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734B1 -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734B1
KR101803734B1 KR1020160095876A KR20160095876A KR101803734B1 KR 101803734 B1 KR101803734 B1 KR 101803734B1 KR 1020160095876 A KR1020160095876 A KR 1020160095876A KR 20160095876 A KR20160095876 A KR 20160095876A KR 101803734 B1 KR101803734 B1 KR 101803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gas
valve
control uni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호
박문영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5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02Regulating fuel supply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방법에 있어서, 조리가 시작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조작부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와 조작부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으면 상기 제어부에서 정해진 제 1 시간(t1) 이내에 주변의 원인으로 인해 정해진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와 조작부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던 중 제 1 시간(t1) 이내에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에서 밸브구동부에 "로우(닫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가스량 조절밸브 및 전자밸브와 직렬로 연결된 상태를 갖는 통신안전밸브를 닫아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를 강제로 차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공급을 안전하고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어 생가스 누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은 물론 화재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도 및 안전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장치 및 그 방법{Gas safety shut-off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faulty gas cookers}
본 발명은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모 커플러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온/오프 작동되는 전자밸브와 사용자가 조작하는 노브에 의해 개폐량이 직접적으로 제어되는 가스량 조절밸브가 직렬 연결된 상태를 갖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가 가능하도록 된 가스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가스량 조절밸브 및 전자밸브와 더불어 별도의 통신안전밸브를 더 직렬로 설치하고, 가스레인지의 사용 중 통신이 일정시간 이상 끊겼을 시, 상기 통신안전밸브를 강제로 닫아주는 방식을 통해 가스공급을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생가스 누출로 인한 불필요한 경제적인 손실은 물론 화재 등과 같은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조리기는 음식물을 가스를 이용, 가열하여 사람이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상태로 요리하기 위한 주방기기로써, 이러한 가열조리기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방법과,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방법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방법은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열로써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가스를 연소시키는 방법으로 동작되는 가열조리기기(예를 들어 가스레인지 등)에는 연소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연소유닛은 가스를 공기와 혼합하여 연소시키게 되며, 내부 공간으로 가스를 분사하고, 분사된 가스의 부근에서 가스가 공기와 함께 연소유닛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유닛의 내부로 유입되는 혼합가스는 연소유닛의 내부에서 균일하게 혼합되고, 균일하게 혼합된 다음에는 점화되어 가스가 연소하게 되며, 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열이 복사 및 전도에 의하여 열이 전달됨으로써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요리된다.
또한, 가스레인지에는 연소운전 중에 가열되는 조리기구 등의 온도가 소정의 과열판정 온도이상의 온도가 되면, 각종 전자기기의 고장방지나 안전성의 확보 및 화재발생 방지 등을 위해, 연소운전을 자동적으로(강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과열방지수단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과열방지수단 중 일 실시 예로는 예를 들면 피가열부 근방에 과열판정 온도이상의 온도에서 OFF 하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배치함과 동시에, 이 바이메탈 스위치를 버너에의 연료공급로에 설치한 전자밸브의 통전선로에 접속한다.
그리고 이 바이메탈 스위치가 상기 과열판정 온도이상의 온도에서 OFF함으로써, 전자밸브에의 통전(전자밸브를 열고 유지하기 위한 전류)을 차단하고 상기 전자밸브를 닫아, 이로써 버너의 연소운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피가열부의 온도를 서미스터 등의 온도센서로 직접적으로 검출하고, 그 검출온도를 상기 전자밸브의 동작제어 등을 맡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제어부에 입력한다.
