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383B1 - 하부오거의 구동방식이 개선된 항타장치 - Google Patents

하부오거의 구동방식이 개선된 항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383B1
KR101806383B1 KR1020170044183A KR20170044183A KR101806383B1 KR 101806383 B1 KR101806383 B1 KR 101806383B1 KR 1020170044183 A KR1020170044183 A KR 1020170044183A KR 20170044183 A KR20170044183 A KR 20170044183A KR 101806383 B1 KR101806383 B1 KR 101806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driving
auger
rotat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용규
Original Assignee
(주)신세계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세계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신세계중공업
Priority to KR1020170044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3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6Placing by using several means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8Placing of hollow pipes or mould pipes by means arranged inside the piles or pipes
    • E02D7/30Placing of hollow pipes or mould pipes by means arranged inside the piles or pipes by driving co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오거의 구동방식이 개선된 항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리더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 스크류로드가 장착되어 상기 스크류로드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부오거와, 상기 상부오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리더의 측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스크류로드를 감싸도록 케이싱로드가 장착되어 상기 케이싱로드를 상기 스크류로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하부오거를 포함하는 항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오거는 하부에 케이싱로드가 장착되며 외연을 따라 기어편이 형성되는 래치기어몸체와, 상기 래치기어몸체의 외측에 상하부로 이격되어 상기 기어편에 각각 기어결합되되 일방향으로만 상기 래치기어몸체에 기어결합력이 제공되는 제1, 제2링체와, 상기 제1, 제2링체의 일측에 구동로드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구동로드의 신장과 수축에 의해 상기 제1, 제2링체가 상기 래치기어몸체의 외측에서 양방향으로 왕복구동되는 제1, 제2실린더 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제2실린더 구동부가 각각 신장과 수축이 교번되도록 동작되어 상기 제1, 제2링체의 왕복구동에 의해 상기 래치기어몸체가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던 케이싱로드를 유압 실린더의 왕복구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케이싱로드가 지중에 박혀 회전되지 않더라도 고장이 발생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부오거의 구동방식이 개선된 항타장치{DRIVING PILE MACHINE WITH IMPROVED CASING AUGER OPERATING MECHANISM}
본 발명은 하부오거의 구동방식이 개선된 항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구동력으로 회전되는 케이싱로드의 구동방식을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여 케이싱로드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오거의 구동방식이 개선된 항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건축물은 날로 고층화 및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고층건축물은 자중에 의한 수직하중이나 풍력을 크게 작용받게 된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건축물은 지층을 관통하여 지반층에 받쳐지는 지지파일로 지지되는 구조로 시공되며, 이러한 파일공사는 항타기 등으로 타격하여 지중에 파일을 직접적으로 박아넣는 충격식과, 오거(auger)를 회전시켜 굴착공을 천공한 후 그 굴착공 내에 말뚝을 근입하는 천공식이 있다.
도 1은 종래 오거를 이용한 일반적인 항타기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하부오거의 내부 단면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기초파일 즉 지반굴착공사에 있어서 DRA(Double Rod Auger)공법은 내부 오거와 외부 케이싱 오거(Casing Auger) 즉 상부오거(1)와 하부오거(2)를 병용하여 지반을 천공한 후 하부오거(2)로 파일을 건입한 다음 파일이 안착되면 항타기로 항타하여 파일이 지지층에 완전히 안착되게 한다.
상기 기초 파일 공사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오거(1)와 하부오거(2)는 하나의 리더(3: leader)에 상하로 결합되고, 상부오거(1)에는 스크류로드(4)가 장착되고 하부오거(2)에는 케이싱로드(5)가 장착되며, 스크류로드(4)는 케이싱로드(5)의 내부로 수용된다. 그리고, 케이싱로드(5)는 스크류로드(4)가 지반을 천공할 때 토사가 무너지지 않게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부오거(1)와 하부오거(2) 간의 힘의 발란스를 잡아주기 위해, 스크류 로드(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케이싱로드(5)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지반을 천공하고, 이때 케이싱로드(4)의 내측으로 압축공기가 유입되고, 그에 따라 슬라임 배토가 하부오거(2)의 상부측으로 배출된다.
