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455B1 -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455B1
KR101806455B1 KR1020140062998A KR20140062998A KR101806455B1 KR 101806455 B1 KR101806455 B1 KR 101806455B1 KR 1020140062998 A KR1020140062998 A KR 1020140062998A KR 20140062998 A KR20140062998 A KR 20140062998A KR 101806455 B1 KR101806455 B1 KR 101806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5882A (ko
Inventor
조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062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455B1/ko
Publication of KR20150135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장치의 움직임과 외부 신호를 토대로 근접거리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장치에서 근접거리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통신 장치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통신 장치의 일정한 움직임이 감지되면,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활성화한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신호를 토대로 타 통신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근접거리 통신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 장치의 움직임과 외부 신호를 토대로 통신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통신장치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다양한 무선 통신 기법이 제안되고 통신 장치에 탑재되고 있다. 이 중에서 보안이 우수하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근접거리 통신(NFC : Near Field Communication)이 통신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자들은 통신 장치에 탑재된 근접거리 통신 기능을 통해, 타 통신 장치와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상기 근접거리 통신은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복수의 통신 장치 간에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기술로서, 데이터 쓰기와 데이터 읽기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아래의 특허문헌은 NFC 단말기의 전자태그 검출장치 및 운용방법에 대해서 개시한다.
그런데 통신 장치에 탑재된 근접거리 통신 모듈은 일반적으로 비활성화된 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시마다 일일이 메뉴에 접근하여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해야 되는 불편함이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통신 장치에 탑재된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계속적으로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통신 장치의 배터리가 지속적으로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77369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통신 장치의 움직임과 외부 신호에 근거하여 근접거리 통신 모듈의 상태를 제어하는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장치의 전원 자원을 절약되도록, 통신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통신 장치의 운영 환경을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는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통신 장치에서 근접거리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통신 장치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통신 장치의 일정한 움직임이 감지되면,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활성화한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신호를 토대로 타 통신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근접 거리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는, 타 통신 장치와 근접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접거리 통신 모듈; 상기 통신 장치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움직임 감지부; 및 상기 움직임 감지부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일정한 움직임이 감지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고, 활성화한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신호를 토대로 타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운영 환경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는, 근접된 사물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주변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 및 상기 근접 센서와 상기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근접된 사물이 인식되고 주변 조도가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통신 장치가 보관 장소에 수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운영 환경을 보관 상태 운영 환경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 장치의 움직임을 센싱하고, 이 센싱된 움직임에 근거하여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자동으로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간편하게 근접거리 통신 기능을 사용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접거리 통신 기능이 이용될 때, 불필요한 구성 부품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통신 장치의 전원자원을 절약시키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의 센싱 값인 Z축 값이 지정된 시간 내에 임계값을 초과하는 반복 횟수, 기울기 센서의 센싱 값인 피치(pitch) 값이 지정된 시간 내에 임계값을 초과하는 반복 횟수를 확인하고, 이 반복 횟수에 근거하여 근접거리 통신 모듈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통신 장치의 일상적인 움직임을 필터링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근접거리 통신 모듈 활성화 의도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센서를 통해 센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관 장소에 통신 장치를 보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보관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 장치의 운영 환경을 보관 상태 운영 환경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간편하게 통신 장치의 운영 환경을 변경케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거리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 모드를 제어하는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에서 센싱 데이터를 토대로 통신 장치의 운영 환경으로 보관 상태 운영 환경으로 변경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에서 센싱 데이터를 토대로 통신 장치의 운영 환경을 복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거리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00)는 저장부(110), 움직임 감지부(120), 표시부(130), 근접거리 통신 모듈(이하, 'NFC 모듈'로 지칭함)(140), 근거리 통신 모듈(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저장부(110)는 통신 장치(100)의 구동 및 실행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더불어 사용자의 주소록 및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움직임 감지부(120)는 통신 장치(100)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여 움직임과 관련된 값을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움직임 감지부(120)는 통신 장치(100)의 잠금 상태에 관계없이 계속적으로 활성화되어, 통신 장치(100)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한다. 상기 움직임 감지부(120)는 기울기 센서(121), 가속도 센서(122)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기울기 센서(121)는 자이로스코프 등으로서, 통신 장치(100)의 기울기 정도를 센싱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상기 기울기 센서(121)는 통신 장치(100)의 기울기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방위(azimuth) 값, 피치(pitch) 값, 롤(roll) 값을 계속적으로 측정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여기서 방위 값은 통신 장치(100)의 방위각을 나타내고, 피치 값은 통신 장치(100)의 경사도를 나타내고, 롤 값은 통신 장치(100)의 좌우 회전 값을 나타낸다.
