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471B1 - 정맥주사용 카테테르 장치 - Google Patents

정맥주사용 카테테르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471B1
KR101805471B1 KR1020137017516A KR20137017516A KR101805471B1 KR 101805471 B1 KR101805471 B1 KR 101805471B1 KR 1020137017516 A KR1020137017516 A KR 1020137017516A KR 20137017516 A KR20137017516 A KR 20137017516A KR 101805471 B1 KR101805471 B1 KR 101805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atheter
tubular catheter
distal end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7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3420A (ko
Inventor
리쉬 바이드
Original Assignee
폴리 메디큐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리 메디큐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폴리 메디큐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23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위단 및 원위단을 가지는 튜브형 카테테르와, 축방향을 규정하는 바늘축 및, 그 바늘축의 원위단에 바늘 끝단을 가지는 바늘을 포함하는 정맥주사용 카테테르 장치에 있어서, 바늘축은 바늘 끝단이 튜브형 카테테르의 원위단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카테테르를 통하여 연장되며, 바늘축은, 그 바늘축 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된 바늘 보호구가 바늘 끝단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늘보호구와 결합하도록 채택된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맥주사용 카테테르 장치{INTRAVENOUS CATHETER APPARATUS}
본 발명은 근위단 및 원위단을 가지는 튜브형 카테테르와, 축방향을 규정하는 바늘축 및, 그 바늘축의 원위단에 바늘 끝단을 가지는 바늘을 포함하는 정맥주사용 카테테르 장치에 있어서, 바늘축은 바늘 끝단이 튜브형 카테테르의 원위단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카테테르를 통하여 연장되며, 바늘축은, 그 바늘축 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된 바늘 보호구가 바늘 끝단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늘보호구와 결합하도록 채택된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정맥주사용 카테테르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하거나 또는 환자로부터 혈액을 채취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시에, 튜브형 카테테르는 환자의 혈관, 전형적으로는 정맥에 삽입되며, 이는 튜브형 카테테르를 혈관에 삽입한 후 카테테르로부터 회수되는 바늘에 의하여 수행된다. 바늘 끝단이 혈관내로 들어갈 때, 혈액은 바늘의 루멘을 통하여 바늘의 근위단에 마련된 바늘 허브 내로 흐르게 되며, 이를 통하여 카테테르 장치를 취급하는 사람에 의하여 관찰될 수 있다. 바늘의 허브로 혈액이 들어가게 되는 것을 혈액 플래시백(flashback)이라고 하며, 카테테르 장치를 취급하는 사람이 정맥 천자(穿刺)(venipuncture)를 확인하는데 이용되고, 이 곳에서부터 바늘의 경사도를 감소시켜 가능한 한 먼 부위로 카테테르를 삽입하도록 함으로써 혈관의 후벽을 찌르지 않도록 하고 있다.
혈액 플래시백이 지연되는 경우, 카테테르 장치를 취급하는 사람은 처음의 바늘의 경사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혈관으로 바늘을 계속하여 찌르게 되어 혈관의 뒤쪽으로 바늘이 튀어나오게 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제 2의 정맥천자는 내부출혈을 야기하여 환자의 건강에 대한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 그와는 별도로, 카테테르 장치가 제거되고 새로운 것으로 대체되어야 하기 때문에, 즉 카테테르를 다시 꽂아야하는 과정이 되풀이 되기 때문에 환자로 하여금 불편과 고통을 받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혈관내로 카테테르를 위치시킬 수 있는 보다 안전하고도 신뢰성이 있는 정맥주사용 카테테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정맥주사용 카테테르 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맥주사용 카테테르 장치는 원위단 및 근위단을 가지는 튜브형 카테테르를 포함한다. 바늘은 축방향을 규정하며 바늘축 및 그 바늘축의 원위단에 바늘 끝단을 가진다. 바늘축은 바늘 끝단이 튜브형 카테테르의 원위단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튜브형 카테테르를 통하여 연장된다. 바늘축은, 바늘축 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된 바늘 보호구가 바늘 끝단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늘보호구와 결합하도록 채택된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바늘축은 결합수단과 바늘 끝단의 사이에 배치된 측방향 개구를 더 포함하며, 그 개구는 튜브형 카테테르에 의하여 덮여진다.
