변성 실리카, 실리카실릴레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틴옥사이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파우더 성분이 1-3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며, 이는 1 중량% 미만에서는 눈꽃 입자 형성을 기대할 수 없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감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피부에 도포시에 백탁 현상을 없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실리카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로서 에어로졸 용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액화가스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프로판, n-부탄, 이소부탄, 디메틸에테르, 이산화탄소 및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사제의 사용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9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60중량% 이다. 이는 10 중량% 미만에서는 분사력이 떨어지며, 9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분사압이 커서 동상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임의적으로 기본적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임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성분들, 예를 들어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EDTA), 보습제, 유화제, 향료, 방부제, 색소 등과 같이 자외선 차단제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도 항산화제, 피부컨디셔닝성분, 피부보호성분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공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B 차단지수가 SPF 50이상이고, 자외선A 차단등급이 PA+++ 이상을 유지하면서 내용물과 가스가 혼합되어 일시적인 피커링 에멀젼이 만들어지고 이는 종례에 없던 특이 성상인 눈꽃 입자로 분사되어 실제 쿨링 효과와 더불어 시각적인 쿨링감이 추가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가스 주입 시 형성되는 피커링 에멀젼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파우더의 종류에 따른 피커링 에멀젼의 형성 정도를 시험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공중에 분사 시 형성되는 눈꽃 입자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분사후 양상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쿨링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실시예 1은 본 발명의 눈꽃분사 자외선차단 스프레이를 제조하였고, 비교예 1은 종래의 자외선차단 스프레이를 제조하였고 비교예 2는종래의 자외선차단 무스를 제조하였다. 단위는 중량%이며 사용된 성분들 중 옥토크릴렌, 호모살레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는 디에스엠사로부터,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는 바스프사로부터, 글리세릴올리에이트시트레이트는 심라이즈사로부터, 스테아릭애씨드는 애씨드켐사로부터, 트리에탄올아민, 아미노메칠프로판올은 다우케미칼사로부터, 실리카는 에보닉사와 케이에스펄사로부터, 변성알코올은 한국알콜사로부터 그리고 분사제는 대륙제관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분사제 40.000 70.000 10.000
정제수 34.242 21.249 62.163
트리에탄올아민 0.156 - 0.234
디소듐이디티에이 0.012 0.006 0.018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4.200 2.100 6.300
옥토크릴렌 1.200 0.600 1.800
호모살레이트 2.400 1.200 3.60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2.700 1.350 4.050
글리세릴올리에이트시트레이트 0.720 0.360 1.080
스테아릭애씨드 0.900 - 1.350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0.900 0.450 1.350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2.100 1.050 3.150
아미노메칠프로판올 0.840 0.420 1.260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2.100 1.050 3.150
방부제 0.330 0.165 0.495
변성알코올 6.000 - -
실리카 1.200 - -
상기 표 1에 나타난 조성 비율로, 유기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한 유상 성분을 80℃까지 가온하여 용해시켜 동일상으로 만든 후 가온한 정제수와 수상 성분에 투입하여 유화시켜 준다. 실리카, 변성알코올과 방부제는 냉각 후 별도 첨가하여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한 원액을 알루미늄캔에 원액:LPG(부탄 100 wt%)=60:40 wt%로 담고 밸브를 캡핑한 후에 분사제를 주입하고 흔들어 눈꽃으로 분사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차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원액에 분사제를 주입하여 흔들면 원액의 성상이 변화되면서 일시적인 피커링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파우더의 종류에 따른 피커링 에멀젼의 형성 정도를 시험하기 위해, 소수성 유기 폴리머 파우더인 SUNPMMA (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와 친수성 무기 파우더인 Silica L-51 (실리카), AEROSIL 200 (변성 실리카)를 사용하여 비교한 결과,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소수성 유기 폴리머 파우더의 경우에는 가스와 내용물이 잘 섞이지 못하였으나, 친수성 무기 파우더에는 가스와 내용물이 잘 섞이어 one phase gel을 형성하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눈꽃 선 스프레이는 공중에 분사 시에 시각적으로 독특한 눈꽃 입자를 형성한다. 반면, 비교예 1은 종래의 스프레이형 자외선차단제로 분사 시 일반적인 미스트 타입의 스프레이로 분사되며 비교예 2는 종래의 무스형 자외선차단제로 분사 시 일반적인 거품 타입의 무스로 분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눈꽃 선 스프레이는 손등에 분사시 마치 손등에 고운 눈이 내려앉은 것과 같은 모습을 보여주나, 비교예 1과 비교예 2는 일반적인 스프레이 미스트와 무스 거품의 모습을 보여준다.
[시험예 1. 쿨링효과]
실시예 1에 따라 만들어진 자외선차단제 조성물의 피부 도포 시 즉각적인 피부 온도 감소 효과를 통하여 쿨링 효과에 대해 시험하였다. 쿨링 효과는 시험 부위를 세정하고 항온 항습실에서 20분 정도 안정을 취한 다음, 피부 온도 변화가 일정한지 체크한 후 팔 하박 내측에 제품을 도포하고 도포전과 도포 직후의 온도를 적외선 온도계로 측정(3회/인)한다. 측정에 사용한 사용기기는 적외선 온도계 AR350이다. 쿨링 효과는 4회 실험치의 평균값으로 정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도포 직 후 약 -9.6 %의 온도변화율을 갖으며 3.2℃의 피부 온도 감소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눈꽃 선 스프레이는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쿨링감 뿐만 아니라 실제 피부에 도포시에도 즉각적인 쿨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시험예 2. 자외선차단지수(SPF) 측정, 자외선A 차단등급(PA)측정]
실시예 1에 따라 만들어진 자외선차단제 조성물의 자외선차단효과를 대해 시험하였다. 식약청 고시 '기능성 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중 '자외선 차단 기능성 시험법'에 따라 자외선 차단 지수는 투명 플라스틱 테이프(Transpore Tape ; 3M, USA)를 준비된 캐스트(cast)에 부착시킨 후 화장료 조성물을 시료 2mg/cm2로 도포 한 후, UV 측정기(SPF 290 Analyzer)로 자외선 차단 효과를 측정하였고, 자외선A 차단 등급 PA의 측정은 광원으로 300W xenon arc lamp가 장착된 인공자외선 방출기 Multi-port Solar simulator 601-300W(Solar Light사, 미국)를 사용하였고, 3D UV meter (Solar Light사, 미국)를 이용하여 광세기를 측정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2 조성물에 대한 자외선 차단지수 SPF와 자외선A 차단 등급 PA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자외선 차단지수는 3회 실험치의 평균값으로 정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SPF 53.4±±2.7 52.5±±2.3 52.6±±2.4
PA +++ +++ +++
상기의 표 2에 나타난 값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눈꽃 선 스프레이는 자외선B 차단지수가 SPF50 이상이고, 자외선A 차단등급이 PA+++ 이상을 만족하였다.