또한, 가속도 센서(122)는 통신 장치(100)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가속도를 측정하는데 기본이 되는 통신장치의 3차원 좌표인 X값, Y값 및 Z값을 각각 측정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표시부(130)는 통신 장치(100)에서 처리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수단으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술, LED(Light Emitting Diode) 기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30)는 입력수단의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특히, 표시부(13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서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된다.
NFC 모듈(140)은 10cm 이내의 근접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로서,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된다. 또한, NFC 모듈(140)은 복수의 모드를 지원한다. 즉, NFC 모듈(140)에서 지원하는 카드 모드는 타 통신 장치로 특정 정보(예컨대, 교통 카드 정보 등)을 제공하는데 이용되며, 양방향 통신이 불가능한 모드이다. 또한, NFC 모듈(140)에서 지원하는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RW/P2P 모드)는 타 통신 장치와 근접거리 통신을 통해, 양방향 통신 즉,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는 모드이다. NFC 모듈(140)은 초기에 활성화된 경우에, 카드 모드와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교대로 변경되어 동작한다. 한편, NFC 모듈(140)은 외부 신호의 인식 여부에 따라,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특정 모드가 켜진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50)은 NFC 모듈(140)보다 통신 거리가 긴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모듈로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이 이에 해당된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50)은 제어부(160)에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제어부(160)는 통신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로서, 표시부(130), NFC 모듈(140), 근거리 통신 모듈(150) 각각의 활성화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움직임 감지부(120)를 통해서 획득한 데이터를 토대로, 일정 시간 동안(예컨대, 0.5초)에 통신 장치(100)의 흔들림 횟수가 임계횟수를 이상이면 NFC 모듈(140)의 활성화하고, 더불어 NFC 모듈(140)의 카드 모드와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를 모두 켠다. 이때, 제어부(160)는 움직임 감지부(120)의 기울기 센서(121)로부터 수신한 값 중에서, 임계값을 초과한 피치 값의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횟수 이상이면, 상기 통신 장치(100)의 흔들림 횟수가 임계횟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움직임 감지부(120)의 가속도 센서(122)로부터 수신한 값 중에서, 임계값을 초과한 Z값의 횟수가 임계횟수 이상이면, 상기 통신 장치(100)의 흔들림 횟수가 임계횟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NFC 모듈(140)을 활성화할 때, 표시부(130)도 같이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NFC 모듈(140)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NFC 모듈(140)을 통해 일정 시간 동안(예컨대, 5초)에 외부 신호가 미감지되면 상기 NFC 모듈(140)을 비활성화한다. 반면에, 제어부(160)는 활성화된 NFC 모듈(140)을 통해서, 리더 신호가 감지되면, NFC 모듈(140)의 기능 중에서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를 끈다. 이때, 제어부(160)는 표시부(130)가 활성화된 상태이면, 표시부(130)를 비활성화시킨다. 또한, 제어부(160)는 활성화된 NFC 모듈(140)을 통해서 태그 신호가 감지되면, NFC 모듈(140)의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의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더불어 표시부(130)가 비활성화된 경우 표시부(130)를 활성화시킨다. 한편, 제어부(160)는 활성화된 NFC 모듈(140)을 통해서 빔(beam) 신호가 감지되면, 근거리 통신 모듈(150)을 활성화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50)을 이용하여 빔 신호를 송출한 타 통신 장치와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한 후, 상기 활성화된 NFC 모듈(140)을 비활성화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표시부(130)가 비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표시부(130)를 활성화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움직임 감지부(120)가 기울기 센서(121)를 이용하여 통신 장치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한 것으로 설명되고, 표시부(130), NFC 모듈(140) 및 근거리 통신 모듈(150)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움직임 감지부(120)의 기울기 센서(121)는 통신 장치(100)의 움직임 중의 하나인 기울기 상태를 센싱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S201). 