그리고 그 검출온도가 상기 과열판정온도이상이 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자밸브에의 통전을 강제적으로 차단시켜서 상기 전자밸브를 닫아 버너의 연소운전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가스 차단 안전장치로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8-067228호 등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버너의 불꽃을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서모 커플러와, 상기한 버너의 상단부에 놓여지는 캡의 내부 하단에 장착되며 버너 및 캡의 위에 있는 조리물이 과열되는 경우에 상기한 서모 커플러의 출력을 단락시킴으로써 차단하는 바이메탈 스위치와, 상기한 서모 커플러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자력을 발생시키고 상기한 서모 커플러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력발생을 중지시키는 마그네트 스위치와,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한 마그네트 스위치로부터 발생되는 자력 및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가스 공급로를 열어주거나 닫아줌으로써 가스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밸브 패킹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가스 레인지의 가스 차단 안전장치는 바이메탈 스위치가 "오프"될 정도로 과열시 가스공급이 차단되어 과열로 인한 화재의 발생에 대한 안전성은 확보할 수 있지만, 실제로 바이메탈 스위치 동작속도가 느리고 또한 작동에 따른 편차가 ±10-15℃로 커서 조리 중 조기 소화하는 문제가 다량 발생(예를 들어 바이메탈 스위치가 기름이 발화되기 직전의 온도인 140-280℃로 세팅된 경우인데 실제 프랑크 소세지나 은행 등과 같은 음식물을 고온조리시 조기 소화현상이 다량으로 발생)되고, 소화 후 재작동하기 위한 복귀 시간이 길어 과열방지 기능을 사용하는데 많은 불편한 문제점들이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상기한 비접촉식 과열방지수단인 바이메탈 스위치는 써머커플 회로에 직렬 연결되어 있으므로 저항이 써머커플의 기전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전자밸브의 개변 성능이 감소하여 약화력에서의 입력을 작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을 뿐만 아니라 과열감지에 의해 일단 "오프"된 후 복귀시간이 길어 재점화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과열방지수단 중 다른 실시 예로는, 예를 들어 상기 피가열부의 온도를 서미스터 등의 온도센서로 직접적으로 검출하고, 그 검출온도를 상기 전자밸브의 동작제어 등을 맡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제어부에 입력한다.
그리고 그 검출온도가 상기 과열판정온도이상이 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자밸브에의 통전을 강제적으로 차단시켜서 상기 전자밸브를 닫아 버너의 연소운전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과열방지수단으로 온도센서를 구비한 가스레인지는, 내부에 버너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버너의 버너 헤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버너 헤드부 통과공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버너 헤드부 통과공에 설치되는 국물받이와, 상기 국물받이 위에 올려지는 삼발이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량 조절과 버너의 점화를 제어하는 작동부와, 상기 버너 헤드부 중앙을 관통되게 설치되어 조리용기의 바닥면과 탄력적으로 면 접촉된 상태에서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과열방지 제어용 온도센서 모듈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과열방지수단으로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과열을 방지하는 가스레인지는 통상 서로 다른 설정온도(예를 들어 170℃, 280℃, 300℃)에서 각각 가스공급을 차단하는 3점 하이-컷 제어를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온도센서만을 이용하여 3점 하이-컷 과열방지기능을 수행할 경우, 조리 중 급격한 온도상승이 아닌 완만한 기울기로 온도가 상승할 때 최고 설정 하이-컷 부근 온도가 상승되었지만 소화되지 않고 계속해서 피가열물(즉, 조리용기)이 가열되어 조리용기 자체가 손상되거나 조리 물이 타서 연기가 발생하고 화재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도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스레인지의 과열방지수단으로 일정한 세팅온도를 갖는 비접촉식 과열방지 스위치인 바이메탈 스위치와, 피가열물인 조리용기에 직접 접촉되어 피가열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동시에 적용시키되, 전자밸브를 직접 개폐시켜 주는 마그네트 스위치와 전원 공급부 사이에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와 더불어 상기 온도센서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는 제어부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릴레이의 접점 스위치를 상호 직렬 연결(즉, 바이메탈 스위치와 릴레이의 접점 스위치를 마그네트 스위치와 전원 공급부 사이에 직렬 연결)한 구성의 "가스레인지의 가스차단 안전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0909호로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가스레인지의 가스차단 안전장치는 온도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피가열물의 온도변화 값을 읽어들여 릴레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1점과 2점 및 3점 하이-컷 제어가 이루어지게 함과 더불어 정해진 온도범위 내에서의 과열방지 제어가 일정한 셋팅온도를 갖고 가스레인지의 상판에 설치되는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에 의해 이루어지게 될 뿐 유무선 통신과는 전혀 무관하다.