측방향 개구는 바늘의 루멘과 튜브형 카테테르의 내부의 사이가 연이어 통해지도록 한다. 제1 천자시에 바늘의 루멘으로 들어가는 혈액은 측방향 개구를 통하여 바늘의 밖으로 나오게 되어 취급하는 사람이 볼 수 있다.
측방향 개구가 바늘 끝단에 근접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혈액이 보일 수 있게끔 바늘 허브로 들어가기 위하여 바늘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혈액이 들어갈 필요가 없다. 대신에 천자에 의하여 바늘의 루멘으로 들어가는 혈액은 부분적으로 바늘 끝단 근방에서 다시 바늘의 바깥쪽으로 나오게 되며, 그에 의하여 특히 신속하게 천자의 확인이 가능해진다.
부가적으로, 측방향 개구가 결합수단과 바늘 끝단의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혈액은 바늘 허브내에서 보여질 수 있도록 결합수단을 통과해야 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천자에 의하여 바늘로 혈액이 들어갈 때에, 결합수단의 설계사양과는 독립적으로 혈액이 카테테르 장치를 취급하는 사람에게 보이게 된다. 따라서 통상 바늘을 통한 혈류의 속도가 느려지도록, 즉 혈액의 플래시백을 지연시키게끔 결합수단이 설계되더라도,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천자를 확인할 때에 어떠한 부작용도 일어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정맥주사용 카테테르는 성공적인 천자에 대한 보다 신뢰성 있고 신속한 확인이 가능하며, 이는 카테테르를 취급하는 사람과 카테테르가 사용되는 사람의 양자에게 있어 카테테르 장치의 취급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측방향 개구를 통하여 바늘에서 나오는 혈액이 더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튜브형 카테테르는 투명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측방향 개구는 축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바늘축에 절결된 슬롯을 포함한다. 그러한 슬롯은 제조가 용이하며 카테테르 장치의 제조단가를 최소화한다.
혈액이 바늘을 나와서 측방향 개구를 통하여 튜브형 카테테르의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바늘축의 외경은 튜브형 카테테르의 내경보다 약간 작을 수 있다. 혈액의 확산을 촉진시킴으로써 튜브형 카테테르를 통과하는 혈액이 잘 보이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성공적인 천자의 검출이 신속하고 신뢰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환자의 혈관속으로 튜브형 카테테르의 삽입을 보다 적절하게 할 수 있도록, 튜브형 카테테르의 원위단 영역에 약간의 테이퍼 부분을 시행하여 튜브형 카테테르의 원위단이 바늘축을 둘러싸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결합수단은 축방향을 가로지르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 바늘축의 확대부를 포함한다.
결합수단은 바늘축의 주름부를 포함하도록 제조하는 것이 특히 용이하다. 따라서, 바늘의 제조단가가 더욱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내용에서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맥주사용 카테테르 장치의 원위단부의 길이방향 확대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맥주사용 튜브형 카테테르(10)의 원위단부를 나타낸다. 튜브형 카테테르 (10)는 예를 들면 투명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투명재료로 만들어진다.
축방향을 규정하는 바늘(12)은 튜브형 카테테르(10)을 통하여 연장되머, 바늘(12)의 원위 끝단이 튜브형 카테테르(10)의 원위단(16)으로부터 돌출된다. 바늘(12)은 축방향으로 바늘(12)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는 루멘(lumen:18)을 가지며, 이는 바늘(12)의 벽(20)으로 규정된다. 바늘벽(20)은 바늘축(22)을 형성한다.
