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136B1 -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136B1
KR101805136B1 KR1020160054751A KR20160054751A KR101805136B1 KR 101805136 B1 KR101805136 B1 KR 101805136B1 KR 1020160054751 A KR1020160054751 A KR 1020160054751A KR 20160054751 A KR20160054751 A KR 20160054751A KR 101805136 B1 KR101805136 B1 KR 101805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plate
shaft
drum
coupled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4831A (ko
Inventor
최인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흥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흥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흥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054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13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1Belt sorting accessories, e.g. devices keeping the belts in comfortable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는,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가 맞대어져 결합된 본체; 와이어가 감겨져 있는 드럼; 상기 드럼의 일측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드럼을 회전시키는 감기부재; 상기 드럼에 연결되며 와이어의 인출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재; 상기 본체의 상부 커버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감속부재의 회전작동을 온오프시키는 록킹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보다 고하중의 추락을 견딜 수 있고, 추락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도록 하여 더 높은 고소작업이나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Crash Prevention Safety Device}
개시되는 내용은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소 작업 중 작업자가 추락하는 경우 착용한 안전와이어의 하강을 강제로 제동시켜 추락을 방지할 수 있고, 이후 완만한 속도로 하강시켜 안전하게 지상에 착지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축물이나 대형 선박의 건조 작업과 같은 현장은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대개 작업자가 철골기둥 및 철골보들 사이를 지나가거나 하는 등의 위험을 감수해야하는데 이러한 철골보는 폭이 넓지 않기 때문에 추락사고의 위험이 상존하였다.
이러한 건설현장은 건축 구조물의 단부나 임시 계단 등의 끝에 안전장비 겸 안전설비 중의 하나인 안전블록을 고정하고, 상기 안전블록의 안전와이어에 의해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안전블럭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작업 중에 자칫 낙하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낙하 보호를 위한 안전 장비이다.
이에 관련된 본 발명자는 국내 특허출원 제10-2012-0140492호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와이어가 감겨지는 드럼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의 내부에 래칫 및 래칫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풀림 및 감김을 제어하는 제동부가 포함하고, 상기 제동부의 회전 작동에 연동되는 작동축의 보스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의 하강시 작동축의 회전 속도를 점차 감속시키면서 와이어가 완만하게 하강되도록 하는 감속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과 관련된다.
개시되는 내용은 전술한 본 발명자의 선출원 발명인 국내 특허출원 제10-2012-0140492호를 개량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고하중의 추락을 견딜 수 있고, 추락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도록 하여 더 높은 고소작업이나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의 목적은,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가 맞대어져 결합된 본체; 와이어가 감겨져 있는 드럼; 상기 드럼의 일측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드럼을 회전시키는 감기부재; 상기 드럼에 연결되며 와이어의 인출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재; 상기 본체의 상부 커버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감속부재의 회전작동을 온오프시키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와이어가 권취되는 원통부재와, 원통부재의 양단에 결합되는 원판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원판부재는, 일측에 원형으로 요입되어 단차를 갖도록 제1요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요입부 보다 더 하부로 요입되어 삽입부를 갖도록 제2요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요입부에는 감속부재의 회전 작동과 연동되는 스토퍼가 포함되고, 상기 스토퍼는 축핀으로 힌지결합되어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래칫과, 상기 래칫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 복원력을 발휘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속부재는 원판부재에 결합되며 제1링기어가 형성된 제1회전판; 상기 제1회전판에 중첩결합되며 제1링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다수의 제1유성기어가 형성된 제2회전판; 상기 제2회전판에 중첩결합되며 제2링기어가 형성된 제3회전판; 상기 제3회전판에 중첩결합되며 제2링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다수의 제2유성기어가 형성된 제4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는 상부 커버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부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일단에 주동기어가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끼움돌기가 형성된 샤프트; 상기 상부 커버의 외면에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며 다수의 끼움돌기가 삽입되도록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며, 통공의 내주연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결합되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통공의 양측에 한쌍씩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2홈과 제1,2홈 사이에 형성되는 호형의 장공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며, 상기 상부 커버의 외면에 닿도록 형성되고, 일 방향 회전시 하우징의 수용홈의 내주면과 마찰 접촉에 의해 감속을 발휘하는 속도지연부재;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결합되며 