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816B1 -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816B1
KR101803816B1 KR1020160130444A KR20160130444A KR101803816B1 KR 101803816 B1 KR101803816 B1 KR 101803816B1 KR 1020160130444 A KR1020160130444 A KR 1020160130444A KR 20160130444 A KR20160130444 A KR 20160130444A KR 101803816 B1 KR101803816 B1 KR 101803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center
camera
hole
stereoscopi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360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360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360미디어
Priority to KR1020160130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3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hree or more 2D image sensors
    • H04N13/0242
    • H04N13/028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82Image signal generators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e.g. multi-view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04N5/225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는 촬영 장비의 중심(o)을 기준으로 카메라를 원형으로 배치하되, 2개의 카메라를 1개조로 편성하여 각 조의 2대 중에 어느 하나의 카메라는 좌측 눈에 해당하는 영상을 촬영하고, 다른 하나의 카메라는 우측 눈에 해당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Description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 {360 three-dimension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촬영을 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360도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D촬영은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을 향하도록 여러 대의 카메라를 배치하여 촬영한다.
그리고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은 영상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편집되고, 이로써 완성된 영상으로 제작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종래에 알려진 3D 촬영 장비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가상현실(VR)장비를 이용하여 살펴볼 때에 시선을 돌리는 방향으로 영상이 돌려져 여러 방향을 살펴볼 수 있다. 그러나 영상 속의 보여지는 사물은 원근감이 없거나 미미하고, 단순하게 구면에 2차원 영상이 구현되는 것에 불과하다.
한편, 입체적인 영상, 특히 원근감, 즉 깊이(거리)를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좌측 눈에 해당하는 영상과 우측 눈에 해당하는 영상이 각각 제공되어야 하지만, 이와 같은 입체적인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영상을 재현할 때에, 영상 속의 사물의 원근감이 적절하지 못하면 어지러움증이 유발되고, 어색하며 과도하게 과장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원근감은 2대의 카메라가 1개의 세트를 이룰 때에, 2대의 카메라 간의 거리에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2대의 카메라 간의 간격이 클수록 재현되는 영상에서 원근감이 커진다. 반대로 2대의 카메라 간의 간격이 작을수록 재현되는 영상에서 원근감은 작아져 밋밋한 영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촬영 대상의 사물이 가까운 곳에 있는 경우와, 사물이 먼 곳에 있는 경우에도 2대의 카메라 간격이 조정되어야 하고, 조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재현되는 영상에서 적정한 입체감과 원근감을 느끼기에 부적절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15-0003576호(2015.01.09.)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10-1569787호(2015.11.1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촬영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360도를 촬영하되 양쪽 눈에 해당하는 영상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카메라는 2대를 1개조로 설정하되 2대의 카메라 간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대의 카메라 간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함에 있어서 간소화된 구성으로 제공하고 수동으로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촬영 장비의 제조 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도록 하는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는, 센터 홀(22)과 탭(26)이 촬영 장비의 중심(o)을 기준으로 원형 배열된 베이스(20); 한쪽에 스탠드 센터 홀(112)이 형성되고, 타측에 가이드 홀(114)이 형성되며, 상기 스탠드 센터 홀(112)과 상기 센터 홀(22)에 제1 핀 축(122)으로 조립되어 상기 제1 핀 축(122)을 중심으로 선회 되는 스탠드(100); 상기 스탠드(100)를 관통하여 상기 탭(26)에 체결되어 상기 스탠드(100)를 상기 베이스(20)에 고정시키는 록킹 볼트(130); 및 상기 스탠드(100)에 결합되고, 카메라(300)를 고정하는 클램프 유닛(2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스탠드(100)는 8의 배수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베이스(20)에서 형성된 포켓(24); 상기 포켓(24)에 설치되고 볼이 스프링의 복원력에 돌출되는 볼 스토퍼(30); 및 상기 스탠드(100)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볼 스토퍼(30)의 볼을 수용하여 상기 