즉, 움직임 감지부(120)는 통신 장치(100)의 기울기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방위(azimuth) 값, 피치(pitch) 값, 롤(roll) 값을 계속적으로 측정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상기 기울기 센서(121)로부터 계속적으로 전달받은 값들을 토대로, 일정 시간 동안(예컨대, 0.5초)에 임계값을 초과한 피치 값의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횟수(예컨대, 2회)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203). 부연하면, 제어부(160)는 일정시간 동안에 반복적인 흔들림이 통신 장치(100)에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임계값을 초과한 피치 값의 반복 횟수를 토대로 확인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임계값을 초과한 피치 값의 횟수가 임계횟수 미만이거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은 피치 값이 주기적으로 반복되거나 또는 임계값을 초과한 피치 값 간의 시간 간격이 상기 일정 시간을 초과하면, 통신 장치(100)의 흔들림이 없거나 일상적인 흔들림(즉, NFC 모듈 활성화와 관련 없는 흔들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비활성화된 NFC 모듈(140)을 그대로 유지하고 S201 단계를 재진행한다.
반면에, 제어부(160)는 임계값을 초과한 피치 값의 횟수가 임계횟수 이상이면, 사용자가 통신 장치(100)는 반복적으로 흔들어 NFC 모듈(140)의 활성화를 원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NFC 모듈(140)을 활성화한다(S205). 이때, 제어부(160)는 NFC 모듈(140)의 두 가지 모드 즉, 카드 모드와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를 모두 켠다. 그러면, NFC 모듈(140)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카드 모드,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로 교대로 동작하여, 외부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일정 시간 동안(예컨대, 5초) 이내에 NFC 모듈(140)을 통하여 외부 무선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207), 외부 무선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근접거리 통신과 관계없이 통신 장치(100)가 반복적으로 흔들린 것으로 판단하여 NFC 모듈(140)을 비활성화하여, 전원 자원을 절약한다(S209). 즉,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통신 장치(100)를 반복적으로 흔든 것으로 판단하여 NFC 모듈(140)을 비활성화한다.
반면에, 제어부(160)는 일정 시간 동안(예컨대, 5초) 이내에 NFC 모듈(140)을 통하여 외부 무선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외부 무선신호가 리더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211). 즉, 제어부(160)는 외부 무선신호가 NFC 리더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어서, 제어부(160)는 상기 외부 신호가 리더 신호이면, NFC 모듈(140)의 기능 중에서 리더기와 통신할 때 불필요한 읽기 쓰기/피투피(P2P) 기능을 끔으로써,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전원 자원을 절약시킨다(S213). 이때, 제어부(160)는 NFC 모듈(140)이 카드 모드로만 동작된 상태이므로, 표시부(130)의 비활성화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NFC 모듈(140)은 카드 모드와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로 교대로 변경되어 동작하지 않고, 카드 모드로만 동작한다. 이어서, 제어부(160)는 NFC 모듈(140)의 카드 모드를 이용하여 통신 장치(100)의 태그 정보를 리더기로 제공함으로써(S215), 통신 장치(100)의 데이터(예컨대, 교통 카드 정보 등)가 상기 리더기로 전송되게 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상기 외부 신호가 리더 신호가 아니면, 상기 외부 신호가 외부의 타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근접거리 통신을 위한 태그 신호인지를 확인한다(S217). 이어서, 제어부(160)는 상기 외부 신호가 태그 신호이면, 근접거리 통신을 요청하는 타 통신 장치가 근접거리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의 켠(on) 상태를 유지하고, 더불어 표시부(130)를 활성화한다(S219). 즉, 제어부(160)는 근접거리 통신을 위한 양방향 통신이 수행될 때, 송신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되게 하기 위하여, 표시부(130)를 활성화한다. 