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134B1 -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과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과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134B1
KR101804134B1 KR1020160180997A KR20160180997A KR101804134B1 KR 101804134 B1 KR101804134 B1 KR 101804134B1 KR 1020160180997 A KR1020160180997 A KR 1020160180997A KR 20160180997 A KR20160180997 A KR 20160180997A KR 101804134 B1 KR101804134 B1 KR 101804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wood
wooden
panel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원
유병학
김상훈
Original Assignee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동아세라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동아세라믹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0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4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82Mixed technique using permanent and reusable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직사각형의 외곽 프레임 내측에 복수의 리브 프레임이 결합되어 형성된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콘크리트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부에는 플랜지가 결합되어 앵글형 단면을 지니며, 복수의 목재마감유닛이 적층되어 형성된 목재마감패널이 상기 플랜지에 결합구에 의하여 탈형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목재마감유닛은 전면부에 볼록한 라운딩부가 형성되고, 상,하부에 목재마감유닛이 연속적으로 적층되며, 전산볼트가 복수의 목재마감유닛에 형성된 수직관통홀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로써, 별도의 거푸집 후 시공이 불필요하며, 목재마감 구조물의 시공성이 향상되고, 시공 흔적이 없어 목재마감 표면의 미관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과 그 시공방법{Concrete Formwork with Wood Finish and Conrtruction Methods using it}
본 발명은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사각형의 지지프레임의 일부에 플랜지를 결합하고, 복수의 목재마감유닛이 적층되어 형성된 목재마감패널을 플랜지에 탈형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표면을 노출시키는 경우에 외장재료를 절약할 수 있고, 자중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외장을 유지 보수하는데 투입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다.
일반 건축물의 콘크리트 표면 노출은 상술한 경제적인 이점 외에도 심미적인 측면에서도 수요자에게 각광받고 있으나, 토목 구조물의 경우에는 심미성 보다는 경제적인 측면이 보다 중요하기에 통상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그대로 노출시키고 있다.
다만, 구조물로 기능하는 콘크리트는 내구성의 확보가 중요한 요소이나, 노출된 콘크리트의 경우 외부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쉽게 중성화되고, 철근의 부식이 수반되어 콘크리트의 박리 및 녹물에 의한 표면 오염 등 많은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거푸집에 사용된 목재 합판을 재활용하는 과정에서 이전에 사용된 콘크리트 가루가 묻어나 표면의 질을 저하시킴을 물론, 추후 부식이나 콘크리트 박리의 주된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목재 합판은 전용회수에 증가되는 경우 폐기 처리되는바, 많은 폐기물을 양산하여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나, 토목 구조물에 적용된 노출 콘크리트 표면은 자연 속에서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였으며, 태양 복사열을 흡수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방출하지 못하여 주변부 보다 기온이 높은 열섬 현상을 유발하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표면에 목재를 구비한 선행기술문헌들이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7994호(2004. 08. 31.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는 목재와 방수시트로 구성되어 시공이 용이하고, 자연적인 경관미를 연출할 수 있는 건설용 장식판과, 이러한 건설용 장식판을 이용하여 옹벽이나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건설용 장식판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거푸집을 외측에 구비하고, 이를 앵커로 고정하는 과정이 수반되어 탈형시 장식판의 표면에 앵커의 흔적이 잔존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콘크리트 벽체와 장식판 사이에 방수시트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작업성이 저하되고, 장식판과 콘크리트의 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4141호(2009. 04. 13.