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838A - 드래그 다운먼트 - Google Patents

드래그 다운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838A
KR20240020838A KR1020220099049A KR20220099049A KR20240020838A KR 20240020838 A KR20240020838 A KR 20240020838A KR 1020220099049 A KR1020220099049 A KR 1020220099049A KR 20220099049 A KR20220099049 A KR 20220099049A KR 20240020838 A KR20240020838 A KR 20240020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unit
rope
downment
dr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2742B1 (ko
Inventor
윤주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99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2742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9904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2742B1/ko
Publication of KR20240020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93Fall arrest ree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5Vertical life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래그 다운먼트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주한 작업자의 추락방지 및 안전한 하주를 위한 드래그 다운먼트에 관한 것으로서, 전주에 승주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드래그 다운먼트에 있어서,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부(100)에 마련된 센서부(600)에 의한 센싱값이 소정의 기설정값일 때 회전을 즉각 차단하도록 내부에 회전잠금부가 마련되고, 외주면에는 일측이 상기 전주에 고정되는 제1로프(200R)가 감긴채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1 권취부(200); 외주면에 제2로프(300R)가 감긴채 상기 제1 권취부(200)와 동일한 회전중심을 갖고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2 권취부(300); 상기 제2로프(300R)에 의해 상기 제2 권취부(300)에서 소정 각도만큼 회전가능한 클러치부(400); 상기 베이스부(100)에 마련되어 상기 제2 권취부(300)를 상기 제1 권취부(200)를 향해 가압하는 접촉판(510); 을 포함하여, 상기 클러치부(400)가 상기 제2 권취부(300)와 상기 제1 권취부(200) 사이에 형성된 소격벽부(104)에 걸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권취부(200)와 상기 제2 권취부(300)는 서로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제2로프(300R)에 의해 클러치부(400)가 회전되면서 상기 클러치부(400)가 상기 소격벽부(104)에서 해제된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2 권취부(300)가 상기 제1 권취부(200)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1 권취부(200)와 상기 제2 권취부(300)는 일체로 회전 가능한 드래그 다운먼트를 포함하여, 신속하게 추락을 감지하여 추락에 따른 상해를 최소화함에 있고 작업자의 감전, 건강 이상 등으로 추락이 발생할 때 주상 작업자의 추락 방지 및 충전부로부터 단시간 분리 및 빠른 하주로 인하여 신속한 응급조치를 시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래그 다운먼트{A drag downment}
본 발명은 드래그 다운먼트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주한 작업자의 추락방지 및 안전한 하주를 위한 드래그 다운먼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 진입이 불가한 지역에서는 부득이하게 승주작업을 시행할 때 작업자가 최소한의 추락안전 장비만을 구비한 채 승주하여 작업한다.
전주 작업자는 고압의 전류에 의해 감전의 위험이 있고, 전주의 높은 위치에서의 작업으로 인해 추락의 위험도 있다.
이 때, 추락에 따른 상해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고 작업자의 감전, 건강 이상 등으로 추락이 발생할 우려가 있을 때 주상 작업자의 추락 방지 및 충전부로부터 단시간에 분리시키고 빠른 하주를 통한 안전조치가 요구된다.
한편, 저압선로의 경우 감전시 인체가 전선에 달라 붙게 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충전부로부터 단시간에 분리시키는 일은 작업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중대한 문제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롱슬링 체결 및 카라비너 결속 과정에서 많은 작업시간 소요 및 안전상문제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죔줄 체결 및 이동과정에서 자일(로프)와의 꼬임 등으로 인하여 승주자의 움직임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빌레이 장치를 보조 작업자가 유지하여야 하므로 작업자 간의 업무에 효율성이 낮아지는 단점도 있었으며, 추락 방지 장치의 감지 시점과 작용 시점의 딜레이로 인하여 추가적 외상 발생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하면 빌레이 장치 고정 보조 작업자 돌발상황 이동에 따른 안전사고 초래가능성이 있어 문제였으며, 추락 감지 기능이 느려 작업자의 2차적 재해를 초래하는 치명적 결함을 가지고 있었다.