바늘축(22)의 외경은 튜브형 카테테르(10)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데, 이는 바늘축(22) 사이에 작은 틈(24)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튜브형 카테테르(10)는 그의 원위단이 약간 테이퍼진 형상을 가져서 튜브형 카테테르(10)의 원위단(16)은 바늘축(22)을 밀착하여 둘러싸게 된다.
바늘 끝단(14)의 근처에서, 바늘축(22)에는 결합수단(26)이 마련되는데, 이는 바늘축(22)상에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된 바늘 보호구(도시않됨)가 바늘 끝단(14)을 넘어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결합수단(26)은, 바늘축(22)의 어떠한 형상의 불규칙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축방향을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바늘축(22)의 윤곽이 확대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수단(26)은 바늘축(22)의 주름부를 포함한다.
바늘 보호구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며 그를 통하여 바늘(12)이 연장되는 축방향의 구멍을 가지는 대략 원통형의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그 구멍의 내경은 바늘축(22)의 기본적인 외경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바늘축(22)은 그 구멍을 통하여 자유롭게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지만, 바늘(12)의 결합수단(26)은 바늘 보호구의 베이스를 통과할 수 없다.
바늘 보호구는 베이스부의 원위측에 마련되며 그로부터 대략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팔을 더 포함한다. 이 팔 중의 적어도 한 개는 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바늘축(22)에 의하여 축방향으로부터 약간 벗어날 수 있다. 2개의 팔은 베이스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팔 중의 한 개가 베이스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팔은 금속판의 띠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적어도 한 개의 탄성팔의 길이는 바늘 끝단(14)와 결합수단(26) 사이의 간격보다 길어서, 팔의 구부러진 원위단부가 바늘 끝단(14)의 앞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바늘(12)의 결합수단(26)이 바늘 보호구의 베이스부와 결합하기 전에, 바늘 보호구내에 바늘 끝단(14)을 잡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팔들은 그 팔들을 바늘(12)쪽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탄성밴드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탄성밴드는 축방향에서 본 팔들의 대부분을 덮을 수 있으며, 따라서, 팔 들의 사이에 잡혀있는 바늘 끝단(14)이 바늘 보호구의 밖으로 돌출하여 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측방향 개구(28)는 바늘 끝단(14)과 결합수단(26) 사이의 영역에 있는 바늘벽(20)내에 마련된다. 측방향 개구(28)는 바늘 끝단(14)이 튜브형 카테테르(10)의 원위단으로부터 돌출할 때 튜브형 카테테르(10)에 의하여 덮이도록, 즉, 결합수단(26)과 튜브형 카테테르(10)의 원위단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위치한다. 측방향 개구(28)는 따라서 카테테르의 내부와 바늘(12)의 루멘(18) 사이가 연이어 통해지도록 한다.
튜브형 카테테르(10)와 함께 바늘(12)이 환자의 혈관내로 삽입될 때, 혈액은 바늘(12)의 루멘내로 흘러들어오게 된다. 바늘(12)의 루멘(18) 내로 흘러들어오는 혈액은 부분적으로 측방향 개구(28)를 통하여 바늘(12) 밖으로 나와 바늘축(22)과 튜브형 카테테르(10) 사이의 틈(24)으로 들어가게 된다. 바늘축(22)과 튜브형 카테테르(10) 사이의 틈(24)으로 들어온 혈액은 모세관 작용에 의하여 그 틈(24)내에서 확산되고, 튜브형 카테테르(10)의 투명한 재료를 통하여 보이게 되며, 그에 의하여 성공적인 천자(穿刺)의 신속한 확인이 가능해진다.