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는 원주목을 적층하여 형성한 단위패널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표면을 장식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어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패널을 이용한 건설, 토목용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구조물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2는 별도의 지지프레임 없이 단지 원주목을 적층 형성한 단위패널만을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없었으며, 원주목 사이의 틈에 의하여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누설됨에 따라 표면이 지저분해지고, 목재가 수분과 맞닿아 뒤틀리거나 갈라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목재의 전면을 원주형으로 가공한 장식판을 제안하고 있으나, 단지 전면에 구비되는 별도의 거푸집에 지지되는바, 거푸집에 접하는 목재의 접점부에 강한 콘크리트 하중이 집중되는바, 목재가 변형되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등 시공과정에서 목재가 손상되는 추가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거푸집과 목재마감패널을 일체화하여 별도의 거푸집 시공이 불필요하며, 이로 인하여 시공성이 향상되고, 시공 흔적이 없어 목재마감 표면의 미관이 향상되며, 목재마감유닛 사이로 누설되는 페이스트를 차단하여 표면이 지저분해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고, 수분에 맞닿아 뒤틀리거나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면부를 라운드지게 형성하면서도 콘크리트 타설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켜 목재마감유닛이 변형되거나 갈라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과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은 직사각형의 외곽 프레임(10a) 내측에 복수의 리브 프레임(10b)이 결합되어 형성된 지지프레임(10)을 구비한 콘크리트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부에는 플랜지(20)가 결합되어 앵글형 단면을 지니며, 복수의 목재마감유닛(31)이 적층되어 형성된 목재마감패널(30)이 상기 플랜지(20)에 결합구(40)에 의하여 탈형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목재마감유닛(31)은 전면부에 볼록한 라운딩부(31a)가 형성되고, 상,하부에 목재마감유닛(31)이 연속적으로 적층되며, 전산볼트(32)가 복수의 목재마감유닛(31)에 형성된 수직관통홀(31d)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결합된 플랜지(20)에 목재마감유닛의 길이와 대응되는 폭으로 복수의 라운딩 안착면(51)이 형성되도록 강판으로 형성된 목재마감 수용패널(50)이 결합되어 목재마감유닛(31)의 라운딩부(31a)가 안착된다.
삭제
또한, 상기 목재마감 수용패널(50)의 복수의 라운딩 안착면(51) 사이에는 복수의 목재마감유닛(31)의 사이에 구비되도록 돌출 절곡부(53)가 형성되어 페이스트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재마감패널(30)의 목재마감유닛(31)은 배면부에는 페이스트가 유입되도록 유입홈(31g)이 형성되어 콘크리트와 부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재마감패널(30)은 적어도 하나의 목재마감유닛(31)의 일측이 외곽 프레임(10a)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돌출부(31e)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타측이 내측으로 인입되게 결합되어 인입부(31f)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구(40)는 일측에 후크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 나사산(42a)이 구비된 볼트몸체(42)가 형성되되, 상기 볼트몸체(42)가 목재마감패널(30)을 관통하여 너트(N)로 결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에 의하면, 지지프레임과 목재마감패널을 일체화하여 결합구로 체결하는바 별도의 거푸집 후 시공이 불필요하다.
이로써 목재마감 구조물의 시공성이 향상되고, 시공 흔적이 없어 목재마감 표면의 미관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플랜지에 복수의 라운딩 안착면이 형성된 목재마감 수용패널이 결합되어 목재마감유닛 사이로 누설되는 페이스트를 차단하여 표면이 지저분해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목재마감유닛이 페이스트의 수분에 맞닿아 부식되거나 건조과정에서 뒤틀리는 현상 그리고 목재의 결에 의하여 발생되는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라운딩 안착면이 형성된 목재마감 수용패널은 목재마감유닛의 전면부에 형성된 라운딩부를 수용할 수 있어 콘크리트 타설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켜 목재마감유닛이 변형되거나 갈라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목재마감 수용패널에 형성된 돌출 절곡부는 복수의 목재마감유닛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목재마감 수용패널에도 불구하고 일부 표면에 노출될 수 있는 페이스트를 방지할 수 있으며, 페이스트의 수분과 목재가 맞닿는 표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목재마감유닛의 배면부에는 유입홈이 형성되어 콘크리트와 부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목재마감패널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돌출부와 인입부를 형성하여 거푸집에 가해지는 콘크리트 타설 하중을 인접한 거푸집에 분산할 수 있으며, 불균등 타설 하중에 의하여 거푸집 사이에 발생되는 단차를 예방하여 표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목재마감용 거푸집 구조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과 그에 대면하는 거푸집 사이에 인장력이 가해지도록 와이어로 체결하여, 시공성이 향상되고, 목재마감 표면에 시공 흔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하여 시공된 목재마감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의 세로형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복수의 목재마감 수용패널을 구비한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인입부와 돌출부가 형성된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인입부와 돌출부가 형성된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마감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마감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마감 거푸집 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마감 거푸집 구조체에 의하여 시공된 목재마감 콘크리트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목재마감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목재마감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 