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540B1 - 다중 입력 다중 출력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입력 다중 출력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540B1
KR101806540B1 KR1020100131066A KR20100131066A KR101806540B1 KR 101806540 B1 KR101806540 B1 KR 101806540B1 KR 1020100131066 A KR1020100131066 A KR 1020100131066A KR 20100131066 A KR20100131066 A KR 20100131066A KR 101806540 B1 KR101806540 B1 KR 101806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signal
signal
pass filter
radio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9497A (ko
Inventor
최병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1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540B1/ko
Publication of KR20120069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신호 제어 방법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소정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안테나로부터 소정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안테나로 수신되는 상기 제1 무선 신호 및 상기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무선 신호 및 상기 제2 무선 신호의 경로를 제어하는 다중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존 신호 없이도 1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2개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입력 다중 출력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WIRELESS SIGNAL CONTROL DEVICE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본 발명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서로 다른 무선 신호가 안테나와 대역 통과 필터를 상호 간 간섭 없이 공유하기 위한 무선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2 X 2 MIMO(IEEE802.11n)를 지원하는 WLAN과 Bluetooth가 결합된 시스템에서 공존 신호(coexcistance signal)의 없이 power divider를 이용하여 안테나를 최적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처리 장치의 최적화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블루투스와 무선랜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안테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발명은 Bluetooth와 WLAN의 단말기에서 안테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두개의 안테나(2.4GHz 대역)를 Bluetooth와 WLNA으로의 Path로 연결하는 스위치switch(217)에 연결하고 Bluetooth와 WLAN의 coexistence 시그널을 이용하여 안테나의 수신 신호를 컨트롤하고 있다. 따라서, Switching에 따라서 WLAN과 Bluetooth는 Diversity receiver로 역할을 하게 되어 수신기의 robust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공존 시그널이 없이는 divisersity receive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은 Bluetooth와 WLAN의 coexistence 신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switching 동작의 구현에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WLAN과 BT가 동시에 사용될 때에는 Antenna를 동시에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IEEE 802.11n에 의하여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를 지원하는 WLAN과 Bluetooth이 결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처리 방법을 최적화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기존 방식의 안테나와 대역 통과 필터(BPF)를 공유함으로써 기존 시스템에 비해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무선 신호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COEXISTENCE SIGNAL 이 없이도 WLAN 또는 BLUETOOTH 의 수신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신호 제어 장치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1 안테나; 소정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 무선 신호 또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2 안테나; 상기 제1 무선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을 처리하는 제1 무선 신호 처리부; 상기 제2 안테나로 수신되는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제1 무선 신호 및 상기 제2 무선 신호의 경로를 제어하는 다중 통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신호 제어 방법은,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소정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안테나로부터 소정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을 처리하는 단계;상기 제2 안테나로 수신되는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제1 무선 신호 및 상기 제2 무선 신호의 경로를 제어하는 다중 통신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MIMO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다른 신호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신호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MIMO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안테나와 대역 통과 필터를 공유함으로써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신호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2X2 MIMO 방식뿐만 아니라, 1X2 SIMO, 2X1 MISO를 지원하는 WLAN과 블루투쓰가 결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도 확장 적용할 수 있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coexistence signal이 없이도 wlan 및 bluetooth 신호의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Bluetooth와 WLAN의 단말기에서 안테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복수 안테나(MULTI ANTENA) 기술을 이용한 무선 신호 송수신 처리 방식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호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WLAN(SISO)와 블루투쓰가 결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존 시그널을 이용하는 경우 신호 경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WLAN(2X2 MIMO)와 블루투쓰가 결합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WLAN(2X2 MIMO)와 블루투쓰가 결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경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2는 복수 안테나(MULTI ANTENA) 기술을 이용한 무선 신호 송수신 처리 방식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의 (a)는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ngle Input Multiple Output, SIMO) 방식에 의해 기지국과 단말기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다. 도 2의 (a)는 단일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복수의 단말기에서 수신하고 있다. 도 2의 (b)는 다중 입력 단일 출력(Multiple Input Single Output, MISO) 방식에 의해 기지국과 단말기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다. 도 2의 (b)는 복수의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단일의 단말기에서 수신하고 있다.
복수의 안테나(multiple antena)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고, multi-path fading effect에 의한 영향을 감쇠시킬 수 있다. IEEE802.11a/b/g는 SISO로 구성되어 데이터 전송률(data rate)의 제약이 있다(최대, 54Mbps). 반면, IEEE802.11n에서는 MIMO(Spatial Division Multiplexing)을 지원하여 데이터 전송률이 확장될 수 있다(2X2 MIMO 최대 300Mbps, 40MHz, 200ns GI).
