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469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469B1
KR101806469B1 KR1020120014661A KR20120014661A KR101806469B1 KR 101806469 B1 KR101806469 B1 KR 101806469B1 KR 1020120014661 A KR1020120014661 A KR 1020120014661A KR 20120014661 A KR20120014661 A KR 20120014661A KR 101806469 B1 KR101806469 B1 KR 101806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gging
factor
defogging
window glass
detec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3249A (ko
Inventor
김영민
박지훈
유상준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4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469B1/ko
Publication of KR20130093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07Control means therefor for minimizing the humidity of the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포깅장치의 빈번한 온,오프로 인한 차실내의 쾌적성 저하 현상과 디포깅장치의 내구성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시에, 디포깅모드로 전환되면서 창유리의 김서림을 제거하는 디포깅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를 감지하는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과; 창유리의 김서림 소거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를 감지하는 김서림 소거인자 감지수단과;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에서 입력된 김서림 유발인자 데이터에 따라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을 판단하여 디포깅장치를 디포깅모드로 진입시키고, 김서림 소거인자 감지수단에서 입력된 김서림 소거인자 데이터에 따라 창유리의 김서림 소거를 판단하여 디포깅장치를 디포깅모드로부터 해제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포깅장치의 빈번한 온,오프로 인한 차실내의 쾌적성 저하 현상과 디포깅장치의 내구성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용 공조장치는 자동제어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자동제어방식 공조장치는, 차량의 외기온도와 습도, 차량의 내기온도와 습도, 일사량 등을 감지한 다음, 감지된 각각의 데이터에 따라 차량의 실내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따라서, 차실내의 온도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이러한 자동제어방식 공조시스템은, 차량의 창유리에 김서림이 발생될 경우, 창유리의 김서림을 자동으로 제거 처리하는 디포깅장치(Defogging Device)를 구비한다.
디포깅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유리의 김서림 유발인자들을 감지하는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1)과,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1)에서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창유리의 김서림 여부를 판단하여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3)와 디프로스트 도어(Defrost Door)(5)와 에어컨의 압축기(7)와 블로어(8)를 제어하는 제어부(9)를 구비한다.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1)은,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 예를 들면, 창유리의 습도와 외기온도와 차속 등을 감지하는 센서들을 포함한다.
제어부(9)는, 포그발생지수(FP) 산출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것으로,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1)에서 입력된 각종 김서림 유발인자 데이터들을 처리하여 포그발생지수(FP)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포그발생지수(FP)에 따라 인테이크 도어(3)와 디프로스트 도어(5)와 에어컨의 압축기(7)와 블로어(8)를 제어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출된 포그발생지수(FP)가 미리 설정된 "제 1기준지수"(a) 이상일 경우에는, 창유리에 김서림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디포깅모드"(Defogging Mode)로 진입한다.
그리고 "디포깅모드"로 진입한 제어부(9)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이크 도어(3)를 "외기모드"로 전환시키고, 디프로스트 도어(5)를 개방하며, 에어컨의 압축기(7)와 블로어(8)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증발기(7a)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냉각된 외기가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5a)를 통해서 창유리로 토출되며, 토출된 냉기가 창유리의 김서림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어부(9)는, "디포깅모드" 상태에서 포그발생지수(FP)를 지속적으로 산출하는데, 이때, 산출된 포그발생지수(FP)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기준지수"(a)보다 낮은 "제 2기준지수"(b)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창유리의 김서림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여 "디포깅모드"로부터 해제된다.
그리고 "디포깅모드"로부터 해제된 제어부(9)는, 인테이크 도어(3)와 디프로스트 도어(5)와 에어컨의 압축기(7)와 블로어(8)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공조장치를 원래의 오토모드 상태로 복원시킨다.
통상적으로, 제어부(9)에 내장된 "제 1기준지수"(a)는, "20"(FP)로 설정되고, "제 2기준지수"(b)는 "0"(FP)로 설정된다.