한편, NFC 모듈(140)은 외부로부터 태그 신호가 감지되면, 카드 모드,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로 교대로 변경되어 동작하지 않고,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로만 동작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NFC 모듈(140)을 통해 수신한 태그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타 통신 장치와 근접거리 세션을 형성하고, 상기 근접거리 세션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활성화된 표시부(130)에 출력한다(S221). 이때, 제어부(160)는 NFC 모듈(140)의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를 이용하여 타 통신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한편, S217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상기 외부 RF 신호가 태그 신호가 아니고 빔(beam) 신호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NFC 모듈(140)을 통해서 수신한 외부 신호가, 근거리 무선 세션을 위한 빔 신호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타 통신 장치와 근거리 무선 세션(예컨대, 블루투스 세션 또는 와이파이 세션)을 통해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부(130)를 활성화한다(S223). 그리고, 제어부(160)는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하기 위하여, 비활성화된 근거리 통신 모듈(150)을 활성화시킨다(S225). 이어서, 제어부(160)는 근거리 통신 모듈(150)을 이용하여 빔을 송출한 타 통신 장치와 근거리 무선 세션을 설정하고(S227), 더불어 근거리 무선 세션 과정 및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활성화된 표시부(130)에 출력한다. 이어서, 제어부(160)는 근거리 무선 세션을 설정되면, NFC 모듈(140)을 비활성화한다(S229). 즉, 제어부(160)는 NFC 모듈(140)을 통해서 근거리 무선 세션을 위한 빔 신호가 수신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50)을 활성화하여 상기 빔 신호를 송출한 타 통신 장치와 근거리 무선 세션을 설정하고 근거리 무선 세션이 완료되면 NFC 모듈(140)을 비활성화하여 NFC 모듈(140)에 인가되는 전원 자원을 절약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한 설명에서는, 움직임 감지부(120)가 가속도 센서(122)를 이용하여 통신 장치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한 것으로 설명되고, 표시부(130), NFC 모듈(140) 및 근거리 통신 모듈(150)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한 설명에 있어서, 도 2를 참조한 설명된 중복되는 부분은 압축하여 요약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움직임 감지부(120)의 가속도 센서(122)는 통신 장치(100)의 움직임중의 하나인 가속도를 센싱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S301). 즉, 움직임 감지부(120)는 통신 장치(100)의 가속도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X값, Y값, Z값 각각을 계속적으로 측정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상기 가속도 센서(122)로부터 계속적으로 전달받은 값들을 토대로, 일정 시간 동안(예컨대, 0.5초)에 임계값을 초과한 Z값의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횟수(예컨대, 2회)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03). 부연하면, 제어부(160)는 일정시간 동안에 반복적인 흔들림이 통신 장치(100)에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임계값을 초과한 Z값의 반복 횟수를 토대로 확인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임계값을 초과한 Z값의 횟수가 임계횟수 미만이거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은 Z값이 주기적으로 반복되거나 또는 임계값을 초과한 Z값 간의 시간 간격이 상기 일정 시간을 초과하면, 통신 장치(100)의 흔들림이 없거나 일상적인 흔들림(즉, NFC 모듈 활성화와 관련 없는 흔들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비활성화된 NFC 모듈(140)을 그대로 유지하고 S301 단계를 재진행한다.
반면에, 제어부(160)는 임계값을 초과한 Z값의 횟수가 임계횟수 이상이면, 사용자가 통신 장치(100)를 통해 근접거리 통신을 진행하는 것을 희망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부(130)를 활성화하고(S305), 또한 NFC 모듈(140)을 활성화한다(S307). 이때, 제어부(160)는 NFC 모듈(140)의 두 가지 모드 즉, 카드 모드와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를 모두 켠다. 그러면, NFC 모듈(140)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카드 모드,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로 교대로 동작하여, 외부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일정 시간 동안(예컨대, 5초) 이내에 NFC 모듈(140)을 통하여 외부 무선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309), 외부 무선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NFC 모듈(140)을 비활성화하고 표시부(130)를 비활성화하여 전원 자원을 절약한다(S311).