KR 10-2330522 B2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주한 작업자의 추락방지 및 안전한 하주를 위한 드래그 다운먼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전주에 승주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드래그 다운먼트에 있어서,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부(100)에 마련된 센서부(600)에 의한 센싱값이 소정의 기설정값일 때 회전을 즉각 차단하도록 내부에 회전잠금부가 마련되고, 외주면에는 일측이 상기 전주에 고정되는 제1로프(200R)가 감긴채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1 권취부(200); 외주면에 제2로프(300R)가 감긴채 상기 제1 권취부(200)와 동일한 회전중심을 갖고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2 권취부(300); 상기 제2로프(300R)에 의해 상기 제2 권취부(300)에서 소정 각도만큼 회전가능한 클러치부(400); 상기 베이스부(100)에 마련되어 상기 제2 권취부(300)를 상기 제1 권취부(200)를 향해 가압하는 접촉판(510); 을 포함하여, 상기 클러치부(400)가 상기 제2 권취부(300)와 상기 제1 권취부(200) 사이에 형성된 소격벽부(104)에 걸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권취부(200)와 상기 제2 권취부(300)는 서로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제2로프(300R)에 의해 클러치부(400)가 회전되면서 상기 클러치부(400)가 상기 소격벽부(104)에서 해제된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2 권취부(300)가 상기 제1 권취부(200)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1 권취부(200)와 상기 제2 권취부(300)는 일체로 회전 가능한 드래그 다운먼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권취부(200)에는 기어홈부(211)가 마련되고, 상기 제2 권취부(300)에는 상기 기어홈부(211)에 치합되는 기어부(311)가 마련되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기어부(311)가 상기 기어홈부(21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다운먼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에는 상기 접촉판(510)을 가압하는 스프링(52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다운먼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촉판(510)에는 홀더부(50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다운먼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러치부(400)는 상기 제2로프(300R)가 안내되도록 장홈이 형성된 로프핸들(401); 상기 로프핸들(401)에서 절곡된 연장부(402); 상기 연장부(402)에 연장되어 상기 제2 권취부(300)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환형부(403); 상기 환형부(403)에서 연장되어 상기 소격벽부(104)에 걸리는 엔드부(40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다운먼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엔드부(404)에는 상기 제2 권취부(300)에 형성된 걸림홈부(302)와 결합 가능한 핑거부(4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다운먼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걸림홈부(302)에는 상기 제2 권취부(300)가 상기 핑거부(405)에 걸려 소정의 피치만큼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제2 권취부(300)의 타방향 회전시에는 슬립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다운먼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권취부(300)가 상기 일방향 회전시 상기 회전잠금부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다운먼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에 결합되는 케이스부(90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부(900)에는 상기 클러치부(400)의 회전 동작을 허용하는 제1 개구부(901); 상기 클러치부(400)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제2 개구부(902); 상기 제1로프(200R)가 인출되는 제3 개구부(903); 상기 제1 개구부(901)를 가로질러 마련되어 소정의 힘 이상이 가해질 때 파단됨으로써 상기 클러치부(400)의 임의 하강을 억제하는 임의하강 방지부재(9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다운먼트를 포함한다.
