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940B1 -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940B1
KR101803940B1 KR1020170124850A KR20170124850A KR101803940B1 KR 101803940 B1 KR101803940 B1 KR 101803940B1 KR 1020170124850 A KR1020170124850 A KR 1020170124850A KR 20170124850 A KR20170124850 A KR 20170124850A KR 101803940 B1 KR101803940 B1 KR 101803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md
store
presentation
design
zo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연
이승은
Original Assignee
(주)디자인애피타이저 샐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자인애피타이저 샐러드 filed Critical (주)디자인애피타이저 샐러드
Priority to KR1020170124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94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VMD의 연출 요소인 VP(Visual Presentation), PP(Points of sale Presentation), IP(Item Presentation)를 기반으로 비 전문가도 용이하게 매장 디자인을 분석 및 연출할 수 있도록 한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매장 디자인 조건 정보를 제공하고, VMD 연출 요소를 기반으로 공간 기획을 실행하는 디자인 연출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매장 디자인 정보를 기초로 VMD 연출요소를 설정한 뒤, VMD 연출 요소별로 공통 조닝을 추출하여 영역별로 공간을 분석한다. 즉, VMD 연출정보를 디자인 연출 단말로 출력해주는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를 포함하여,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을 구현한다.

Description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 및 그 방법{Store design directing system based on VMD rendering factor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VMD(Visual Merchandising)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VMD의 연출 요소인 VP(Visual Presentation), PP(Points of sale Presentation), IP(Item Presentation)를 기반으로 비 전문가도 용이하게 매장 디자인을 분석 및 연출할 수 있도록 한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와 모바일 인터넷 환경의 접근 편의성으로 인해 기업들이 온라인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으나, 역설적이게도 온라인 시장이 확대될수록 온라인의 물리적 한계로 인해 브랜드를 체험하고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한 오프라인 매장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다시 말해,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이미지 구축을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만 온라인 시장의 선두주자가 될 수 있다.
오프라인 매장 디자인을 위해 디자이너(또는, 사용자)는 제품의 콘셉트(concept)에 맞는 매장 디자인을 위해 다양한 환경을 고려한다. 예컨대, 매장을 찾는 고객에게 원하는 상품을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그들이 기꺼이 계산할 수 있는 가격에 제공하기 위하여 구매기획, 상품선택, 상품판촉 등을 고려하며, 지역특성, 이동 인구 등의 정보도 직접 조사하여 매장 위치를 찾는다.
근래에는 매장 디자인을 비 전문가도 쉽게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VMD의 중요성이 대두 되었다. VMD의 전략은 플래그십 스토어를 하나로 관통하는 아이덴티티와 이미지로 연출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고객이 제품을 소비하는 것이 아닌 브랜드의 이미지를 소비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VMD는 V(Visual: 전달기술로서의 시각화) + MD(Merchandising: 상품화계획)을 조합한 말로써 매장의 기본이 되는 상품, 인테리어, 디스플레이 등 제반 요소들을 시각적으로 구체화해 매장 이미지(SI: Store Identity)를 고객에게 인식시키는 "표현전략"을 말한다(김민선, 2011).
VMD는 효율적으로 제품을 연출하여 소비자가 상품을 쉽게 비교하고 효과적으로 상품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각적인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말한다. 즉, 시각적 전달을 통해서 매장과 브랜드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올바르게 전달하여 브랜드의 인상을 높이 인식시키고 매장환경을 효과적으로 연출함으로써 구매의욕을 높이는 시각적인 상품판매 방법이다(박세화, 2012).
VMD의 목적은 첫째, 고객이 브랜드와 상품의 이미지를 구매할 수 있도록 공간을 기획한다. 둘째, 매장 입구부터 카운터까지 고객을 구매로 연결하기 위한 판매 전략을 기획한다. 셋째, 타매장과 차별화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만든다. 넷째, 고객이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목적을 넘어 체험하고 머물고 싶은 매장을 만든다. 다섯째, 고객이 상품을 잘 이해함과 동시에 테스터하고 구매하기 쉬운 효율적인 공간 활용으로 매장을 구성한다. 즉 상품을 기획하고 소비자에게 어떻게 제안할 것인가를 고객과 매장, 상품과 고객으로 이루어지는 시각적인 커뮤니케이션을 만드는 것이며 상품의 연출방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고객의 구매의욕을 일으키는 상품 전략인 것이다(김건호, 2015).
VMD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VMD의 구성요소는 머천다이징과 인테리어, 디스플레이가 상호관련을 가진 하나의 시스템으로 움직여야 한다(심낙훈, 2009). 즉, 갖고 싶고 사고 싶은 상품이 있는 머천다이징과 그 상품을 보기 위해 들어가고 싶은 인테리어 매장, 그리고 매장의 상품을 고객들에게 매력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이 세 가지 구성요소가 서로 유기적으로 매장에서 시너지를 낼 때 성공적인 VMD이다.
머천다이징인 상품기획은 이윤을 얻을 목적으로 상품을 구매하고 판매하는 행위이다. 미국 마케팅 협회(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에서 머천다이징은 상품을 적절한 장소, 시간, 수량, 가격으로 판매하기 위하여 기획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매장을 찾는 고객에게 원하는 상품을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그들이 기꺼이 계산할 수 있는 가격에 제공하기 위하여 구매기획, 상품선택, 상품판촉 등이 포함된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여기서 적절한 상품은 단순히 총체적인 금액의 개념이 아닌, 상품종류, 아이템, 스타일, 컬러, 사이즈 등에 이르는 고객의 욕구에 적합한 단위별 상품선정을 바탕으로 하며, 이는 상품을 중심으로 구매에서 판매까지의 전 마케팅 과정을 의미한다(하세진, 2000).
인테리어 디자인으로서, 스토어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 외에 매장의 분위기나 인테리어, 상품의 진열상태나 연출 등 전체적인 분위기를 들 수 있다. 소비자들은 브랜드 이미지를 통해 본인 개인의 니즈를 충족시키고자 하기 때문에 브랜드 이미지를 잘 표현하는 스토어의 디자인은 VMD 구성요소의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VMD의 가장 큰 역할 중 하나는 스토어의 아이덴티티 구축이다(이소은, 2008). 스토어의 공간 디자인은 기능적 편리성뿐 아니라 감성적,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콘셉트는 매장 계획 및 상품 분석 이후 결정되는데, 이때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은 스토어의 전체 레이아웃과 동선 계획이다. 다음으로, 내부공간의 구획, 천정, 바닥, 기둥 등의 구성 공간에 대한 계획이 수렴된다. 위 과정들은 소비자들이 브랜드를 효과적으로 체험하고 스토어와 소통할 수 있도록 감성적인 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란 미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장을 아름답게 장식하는 기법이며, VMD는 고객이 지향하는 이미지를 구체화하는 전략수단이다. 즉, 기획 또는 매입 단계에서부터 광고, 판매에 이르기까지 경영의 모든 요소를 포괄하여 전개하는 것이 VMD이다(심낙훈, 2009).