스탠드(100)의 자세가 결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볼 포켓(116, 116a, 116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의 상기 스탠드(100)는, 상기 복수의 볼 포켓(116, 116a, 116b)는 상기 스탠드 센터 홀(112)의 중심을 기준으로 부채꼴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가이드 홀(114)은 상기 스탠드 센터 홀(112)의 중심을 기준으로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의 상기 스탠드(100)는, 스탠드 베이스(110)의 상측에 세워져 형성된 한 쌍의 서포터(118); 상기 한 쌍의 서포터(118)에 관통되어 형성된 체결홀(119); 및 상기 한 쌍의 서포터(118)의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력을 가지며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앵글 스토퍼(120);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유닛(200)은, 플레이트(210)의 배면에 형성된 부챗살(214); 상기 부챗살(214)에 형성된 브래킷 센터 홀(220); 및 상기 부챗살(214)의 하측에 형성된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의 앵글 포지션 포켓(230);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홀(119)과 상기 브래킷 센터 홀(220)은 제2 핀 축(124)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 유닛(200)이 상기 제2 핀 축(124)을 중심으로 선회되고, 상기 앵글 스토퍼(120)의 상측 끝부분은 상기 다수의 앵글 포지션 포켓(230)중에 어느 하나의 앵글 포지션 포켓(230)에 삽입되어 상기 클램프 유닛(200)의 자세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의 클램프 유닛(200)은, 하측에 제1 체결 홀(242)이 형성되고, 상측에 제2 체결 홀(244)이 형성된 플레이트(210); 상기 플레이트(2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체결 홀(242)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1 보스(254)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 홀(244)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보스(256)가 형성된 클램프(250); 상기 제1, 2 보스(254, 256)에 각각 삽입되어 확장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제1, 2 스프링(276, 278); 상기 제1 체결 홀(242)과 상기 제1 보스(254)와 제1 스프링(276)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1 볼트(262); 상기 제2 체결 홀(244)와 상기 제2 보스(256)와 제2 스프링(278)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2 볼트(264); 상기 제1 보스(254)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볼트(262)에 체결되어 상기 클램프(250)가 상기 제1 스프링(276)에 의해 탄발 되도록 하는 제1 너트(272); 및 상기 제2 보스(256)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볼트(264)에 체결되어 상기 클램프(250)가 상기 제2 스프링(278)에 의해 탄발 되도록 하는 제2 너트(27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의 상기 클램프(250)는, 카메라(300)의 렌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300)의 렌즈를 수용하도록 렌즈 홀(25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다수의 볼 포켓(116, 116a, 116b) 중에, 어느 하나의 볼 포켓의 중심과 상기 스탠드 센터 홀(112)의 중심을 잇는 제1 선; 다른 하나의 볼 포켓의 중심과 상기 스탠드 센터 홀(112)의 중심을 잇는 제2 선; 상기 제1 선과 상기 제2 선이 이루는 각도는 11.25도, 22.5도, 33.75도 및 45도 중에 어느 하나의 각도인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는 다수의 카메라가 촬영 장비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되 등각으로 배치하여 동시에 촬영자의 주변 360도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는 다수의 카메라 중에 2대를 1개조로 설정할 수 있고, 이로써 2대의 카메라에 의하여 왼쪽 눈에 대응하는 영상과 오른쪽 눈에 대응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므로, 촬영이 완료된 영상에서는 원근감과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실질적인 3차원 영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2대의 카메라를 1개조로 설정할 때에, 어느 하나의 카메라를 제1조의 제1 카메라로 설정하고, 인접한 카메라를 제1조의 제2 카메라로 설정하거나, 1대 내지 3대를 건너서 배치된 다른 카메라를 제1조의 제2 카메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카메라에서 얼마큼 떨어진 다른 카메라를 제2 카메라로 설정하느냐에 따라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 간의 간격이 설정되어 결국 입체감과 원근감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에서 베이스에 스탠드가 결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에서 스탠드에 카메라가 결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에서 베이스의 일부와 스탠드와 카메라가 조립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에서 카메라의 방향이 조절되고 조절된 방향이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에서 다수의 카메라의 방향이 조절되기 전의 상태로써 카메라 렌즈가 촬영 장비의 중심을 등지고 있는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에서 2대의 카메라가 1조로 설정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에서 2대의 카메라가 1조로 설정된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써, 원형으로 연달아 배치된 다수의 카메라 중에 4배수에 배치된 카메라 끼리 짝을 이루 2대의 카메라가 1조로 설정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는, 