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178B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5178B1 KR101805178B1 KR1020110056392A KR20110056392A KR101805178B1 KR 101805178 B1 KR101805178 B1 KR 101805178B1 KR 1020110056392 A KR1020110056392 A KR 1020110056392A KR 20110056392 A KR20110056392 A KR 20110056392A KR 101805178 B1 KR101805178 B1 KR 1018051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terminal
- payment means
- display
- settlement
- delete dele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1150012579 ADSL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0775 Adenylosuccinate ly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700040193 Adenylosuccinate ly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0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TV related infrastruc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3—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with the personal data of a us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근거리 통신 모듈; 결제수단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사용하는 통신 링크가 설정되면, 상기 결제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링크가 설정된 위치에 대응된 결제수단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위치에서 특정 결제수단으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의 편의성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정 위치에서 특정 결제수단으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의 편의성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단말기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메뉴 구조 또한 복잡해지는 추세이다. 또한 이동 단말기로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각종 디지털문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위치에서 특정 결제수단으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의 편의성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모듈; 결제수단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사용하는 통신 링크가 설정되면, 상기 결제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링크가 설정된 위치에 대응된 결제수단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위치 정보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다른 전자기기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사용한 통신 링크가 설정되면, 상기 위치 정보 모듈을 통하여 산출한 위치가 기 설정된 특정한 영역에 속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한 영역에 대응된 결제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근거리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통신 링크가 설정되면, 결제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현 위치에 대응된 결제수단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결제수단을 사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특정 위치에서 특정 결제수단으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의 편의성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현 형태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도면이다.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 이동 단말기의 결제수단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이동 단말기의 특정 영역 설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3은 도 12 이동 단말기와 특정 영역과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2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결제수단에 대한 선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2 이동 단말기의 태깅(tagging)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2는 도 12 이동 단말기의 결제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현 형태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도면이다.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 이동 단말기의 결제수단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이동 단말기의 특정 영역 설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3은 도 12 이동 단말기와 특정 영역과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2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결제수단에 대한 선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2 이동 단말기의 태깅(tagging)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2는 도 12 이동 단말기의 결제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2c 및 도 2d는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부(151)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물리적으로 표시패널들이 분할된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바디가 힌지나 슬라이드로 체결된 폴더형 또는 슬라이드형 이동 단말기에서, 제 1디스플레이부(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어느 한 바디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부(또는 보조 디스플레이부, 외부 디스플레이부)는 다른 바디의 내부면이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부는 이동 단말기와 분리된 디스플레이부로써, 이동 단말기 바디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도 2c와 같이 표시패널 내에서 논리적으로 분할된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근접 센서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근할 때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간단하게는 상기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상기 근접 깊이를 알 수 있다.
도 3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거리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수개의 이동단말기들(100), 다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 270),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275), 및 모바일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s; MSCs, 280)을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는, 퍼블릭스위치텔레폰네트워크(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 PSTN, 29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는 또한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은 백하울 라인들(backhaul lines)을 통하여 상기 기지국들(270)에 연결된다. 상기 백하울 라인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E1/T1, ATM, IP, PPP,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두 개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들(275)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 기지국(270)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섹터들(sectors)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omnidirectional antenna) 또는 상기 기지국(270)으로부터 특정한 방사방향으로 조정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각각의 섹터는 다이버시티수신(diversity reception)용 안테나 두개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270)은 다수개의 주파수 할당들(frequency assignments)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파수 할당들은 특정 스펙트럼(예를들어, 1.25MHz, 5Mhz)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인터섹션(intersection)은 CDMA 채널로 칭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들(27)은 또한 기지국 트랜스시버 서브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s; BTSs)으로 칭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기지국 제어기(275)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들(270)을 집합적으로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들은 또한 "셀 사이트"라고 표기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주어진 기지국(270)의 개별적인 섹터들이 셀 사이트들로 일컬어질 수 있다.