아울러 스크류로드(4)와 케이싱로드(5)가 지지층에 도달하면 상부오거(1)가 스크류 로드(4)를 역회전시켜 스크류로드(4)를 뽑아 올려 제거하며, 하부오거(2)의 구동부와 케이싱로드(5)를 분리한 후 케이싱로드(5)의 내부로 파일을 삽입한 후 하부오거(2)의 구동부를 다시 케이싱로드(5)에 결합하여 하부오거(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케이싱로드(5)를 뽑아 올리면 파일이 지반에 설치되고 지반에 설치된 파일을 항타기로 수차 항타하여 파일이 지지층에 완전히 안착되면 파일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상부오거(1)와 하부오거(2)는 모터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오거(2)는 케이싱로드(5)가 양측 2개의 모터(2a)에 기어결합되어 모터구동력에 의해 동작되나, 이러한 케이싱로드(5)에는 부하가 많이 가해져 케이싱로드(5)를 회전시키기 위해 용량이 큰 고가의 모터를 사용하여야 하며 특히, 케이싱로드(5)가 지면에 박혀 회전되지 않게 되면 모터(2a)에 아주 큰 부하가 발생되어 모터(2a)가 과열되면서 타버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아울러 모터(2a)가 과열되면서 하부에 장착되는 케이싱로드(5)와 들러붙어버리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모터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하부오거의 구동방식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구동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케이싱로드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한 고장발생 없이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하부오거의 구동부가 개선된 항타장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6225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구동력으로 회전되는 케이싱로드의 구동방식을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여 케이싱로드가 회전될 수 있는 방식으로 변경하여 케이싱로드가 지면에 박혀 회전되지 않더라도 고장이 발생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리더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 스크류로드가 장착되어 상기 스크류로드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부오거와, 상기 상부오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리더의 측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스크류로드를 감싸도록 케이싱로드가 장착되어 상기 케이싱로드를 상기 스크류로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하부오거를 포함하는 항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오거는 하부에 케이싱로드가 장착되며 외연을 따라 기어편이 형성되는 래치기어몸체와, 상기 래치기어몸체의 외측에 상하부로 이격되어 상기 기어편에 각각 기어결합되되 일방향으로만 상기 래치기어몸체에 기어결합력이 제공되는 제1, 제2링체와, 상기 제1, 제2링체의 일측에 구동로드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구동로드의 신장과 수축에 의해 상기 제1, 제2링체가 상기 래치기어몸체의 외측에서 양방향으로 왕복구동되는 제1, 제2실린더 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제2실린더 구동부가 각각 신장과 수축이 교번되도록 동작되어 상기 제1, 제2링체의 왕복구동에 의해 상기 래치기어몸체가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오거는 원통형상으로 외연에 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과 대향되는 면에는 상기 래치기어몸체의 중심을 향하는 일직선상의 밀착면이 형성되는 기어편이 연속적으로 돌출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케이싱로드가 장착되는 래치기어몸체와, 상기 래치기어몸체의 외연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내측면에는 원호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설치홈이 형성되는 제1링체와, 상기 제1설치홈 내측에 탄성스프링이 삽입되어, 일측이 상기 탄성스프링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기어편에 기어결합되도록 상기 기어편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1슬라이딩면과 상기 기어편의 밀착면에 대응되는 제1가압면이 형성되는 제1삽입핀과, 상기 래치기어몸체의 외연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되, 내측면에는 원호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설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링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링체와, 상기 제2설치홈 내측에 탄성스프링이 삽입되어, 일측이 상기 탄성스프링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기어편에 기어결합되도록 상기 기어편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슬라이딩면과 상기 기어편의 밀착면에 대응되는 제2가압면이 형성되는 제2삽입핀과, 제1구동로드가 상기 제1링체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어 상기 제1구동로드가 왕복구동되면서 상기 제1링체를 일정 행정거리만큼 회동시키는 제1실린더 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로드의 구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되는 제2구동로드가 상기 제2링체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어 상기 제2구동로드가 왕복구동되면서 상기 제2링체를 일정 행정거리만큼 회동시키는 제2실린더 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구동로드의 신장에 의해 상기 제1링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삽입핀의 제1가압면이 상기 기어편의 밀착면에 밀착되어 상기 래치기어몸체가 상기 제1실린더 구동부의 행정거리만큼 회전되고, 상기 제2구동로드는 수축에 의해 상기 제2링체가 상기 제1링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삽입핀의 제2슬라이딩면이 상기 기어편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2실린더 구동부의 행정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제2링체의 외측면에는 삽입공이 형성된 결합플랜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제2구동로드의 각 단부가 상기 삽입공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 제2실린더 구동부의 타단부는 상기 하부오거의 일측에 각각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제2삽입핀에는 상기 제1, 제1슬라이딩면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강몸체가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1, 제2설치홈에는 상기 보강몸체의 