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974B1 -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974B1
KR101802974B1 KR1020160078703A KR20160078703A KR101802974B1 KR 101802974 B1 KR101802974 B1 KR 101802974B1 KR 1020160078703 A KR1020160078703 A KR 1020160078703A KR 20160078703 A KR20160078703 A KR 20160078703A KR 101802974 B1 KR101802974 B1 KR 101802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ase station
relay
contact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to KR1020160078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974B1/ko
Priority to US15/421,751 priority patent/US1000311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974B1/ko
Priority to US15/972,311 priority patent/US1055986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8Subscriber network interfac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8Frames or mounting racks for relay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04Q1/22Automatic arrangements
    • H04Q1/24Automatic arrangements for connec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38Back panels or connecting means therefor; Terminals; Coding means to avoid wrong insertion
    • H05K7/1452Mounting of connectors; Switching; Reinforcing of back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536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racks or cabinets of standardised dimensions, e.g. electronic racks for aircraft or telecommunication equipment
    • H05K7/20554Forced ventilation of a gaseous coolant
    • H05K7/20563Forced ventilation of a gaseous coolant within sub-racks for removing heat from electronic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9Shield structure with plural ports for distinct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88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4Holders formed as 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a counter-part to a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5Connection to a rigid planar substrate, e.g.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0Hous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제1 면의 상측으로 제1 장착 위치(mounting location)를 정의하고 상기 제1 면에 반대하는 제2 면의 상측으로 제2 장착 위치를 정의하되, 일단이 제1 면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타단이 제2 면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릴레이 커넥터를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보드와, 제1 장착 위치에 장착되고, 릴레이 커넥터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1 커넥터를 구비하는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 및 제2 장착 위치에 장착되고, 릴레이 커넥터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을 포함하되, 제1 및 제2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부(tapered portion)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BASE STATION INTERFACE DEVICE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은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시스템의 일 예로, 인도어(indoor)나 아웃도어(outdoor)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음영지역까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기지국의 서비스 커버리지 확장 측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다운링크 경로를 기준으로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신호를 전송 받아 증폭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 후 신호 처리된 기지국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업링크 경로를 기준으로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단말 신호를 증폭 등의 신호 처리 후 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중계 역할 구현을 위해서는 기지국과 분산 안테나 시스템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의 정합 및 처리, 예를 들어 신호의 파워 조정이나 저잡음 증폭, 필터링 등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는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과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을 구비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가 이용된다.
기존의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에서는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과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이 층상으로 배치됨에 따라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 및 장치의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또 이들 유닛 간을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관리자의 장치 설치, 관리가 어려운 문제와 외부로부터 유닛 간 연결을 충분히 보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과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을 공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이들 상호 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며 외부로부터 이들 상호 간의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제1 면의 상측으로 제1 장착 위치(mounting location)를 정의하고 상기 제1 면에 반대하는 제2 면의 상측으로 제2 장착 위치를 정의하되, 일단이 상기 제1 면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면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릴레이 커넥터를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보드; 상기 제1 장착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릴레이 커넥터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1 커넥터를 구비하는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 및 상기 제2 장착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릴레이 커넥터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부(tapered portion)를 구비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릴레이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커넥터 콘택과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커넥터 콘택과 접촉하는 릴레이 커넥터 콘택; 상기 릴레이 커넥터 콘택의 주위를 둘러싸는 릴레이 커넥터 바디; 및 상기 릴레이 커넥터 콘택과 상기 릴레이 커넥터 바디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위치되는 릴레이 커넥터 절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릴레이 커넥터를 향하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상기 테이퍼부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릴레이 커넥터 바디는, 상기 제1 커넥터를 향하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상보 테이퍼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릴레이 커넥터를 향하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상기 테이퍼부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릴레이 커넥터 바디는, 상기 제2 커넥터를 향하는 선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커넥터와 상기 릴레이 커넥터의 결합 시 상기 제2 커넥터와 상기 릴레이 커넥터가 결합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릴레이 커넥터는,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의 본체를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제1 면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면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릴레이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릴레이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커넥터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릴레이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릴레이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커넥터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릴레이 커넥터의 릴레이 커넥터 콘택과 접촉하는 제1 커넥터 콘택; 상기 제1 커넥터 콘택의 주위를 둘러싸는 제1 커넥터 바디; 및 상기 제1 커넥터 콘택과 상기 제1 커넥터 바디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1 커넥터 절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커넥터 바디는, 상기 릴레이 커넥터를 향하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상기 테이퍼부가 형성된 제1 캡부; 및 상기 제1 캡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릴레이 커넥터의 릴레이 커넥터 콘택과 접촉하는 제2 커넥터 콘택; 상기 제2 커넥터 콘택의 주위를 둘러싸며, 상기 릴레이 커넥터를 향하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상기 테이퍼부가 형성된 제2 커넥터 바디; 및 