지상파 DMB 송신기(295)는 상기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이동단말기들(100)에 방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방송수신모듈(111)은 일반적으로 상기 DMB 송신기(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른 타입의 방송 및 멀티캐스트 시그널링(broadcast and multicast signaling)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여러가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들(300)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위성들(300)은 몇몇 또는 모든 이동단말기들(1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두개의 위성들이 도시되었으나, 위치정보는 그보다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위성들로부터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다른 타입의 위치추적기술(예를 들어, GPS 기술을 대신하거나 또는 그에 더하여 사용될 수 있는 위치추적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몇몇 또는 모든 상기 GPS 위성들(300)은 별도로 또는 부가적으로 위성 DMB 전송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작동중에, 상기 기지국들(270)은 여러개의 이동단말기들(100)로부터 역방향 링크 신호들(reverselink signals)을 수신한다. 상기 이동단말기들(100)은 통화 중이거나, 메시지를 보내고 있거나, 그리고 다른 통신을 수행 중일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각각의 역방향 링크 신호는 상기 기지국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된 데이타는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 제어기(275)로 전송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275)는 콜 리소스 할당(call resource allocation)을 제공하며, 그리고 기지국들(270) 사이의 소프트 통화채널전환(soft handoffs)의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을 포함하는 이동관리기능(mobility management functionality)을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는 또한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MSCs, 280)로 전송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는 상기 퍼블릭스위치텔레폰네트워크(PSTN, 290)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추가적인 루팅 서비스들(routing services)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상기 퍼블릭스위칭텔레폰네트워크(290)는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와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과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은 차례로 상기 기지국들(270)을 제어하여 순방향 링크 신호들을 상기 이동단말기들(100)로 전송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표시한 맵 상의 특정 영역을 선택하여 그 영역에 대응된 결제수단을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에 맵을 표시하는 단계(S10)가 진행될 수 있다.
맵은, 이동 단말기(100)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점을 포함하는 지리상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맵은, 이동 단말기(100)의 저장부(160)인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맵은,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실시간으로 획득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A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A 위치 주변의 맵을 수신하여 표시하고, B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B 위치 주변의 맵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맵에는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맵에 표시되는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사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지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쇼핑몰, 상점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맵 상의 특정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20)가 진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맵 상의 특정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원, 다각형, 폐곡선을 그려 영역을 설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맵 상의 특정 영역은, 복수 개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맵 상에 A 영역, B 영역, C 영역이 설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각 영역은 서로 중첩되는 부분 없이 독립적이거나, 서로 중첩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설정한 특정 영역에 대응된 결제수단을 설정하는 단계(S30)가 진행될 수 있다.
결제수단은, 물품 및/또는 서비스에 대한 대가를 지불할 수단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결제수단은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 포인트 등일 수 있다.
설정한 특정 영역에 대해서, 특정한 결제수단을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 영역, B 영역, C 영역을 설정한 경우에, A 영역에는 D 카드, B 영역에는 E 카드, C 영역에는 F 카드를 사용하여 결제하도록 설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정한 지역에서 특정한 카드로 결제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매번 카드를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5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표시한 맵에 사용자가 특정 영역을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맵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맵에는, 결제지점(TP)이 표시될 수 있다. 결제지점(TP)은, 월마트와 같이 카드 등을 이용해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장소일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F) 등을 이용하여 결제지점(TP)을 터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결제지점(TP)을 터치하면, 제어부(150)는 선택영역(SA)을 표시할 수 있다. 