반면에, 제어부(160)는 일정 시간 동안(예컨대, 5초) 이내에 NFC 모듈(140)을 통하여 외부 무선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외부 무선신호가 리더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13). 이어서, 제어부(160)는 상기 외부 신호가 리더 신호이면, 표시부(130)의 기능과 NFC 모듈(140)의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가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부(130)를 비활성화하고(S315), NFC 모듈(140)의 기능 중에서 읽기 쓰기/피투피(P2P) 기능을 끔으로써(S317), 표시부(130)와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전원 자원을 절약시킨다. 이 경우, NFC 모듈(140)은 카드 모드와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로 교대로 변경되어 동작하지 않고, 카드 모드로만 동작한다
이어서, 제어부(160)는 NFC 모듈(140)의 카드 모드를 이용하여 통신 장치(100)의 태그 정보를 리더기로 제공함으로써(S319), 통신 장치(100)의 데이터(예컨대, 교통 카드 정보 등)이 상기 리더기로 전송되게 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상기 외부 신호가 리더 신호가 아니면, 상기 외부 신호가 외부의 타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근접 거리 통신을 위한 태그 신호인지를 확인한다(S321). 이어서, 제어부(160)는 상기 외부 신호가 태그 신호이면, 근접거리 통신을 요청하는 타 장치가 근접거리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의 켠(on)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고, NFC 모듈(140)을 통해 수신한 태그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타 통신 장치와 근접거리 세션을 형성하고, 상기 근접거리 세션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활성화된 표시부(130)에 출력한다(S323). 이때, 제어부(160)는 NFC 모듈(140)의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를 이용하여 타 통신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NFC 모듈(140)은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로만 동작한다.
한편, S321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상기 외부 RF 신호가 태그 신호가 아니고 빔(beam) 신호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빔 신호를 송출한 타 통신 장치와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하기 위하여, 비활성화된 근거리 통신 모듈(150)을 활성화시킨다(S325). 이어서, 제어부(160)는 근거리 통신 모듈(150)을 이용하여 무선 빔을 송출한 타 통신 장치와 근거리 무선 세션을 설정하고(S327), 더불어 근거리 무선 세션 과정 및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활성화된 표시부(130)에 출력한다. 이어서, 제어부(160)는 근거리 무선 세션을 설정되면, NFC 모듈(140)을 비활성화한다(S329).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100)는 통신 장치(100)의 움직임을 센싱하고, 이 센싱된 움직임에 근거하여 NFC 모듈(140)을 자동으로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간편하게 근접거리 통신 기능을 사용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100)는 근접거리 통신 기능이 이용될 때, 불필요한 구성 부품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원자원을 절약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122)의 센싱 값인 Z축 값이 지정된 시간 내에 임계값을 초과하는 반복 횟수, 기울기 센서(111)의 센싱 값인 피치(pitch) 값이 지정된 시간 내에 임계값을 초과하는 반복 횟수를 확인하고, 이 반복 횟수에 근거하여 NFC 모듈(140)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일상적인 움직임을 필터링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NFC 모듈 활성화 의도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한 설명에서, 기울기 센서(121), 가속도 센서(122)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기울기 센서(121), 가속도 센서(122) 모두를 이용하여 통신 장치(100)가 일정 횟수로 흔들렸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100)는 기울기 센서(121)로부터 수신한 피치 값 및 가속도 센서(122)로부터 수신한 Z값을 분석하여, 통신 장치(100)에서 일정 횟수의 흔들림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면밀하게 검증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 모드를 제어하는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200)는 저장부(110), 움직임 감지부(120), 표시부(130), NFC 모듈(140), 근거리 통신 모듈(150), 근접 센서(270), 조도 센서(28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도 4에 있어서, 도 2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도 2를 참조한 설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도 4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도 2와 상이한 참조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근접 센서(270)는 주로 통신 장치(200)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사물이 일정 거리(예컨대, 5cm) 내에 위치하고 있는 여부를 센싱한다. 상기 근접 센서(270)는 고주파 발진형, 정전 용량형, 자기형, 광전형, 초음파형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조도 센서(280)는 주변 빛의 밝기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제어부(260)는 통신 장치(2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로서, 근접 센서(270), 조도 센서(280), 표시부(130), NFC 모듈(140), 근거리 통신 모듈(150) 각각의 활성화를 제어하며, 또한, 통신 장치(200)의 운영 환경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NFC 모듈(140)에서 외부 태그를 감지하면, 근접 센서(270)와 조도 센서(280)를 활성화한 후, 일정 거리 이내에 사물이 감지되고 더불어 주변 조도가 임계치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통신 장치(200)의 현재의 운영 환경을 보관 상태 운영 환경으로 변경한다. 