이는, 포그발생지수(FP)가 "20"일 경우, 창유리의 김서림이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포그발생지수(FP)가 "0"일 경우, 창유리의 김서림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한편, 포그발생지수(FP) "20"은, 창유리의 습도가 약 75(%RH)일 때에 산출되는 값인 것으로 나타났고, 포그발생지수(FP) "0"는, 창유리의 습도가 약 73(%RH)일 때에 산출되는 값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디포깅장치는, "디포깅모드"의 진입과 해제가 포그발생지수(FP)를 기준으로 하여 작동하는 바, 포그발생지수(FP)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디포깅모드"의 진입시점과 해제시점에 대한 포그발생지수(FP)의 편차가 고작 "20"(FP) 포인트 차이이므로, "디포깅모드"의 진입과 해제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인테이크 도어(3)와 디프로스트 도어(5)와 에어컨의 압축기(7)와 블로어(8)가 빈번하게 온,오프된다는 결점이 있으며, 이러한 결점 때문에 차실내의 쾌적성이 떨어지고, 공조장치의 내구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디포깅모드"의 진입시점과 해제시점에 대한 포그발생지수(FP)의 편차를 크게 하여 디포깅장치의 빈번한 온,오프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 일례로서, "디포깅모드"의 진입시점을 포그발생지수(FP) "20" 이상으로 높게 설정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디포깅모드"의 진입시점을 포그발생지수(FP) "20" 이상으로 높게 설정할 경우, 창유리에 김서림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디포깅장치가 작동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로써, 창유리의 김서림 제거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디포깅모드"의 해제시점은, 현재에도 포그발생지수(FP)의 최소값(Minimum)인 "0"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더 이하의 크기로 낮추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포그발생지수(FP)의 편차 조절을 통한 디포깅장치의 빈번한 온,오프 현상을 방지할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디포깅모드"의 진입과 해제의 기준을 포그발생지수에 국한하지 않고 서로 다르게 차별화시킴으로써, 창유리의 김서림 제거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디포깅모드"의 진입시점과 해제시점의 편차를 크게 설정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포깅모드"의 진입시점과 해제시점의 편차를 크게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디포깅장치의 빈번한 온,오프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포깅장치의 빈번한 온,오프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디포깅장치의 빈번한 온,오프로 인한 차실내의 쾌적성 저하와, 디포깅장치의 내구성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시에, 디포깅모드로 전환되면서 상기 창유리의 김서림을 제거하는 디포깅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를 감지하는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과; 창유리의 김서림 소거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를 감지하는 김서림 소거인자 감지수단과; 상기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에서 입력된 김서림 유발인자 데이터에 따라 상기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을 판단하여 상기 디포깅장치를 디포깅모드로 진입시키고, 상기 김서림 소거인자 감지수단에서 입력된 김서림 소거인자 데이터에 따라 상기 창유리의 김서림 소거를 판단하여 상기 디포깅장치를 디포깅모드로부터 해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에서 입력된 김서림 유발인자 데이터를 처리하여 포그발생지수(FP)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포그발생지수(FP)가 미리 설정된 김서림 발생값 이상일 시에 상기 디포깅장치를 디포깅모드로 진입시키며; 상기 김서림 소거인자 감지수단에서 입력된 김서림 소거인자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김서림 소거값 이하로 저하될 시에 상기 디포깅장치를 디포깅모드로부터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은, 창유리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와, 차량의 외기온도를 감지하는 외기센서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김서림 소거인자 감지수단은, 창유리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의 습도센서와 외기센서와 차속센서에서 입력된 창유리 습도와 외기온도와 차속 데이터들을 처리하여 포그발생지수(FP)를 산출하고, 산출된 포그발생지수(FP)가 상기 김서림 발생값 이상일 시에 상기 디포깅장치를 디포깅모드로 진입시키며; 상기 김서림 소거인자 감지수단의 습도센서에서 입력된 창유리 습도가 상기 김서림 소거값 이하로 저하될 시에 상기 디포깅장치를 디포깅모드로부터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디포깅모드"의 진입 시의 기준과 해제시의 기준을 차별화하고, 차별화된 "디포깅모드"의 진입기준과 해제기준을 근거로 "디포깅모드"의 진입시점과 해제시점을 제어하는 구조이므로, 하나의 포그발생지수만을 기준으로 하여 "디포깅모드"의 진입시점과 해제시점을 제어하는 종래와 달리 "디포깅모드"의 진입시점과 해제시점의 편차를 크게 설정할 수 있으면서도 창유리의 김서림 제거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포깅모드"의 진입시점과 해제시점의 편차를 크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디포깅장치의 빈번한 온,오프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포깅장치의 빈번한 온,오프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디포깅장치의 빈번한 온,오프로 인한 차실내의 쾌적성 저하 현상과, 디포깅장치의 내구성 저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가 포그발생지수(FP)에 따라 디포깅모드 또는 디포깅 해제모드로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가 포그발생지수(FP)에 따라 디포깅모드로 제어되고, 창유리 습도(RH)에 따라 디포깅 해제모드로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는, 창유리의 김서림을 제거하는 디포깅장치(10)를 구비한다.
