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032B1 -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032B1
KR101806032B1 KR1020160090609A KR20160090609A KR101806032B1 KR 101806032 B1 KR101806032 B1 KR 101806032B1 KR 1020160090609 A KR1020160090609 A KR 1020160090609A KR 20160090609 A KR20160090609 A KR 20160090609A KR 101806032 B1 KR101806032 B1 KR 101806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impedance
fingerprint
unit
biome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필
김황관
장인수
최기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Priority to KR1020160090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82Detecting the live character of the finger, i.e. distinguishing from a fake or cadaver finger
    • G06K9/00107
    • G06K9/0008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Inpu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페이크 핑거(Fake finger)와 생체 핑거(Live finger)를 판별하여 지문 인식 센서를 보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핑거의 지문을 스캔하는 지문 스캔부; 핑거가 접촉하는 접촉부에 배치되고 상호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전도체; 한 쌍의 전도체에 AC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인가부; 핑거의 접촉에 따른 AC 주파수 신호에 기한 임피던스를 획득하는 임피던스 획득부; 획득된 임피던스에 기반하여 핑거의 생체 여부를 감지하는 생체 감지부; 및 핑거의 생체 여부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핑거가 페이크 핑거(fake finger)인 경우 스캔된 지문을 허용하지 않고, 그리고 핑거가 생체 핑거(live finger)인 경우 스캔된 지문을 허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EMENT FINGERPRINT SENSOR WITH LIVE FINGER IMPEDENCE}
본 발명은 지문 인식 센서를 보완하는 보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안 방법으로 생체 인식을 통한 보안 방법이 많이 행하여지고,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 단말 등에 적용되면서 그 적용예가 다양해지고 그 수요도 많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생체 인식을 통한 보안방법 중 지문 인식은 출입통제 보안이나 전자기기 단말의 사용통제 보안 등에 널리 이용되고 대중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문 인식 보안의 원리는 광학식, 축전식, 열감지식, 반도체식 등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지문 인식 장치가 적용되는 상황과 지문 인식 원리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지문 인식 보안 장치는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위조될 수 있는 여지가 많다. 즉, 지문 몰딩 등으로 제작된 페이크 핑거(fake finger)를 이용하여 쉽게 보안 장치를 속일 수 있고 이러한 페이크 핑거로는 실리콘 러버 핑거(Silicone Rubber Finger)를 제작하거나, 몰딩 플라스틱(molding plastic)과 젤라틴(gelatin)을 이용하여 제작한 인공 핑거(gummy finger or artificial finger)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페이크 핑거의 지문 인식률은 매우 높은 편이며 종래 지문 인식 보안 장치를 쉽게 뚫을 수 위조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 5,953,441 호에서는 이러한 페이크 핑거의 속임수를 검출하기 위해 용량성 감지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용량성 지문 감지 장치용 속임수 검출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단순히 생체 핑거의 특징이 되는 신호들이 위조된 핑거 특징과 다름을 서술하고 있을 뿐 구체적으로 어떠한 페이크 핑거와 구별될 수 있는지, 페이크 핑거와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른 특성을 갖는지, 그리고 주파수 변화에 따른 임피던스 특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페이크 핑거와 생체 핑거의 차이점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생체 핑거 여부를 판단하여 지문 인식 센서를 보완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페이크 핑거(Fake finger)와 생체 핑거(Live finger)를 판별하여 지문 인식 센서를 보완할 수 있는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페이크 핑거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생체 핑거와의 관계에서 임피던스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실용적으로 지문 인식 센서를 보완할 수 있는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핑거의 지문을 스캔하는 지문 스캔부; 핑거가 접촉하는 접촉부에 배치되고 상호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전도체; 한 쌍의 전도체에 AC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인가부; 핑거의 접촉에 따른 AC 주파수 신호에 기한 임피던스를 획득하는 임피던스 획득부; 획득된 임피던스에 기반하여 핑거의 생체 여부를 감지하는 생체 감지부; 및 핑거의 생체 여부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핑거가 페이크 핑거(fake finger)인 경우 스캔된 지문을 허용하지 않고, 그리고 핑거가 생체 핑거(live finger)인 경우 스캔된 지문을 허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는 생체 핑거의 임피던스 위상이 제로 크로싱되는 생체 주파수 대역 정보를 저장하는 제1 생체 정보부;를 더 포함하고,