VMD 연출요소로는 상품의 판매촉진을 위한 시각적인 전략으로써, VP(Visual presentation), PP(point of sale presentation), IP(Item presentation)의 세 가지 영역의 연출 방식 및 특성이 있다. VP(Visual Presentation)는 매장의 얼굴이며 경영전략의 표현공간으로 고객을 매장으로 유도하기 위한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어필하는 MD 전개의 장이라고 할 수 있다(이랑주, 2008). VP(Visual Presentation)의 매장 내 위치는 고객의 시선이 처음 머무르는 쇼윈도나 브랜드 프로모션의 정면 연출공간으로 스테이지나 테이블을 이용하여 매장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제시한다. PP(Point of sale Presentation)는 매장 안 상품 진열계획의 포인트를 제안하여 판매를 유도하는 코너별 브랜드 이미지 얼굴이다. PP의 위치선정은 통로를 따라 걷는 고객의 시선이 자연스레 맞닿는 곳, 벽면 상단의 중심 부분, 동선이 직선으로 긴 경우에는 약 4m 이내마다 한 곳씩 선정하여 연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연속적인 시선의 유도를 위해 또 다른 연출 포인트를 배치하여 시각의 연계를 이루도록 한다(심낙훈, 2009). IP(Item Presentation)는 실제 판매가 이루어지고 매장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곳이다. 화장품 상품 진열에서 색채는 상품 간의 주목률을 높이고, 인간의 감성을 충동하여 소비자의 구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매장 분위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PP에서 전개된 관련 상품을 알기 쉽고, 선택하기 쉽고, 사기 쉽게 분류하여 수량, 사이즈, 컬러 등 부분으로 계획해야 한다(정유경, 2014).
한편, 브랜드를 대표할 수 있는 매장 혹은 건축물인 플래그십 스토어(Flagship Store)에 대하여, 종래에 제안된 기술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플래그(Flag)라는 단어는 "깃발"을 상징한다. 오늘날 브랜드 공간에서 쓰이고 있는 이 단어의 의미는 기업 브랜드의 대표적인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즉, 플래그십 스토어는 브랜드를 대표할 수 있는 매장 혹은 건축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플래그십 스토어(Flagship Store)"는 브랜드 간의 경쟁을 넘어 각기 다른 상징성과 개성, 소비자로 하여금 차별화된 브랜드 가치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사영재, 2016). 플래그십 스토어는 주로 대도시의 쇼핑 중심 지역에 위치하며, 매장 디자인과 인테리어에 중점을 둔다. 그리고 매장의 규모는 브랜드 매장 중에서 최대인 경우가 많으며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기업이 플래그십 스토어의 대표 지역으로 유동인구가 많이 몰리는 명동, 강남, 가로수 길을 꼽는다. 또한, 명품 브랜드들은 주로 청담동을 중심으로 플래그십 스토어를 연다(김도희, 김이진, 김서정, 2017). 대부분 소규모 매장이 아닌 건물 전체에 상징성을 제시하므로 "플래그십 스토어"는 곧 그 기업의 가치이자 상품의 이미지로 동일하게 해석, 인지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해당 기업들은 필히 브랜드의 지향하는 바와 긍정적 이미지를 인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최근 "플래그십 스토어"를 부각시키는 대표적인 업종은 화장품 브랜드로 특히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상품으로써 그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이다(사영재, 2016).
플래그십 스토어는 브랜드 이미지를 극대화시켜 표현하는 공간으로 소비자와 브랜드가 직접적인 접점으로 만나는 판매 공간이다. 또한, 다른 브랜드 스토어 보다 브랜드의 아이텐티티를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곳으로 가장 적합하다. 따라서 플래그십 스토어는 매장 내부에서 판매되는 제품뿐 아니라 공간 자체로 브랜드 이미지를 판매하는 상품이라고 볼 수 있다(정민경, 2016).
기존의 스토어는 제품 자체를 판매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면 플래그십 스토어는 제품과 함께 브랜드 이미지를 판매하는 곳으로 소비자들에게 라이프스타일과 가치를 브랜드로 연결시켜 브랜드 체험공간을 형성하고 구매 공간에서 고객에게 직접적인 체험을 유도함으로써 매출을 증진시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이제는 더 나아가 고객들에게 어떤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해야 하느냐에 달렸으며, 또 고객이 얼마나 오래 머무느냐는 매장에서 얼마나 편하고 즐겁게 쇼핑을 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나가시마 유키오, 2007). 이렇게 구매 장소에서 고객이 직접 체험을 하게 함으로써 판매를 촉진하는 효과 외에도 지속적인 이미지 구축의 홍보 효과와 브랜드는 물론 기업 자체의 광고까지 겸하는 여러 가지 효과를 낸다.
플래그십 스토어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브랜드 정체성을 고객들에게 어필하고 제품이나 브랜드 이미지를 최대한 전달하는 차별화 전략으로 기업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한다. 둘째, 수많은 브랜드 홍수 속에서 기업은 브랜드를 알리기 위한 체험마케팅을 부각시킨다. 기업이 제공하는 문화적 체험 공간은 고객들이 직접 오감으로 경험하면서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셋째. 고객 감성마케팅을 중심으로 브랜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즉, 소비자가 브랜드에 대해 가지는 감성적 가치는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물리적, 기능적 가치와 함께 핵심 가치로서 브랜드를 강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김정은, 2010).
정민경(2016) 연구자료의 플래그십 공간 요소를 보면 크게 외부 공간, 브랜드이미지 공간, 체험 공간, 서비스 공간, 판매 공간으로 나누었다.
외부 공간은 주로 매장의 파사드(facade)를 얼굴, 겉모양을 의미하는데 이는 소비자가 매장을 가장 먼저 만나는 공간으로 매장 전체 이미지를 대변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화장품 플래그십 스토어의 외부 공간 디자인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주력하여 표현하는 매장이 많아지고 있다. 이는 소비자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가장 처음 접하는 요소로써 외부 공간 계획은 브랜드의 정체성을 대변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가장 먼저 소비자에게 전달하여 인지시키는 수단으로써 역할을 수행하도록 계획되어져야 한다.
브랜드 이미지 공간은 타 브랜드와 차별화된 경험을 통해 소비자에게 커뮤니케이션 하는 영역이다.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직접적인 관계를 맺는다고 볼 수 있다. 상품은 브랜드의 시각적인 아이덴티티가 되면서 경쟁 브랜드 상품과 차별화되고, 신뢰감도 높아져 오랫동안 구체적으로 기억에 남게 된다.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시각적 표현방법으로는 심볼, 로고, 컬러, 재질, 집기형태, 패키지 등이 있는데 특정 브랜드의 콘셉트를 공간계획을 통해 연출하게 된다면 그것만으로 타 브랜드와의 차별을 이룰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체험공간은 고객들에게 오감을 자극하는 체험마케팅의 대표적인 공간이다. 이 공간은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직간접적으로 고객과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잠재적 마케팅 전략이다. 이러한 체험 공간은 제품의 특성을 살려서 조형적인 공간 자체를 만들어 고객을 유도한다든가, 브랜드가 제안하는 제품이나 스토리를 VR를 통해 체험해 보는 등 디지털 요소를 활용한 영상, 광고 등을 통해 소비자가 직접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공간이다.