한편, 최근에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근거리 또는 원격제어할 수 있는 가스레인지들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통신 제어가 가능한 가스레인지에도 단순히 서모 커플러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온/오프 작동되는 전자밸브와 사용자가 조작하는 노브에 의해 개폐량이 직접적으로 제어되는 가스량 조절밸브가 직렬 연결된 상태를 갖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의 가스레인지와 사용자의 유선 또는 무선 조작부 사이에서 주변의 어떠한 원인에 의해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조리물 등으로부터 과열이 검출되지 않는 한 열려있는 가스밸브를 닫을 수 없어 생가스 누출로 인해 불필요한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올 수 있음은 물론 화재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61695호(2011년 06월 10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8-067228호(1998년 10월 1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71224호(2003년 01월 23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40909호(2014년 04월 04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서모 커플러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온/오프 작동되는 전자밸브와 사용자가 조작하는 노브에 의해 개폐량이 직접적으로 제어되는 가스량 조절밸브가 직렬 연결된 상태를 갖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가 가능하도록 된 가스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가스량 조절밸브 및 전자밸브와 더불어 별도의 통신안전밸브를 더 직렬로 설치하되, 가스레인지의 사용 중 통신이 일정시간 이상 끊겼을 시, 상기 통신안전밸브를 강제로 닫아줌으로써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공급을 안전하고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어 생가스 누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은 물론 화재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도 및 안전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장치는, 서모 커플러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온/오프 작동되는 전자밸브와, 사용자가 조작하는 노브에 의해 개폐량이 직접적으로 제어되는 가스량 조절밸브가 버너에 대해 직렬 연결된 상태를 갖고 제어부와 사용자의 조작부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며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제어 및 단속되는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에 통신안전밸브를 직렬로 더 설치하되, 상기 통신안전밸브에는 상기 제어부에서 조작부와의 통신상태를 검출한 결과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밸브의 구동 또는 비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안전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구동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밸브구동부는 조작부와 제어부 사이에서 정상통신이 이루어질 때 "하이(열림)"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트랜지스터가 "온"되어 비반전단자(+)에 기준전압(Vref)이 인가되고 있는 비교기의 반전단자(-)에 기준전압(Vref)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시켜 비교기의 출력이 "로우"가 되게 하여 통신안전밸브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조작부와 제어부 사이에서의 통신 불량이 발생되어 제어부에서 "로우(닫힘)"신호가 출력되면 트랜지스터가 "오프"되며 콘덴서에 충전된 전압이 방전되므로 인해 반전단자(-)에 공급되던 전압이 비반전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보다 낮아질 경우 비교기의 출력이 "하이"로 변화되며 통신안전밸브가 강제로 닫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방법은, 서모 커플러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온/오프 작동되는 전자밸브와, 사용자가 조작하는 노브에 의해 개폐량이 직접적으로 제어되는 가스량 조절밸브가 직렬 연결된 상태를 갖고 제어부와 사용자의 조작부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며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제어 및 단속되는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방법에 있어서, 조리가 시작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조작부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와 조작부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으면 상기 제어부에서 정해진 제 1 시간(t1) 이내에 주변의 원인으로 인해 정해진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와 조작부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던 중 제 1 시간(t1) 이내에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에서 밸브구동부에 "로우(닫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가스량 조절밸브 및 전자밸브와 직렬로 연결된 상태를 갖는 통신안전밸브를 닫아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를 강제로 차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에서 