베이스(20), 스탠드(100), 록킹 볼트(130) 및 클램프 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전체적은 외형 형상은 촬영 장비의 중심(o)을 기준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다각형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스탠드(100)의 개수와 대응되 개수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00)는 상기 베이스(20)에서 상기 록킹 볼트(130)에 의해 고정되어 자세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유닛(200)은 상기 스탠드(100)에 설치되고, 카메라(30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는, 베이스(200)를 기준으로 베이스(200)의 상측에 카메라(3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a)는, 베이스(200)를 2겹으로 배열하고, 상측에 배치된 베이스(200)에는 하측에 배치된 베이스(200)에 각각 카메라(3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측에 배치된 카메라(300)의 카메라 렌즈와 하측에 배치된 카메라(300)의 카메라 렌즈는 상기 중심(o)의 축선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는 중심(o)을 기준으로 다수의 카메라(300)가 등간격으로 원형 배열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은 다수의 카메라(300)가 촬영장비의 중심(o)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는 것으로써 촬영된 영상은 인접한 다른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과 연관되어 편집될 때에 어색하지 않고 조화를 이룰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는 카메라(300)를 16 내지 40 사이의 4의 배수로 설치될 수 있고, 예컨대, 카메라(300)의 개수는 16개, 20개, 24개, 32개, 36개, 40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촬영된 영상을 편집할 때에, 인접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편집하거나 2대의 카메라를 1개 조로 설정하였을 때 인접한 다른 조의 영상을 편집할 때에 어색하지 않게 조화를 이룰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에서 베이스에 스탠드가 결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에서 스탠드에 카메라가 결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에서 베이스의 일부와 스탠드와 카메라가 조립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에서 카메라의 방향이 조절되고 조절된 방향이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는 베이스(20), 스탠드(100), 록킹 볼트(130) 및 클램프 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센터 홀(22)과 탭(26)이 촬영 장비의 중심(o)을 기준으로 원형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00)는 한쪽에 스탠드 센터 홀(112)이 형성되고, 타측에 가이드 홀(114)이 형성되며, 상기 스탠드 센터 홀(112)과 상기 센터 홀(22)에 제1 핀 축(122)으로 조립되어 상기 제1 핀 축(122)을 중심으로 선회 될 수 있다.
상기 록킹 볼트(130)는 상기 스탠드(100)를 관통하여 상기 탭(26)에 체결되어 상기 스탠드(100)를 상기 베이스(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클램프 유닛(200)은 상기 스탠드(100)에 결합되고 카메라(300)를 고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는 카메라(300)를 베이스(20)에 설치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센터 홀(22)과 상기 탭(26)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스탠드(100)가 구비되며 상기 스탠드(100)의 개수에 대응하여 클램프 유닛(200)이 제공되는 것으로써 결국 카메라(300)를 베이스(20)에 다수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편집함으로써 촬영자를 중심으로 하는 360도를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는 다수의 카메라(300) 중에서 2개의 카메라를 1개조로 설정하고자 할 때에 카메라의 자세를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고, 조절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는 상기 스탠드(100)가 16 내지 40사이의 4의 배수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스탠드(100)는, 16개, 20개, 24개, 28개, 32개, 36개 및 40개의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2대의 카메라를 1개조로 편성할 경우에, 8개조, 10개조, 12개조, 14개조, 16개조, 18개조 및 20개조로 편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카메라 조는 360도를 등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므로, 인접한 카메라 각 조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어서 편집할 때에 어색하지 않고 조화롭게 편집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는 상기 베이스(20)에 포켓(24)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포켓(24)에는 볼 스토퍼(3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탠드(100)의 저면에는 오목하게 볼 포켓(116, 116a, 116b)이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 스토퍼(30)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볼이 외측으로 밀려나는 구성이고, 볼에 외력이 작용되면 볼은 볼 스토퍼(30)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볼 스토퍼(30)는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볼 스토퍼(30)는 볼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돌출되는데, 볼의 일부는 상기 다수의 볼 포켓(116, 116a, 116b) 중에 어느 하나의 볼 