또한, 전주에 승주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드래그 다운먼트에 있어서,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부(100)에 마련된 센서부(600)에 의한 센싱값이 소정의 기설정값일 때 회전을 즉각 차단하도록 내부에 회전잠금부가 마련되고, 외주면에는 일측이 상기 전주에 고정되는 제1로프(200R)가 감긴채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1 권취부(200); 외주면에 제2로프(300R)가 감긴채 상기 제1 권취부(200)와 동일한 회전중심을 갖고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2 권취부(300); 상기 제2로프(300R)에 의해 상기 제2 권취부(300)에서 소정 각도만큼 회전가능한 클러치부(400); 상기 베이스부(100)에 마련되어 상기 제2 권취부(300)를 상기 제1 권취부(200)를 향해 가압하는 접촉판(510); 을 포함하여, 상기 클러치부(400)가 상기 제2 권취부(300)와 상기 제1 권취부(200) 사이에 형성된 소격벽부(104)에 걸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권취부(200)와 상기 제2 권취부(300)는 서로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제2로프(300R)에 의해 클러치부(400)가 회전되면서 상기 클러치부(400)가 상기 소격벽부(104)에서 해제된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2 권취부(300)가 상기 제1 권취부(200)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1 권취부(200)와 상기 제2 권취부(300)는 일체로 회전 가능한 드래그 다운먼트를 이용한 하주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로프(300R)를 당겨 상기 제2 상태를 형성시키는 체결단계;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로프(300R)를 당겨 상기 제2 권취부(300)를 소정의 피치만큼 일방향 회전 시켜 상기 회전잠금부를 해제시키는 락해제단계; 상기 제2로프(300R)가 서서히 상기 제2 권취부(300)에 감기도록 하여 상기 작업자를 하강시키는 하강단계; 를 포함하는 드래그 다운먼트를 이용한 하주방법을 포함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신속하게 추락을 감지하여 추락에 따른 상해를 최소화함에 있고 작업자의 감전, 건강 이상 등으로 추락이 발생할 때 주상 작업자의 추락 방지 및 충전부로부터 단시간 분리 및 빠른 하주로 인하여 신속한 응급조치를 시행할 수 있다.
둘째, 작업자가 하주하고 나면 장치는 원상태로 자동 복구되기 때문에 로프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되감을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다음 작업에 사용이 이미 준비된 상태가 되어 매우 효율적이며, 재사용이 가능해 경제적이다.
셋째,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고장의 우려가 적어 내구성이 증대된다.
넷째, 센서에 의해 승주 작업자의 추락 감지가 되면 즉각적으로 락킹이 되므로 즉각적인 추락억제가 실시되어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제1로프와 제2로프 간에 꼬임의 우려가 없어 작업 효율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승주 작업 시 제1 권취부(200) 및 제2 권취부(300)의 분리 모습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주 작업 시 제1 권취부(200) 및 제2 권취부(300)의 결합 모습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승주 작업 시 클러치부(400) 모습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주 작업 시 클러치부(400) 모습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주 작업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승주 작업 시 케이스부(900) 모습이며,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주 작업 시 케이스부(900) 모습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승주 및 하주 과정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먼저 용어를 정리한다.
작업자라 함은 드래그 다운먼트를 신체에 착용하고 전주에 올라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자를 가리키며, 작업보조자는 지상에서 작업자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도움동작을 행하는 자다.
승주라 함은 작업자가 전주를 오르는 행위를 가리키며, 하주는 승주한 작업자가 전주로부터 지상을 향해 내려지는 행위를 각각 의미한다.
문제 상황이라 함은 작업자가 작업 도중 감전이나 실족, 기타 원인으로 인하여 작업자에 의한 자발적인 하주가 아닌 비자발적인 하주가 요구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비자발적인 하주는 작업자 스스로 하주할 수 없는 상태에서 지상의 보조작업자의 도움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시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드래그 다운먼트는 크게 베이스부(100), 제1 권취부(200), 제2 권취부(300), 클러치부(400), 홀더부(500), 어깨끈(700) 및 허리끈(80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에는 제1 권취부(200), 제2 권취부(300)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다.
한편, 후술하겠지만, 제1 권취부(200) 및 제2 권취부(300)는 홀더부(500)와 클러치부(400)의 동작에 의해 독립적인 회전 또는 일체된 회전 각각이 가능해진다.
제1 권취부(200) 에는 단부에 후크부(220)가 마련된 제1로프(200R)가 감겨져 있으며, 제2 권취부(300)에는 제2로프(300R)가 감겨 있다.
한편, 제1 권취부(200) 베이스부(100)에 마련된 센서부(600)에 의한 센싱값이 소정의 기설정값일 때 회전을 즉각 차단하도록 내부에 회전잠금부가 마련되고, 외주면에는 일측이 전주에 고정되는 제1로프(200R)가 감긴채 베이스부(100)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어깨끈(700) 및 허리끈(800)는 베이스부(100)에 고정되고 있어 베이스부(100)를 작업자에 신체(등부위)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사시도다.