10 : 튜브형 카테테르
12 : 바늘
14 : 바늘 끝단
16 : 원위단
18 : 루멘
20 : 바늘벽
22 : 바늘축
24 : 틈
26 : 결합수단
28 : 측방향 개구

Claims (8)

  1. 근위단 및 원위단(16)을 가지는 튜브형 카테테르(10)와;
    축방향을 규정하며, 바늘축(22) 및 그 바늘축(22)의 원위단에 바늘 끝단(14)을 가지는 바늘(12)을 포함하고;
    상기 바늘축(22)은, 상기 바늘(12)의 상기 바늘 끝단(14)이 상기 튜브형 카테테르(10)의 상기 원위단(16)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튜브형 카테테르(10)를 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바늘축(22)은, 바늘축(22) 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된 바늘 보호구와 결합하고 상기 바늘 보호구가 상기 바늘 끝단(14)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채택된 결합수단(26)을 포함하는 정맥주사용 카테테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26)은 축방향을 가로지르는 적어도 한 방향에 상기 바늘축(22)의 확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축(22)은 상기 결합수단(26)과 상기 바늘 끝단(14)의 사이에 배치된 측방향 개구(28)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개구(28)는 상기 튜브형 카테테르(10)에 의하여 덮여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주사용 카테테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개구(28)는 상기 바늘(12)의 루멘(18)과 상기 튜브형 카테테르(10)의 내부의 사이에서 연통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주사용 카테테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개구(28)는 상기 축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바늘축(22)에 절결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주사용 카테테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축(22)의 외경은 상기 튜브형 카테테르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주사용 카테테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카테테르(10)의 원위단 영역에 테이퍼 부분을 시행하여 튜브형 카테테르(10)의 원위단(16)이 바늘축(22)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주사용 카테테르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26)은 상기 바늘축(22)의 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주사용 카테테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카테테르(10)는 투명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주사용 카테테르 장치.
KR1020137017516A 2010-12-06 2011-02-14 정맥주사용 카테테르 장치 KR101805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897/DEL/2010 2010-12-06
IN2897DE2010 2010-12-06
PCT/IB2011/050596 WO2012076990A1 (en) 2010-12-06 2011-02-14 Intravenous catheter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420A KR20130123420A (ko) 2013-11-12
KR101805471B1 true KR101805471B1 (ko) 2018-01-10

Family

ID=44120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516A KR101805471B1 (ko) 2010-12-06 2011-02-14 정맥주사용 카테테르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30261554A1 (ko)
EP (1) EP2646100A1 (ko)
JP (1) JP5972278B2 (ko)
KR (1) KR101805471B1 (ko)
CN (1) CN103338810A (ko)
AU (1) AU2011340205B2 (ko)
BR (1) BR112013013874A2 (ko)
CO (1) CO6741196A2 (ko)
EA (1) EA023100B1 (ko)
IL (1) IL226742A (ko)
MX (1) MX353264B (ko)
MY (1) MY166595A (ko)
SG (2) SG191021A1 (ko)
UA (1) UA109297C2 (ko)
WO (1) WO2012076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23249B2 (en) 2009-08-14 2012-12-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Integrated vascular delivery system
WO2011146772A1 (en) 2010-05-19 2011-11-24 Tangent Medical Technologies Llc Safety needle system operable with a medical device
US8771230B2 (en) 2010-05-19 2014-07-08 Tangent Medic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vascular delivery system
IN2013DE03088A (ko) * 2013-10-17 2015-04-24 Poly Medicure Ltd
CA2937744C (en) 2014-02-04 2022-08-09 Icu Medical, Inc. Self-priming systems and methods
DE102014114883A1 (de) 2014-10-14 2016-04-14 Beckhoff Automation Gmbh Verfahren und System zum Überwachen eines ersten Teilnehmers eines Kommunikationsnetzwerks
US11324926B2 (en) * 2018-04-05 2022-05-1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troducer needle with notches for improved flashback