디포깅장치(10)는, 창유리의 김서림 유발인자들을 감지하는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20)을 구비한다.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20)은, 창유리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22)와, 차량의 외기온도를 감지하는 외기센서(24)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26)를 포함한다.
이러한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20)은,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창유리의 습도와 외기온도와 차속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들을 후술하는 제어부(40)에 입력시킨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포깅장치(10)는, 창유리의 김서림 소거인자들을 감지하는 김서림 소거인자 감지수단(30)을 구비한다.
김서림 소거인자 감지수단(30)은, 창유리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32)를 포함한다.
이러한 김서림 소거인자 감지수단(30)은, 창유리의 김서림 소거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창유리의 습도를 감지한 다음, 감지된 창유리의 습도 데이터를 후술하는 제어부(40)에 입력시킨다.
여기서, 김서림 소거인자 감지수단(30)의 습도센서(32)는,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20)의 습도센서(22)와 공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품수를 줄이기 위함이며, 이로써,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디포깅장치(10)는, 제어부(40)를 구비한다.
제어부(40)는, "포그발생지수 산출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것으로,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20)의 습도센서(22)와 외기센서(24)와 차속센서(26)로부터 창유리 습도와 외기온도와 차속의 데이터들이 각각 입력되면, 입력된 데이터들을 "포그발생지수 산출 프로그램"으로 연산 처리하여 포그발생지수(FP)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포그발생지수(FP)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김서림 발생값"(A) 이상인지를 비교한 다음, "김서림 발생값"(A) 이상일 경우, 창유리에 김서림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디포깅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디포깅모드"로 진입한 제어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이크 도어(3)를 "외기모드"로 전환시키고, 디프로스트 도어(5)를 개방하며, 에어컨의 압축기(7)와 블로어(8)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증발기(7a)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냉각된 외기가 디프로스트 벤트(5a)를 통해서 창유리로 토출되며, 토출된 냉기가 창유리의 김서림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어부(40)에 내장된 "김서림 발생값"(A)은, "20"(FP)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포그발생지수(FP)가 "20"일 경우, 창유리의 김서림이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한편, 포그발생지수(FP) "20"은, 창유리의 습도가 약 75(%RH)일 때에 산출되는 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40)는, "디포깅모드" 상태에서, 김서림 소거인자 감지수단(30)의 습도센서(32)로부터 창유리 습도가 입력되면, 입력된 창유리 습도가 미리 설정된 "김서림 소거값"(B) 이하인지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김서림 소거값"(B) 이하이면, 창유리의 김서림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여 "디포깅모드"로부터 해제된다.
그리고 "디포깅모드"로부터 해제된 제어부(40)는, 인테이크 도어(3)와 디프로스트 도어(5)와 에어컨의 압축기(7)와 블로어(8)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공조장치가 원래의 오토모드 상태로 복원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어부(40)에 내장된 "김서림 소거값"(B)은, "김서림 발생값"(A)의 산출 기준이 되는 창유리 습도, 즉, 75(%RH)보다 낮게 설정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창유리의 김서림이 소거되는 시점의 창유리 습도가, "김서림 발생값"(A)의 산출 기준이 되는 창유리 습도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김서림 소거값"(B)을, "김서림 발생값"(A)의 산출 기준이 되는 창유리 습도[75(%RH)]보다 낮게 설정함으로써, 창유리의 김서림이 소거된 다음에 디포깅장치(10)가 "디포깅모드"에서 해제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40)에 내장된 "김서림 소거값"(B)은, 포그발생지수(FP) "0"의 산출 기준이 되는 창유리 습도, 즉, 73(%RH)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이 좋다.