신호 인가부는, 인가된 AC 주파수 신호를 가변 주파수 신호로 인가하고, 그리고 생체 감지부는, 핑거의 획득된 임피던스의 위상이 제로 크로싱되는 주파수 대역이 생체 주파수 대역 정보보다 큰 경우 핑거를 페이크 핑거로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는 생체 핑거의 임피던스 크기가 페이크 핑거보다 작아지는 임계 주파수 대역 정보와 임계 주파수 대역 정보 이상의 AC 주파수 신호에 따른 생체 핑거의 임피던스 크기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생체 정보부;를 더 포함하고,
신호 인가부는, 인가된 AC 주파수 신호를 임계 주파수 대역 정보보다 큰 AC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고, 그리고
생체 감지부는, 핑거의 획득된 임피던스의 크기가 생체 핑거의 임피던스 크기 정보보다 큰 경우 핑거를 페이크 핑거로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카테고리로서, 핑거가 접촉부에 접촉되는 단계(S10); 지문 스캔부가 핑거의 지문을 스캔하는 단계(S20); 신호 인가부가, 접촉부에 배치되고 상호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전도체에 AC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S30); 임피던스 획득부가 핑거의 접촉에 따른 인가된 AC 주파수 신호에 기한 임피던스를 획득하는 단계(S40); 생체 감지부가 획득된 임피던스에 기반하여 핑거의 생체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50); 및 제어부가 핑거의 생체 여부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핑거가 페이크 핑거(fake finger)인 경우 스캔된 지문을 허용하지 않는 불허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60)와 핑거가 생체 핑거(live finger)인 경우 스캔된 지문을 허용하는 허용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70)가 택일적으로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인가단계(S30)에서 AC 주파수 신호는 가변 주파수 신호이고, 생체여부 감지단계(S50)는, 핑거의 획득된 임피던스의 위상이 제로 크로싱되는 주파수 대역이, 생체 핑거의 임피던스 위상이 제로 크로싱되는 생체 주파수 대역 정보보다 큰 경우 핑거를 페이크 핑거로 감지하는 단계(S52)와 생체 주파수 대역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핑거를 생체 핑거로 감지하는 단계(S54)를 택일적으로 수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신호 인가단계(S30)에서 AC 주파수 신호는 임계 주파수 대역 정보보다 큰 AC 주파수 신호이고, 생체여부 감지단계(S50)는, 핑거의 획득된 임피던스의 크기가 생체 핑거의 임피던스 크기 정보보다 큰 경우 핑거를 페이크 핑거로 감지하는 단계(S56)와 생체 핑거의 임피던스 크기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핑거를 생체 핑거로 감지하는 단계(S58)를 택일적으로 수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페이크 핑거(Fake finger)와 생체 핑거(Live finger)를 판별하여 지문 인식 센서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페이크 핑거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생체 핑거와의 관계에서 임피던스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지문 인식 센서의 보완의 실용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스캔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도전체 베젤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를 이용하여 생체 핑거와 페이크 핑거의 임피던스 위상 관계를 표로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를 이용하여 생체 핑거와 페이크 핑거의 임피던스 크기 관계를 표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표기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스캔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지문 스캔부(10)는 광원(S)과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디텍터(D)를 하부에 배치시키고 투명 글라스(G)의 접촉부(110)로 형성되었다. 본 실시예는 보완의 대상이 광학식 지문 센서이므로 일 구성인 접촉부(110) 하부에 광원(S)과 디텍터(D)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지문 스캔부(10)는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접촉부(110)를 포함하면 정전용량 방식의 지문 인식 센서 또는 반도체방식의 지문 인식 센서 또는 열감지식 지문 인식 센서 등의 지문 스캔부(10)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도전체 베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110)를 둘러싸서 상호 이격되어 한 쌍의 도전체 베젤(20, 22)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핑거(F)가 지문 인식을 위해 접촉부(110)에 접촉되면서 한 쌍의 도전체 베젤(20, 22)에 함께 접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에서와 같이, 한 쌍의 도전체 베젤(20, 22)은 상하 양 단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되 이격 거리는 핑거의 폭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한 쌍의 도전체 베젤(20, 22)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처럼 접촉부(110)의 외곽을 각 지도록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어 핑거(F)와 접촉되므로 지문 인식 센서의 베젤을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한 쌍의 전도체(20, 22)에 핑거(F)가 접촉되면 신호 인가부(30)를 통해 AC 주파수 신호가 인가되고, 임피던스 획득부(40)에서 인가된 AC 주파수 신호에 기한 임피던스를 획득하고 획득된 임피던스의 위상과 크기에 기반하여 생체 감지부(50)가 생체 여부를 감지하면, 제어부(60)가 생체 여부에 따라 스캔된 지문을 허용할 지를 결정하도록 작용한다. 이 경우 제1 생체 정보부(70)는 생체 핑거에 대응하는 임피던스의 제로 크로싱 주파수 대역정보를, 제2 생체 정보부(80)는 임계 주파수 대역 정보와 임계 주파수 대역 이상에서 생체 핑거에 대응하는 임피던스의 크기 정보를 저장하고 생체 감지부(50)에서 이에 기초하여 생체 여부를 판단한다.