중앙에 샤프트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캡; 캡의 내부에 삽입되며 하부에 장공에 대응하는 제1돌기와, 제1,2홈에 대응하는 제2돌기가 형성된 와셔; 상기 캡의 홈에 삽입되며 샤프트의 외주에 끼워지며 와셔를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캡의 상부에 결합되어 샤프트 및 스프링의 상단이 수용되는 홈이 저면에 형성된 커버;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고하중의 추락을 견딜 수 있고, 추락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도록 하여 더 높은 고소작업이나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뒤집은 분해사시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서 '록킹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서 '록킹부'의 잠김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서 '록킹부'의 해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서 '속도지연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서 '속도지연부재'의 작동 전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서 '속도지연부재'의 작동 후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뒤집은 분해사시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서 '록킹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서 '록킹부'의 잠김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서 '록킹부'의 해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서 '속도지연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서 '속도지연부재'의 작동 전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서 '속도지연부재'의 작동 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는, 고소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장비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부 커버(22)와 하부 커버(24)가 맞대어져 결합된 본체(2); 상기 안전장비와 연결된 와이어(W)가 감겨져 있는 드럼(4); 상기 드럼(4)의 일측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드럼(4)을 회전시키는 감기부재(42); 상기 드럼(4)에 연결되며 와이어(W)의 인출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재(6); 상기 본체(2)의 상부 커버(22)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감속부재(6)의 회전작동을 온오프시키는 록킹부(L);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2)는 단면이 내부에 공간을 갖는 동일 형상, 보다 정확하게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상부 커버(22)와 하부 커버(24)를 맞대어 결합시킴으로써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상부 커버(22)와 하부 커버(24)는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끼리 밀착된 후 볼트 체결로 결합되고, 본체(2)의 일측에는 와이어(W)가 관통하는 홀(23)이 형성된다.
와이어(W)에는 단부에 카라비너(25)가 구비된다. 카라비너는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벨트와 같은 안전장비에 체결된다.
본체(2)의 타측에는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되고, 아울러 대상물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링크가 형성된다. 대상물은 보와 같은 상부 구조물이 바람직하다.
본체(2)의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안전블럭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드럼(4)은 와이어(W)가 권취되는 원통부재(41)와, 원통부재(41)의 일측에 원판부재(43)가 일체로 형성되며, 원통부재(41)의 타측에는 감기부재(42)가 형성된다.
상기 감기부재(42)는 원통부재(41)에 내장되는 태엽스프링(미도시)과, 태엽스프링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는 작동축(422)으로 구성되어 태엽스프링의 풀림 및 감김작동에 의해 작동축(422)에 회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작동축(422)은 원판부재(43)는 물론 감속부재(6)까지 관통하여 연결되며, 그 단부가 록킹부(L)와도 연결된다.
따라서 태엽스프링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축(422)이 회전되고, 그 회전력은 후술될 감속부재(6)의 주동기어(G1)를 회전시키는 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원판부재(43)는 원형의 판상이되 일측 중앙이 원형으로 일정 깊이를 갖도록 요입되어 단차를 갖도록 하여 제1요입부(431)가 형성된다. 제1요입부(431)는 원형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 상기 제1요입부(431) 보다 더 하부로 일정 깊이로 요입되어 제2요입부(432)가 형성된다. 제2요입부(432)는 원통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제1요입부(431)에는 감속부재(6)의 회전 작동과 연동되는 스토퍼(45)가 복수개 형성된다.
복수개의 스토퍼(45)는 제1요입부(43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45)는, 제1요입부(431)의 평면상에 축핀(451)으로 힌지결합되어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래칫(452)과, 상기 래칫(452)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 복원력을 발휘하는 코일스프링(4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래칫(452)은 대략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이며, 그 중심부에 축핀(451)이 힌지 결합되어 있어 어느 방향으로든 자유 회전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454)은 일단이 래칫(452)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요입부(431)의 평면상에 체결된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래칫(452)은 어느 방향으로든 회전될 수 있지만 코일스프링(454)의 힘에 의해 항상 해제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해제상태라 함은 래칫(452)의 일단이 제1회전판(61)의 일방향 기어(612)와 맞물리지 않은 상태이며, 이는 저속으로 드럼(4)이 회전되는 상태이며, 이렇게 저속으로 드럼(4)이 회전시에는 와이어(W)의 인출이나 인입이 제한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와이어(W)가 인출되거나 권취되는 작동이 저속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에 지장을 주지는 않는다.
한편 순간적으로 가속되어 드럼(4)이 회전하게 되면 래칫(452)이 회전되면서 일단이 제2요입부(432) 안쪽으로 위치되며, 이 상태에서는 래칫(452)이 일방향 기어(612)와 맞물리게 되어 제동력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이는 주로 작업자의 추락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속 회전에 의해 수반된다.
즉, 추락 초반에는 후술될 감속부재(6)에서 추락 속도를 감속하게 되고, 이후에는 래칫(452)이 일방향 기어(612)와 맞물리면 더이상 추락하지 않고 순간적으로 멈추게 된다.