US10869993B2 (en) 2018-04-05 2020-12-2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troducer needle with notches for improved flashback
RU2706380C9 (ru) * 2018-10-22 2020-01-2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еждународный Би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Центр "Генериум"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ногократного отбора крови без применения антикоагулянтов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7108A (en) 1997-08-20 2000-09-12 Braun Melsungen Ag Spring clip safety IV catheter
US20030205843A1 (en) * 2002-05-01 2003-11-06 Adams Chad Michael Method of making a needle and a needle
US20080051726A1 (en) * 2006-08-03 2008-02-28 Linfair Engineering (Hk) Co., Ltd. Needle assembly
WO2008092029A2 (en) 2007-01-24 2008-07-31 Access Scientific, Inc. Access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6560Y2 (ko) * 1971-04-19 1976-07-06
EP0679408B1 (de) * 1994-04-25 2001-08-22 B. Braun Melsungen Ag Vorrichtung zum Einführen eines Katheters in einen Körperhohlraum
US6749588B1 (en) * 1998-04-09 2004-06-1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theter and introducer needle assembly with needle shield
DE20106697U1 (de) * 2001-04-18 2001-10-31 Braun Melsungen Ag Kathetereinführvorrichtung
US6623458B2 (en) * 2001-09-26 2003-09-23 B. Braun Melsungen, Ag Spring launched needle safety clip
EP2248549A3 (en) * 2001-12-26 2010-12-08 Yale University Vascular access device
JP4661240B2 (ja) * 2004-02-26 2011-03-30 ニプロ株式会社 安全留置針
CN200973854Y (zh) * 2006-11-27 2007-11-14 王文宝 一种穿刺引流管
US8496623B2 (en) * 2009-03-02 2013-07-3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i-directional cannula feature capture mechanis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7108A (en) 1997-08-20 2000-09-12 Braun Melsungen Ag Spring clip safety IV catheter
US20030205843A1 (en) * 2002-05-01 2003-11-06 Adams Chad Michael Method of making a needle and a needle
US20080051726A1 (en) * 2006-08-03 2008-02-28 Linfair Engineering (Hk) Co., Ltd. Needle assembly
WO2008092029A2 (en) 2007-01-24 2008-07-31 Access Scientific, Inc. Acces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023100B1 (ru) 2016-04-29
US20130261554A1 (en) 2013-10-03
EA201370134A1 (ru) 2013-10-30
MY166595A (en) 2018-07-17
AU2011340205A1 (en) 2013-08-01
SG191021A1 (en) 2013-07-31
CN103338810A (zh) 2013-10-02
JP2014504187A (ja) 2014-02-20
CO6741196A2 (es) 2013-08-30
WO2012076990A1 (en) 2012-06-14
EP2646100A1 (en) 2013-10-09
MX353264B (es) 2018-01-08
IL226742A (en) 2017-09-28
BR112013013874A2 (pt) 2020-08-11
JP5972278B2 (ja) 2016-08-17
MX2013006404A (es) 2013-09-13
KR20130123420A (ko) 2013-11-12
UA109297C2 (xx) 2015-08-10
AU2011340205B2 (en) 2016-08-11
SG10201509959YA (en)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471B1 (ko) 정맥주사용 카테테르 장치
CA2328798C (en) Needle safety device
US10751512B2 (en) Intravenous (IV) catheter apparatus
US9308352B2 (en) Retention member and application thereof
CN105939753B (zh) 安全针组件和相关方法
EP1362608B1 (en) Shieldable needle device
US8439877B2 (en) Bi-directionally engageable cannula crimp feature
CN106456934B (zh) 导管仪器及其导管毂
US20150328438A1 (en) Catheter apparatus
EP2016963A1 (en) Needle safety device
JP2020512895A (ja) 安全クリップを有する静脈内カテーテルアセンブリ
AU20183110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a needle for catheter placement
US20130178807A1 (en) Needle tip guard for intravenous catheter assembly
US20220313960A1 (en) Intravenous catheter apparatus
AU772060B2 (en) Needle safety device
TW200810801A (en) Catheter and introducer needle assembly with safet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