한 쌍의 전도체(20, 22)는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으며, 신호 인가부(30)는 한 쌍의 전도체(20, 22)에 AC 주파수 신호를 인가한다. 여기서 AC 주파수 신호는 생체 주파수 대역 정보에 대응하는 AC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고 주파수를 가변시켜 임피던스 위상이 제로 크로싱(Zero crossing)되는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도록 인가한다.
임피던스 획득부(40)는 핑거의 접촉에 따른 AC 주파수 신호에 기한 임피던스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가변 주파수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각각의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임피던스를 획득하게 되는데, 임피던스 위상 정보가 제로 크로싱 될 때까지 임피던스를 획득한다. 그리고, 특정 주파수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임피던스 정보를 획득한다.
생체 감지부(50)는 획득된 임피던스에 기반하여 핑거의 생체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인가부(30)가 AC 주파수 신호를 가변 주파수 신호로 인가하고, 제1 생체 정보부(70)에 저장된 생체 핑거의 임피던스 위상이 제로 크로싱되는 생체 주파수 대역 정보를 비교하여 핑거의 획득된 임피던스의 위상이 제로 크로싱되는 주파수 대역이 생체 주파수 대역 정보보다 큰 경우 핑거를 페이크 핑거로 감지한다.
또한, 생체 감지부(50)는, 신호 인가부(30)가 임계 주파수 대역 정보보다 큰 AC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고, 제2 생체 정보부(80)에 저장된 임계 주파수 대역 정보(생체 핑거의 임피던스 크기가 페이크 핑거보다 작아지는 주파수 대역 정보)와 임계 주파수 대역 정보 이상의 AC 주파수 신호에 따른 생체 핑거의 임피던스 크기 정보를 비교하여 핑거의 획득된 임피던스의 크기가 생체 핑거의 임피던스 크기 정보보다 큰 경우 핑거를 페이크 핑거로 감지한다.
제어부(60)는 핑거의 생체 여부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핑거가 페이크 핑거(fake finger)인 경우 스캔된 지문을 허용하지 않고, 그리고 핑거가 생체 핑거(live finger)인 경우 스캔된 지문을 허용한다. 이러한 제어부(60)는, 구체적으로는 스캔된 지문을 지문 매칭율 분석의 결과로 지문 인정 또는 지문 불인정의 지문 판단 프로세스의 전제가 된다. 즉, 페이크 핑거인 경우 이후 지문 판단 프로세스를 허용하지 않고 거절하며, 생체 핑거인 경우 이후 지문 판단 프로세스를 허용하는 것이다.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방법>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우선, 핑거(F)가 접촉부(110)에 접촉된다(S10). 특히, 여기서 접촉부(110) 접촉이라는 문구는 한 쌍의 전도체(20, 22)에 동시 접촉을 의미하며, 동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다음 프로세스는 진행되지 않으며 지문 스캔 및 지문 매칭율 판단도 진행되지 않는다.
다음, 지문 스캔부(10)가 핑거의 지문을 스캔하고(S20), 신호 인가부(30)가 접촉부에 배치되고 상호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전도체(20, 22)에 AC 주파수 신호를 인가한다(S30).