중 구조체 형성단계를 도시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 중 구조체 형성단계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 목재마감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목재마감용 거푸집 구조체 그리고 그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기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WF)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과 플랜지(20), 목재마감패널(30) 및 이를 탈형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구(4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직사각형의 외곽 프레임(10a) 내측에 복수의 리브 프레임(10b)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외곽 프레임(10a)은 통상적인 거푸집과 마찬가지로 1200mm의 길이와 600mm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그 외에도 다양한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부에는 플랜지(20)가 결합되어 앵글형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결합되는 플랜지(20)는 일체로 절곡형성하거나 별도의 용접을 통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재마감패널(30)은 복수의 목재마감유닛(31)을 적층하여 형성하며, 각각의 목재마감유닛(31)은 공기 중의 습도나 수분에 의하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수 처리된 방부목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재마감유닛(31)은 전면부에 볼록한 라운딩부(31a)가 형성되고, 상,하면부에 평탄한 평탄부(31b)가 형성되어 상,하부에 목재마감유닛(31)이 연속적으로 적층된다. 또한, 상기 평탄부(31b)에는 수직관통홀(31d)이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전산볼트(32)가 복수의 목재마감유닛(31)에 형성된 수직관통홀(31d)을 관통하여 하나의 목재마감패널(30)을 형성한다.
상기 전산볼트(32)의 상부와 하부에는 부식방지캡을 구비하여 수분의 침투로 인한 전산볼트(32)의 부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구(40)는 지지프레임(10)에 형성된 플랜지(20)와 상기 목재마감패널(30)을 탈형 가능하도록 체결하여, 추후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플랜지(20)가 결합된 지지프레임(10)을 목재마감패널(30)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상기 결합구(40)는 일측에 후크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 나사산(42a)이 구비된 볼트몸체(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41)는 후술하는 시공과정에서 와이어(W)가 체결되어 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으며, 상기 볼트몸체(42)는 목재마감패널(30)을 관통하여 너트(N)로 결합되어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목재마감유닛(31)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목재마감패널(30)은 목재마감유닛(31) 사이에 틈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틈에 의하여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누설됨에 따라 표면이 지저분해지고, 목재가 수분과 맞닿아 뒤틀리거나 갈라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라운딩 안착면(51)이 형성된 목재마감 수용패널(50)을 플랜지(20)와 목재마감패널(30)의 사이에 구비하여 관통공(52)을 관통하는 체결구(40)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목재마감 수용패널(50)은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목재마감유닛(31)의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누설되더라도 이를 표면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목재마감 수용패널(50)의 복수의 라운딩 안착면(51)은 개별 라운딩 안착면(51)이 개별 목재마감유닛(31)을 수용하며, 상기 목재마감유닛(31)의 전면 라운딩부(31a)에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강한 하중에도 라운딩 안착면(51)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하중이 분산될 수 있다. 이로써, 시공과정에서 목재마감유닛의 전면 라운딩부(31a)에 변형이나 갈라짐이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재마감 수용패널(50)은 강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부식이 방지되는 아연도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목재마감 수용패널(50)에 형성된 복수의 라운딩 안착면(51) 사이에는 복수의 목재마감유닛(31)의 사이에 구비되도록 돌출 절곡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 절곡부(53)는 복수의 목재마감유닛(31)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바, 목재마감 수용패널(50)에도 불구하고 일부 표면에 노출될 수 있는 페이스트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목재마감유닛(31)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평탄부(31b)를 수용함으로써, 페이스트의 수분과 목재가 맞닿는 표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한편,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WF)은 목재감유닛(31)을 지지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적층하여 목재마감패널(30)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라운딩 안착면(51)이 형성된 목재마감 수용패널(50)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목재마감 수용패널(5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목재마감 수용패널(5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로 페이스트가 누설될 우려가 