상부측에 이탈방지턱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보강몸체와 상기 이탈방지턱 사이에는 탄성흡수부재가 개재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던 케이싱로드를 유압 실린더의 왕복구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케이싱로드가 지중에 박혀 회전되지 않더라도 고장이 발생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오거를 이용한 일반적인 항타기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하부오거의 내부 단면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타장치의 하부오거 측단면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오거의 평면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래치기어몸체에 제1, 제2링체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오거의 제1, 제2실린더 구동부의 신장과 수축에 따른 제1, 제2링체의 회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1실린더 구동부의 신장에 따른 래치기어몸체의 회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2실린더 구동부의 신장에 따른 래치기어몸체의 회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핀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타장치의 하부오거 측단면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오거의 평면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래치기어몸체에 제1, 제2링체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도 1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리더(3)상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하부에 스크류로드(4)가 장착되어 스크류로드(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부오거(1)와, 상부오거(1)의 하부에 설치되어 리더(3)상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하부에 스크류로드(4)를 감싸도록 케이싱로드(5)가 장착되어 케이싱로드(5)를 스크류로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하부오거(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항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모터에 기어결합되어 모터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던 하부오거(2)를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실린더의 왕복구동에 의해 케이싱로드(5)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하부오거는 래치기어몸체(100), 제1, 제2링체(200, 400), 제1, 제2삽입핀(300, 500) 및 제1, 제2실린더 구동부(600, 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래치기어몸체(100)는 원통형상으로 외연에는 제1, 제2링체(200, 400)와 기어결합되기 위한 기어편(110)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기어편(110)은 래치기어몸체(100)의 외연에 상하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1, 제2링체(200, 400)가 기어편(110)의 상하로 배치되어 기어편(110)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기어편(110)은 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11)이 형성되고, 경사면(111)에 대향되는 반대쪽 면에는 래치기어몸체(100)의 중심을 향하는 일직선상의 밀착면(112)이 형성되어, 톱니 형상의 기어편(110)이 래치기어몸체(100)의 외연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1링체(200)는 래치기어몸체(100)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내측에 형성되어 래치기어몸체(100)의 상부측에 래치기어몸체(100)의 외연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제1링체(200)의 내측면에는 원호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설치홈(21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제1링체(200)의 내측면 사방에 제1설치홈(210)이 상하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제1삽입핀(300)은 일측이 제1설치홈(210) 내측에 삽입된 탄성스프링(220)에 결합되고, 타측이 기어편(110)에 결합되도록 제1설치홈(2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단부에는 기어편(110)의 경사면(111)과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진 제1슬라이딩면(310)이 형성되어 제1슬라이딩면(310)이 경사면(111)에 슬라이딩되며, 제1슬라이딩면(310)의 반대측 면에는 기어편(110)의 밀착면(1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밀착면(112)을 가압하는 제1가압면(320)이 형성된다.
제2링체(400)는 제1링체(200)와 같이 래치기어몸체(100)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내측에 형성되어 래치기어몸체(100)의 상부측에 래치기어몸체(100)의 외연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되, 제1링체(20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링체(200)의 하부에 설치된다.
제2삽입핀(500)은 제1삽입핀(300)과 같이 일측이 제2설치홈(410) 내측에 삽입된 탄성스프링(420)에 결합되고, 타측이 기어편(110)에 결합되도록 기어편(110)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슬라이딩면(510)과 제2가압면(520)이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제1, 제2삽입핀(300, 500)은 90°간격으로 형성된 제1, 제2설치홈(210, 410)에 삽입되어 사방으로 제1, 제2링체(200, 400)에 기어결합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제1실린더 구동부(600)는 제1링체(200)의 외측면에 제1구동로드(610)로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어 제1구동로드(610)의 왕복구동에 의해 제1링체(200)가 일정 행정거리만큼 왕복 회동되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제1링체(200)의 양측에 2개의 제1실린더 구동부(600)가 결합되어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제2실린더 구동부(700)는 제1실린더 구동부(600)와 같이 제2링체(400)의 외측면에 제2구동로드(710)로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며, 제1구동로드(610)와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구동되어 제2링체(400)를 일정 행정거리만큼 왕복 회동시킨다.