도 2의 (c) 및 도 2의 (d)는 각각 open loop, closed loop 형태의 멀티 플렉싱(multiplexing)을 이용한 MIMO 방식에서 무선 신호 전송 흐름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신호 제어 장치(100)는, 제1 안테나(31), 제2 안테나(21), 제1 대역 통과 필터(28), 제2 대역 통과 필터(22), 다중 통신 제어부(23), 제1 무선 신호 처리부(28) 및 제2 무선 신호 처리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31)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소정 주파수 대역은, 예컨대, IEEE802.11n 표준 사양을 포함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인 무선 근거리 통신 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일 수 있다.
제2 안테나(21)는 제1 안테나(31)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1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안테나(21)는 제1 무선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갖는 다른 신호로서, 제2 무선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을 할 수 있다. 즉, 제2 안테나(21)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 무선 신호 또는 제2 무선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 처리부(28)는 제1 무선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즉, 제1 무선 신호 처리부(28) 내에서 일정 타이밍별 스위칭을 통하여 제1 무선 신호의 송신(Tx) 또는 수신(Rx)을 처리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 처리부(28)는 무선 신호의 송신(Tx)을 위하여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무선 신호의 수신(Rx)을 위하여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 통신 제어부(23)는 제2 안테나(21)로 하여금 제1 무선 신호 이외에도 제2 무선 신호도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중 통신 제어부(23)는 상기 제2 안테나로 수신되는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제1 무선 신호 및 상기 제2 무선 신호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력 분배기(powe divider)를 구성함으로써 제2 안테나에 수신되는 신호를 제2 무선 신호 처리부(28) 및 제1 무선 신호 처리부(24)로 배분할 수 있다. 즉, 제2 안테나(2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예컨대 -3dB 씩 추출하여 제2 무선 신호 처리부(28) 및 제1 무선 신호 처리부(24)로 전송하는 커플러(coupler) 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무선 신호 처리부(28) 및 제1 무선 신호 처리부(24)로의 신호 분배율은 각각 50% 일수 있으나 분배율의 제한은 없다. 예컨대, 제1 신호(WLAN 신호)의 수신 감도가 약한 지역에 위치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거나 제1 신호(WLAN 신호) 수신에 대한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에는 제1 무선 신호 처리부(28)로의 신호 분배율을 제2 무선 신호 처리부(24)보다 높게할 수 있다.
전력 분배기는, RF 신호 경로에서 일부 신호를 커플링해내는 임의의 수동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접합 전력 분배기, 무손실 전력분배기, 저항성 전력분배기, Wilkinson 전력분배기, 비등분 전력분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통신 제어부(23)는 전력 분배기 이외에도, 소정 공존 신호(Coexistence signal) 및 소정 우선도(priority) 추가 이용하여 제2 대역 통과 필터(22)를 통과하는 무선 신호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분배기를 통하여 제2 안테나(21)로부터제1 무선 신호 또는 제2 무선 신호가 모두 수신되는 도중에도, 타이밍을 조절하여 제1 무선 신호 또는 제2 무선 신호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은 소정의 공존 신호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소정 우선 순위에 따라 제2 안테나(21)를 통과하는 제1 무선 신호 및 제2 무선 신호의 전송 경로가 제어될 수 있다.
제1 대역 통과 필터(28)는 제1 안테나로(31)부터 수신되는 제1 무선 신호의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킬 수 있다.
제2 대역 통과 필터(22)는 제2 안테나(21)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단계(s11)에서,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소정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제1 무선 신호는 WLAN 일 수 있다.
단계(s12)에서, 제2 안테나로부터 소정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제2 무선 신호는 블루투쓰일 수 있다.
단계(s13)에서, 제1 무선 신호의 송신(Tx) 또는 수신(Rx)를 처리한다.
단계(s14)에서, 제2 무선 신호의 송신(Tx) 또는 수신(Rx)를 처리한다.
단계(s15)에서, 제2 안테나로 수신되는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제1 무선 신호 및 상기 제2 무선 신호의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다중 통신을 제어한다. 신호의 추출에 있어서 전력 분배기 또는 커플러가 이용될 수 있다.
도 5은 기존 공존 신호를 이용한 WLAN(2X2 MIMO)와 블루투쓰가 결합된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제어되는 무선 신호의 경로를 나타낸다.