있는바, 추가적으로 목재마감유닛(31)의 배면부를 커버하도록 방수막(33)과 차단판(34)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재마감패널(30)의 목재마감유닛(31)은 배면부에 페이스트가 유입되도록 유입홈(31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홈(31g)은 도 5a에 도시된 더브테일 형상이나 도 5b에 도시된 V형 홈으로 제작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외에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유입홈(31g)은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유입되도록 하여, 목재마감유닛(31)과 콘크리트(C)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추후 콘크리트의 부식에 의하여 이탈될 수 있는 목재마감패널(30)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재마감패널(30)은 적어도 하나의 목재마감유닛(31)의 일측이 외곽 프레임(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돌출부(31e)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타측이 내측으로 인입되게 결합되어 인입부(31f)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재마감패널(30)에 형성된 돌출부(31e)와 인입부(31f)에 의하여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WF)은 인접한 거푸집과 일체 거동할 수 있어 콘크리트 타설 하중을 인접한 거푸집에 분산할 수 있다. 나아가, 골재나 수분의 불균등 분포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불균등 하중에 의한 거푸집 사이의 단차를 예방하여 표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재마감용 거푸집은, 직사각형의 외곽 프레임(10a) 내측에 복수의 리브 프레임(10b)이 결합되어 형성된 지지프레임(10)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부에 앵글형 단면을 지니도록 플랜지(20)를 결합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20)에 복수의 라운딩 안착면(51)이 형성된 목재마감 수용패널(50)이 결합된다. 이로써, 라운딩부가 형성된 목재마감유닛이 안착될 수 있어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목재마감유닛(31)의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누설되더라도 이를 표면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목재마감 수용패널(50)의 복수의 라운딩 안착면(51)은 개별 라운딩 안착면(51)이 개별 목재마감유닛(31)을 수용하며, 상기 목재마감유닛(31)의 전면 라운딩부(31a)에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강한 하중에도 라운딩 안착면(51)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하중이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재마감 수용패널(50)은 강판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라운딩 안착면(51) 사이에는 복수의 목재마감유닛(31)의 사이에 구비되도록 돌출 절곡부(53)가 형성되어 페이스트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재마감용 거푸집 구조체(FS)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목재마감이 노출되도록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을 이용하여 시공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 구조체(FS)는 기초 콘크리트(60)의 상부에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을 상하, 좌우로 결합하여 노출용 거푸집벽(EW)을 형성한다. 인접한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을 결합하는 방법은 지지프레임(10)의 외곽 프레임(10a)에 형성된 장공에 쐐기형 고정구를 끼움 결합하는 방법(도면 미도시)이 일반적이나, 기타 체결수단을 이용한 나사 체결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노출용 거푸집벽(EW)은 일 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으나, 양 측면 모두에 시공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옹벽이나 사방댐 등으로 시공되는 경우에 상기 거푸집 구조체(FS)는 일 측면에만 목재마감이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출용 거푸집벽(EW)에 대면하도록 거푸집을 상하, 좌우로 결합하여 이면용 거푸집벽(BW)을 형성한다. 상기 거푸집은 본 발명의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WF)은 물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로폼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특정한 형상이 아니더라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FS)과 그에 대면하는 거푸집 사이에 인장력이 가해지도록 와이어(W)로 체결하는바, 상기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WF)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체결구(40)와 동일한 체결구를 이면용 거푸집벽(BW)을 형성하는 거푸집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초 콘크리트(60)의 상부에는 복수의 앵커(70)가 후크부(71)가 노출되도록 매립될 수 있다. 상기 앵커(70)는 일측에 후크부(71)가 형성되어 상술한 체결구(40)와 와이어(W)로 상호 결속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구조물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 상부에 대면하는 거푸집 사이에 와이어(W)로 결속할 수 있으나, 하부에 대면하는 거푸집 사이에는 상기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의 체결구(40)와 상기 앵커(70)를 와이어(W)로 체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면용 거푸집벽(BW)의 일부에는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WF)이 결합될 수 있다. 