서비스 공간은 쇼핑을 목적으로 하는 소비자에게 쇼핑 중간에 쉬어갈 수 있는 공간으로 전체 공간에 여유로움과 활기를 주는 휴식 및 고객 서비스 공간이다. 이 공간은 직접적인 판매를 일으키거나 수익을 바로 요하는 공간이 아니지만 제품과 연계한 서비스공간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고객은 그러한 특별한 서비스공간에서 체험하는 기억을 통해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재방문으로 이어질 수가 있다. 이러한 정서적 교감은 고객에게 휴식과 여유를 전달하고 고객은 타매장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통해 특별한 브랜드 가치를 가져간다(신광순, 2010).
판매 공간에서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은 전체 레이아웃과 쇼핑동선 계획을 들 수 있는데, 매장계획의 기본이 되는 고객동선, 직원 동선, 관리 동선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판매 공간은 상품을 진열 및 판매전시 등 판매 활동이 일어나는 기능적인 공간으로 고객이 가장 오래 머무는 영역이자 상업공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곳이다. 고객을 맞이하고 구매가 이루어지는 공간이기 때문에 매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판매 공간에서는 고객의 시선을 유도하고 구매 욕구를 자극하면서 판매자가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진열과 연출을 하는 도구로서의 집기, 조명, 색채 계획은 매장 공간을 시각적 감성에 호소할 수 있는 미적 기능 및 전략 기능으로서의 부가가치를 높이는데 일관성 있게 표현되어져야 한다(권양숙, 2011).
김민선. (2011).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적용한 상업공간의 VMD특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대학원. 박세화. (2012). 소비자가 인지하는 미용실 VMD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경대학교대학원. 김건호. (2015). VMD 요소가 리테일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대학원. 심낙훈. (2009). 비주얼머천다이징 & 디스플레이. 우용출판사, 35-45. 하세진. (2000). 국내 대형 할인점 의류 머천다이징의 현황 및 전략적 방안.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이소은. (2008). 한국 백화점 비주얼머천다이징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서대학교 디자인&IT전문대학원. 이지효. (2012). 화장품 매장의 VMD 구성요소가 브랜드이미지와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대학원. 정유경. (2014).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화장품 POP에 관한 연구. 한국브랜드 디자인학회, 12(3), 332-340. 사영재. (2016). 플래그십 스토어의 아이덴티티 구성요소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4(2), 42-48. 김도희. 김이진. 김서정. (2017). 연세대학교 실전마케팅학회. OPUSYONSEI, 58-61. 정민경. (2016).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MC)전략에 기초한 VMD특성. 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대학원. 나가시마 유키오.(2007). 디스플레이 비밀. 흐름출판, 112-238. 김정은. (2010).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대학원. 신광순. (2010) 브랜드 아이덴티티 요소에 따른 국내패션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 공간환경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권양숙. (2001). 퓨전 스타일을 적용한 패션 셀렉트 샵 실내디자인 계획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대학원.
그러나 상기와 같이 언급된 종래의 VMD를 이용한 매장 디자인 방법이나 플래그십 스토어 구현 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다양한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직접 매장을 디자인하는 방식이므로 번거롭고 시간이나 노력이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기술은 비 전문가가 직접 매장을 디자인 연출하는 기능도 제공해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VMD의 연출 요소인 VP(Visual Presentation), PP(Points of sale Presentation), IP(Item Presentation)를 기반으로 비 전문가도 용이하게 매장 디자인을 분석 및 연출할 수 있도록 한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은,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와 접속하여 매장 디자인 조건 정보를 제공하고, VMD 연출 요소를 기반으로 공간 기획을 실행하는 디자인 연출 단말;
상기 디자인 연출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매장 디자인 정보를 기초로 VMD 연출요소를 설정하고, VMD 연출 요소별로 공통 조닝을 추출하여 공통 조닝의 영역별로 공간을 분석하여 VMD 연출정보를 상기 디자인 연출 단말로 출력해주는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는 매장 디자인 연출을 제어하는 디자인 연출 제어부; 상기 디자인 연출 제어부와 연동하여 VMD 연출 요소를 기반으로 매장 디자인 공간을 분석하고, 공간 분석 결과를 기초로 공간을 기획하여 VMD 연출을 하는 VMD 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VMD 연출부는 VP(Visual Presentation) 연출 요소에 대해 윈도와 프로모션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하고, 영역별 조닝을 전개방식, 위치, 면적, 수량, 조닝간의 거리로 분석하는 VP 연출요소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VMD 연출부는 PP(Points of sale Presentation) 연출 요소에 대해 브랜드존, 주력상품존, 미디어존, 체험존, 특화존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하고, 영역별 조닝을 전개 방식, 위치, 면적, 수량, 조닝 간의 거리로 분석하는 PP 연출요소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VMD 연출부는 IP(Item Presentation) 연출 요소에 대해 벽장타입과 아일랜드 타입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하고, 영역별 조닝을 전개방식, 위치, 면적, 수량, 조닝 간의 거리로 분석하는 IP 연출요소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방법은 (a) 매장 디자인 연출을 위해 접속한 디자인 연출 단말로부터 매장 디자인 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매장 디자인 기획을 위해 VMD 연출 요소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설정한 VMD 연출 요소별로 공통 조닝을 추출하고, 추출한 공통 조닝의 영역별로 공간을 분석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영역별 조닝 분석 결과를 기초로 공간을 기획하여 매장 디자인을 VMD 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b)단계는 VP(Visual Presentation), PP(Points of sale Presentation), IP(Item Presentation)를 VMD 연출 요소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c)단계는 VP 연출 요소에 대하여 윈도와 프로모션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하고, 영역별 조닝을 전개방식, 위치, 면적, 수량, 조닝간의 거리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로 VP 연출 요소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c)단계는 PP 연출 요소에 대해 브랜드존, 주력상품존, 미디어존, 체험존, 특화존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하고, 영역별 조닝을 전개방식, 위치, 면적, 수량, 조닝간의 거리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로 PP 연출 요소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c)단계는 IP 연출 요소에 대해 벽장타입과 아일랜드 타입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하고, 영역별 조닝을 전개방식, 위치, 면적, 수량, 조닝간의 거리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로 VMD 연출 요소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단계는 VP 연출 요소 정보와 PP 연출 요소 정보와 IP 연출 요소 정보를 기초로 매장 디자인을 VMD 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VMD의 연출 요소인 VP(Visual Presentation), PP(Points of sale Presentation), IP(Item Presentation)를 기반으로 비 전문가도 용이하게 매장 디자인을 분석 및 연출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h는 본 발명에서 VMD 연출요소별로 공간을 분석하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은 디자인 연출 단말(10), 네트워크(20),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30) 및 VMD 연출요소 데이터베이스(40)를 포함한다. 여기서 VMD 연출요소 데이터베이스(40)가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30)와 독립된 장치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VMD 연출요소 데이터베이스(40)를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30)에 포함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디자인 연출 단말(10)은 네트워크(20)를 통해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30)와 접속하여 매장 디자인 조건 정보를 제공하고, VMD 연출 요소를 기반으로 공간 기획을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디자인 연출 단말(10)은 퍼스널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스마트 패드, 개인정보 단말기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30)는 온라인(네트워크)을 통해 상기 디자인 연출 단말(10)과 접속하여 제공되는 매장 디자인 정보를 기초로 VMD 연출요소를 설정하고, VMD 연출 요소별로 공통 조닝을 추출하여 공통 조닝의 영역별로 공간을 분석하며, 공간 분석 결과를 기초로 공간을 기획하여 VMD 연출하여 상기 디자인 연출 단말(10)로 출력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31), 매장 디자인 연출을 제어하는 디자인 연출 제어부(32), 상기 디자인 연출 제어부(32)와 연동하여 매장 디자인 연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표시부(33), 상기 디자인 연출 제어부(32)와 연동하여 VMD 연출 요소를 기반으로 매장 디자인 공간을 분석하고, 공간 분석 결과를 기초로 공간을 기획하여 VMD 연출을 하는 VMD 연출부(34)를 포함한다.