밸브구동부를 통해 통신안전밸브를 닫아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를 강제로 차단한 후 표시부 또는 경보기를 통해 유무선 통신불량 에러가 발생되었음을 표시 또는 알리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 조작부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판단한 결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에서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밸브구동부에 "하이(열림)"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밸브구동부로 하여금 가스량 조절밸브 및 전자밸브와 직렬로 연결된 상태를 갖는 통신안전밸브를 열도록 하여 버너에 가스를 정상적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에서 제 1 시간(t1) 이내에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되었는지 판단한 결과, 제어부와 조작부 사이에서 유무선 통신 중 제 1 시간(t1) 이내에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상기 제어부에서 밸브구동부에 "하이(열림)"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밸브구동부로 하여금 가스량 조절밸브 및 전자밸브와 직렬로 연결된 상태를 갖는 통신안전밸브를 열도록 하여 버너에 가스를 정상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이어서 조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조리가 완료되지 않았으면 제 1 시간(t1) 이내에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고, 조리가 완료되었으면 통신안전밸브를 닫고 종료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시간(t1)은 25~30초로 설정하고, 제 2 시간(t2)은 10~15초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서모 커플러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온/오프 작동되는 전자밸브와 사용자가 조작하는 노브에 의해 개폐량이 직접적으로 제어되는 가스량 조절밸브가 직렬 연결된 상태를 갖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가 가능하도록 된 가스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가스량 조절밸브 및 전자밸브와 더불어 별도의 통신안전밸브를 더 직렬로 설치하되, 가스레인지의 사용 중 통신이 일정시간 이상 끊겼을 시, 상기 통신안전밸브를 강제로 닫아줌으로써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공급을 안전하고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어 생가스 누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은 물론 화재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도 및 안전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서모 커플러(1)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온/오프 작동되는 전자밸브(2)와, 사용자가 조작하는 노브(3)에 의해 개폐량이 직접적으로 제어되는 가스량 조절밸브(4)가 버너(5)에 대해 직렬 연결된 상태를 갖고 제어부(6)와 사용자의 조작부(7)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며 버너(5)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제어 및 단속되는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2)에 통신안전밸브(8)를 직렬로 더 설치하되, 상기 통신안전밸브(8)에는 상기 제어부(6)에서 조작부(7)와의 통신상태를 검출한 결과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밸브의 구동 또는 비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안전밸브(8)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구동부(9)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밸브구동부(9)는 조작부(7)와 제어부(6) 사이에서 정상통신이 이루어질 때 "하이(열림)"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제어부(6)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트랜지스터(Q1)가 "온"되어 비반전단자(+)에 기준전압(Vref)이 인가되고 있는 비교기(COM)의 반전단자(-)에 기준전압(Vref)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시켜 비교기(COM)의 출력이 "로우"가 되게 하여 통신안전밸브(8)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조작부(7)와 제어부(6) 사이에서의 통신 불량이 발생되어 제어부(6)에서 "로우(닫힘)"신호가 출력되면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며 콘덴서(C1)에 충전된 전압이 방전되므로 인해 반전단자(-)에 공급되던 전압이 비반전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보다 낮아질 경우 비교기(COM)의 출력이 "하이"로 변화되며 통신안전밸브(8)가 강제로 닫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R1, R2는 트랜지스터(Q1)가 "온"될 때 비교기(COM)의 반전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분압시켜 주는 분배저항이고, R3, R4는 비교기(COM)의 비반전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 설정용 분배저항이며, C1은 상기 트랜지스터(Q1) "온"시 분배저항(R1, R2)에 의해 분압된 전압을 비교기(COM)의 반전단자(-)에 일정하게 인가시켜 줌은 물론 트랜지스터(Q1) "오프"시 내부에 충전된 전압을 분배저항(R2)을 통해 방전시켜 일정시간(R2 X C2) 후 비교기(COM)의 반전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기준전압(Vref)보다 낮도록 해주는 전해콘덴서이다.