베이스부(100)는 고정플레이트부(101), 제1 측벽부(102), 엣지부(103), 소격벽부(104), 제2 측벽부(105) 및 제3 측벽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부(102), 엣지부(103), 제2 측벽부(105) 및 제3 측벽부(106)는 고정플레이트부(101)에 대해 수직하게 고정되며,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고 있다.
한편, 홀더부(500)는 제1 측벽부(102)를 관통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파지하여 잡아당길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센서부(600)는 홀더부(500)의 맞은편에서 제3 측벽부(106)의 외측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신체 기울기를 실시간 감지하여 소정 각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작업자의 추락으로 간주하여 제1로프(200R)의 풀림을 즉시 차단시킨다.
이 때, 센서부(600)는 제1 드럼부(210) 내부에 마련된 잠금장치(미도시)와 연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작업자가 승주 작업 도중 감전 등에 의해 위험에 처하여 신체 기울기가 허용 범위를 벗어날 경우, 센서부(600)에 의해 후크부(220)이 연결된 제1로프(200R)가 제1 드럼부(210)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풀림방지) 락킹되어 추락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드럼부(210)에는 테엽스프링과 같이 제1로프(200R)를 자동으로 감아주는 장치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일러둔다.
따라서, 제1 권취부(200)에 감긴 제1로프(200R)는 후크부(220)와의 사이에 소정의 인장력을 인가받기 때문에, 작업자가 후크부(220)를 전주의 고정부에 걸고 작업 시 느슨해져 있음으로 인한 로프의 꼬임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제2 권취부(300)는 제1 플랜지휠(301), 걸림홈부(302), 제2 플랜지휠(303) 및 권취영역(30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권취부(300)는 외주면에 제2로프(300R)가 감긴채 제1 권취부(200)와 동일한 회전중심을 갖고 베이스부(100)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플랜지휠(301) 및 제2 플랜지휠(303)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고 있으며 서로 일체로 회전한다.
걸림홈부(302)는 복수개의 단홈으로 이루어지며 제1 플랜지휠(301)의 일측면에서 소정의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이 때, 엔드부(404)는 걸림홈부(30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승주 작업 시 제1 권취부(200) 및 제2 권취부(300)의 분리 모습이다.
홀더부(500)의 단부에는 접촉판(510)이 고정되고 있다.
접촉판(510)는 제1 측벽부(102)와의 사이에 마련된 스프링(520)에 의해 제2 플랜지휠(303)를 향해서 푸쉬되고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로프핸들(401)의 맞은편에 연장된 클러치부(400)의 일부가 소격벽부(104)에 걸려있기 때문에, 접촉판(510)가 제2 플랜지휠(303)에서 이격되며, 기어부(311)이 기어홈부(211)에서 치합되지 못하고 서로 분리되고 있는데, 이를 제1 상태라 한다.
다시 말해서 제2 권취부(300)와 제1 권취부(200)가 서로 분리되어 독립적 회동이 가능해진다.
즉, 클러치부(400)가 제2 권취부(300)와 제1 권취부(200) 사이에 형성된 소격벽부(104)에 걸린 제1 상태에서 제1 권취부(200)와 제2 권취부(300)는 서로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제1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평상시 승주하여 작업하는 경우이거나, 승주 전의 준비상태일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에 의해 홀더부(500)가 당겨지고 있고 스프링(520)는 압축된 상태이며, 접촉판(510)가 제2 플랜지휠(303)에서 이격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작업자에 의해 홀더부(500)를 놓더라도 로프핸들(401)의 맞은편에 연장된 클러치부(400)의 일부가 소격벽부(104)에 걸려있기 때문에 접촉판(510)가 제2 플랜지휠(303)에 밀착은 되지만 제2 권취부(300)가 제1 권취부(200)를 향해 접근되지 않는다.
이 때, 제2로프(300R)는 제2 권취부(300)에 감기게 되는데, 제2로프(300R)는 로프핸들(401)에 길고 좁게 형성된 장홈을 통해 인출되고 있다.