포켓에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스탠드(100)가 베이스(20)에서 자세를 전환하였을 때에 특정한 위치 예컨대, 볼 스토퍼(30)의 볼이 볼 포켓(116, 116a, 116b)에 수용되는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소망하는 자세로 스탠드(100)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는데 임의의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지만, 앞서 설명된 상기 볼 스토퍼(30)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를 이용하여 스탠드(100)의 자세를 정렬시킬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는 볼 스토퍼(30)에 의하여 스탠드(100)의 자세를 정렬시킬 때에는 이미 특정된 자세로 정렬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는 상기 스탠드(100)가 부채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스탠드(100)는 스탠드 베이스(110)가 부채꼴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스탠드 센터 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볼 포켓(116, 116a, 116b)는 상기 스탠드 센터 홀(112)의 중심을 기준으로 부채꼴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스탠드 베이스(110)에는 가이드 홀(114)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 홀(114)은 상기 스탠드 센터 홀(112)의 중심을 기준으로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의 스탠드(100)는 자세를 정렬하기 위하여 조절할 때에, 상기 스탠드 센터 홀(112)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스탠드(100)가 회전되더라도 볼 스토퍼(30)의 볼은 다수의 볼 포켓(116, 116a, 116b) 중에 어느 하나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록킹 볼트(130)는 스탠드 베이스(110)에 호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홀(114)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스탠드(100)가 자세를 전환하기 위하여 회전되더라도 스탠드(100)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는 스탠드(100)에 한 쌍의 서포터(118)를 형성하고, 상기 서포터(118)에 클램프 유닛(20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00)는, 스탠드 베이스(110)의 상측에 세워져 형성된 한 쌍의 서포터(118)와, 상기 한 쌍의 서포터(118)에 관통되어 형성된 체결홀(119) 및 상기 한 쌍의 서포터(118)의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력을 가지며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앵글 스토퍼(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 유닛(200)은, 플레이트(210)의 배면에 형성된 부챗살(214)과, 상기 부챗살(214)에 형성된 브래킷 센터 홀(220) 및 상기 부챗살(214)의 하측에 형성된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의 앵글 포지션 포켓(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는 상기 체결홀(119)과 상기 브래킷 센터 홀(220)이 제2 핀 축(12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 유닛(200)이 상기 제2 핀 축(124)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앵글 스토퍼(120)의 상측 끝부분은 상기 다수의 앵글 포지션 포켓(230)중에 어느 하나의 앵글 포지션 포켓(230)에 삽입되어 상기 클램프 유닛(200)의 자세가 결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7은 복수의 앵글 포지션 포켓(230) 중에서 가장 안쪽에 형성된 앵글 포지션 포켓(230)에 앵글 스토퍼(120)가 위치된 예를 보인 것으로써, 카메라(300)의 카메라 렌즈가 수평선(예, 베이스(20)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앵글 포지션 포켓(230)에 상기 앵글 스토퍼(120)가 위치되도록 조절하는 경우에는 카메라(300)가 촬영하는 방향이 올려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는 베이스(20)에 대하여 카메라(300)가 이루는 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특정한 각도를 좀 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0)를 상측과 하측에 2겹으로 배치하는 실시예에서 상측에 배치된 카메라는 상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열할 수 있고, 하측에 배치된 카메라는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열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측과 하측 모두를 촬영하게 되므로 촬영지점을 중심으로 더욱 풍부하고 현실감 있게 360도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의 클램프 유닛(200)은, 플레이트(210), 클램프(250), 제1, 2 스프링(276, 278), 제1, 2 볼트(262, 264) 및 제1, 2 너트(272, 27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10)는 하측에 제1 체결 홀(242)이 형성되고, 상측에 제2 체결 홀(244)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체결 홀(244)은 길이가 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250)는 상기 플레이트(2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체결 홀(242)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1 보스(254)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 홀(244)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보스(25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 보스(254, 256)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250)의 바깥 쪽을 향하는 쪽에 큰 지름을 갖는 것으로써 상기 제1, 2 스프링(276, 278)이 수납 될 수 있다.