벽체나 사방댐의 상부는 양 측면이 모두 노출되도록 시공할 수 있는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등에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W)이 구비되도록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재마감용 거푸집 구조체(FS)가 완성되면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양생하고, 양생이 완료되면 지지프레임(10)을 탈형하게 된다. 이때, 체결구(40)의 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되어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캡너트(PN)를 끼움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목재마감이 노출되도록 시공하기 위한 목재마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M)은, 도 7의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제작단계(S100), 구조체 형성단계(S200),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S300) 그리고 거푸집 탈형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푸집 제작단계(S100)는, 직사각형의 외곽 프레임(10a) 내측에 복수의 리브 프레임(10b)을 결합하여 지지프레임(10)을 형성하고, 지지프레임(10)의 일부에 플랜지(20)를 결합하며, 상기 플랜지(20)에 복수의 목재마감유닛(31)이 적층되어 형성된 목재마감패널(30)을 결합구(40)에 의하여 탈형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WF)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상기 거푸집 제작단계(S100)는, 통상적으로 공장에서 일체로 제작하고, 이를 현장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지지프레임(10)의 일부에 플랜지(20)를 형성하고, 목재마감패널(30)을 별도로 제작하여 현장운반하고, 시공현장에서 지지프레임(10)에 목재마감패널(30)을 결합구(40)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거푸집 제작단계(S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형성단계(S110), 수용패널 결합단계(S120), 목재마감 구비단계(S130) 및 목재마감 결합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형성단계(S110)는, 직사각형의 외곽 프레임(10a) 내측에 복수의 리브 프레임(10b)을 결합하여 지지프레임(10)을 형성하고, 지지프레임(10)의 일부에 플랜지(20)를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결합되는 플랜지(20)는 일체로 절곡형성하거나 별도의 용접을 통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패널 결합단계(S120)는, 상기 플랜지(20)에 복수의 라운딩 안착면(51)이 형성된 목재마감 수용패널(50)을 결합하는 단계로서, 복수의 라운딩 안착면(51)이 형성된 목재마감 수용패널(50)이 강판으로 형성되는 경우 별도의 체결 없이 용접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플랜지(20)와 목재마감패널(30)의 사이에 구비하여 목재마감 수용패널(50)의 모서리측에 형성된 관통공(52)을 관통하는 체결구(40)로 체결할 수도 있다.
단순히 체결구(40)를 이용하여 목재마감 수용패널(50)과 목재마감패널(30)을 동시에 체결하는 경우, 이는 목재마감 결합단계(S140)에서 수용패널 결합단계(S120)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목재마감 수용패널(50)은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목재마감유닛(31)의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누설되더라도 이를 표면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재마감 구비단계(S130)는, 상기 목재마감 수용패널(50)의 라운딩 안착면(51)에 목재마감패널(30)의 목재마감유닛(31)이 안착되도록 구비하는 단계이며, 목재마감 결합단계(S140)는, 목재마감 수용패널(50)과 목재마감패널(30)을 결합구(40)에 의하여 탈형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목재마감유닛(31)은 전면부에 볼록한 라운딩부(31a)가 형성되고, 수직관통홀(31d)이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전산볼트(32)가 복수의 목재마감유닛(31)에 형성된 수직관통홀(31d)을 관통하여 하나의 목재마감패널(3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전산볼트(32)의 상부와 하부에는 부식방지캡을 구비하여 수분의 침투로 인한 전산볼트(32)의 부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구(40)는 일측에 후크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 나사산(42a)이 구비된 볼트몸체(42)가 형성될 수 있어 시공과정에서 와이어(W)가 체결되어 인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상기 구조체 형성단계(S200)는, 상기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WF)을 상하, 좌우로 결합하여 노출용 거푸집벽(EW)을 형성하고, 상기 노출용 거푸집벽(EW)에 대면하도록 거푸집을 상하, 좌우로 결합하여 이면용 거푸집벽(BW)을 형성하며, 상기 목재마감용 거푸집과 그에 대면하는 거푸집 사이에 인장력이 가해지도록 와이어(W)로 체결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구조체 형성단계(S200)는 시공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 형성단계(S210), 거푸집벽 형성단계(S220), 철근 배근단계(S230), 지지부재 구비단계(S240) 그리고 와이어 체결단계(S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 콘크리트 형성단계(S210)는, 기초 터피기 이후에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여 기초 콘크리트(60)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이와 동시에 후크부(71)가 노출되도록 앵커(70)를 매립할 수 있다.
이후에 이루어지는 거푸집벽 형성단계(S220)는, 상기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WF)을 상하, 좌우로 결합하여 노출용 거푸집벽(EW)을 형성하고, 상기 노출용 거푸집벽(EW)에 대면하도록 거푸집을 상하, 좌우로 결합하여 이면용 거푸집벽(BW)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이면용 거푸집벽(BW)을 형성하는 거푸집은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WF)과 일반 유로폼을 포함하는 거푸집의 포괄적인 개념이다.