이 때 제2 로프 단부(320)는 끝단이 한 번 감겨 박음질 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로프 단부(320)가 로프핸들(401)에 길고 좁게 형성된 장홈을 통과하지는 못한채 걸려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주 작업 시 제1 권취부(200) 및 제2 권취부(300)의 결합 모습이다.
로프핸들(401)가 제2로프(300R)의 당겨짐으로 인해 하강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로프핸들(401)의 맞은편에 연장된 클러치부(400)의 일부가 소격벽부(104)에서 해제된다.
작업자가 홀더부(500)를 파지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접촉판(510)이 스프링(520)에 의해 제2 플랜지휠(303)에 밀착되면서, 기어부(311)가 기어홈부(211)에서 치합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로프핸들(401)의 회전에 의해 클러치부(400)의 일부가 소격벽부(104)에서 잠금해제 되고, 스프링(520)에 의한 푸쉬력에 의해 접촉판(510)이 제2 권취부(300) 전체를 제1 권취부(200) 방향으로 밀어내게 되고, 결국 기어부(311)가 기어홈부(211)에서 치합되는 것이다.
이 때가 제2 상태이다.
다시 말해서, 제2로프(300R)에 의해 클러치부(400)가 회전되면서 클러치부(400)가 소격벽부(104)에서 해제된 제2 상태일 때 제2 권취부(300)는 제1 권취부(200)에 접촉되면서 제1 권취부(200)와 제2 권취부(300)는 일체로 회전 가능해진다.
즉, 제2 상태에서 제1 권취부(200) 및 제2 권취부(300)는 서로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승주 작업 시 클러치부(400) 모습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주 작업 시 클러치부(400) 모습이다.
클러치부(400)는 로프핸들(401), 연장부(402), 환형부(403) 및 연장부(402), 핑거부(40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상태가 도 5와 같고, 도 4의 상태가 도 6과 같다.
도 5와 같이 엔드부(404)가 소격벽부(104)에 형성된 엣지부(103)를 타고 넘어가지 못하고 걸려 있는 위치에 있다.
도 6과 같이 로프핸들(401)이 하강하면 로프핸들(401)의 맞은편에 연장된 클러치부(400)의 일부가 소격벽부(104)에서 해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엔드부(404)가 소격벽부(104)에 형성된 엣지부(103)의 상단을 지나서 타고 넘어갈 수 있는 위치로 상승되고 있다.
바꿔 말하면, 로프핸들(401)가 하강하면 환형부(403)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데, 이는 환형부(403)가 제1 플랜지휠(3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 6에서는 핑거부(405)가 걸림홈부(302)에 걸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보다 상세하게는 걸림홈부(302)는 제1 플랜지휠(301)의 측벽을 따라 단홈 형상으로 음각처리 되는데, 환형부(403)의 회전 중심을 기준할 때 시계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되는 형상이다.
따라서, 환형부(403)이 시계방향 회전시에는 핑거부(405)가 걸림홈부(302)로부터 이탈이 가능해져서 결국 제1 플랜지휠(301)가 핑거부(405)의 간섭 없이 시계방향 회전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환형부(403)이 반시계방향 회전시에는 핑거부(405)가 걸림홈부(302)에 걸리게 되어 소정의 피치만큼 제1 플랜지휠(30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이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권취부(200) 및 제2 권취부(300)가 서로 치합된 상태에서 제1 권취부(200)의 락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권취부(200) 내부에는 도시하진 않았으나 센서부(600)에 의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잠금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는데, 회전잠금장치는 작업자 신체가 소정의 각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제1 권취부(200)의 회전을 차단시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이 때, 작업자의 하주를 위하여는 회전잠금장치를 해제시켜줄 필요가 있게 되며, 회전잠금장치를 해제하는 매커니즘이 바로 핑거부(405)가 걸림홈부(302)에 걸리게 되어 소정의 피치만큼 제1 플랜지휠(30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이 된다.
다시 말해서, 회전잠금장치는 제1로프(200R)가 풀림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핑거부(405)가 걸림홈부(302)에 걸리게 되어 소정의 피치만큼 제1 플랜지휠(30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은 제1로프(200R)의 풀림을 가능하게 해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주 작업 사시도다.