이후 록킹부(L)의 록킹을 해제하면 드럼(4)과 감속부재(6)가 일체가 되어 함께 저속 회전될 수 있고, 작업자를 안전하게 하강하게 된다.
상기 감속부재(6)는, 원판부재(43)에 결합되며 제1링기어(65)가 형성된 제1회전판(61); 상기 제1회전판(61)에 중첩결합되며 제1링기어(65)와 치차 결합되는 다수의 제1유성기어(621)가 형성된 제2회전판(62); 상기 제2회전판(62)에 중첩결합되며 제2링기어(66)가 형성된 제3회전판(63); 상기 제3회전판(63)에 중첩결합되며 제2링기어(66)와 치차 결합되는 다수의 제2유성기어(644)가 형성된 제4회전판(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회전판(61)은, 일측에 돌출되어 원판부재(43)의 제2요입부(432)에 삽입되는 끼움부(610)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610)의 외주면에는 원판부재(43)의 래칫(452)과 걸리도록 일방향 기어(612)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타측에는 내주연에 치형이 형성된 제1링기어(65)가 형성된다.
상기 제2회전판(62)은, 상기 제1회전판(61)과 중첩결합되는 원판 형상이며, 일면 중심부에 관통공(620)이 형성되고, 관통공(620)의 주변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유성기어(621)가 형성된다.
상기 제3회전판(63)은, 상기 제2회전판(62)과 중첩결합되며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이며, 일면에는 중심부에 상기 제2회전판(62)의 관통공(620)을 통과하는 태양기어(632)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제2링기어(66)가 형성되고, 상기 제2링기어(66)에 제2회전판(62)의 복수의 제1유성기어(621)가 치차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4회전판(64)은, 상기 제3회전판(63)의 타면에 중첩결합되는 원판 형상이며, 일면 중심부에 관통공(640)이 형성되고, 관통공(640)의 주변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2유성기어(644)가 형성된다.
상부 커버(22)의 내면에는 주동기어(G1)가 형성된다. 주동기어(G1)는 중앙의 끼움공(G0)에 작동축(422)의 상단이 끼움결합되어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L)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45)가 잠금작동되어 드럼(4)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작업자의 추락으로 인한 고속회전시 잠금작동된 상태임)에서 작업자를 서서히 하강시키기 위해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록킹부(L)는, 상부 커버(22)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부 커버(22)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일단에 주동기어(G1)가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 커버(22)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끼움돌기(72)가 형성된 샤프트(7); 상기 상부 커버(22)의 외면에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7)가 관통되며 다수의 끼움돌기(72)가 삽입되도록 중앙에 통공(81)이 형성되며, 통공(81)의 양측에 한쌍씩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2홈(84)(85)과 제1,2홈(84)(85) 사이에 형성되는 호형의 장공(82)을 포함하는 하우징(8); 상기 샤프트(7)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8)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며, 상기 상부 커버(22)의 외면에 닿도록 형성되고, 일 방향 회전시 하우징(8)의 수용홈(80)의 내주면과 마찰 접촉에 의해 감속을 발휘하는 속도지연부재(5); 상기 하우징(8)의 외측에 결합되며 중앙에 샤프트(7)가 삽입되는 홈(90)이 형성되는 캡(9); 상기 캡(9)의 내부에 삽입되며 하부에 장공(82)에 대응하는 제1돌기(921)와, 제1,2홈(84)(85)에 대응하는 제2돌기(922)가 형성된 와셔(92); 상기 캡(9)의 홈(90)에 삽입되며 샤프트(7)의 외주에 끼워지며 와셔(92)를 가압하는 스프링(94); 상기 캡(9)의 상부에 결합되어 샤프트(7) 및 스프링(94)의 상단이 수용되는 홈(90)이 저면에 형성된 커버(96); 상기 커버(96)에 결합되는 고리(9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와셔(92)는 원판상이며, 하부에는 길이가 긴 제1돌기(921)와, 이에 비해 길이가 짧은 제2돌기(922)가 형성되며, 제2돌기(922)는 2개이며 제1돌기(921)는 1개이고, 이들 제1,2돌기(921)(922)는 삼각형으로 배열된다.
또한 와셔(92)는 중앙에 샤프트(7)가 결합되는 관통공(923)이 형성되며, 관통공(923)의 내주면에는 끼움돌기(72)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도록 요철형상으로 된 회전방지부(925)가 형성된다.