선택영역(SA)은, 결제지점(TP)을 포함하는 폐곡선일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영역(SA)의 경계선을 터치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드래그(drag)하면, 선택영역(SA)의 면적이 변경될 수 있다. 즉, 터치동작을 수행하여 선택영역(SA)의 면적을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8은 도 5 이동 단말기의 결제수단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설정된 선택영역(SA)에서 사용될 결제수단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설정된 선택영역(SA)에서 사용할 결제수단(C)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결제수단(C)으로는 복수 개가 제시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결제수단(C)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신용카드일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복수 개의 결제수단(C) 중에서 특정한 하나를 손가락(F) 등으로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결제수단(C1)은 다른 결제수단(C2 내지 C4)와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결제수단(C)이 어떠한 것인가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8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3 결제수단(C3)을 추가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3 결제수단(C3)을 더 선택하면, 해당하는 선택영역(SA)에서는 제1,3 결제수단(C1, C3)을 사용하여 결제가 진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3 결제수단(C1, C3)을 선택하면, 선택영역(SA) 내에서는 해당 카드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지역 내에서라면,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한 결제를 위하여 별도의 추가적인 조작을 수행해야 할 필요가 적어질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이동 단말기의 특정 영역 설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복수의 선택영역(SA1 내지 SA3)을 선택할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1 내지 3 선택영역(SA1 내지 SA3)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내지 3 선택영역(SA1 내지 SA3)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터치 동작을 수행하여, 제1 내지 3 선택영역(SA1 내지 SA3)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내지 3선택영역(SA1 내지 SA3)은, 속성에 따라서 내부의 색상이나 형태가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선택영역(SA1)은 검은색, 제2 선택영역(SA2)은 붉은색, 제3 선택영역(SA3)은 파란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영역(SA1 내지 SA3)의 경계가 어디까지인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3 선택영역(SA1 내지 SA3) 중 적어도 하나는 일부 영역에서 상호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선택영역(SA1)의 일부 영역이 제2,3 영역(SA2, SA3)와 중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중첩된 영역에서는, 결제수단도 중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선택영역(SA1)에서는 A 카드로 결제되도록 설정하고 제2 선택영역(SA2)에서는 B 카드로 결제되도록 설정한 경우에, 제1 선택영역(SA1)과 제2 선택영역(SA2)이 중첩된 부분에서는 A 카드 및 B 카드로 결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선택영역(SA1 내지 SA3)에는 결제수단인 카드에 대한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선택영역(SA1)에는 마스터 카드가 설정되어 있다는 정보, 제2 선택영역(SA2)에는 엘지 카드가 설정되어 있다는 정보, 제3 선택영역(SA3)에는 비자 카드가 설정되어 있다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선택영역(SA1 내지 SA3)은, 특정한 상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선택영역(SA1)은 월마트, 제2 선택영역(SA2)은 이마트, 제3 선택영역(SA3)은 케이마트에 대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특정한 상점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에, 그에 대응된 카드로 결제가 진행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50)는, 특정지역에 진입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10)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특정지역은,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선택영역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위치 정보 모듈(115)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선택영역 내에 위치하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특정지역에 진입하면, 사용가능한 결제수단의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S120)가 진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한 선택영역에서의 결제에 사용할 카드 등의 결제수단을 미리 설정하여 놓을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설정된 결제수단이 존재하면, 그 내용을 디스플레이(151)에 표시하거나, 음향 출력부(152)를 통하여 알릴 수 있다.
결제수단을 선택하는 단계(S130)가 진행될 수 있다.
결제수단의 선택은, 제어부(150)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되거나 사용자가 특정한 결제수단을 선택하는 동작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태깅(tagging)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가 진행될 수 있다.
태깅은, NFC(Near Field Communcation)를 통한 통신링크가 설정되도록 하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기기를 제2 전자기기에 일정거리 이내로 근접시키는 동작이 태깅일 수 있다. 태깅이 이루어지면, 제1,2 전자기기 간에는 통신링크가 설정될 수 있다. 통신링크가 설정되면, 통신링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태깅되었으면, 선택한 결제수단으로 결제하는 단계(S150)가 진행될 수 있다.