한편, 본 발명 방법은,
서모 커플러(1)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온/오프 작동되는 전자밸브(2)와, 사용자가 조작하는 노브(3)에 의해 개폐량이 직접적으로 제어되는 가스량 조절밸브(4)가 버너(5)에 대해 직렬 연결된 상태를 갖고 제어부(6)와 사용자의 조작부(7)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며 버너(5)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제어 및 단속되는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방법에 있어서,
조리가 시작되면 상기 제어부(6)에서 조작부(7)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S1)와;
상기 제어부(6)와 조작부(7)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으면 상기 제어부(6)에서 정해진 제 1 시간(t1) 이내에 주변의 원인으로 인해 정해진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2)와;
상기 제어부(6)와 조작부(7)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던 중 제 1 시간(t1) 이내에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6)에서 밸브구동부(9)에 "로우(닫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가스량 조절밸브(4) 및 전자밸브(2)와 직렬로 연결된 상태를 갖는 통신안전밸브(8)를 닫아 버너(5)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를 강제로 차단하는 단계(S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6)에서 밸브구동부(9)를 통해 통신안전밸브(8)를 닫아 버너(5)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를 강제로 차단(S3)한 후, 표시부 또는 경보기(61)를 통해 유무선 통신불량 에러가 발생되었음을 표시 또는 알리는 단계(S4)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에서 조작부(7)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판단(S1)한 결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6)에서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밸브구동부(9)에 "하이(열림)"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밸브구동부(9)로 하여금 가스량 조절밸브(4) 및 전자밸브(2)와 직렬로 연결된 상태를 갖는 통신안전밸브(8)를 열도록 하여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버너(5)에 가스를 정상적으로 공급하는 단계(S5)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6)에서 제 1 시간(t1) 이내에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되었는지 판단(S2)한 결과, 제어부(6)와 조작부(7) 사이에서 유무선 통신 중 제 1 시간(t1) 이내에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상기 제어부(6)에서 밸브구동부(9)에 "하이(열림)"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밸브구동부(9)로 하여금 가스량 조절밸브(4) 및 전자밸브(2)와 직렬로 연결된 상태를 갖는 통신안전밸브(8)를 열도록 하여 버너(5)에 가스를 정상적으로 공급하는 단계(S6)와;
이어서 조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S7)하여 조리가 완료되지 않았으면 제 1 시간(t1) 이내에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가고, 조리가 완료되었으면 통신안전밸브(8)를 닫고 종료하는 단계(S8);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시간(t1)은 25~30초로 설정하고, 제 2 시간(t2)은 10~15초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 및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장치를 적용하고자 하는 공지의 가스레인지는 기본적으로 서모 커플러(1)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온/오프 작동되는 전자밸브(2)와, 사용자가 조작하는 노브(3)에 의해 개폐량이 직접적으로 제어되는 가스량 조절밸브(4)가 버너(5)에 대해 직렬 연결된 상태를 갖고 제어부(6)와 사용자의 조작부(7)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며 버너(5)로 공급되는 가스량을 제어 및 단속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공지된 가스레인지 중 상기 전자밸브(2)에 통신안전밸브(8)를 도 1과 같이 직렬로 더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통신안전밸브(8)의 제어단자와 제어부(6)의 출력단자 사이에는 소정의 구성을 갖는 밸브구동부(9)를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6)로 하여금 사용자 휴대용 유선 또는 무선 조작부(7)와의 통신상태를 판단한 다음, 그 결과에 대응하여 밸브구동부(9)에 통신안전밸브(8)의 구동 또는 비구동 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밸브구동부(9)는 하나의 트랜지스터(Q1)와 복수의 분배저항(R1~R4), 전해콘덴서(C1) 및 비교기(COM) 등으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조작부(7)와 제어부(6) 사이에서 정상통신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상기 제어부(6)에서 "하이(닫힘)"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트랜지스터(Q1)가 "온"되므로 비반전단자(+)에 분배저항(R3, R4)를 통해 설정된 기준전압(Vref)이 인가되고 있는 비교기(COM)의 반전단자(-)에는 기준전압(Vref)보다 높은 전압을 갖게 분배저항(R1, R2)네 의해 분압된 전압이 전해콘덴서(C1)를 통해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7)와 제어부(6) 사이에서 정상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질 때에는 비교기(COM)의 출력이 "로우"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가스량 조절밸브(4) 및 전자밸브(2)와 직렬로 연결된 상태를 갖는 상기 통신안전밸브(8)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가스레인지를 통해 정상적으로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제어부(6)에서 후술하는 방법을 통해 조작부(7)와의 사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통신상태를 판단한 결과, 조작부(7)와 제어부(6) 사이에서의 통신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6)에서 "로우(닫힘)"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므로 이전에 상기 콘덴서(C1)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분배저항(R2)를 통해 서서히 방전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된 후 일정시간(즉, R2 X C2)이 경과되어 상기 콘덴서(C1)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분배저항(R2)를 통해 완전히 방전되면, 이전에 반전단자(-)에 공급되던 전압이 분배저항(R3, R4)에 의해 분배되어 비반전단자(+)에 인가되고 있는 기준전압(Vref)보다 낮아지게 되므로 상기 비교기(COM)의 출력이 "하이"로 변화되어 상기 가스량 조절밸브(4) 및 전자밸브(2)와 직렬로 연결된 상태를 갖는 상기 통신안전밸브(8)가 강제로 닫히게 된다.