아울러 제1, 제2링체(200, 400)의 외측면에는 삽입공(231, 431)이 형성된 결합플랜지(230, 430)가 각각 결합되고, 제1, 제2구동로드(610, 710)의 각 단부가 삽입공(231, 431)에 각각 힌지결합되며, 제2실린더 구동부(700)의 타단부는 하부오거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미도시)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제1, 제2실린더 구동부(600, 700)는 힌지결합축으로부터 일정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제1, 제2구동로드(610, 710)의 신장과 수축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부오거는 제1, 제2실린더 구동부(600, 700)가 신장될 경우에는 제1, 제2링체(200, 40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러한 일방향 회전에 의해 래치기어몸체(100)에 기어결합력을 제공하여 래치기어몸체(100)가 일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도록 하며, 제1, 제2실린더 구동부(600, 700)가 수축될 경우에는 제1, 제2링체(200, 40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러한 반대방향의 회전으로 제1, 제2슬라이딩면(310, 510)이 래치기어몸체(100)의 기어편(110)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래치기어몸체(100)에 기어결합력이 제공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제2실린더 구동부(600, 700)가 신장과 수축을 교번하여 동작되도록 하여 래치기어몸체(100)가 제1, 제2실린더 구동부(600, 700)의 신장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연속적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하부오거의 자세한 동작은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오거의 제1, 제2실린더 구동부의 신장과 수축에 따른 제1, 제2링체의 회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제1실린더 구동부의 신장에 따른 래치기어몸체의 회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제2실린더 구동부의 신장에 따른 래치기어몸체의 회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오거는 제1, 제2구동로드(610, 710)가 교번되도록 신장과 수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데, 도 6과 도 7은 제1구동로드(610)가 신장되고 제2구동로드(710)는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구동로드(610)의 신장에 의해 제1구동로드(610)와 결합된 제1링체(200)가 반시계방향으로 제1실린더 구동부(600)의 행정거리만큼 회전된다. 이때, 제1링체(200) 내부에 삽입된 제1삽입핀(300)의 제1가압면(320)이 래치기어몸체(100)에 형성된 기어편(110)의 밀착면(112)을 밀면서 래치기어몸체(100)가 제1링체(200)의 회전반경과 동일한 반경(θ1)으로 회전된다.
아울러, 제2구동로드(710)는 제1구동로드(610)와 반대로 수축하게 되어 제2구동로드(710)와 결합된 제2링체(400)는 제1링체(2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제2링체(4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링체(400) 내부에 삽입된 제2삽입핀(500)의 제2슬라이딩면(510)이 래치기어몸체(100)에 형성된 기어편(110)의 경사면(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즉, 제2삽입핀(500)의 제2슬라이딩면(510)이 경사면(111)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제2설치홈(410)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되며 이때 제2설치홈(410) 내부의 탄성스프링(420)은 압축되고, 제2삽입핀(500)이 경사면(111)을 지나 기어편(110)의 밀착면(112)에서는 다시 압축된 탄성스프링(420)이 탄성복원되면서 제2삽입핀(500)이 제2설치홈(410) 내측에서 외부로 다시 돌출되며 다시 기어편(110)의 다음번에 연속형성된 경사면(111)을 따라 다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와 같이 제2구동로드(710)가 수축하게 될 경우에는 제2삽입핀(500)의 제2슬라이딩면(510)이 래치기어몸체(100)의 외연에 형성된 기어편(1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제2링체(400)만 회전될 뿐, 래치기어몸체(100)에 기어결합력이 제공되지 않게 된다.
그런 다음, 도 8에서와 같이 신장되었던 제1구동로드(610)는 다시 수축하게 되고, 이와 함께 제2구동로드(710)는 다시 신장된다.
이와 같이 제1구동로드(610)가 수축되면 상기의 제2구동로드(710)의 수축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1링체(2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때 제1링체(200)에 삽입된 제1삽입핀(300)의 제1슬라이딩면(310)이 래치기어몸체(100)에 형성된 기어편(110)의 경사면(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래치기어몸체(100)에 별도의 기어결합력을 제공하지 않게 된다.