태깅 동작이 수행되면 통신링크가 설정되므로, 설정된 통신링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교환이 이루어지는 데이터는, 선택된 결제수단인 특정 카드를 통한 결제정보일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영역에서, 기 설정된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가 수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3은 도 12 이동 단말기와 특정 영역과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50)는 그 위치에 따라서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위치(P1)는, 제1 내지 3 선택영역(SA1 내지 SA3) 외부의 지점일 수 있다. 제1 내지 3 선택영역(SA1 내지 SA3)의 외부인 제1 위치(P1)에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기 설정된 결제수단 등과는 관계없이 결제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제2 위치(P2)는, 제1 선택영역(SA1) 내의 지점일 수 있다. 제1 선택영역(SA1)의 내부인 제2 위치(P2)에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 선택영역(SA1)에 대하여 설정된 결제수단을 통하여 결제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선택영역(SA1)에서는 엘지카드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경우에, 제1 선택영역(SA1) 내에서 태깅 동작이 수행되면 엘지카드로 결제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3 위치(P3)는, 제2,3 선택영역(SA2, SA2)이 중첩되는 지점일 수 있다. 제2,3 선택영역(SA2, SA3)의 내부인 제3 위치(P3)에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2,3 선택영역(SA2, SA3)에 대하여 설정된 결제수단을 통하여 결제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2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결제수단에 대한 선택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한 선택영역에 진입한 경우에 특정한 결제수단을 통하여 결제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특정한 선택영역에 진입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리는 제1 팝업창(P1)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1)에 월마트 영역에 진입하였다는 사실 및 해당 영역에서는 마스터 카드와 신한 카드를 사용하여 결제할 수 있다는 내용을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특정한 선택영역에 진입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152)를 통하여 월마트 영역에 진입하였다는 사실 및 해당 영역에서는 마스터 카드와 신한 카드를 사용하여 결제할 수 있다는 내용을 출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특정한 선택영역에서 어떠한 결제수단으로 결제를 진행할 것인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팝업창(P2)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1)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결제수단들이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결제수단들 중에서 특정한 하나 또는 복수 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특정한 선택영역에서 특정한 결제수단을 추천하는 제3 팝업창(P3)을 표시할 수 있다. 선택영역에 따라 특정한 결제수단을 사용하여 결제하는 경우에, 보다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제어부(150)는, 무선 통신부(110) 등을 통하여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한 선택영역에서 어떠한 결제수단이 최적의 결제 방법인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최적의 결제수단이 존재하는 경우에, 제어부(150)는 해당 결제수단을 추천하는 한편, 그 이유를 사용자에게 공지할 수도 있다.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특정한 선택영역에서 사용할 특정한 결제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4 팝업창(P4)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각 결제수단에 따른 할인율 등을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가 최적의 서택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결제수단의 적절성 여부를 평가하여 알려주는 제5 팝업창(P5)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한 결제수단인 마스터 카드를 선택하였으나, 해당 카드의 사용가능한 잔액이 부족한 경우에 그 사실을 알리고 다른 결제수단을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7은 도 12 이동 단말기의 태깅(tagging)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한 태그(200)에 태깅되며 통신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특정 선택영역에서 사용될 특정한 결제수단이 선택된 경우에, 그 특정 선택영역 내부에 있는 태그(200)에 태깅되면 그 결제수단을 사용한 결제가 진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위치에서, 서버(S)와의 통신을 통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위치에서 태그(200)에 태깅되거나 특정한 메뉴를 선택하면 서버(S)와 통신을 통하여 결제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2는 도 12 이동 단말기의 결제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151)에 결제금액을 알리는 제6 팝업창(P6)을 표시할 수 있다. 제6 팝업창(P6)에는, 결제해야할 금액 및 특정한 결제수단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확인한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선택하면, 해당하는 내용대로 결제가 진행될 수 있다.
제6 팝업창(P6)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선택영역에 진입하여 물건을 구입하고, 그 선택영역 내에 있는 태그(200)에 태깅을 하면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정한 선택영역에서는 특정한 결제수단을 통하여 결제하기로 기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50)는 제6 팝업창(P6)을 표시하여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151)에 결제금액, 결제카드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제7 팝업창(P7)을 표시할 수 있다. 제7 팝업창(P7)은, 사용자가 특정 카드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제6 팝업창(P6)과 다르다.