그러므로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공급을 안전하고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어 생가스 누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은 물론 화재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 방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가스레인지의 버너(5)에 점화가 이루어지고 조리가 시작되면, 상기 제어부(6)에서는 사용자 휴대용 조작부(7)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판단하게 된다(S1).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6)에서 사용자가 조작부(7)를 통해 가스레인지를 작동시키고 있는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제어부(6)와 조작부(7)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으면(S1에서 Yes), 상기 제어부(6)에서 정해진 제 1 시간(t1) 이내에 주변의 각종 원인(예를 들어 잡음이나 단선 등)으로 인해 정해진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되는지 판단하게 된다(S2).
이때, 상기 제어부(6)에서는 25~30초로 설정된 제 1 시간(t1) 동안에 10~15초로 설정된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경우가 발생하는지를 매회 판단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조작부(7)를 이용하여 가스레인지를 조작하는 방식을 통해 가스레인지를 이용하여 조리를 실시하던 중 매 25~30초 이내에 10~15초 이상 언제라도 통신이 정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통신불량으로 판단하고 생가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후술하는 안전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제어부(6)에서 제 1 시간(t1) 이내에 주변의 각종 원인으로 인해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되는지 판단(S2)한 결과, 상기 제어부(6)와 조작부(7)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던 중 제 1 시간(t1) 이내에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6)에서는 즉시 상기 밸브구동부(9)에 "로우(닫힘)"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가스량 조절밸브(4) 및 전자밸브(2)와 직렬로 연결된 상태를 갖는 통신안전밸브(8)가 강제로 닫아지도록 함으로써 버너(5)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를 상기 통신안전밸브(8)를 통해 차단(S3)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공급을 안전하고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으므로 생가스 누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은 물론 화재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구동부(9)를 통해 통신안전밸브(8)를 닫아 버너(5)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를 강제로 차단(S3)한 후, 상기 제어부(6)로 하여금 표시부 또는 경보기(61)를 통해 유무선 통신불량 에러가 발생되었음을 표시 또는 알리도록 함(S4)으로써 가스레인지의 사용자가 시각 및 청각을 통해 통신 에러상태를 인식하고 필요한 안전조치 등을 조속히 취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도 및 안전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6)에서 조작부(7)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판단(S1)한 결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면(S1에서 No), 노브(3)를 이용한 일반적인 조작상태이므로 상기 제어부(6)에서는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밸브구동부(9)에 "하이(열림)"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밸브구동부(9)로 하여금 가스량 조절밸브(4) 및 전자밸브(2)와 직렬로 연결된 상태를 갖는 통신안전밸브(8)를 열어 주게 된다.
따라서, 노브(3)를 이용하여 가스 공급량을 제어하고 일반적인 조작상태에서는 상기 통신안전밸브(8)가 해당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열린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통신안전밸브(8)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종래 일반적인 가스레인지와 같이 해당 조리물믈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통신안전밸브(8)는 물론 전자밸브(2) 및 가스량 조절밸브(4)를 통해 버너(5)에 가스가 정상적으로 공급(S5)된다.