상기 VMD 연출부(34)는 VP(Visual Presentation) 연출 요소에 대해 윈도와 프로모션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하고, 영역별 조닝을 전개방식, 위치, 면적, 수량, 조닝간의 거리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로 VP 연출 요소 정보를 제공하는 VP 연출요소 제공부(35), PP(Points of sale Presentation) 연출 요소에 대해 브랜드존, 주력상품존, 미디어존, 체험존, 특화존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하고, 영역별 조닝을 전개방식, 위치, 면적, 수량, 조닝간의 거리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로 PP 연출 요소 정보를 제공하는 PP 연출요소 제공부(36), IP(Item Presentation) 연출 요소에 대해 벽장타입과 아일랜드 타입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하고, 영역별 조닝을 전개방식, 위치, 면적, 수량, 조닝간의 거리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로 IP 연출 요소 정보를 제공하는 IP 연출요소 제공부(3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매장 디자인을 VMD로 연출해보고자 하는 사용자는 디자인 연출 단말(11)을 이용하여 네트워크(20)를 통해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30)와 온라인으로 접속하고, 정상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면 매장 디자인 조건 정보를 제공하고, VMD 연출 요소를 기반으로 공간 기획을 시작한다.
상기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30)는 온라인(네트워크)을 통해 상기 디자인 연출 단말(10)로부터 매장 디자인 정보가 입력되면, VMD 연출요소를 설정한다.
예컨대,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30)의 디자인 연출 제어부(32)는 VMD 연출부(34)를 제어하여, VMD 연출 요소를 설정하고, 설정한 VMD 연출요소별로 매장 디자인을 분석하여 공간 기획을 위한 VMD 연출요소 정보를 산출한다.
상기 VMD 연출부(34)는 VMD의 연출 요소인 VP(Visual Presentation), PP(Points of sale Presentation), IP(Item Presentation)를 설정하고, VMD 연출 요소별로 공통 조닝을 추출하여 공통 조닝의 영역별로 공간을 분석한다.
먼저, VMD 연출부(34)의 VP 연출요소 제공부(35)는 VP(Visual Presentation) 연출 요소에 대해 윈도우와 프로모션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한다.
VP(Visual Presentation)는 상품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경영전략의 대표 연출공간이다. 고객에게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고, 감성에 호소하는 장소로서 상품 기획단계의 콘셉트가 표현되어야 한다. 즉, 전체 매장의 이미지와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어필하여 전체적 통일감을 보여주는 동시에 각 상품의 이미지를 높여야 한다. 더불어 상품의 정보와 서비스 의도를 명확히 보여주어 매장의 아이덴티티를 확립하고, 판매목적이 이루어져야 한다. 화장품 매장의 경우, 과거에는 오브제나 장식적인 소품을 활용하여 미적인 이미지가 중요시되었다면 최근 화장품 매장은 장식적인 요소를 배제하여, 상품의 스토리를 강화시킨 미니멀한 연출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VP 조닝은 매장마다 개성이 다른 윈도와 프로모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쇼윈도는 매장과 고객을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며 매장의 신용을 심어 주고 고객으로 하여금 구매 욕구를 느끼게 하여 판매를 유도한다. 이것을 쇼윈도의 직접적인 역할이라고 한다. 따라서 매장으로서는 소비심리와 감성을 자극하고 상호 공감된 이미지를 창출하여 새롭고 유익한 정보를 제안함은 물론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브랜드 경쟁에서 이길 수 없게 된다. 최근 플래그십 스토어를 제외한 중심상권의 윈도 경우 미디어를 적극 활용하여 제한된 공간에서 미디어를 통한 다양한 상품정보와 이미지를 전달하고 있다.
이어, 특정 제품(예를 들어, 화장품)은 계절테마와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상품기획을 통해 매월 시즌에 맞는 제품을 윈도와 메인 스테이지에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고객의 시선이 처음 닿은 매장 입구의 프로모션은 시각적으로 감성을 자극하는 중요한 장소이다.
다음으로, PP 연출요소 제공부(36)는 PP(Points of sale Presentation) 연출 요소에 대해 브랜드존, 주력상품존, 미디어존, 체험존, 특화존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한다.
PP(Point of sale Presentation)는 상품진열계획의 포인트를 제안하여 판매를 유도하는 것이 주 역할이므로, IP에 진열된 상품이 주체가 되어야 포지셔닝 전략으로서 성공을 거둘 수 있다. VP에서의 전체적인 이미지와 IP에서의 개개상품의 이미지를 동시에 높여 주어야만 판매목적을 이룰 수 있다. PP의 위치선정은 고객의 동선을 따라 시선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곳에 초점을 맞추어 연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판매를 촉진하는 공간이므로, 전체 동선의 계획에 의해 진행되어야 한다. 연속적인 시선의 유도를 위해 또 다른 연출 포인트인 테이블 집기, 기둥, 선반, 벽면 등을 활용하여 콘셉트에 맞게 연결을 유도하고 시각적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PP는 브랜드의 개성을 알릴 수 있는 차별화된 공간으로, 브랜드존, 주력상품존, 미디어존, 체험존, 특화존 등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한다.
브랜드존은 고객에게 기업의 가치와 철학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써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와 제품의 신뢰를 함께 판매할 수 있는 조닝이다.