도 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잠김(lock) 상태일 수 있다. 오입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튼을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터치동작이 입력되는 경우에 잠심 상태는 해제될 수 있다.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잠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선택영역에 진입하였음을 알리는 제8 팝업창(P8)을 표시할 수 있다. 잠김 상태에서도 특정한 선택영역에 진입하였음을 알리는 제8 팝업창(P8)이 표시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잠김 상태를 해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결제할 수 있는 카드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9 팝업창(P9)을 잠김 상태임에도 표시할 수 있다. 잠김 상태에서도 관련 정보가 표시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잠김 상태를 해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잠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결제 내용을 표시하는 제10 팝업창(P1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제수단인 각 카드에 대응된 비밀번호가 저장부(160)에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각 카드에 대응된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제할 카드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제11 팝업창(P11)이 표시되는 경우에, 제어부(150)는 특정 카드에 대응된 비밀번호가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과거의 결제내역을 표시하는 제12 팝업창(P12)이 표시될 수 있다. 결제내역은, 이동 단말기(100)의 저장부(160)에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과거의 결제내역이 일목요연하게 표시됨으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100)사용의 편의성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Claims (20)
- 디스플레이;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정보 모듈;
전자 기기와 근거리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결제수단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의 잠금 상태(lock mode)를 알리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잠금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상기 현재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 정보를 알리는 알림창을 표시하고, 상기 알림창에서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 정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결제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링크가 설정된 전자 기기와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된 결제수단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 정보 중 상기 현재 위치에서의 결제 이익이 가장 큰 결제수단을 추천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수단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의 종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으로 상기 결제를 수행하는 영역, 상기 결제에 필요한 인증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맵 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수단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인가된 터치입력을 통하여 특정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맵(map) 상의 특정 영역에서 상기 결제에 사용될 결제수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 모듈을 통하여 획득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특정 영역에 속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 영역에 속한다는 사실을 음향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응된 결제수단에 대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6392A KR101805178B1 (ko) | 2011-06-10 | 2011-06-10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EP12151453A EP2533183A1 (en) | 2011-06-10 | 2012-01-17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13/357,953 US8626657B2 (en) | 2011-06-10 | 2012-01-25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201210059926.9A CN102819917B (zh) | 2011-06-10 | 2012-03-08 |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6392A KR101805178B1 (ko) | 2011-06-10 | 2011-06-10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7080A KR20120137080A (ko) | 2012-12-20 |
KR101805178B1 true KR101805178B1 (ko) | 2017-12-05 |
Family
ID=45557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6392A KR101805178B1 (ko) | 2011-06-10 | 2011-06-10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626657B2 (ko) |
EP (1) | EP2533183A1 (ko) |
KR (1) | KR101805178B1 (ko) |
CN (1) | CN10281991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27121A (ko) * | 2012-05-14 | 2013-11-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US20140006149A1 (en) * | 2012-06-28 | 2014-01-02 | Bank Of America Corporation | Notifying customers post-transaction of alternative payment types accepted by a merchant |
US20140033093A1 (en) * | 2012-07-25 | 2014-01-30 | Microsoft Corporation | Manipulating tables with touch gestures |
TW201432459A (en) * | 2013-02-01 | 2014-08-16 | Primax Electronics Ltd |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electrical device and computer host and computer system using the method |
US10043172B2 (en) | 2013-05-29 | 2018-08-07 | Ebay Inc. | Tap and hold |