이때, 제어부(260)는 통신 장치(200)의 운영 환경을 보관 상태 운영 환경으로 변경할 때, 표시부(130)를 비활성화한다. 상기 보관 상태 운영 환경은 매너 모드 설정 상태, 근거리 통신 모듈(150)의 활성화 여부, NFC 모듈(140)의 활성화 여부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각 설정 정보가 사전에 설정될 수 있으며 디폴트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보관 상태 운영 환경에는 무음 또는 진동 모드, 근거리 통신 모듈(150)의 비활성화 및 NFC 모듈(140) 비활성화가 설정 정보로서 기록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60)는 움직임 감지부(120)를 통해서 일정 시간(예컨대, 0.5초) 이내에, 임계횟수 이상으로 통신 장치(200)의 흔들림 횟수가 감지되거나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되면, 통신 장치(200)의 운영 환경을 보관 상태 운영 환경으로 변경되기 이전 상태로 복구한다. 이때, 제어부(260)는 움직임 감지부(120)의 기울기 센서(121)로부터 수신한 값 중에서, 임계값을 초과한 피치 값의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횟수 이상이면, 상기 통신 장치(200)의 흔들림 횟수가 임계횟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260)는 움직임 감지부(120)의 가속도 센서(122)로부터 수신한 값 중에서, 임계값을 초과한 Z값의 횟수가 임계횟수 이상이면, 상기 통신 장치(200)의 흔들림 횟수가 임계횟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제어부(260)는 통신 장치(200)의 사용 환경을 복구시킬 때, 표시부(130)도 같이 활성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에서 센싱 데이터를 토대로 통신 장치의 운영 환경으로 보관 상태 운영 환경으로 변경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NFC 모듈(140)이 활성화되고 근접 센서(270)와 조도 센서(280)는 비활성화된 상태이며, NFC 태그가 가방, 옷 주머니 등의 보관 장소에 부착된 것으로 가정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활성화된 NFC 모듈(140)은 옷 주머니, 가방 등에 배치된 태그 신호를 감지한다(S501).
그러면, 제어부(260)는 통신 장치(200)가 가방, 옷 주머니 등의 보관 장소에 제대로 보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근접 센서(270)를 활성화하고, 상기 근접 센서(270)를 통해서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토대로 일정 거리 이내에 사물(예컨대, 옷 천, 가방 가죽 등)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503). 즉, 제어부(260)는 통신 장치(200)가 보관 장소에 수용되었는지 여부를, 근접 센서(270)의 센싱 데이터를 토대로 1차적으로 판별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60)는 근접 센서(270)를 통해서 사물이 감지되면, 조도 센서(280)를 활성화하고, 상기 조도 센서(280)를 통해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통신 장치(200) 주변의 조도를 측정한다(S505). 이어서, 제어부(260)는 측정한 조도가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하여(S507), 임계값 이하이면 통신 장치(200)가 주머니, 가방 등의 보관 장소에 제대로 보관됨으로 인하여 주변 밝기가 임계치 이하로 측정된 것으로 판단하여, 통신 장치(200)의 운영 환경을 보관 상태 운영 환경으로 변경한다(S509). 이때, 제어부(260)는 사전에 설정된 보관 상태 운영 환경의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벨 소리 모드를 매너 모드(즉, 무음 모드, 진동 모드)로 변경하는 동작, NFC 모듈(140)을 비활성화시키는 동작, 근거리 통신 모듈(150)을 비활성화시키는 동작 중에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부(260)는 표시부(130)가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표시부(130)를 비활성화 처리하며, 또한 바로 직전의 운영 환경의 설정 정보를 임시 저장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200)는 옷 주머니, 가방 등의 보관 장소의 태그를 인식하고, 더불어 근접 센서(270)를 통해 주변 사물이 감지되고 주변 조도가 임계치 이하이면, 보관 장소에 보관된 것으로 판단하여 운영 환경을 보관 상태 운영 환경으로 변경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에서 센싱 데이터를 토대로 통신 장치의 운영 환경을 복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60)는 움직임 감지부(120)를 통해서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고 모니터링하여, 일정 시간(예컨대, 0.5초) 이내에 임계횟수 이상으로 통신 장치(200)의 흔들림 횟수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01, S603). 이때, 제어부(260)는 움직임 감지부(120)의 기울기 센서(121)로부터 수신한 값 중에서, 일정 시간 이내에 임계값을 초과한 피치 값의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횟수 이상이면, 상기 통신 장치(200)의 흔들림 횟수가 임계횟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움직임 감지부(120)의 가속도 센서(122)로부터 수신한 값 중에서, 일정 시간 이내에 임계값을 초과한 Z값의 횟수가 임계횟수 이상이면, 상기 통신 장치(200)의 흔들림 횟수가 임계횟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60)는 일정 시간(예컨대, 0.5초) 이내에 임계횟수 이상으로 통신 장치(200)의 흔들림 횟수가 감지되면, 사용자가 가방, 옷 주머니 등의 보관 장소에서 통신 장치(200)를 꺼낸 후 통신 장치(200)를 사용하려는 것으로 판단하여, 보관 상태 운영 환경으로 변경되기 전의 상태로 통신 장치(200)의 운영 환경을 복구시킨다(S605). 즉, 제어부(260)는 보관 상태 운영 환경으로 변경하기 전에 저장한 바로 직전의 운영 환경의 설정 정보를 확인하고, 이 운영 환경 설정 정보를 토대로 통신 장치(200)의 운영 환경을 이 전의 환경을 복구시킨다. 바람직하게, 제어부(260)는 사용자가 통신 장치(200)를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비활성화된 표시부(130)를 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60)는 화면 잠금 해제 버튼이 클릭된 경우에도, 사용자가 통신 장치(200)의 사용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보관 상태 운영 환경으로 변경되기 전의 상태로 통신 장치(200)의 운영 환경을 복구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200)는 복수의 센서를 통해 센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관 장소에 통신 장치(200)를 보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보관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 장치(200)의 운영 환경을 보관 상태 운영 환경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간편하게 통신 장치의 운영 환경을 변경케 한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200 : 통신 장치 110 : 저장부