화장품 브랜드에서 매출, 이익 등을 고려하여 특히 주력하고 있는 메인 상품 또는 고객들의 소문이나 매출이 가장 높은 제품을 주력 상품으로 선정한다. 이러한 브랜드의 성격을 결정하는 주력상품을 매장에서 자신의 눈으로 직접 보게 함으로써 브랜드는 고객들에게 제품의 진정한 장점을 전략적으로 표출시키고 실질적인 제품의 핵심 포인트를 전달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공간이 주력상품존이다.
다음으로, 미디어는 다양한 정보를 서로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미디어의 새로운 도구를 이용하여 계속해서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이야깃거리를 만들어 내야 한다. 오늘 당장 얘기를 시작해서 행동하게끔 못한다 해도, 일단 대화를 시작했으면 다시 찾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LCD나 DID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 정보를 더 폭넓게 제공하고, 터치스크린 형식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디스플레이의 기본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그래서 매장에서는 상품정보 또는 브랜드에 대한 스토리를 미디어를 통해 감성적으로 고객들에게 접근하여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해 가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공간이 미디어존이다.
다음으로, 체험존은 고객들에게 다양한 감각기관을 자극하는 경험마케팅의 대표적인 공간으로써, 고객들이 브랜드를 경험할 수 있는 조닝이다. 플래그십 스토어를 전시장과 판매점으로 구분한다면 매장은 전시장 역할을 하고, 전시장에서는 매장 같은 매출이 일어나야 한다. 고객이 매장에서 필요한 물품을 사는 것 이상으로, 고객이 자사 브랜드나 제품에 대해 뚜렷한 인식을 가지고 돌아갈 수 있게 매장이 전시장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고객들이 제품을 체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체험이야 말로 매출로 연결될 확률이 높다.
특화존은 타매장과의 차별화된 브랜드 특화 공간을 만들어 고객에게 특별한 가치를 제공해야 한다. 시간과 공간이라는 면에서 실제 상황과는 동떨어져 있다고 할지라도 실제 극적인 느낌을 전달하는 공간은 오래 기억에 남는다. 따라서 플래그십 스토어에서는 고객들에게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으로, IP 연출요소 제공부(37)는 벽장타입과 아일랜드 타입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한다.
IP(Item Presentation)는 PP에서 전개된 관련 상품을 고객의 입장에서 원하는 상품을 바라보기 쉽고 선택하기 쉽고, 주목하기 쉬우며 간결한 진열을 해야 한다. 또한, 제품의 특징을 잘 살려 알맞은 높이로 컬러별, 타입별, 제품군으로 나누어 진열계획이 필요하다. 실제 판매가 이루어지는 곳은 IP 부분이며, 매장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도 IP다. 따라서 IP 부분의 정리정돈에 의한 매장 분위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며, 상품과의 연계 진열로 구매의욕을 자극할 수 있도록 진열하여야 한다. 즉, VP나 PP 못지않게 미적인 관점에서 IP의 비주얼적인 비중이 크다. IP는 전체 쇼핑면적의 60~70%만 상품을 진열하여 여유롭고 넓은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벽장의 경우 상품의 컬러별 비교적 적은 수량의 제품진열과 아일랜드 장의 메이크업 제품을 중심으로 테스터를 쉽게 체험할 수 있도록 보다 넓은 고객의 동선을 고려하여 여유로운 쇼핑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장 타입은 스킨케어의 진열방식으로 연출되고 있으며, 아일랜드타입은 크기와 무게가 작은 메이크업 제품들이 주로 디스플레이된다. 특히 고객에게 테스터하고,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잘 녹여진 컬러, 재질, 디자인 등 디테일한 집기개발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VMD 연출요소인 VP 연출요소, PP 연출요소, IP 연출요소의 공통 조닝을 추출한 후, 영역별 조닝을 전개방식, 위치, 면적, 수량, 조닝간의 거리로 분석하여 조닝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이러한 조닝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하고 판매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적인 VMD 방안이 무엇인지 분석할 수 있는 매장의 디자인 기획 자료로 활용된다.
도 3a는 VMD 연출 요소 중 전개 방식에 대한 전개방식 분석 프레임의 예시이다.
집기형태로는 개방형, 폐쇄형, 반개방형, 계단형, 아일랜드, 벽면형, 기둥형, 스탠드형, 모듈형, 오픈형, 수납형, 풀선반형, 영만형, 사선형, 플랫형으로 구분하며, 전개요소로는 시즌, 스토리, 상품, 미디어, 비주얼, 제품컬러, 제품라인, 피부타입, 제품크기, 제품혼합 등이 있다.
VP의 윈도우 형태는 개방형, 폐쇄형, 반개방형, 계단형, 아일랜드형 타입이 기본이 되며, 프로모션과 PP의 조닝은 집기의 형태에 따라 벽면형, 기둥형, 스탠드형, 모듈형, 아일랜드형으로 구분한다. IP 벽장의 형태는 오픈형, 반개방형, 수납형, 모듈형, 풀선반형태와 아일랜드 집기는 양면형, 사선형, 플랫형, 수납형, 계단형으로 나뉜다. VP와 PP의 전개요소로는 시즌, 스토리, 상품, 미디어, 비주얼로 구분하였다. IP 전개요소는 제품컬러, 제품 라인, 피부타입, 제품크기, 제품혼합으로 구분하여 해당하는 부분들 각각의 수량을 조분석한다.
VP와 PP의 전개방식은 각 플래그십 스토어에서 공통으로 고객의 시선이 가장 닿기 쉬운 벽면형과 아일랜드 중심의 집기타입으로 적용되고 있다. IP 벽장은 고객들이 테스터를 하고 구매하기 쉽도록 오픈형 타입이 바람직하며, 제품과 패키지를 활용한 컬러진열은 VMD 연출요소로서의 제품의 주목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IP의 아일랜드 집기는 사선형태의 양면 형으로 메이크업의 베이스, 립, 아이 라인별로 구분하여 고객이 테스터하기 쉬운 집기 형태로 구성되었다. VP, PP의 전개 요소로는 패션의 시즌성 VMD 보다는 화장품의 성분과 특징을 설명하는 제품의 스토리와 상품을 강조하였다. 특히, 플래그십 스토어의 PP의 집기형태와 전개요소가 높게 나온 것은 제품과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과 스토리가 조닝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석으로 VMD 연출 요소 중 VP와 PP의 전개 형태를 분석한다.
도 3b은 VMD 연출 요소 중 위치 분석 프레임의 예시이다.
VMD 연출요소의 위치는 매장 입구에 들어설 때 고객의 기준으로 파악한다.
위치는 Front, Middle, Back, Top, Left, Right로 조닝의 위치에 따라 앞쪽에 왼쪽 위치는 중복 체크한다. 플래그십 스토어의 IP의 위치는 VP, PP 사이에 고객의 쇼핑동선을 연계하기 위하여 입구부터 안쪽까지 전개되어 있다.
도 3c는 VMD 연출 요소 중 면적 분석 프레임의 예시이다.
VMD 연출요소의 VP, PP, IP의 면적은 1층의 창고 및 직원휴식공간을 제외한 고객 쇼핑 공간 면적 100을 기준으로 보정 값을 적용하여 집기면적을 계산한다. 쇼핑 면적은 집기를 기준으로 사방 고객의 쇼핑동선 1000mm 포함하여 계산한다.