다음, 임피던스 획득부(40)가 핑거(F)의 접촉에 따른 인가된 AC 주파수 신호에 기한 임피던스를 획득한다(S40).
다음, 생체 감지부(50)가 획득된 임피던스에 기반하여 핑거(F)의 생체 여부를 감지한다(S50).
마지막으로, 제어부(60)가 핑거(F)의 생체 여부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핑거(F)가 페이크 핑거(fake finger)인 경우 스캔된 지문을 허용하지 않는 불허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60)와 핑거(F)가 생체 핑거(live finger)인 경우 스캔된 지문을 허용하는 허용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70)가 택일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신호 인가단계(S30)에서 AC 주파수 신호는 가변 주파수 신호이고, 생체여부 감지단계(S50)는, 핑거의 획득된 임피던스의 위상이 제로 크로싱되는 주파수 대역이, 생체 핑거의 임피던스 위상이 제로 크로싱되는 생체 주파수 대역 정보보다 큰 경우 핑거를 페이크 핑거로 감지하는 단계(S52)와 생체 주파수 대역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핑거를 생체 핑거로 감지하는 단계(S54)를 택일적으로 수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인가단계(S30)에서 AC 주파수 신호는 임계 주파수 대역 정보보다 큰 AC 주파수 신호이고, 생체여부 감지단계(S50)는, 핑거의 획득된 임피던스의 크기가 생체 핑거의 임피던스 크기 정보보다 큰 경우 핑거를 페이크 핑거로 감지하는 단계(S56)와 생체 핑거의 임피던스 크기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핑거를 생체 핑거로 감지하는 단계(S58)를 택일적으로 수행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
생체 핑거와 페이크 핑거의 임피던스의 비교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를 이용하여 생체 핑거와 페이크 핑거의 임피던스 위상 관계를 표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그래프는 가로축이 주파수이고 세로축이 위상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면부호 1은 전도성 베젤에 비 접촉 대기 상태의 녹색 곡선을 가리키고, 도면부호 2는 전도성 베젤 위에 올려진 전도성 물질과 그 위에 손가락 피부 접촉 시 측정된 검정색 곡선을 가리키며, 도면부호 3은 전도성 베젤 위에 올려진 비 전도성 물질과 그 위에 손가락 피부 접촉 시 측정된 빨간색 곡선을 가리키며, 도면부호 4는 전도성 베젤 위에 손가락 피부의 접촉 시 측정된 파란색 곡선을 가리킨다. 도 5에 도시된 #3 영역에서 알 수 있듯이, 제로 크로싱(Zero crossing)되는 주파수는 도면부호 1, 2, 3보다 도면부호 4가 더 낮은 주파수임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를 이용하여 생체 핑거와 페이크 핑거의 임피던스 크기 관계를 표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그래프는 가로축이 주파수이고 세로축이 임피던스 크기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면부호 5는 전도성 베젤에 비 접촉 대기 상태의 녹색 곡선을 가리키고, 도면부호 6은 전도성 베젤 위에 올려진 전도성 물질과 그 위에 손가락 피부 접촉 시 측정된 검정색 곡선을 가리키며, 도면부호 7은 전도성 베젤 위에 올려진 비 전도성 물질과 그 위에 손가락 피부 접촉 시 측정된 빨간색 곡선을 가리킨다. 그리고, 8은 전도성 베젤 위에 손가락 피부의 접촉 시 측정된 파란색 곡선을 가리킨다. 도 6에 도시된 #1 영역 및 #2 영역에서 알 수 있듯이, 임계 주파수 대역 이상의 임의의 주파수에서 도면부호 8은 도면부호 5, 6, 7보다 더 작은 임피던스 크기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 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F: 핑거
D: 디텍터
S: 광원
10: 지문 스캔부;
110: 접촉부
20, 22: 한 쌍의 전도체
30: 신호 인가부
40: 임피던스 획득부
50: 생체 감지부
60: 제어부
70: 제1 생체 정보부
80: 제2 생체 정보부

Claims (6)

  1. 실리콘 러버 핑거, 몰딩 플라스틱과 젤라틴 중 어느 하나의 페이크 핑거와의 구별을 위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에 있어서,
    핑거의 지문을 스캔하는 지문 스캔부;
    상기 핑거가 접촉하는 접촉부에 배치되고 상호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전도체;
    상기 한 쌍의 전도체에 AC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인가부;
    상기 핑거의 접촉에 따른 상기 AC 주파수 신호에 기한 임피던스를 획득하는 임피던스 획득부;
    상기 획득된 임피던스에 기반하여 상기 핑거의 생체 여부를 감지하는 생체 감지부;
    상기 핑거의 생체 여부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핑거가 페이크 핑거(fake finger)인 경우 상기 스캔된 지문을 허용하지 않고, 그리고 상기 핑거가 생체 핑거(live finger)인 경우 상기 스캔된 지문을 허용하는 제어부;
    상기 생체 핑거의 임피던스 위상이 제로 크로싱되는 생체 주파수 대역 정보를 저장하는 제1 생체 정보부; 및