상기 제1, 2 스프링(276, 278)은 상기 제1, 2 보스(254, 256)에 각각 삽입되어 확장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볼트(262)는 상기 제1 체결 홀(242)과 상기 제1 보스(254)와 제1 스프링(276)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볼트(264)는 상기 제2 체결 홀(244)와 상기 제2 보스(256)와 제2 스프링(278)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너트(272)는 상기 제1 보스(254)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볼트(262)에 체결되어 상기 클램프(250)가 상기 제1 스프링(276)에 의해 탄발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너트(274)는 상기 제2 보스(256)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볼트(264)에 체결되어 상기 클램프(250)가 상기 제2 스프링(278)에 의해 탄발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카메라(300)를 설치하거나 분리할 때에 클램프(250)를 외측으로 잡아 당기면 제1, 2 스프링(276, 278)은 압축되면서 클램프(250)와 플레이트(210)의 사이의 공간이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커지는 공간을 통하여 카메라(300)를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은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의 상기 클램프(250)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 홀(25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홀(252)은 상기 카메라(300)의 렌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300)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다. 이로써 카메라(300)가 클램프 유닛(200)에 설치되었을 때에 임의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 홀(252)은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300)에 돌출된 구조물이 있다면, 그 돌출된 구조물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로써 렌즈 홀(252)은 카메라(300)의 돌출된 구조물을 붙잡을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는 상기 다수의 볼 포켓(116, 116a, 116b) 중에, 어느 하나의 볼 포켓의 중심과 상기 스탠드 센터 홀(112)의 중심을 잇는 제1 선으로 정의하고, 다른 하나의 볼 포켓의 중심과 상기 스탠드 센터 홀(112)의 중심을 잇는 제2 선으로 정의할 때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선과 상기 제2 선이 이루는 각도(a, b)는 11.25도, 22.5도, 33.75도 및 45도 중에 어느 하나의 각도일 수 있다.
상기 각도(a, b)는 2대의 카메라(300)를 1개조로 편성할 때에 카메라(300)의 방향(자세)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이는 첨부 도면 도 8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에서 다수의 카메라의 방향이 조절되기 전의 상태로써 카메라 렌즈가 촬영 장비의 중심을 등지고 있는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별의 카메라(300)의 방향은 조절되지 않고 카메라 렌즈의 중심은 촬영 장비의 중심(o)을 지나가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이다. 이로써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은 촬영자를 중심으로 바깥쪽을 향하여 360도 전 방향을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300)의 방향이 조절되지 않고 각각의 카메라 렌즈의 중심선이 촬영 장비의 중심(o)을 지나도록 배치될 때에는 구면에 표현되는 360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에서 2대의 카메라가 1조로 설정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9에는 총 16대의 카메라가 배치된 예를 보인 것이고, 2대의 카메라가 1개조로 편성된 것이다. 1개조에서 좌측 눈에 해당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는 도면 부호를 300L로 표현하였고, 우측 눈에 해당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는 도면 부호를 300R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발명의 기술을 이해하기 쉽도록 16대의 카메라에 일련번호를 c1 내지 c16으로 부여하였다.