도 7과 같이 제1 권취부(200) 및 제2 권취부(300)가 서로 치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후크부(220)는 전주의 고정부위에 걸려 있는 상태이며, 제2 로프 단부(320)는 지상의 보조작업자에 의해 파지되고 있을 수 있는 상태다.
이 때, 보조작업자가 제2 로프 단부(320) 또는 제2로프(300R)의 일부를 잡아 당기면 전술한 것과 같이 클러치부(400)가 소정의 피치만큼 회동되면서 회전잠금부(미도시)를 해제시키게 되고, 결국 제1로프(200R)는 제1 권취부(200)에서 풀리게 됨과 동시에 제2로프(300R)는 제2 권취부(300)에 감기게 되면서 베이스부(100)이 지면을 향해 하강되고, 결국 작업자의 안전한 하주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 권취부(200) 내부에는 제1로프(200R)가 제1 권취부(200)에 감기도록 회전력을 인가하는 테엽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하주가 완료되면 조작봉(미도시)을 이용하여 후크부(220)를 전주 고정부(래크나 래크밴드)에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되고, 제1로프(200R)는 제1 권취부(200)에 자동적으로 감길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작업자의 하주가 마쳐지면 제1로프(200R)와 제2로프(300R)는 처음상태와 같이 각각 감겨진 상태로 자동 초기화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승주 작업 시 케이스부(900) 모습이며,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주 작업 시 케이스부(900) 모습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드래그 다운먼트는 도 8(a) 및 도 8(b)처럼 케이스부(900)를 가질 수 있다.
케이스부(900)에는 전면부에 제1 개구부(901), 제2 개구부(902)가 마련되고, 후면부에는 제3 개구부(903)이 개구된 채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901) 및 제2 개구부(902)는 클러치부(400)의 일부가 케이스부(9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다시 말해서, 제1 개구부(901)는 클러치부(400)의 하강동작을 가능케 안내하고, 제2 개구부(902)는 클러치부(400)의 슬라이딩 동작을 가능케 한다.
이 때, 케이스부(900)에는 임의하강 방지부재(910)가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하강 방지부재(910)는 제1 개구부(901)를 가로질러 마련될 수 있는데, 임의하강 방지부재(910)는 소정의 힘을 가하면 파단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상의 작업보조자에 의한 제2로프(300R) 당김이 있기 전에 클러치부(400)가 자중에 의해 의도치 않게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제1로프(200R)는 제3 개구부(903)를 통과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진 않았으나 케이스부(900)에도 소격벽부(104)와 대향되는 대각의 위치에서 돌출된 또 다른 소격벽부가 마련되며 이는 소격벽부(104)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클러치부(400)는 소격벽부(104)와 케이스부(900)에 마련된 또 다른 소격벽부에 의해 걸릴 수 있는 구조이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드래그 다운먼트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승주 및 하주 과정이다.
작업자는 도 9(a)와 같이 제1로프(200R)가 길게 풀어진 드래그 다운먼트를 착용하고, 지상의 작업보조자는 조작봉을 이용하여 풀어진 제1로프(200R)의 단부에 마련된 후크부(220)를 전주 상측 걸림부에 걸어주면 작업자의 승주가 시작된다.
작업자가 전주를 올라가는 와중에 풀어진 제1로프(200R)는 제1 권취부(200)에 감기게 된다.
따라서, 줄(로프)꼬임의 문제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작업자는 승주가 완료되면, 제2로프(300R)를 풀어서 지상에 있는 보조작업자로 하여금 제2로프(300R)를 잡을 수 있는 상태까지 내려준다.
제2로프(300R)는 지상의 보조작업자가 언제든지 잡아당길 수 있는 길이만큼 풀어 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제2로프(300R)는 승주 작업에 필요한 도구나 부품, 자재 등을 지상으로 내려오지 않고도 전주 위에서 지상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도록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필요한 도구나 부품, 자재 등을 지상에 내려진 제2 로프 단부(320)에 걸어서 전주 위로 올려 보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작업자가 작업 진행 도중에 도 9(b)와 같이 감전 사고가 발생한 경우, 지상의 보조작업자는 제2로프(300R)를 잡아당겨 작업자를 전주(감전원)으로부터 분리시켜 소정 안전거리만큼 떨어지도록 한다.