도 3d는 VMD 연출 요소 중 벽장타입 IP 수량 분석 프레임의 예시이며, 도 3e는 VMD 연출 요소 중 아일랜드 타입 IP 수량 분석 프레임의 예시이다.
상품을 효과적으로 진열하기 위한 IP는 화장품브랜드 콘셉트와 특징에 따라 스킨케어, 메이크업, 스킨케어+메이크업으로 크게 세 가지 화장품 전문브랜드로 구분한다. 제품 카테고리를 구분해 보면 스킨케어, 바디/클렌징, 메이크업, 베이스, 네일, 마스크, 디퓨저, 이벤트로 나뉜다.
도 3f는 VMD 연출 요소 중 조닝간 거리지수 분석 프레임의 예시이며, 도 3g는 윈도 기준 조닝간 거리지수 순위 프레임 예시이며, 도 3h는 조닝간 거리지수 순위 프레임 예시이다.
화장품 플래그십 스토어의 VMD 레이아웃을 기획할 때 VP, PP, IP 조닝간의 거리는 고객이 매장에서 오래 머무를 수 있도록 동선의 흐름을 조절하는 공간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고객이 오감을 체험하기 위한 VP의 윈도우, 프로모션과 PP의 브랜드존, 주력상품존, 미디어존, 체험존, 특화존으로 매장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측정한다.
이와 같이 VMD 연출 요소에 대하여 분석 정보를 도출하고, 이를 분석한다.
먼저, 플래그십 스토어에서 VMD를 기획할 때 VP, PP, IP의 집기형태와 전개요소는 매장에서 고객에게 무엇을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의 기준을 정하는데 중요한 소스가 된다. 특정 플래그십 스토어 전개방식의 종합 예시를 보면, 집기의 형태는 매장의 레이아웃에 기본이 되는 벽면타입이 10, 아일랜드타입이 7순으로 적용되고 있다. 전개요소로는 스토리가 18, 상품 16, 비주얼 10, 미디어 9, 컬러 6, 제품라인 6 순으로 VMD 연출요소가 단순히 예쁘고 아름다운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안의 메시지 즉, 상품 또는 매장의 스토리가 살아있어야 고객은 그 매장의 가치를 경험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조닝별 미디어활용은 정적인 것에서 동적인 메시지를 통해 고객과의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을 돋보이게 한다. 또한, 전개요소의 하나로 제품의 컬러는 IP 진열공간의 제품 간의 주목성 높이고 감성적인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주요한 VMD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전개방식에서 집기형태와 전개요소를 종합해 보면 VP 23, PP 35, IP 12로 PP가 VP, IP 전개방식보다 높게 나왔다. 이는 PP의 다양한 집기 개발과 전개요소가 플래그십 스토어의 차별화된 연출요소로써 매장의 아이덴티티를 만들어 가는데 중요한 조닝이 된다.
다음으로, VMD 조닝의 위치와 면적은 매장에서 고객을 유도하고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하기 위한 매장의 주요한 공간 전략이다. 특정 플래그십 스토어의 VMD 연출요소에 위치를 종합 분석한 결과, Front가 18로 가장 높고, Right 12, Left 11, Back 10, Middle 9, Top 1 순으로 근소한 차이를 나타냈다고 하면, 매장 입구에서 고객의 시선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입구 정면에서 VP의 강한 연출요소가 필요하며, 또한, 매장 안쪽까지 고객의 동선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PP의 조닝이 한정된 공간에 치우치지 않도록 동선계획을 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VMD 연출요소의 면적은 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브랜드 마케팅 전략에 따라 조닝의 위치와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IP 진열공간에서 긍정적이고 안정된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VMD 연출 요소의 IP 수량의 종합분석의 예시로, 특정 매장의 전체 상품카테고리 중 스킨 케어와 바디/클렌징이 매장 전체의 55%를 차지하고, 메이크업, 베이스, 네일이 19.2%와 마스크팩 13.8%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을 하면, 대부분 IP 벽장타입은 크기와 무게가 있는 스킨케어 제품들을 진열하는 반면 IP 아일랜드타입은 벽장타입 제품들보다 작은 메이크업 라인들이 진열된다. 특히 메이크업 라인(색조, 베이스, 네일)은 전체 상품군의 컬러 비중이 높기 때문에, 고객맞춤 커스터마이징 제품을 출시하여 다양한 컬러를 시각적 연출로 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P 벽장타입은 아일랜드 메이크업 집기를 벽면으로 이동하여 고객의 쇼핑 동선을 벽장과 아일랜드로 함께 유도하여 쇼핑의 행위를 새롭게 제안한다. 따라서 IP는 상품의 특징에 따라 고객이 단순히 테스터하기 쉽고 구매하기 편리한 집기개발뿐 아니라 쇼핑의 새로운 제안과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VMD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조닝간 거리지수를 종합한 평균값을 통해 두 가지 조닝 거리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 윈도우 기준 조닝 간의 거리 순위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윈도우, 프로모션, 미디어존, 특화존, 주력상품존, 체험존, 브랜드존 순으로 나왔다. 이는 고객의 쇼핑동선을 유도하기 위한 조닝 공간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고, 브랜드의 특성에 따라 차별화 전략에 응용할 수 있다. 두 번째로 플래그십 스토어 조닝간 거리지수 종합을 조닝간의 거리지수 순위종합으로 도출하였다. 그 결과 윈도와 프로모션의 거리지수는 15.6으로 매장 윈도에서부터 고객의 시선이 가장 먼저 닿은 프로모션까지 상품의 스토리가 가장 강하게 어필하는 VP의 대표공간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 주력상품과 미디어존의 거리 지수는 19.3으로 미디어를 통한 고객과의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은 주력 상품존의 제품의 스토리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 따라서 디지털 미디어 요소는 VMD 조닝 개발을 할 때 한정된 공간에서 효과적인 연출 도구가 된다. 또한, VP, PP 조닝 간의 거리지수를 총 1 ~ 21위 순위로 나뉜 결과 VP+VP가 1개, VP+PP는 10개, PP+PP는 10개의 조닝이 나왔다. 이는 플래그십 스토어의 특성상 PP+PP의 조닝 간의 연출이 VP 공간 못지않게 브랜드를 체험하고 아이덴티티를 전달하는 역할로서 PP의 조닝간의 거리를 다각도로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플래그십 스토어는 단순한 판매처가 아닌 그 자체가 기업의 가치이자 상품의 이미지로써 고객들에게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전달하고 기업의 철학과 가치를 공유하는 공간으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 따라서 VMD 전략은 플래그십 스토어를 하나로 관통하는 아이덴티티와 이미지로 연출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고객이 제품을 소비하는 것이 아닌 브랜드의 이미지를 소비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각 매장의 1층 쇼핑공간에 한하여 VMD 연출요소인 VP, PP, IP의 전개방식, 위치, 면적, 수량, 조닝 간의 거리를 중심으로 각 조닝별 비교 분석하여 평균값을 도출한 뒤, VMD 연출요소의 조닝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전개방식을 종합분석한 결과, 집기형태는 매장의 기본이 되는 벽면타입과 아일랜드타입에서 조닝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전개요소로는 스토리, 상품, 비주얼, 미디어, 컬러, 제품라인 순으로 결과가 나왔다. 특히 VP, IP의 전개방식보다 PP의 집기형태와 전개요소가 높게 나온 것은 플래그십 스토어의 차별화된 연출요소로써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보여줄 수 있는 집기개발과 제품의 스토리가 부각되어야 하는 조닝이다. 또한, 전개요소에서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는 미디어 요소는 향후 플래그십 스토어에 VMD 연출요소로써 고객의 감성을 직접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되어야 한다.