도 5는 WLAN(SISO)와 블루투쓰가 결합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이다. 도 5는 기존 IEEE802.11a/b/g/에 적용된 시스템이고, IEEE802.11n MCS 0~7 SISO WLAN 과 블루투쓰(Bluetooth) 시스템을 결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2X2 MIMO 를 지원하기 위하여, WLAN 송수신을 하는데 있어서 안테나, 대역 통과 필터, 스위치, 저잡음 증폭기, 전력 증폭기가 각각 2개씩 사용되고 있다. 이중, 블루투쓰의 사용을 위하여 안테나2(21), 대역 통과 필터(22)를 공유할 수 있다.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루투쓰의 송수신을 위하여 안테나(21) 및 대역 통과 필터(22)를 사용하고, 공존 신호(coexistence signaling)를 이용하여 WLAN 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위하여 안테나(21) 및 대역 통과 필터(22)를 2X2 MIMO WLAN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2X2 MIMO WLAN 시스템과, 블루투쓰 결합 시스템을 위하여 공존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23)가 이용된다.
표1은 동작 모드에 따른 무선 신호의 경로를 나타낸다.
Operation mode Signal Path Notes
BT WLAN
BT
Tx
WLAN Tx S1 S3 Coexistence 적용
WLAN Rx S1 S3 Coexistence 적용
WLAN Idle S1 X
BT
Rx
WLAN Tx S1 S3 Coexistence 적용
WLAN Rx S1 S3
WLAN Idle S1 X
BT
Idle
WLAN Tx X S2 or s3
WLAN Tx 2x2 X S2 and s3 WLAN MIMO or MISO
WLAN Rx X S2 or s3
WLAN Rx 2x2 x S2 and s3 WLAN MIMO or SIMO
표 1 및 도 5를 참조하면, BT Tx 동작 모드에서는 안테나(21)와 대역 통과 필터(22)를 블루투쓰 시스템과 공유하기 때문에, 블루투쓰의 신호 경로는 s1, WLAN 신호 경로는 s3이 된다. WLAN Idle 모드에서는 블루투쓰 신호만 신호 경로(s1)을 통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BT Rx 동작 모드에서는 안테나(21)와 대역 통과 필터(22)를 블루투쓰 시스템과 공유하기 때문에, 블루투쓰의 신호 경로는 s1, WLAN 신호 경로는 s3이 된다. WLAN Idle 모드에서는 블루투쓰 신호만 신호 경로(s1)을 통한다.
한편, 블루투쓰 아이들(BT Idle)모드에서는 WLAN 신호만 송수신된다. WLAN Tx 또는 WLAN Rx 모드에서는 WLAN 신호가 신호 경로(s2) 또는 신호 경로(s3) 중 하나를 통과한다. WLAN 2x2 Tx 또는 WLAN 2x2 Rx 모드에서는, 신호 경로(s2, s3)모두가 사용된다. WLAN 시스템은 MIMO로 동작하거나, SIMO 또는 MISO 로 동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력 분배기를 이용하여 다중 통신을 제어하는 구성에 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2X2 MIMO 를 지원하기 위하여, WLAN 송수신을 하는데 있어서 안테나, 대역 통과 필터, 스위치, 저잡음 증폭기, 전력 증폭기가 각각 2개씩 사용되고 있다. 이중, 블루투쓰의 사용을 위하여 안테나2(21), 대역 통과 필터(22)를 공유할 수 있다.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루투쓰의 송수신을 위하여 안테나(21) 및 대역 통과 필터(22)를 사용하고, 공존 신호(coexistence signaling)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WLAN 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2X2 MIMO WLAN 시스템과, 블루투쓰 결합 시스템을 위하여 공존 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전력 분배기와 같은 다중 통신 제어부(23)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무선 통신 장치를 최적화할 수 있다.
전력 분배기(23)는, RF 신호 경로에서 일부 신호를 커플링해내는 임의의 수동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접합 전력 분배기, 무손실 전력분배기, 저항성 전력분배기, Wilkinson 전력분배기, 비등분 전력분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분배기로 예시되는 다중 통신 제어부(23)는 전력 분배기 이외에도, 소정 공존 신호(Coexistence signal) 및 소정 우선도(priority) 추가 이용하여 제2 대역 통과 필터(22)를 통과하는 무선 신호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분배기를 통하여 제2 안테나(21)로부터 WLAN 신호 또는 BLUETOOTH 신호가 모두 수신되는 도중에도, 타이밍을 조절하여 WLAN 신호 또는 BLUETOOTH 신호의 송신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은 소정의 공존 신호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소정 우선 순위에 따라 제2 안테나(21)를 통과하는 제1 무선 신호 및 제2 무선 신호의 전송 경로가 제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력 분배기를 이용한 WLAN(2X2 MIMO)와 블루투쓰가 결합된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제어되는 무선 신호의 경로를 나타낸다. 도 7의 도면 부호는 신호 경로의 부호를 제외하고 도 5에서 나타내는 구성요소의 도면 부호와 동일하다.