이는, "김서림 소거값"(B)을, 포그발생지수(FP) "0"의 산출 기준이 되는 창유리 습도[73(%RH)]보다 낮게 설정함으로써, 창유리의 김서림이 완전히 소거된 다음에 디포깅장치(10)가 "디포깅모드"에서 해제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어부(40)에 내장된 "김서림 소거값"(B)은, 포그발생지수(FP) "0"의 산출 기준이 되는 창유리 습도, 즉, 73(%RH)보다 월등히 낮게 설정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70(%RH)로 설정되는 것이 좋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김서림 소거값"(B)을, 포그발생지수(FP) "0"의 산출 기준이 되는 창유리 습도[73(%RH)]보다 월등히 낮게 설정함으로써, "김서림 발생값"(A)과 "김서림 소거값"(B)의 편차를 크게 하기 위함이다.
이는, "김서림 발생값"(A)와 "김서림 소거값"(B)의 편차를 크게 함으로써, "김서림 발생값"(A)을 기준으로 하는 디포깅장치(10)의 "디포깅모드" 진입시점과, "김서림 소거값"(B)을 기준으로 하는 디포깅장치(10)의 "디포깅모드" 해제시점의 편차를 크게 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디포깅장치(10)의 "디포깅모드" 진입시점과 해제시점의 편차가 작은 종래와 달리, 디포깅장치(10)의 빈번한 온,오프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디포깅장치(10)의 빈번한 온,오프로 인한 차실내의 쾌적성 저하와, 디포깅장치(10)의 내구성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공조장치가 온(ON)된 상태에서(S101), 김서림 유발인자 데이터들이 입력되면(S103), 예를 들어, 창유리 습도와 외기온도와 차속이 입력되면, 제어부(40)는, 입력된 데이터들을 처리하여 포그발생지수(FP)를 산출한다(S105).
그리고 포그발생지수(FP)의 산출이 완료되면, 산출된 포그발생지수(FP)가, 미리 설정된 "김서림 발생값"(A) 이상인지를 비교 판단한다(S107).
판단 결과, "김서림 발생값"(A) 이상일 경우, 창유리에 김서림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디포깅모드"로 진입한다(S109).
그러면, 인테이크 도어(3)가 "외기모드"로 전환되고, 디프로스트 도어(5)가 개방되며, 에어컨의 압축기(7)와 블로어(8)가 작동된다.
이로써,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증발기(7a)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냉각된 외기가 디프로스트 벤트(5a)를 통해서 창유리로 토출되며, 토출된 냉기가 창유리의 김서림을 제거 처리한다.
한편, "디포깅모드"로 제어된 상태에서, 김서림 소거인자 감지수단(30)에서 김서림 소거인자 데이터가 입력된다(S111). 예를 들어, 창유리 습도가 입력된다.
그러면, 제어부(40)는, 입력된 창유리 습도가, 미리 설정된 "김서림 소거값"(B) 이하인지를 비교 판단한다(S113).
판단 결과, "김서림 소거값"(B) 이하이면, 창유리의 김서림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여 "디포깅모드"로부터 해제된다(S115).