또, 상기 제어부(6)에서 제 1 시간(t1) 이내에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되었는지 판단(S2)한 결과, 제어부(6)와 조작부(7) 사이에서 유무선 통신 중 제 1 시간(t1) 이내에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상기 제어부(6)에서는 상기 밸브구동부(9)에 "하이(열림)"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구동부(9)에서 "로우(닫힘)"신호가 출력되므로 상기 가스량 조절밸브(4) 및 전자밸브(2)와 직렬로 연결된 상태를 갖는 통신안전밸브(8)가 자동으로 열려 상기 통신안전밸브(8)는 물론 전자밸브(2) 및 가스량 조절밸브(4)를 통해 버너(5)에 가스가 정상적으로 공급(S6)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6)와 조작부(7) 사이에서 정상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어서 상기 제어부(6)에서 밸브구동부(9)를 통해 통신안전밸브(8)를 자동으로 열어 버너(5)에 가스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도록 한 상태(S6)에서, 상기 제어부(6)에서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는 가스레인지를 이용한 조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7).
이와 같이 제어부(6)에서 조리 완료 여부를 판단한 결과, 조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면(S7에서 No), 상기 제어부(6)는 제 1 시간(t1) 이내에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다가 상기 제어부(6)와 조작부(7) 사이에서 유무선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조리도 완료되었으면 통신안전밸브(8)를 닫고 유무선 통신을 통한 조리를 종료(S8)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서모 커플러 2 : 전자밸브
3 : 노브 4 : 가스량 조절밸브
5 : 버너 6 : 제어부
7 : 조작부 8 : 통신안전밸브
9 : 밸브구동부
COM : 비교기 Q1 : 트랜지스터
R1~R4 : 분배저항 C1 : 전해콘덴서
Vref : 기준전압

Claims (7)

  1. 서모 커플러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온/오프 작동되는 전자밸브와, 사용자가 조작하는 노브에 의해 개폐량이 직접적으로 제어되는 가스량 조절밸브가 버너에 대해 직렬 연결된 상태를 갖고 제어부와 사용자의 조작부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며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제어 및 단속되는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에 통신안전밸브를 직렬로 더 설치하되, 상기 통신안전밸브에는 상기 제어부에서 조작부와의 통신상태를 검출한 결과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밸브의 구동 또는 비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안전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구동부를 더 설치하되,
    상기 밸브구동부는,
    조작부와 제어부 사이에서 정상통신이 이루어질 때 "하이(열림)"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트랜지스터가 "온"되어 비반전단자(+)에 기준전압(Vref)이 인가되고 있는 비교기의 반전단자(-)에 기준전압(Vref)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시켜 비교기의 출력이 "로우"가 되게 하여 통신안전밸브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조작부와 제어부 사이에서의 통신 불량이 발생되어 제어부에서 "로우(닫힘)"신호가 출력되면 트랜지스터가 "오프"되며 콘덴서에 충전된 전압이 방전되므로 인해 반전단자(-)에 공급되던 전압이 비반전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보다 낮아질 경우 비교기의 출력이 "하이"로 변화되며 통신안전밸브가 강제로 닫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장치.
  2. 삭제
  3. 서모 커플러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온/오프 작동되는 전자밸브와, 사용자가 조작하는 노브에 의해 개폐량이 직접적으로 제어되는 가스량 조절밸브가 직렬 연결된 상태를 갖고 제어부와 사용자의 조작부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며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제어 및 단속되는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방법에 있어서,
    조리가 시작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조작부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와 조작부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으면 상기 제어부에서 정해진 제 1 시간(t1) 이내에 정해진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와 조작부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던 중 제 1 시간(t1) 이내에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에서 밸브구동부에 "로우(닫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가스량 조절밸브 및 전자밸브와 직렬로 연결된 상태를 갖는 통신안전밸브를 닫아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를 강제로 차단하는 단계;를 실시하되,
    상기 제어부에서 조작부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판단한 결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에서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밸브구동부에 "하이(열림)"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밸브구동부로 하여금 가스량 조절밸브 및 전자밸브와 직렬로 연결된 상태를 갖는 통신안전밸브를 열도록 하여 버너에 가스를 정상적으로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밸브구동부를 통해 통신안전밸브를 닫아 버너로 공급되고 있는 가스를 강제로 차단한 후, 표시부 또는 경보기를 통해 유무선 통신불량 에러가 발생되었음을 표시 또는 알리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방법.