표 2는 coexistence signal이 없을 때의 동작 모드에 따른 무선 신호의 경로를 나타낸다.
Operation mode Signal Path
BT WLAN
BT
Tx
WLAN Rx S4 S6
WLAN Idle S4 X
BT
Rx
WLAN Tx S4 S6
WLAN Idle S4 X
BT
Idle
WLAN Tx Diversity X S5 and S6
WLAN Tx 2x2 X S5 and S6
WLAN Rx Diversity X S5 and S6
WLAN Rx 2x2 x S5 and S6
BT Tx 또는 BT Rx 동작 모드에서는 블루투쓰의 신호 경로는 s4, WLAN 신호 경로는 s6이 된다. WLAN Idle 모드에서는 블루투쓰 신호가 신호 경로(s4)을 통과한다.
한편, 블루투쓰 아이들(BT Idle)모드에서는 WLAN 신호만이 송수신된다. WLAN 신호가 경로(S5, S6)를 모두 이용하므로 WLAN Tx Diversity 또는 WLAN Rx Diversity 가 가능하다.
이상, 도 7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및 대역 통과 필터를 공유하는 2x2 MIMO WLAN 과 블루투쓰 결합 시스템의 신호 경로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신호 제어 장치 및 무선 신호 제어 방법에서는 공유하는 안테나의 개수에 제한되지 않고, 2x2 MIMO, SIMO, MISO WLAN과 블루투쓰 결합 시스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범위가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무선 신호 제어 방법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21, 31 : 안테나
23 : 다중 통신 제어부
22, 28 : BPF
24, 28 : 무선 신호 처리 장치

Claims (12)

  1.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안테나;
    상기 제1 무선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 대역 통과 필터;
    상기 제1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제1 무선 신호의 수신을 처리하는 제1 무선 신호 처리부;
    상기 제1 무선 신호 및 상기 제1 무선 신호와 주파수 대역은 동일하고 통신 방식은 상이한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2 대역 통과 필터;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제2 무선 신호의 수신을 처리하는 제2 무선 신호 처리부; 및
    제1 단은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의 타단에 연결되고, 제2 단은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에 연결되고, 제3 단은 상기 제2 무선 신호 처리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제1 무선 신호 및 제2 무선 신호가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 또는 상기 제2 무선 신호 처리로 전달되도록 제1 무선 신호 및 제2 무선 신호의 경로를 제어하는 다중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제1 무선 신호 및 제2 무선 신호 중 수신 감도가 높은 무선 신호가 처리되도록 상기 수신 감도가 높은 무선 신호의 경로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제1 무선 신호 및 제2 무선 신호에 대한 우선도(priority)가 설정된 경우 상기 우선도에 따라 우선도가 높은 무선 신호가 처리되도록 상기 우선도가 높은 무선 신호의 경로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무선 신호 또는 상기 제2 무선 신호는 상기 우선도 또는 상기 수신 감도에 따라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에 분배되는 분배율이 가변되고,
    상기 수신 감도 또는 우선도에 따라 처리되는 신호는 상기 제2 안테나로부터 제1 무선 신호 및 제2 무선 신호가 수신되는 중에도, 상기 다중 통신 제어부의 타이밍 조절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무선 신호 또는 제2 무선 신호가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로 송신되는 무선 신호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제1 무선 신호 및 제2 무선 신호 각각의 -3dB을 추출하고,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제1 무선 신호의 -3dB을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제2 무선 신호의 -3dB을 상기 제2 무선 신호 처리부로 전달하는 무선 신호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신호는 무선 근거리 통신 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에 의한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 신호는 블루투쓰(Bluetooth)에 의한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는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또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통신 제어부는 전력 분배기(power divider)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제어 장치.