120 : 움직임 감지부 121 : 기울기 센서
122 : 가속도 센서 130 : 표시부
140 : NFC 모듈 150 : 근거리 통신 모듈
160 : 제어부 270 : 근접 센서
280 : 조도 센서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통신 장치에서 근접거리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통신 장치의 일정한 움직임이 감지되면,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활성화한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신호를 토대로 타 통신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신호가 리더 신호이면 화면을 끄고,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의 카드 모드가 켜지고,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의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가 꺼지도록,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타 통신 장치로 태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신호가 태그 신호이면,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의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를 켜지도록,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 신호를 송출한 상기 타 통신 장치와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 통신 장치에서 근접거리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통신 장치의 일정한 움직임이 감지되면,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활성화한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신호를 토대로 타 통신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신호가 빔 신호이면,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빔 신호를 송출한 상기 타 통신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장치의 기울기를 센싱하고,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한 기울기의 세부 데이터 중에서 피치 값을 확인하고, 일정 시간 동안에 임계값을 초과한 상기 피치 값의 횟수가 임계횟수 이상이면, 상기 통신 장치의 일정한 움직임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8.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장치의 가속도를 센싱하고,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한 가속도의 세부 데이터 중에서 Z값을 확인하고, 일정 시간 동안에 임계값을 초과한 상기 Z값의 횟수가 임계횟수 이상이면, 상기 통신 장치의 일정한 움직임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9.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활성화한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서 외부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서 외부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근접 거리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에서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의 처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타 통신 장치와 근접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접거리 통신 모듈;
    상기 통신 장치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움직임 감지부; 및
    상기 움직임 감지부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일정한 움직임이 감지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고, 활성화한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신호를 토대로 타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신호가 리더 신호이면, 상기 표시부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의 카드 모드가 켜지고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의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를 꺼지도록,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카드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타 통신 장치로 태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신호가 태그 신호이면,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의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를 켜지도록,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읽기 쓰기/피투피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 신호를 송출한 타 통신 장치와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신호가 빔 신호이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고, 활성화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빔 신호를 송출한 상기 타 통신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통신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을 형성한 후에,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상기 통신 장치의 기울기를 센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한 기울기의 세부 데이터 중에서 피치 값을 확인하고, 일정 시간 동안에 임계값을 초과한 상기 피치 값의 횟수가 임계횟수 이상이면, 상기 통신 장치의 일정한 움직임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7.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상기 통신 장치의 가속도를 센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한 가속도의 세부 데이터 중에서 Z값을 확인하고, 일정 시간 동안에 임계값을 초과한 상기 Z값의 횟수가 임계횟수 이상이면, 상기 통신 장치의 일정한 움직임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8.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한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서 외부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외부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9. 삭제