이 때, 센서부(600)는 각도센서나 속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센서의 허용범위는 작업자 승주 동안은 20도 이내이고, 승주 완료 후 작업 시에는 40도까지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각도 센서의 허용범위에 있는 각도라 함은 작업자의 신체와 전주가 이루는 사잇각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의 작업 반경은 후크부(220) 체결부위로부터 대략 1.5미터 내외가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센서부(600)는 속도센서만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9(c)처럼 속도 센서에 의해 1.3g 이상이 감지되면 추락으로 판단하여 회전잠금부를 통해 제1 권취부(200)의 회전이 스탑되며, 작업자는 공중에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경우, 보조작업자는 도 9(d)처럼 제2로프(300R)를 소정의 각도를 주면서 잡아당기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클러치부(400)가 작동되면서 제1 권취부(200) 및 제2 권취부(300)가 서로 치합되고, 도 9(e)처럼 제2로프(300R)를 다시 한 번 잡아당겨서 제1 권취부(200)의 회전잠금부를 해제시켜 제1로프(200R)의 풀림을 가능하게 하고, 결국 도 7과 같은 상태가 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한 하주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드래그 다운먼트를 이용한 하주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상태에서 제2로프(300R)를 당겨 제2 상태를 형성시키는 체결단계를 거친다.
다음으로, 제2 상태에서 제2로프(300R)를 당겨 제2 권취부(300)를 소정의 피치만큼 일방향 회전 시켜 회전잠금부를 해제시키는 락해제단계를 거친다.
다음으로, 제2로프(300R)가 서서히 제2 권취부(300)에 감기도록 하여 작업자를 하강시키는 하강단계를 거쳐서 작업자를 안전하게 하주시킬 수 있게 된다.
100 : 베이스부
101 : 고정플레이트부
102 : 제1 측벽부
103 : 엣지부
104 : 소격벽부
105 : 제2 측벽부
106 : 제3 측벽부
200 : 제1 권취부
210 : 제1 드럼부
211 : 기어홈부
220 : 후크부
200R : 제1로프
300 : 제2 권취부
301 : 제1 플랜지휠
302 : 걸림홈부
303 : 제2 플랜지휠
304 : 권취영역
310 : 제2 드럼부
311 : 기어부
320 : 제2 로프의 단부
300R : 제2로프
400 : 클러치부
401 : 로프핸들
402 : 연장부
403 : 환형부
404 : 엔드부
405 : 핑거부
500 : 홀더부
510 : 접촉판
520 : 스프링
600 : 센서부
700 : 어깨끈
800 : 허리끈
900 : 케이스부
901 : 제1 개구부
902 : 제2 개구부
903 : 제3 개구부
910 : 임의하강 방지부재

Claims (10)

  1. 전주에 승주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드래그 다운먼트에 있어서,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부(100)에 마련된 센서부(600)에 의한 센싱값이 소정의 기설정값일 때 회전을 즉각 차단하도록 내부에 회전잠금부가 마련되고, 외주면에는 일측이 상기 전주에 고정되는 제1로프(200R)가 감긴채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1 권취부(200);
    외주면에 제2로프(300R)가 감긴채 상기 제1 권취부(200)와 동일한 회전중심을 갖고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2 권취부(300);
    상기 제2로프(300R)에 의해 상기 제2 권취부(300)에서 소정 각도만큼 회전가능한 클러치부(400);
    상기 베이스부(100)에 마련되어 상기 제2 권취부(300)를 상기 제1 권취부(200)를 향해 가압하는 접촉판(510); 을 포함하여,
    상기 클러치부(400)가 상기 제2 권취부(300)와 상기 제1 권취부(200) 사이에 형성된 소격벽부(104)에 걸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권취부(200)와 상기 제2 권취부(300)는 서로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제2로프(300R)에 의해 클러치부(400)가 회전되면서 상기 클러치부(400)가 상기 소격벽부(104)에서 해제된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2 권취부(300)가 상기 제1 권취부(200)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1 권취부(200)와 상기 제2 권취부(300)는 일체로 회전 가능한,
    드래그 다운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권취부(200)에는 기어홈부(211)가 마련되고, 상기 제2 권취부(300)에는 상기 기어홈부(211)에 치합되는 기어부(311)가 마련되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기어부(311)가 상기 기어홈부(21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다운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0)에는 상기 접촉판(510)을 가압하는 스프링(52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다운먼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판(510)에는 홀더부(50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다운먼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400)는,
    상기 제2로프(300R)가 안내되도록 장홈이 형성된 로프핸들(401);
    상기 로프핸들(401)에서 절곡된 연장부(402);