도 9에서는 c1 카메라와 c2 카메라를 1개조로 편성하여 c1 카메라가 좌측 눈에 해당하는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고, c2 카메라가 우측 눈에 해당하는 영상을 촬영하도록 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2번째 편성 조는 c3 카메라와 c4 카메라가 되고, 3번째 편성 조는 c5 카메라와 c6 카메라가 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최종적으로 8번째 편성 조에는 c15 카메라와 c16 카메라가 된다.
그리고 각 편성조는 촬영장비의 중심(o)에서 모두 등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c1 카메라는 스탠드 센터 홀(112)의 중심과 촬영 장비의 중심(o)을 잇는 제3선에 대하여 11.25도를 양(+)방향으로 조절되고, c2 카메라는 스탠드 센터 홀(112)의 중심과 촬영 장비의 중심(o)을 잇는 제3선에 대하여 11.25도를 음(-)방향으로 조절된다.
결국, c1 카메라의 렌즈 방향과 c2 카메라의 렌즈 방향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1 카메라의 렌즈 중심과 상기 c2 카메라의 렌즈 중심 간의 거리는 입체감, 즉 사물과의 깊이 느낌을 갖도록 하는 거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는 다수의 카메라 중에 2대의 카메라를 1개 조로 편성할 수 있고, 최소한 8개 조 이상으로 편성할 수 있으며, 상기 8개 편성조는 촬영 장비의 중심(o)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인접한 다른 편성조에서 촬영된 영상과 연결하여 편집할 때에 어색함 없이 조화롭게 편집할 수 있다.
특히, 좌측 눈에 해당하는 영상과 우측 눈에 해당하는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영상 속에 보이는 사물에 대하여 거리감을 느낄 수 있고 더욱 현실감 있게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에서 2대의 카메라가 1조로 설정된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써, 원형으로 연달아 배치된 다수의 카메라 중에 4배수에 배치된 카메라 끼리 짝을 이루 2대의 카메라가 1조로 설정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에는 총 16대의 카메라가 배치된 예를 보인 것이고, 2대의 카메라가 1개조로 편성된 것이다. 1개조에서 좌측 눈에 해당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는 도면 부호를 300L로 표현하였고, 우측 눈에 해당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는 도면 부호를 300R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발명의 기술을 이해하기 쉽도록 16대의 카메라에 일련번호를 c1 내지 c16으로 부여하였다.
도 10에서는 c1 카메라와 c4 카메라를 1개조로 편성하여 c1 카메라가 우측 눈에 해당하는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고, c4 카메라가 좌측 눈에 해당하는 영상을 촬영하도록 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2번째 편성 조는 c3 카메라와 c6 카메라가 되고, 3번째 편성 조는 c5 카메라와 c8 카메라가 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최종적으로 8번째 편성 조에는 c15 카메라와 c2 카메라가 된다.
그리고 각 편성조는 촬영장비의 중심(o)에서 모두 등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c1 카메라는 스탠드 센터 홀(112)의 중심과 촬영 장비의 중심(o)을 잇는 제3선에 대하여 33.75도를 양(+)방향으로 조절되고, c4 카메라는 스탠드 센터 홀(112)의 중심과 촬영 장비의 중심(o)을 잇는 제3선에 대하여 33.75도를 음(-)방향으로 조절된다.