또한, 상기 철근 배근단계(S230)는 상기 노출용 거푸집벽(EW)과 이면용 거푸집벽(BW) 사이에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로서, 통상적이 이형철근을 연결철사로 결속하거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여 인장재를 구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지지부재 구비단계(S240)는 상기 거푸집벽 형성단계(S220)에서 상기 노출용 거푸집벽(EW)과 이면용 거푸집벽(BW)의 상단이 상호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어, 상기 노출용 거푸집벽(EW)과 이면용 거푸집벽(BW)을 지지하도록 경사지지부재(80)를 구비하는 단계이다.
사방댐이나 옹벽 구조물은 벽면이 상단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추후에 와이어(W)를 이용하여 내측으로 인장력을 가하는바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단 내측에 지지부재(8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추후 시공과정에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의 탈형과 함께 제거하게 된다.
또한, 와이어 체결단계(S250)는 상기 노출용 거푸집벽(EW)의 목재마감용 거푸집(WF)과 이면용 거푸집벽(BW)의 거푸집 사이에 인장력이 가해지도록 와이어(W)를 체결하는 단계이다.
만일, 상기 기초 콘크리트 형성단계(S210)에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60)의 상부에 복수의 앵커(70)가 후크부(71)가 노출되도록 매립되면, 상기 와이어 체결단계(S250)에서 상기 목재마감용 거푸집(WF)의 체결구(40)에 형성된 후크부(41)와 상기 앵커(70)의 후크부(71)를 와이어(W)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체결단계(S250)는 지지부재 구비단계(S240)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S300)는 구조체의 내측에 콘크리트(C)를 현장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이며, 상기 거푸집 탈형단계(S400)는 상기 구조체의 노출용 거푸집벽(EW)에서 목재마감패널(30)을 남겨두고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WF)을 탈형하고, 이면용 거푸집벽(BW)에서 거푸집을 탈형하는 단계이다.
상기 거푸집 탈형단계(S400)가 완료되면, 표면에 노출된 결합구(40)를 미관 처리하기 위하여, 볼트몸체(42)에 캡너트(PN)를 결합하는 캡너트 결합단계(S500)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과 그 시공방법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F: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 10:지지프레임
10a:외곽 프레임 10b:리브 프레임
20:플랜지 30:목재마감패널
31:목재마감유닛 31a:라운딩부
31b:평탄부 31c:배면부
31d:수직관통홀 31e:돌출부
31f:인입부 31g:유입홈
32:전산볼트 40:결합구
41:후크부 42:볼트몸체
42a:나사산 N:너트
50:목재마감 수용패널 51:라운딩 안착면
52:관통공 53:돌출 절곡부
FS:목재마감용 거푸집 구조체 EW:노출용 거푸집벽
BW:이면용 거푸집벽 W:와이어
60:기초 콘크리트 70:앵커
71:후크부 80:경사지지부재
M:목재마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S100:거푸집 제작단계 S110:프레임 형성단계
S120:수용패널 결합단계 S130:목재마감 구비단계
S140:목재마감 결합단계 S200:구조체 형성단계
S210:기초 콘크리트 형성단계 S220:거푸집벽 형성단계
S230:철근 배근단계 S240:지지부재 구비단계
S250:와이어 체결단계 S300: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
S400:거푸집 탈형단계 S500:캡너트 결합단계

Claims (17)

  1. 직사각형의 외곽 프레임(10a) 내측에 복수의 리브 프레임(10b)이 결합되어 형성된 지지프레임(10)을 구비한 콘크리트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부에는 플랜지(20)가 결합되어 앵글형 단면을 지니며, 복수의 목재마감유닛(31)이 적층되어 형성된 목재마감패널(30)이 상기 플랜지(20)에 결합구(40)에 의하여 탈형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목재마감유닛(31)은 전면부에 볼록한 라운딩부(31a)가 형성되고, 상,하부에 목재마감유닛(31)이 연속적으로 적층되며, 전산볼트(32)가 복수의 목재마감유닛(31)에 형성된 수직관통홀(31d)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결합된 플랜지(20)에 목재마감유닛의 길이와 대응되는 폭으로 복수의 라운딩 안착면(51)이 형성되도록 강판으로 형성된 목재마감 수용패널(50)이 결합되어 목재마감유닛(31)의 라운딩부(31a)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마감 수용패널(50)의 복수의 라운딩 안착면(51) 사이에는 복수의 목재마감유닛(31)의 사이에 구비되도록 돌출 절곡부(53)가 형성되어 페이스트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마감패널(30)의 목재마감유닛(31)은 배면부에는 페이스트가 유입되도록 유입홈(31g)이 형성되어 콘크리트와 부착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마감패널(30)은 적어도 하나의 목재마감유닛(31)의 일측이 외곽 프레임(10a)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돌출부(31e)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타측이 