  20. 운영 환경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에서 있어서,
    근접된 사물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주변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 및
    상기 근접 센서와 상기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근접된 사물이 인식되고 주변 조도가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통신 장치가 보관 장소에 수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운영 환경을 보관 상태 운영 환경으로 변경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보관 장소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는 근접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거리 통신 모듈에서 상기 태그를 인식하면, 상기 근접 센서와 상기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관 상태 운영 환경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벨 소리 변경 동작, 근접거리 통신 모듈의 활성화 여부 동작, 근거리 통신 모듈 활성화 여부 동작 중에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되면, 상기 통신 장치의 운영 환경을 상기 보관 상태 운영 환경으로 변경되기 전 상태로 복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움직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일정한 움직임이 감지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통신 장치의 운영 환경을 상기 보관 상태 운영 환경으로 변경되기 전 상태로 복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KR1020140062998A 2014-05-26 2014-05-26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06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998A KR101806455B1 (ko) 2014-05-26 2014-05-26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998A KR101806455B1 (ko) 2014-05-26 2014-05-26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882A KR20150135882A (ko) 2015-12-04
KR101806455B1 true KR101806455B1 (ko) 2017-12-07

Family

ID=5486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998A KR101806455B1 (ko) 2014-05-26 2014-05-26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45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882A (ko) 2015-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26234A1 (en) User interface for object tracking
US20160036996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tatic electric field sensor and related method
JP6238542B2 (ja) 迷子捜索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迷子捜索方法
US20140173439A1 (en) User interface for object tracking
KR100842566B1 (ko)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US20140073262A1 (en) Proximity tag for object tracking
US20160165039A1 (en) Terminal device
JP2008175816A (ja) ユーザ行跡追跡システム、方法および媒体
CA2926494A1 (en) Sensor-based action control for mobile wireless telecommunication computing devices
KR101546346B1 (ko) 휴대품 분실 예방 시스템
US20130023211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state output method
WO2014160372A1 (en) User interface for object tracking
KR101806455B1 (ko)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1035438A (ja) センサ機能を有する無線端末機器、該端末機器の省電力化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887944B1 (ko) 이동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분실 방지 장치
KR20140030033A (ko) 정보 표시를 위한 저전력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203349B1 (ko) 대기상태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그 방법
US20130002402A1 (en) Signaling device
JP2007034683A (ja) Icタグ及びタグ管理システム
KR20120072191A (ko)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및 위치 추적 장치
JP2017134037A (ja) 見守り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5138983A (ja) 紛失報知システム
KR20140086937A (ko) 방송수신장치의 상태에 따라 모드를 설정하는 원격제어장치
KR102450499B1 (ko)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체 통신 방법
JP7431002B2 (ja) 被探索装置及び探索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