Claims (8)

  1.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원액 및 에어로졸 분사제를 포함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원액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에탄올 성분, 소프(soap) 성분 및 파우더 입자를 함유하고,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유기 자외선 차단제 5 내지 50 중량%; 에탄올 성분 1내지 50 중량%; 지방산과 중화제에 의한 소프(soap) 성분 1 내지 30 중량%; 파우더 1 내지 30 중량%; 및 에어로졸 분사제 10~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분사시 실제 피부상의 쿨링 효과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쿨링감이 느껴지는 눈꽃입자의 형태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호모살레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옥토크릴렌,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4-메칠벤질리덴캠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성분은 에탄올 또는 변성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soap) 성분은 라우릭애씨드, 미리스틱애씨드, 팔미틱애씨드, 스테아릭애씨드, 베헤닉애씨드, 이소스테아릭애씨드, 올레익애씨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지방산과,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소듐하이드록사이드, 트리에탄올아민, 아미노메칠프로판디올, 트로메타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중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입자는 실리카, 변성 실리카, 실리카실릴레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틴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친수성 무기 파우더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는 프로판, n-부탄, 이소부탄, 디메틸에테르, 이산화탄소 및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KR1020150150215A 2015-10-28 2015-10-28 쿨링 효과를 가지고 눈꽃입자로 분사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6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215A KR101806799B1 (ko) 2015-10-28 2015-10-28 쿨링 효과를 가지고 눈꽃입자로 분사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215A KR101806799B1 (ko) 2015-10-28 2015-10-28 쿨링 효과를 가지고 눈꽃입자로 분사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757A KR20170049757A (ko) 2017-05-11
KR101806799B1 true KR101806799B1 (ko) 2017-12-11

Family

ID=5874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215A KR101806799B1 (ko) 2015-10-28 2015-10-28 쿨링 효과를 가지고 눈꽃입자로 분사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7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509A (ko)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지에스켐 직선 분사용 젤 타입의 에어로졸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526B1 (ko) * 2019-01-25 2020-11-05 코스맥스 주식회사 쿨링감을 부여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509A (ko)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지에스켐 직선 분사용 젤 타입의 에어로졸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757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3323B2 (en) Foam skin cream, uses of the foam skin protection cream and a process for its preparation
JP6282849B2 (ja) 乳化型エアゾール組成物
EP1287813A1 (en) Antiperspirant deodorant emulsion
CN101511183A (zh) 气雾洗剂
KR102007800B1 (ko) 무스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P2614815A1 (en) Foamable aerosol composition
JP6389047B2 (ja) 毛髪および肌用化粧料
KR20140055689A (ko) 피부 자극이 저감된 고마쥬 타입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N108289812A (zh) 防晒化妆品
KR102322440B1 (ko) 내수성이 있는 무스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249023B1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6799B1 (ko) 쿨링 효과를 가지고 눈꽃입자로 분사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TW200946141A (en) Foam-shaped skin liniment
JP2010006738A (ja) 発泡性エアゾール組成物
TWI597067B (zh) Spray-type sunscreen cosmetic
JP2018027907A (ja) 油性泡沫性エアゾール組成物
CN111481467A (zh) 赋予冷却效果的用于阻挡紫外线的化妆品组合物
JPH11100308A (ja) クラッキング音を発する化粧料
JP2004217612A (ja) 色変わり化粧料及びクレンジング用セット化粧料
KR101076308B1 (ko) 스프레이형 파운데이션 조성물
KR101831766B1 (ko) 워터-스플래쉬 현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59509A (ko) 직선 분사용 젤 타입의 에어로졸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4442A (ko)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KR101733105B1 (ko) 고경도 투명 폼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MXPA05001186A (es) Composiciones antitranspirantes de aeros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