결국, c1 카메라의 렌즈 방향과 c4 카메라의 렌즈 방향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1 카메라의 렌즈 중심과 상기 c4 카메라의 렌즈 중심 간의 거리는 입체감, 즉 사물과의 깊이 느낌을 갖도록 하는 거리이다. 특히, 도 10에 나타낸 실시예는 도 9에 나타낸 실시예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2대의 카메라 간의 거리가 더 멀게 설정된 것이다. 이로써 도 10에 나타낸 실시에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는 입체감, 즉 영상 속의 사물에 대한 거리 느낌을 더욱 강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10, 10a)는 실제 피사체와 거리를 고려하여 다수의 카메라에 대하여 2대의 카메라를 1개조로 편성할 때에, 같은 조에 편성될 카메라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서 촬영된 영상에서 느껴지는 입체감을 더욱 사실적으로 표현함과 아울러 어색하지 않도록 촬영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는 촬영자를 중심으로 360도 전 방향을 촬영함과 아울러 좌측 눈에 해당하는 영상과 우측 눈에 해당하는 영상을 어색하지 않고 조화롭게 촬영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 10a: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
20: 베이스 22: 센터 홀
24: 포켓 26: 탭
30: 볼 스토퍼
100: 스탠드 110: 스탠드 베이스
112: 스탠드 센터 홀 114: 가이드 홀
116, 116a, 116b: 볼 포켓 117: 포지션 마크
118: 서포터 120: 앵글 스토퍼
122, 124: 제1, 2 핀 축 130: 록킹 볼트
200: 클램프 유닛 210: 플레이트
212: 스텝 214: 부챗살
220: 브래킷 센터 홀 230: 앵글 포지션 포켓
242, 244: 제1, 2 체결 홀 250: 클램프
252: 렌즈 홀 254, 256: 제1, 2 보스
262, 264: 제1, 2 볼트 272, 274: 제1, 2 너트
276, 278: 제1, 2 스프링 300: 카메라
310: 렌즈 바디 O: 촬영 장비의 중심

Claims (8)

  1. 센터 홀(22)과 탭(26)이 촬영 장비의 중심(o)을 기준으로 원형 배열된 베이스(20);
    한쪽에 스탠드 센터 홀(112)이 형성되고, 타측에 가이드 홀(114)이 형성되며, 상기 스탠드 센터 홀(112)과 상기 센터 홀(22)에 제1 핀 축(122)으로 조립되어 상기 제1 핀 축(122)을 중심으로 선회 되는 스탠드(100);
    상기 스탠드(100)를 관통하여 상기 탭(26)에 체결되어 상기 스탠드(100)를 상기 베이스(20)에 고정시키는 록킹 볼트(130); 및
    상기 스탠드(100)에 결합되고, 카메라(300)를 고정하는 클램프 유닛(200);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20)에서 형성된 포켓(24);
    상기 포켓(24)에 설치되고 볼이 스프링의 복원력에 돌출되는 볼 스토퍼(30); 및
    상기 스탠드(100)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볼 스토퍼(30)의 볼을 수용하여 상기 스탠드(100)의 자세가 결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볼 포켓(116, 116a, 116b);
    을 포함하는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100)는 8의 배수 개수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100)는,
    상기 복수의 볼 포켓(116, 116a, 116b)는 상기 스탠드 센터 홀(112)의 중심을 기준으로 부채꼴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가이드 홀(114)은 상기 스탠드 센터 홀(112)의 중심을 기준으로 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100)는,
    스탠드 베이스(110)의 상측에 세워져 형성된 한 쌍의 서포터(118);
    상기 한 쌍의 서포터(118)에 관통되어 형성된 체결홀(119); 및
    상기 한 쌍의 서포터(118)의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력을 가지며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앵글 스토퍼(120);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유닛(200)은,
    플레이트(210)의 배면에 형성된 부챗살(214);
    상기 부챗살(214)에 형성된 브래킷 센터 홀(220); 및
    상기 부챗살(214)의 하측에 형성된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의 앵글 포지션 포켓(230);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홀(119)과 상기 브래킷 센터 홀(220)은 제2 핀 축(124)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 유닛(200)이 상기 제2 핀 축(124)을 중심으로 선회되고, 상기 앵글 스토퍼(120)의 상측 끝부분은 상기 다수의 앵글 포지션 포켓(230)중에 어느 하나의 앵글 포지션 포켓(230)에 삽입되어 상기 클램프 유닛(200)의 자세가 결정되는 것
    을 포함하는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클램프 유닛(200)은,
    하측에 제1 체결 홀(242)이 형성되고, 상측에 제2 체결 홀(244)이 형성된 플레이트(210);
    상기 플레이트(2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체결 홀(242)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1 보스(254)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 홀(244)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보스(256)가 형성된 클램프(250);
    상기 제1, 2 보스(254, 256)에 각각 삽입되어 확장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제1, 2 스프링(276, 278);
    상기 제1 체결 홀(242)과 상기 제1 보스(254)와 제1 스프링(276)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1 볼트(262);