따라서 고리(97)와 커버(96)는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고리(97)를 잡아당기면 커버(96)가 당겨지게 되고, 커버(96)에 결합된 캡(9)과 와셔(92)가 동반하여 당겨짐으로써 제1돌기(921)가 장공(82)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이후 고리(97)를 일측으로 돌리면 커버(96), 캡(9), 와셔(92)가 동반하여 회전되어 제1돌기(921)가 하우징(8)의 제1홈(90) 또는 제2홈(90)에 얕게 삽입된다.
이 상태가 되면 와셔(92)의 회전방지부(925)가 샤프트(7)의 끼움돌기(72)로부터 분리되므로 샤프트(7)를 구속하는 힘이 제거된 상태이다.
따라서 드럼(4) 및 감속부재(6)의 회전력(이는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중력에 의해 발생됨)에 의해 샤프트(7)의 공회전이 가능해지고, 아울러 샤프트(7)에 연결된 주동기어(G1)를 회전시키게 된다.
주동기어(G1)의 회전에 의해 다시 감속부재(6)의 제4회전판(64)의 제2유성기어(644)가 회전되고, 그에 종동되어 제3회전판(63) 내지 제1회전판(61)까지 회전되며, 아울러 유성기어(621,644)와 태양기어(632) 간의 조합에 의해 감속상태로 회전하게 되어 작업자가 천천히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속도지연부재(5)는,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조각홈(53)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원판형상이며 샤프트(7)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8)의 수용홈(80)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 바디(52); 상기 조각홈(53)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그 외주면이 수용홈(80)의 내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호형부(546)가 형성된 자유운동부재(54); 자유운동부재(54)의 호형부(546)에 부착되어 수용홈(80)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마찰패드(56);를 포함하게 된다.
자유운동부재(54)는, 조각홈(53)의 제1직각부에 대응되는 제2직각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직각부의 외주에 호형부(546)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속도지연부재(5)는 그 외경이 수용홈(80)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속도지연부재(5)의 외경은 수용홈(80)의 내경 보다 1~2mm정도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바디(5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자유운동부재(54)의 마찰패드(56)가 제3수용홈(23)의 내주면에 접촉되거나 이격된다.
먼저 해제된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디(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조각홈(53)의 단변(532)이 자유운동부재(54)의 단변(542)을 밀게 되며 조각홈(53)의 장변(531)에 자유운동부재(54)의 장변(541)이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자유운동부재(54)는 조각홈(53)의 내부에 구속된 채 바디(52)와 동반 회전된다.
따라서 바디(52)의 시계방향의 회전은 자유운동부재(54)의 마찰패드(56)가 제3수용홈(23)의 내주면에 강하게 밀착되지 않으므로 제동력이 발휘되지 않는다.
이는 즉 와이어(400)가 다시 드럼(120)에 권취되는 작동을 하는 방향에서는 속도지연부재(5)가 권취 방향이나 권취속도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잠금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디(5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이는 와이어가 인출되는 상태이며 추락이 진행중인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는 조각홈(53)의 장변(531)이 자유운동부재(54)의 장변(541)을 외측으로 밀쳐내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자유운동부재(54)는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며, 그의 마찰패드(56)가 제3수용홈(23)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제동력이 발휘된다.
따라서 속도지연부재(5)의 회전속도는 급격히 저하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400)는 서서히 인출되므로 작업자의 하강이 완만하게 감속될 수 있어 안전한 착지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렇게 작업자가 완만한 속도로 하강하여 지상에 착지하여 와이어(400)로부터 분리된 후 대피하고, 와이어(400)는 드럼(120)의 태엽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감아지면서 상승하게 된다.