둘째, VMD 연출요소의 위치와 면적을 종합 분석한 결과, 고객을 매혹적으로 끌어들이는 위한 VP, PP의 위치는 고객이 처음 만나는 Front에서 가장 먼저 유도되어야 함을 확인했다. 즉, 고객의 무의식 시선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매장 입구에서 카운터까지 VP, PP 조닝의 위치를 전략적으로 기획하여 고객이 매장에 오래 머물며 체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주어야 한다. 앞으로 VP와 PP의 비율을 더 많이 확대하여 판매를 위한 공간보다는 플래그십 스토어가 그 지역을 대표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더 많이 드러낼 수 있는 공간으로써 상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IP의 벽장타입과 아일랜드타입의 수량을 파악한 결과 제품의 크기와 무게, 라인별 카테고리에 비중을 두어야 함을 파악하였다. 이는 기존 진열방식에서 컬러별, 성분별, 스타일별, 연령대별, 계절별 등 고객의 니즈를 잘 파악하여 새로운 카테고리를 제안한다면 VMD의 연출요소로써 IP 진열형태가 쇼핑의 행위를 변화시키고 소비를 새롭게 리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넷째, VP, PP의 조닝 간의 거리를 종합 분석하여 조닝 간의 거리지수를 순위별로 도출하였다. 그 결과 윈도우 기준 프로모션, 미디어존, 특화존, 주력상품존, 체험존, 브랜드존 거리 순으로 나왔다. 이는 VP+VP, VP+PP, PP+PP의 조닝 간의 거리에서 VP+PP가 47.6%, PP+PP가 47.6%로 조닝 간의 거리가 차지하는 비율이 동일했다. 이는 PP가 VP와 IP 사이를 연결해 주는 매개체 역할로 브랜드 스토리를 체험하고 아이덴티티를 잘 전달 할 수 있도록 VMD 전략에 중요한 연출요소로써 기획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VMD 연출요소에 따른 플래그십 스토어의 VP, PP, IP의 조닝 간의 상관관계는 매장을 기획하고 SI(Store Identity)를 만드는데 핵심 역할을 한다. 이는 VMD가 고객에게 전략적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체험하게 하고 판매를 촉진하기 위한 차별적 가치를 제공해야 하는 이유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VMD 연출요소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제시한 매장 디자인 조건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VMD 전략을 위한 공간을 기획한다.
공간 기획에 따른 VMD 연출 정보 즉, 매장 디자인 연출정보는 디자인 연출 제어부(32), 통신 인터페이스(31)를 통해 디자인 연출 단말(11)로 전송된다.
사용자는 디자인 연출 단말(11)을 통해 VMD 연출요소에 따른 매장 디자인 연출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매장 디자인을 연출한다.
예컨대, 자신이 디자인한 매장 디자인 정보를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30)로 전송하여 VMD 연출 요소를 통해 분석을 하여, 최적의 매장 디자인을 위한 공간 기획 정보를 획득하여 매장을 디자인하거나, 매장 디자인을 위한 조건 정보만을 제공하여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에서 VMD 연출 요소를 기반으로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매장 디자인을 위한 공간 기획 정보를 제공하고, 비 전문가인 사용자가 공간 기획 정보를 기초로 매장을 디자인하게 되는 것이다.
실제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30)는 다양한 분야의 매장 디자인에 대해, VMD 연출 요소에 따른 분석 결과를 VMD 연출 요소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제시한 매장 디자인 조건으로부터 분야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VMD 연출 요소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분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매장 디자인의 공간을 기획하거나 공간 기획 분석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사용자는 매장 디자인의 공간 기획 정보로 자신이 직접 매장을 디자인하거나, 자신이 직접 디자인한 매장 디자인 정보를 제공하여 공간 기획 분석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매장 디자인의 공간을 최적으로 다시 기획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 전문가인 사용자가 직접 매장 디자인을 자유롭게 VMD 연출 요소를 기초로 매장 디자인을 연출해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S10 및 S20에서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30)는 매장 디자인 연출을 위해 접속한 디자인 연출 단말(10)로부터 매장 디자인 조건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어, 단계 S30에서 상기 매장 디자인 공간기획을 위해 VMD 연출 요소를 설정한다. 여기서 VMD 연출 요소는 VP(Visual Presentation), PP(Points of sale Presentation), IP(Item Presentation)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단계 S40 내지 S70에서 설정한 VMD 연출 요소별로 공통 조닝을 추출하고, 추출한 공통 조닝의 영역별로 공간을 분석한다.
예컨대, VP 연출 요소에 대하여 윈도와 프로모션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하고, PP 연출 요소에 대해 브랜드존, 주력상품존, 미디어존, 체험존, 특화존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하며, IP 연출 요소에 대해 벽장타입과 아일랜드 타입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한다.