그러면, 인테이크 도어(3)와 디프로스트 도어(5)와 에어컨의 압축기(7)와 블로어(8)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 이로써, 공조장치가 정상적인 오토모드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디포깅모드"의 진입 시의 기준과 해제시의 기준을 차별화하고, 차별화된 "디포깅모드"의 진입기준과 해제기준을 근거로 "디포깅모드"의 진입시점과 해제시점을 제어하는 구조이므로, 하나의 포그발생지수만을 기준으로 하여 "디포깅모드"의 진입시점과 해제시점을 제어하는 종래와 달리 "디포깅모드"의 진입시점과 해제시점의 편차를 크게 설정할 수 있으면서도 창유리의 김서림 제거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또한, "디포깅모드"의 진입시점과 해제시점의 편차를 크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디포깅장치(10)의 빈번한 온,오프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디포깅장치(10)의 빈번한 온,오프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디포깅장치(10)의 빈번한 온,오프로 인한 차실내의 쾌적성 저하 현상과, 디포깅장치의 내구성 저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3: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 5: 디프로스트 도어(Defrost Door)
5a: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
7: 압축기 7a: 증발기
8: 블로어(Blower) 10: 디포깅장치
20: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 22: 습도센서
26: 외기센서 26: 차속센서
30: 김서림 소거인자 감지수단 32: 습도센서
40: 제어부

Claims (4)

  1.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시에, 디포깅모드로 전환되면서 상기 창유리의 김서림을 제거하는 디포깅장치(10)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를 감지하는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20)과;
    창유리의 김서림 소거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를 감지하는 김서림 소거인자 감지수단(30)과;
    상기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20)에서 입력된 김서림 유발인자 데이터에 따라 상기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을 판단하여 상기 디포깅장치(10)를 디포깅모드로 진입시키고, 상기 김서림 소거인자 감지수단(30)에서 입력된 김서림 소거인자 데이터에 따라 상기 창유리의 김서림 소거를 판단하여 상기 디포깅장치(10)를 디포깅모드로부터 해제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하며;
    상기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20)에서 감지된 김서림 유발인자와, 상기 김서림 소거인자 감지수단(30)에서 감지된 김서림 소거인자는 서로 다르고,
    상기 제어부(40)는, 서로 다른 김서림 유발인자와, 김서림 소거인자를 통해, 디포깅모드의 진입 시의 기준과 해제 시의 기준을 차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20)에서 입력된 김서림 유발인자 데이터를 처리하여 포그발생지수(FP)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포그발생지수(FP)가 미리 설정된 김서림 발생값(A) 이상일 시에 상기 디포깅장치(10)를 디포깅모드로 진입시키며;
    상기 김서림 소거인자 감지수단(30)에서 입력된 김서림 소거인자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김서림 소거값(B) 이하로 저하될 시에 상기 디포깅장치(10)를 디포깅모드로부터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20)은, 창유리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22)와, 차량의 외기온도를 감지하는 외기센서(24)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26)를 포함하고;
    상기 김서림 소거인자 감지수단(30)은, 창유리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32)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김서림 유발인자 감지수단(20)의 습도센서(22)와 외기센서(24)와 차속센서(26)에서 입력된 창유리 습도와 외기온도와 차속 데이터들을 처리하여 포그발생지수(FP)를 산출하고, 산출된 포그발생지수(FP)가 상기 김서림 발생값(A) 이상일 시에 상기 디포깅장치(10)를 디포깅모드로 진입시키며;
    상기 김서림 소거인자 감지수단(30)의 습도센서(32)에서 입력된 창유리 습도가 상기 김서림 소거값(B) 이하로 저하될 시에 상기 디포깅장치(10)를 디포깅모드로부터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에 저장된 상기 김서림 소거값(B)은, 상기 김서림 발생값(A)의 산출 기준이 되는 창유리 습도보다 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20014661A 2012-02-14 2012-02-14 차량용 공조장치 KR101806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661A KR101806469B1 (ko) 2012-02-14 2012-02-14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661A KR101806469B1 (ko) 2012-02-14 2012-02-14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249A KR20130093249A (ko) 2013-08-22
KR101806469B1 true KR101806469B1 (ko) 2018-01-10

Family

ID=49217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661A KR101806469B1 (ko) 2012-02-14 2012-02-14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4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249A (ko)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872B1 (ko) 차량의 창유리 디포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유리 디포깅 방법
US78661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defogging condition calculation and control
US8701427B2 (en) Fog detection error protection for window fog control
US8733428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US10752215B2 (en) Vehicle automatic defrost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external window surface
US200600044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defogging condition calculation and control
US11267314B2 (en) Enhanced vehicle window anti-fogging strategy
JP2001233038A (ja) 湿度センサーを用いたウインドシールド曇り限界の判定方法
KR2018009843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80646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11897313B2 (en) Enhanced vehicle window anti-fogging strategy
KR2016014875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50895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제어장치
KR100811994B1 (ko) 차량의 제습제어방법
KR101427231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KR10198663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1331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8009314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3724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35639A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240051369A1 (en) Enhanced vehicle window anti-fogging strategy
KR101756993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1023379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3989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5088724A (ja) 曇り除去装置及びエアコン電子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