JP5578256B1 (ja) * | 2013-07-01 | 2014-08-27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
WO2015065402A1 (en) | 2013-10-30 | 2015-05-07 |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 Displaying relevant use interface objects |
CN103778730B (zh) * | 2013-12-31 | 2016-04-06 |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 提高移动终端近场通信支付安全性的方法、系统及其终端 |
US10482461B2 (en) | 2014-05-29 | 2019-11-19 | Apple Inc. | User interface for payments |
US10271366B2 (en) * | 2014-07-15 | 2019-04-23 | Sony Corporatio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WO2016036552A1 (en) | 2014-09-02 | 2016-03-10 | Apple Inc. | User interactions for a mapping application |
US20160224973A1 (en) | 2015-02-01 | 2016-08-04 | Apple Inc. | User interface for payments |
US9574896B2 (en) | 2015-02-13 | 2017-02-21 | Apple Inc. | Navigation user interface |
US20160260077A1 (en) * | 2015-03-06 | 2016-09-08 | Lg Electronics Inc. |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US20160260080A1 (en) * | 2015-03-06 | 2016-09-08 | Lg Electronics Inc. |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N105938594A (zh) * | 2015-03-06 | 2016-09-14 | Lg电子株式会社 | 终端及其操作方法 |
CN104915828A (zh) * | 2015-05-15 | 2015-09-16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基于近场通讯的数据处理方法、装置和系统 |
US20160358133A1 (en) | 2015-06-05 | 2016-12-08 | Apple Inc. | User interface for loyalty accounts and private label accounts for a wearable device |
US9940637B2 (en) | 2015-06-05 | 2018-04-10 | Apple Inc. | User interface for loyalty accounts and private label accounts |
DK179186B1 (en) | 2016-05-19 | 2018-01-15 | Apple Inc | REMOTE AUTHORIZATION TO CONTINUE WITH AN ACTION |
CN114693289A (zh) | 2016-06-11 | 2022-07-01 | 苹果公司 | 用于交易的用户界面 |
US10621581B2 (en) | 2016-06-11 | 2020-04-14 | Apple Inc. | User interface for transactions |
DK201670622A1 (en) | 2016-06-12 | 2018-02-12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transactions |
US11580608B2 (en) | 2016-06-12 | 2023-02-14 | Apple Inc. | Managing contact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applications |
US9842330B1 (en) | 2016-09-06 | 2017-12-12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stored-value accounts |
US10860199B2 (en) | 2016-09-23 | 2020-12-08 | Apple Inc. | Dynamically adjusting touch hysteresis based on contextual data |
KR102389678B1 (ko) | 2017-09-09 | 2022-04-21 | 애플 인크. | 생체측정 인증의 구현 |
KR102185854B1 (ko) | 2017-09-09 | 2020-12-02 | 애플 인크. | 생체측정 인증의 구현 |
DK179992B1 (en) | 2018-05-07 | 2020-01-14 | Apple Inc. | DISPLAY OF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
KR20240024294A (ko) | 2018-06-03 | 2024-02-23 | 애플 인크. | 트랜스퍼 계정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
US11100498B2 (en) | 2018-06-03 | 2021-08-24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transfer accounts |
US11328352B2 (en) | 2019-03-24 | 2022-05-10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n account |
DK201970530A1 (en) | 2019-05-06 | 2021-01-28 | Apple Inc | Avatar integration with multiple applications |
US11477609B2 (en) | 2019-06-01 | 2022-10-18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location-related communications |
US11481094B2 (en) | 2019-06-01 | 2022-10-25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location-related communications |
CN114365073A (zh) | 2019-09-29 | 2022-04-15 | 苹果公司 | 账户管理用户界面 |
US11169830B2 (en) | 2019-09-29 | 2021-11-09 | Apple Inc. | Account management user interfaces |
CN111290717A (zh) * | 2020-03-13 | 2020-06-16 | 成都互诚在线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蓝牙通信的离线数据存储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0101836D0 (en) * | 2001-01-24 | 2001-03-07 | Worldplay Ltd | Data transaction authentication |
FI20021736A (fi) * | 2002-09-30 | 2004-03-31 | Nokia Corp | Menetelmä ja järjestely lukituksen toiminnan ohjaamiseksi |
US7811172B2 (en) * | 2005-10-21 | 2010-10-12 | Cfph, Llc |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lottery |
US20060047576A1 (en) * | 2004-08-30 | 2006-03-02 | Nokia Corporation | Automated memory and accessory purchasing agent for use in a mobile terminal |
US8989778B2 (en) * | 2006-06-01 | 2015-03-24 | Green Dot Corporation | Secure and private location sharing for location-aware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
US8571580B2 (en) * | 2006-06-01 | 2013-10-29 | Loopt Llc. | Displaying the location of individuals on an interactive map display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US8239286B2 (en) * | 2006-06-29 | 2012-08-07 | Microsoft Corporation | Medium and system for location-based E-commerc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