    상기 연장부(402)에 연장되어 상기 제2 권취부(300)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환형부(403);
    상기 환형부(403)에서 연장되어 상기 소격벽부(104)에 걸리는 엔드부(40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다운먼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부(404)에는 상기 제2 권취부(300)에 형성된 걸림홈부(302)와 결합 가능한 핑거부(4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다운먼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부(302)에는 상기 제2 권취부(300)가 상기 핑거부(405)에 걸려 소정의 피치만큼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제2 권취부(300)의 타방향 회전시에는 슬립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다운먼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권취부(300)가 상기 일방향 회전시 상기 회전잠금부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다운먼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0)에 결합되는 케이스부(90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부(900)에는 상기 클러치부(400)의 회전 동작을 허용하는 제1 개구부(901);
    상기 클러치부(400)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제2 개구부(902);
    상기 제1로프(200R)가 인출되는 제3 개구부(903);
    상기 제1 개구부(901)를 가로질러 마련되어 소정의 힘 이상이 가해질 때 파단됨으로써 상기 클러치부(400)의 임의 하강을 억제하는 임의하강 방지부재(9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다운먼트.
  10. 제1항의 드래그 다운먼트를 이용한 하주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로프(300R)를 당겨 상기 제2 상태를 형성시키는 체결단계;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로프(300R)를 당겨 상기 제2 권취부(300)를 소정의 피치만큼 일방향 회전 시켜 상기 회전잠금부를 해제시키는 락해제단계;
    상기 제2로프(300R)가 서서히 상기 제2 권취부(300)에 감기도록 하여 상기 작업자를 하강시키는 하강단계; 를 포함하는,
    드래그 다운먼트를 이용한 하주방법.
KR1020220099049A 2022-08-09 드래그 다운먼트 KR102672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049A KR102672742B1 (ko) 2022-08-09 드래그 다운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049A KR102672742B1 (ko) 2022-08-09 드래그 다운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838A true KR20240020838A (ko) 2024-02-16
KR102672742B1 KR102672742B1 (ko) 2024-06-05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522B1 (ko) 2021-05-24 2021-11-24 대원전기 주식회사 지상 체결이 가능한 자동 착탈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추락 방지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522B1 (ko) 2021-05-24 2021-11-24 대원전기 주식회사 지상 체결이 가능한 자동 착탈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추락 방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07156B2 (en) Self-retracting lifeline with disconnectable lifeline
US4511123A (en) Safety device
US5131491A (en) Descent controller
US4589523A (en) Fall arrester and emergency retrieval apparatus and anchor apparatus therefor
EP1993674B1 (en) Self-retracting lanyard and braking mechanism with pawl lockout
US5156240A (en) Rope grab
US5343976A (en) Safety device
US5927438A (en) Personnel lifting-lowering system
US5038888A (en) Descent controller
JP2007537790A (ja) 個人的高所救出装置
EP3797202B1 (en) Fall control ladder
US20080087498A1 (en) Advanced "Omer" rescue system
US20050145435A1 (en) Twin retractable for fall arrest
KR102672742B1 (ko) 드래그 다운먼트
KR20240020838A (ko) 드래그 다운먼트
US5415446A (en) Safety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030057023A1 (en) Compact descent controller
EP0687482A2 (en) A device and method for arresting a fall
CA21818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on of falls from extension ladders
GB2399564A (en) Safety system for retaining tools
RU2342176C2 (ru) 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уска люде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