이어, 추출한 영역별 조닝을 본 발명의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전개방식, 위치, 면적, 수량, 조닝 간의 거리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VMD 연출 요소 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VMD 연출 요소 정보는 사용자가 제공한 매장 디자인 정보를 VMD 연출 요소로 분석하여 산출한 연출 요소 정보이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매장 디자인 조건을 기초로 미리 분석된 VMD 연출 요소 정보를 기초로 산출한 공간 기획 요소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80에서 영역별 조닝 분석 결과를 기초로 획득한 VP 연출 요소 정보와 PP 연출 요소 정보와 IP 연출 요소 정보 또는 공간 기획 요소 정보로 정보 공간을 기획하여 VMD 연출 요소로 매장 디자인을 연출한다. 여기서 매장 디자인 연출은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30)에서 수행하여 디자인 연출 단말(10)로 전송하거나, 연출 요소 정보 또는 공간 기획 요소 정보로 디자인 연출 단말(1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은 VMD 연출 요소 기반으로 매장 디자인을 연출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10: 디자인 연출 단말
20: 네트워크
30: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
32: 디자인 연출 제어부
34: VMD 연출부
35: VP 연출 요소 제공부
36: PP 연출 요소 제공부
37: IP 연출 요소 제공부
40: VMD 연출 요소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VMD 연출요소 기반으로 매장 디자인을 연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와 접속하여 매장 디자인 조건 정보를 제공하고, VMD 연출 요소를 기반으로 공간 기획을 실행하는 디자인 연출 단말; 및
    상기 디자인 연출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매장 디자인 정보를 기초로 VMD 연출요소를 설정하고, VMD 연출 요소별로 공통 조닝을 추출하여 공통 조닝의 영역별로 공간을 분석하여 VMD 연출정보를 상기 디자인 연출 단말로 출력해주는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매장 디자인 연출 서버는 매장 디자인 연출을 제어하는 디자인 연출 제어부; 상기 디자인 연출 제어부와 연동하여 VMD 연출 요소를 기반으로 매장 디자인 공간을 분석하고, 공간 분석 결과를 기초로 공간을 기획하여 VMD 연출을 하는 VMD 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
  3. 청구항 2에서, 상기 VMD 연출부는 VP(Visual Presentation) 연출 요소에 대해 윈도와 프로모션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하고, 영역별 조닝을 전개방식, 위치, 면적, 수량, 조닝간의 거리로 분석하는 VP 연출요소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
  4. 청구항 2에서, 상기 VMD 연출부는 PP(Points of sale Presentation) 연출 요소에 대해 브랜드존, 주력상품존, 미디어존, 체험존, 특화존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하고, 영역별 조닝을 전개 방식, 위치, 면적, 수량, 조닝 간의 거리로 분석하는 PP 연출요소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
  5. 청구항 2에서, 상기 VMD 연출부는 IP(Item Presentation) 연출 요소에 대해 벽장타입과 아일랜드 타입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하고, 영역별 조닝을 전개방식, 위치, 면적, 수량, 조닝 간의 거리로 분석하는 IP 연출요소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
  6. VMD 연출요소 기반으로 매장 디자인을 연출하는 방법으로서,
    (a) 매장 디자인 연출을 위해 접속한 디자인 연출 단말로부터 매장 디자인 조건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매장 디자인 기획을 위해 VMD 연출 요소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설정한 VMD 연출 요소별로 공통 조닝을 추출하고, 추출한 공통 조닝의 영역별로 공간을 분석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영역별 조닝 분석 결과를 기초로 공간을 기획하여 매장 디자인을 VMD 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방법.
  7. 청구항 6에서, 상기 (b)단계는 VP(Visual Presentation), PP(Points of sale Presentation), IP(Item Presentation)를 VMD 연출 요소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방법.
  8. 청구항 7에서, 상기 (c)단계는 VP 연출 요소에 대하여 윈도와 프로모션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하고 분석을 통해 VP 연출 요소 정보를 산출하며, PP 연출 요소에 대해 브랜드존, 주력상품존, 미디어존, 체험존, 특화존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하고, 영역별 조닝을 전개방식, 위치, 면적, 수량, 조닝간의 거리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로 PP 연출 요소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방법.
  9. 청구항 7에서, 상기 (c)단계는 IP 연출 요소에 대해 벽장타입과 아일랜드 타입을 공통 조닝으로 추출하고, 영역별 조닝을 전개방식, 위치, 면적, 수량, 조닝간의 거리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로 VMD 연출 요소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방법.
  10. 청구항 6에서, 상기 (d)단계는 VP 연출 요소 정보와 PP 연출 요소 정보와 IP 연출 요소 정보를 기초로 매장 디자인을 VMD 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방법.






KR1020170124850A 2017-09-27 2017-09-27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 및 그 방법 Active KR101803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850A KR101803940B1 (ko) 2017-09-27 2017-09-27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850A KR101803940B1 (ko) 2017-09-27 2017-09-27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940B1 true KR101803940B1 (ko) 2017-12-04

Family

ID=60921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850A Active KR101803940B1 (ko) 2017-09-27 2017-09-27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9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7277A (zh) * 2020-03-20 2020-06-19 北京工业大学 基于变分模态分解和预测性能的单模态子信号选择方法
KR102193791B1 (ko) * 2020-06-04 2020-12-21 주식회사 벨로벨라 테일러샵 및 바버샵의 통합 운영을 위한 구조 설계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5280A (ja) 2004-09-14 2006-03-30 Oval Link:Kk 売場改善支援システム及び売場改善支援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5280A (ja) 2004-09-14 2006-03-30 Oval Link:Kk 売場改善支援システム及び売場改善支援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7277A (zh) * 2020-03-20 2020-06-19 北京工业大学 基于变分模态分解和预测性能的单模态子信号选择方法
CN111307277B (zh) * 2020-03-20 2021-10-01 北京工业大学 基于变分模态分解和预测性能的单模态子信号选择方法
KR102193791B1 (ko) * 2020-06-04 2020-12-21 주식회사 벨로벨라 테일러샵 및 바버샵의 통합 운영을 위한 구조 설계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ndecrantz et al. Personalizing the customer experience: Driving differentiation in retail
Colombi et al. Fashion retailing “tech-gagement”: engagement fueled by new technology
Valtonen Height matters: Practicing consumer agency, gender, and body politics
Diller et al. Making meaning: How successful businesses deliver meaningful customer experiences
Wu et al. Co-design visual merchandising in 3D virtual stores: a facet theory approach
Hagtvedt et al. Immersive retailing: The in-store experience
Harjadi et al. The role of atmosphere store and hedonic shopping motivation in impulsive buying behavior
Godwyn Using emotional labor to create and maintain relationships in service interactions
Christiaans et al. Retail design: a new discipline
KR101803940B1 (ko) Vmd 연출요소 기반의 매장 디자인 연출시스템 및 그 방법
Leroi-Werelds Conceptualising Customer Value in Physical Retail: A Marketing Perspective
Varshneya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xperiential value in fashion retailing: a study on Indian consumers
Christiaans The future of retail and retail design
Gupta et al. Influence of branded luxury guestroom amenities on guests’ hotel buying decisions: a case of five-star hotels in Delhi
Veg-Sala et al. Consumers expectations toward luxury brands websites: a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the lens of personal and interpersonal motivations
Nyberg et al. Experiential Marketing and Customer Experience-How apparel stores build customer experience and interaction using in-store touchpoints
Vannucci et al. Corporate brand image: Technology and innovation in e-tailing
Kavitha et al. Building customer loyalty through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Manocha et al. AUGMENTED REALITY VIRTUAL MIRRORS-THE INNOVATIVE DRIVERS FOR CONSUMER PURCHASE DECISION-MAKING
Ding et al. Determinants of customer value at department stores in Taiwan: An application of fuzzy AHP
Nguyen et al. Customer Relationships and Physical Stores in Omnichannel Context: A Qualitative Study of Retail Brand and Store Manager Perspectives
Shahid The world of retailing: An overview of retailing & Indian Retail
Mishra Journal Homepage:-www. journalijar. com
Anderson Innovative Visual Merchandising Strategies in the Digital Era
Di Meglio et al. Interactive shopping experience in the phygital store a spatial design approach to boost consumer’s eng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