KR20090021796A (ko) * | 2007-08-28 | 2009-03-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단말 및 그의 기기 제어 방법 |
US8504450B2 (en) * | 2007-08-31 | 2013-08-06 | Ebay Inc. | Mobile remittances/payments |
CN101419691A (zh) * | 2007-10-26 | 2009-04-29 | 联款通科技有限公司 | 一种电子支付的方法和系统 |
EP2240915A1 (en) * | 2007-12-26 | 2010-10-20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Systems and methods for conducting commerce in a vehicle |
US9082117B2 (en) * | 2008-05-17 | 2015-07-14 | David H. Chin | Gesture based authentication for wireless payment by a mobile electronic device |
US20110047075A1 (en) * | 2009-08-19 | 2011-02-24 |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 Location controls on payment card transactions |
US20110208545A1 (en) * | 2010-02-24 | 2011-08-25 | Kuester Jeffrey R | Portable Device Distraction Reduction System |
WO2011109083A2 (en) * | 2010-03-01 | 2011-09-09 | Zazum, Inc. | Mobile device application |
US20110246284A1 (en) * | 2010-04-01 | 2011-10-06 | Gary Chaikin | Systems and Methods for Adding Functionality to Merchant Sales and Facilitating Data Collection. |
CN101834946A (zh) * | 2010-05-11 | 2010-09-15 | 丁峰 | 一种进行安全手机支付的方法和进行安全支付的手机 |
KR20120078831A (ko) * | 2011-01-03 | 2012-07-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의 보안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
US8429086B2 (en) * | 2011-01-20 | 2013-04-23 | Csr Technology Inc. | System for location based transaction security |
US8666895B2 (en) * | 2011-01-31 | 2014-03-04 | Bank Of America Corporation | Single action mobile transaction device |
US20120197691A1 (en) * | 2011-01-31 | 2012-08-02 | Bank Of America Corporation | Mobile wallet payment vehicle preferences |
US20120197773A1 (en) * | 2011-01-31 | 2012-08-02 | Bank Of America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osition-based budgeting information |
US9916619B2 (en) * | 2011-02-14 | 2018-03-13 | Paypal, Inc. | Payment system with location restrictions |
US9971998B2 (en) * | 2011-02-25 | 2018-05-15 | Paypal, Inc. | Location-based automatic payment system |
US10168413B2 (en) * | 2011-03-25 | 2019-01-01 | T-Mobile Usa, Inc. | Service enhancement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
US20120278201A1 (en) * | 2011-04-26 | 2012-11-01 | Dwolla Corp. | Location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
-
2011
- 2011-06-10 KR KR1020110056392A patent/KR10180517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01-17 EP EP12151453A patent/EP2533183A1/en not_active Ceased
- 2012-01-25 US US13/357,953 patent/US8626657B2/en active Active
- 2012-03-08 CN CN201210059926.9A patent/CN102819917B/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20317023A1 (en) | 2012-12-13 |
EP2533183A1 (en) | 2012-12-12 |
CN102819917A (zh) | 2012-12-12 |
KR20120137080A (ko) | 2012-12-20 |
US8626657B2 (en) | 2014-01-07 |
CN102819917B (zh) | 2015-08-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5178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82218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887061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51191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969350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US20120299966A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669521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009013A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
KR101669520B1 (ko) | 전자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
KR20120131584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57203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48509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10131500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781072B1 (ko) |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680808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788706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40108858A (ko) | Nfc 태그를 이용한 액세스 포인트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20150012927A (ko) |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779000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521120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 |
KR101750896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04357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뉴 표시 방법 | |
KR101722482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092624A (ko) |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40068427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