이와 함께 제2구동로드(710)가 신장되어 제2링체(4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때 제2삽입핀(500)의 제2가압면(520)이 래치기어몸체(100)에 형성된 기어편(110)의 밀착면(112)에 밀착되면서 래치기어몸체(100)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θ2)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구동로드(610)의 신장에 의해 래치기어몸체(100)가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θ1)로 회전되며, 제1구동로드(610)가 다시 수축될 경우에는 하부에 설치된 제2구동로드(710)가 다시 신장하게 되어 래치기어몸체(100)가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각도(θ2)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래치기어몸체(100)는 제1, 제2구동로드(610, 710)의 신장과 수축이 교번되면서 일정각도(θ1, θ2)로 연속하여 회전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핀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 제2삽입핀(300, 500)은 제2슬라이딩면(310, 510)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몸체(330, 5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는 제1, 제2링체(200, 400)가 회전되면서 제1, 제2가압면(320, 520)이 기어편(110)의 밀착면(112)을 밀게 될 경우, 가압되는 반대방향으로 보강몸체(330, 530)를 두어 삽입핀(300, 500)에 가해지는 부하를 보강하여 과도한 부하에 의해 제1, 제2삽입핀(300, 500)이 파손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제1, 제2설치홈(210, 410)에는 보강몸체(330, 530)의 상부측에 이탈방지턱(240, 440)이 돌출형성되며, 보강몸체(330, 530)와 이탈방지턱(240, 440) 사이에는 탄성흡수부재(250, 450)가 개재된다.
이러한 도 9는 제1, 제2삽입핀(300, 500)의 제2슬라이딩면(310, 510)이 래치기어몸체(100)의 기어편(110)에 형성된 경사면(111)에 접촉된 상태로, 제2슬라이딩면(310, 510)이 경사면(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경우 제1, 제2삽입핀(300, 500)이 제1, 제2설치홈(210, 410)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다 제2슬라이딩면(310, 510)을 지나 밀착면(112)에 이르러서는 제1, 제2설치홈(210, 410) 내측에 가압된 탄성스프링(220, 420)이 탄성복원되면서 제1, 제2삽입핀(300, 500)이 기어편(110)을 향하여 튀어나오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턱(240, 440)에 의해 제1, 제2삽입핀(300, 500)이 제1, 제2설치홈(210, 4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아울러 탄성반발력으로 튀어나오게 되는 제1, 제2삽입핀(300, 500)이 기어편(110)에 부딪혀 파손되지 않고 탄성흡수부재(250, 450)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반발력을 흡수하도록 한다.
이러한 탄성흡수부재(250, 450)는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래치기어몸체 110 : 기어편
111 : 경사면 112 : 밀착면
200 : 제1링체 210 : 제1설치홈
220 : 탄성스프링 230 : 결합플랜지
231 : 삽입공 240 : 이탈방지턱
250 : 탄성흡수부재
300 : 제1삽입핀 310 : 제1슬라이딩면
320 : 제1가압면 330 : 보강몸체
400 : 제2링체 410 : 제2설치홈
420 : 탄성스프링 430 : 결합플랜지
431 : 삽입공 440 : 이탈방지턱
450 : 탄성흡수부재
500 : 제2삽입핀 510 : 제2슬라이딩면
520 : 제2가압면 530 : 보강몸체
600 : 제1실린더 구동부 610 : 제1구동로드
700 : 제2실린더 구동부 710 : 제2구동로드

Claims (4)

  1.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리더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 스크류로드가 장착되어 상기 스크류로드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부오거와, 상기 상부오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리더의 측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스크류로드를 감싸도록 케이싱로드가 장착되어 상기 케이싱로드를 상기 스크류로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하부오거를 포함하는 항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오거는
    원통형상으로 외연에 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과 대향되는 면에는 래치기어몸체의 중심을 향하는 일직선상의 밀착면이 형성되는 기어편이 연속적으로 돌출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케이싱로드가 장착되는 래치기어몸체와,
    상기 래치기어몸체의 외연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내측면에는 원호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설치홈이 형성되는 제1링체와,
    상기 제1설치홈 내측에 탄성스프링이 삽입되어, 일측이 상기 탄성스프링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기어편에 기어결합되도록 상기 기어편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1슬라이딩면과 상기 기어편의 밀착면에 대응되는 제1가압면이 형성되는 제1삽입핀과,
    상기 래치기어몸체의 외연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되, 내측면에는 원호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설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링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링체와,
    상기 제2설치홈 내측에 탄성스프링이 삽입되어, 일측이 상기 탄성스프링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기어편에 기어결합되도록 상기 기어편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슬라이딩면과 상기 기어편의 밀착면에 대응되는 제2가압면이 형성되는 제2삽입핀과,
    제1구동로드가 상기 제1링체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어 상기 제1구동로드가 왕복구동되면서 상기 제1링체를 일정 행정거리만큼 회동시키는 제1실린더 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로드의 구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되는 제2구동로드가 상기 제2링체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어 상기 제2구동로드가 왕복구동되면서 상기 제2링체를 일정 행정거리만큼 회동시키는 제2실린더 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구동로드의 신장에 의해 상기 제1링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삽입핀의 제1가압면이 상기 기어편의 밀착면에 밀착되어 상기 래치기어몸체가 상기 제1실린더 구동부의 행정거리만큼 회전되고, 상기 제2구동로드는 수축에 의해 상기 제2링체가 상기 제1링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삽입핀의 제2슬라이딩면이 상기 기어편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2실린더 구동부의 행정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제1, 제2실린더 구동부가 각각 신장과 수축이 교번되도록 동작되어 상기 제1, 제2링체의 왕복구동에 의해 상기 래치기어몸체가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오거의 구동방식이 개선된 항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링체의 외측면에는 삽입공이 형성된 결합플랜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제2구동로드의 각 단부가 상기 삽입공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 제2실린더 구동부의 타단부는 상기 하부오거의 일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오거의 구동방식이 개선된 항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삽입핀에는 상기 제1, 제1슬라이딩면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강몸체가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1, 제2설치홈에는 상기 보강몸체의 상부측에 이탈방지턱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보강몸체와 상기 이탈방지턱 사이에는 탄성흡수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오거의 구동방식이 개선된 항타장치.