  5. 삭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제 1 시간(t1) 이내에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되었는지 판단한 결과, 제어부와 조작부 사이에서 유무선 통신 중 제 1 시간(t1) 이내에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상기 제어부에서 밸브구동부에 "하이(열림)"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밸브구동부로 하여금 가스량 조절밸브 및 전자밸브와 직렬로 연결된 상태를 갖는 통신안전밸브를 열도록 하여 버너에 가스를 정상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이어서 조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조리가 완료되지 않았으면 제 1 시간(t1) 이내에 제 2 시간(t2) 이상 통신이 끊기는 비정상 통신상태가 발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고, 조리가 완료되었으면 통신안전밸브를 닫고 종료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t1)은 25~30초로 설정하고, 제 2 시간(t2)은 10~15초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방법.
KR1020160095876A 2016-07-28 2016-07-28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장치 및 그 방법 KR101803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876A KR101803734B1 (ko) 2016-07-28 2016-07-28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876A KR101803734B1 (ko) 2016-07-28 2016-07-28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734B1 true KR101803734B1 (ko) 2017-12-01

Family

ID=6092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876A KR101803734B1 (ko) 2016-07-28 2016-07-28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7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5751A1 (ko) * 2021-01-04 2022-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9007A (ja) * 2003-01-17 2004-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機器
JP2015183956A (ja) 2014-03-25 2015-10-22 株式会社ノーリツ 燃焼機器、並びに、電池駆動式ガスコン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9007A (ja) * 2003-01-17 2004-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機器
JP2015183956A (ja) 2014-03-25 2015-10-22 株式会社ノーリツ 燃焼機器、並びに、電池駆動式ガスコン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5751A1 (ko) * 2021-01-04 2022-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2302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oktop fire mitigation
US76478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water heater
US201300203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heating/cooling systems
CN113167479B (zh) 具有一体式温度监测和防火系统的烹饪容器支撑系统
CN115731664A (zh) 电气安全装置和系统
US202001662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Bake and Broil Elements in an Electric Oven
CN108808621B (zh) 用于具有电流保护电路的电烤炉的无线控制和状态监测
CN113167476B (zh) 燃气炉灶面防火和警报系统
KR20140040909A (ko) 가스레인지의 가스차단 안전장치
KR101803734B1 (ko) 가스레인지의 통신 불량시 가스안전 차단장치 및 그 방법
KR101949913B1 (ko) 냄비지름 자동 검출 기능을 갖는 가스레인지 및 이의 화력 자동 제어방법
JP5247108B2 (ja) ガス調理器
CN210425132U (zh) 燃气灶
CN109611899B (zh) 燃气灶及用于燃气灶的控制方法
CN110621935B (zh) 具有用于保护燃烧器的热传感器的燃气燃烧器系统
KR100371224B1 (ko) 연소장치
KR101466861B1 (ko) 스팀오븐의 대류팬 제어방법
KR101247982B1 (ko) 과열방지 강제 해제 기능을 갖는 가스레인지
JP2001065869A (ja) 消し忘れ防止機能を有するコンロ
JPH1194258A (ja) ガスコンロ
KR101364123B1 (ko) 조리기기의 과열 방지 장치
EP07276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rol of flammable fluid heating apparatus
KR101197356B1 (ko) 가스레인지의 온도센서를 활용한 화재경고방법
KR101795507B1 (ko) 조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949910B1 (ko) 건전지의 전류 및 전압에 따른 가스레인지의 안전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