    상기 생체 핑거의 임피던스 크기가 상기 페이크 핑거보다 작아지는 임계 주파수 대역 정보와 상기 임계 주파수 대역 정보 이상의 AC 주파수 신호에 따른 상기 생체 핑거의 임피던스 크기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생체 정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인가부는, 상기 인가된 AC 주파수 신호를 가변 주파수 신호로 인가하고 그리고 동시에 상기 임계 주파수 대역 정보보다 큰 AC 주파수 신호로 인가하고,
    상기 생체 감지부는, 상기 핑거의 획득된 임피던스의 위상이 제로 크로싱되는 주파수 대역이 상기 생체 주파수 대역 정보보다 큰 경우이고 동시에 상기 핑거의 획득된 임피던스의 크기가 상기 생체 핑거의 임피던스 크기 정보보다 큰 경우 상기 핑거를 페이크 핑거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90609A 2016-07-18 2016-07-18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 및 방법 KR101806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609A KR101806032B1 (ko) 2016-07-18 2016-07-18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609A KR101806032B1 (ko) 2016-07-18 2016-07-18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6032B1 true KR101806032B1 (ko) 2017-12-07

Family

ID=6092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609A KR101806032B1 (ko) 2016-07-18 2016-07-18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0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339A (ko) 2018-01-16 2019-07-24 주식회사 다모아텍 위조 지문을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 그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는 지문 인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339A (ko) 2018-01-16 2019-07-24 주식회사 다모아텍 위조 지문을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 그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는 지문 인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08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ometric-based security using capacitive profiles
CN109858316A (zh) 用于生物计量识别的系统和方法
KR102222169B1 (ko) 지문 인식을 위한 배열체 및 방법
CN104021377B (zh) 一种互电容式掌纹识别方法、装置和触摸屏
JP2017538225A (ja) タッチセンサのデータを使用する指紋認証
US11653873B2 (en) Skin detection device and product information determin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WO2019030700A1 (en) BIOMETRIC LIFE DETECTION THROUGH A BIOCOMPATIBLE CAPACITIVE SENSOR
KR101828800B1 (ko) 반사파를 이용한 위·변조 지문 검증 방법 및 장치
KR102570385B1 (ko) 사용자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WO2001024700A1 (en) Spoof detection for biometric sensing systems
US10185868B2 (en) Fingerprint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of authentication using the same
KR20120091303A (ko) 위조 손가락 판별 장치
CN107766777A (zh) 指纹识别组件、压力检测方法及指纹识别ic
CN105335730A (zh) 指纹识别方法、装置和终端设备
US10438041B2 (en) Techniques for fingerprint detection and user authentication
CN105930704A (zh) 一种指纹识别方法、装置及智能终端
KR20180129041A (ko) 지문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1806032B1 (ko)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지문 인식 보완 장치 및 방법
JP7008367B2 (ja) インピーダンスを用いた偽造指紋判別装置及び方法
CN108491800B (zh) 手掌特征识别装置及识别方法
KR20210131885A (ko) 생체 인증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0574038B (zh) 从指纹图像中提取指纹特征数据
JP2015001843A (ja) 生体認証装置
KR101845631B1 (ko) 지문 위조 방지가 가능한 지문 인식 타입의 금고 장치
TWI427542B (zh) 指紋防偽裝置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