KR1020170044183A 2017-04-05 2017-04-05 하부오거의 구동방식이 개선된 항타장치 KR101806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183A KR101806383B1 (ko) 2017-04-05 2017-04-05 하부오거의 구동방식이 개선된 항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183A KR101806383B1 (ko) 2017-04-05 2017-04-05 하부오거의 구동방식이 개선된 항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6383B1 true KR101806383B1 (ko) 2018-01-11

Family

ID=61004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183A KR101806383B1 (ko) 2017-04-05 2017-04-05 하부오거의 구동방식이 개선된 항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3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4952A (zh) * 2021-05-10 2021-07-27 福建省湘闽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施工用防偏式打地桩装置
CN114232872A (zh) * 2021-11-25 2022-03-25 滁州金诚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铝梁尾部连接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284A (ja) 2002-02-20 2003-08-27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ケーシングドライ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284A (ja) 2002-02-20 2003-08-27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ケーシングドライ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4952A (zh) * 2021-05-10 2021-07-27 福建省湘闽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施工用防偏式打地桩装置
CN113174952B (zh) * 2021-05-10 2022-08-16 福建省湘闽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施工用防偏式打地桩装置
CN114232872A (zh) * 2021-11-25 2022-03-25 滁州金诚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铝梁尾部连接件
CN114232872B (zh) * 2021-11-25 2023-11-24 滁州金诚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铝梁尾部连接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0099B1 (en) Anchor tool
KR101806383B1 (ko) 하부오거의 구동방식이 개선된 항타장치
CN104912187B (zh) 一种下水道除污抓斗专用径向锁紧装置
CN102296608A (zh) 内管夹具
WO2014180167A1 (zh) 往复冲击采掘机摇臂旋转的方法及旋转摇臂往复冲击采掘机
CN202706969U (zh) 取芯钻具
US8261848B2 (en) Drilling apparatus
CN102677723B (zh) 矩形灌注桩成孔机
US8082734B2 (en) Drive assembly for a reciprocating pump utilizing a linear actuator
CN110258595B (zh) 一种抗滑桩
CN108729852B (zh) 一种市政工程用的弧形地桩螺旋钻
JP6039498B2 (ja) 掘削ヘッド
CN102677717B (zh) 双动力成槽机
KR101329333B1 (ko) 락드릴 로드 수납용 암
KR20220162845A (ko) 핀축 분리 및 조립 장치, 프레임 바디 연결 구조 및 작업 기계
CN108221993A (zh) 一种水下打桩机
CN219510102U (zh) 机械锁定收放活塞杆筒承载机电作动器
CN215486010U (zh) 一种刀箱的伸缩结构及刀箱
CN108386089B (zh) 用于立转式防淹防护门的门体导向及锁定装置
CN209261500U (zh) 缓冲装置、动力头以及旋挖钻机
CN214365883U (zh) 一种地热钻探中含石膏泥页岩地层钻进防卡装置
CN103774638B (zh) 臂管融合式履带强夯置换机
CN220726208U (zh) 一种桩机
CN117145469B (zh) 一种隧道施工用岩石胀碎装置及其使用方法
CN217028790U (zh) 钻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