  7. 제1 안테나를 통해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1 대역 통과 필터를 통해 상기 제1 무선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
    제1 무선 신호 처리부를 통해 상기 제1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제1 무선 신호의 수신을 처리하는 단계;
    제2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1 무선 신호 및 상기 제1 무선 신호와 주파수 대역은 동일하고 통신 방식은 상이한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제1 무선 신호 및 제2 무선 신호를 제2 대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제1 무선 신호 및 제2 무선 신호가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 또는 제2 무선 신호 처리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제1 무선 신호 및 제2 무선 신호의 경로를 다중 통신 제어부를 통해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제1 무선 신호 및 제2 무선 신호의 경로를 상기 다중 통신 제어부를 통해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제1 무선 신호 및 제2 무선 신호 중 수신 감도가 높은 무선 신호가 처리되도록 상기 수신 감도가 높은 무선 신호의 경로를 제어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제1 무선 신호 및 제2 무선 신호에 대한 우선도(priority)가 설정된 경우 상기 우선도에 따라 우선도가 높은 무선 신호가 처리되도록 상기 우선도가 높은 무선 신호의 경로를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감도 또는 상기 우선도에 따라 처리되는 신호는 상기 제2 안테나로부터 제1 무선신호 및 제2 무선 신호가 수신 되는 중에도, 상기 다중 통신 제어부의 타이밍 조절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무선 신호 또는 제2 무선 신호가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로 송신되고,
    상기 제1 무선 신호 또는 상기 제2 무선 신호는 상기 우선도 또는 상기 수신 감도에 따라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에 분배되는 분배율이 가변되는 무선 신호 제어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제1 무선 신호 및 제2 무선 신호의 경로를 상기 다중 통신 제어부를 통해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제1 무선 신호 및 제2 무선 신호 각각의 -3dB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제1 무선 신호의 -3dB을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제2 무선 신호의 -3dB을 상기 제2 무선 신호 처리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신호는 무선 근거리 통신 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에 의한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 신호는 블루투쓰(Bluetooth)에 의한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 단계는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에 의한 전력 증폭 단계 또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에 의한 저잡음 증폭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제어 방법.
  12. 삭제
KR1020100131066A 2010-12-20 2010-12-20 다중 입력 다중 출력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06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066A KR101806540B1 (ko) 2010-12-20 2010-12-20 다중 입력 다중 출력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066A KR101806540B1 (ko) 2010-12-20 2010-12-20 다중 입력 다중 출력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497A KR20120069497A (ko) 2012-06-28
KR101806540B1 true KR101806540B1 (ko) 2017-12-07

Family

ID=4668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066A KR101806540B1 (ko) 2010-12-20 2010-12-20 다중 입력 다중 출력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5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0566A (ja) * 2005-11-25 2007-06-14 Hitachi Metals Ltd マルチバンド用アンテナ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2009290897A (ja) * 2006-01-17 2009-12-10 Hitachi Metals Ltd 高周波回路部品及びこれを用いた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0566A (ja) * 2005-11-25 2007-06-14 Hitachi Metals Ltd マルチバンド用アンテナ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2009290897A (ja) * 2006-01-17 2009-12-10 Hitachi Metals Ltd 高周波回路部品及びこれを用いた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497A (ko)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746496B (zh) 射频系统及电子设备
WO2022062585A1 (zh) 射频L-PA Mid器件、射频收发系统和通信设备
CN111277278B (zh) 射频系统及电子设备
CN108923790B (zh) 多路选择开关、射频系统和无线通信设备
CN108880602B (zh) 多路选择开关以及相关产品
TWI603596B (zh) 行動裝置
CN108462498B (zh) 多路选择开关、射频系统和无线通信设备
EP3540969B1 (en) Multiway switch, radio frequency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1193526A (zh) 射频系统和电子设备
US7680510B2 (en) Diversity-switched front end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CN112436847A (zh) 射频L-PA Mid器件、射频收发系统和通信设备
EP2122757B1 (en) Antenna system
WO20090836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from reception to transmission
CN103348600A (zh) 在两个相邻频带中工作的同时接入的双频带终端
CN114124140A (zh) 射频系统和通信设备
CN1855748B (zh) 射频收发器集成电路
KR20130005852A (ko)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JP6035120B2 (ja) エネルギ消費削減方法及び無線通信端末
KR101704037B1 (ko) 다중 입력 다중 출력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23236530A1 (zh) 射频PA Mid器件、射频系统和通信设备
KR101806540B1 (ko) 다중 입력 다중 출력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22143453A1 (zh) 射频电路及电子设备
CN115842564A (zh) 射频前端模块、射频系统及电子设备
EP3811520B1 (en) Radio unit for unsynchronized tdd multi-band operation
CN107369907B (zh) 一种天线系统、控制方法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