내측으로 인입되게 결합되어 인입부(31f)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40)는 일측에 후크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 나사산(42a)이 구비된 볼트몸체(42)가 형성되되, 상기 볼트몸체(42)가 목재마감패널(30)을 관통하여 너트(N)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60180997A 2016-12-28 2016-12-28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과 그 시공방법 KR101804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997A KR101804134B1 (ko) 2016-12-28 2016-12-28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과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997A KR101804134B1 (ko) 2016-12-28 2016-12-28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과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134B1 true KR101804134B1 (ko) 2017-12-04

Family

ID=6092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997A KR101804134B1 (ko) 2016-12-28 2016-12-28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과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1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3500A (ja) * 1999-06-24 2001-01-09 Kazuaki Furuta 残存化粧型枠
JP2001200546A (ja) * 2000-01-20 2001-07-27 Tokai Rubber Ind Ltd 木材を利用した残存化粧型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315041A (ja) * 2004-04-30 2005-11-10 Toyoko Techno Plan Kk 化粧木材固定具とそれを利用した残存化粧型枠パネ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3500A (ja) * 1999-06-24 2001-01-09 Kazuaki Furuta 残存化粧型枠
JP2001200546A (ja) * 2000-01-20 2001-07-27 Tokai Rubber Ind Ltd 木材を利用した残存化粧型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315041A (ja) * 2004-04-30 2005-11-10 Toyoko Techno Plan Kk 化粧木材固定具とそれを利用した残存化粧型枠パネ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8224B2 (en) Tie system for forming poured concrete walls over concrete footings
US8424835B2 (en) Method of supporting panel structures over concrete footings utilizing tie system for forming poured concrete walls
US20060185266A1 (en) Construction industry pods
KR101649969B1 (ko) 건식 마감이 용이한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벽 건식 단열 시공 방법
CN112352084B (zh) 型框单元及混凝土结构物施工方法
KR101804134B1 (ko) 목재마감 일체형 거푸집과 그 시공방법
CN202324501U (zh) 楼体外檐墙安装低碳板的通长卡件连接构件
JP6764594B2 (ja) 型枠固定具、型枠固定装置、型枠、型枠固定方法および目地の施工方法
KR20190051210A (ko)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탈부착 거푸집의 결합 구조
JPH08135137A (ja) 建築物壁体に対するタイル装着法
KR101791545B1 (ko)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KR102052890B1 (ko) 외단열 지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80117498A (ko) 슬래브의 유지보수가 가능한 철근 일체형 데크 및 제조방법
KR100737995B1 (ko) 천장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KR100993548B1 (ko) 조립식 라이닝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 시공 방법
JP7337119B2 (ja) 型枠ユニット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施工方法
KR200347936Y1 (ko) 조립식 욕실
JPH08246546A (ja) ライニングパネル付きコンクリート躯体壁の施工方法および構造
JP6181398B2 (ja) 断熱パネルの施工構造
JP2786412B2 (ja) コンクリート建築物の外装パネル被覆構造及び被覆施工方法
KR20120009539A (ko) 욕실용 건식 벽체와 건식 바닥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JP6436520B2 (ja) 断熱パネルの施工構造
JP2023008005A (ja) 型枠兼用外装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壁体の構築構造
JP2006283393A (ja) 基礎構造体
JPH10316196A (ja) コンクリート躯体壁面のライニング工法及びライニング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