    상기 제2 체결 홀(244)와 상기 제2 보스(256)와 제2 스프링(278)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2 볼트(264);
    상기 제1 보스(254)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볼트(262)에 체결되어 상기 클램프(250)가 상기 제1 스프링(276)에 의해 탄발 되도록 하는 제1 너트(272); 및
    상기 제2 보스(256)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볼트(264)에 체결되어 상기 클램프(250)가 상기 제2 스프링(278)에 의해 탄발 되도록 하는 제2 너트(274);
    를 포함하는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50)는,
    카메라(300)의 렌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300)의 렌즈를 수용하도록 렌즈 홀(252);이 더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볼 포켓(116, 116a, 116b) 중에,
    어느 하나의 볼 포켓의 중심과 상기 스탠드 센터 홀(112)의 중심을 잇는 제1 선;
    다른 하나의 볼 포켓의 중심과 상기 스탠드 센터 홀(112)의 중심을 잇는 제2 선;
    상기 제1 선과 상기 제2 선이 이루는 각도는 11.25도, 22.5도, 33.75도 및 45도 중에 어느 하나의 각도인 것
    을 포함하는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
KR1020160130444A 2016-10-10 2016-10-10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 KR101803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444A KR101803816B1 (ko) 2016-10-10 2016-10-10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444A KR101803816B1 (ko) 2016-10-10 2016-10-10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816B1 true KR101803816B1 (ko) 2017-12-01

Family

ID=60921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444A KR101803816B1 (ko) 2016-10-10 2016-10-10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8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802A (ko) 2018-04-11 2019-10-21 주식회사 씨오티커넥티드 입체영상 촬영 장치
KR20200059680A (ko) 2018-11-21 2020-05-2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이미지 자동 생성 장치 및 3차원 이미지 자동 생성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903B1 (ko) * 2003-11-12 2006-01-31 김배훈 360°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장치 및 그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903B1 (ko) * 2003-11-12 2006-01-31 김배훈 360°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장치 및 그 운영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802A (ko) 2018-04-11 2019-10-21 주식회사 씨오티커넥티드 입체영상 촬영 장치
KR20200059680A (ko) 2018-11-21 2020-05-2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이미지 자동 생성 장치 및 3차원 이미지 자동 생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0315B2 (en) Stereoscopic 3D camera for virtual reality experience
US7553023B2 (en) Multi-dimensional imaging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CN105809701B (zh) 全景视频姿态标定方法
CN107316273B (zh) 全景图像采集装置及采集方法
EP3410388A3 (en) Capture and render of panoramic virtual reality content
CN209402589U (zh) 摄像装置
CN103327238B (zh) 基于全景高速球一体机的空间配准方法
CN108810383B (zh) 镜头安装结构和成像装置
KR101803816B1 (ko)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
KR101803820B1 (ko) 가상현실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
JP6752425B2 (ja) 撮影装置
WO2013052089A1 (en) 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camera rigs
WO2018000892A1 (zh) 一种全景立体影像的成像方法、装置及系统
CN108205236B (zh) 全景摄像机及其镜头
TWM521202U (zh) 以線性及旋轉同步連動之攝影旋轉調校裝置
CN201114214Y (zh) 具有立体拍照功能的手机
US10666925B2 (en) Stereoscopic calibration using a multi-planar calibration target
US20170322396A1 (en) Compact camera design to adjust parallax effects
KR101342248B1 (ko) 파노라마 영상 촬영용 카메라 거치대
JP701417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44214B1 (ko) 도브테일 방식을 이용한 파노라마 촬영 장치
WO2016208539A1 (ja) 双眼立体視画像の提供方法、観察装置及びカメラユニット
JP739529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396930B (zh) A 3D image camera with adjustable parallax
CN211018942U (zh) 具有相同高度的传感器的成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