와이어(400)의 상승 작동 중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속도지연부재(5)의 감속 성능이 발휘되지 않음으로써 신속히 권취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본체 4 : 드럼
5 : 속도지연부재 6 : 감속부재
7 : 샤프트 8 : 하우징
9 : 캡 22 : 상부 커버
24 : 하부 커버 41 : 원통부재
42 : 감기부재 43 : 원판부재
45 : 스토퍼 52 : 바디
54 : 자유운동부재 56 : 마찰패드
61 : 제1회전판 62 : 제2회전판
63 : 제3회전판 64 : 제4회전판
72 : 끼움돌기

Claims (11)

  1. 고소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장비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가 맞대어져 결합된 본체;
    상기 안전장비와 연결된 와이어가 감겨져 있는 드럼;
    상기 드럼의 일측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드럼을 회전시키는 감기부재;
    상기 드럼에 연결되며 와이어의 인출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재;
    상기 본체의 상부 커버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감속부재의 회전작동을 온오프시키는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부 커버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부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일단에 주동기어가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끼움돌기가 형성된 샤프트;
    상기 상부 커버의 외면에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며 다수의 끼움돌기가 삽입되도록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양측에 한쌍씩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2홈과 제1,2홈 사이에 형성되는 호형의 장공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결합되며 중앙에 샤프트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캡;
    캡의 내부에 삽입되며 하부에 장공에 대응하는 제1돌기와, 제1,2홈에 대응하는 제2돌기가 형성된 와셔;
    상기 캡의 홈에 삽입되며 샤프트의 외주에 끼워지며 와셔를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캡의 상부에 결합되어 샤프트 및 스프링의 상단이 수용되는 홈이 저면에 형성된 커버;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고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며, 상기 상부 커버의 외면에 닿도록 형성되고, 일 방향 회전시 하우징의 수용홈의 내주면과 마찰 접촉에 의해 감속을 발휘하는 속도지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지연부재는,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조각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원판형상이며 샤프트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 바디;
    상기 복수의 조각홈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그 외주면이 수용홈의 내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호형부가 형성된 자유운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운동부재의 호형부에 부착되어 제3수용홈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마찰패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운동부재는, 조각홈의 제1직각부에 대응되는 제2직각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직각부의 외주에 호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와이어가 권취되는 원통부재와,
    원통부재의 양단에 결합되는 원판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원판부재는
    일측에 원형으로 요입되어 단차를 갖도록 제1요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요입부 보다 더 하부로 요입되어 삽입부를 갖도록 제2요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요입부에는 감속부재의 회전 작동과 연동되는 스토퍼가 포함되고,
    상기 스토퍼는 축핀으로 힌지결합되어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래칫과, 상기 래칫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 복원력을 발휘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재는
    원판부재에 결합되며 제1링기어가 형성된 제1회전판;
    상기 제1회전판에 중첩결합되며 제1링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다수의 제1유성기어가 형성된 제2회전판;
    상기 제2회전판에 중첩결합되며 제2링기어가 형성된 제3회전판;
    상기 제3회전판에 중첩결합되며 제2링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다수의 제2유성기어가 형성된 제4회전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판은.
    일측에 돌출되어 원판부재의 제2요입부에 삽입되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의 외주면에는 원판부재의 래칫과 걸리도록 일방향 기어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타측에는 내주연에 치형이 형성된 제1링기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판은
    상기 제1회전판과 중첩결합되는 원판 형상이며, 일면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주변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유성기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3회전판은
    상기 제2회전판과 중첩결합되며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이며,
    일면에는 중심부에 상기 제2회전판의 관통공을 통과하는 태양기어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제2링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2링기어에 제2회전판의 복수의 제1유성기어가 치차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회전판은
    상기 제3회전판의 타면에 중첩결합되는 원판 형상이며, 일면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주변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2유성기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KR1020160054751A 2016-05-03 2016-05-03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KR101805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751A KR101805136B1 (ko) 2016-05-03 2016-05-03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751A KR101805136B1 (ko) 2016-05-03 2016-05-03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831A KR20170124831A (ko) 2017-11-13
KR101805136B1 true KR101805136B1 (ko) 2017-12-06

Family

ID=60386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751A KR101805136B1 (ko) 2016-05-03 2016-05-03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1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467B1 (ko) 2010-02-11 2010-08-11 최병일 비상 탈출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467B1 (ko) 2010-02-11 2010-08-11 최병일 비상 탈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831A (ko) 2017-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95669B (zh) 具有缓冲器组件的线收回装置
EP2958635B1 (en) Fall arrest device
US5927438A (en) Personnel lifting-lowering system
EP2777771B1 (en) Fall Protection Safety Device with a Braking Mechanism
TWI630941B (zh) 在繩索上具有夾持功能的墜落阻止安全裝置
US7870934B2 (en) Self-retracting lanyard and braking mechanism with pawl lockout
KR101376047B1 (ko) 안전블럭의 제동장치
US5343976A (en) Safety device
CA3048877C (en) Fall protection device and adjustment mechanism therefor
EP3562562B1 (en) Tolerance ring in external energy absorber
EP3256220B1 (en) Speed reducer arrangement for a line retraction device
KR101499131B1 (ko)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KR101805136B1 (ko)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EP0687482A2 (en) A device and method for arresting a fall
US20030057023A1 (en) Compact descent controller
JP3129440U (ja) 避難装置
CN213527216U (zh) 一种绳索止动安全救援装置
KR20240020838A (ko) 드래그 다운먼트
KR20170014044A (ko)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CN112107811A (zh) 一种绳索止动安全救援装置
RU2342176C2 (ru) 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уска людей
JPH0327215B2 (ko)
KR20050018267A (ko) 완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