상기 제2 커넥터 콘택과 상기 제2 커넥터 바디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2 커넥터 절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는, 일단이 상기 제1 면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제1 감지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은, 상기 제1 감지 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 감지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감지 커넥터와 상기 제2 감지 커넥터는, 상기 제1 감지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감지 커넥터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감지 커넥터는, 상기 제1 감지 커넥터를 향하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감지 커넥터 테이퍼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감지 커넥터는, 상기 제1 감지 커넥터의 제1 감지 커넥터 콘택과 접촉하는 제2 감지 커넥터 콘택; 및 상기 제2 감지 커넥터 콘택의 주위를 둘러싸는 제2 감지 커넥터 바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감지 커넥터 콘택과 상기 제2 감지 커넥터 바디의 적어도 일부는 직접 접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제1 감지 커넥터와 상기 제2 감지 커넥터의 결합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와 상기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 간의 전기적 연결을 감지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제거하는 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와 상기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 간 전기적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팬 유닛을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는,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과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을 동일 평면 상에서 나란하게 배치함으로써 제한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는,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과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을 케이블 없이 커넥터들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관리자의 관리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또 유닛들 간의 연결을 외부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를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개하여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커넥터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감지 커넥터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감지 커넥터의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개하여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복수의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과 복수의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과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을 분리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분리된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과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 각각은 작동을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유닛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하우징(110), 인터페이스 보드(12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 결합 분배 유닛(150), 제어 유닛(160), 및 팬 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인터페이스 보드(120),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 및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 등을 수용하고 이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x 방향을 기준으로 양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내부의 측벽 및/또는 가이드 부재에 의해 구획된 다수의 수용 공간들에는 인터페이스 보드(120)에 의해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 및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 등이 장착되는 슬롯(slot) 식의 장착 위치들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용 공간(111)에는 인터페이스 보드(120)에 의해 인터페이스 보드(120)의 제1 면(120s1) 상측으로 어느 하나의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이 장착되는 제1 장착 위치(112)가, 상기 제1 면(120s1)에 반대하는 제2 면(120s2) 상측으로 대응하는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이 장착되는 제2 장착 위치(113)가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장착 위치(112)에는 개방된 일면을 통해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제2 장착 위치(113)에는 개방된 일면을 통해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대응하는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과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은 하우징(110) 내부에서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되, 상기 x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2 수용 공간에는 인터페이스 보드(120)에 의해 인터페이스 보드(120)의 제1 면(120s1) 상측에서 팬 유닛(170)이 장착되는 제3 장착 위치가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장착 위치는, z 방향을 기준으로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이 장착되는 제1 장착 위치(112)보다 높게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 유닛(170)은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3 수용 공간에는 인터페이스 보드(120)에 의해 인터페이스 보드(120)의 제2 면(120s2) 상측으로 결합 분배 유닛(150)과 제어 유닛(160)이 장착되는 제4 및 제5 장착 위치가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및 제5 장착 위치는 y 방향을 기준으로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이 장착되는 제2 장착 위치(113)에 연속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는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 결합 분배 유닛(150), 제어 유닛(160), 팬 유닛(170)의 장착 위치 및 장착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각 유닛들의 장착 위치 및 그에 따른 장착 상태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인터페이스 보드(120)는 하우징(110) 내에서 x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 들어 y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 및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 등 여러 구성 요소들과 커넥터, 케이블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요소들 상호 간의 신호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보드(120)는 서로 대응하는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 및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과 릴레이 커넥터(121)를 통해 연결되어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을 거친 기지국 신호(다운링크 신호)를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으로 전송하거나 반대로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을 거친 단말 신호(업링크 신호)를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릴레이 커넥터(121)는 인터페이스 보드(120)의 본체를 관통하여 인터페이스 보드(120)의 본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릴레이 커넥터(121)의 일단이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을 향해 제1 장착 위치(112) 측으로 노출될 수 있고 릴레이 커넥터(121)의 타단이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을 향해 제2 장착 위치(113) 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릴레이 커넥터(121)는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의 제1 커넥터(131),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의 제2 커넥터(141)와 각각 결합될 수 있는데, 결합 시의 오정렬을 보상할 수 있도록 테이퍼부, 탄성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커넥터(121)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100)가 포함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들을 정합시킬 수 있다.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은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100)가 복수의 기지국과 연결되는 경우 각 기지국 별로 대응하여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기지국 신호가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경로를 예로 들면,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은 높은 파워를 가진 기지국 신호를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 및/또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다른 노드 장치들(예를 들어, 리모트 장치, 확장 장치 등)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파워 레벨을 낮춰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은 인터페이스 보드(120)를 통해 대응하는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 보드(120)에 구비된 릴레이 커넥터(121)에 대응하는 제1 커넥터(13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31)는 대응하는 릴레이 커넥터(121)와 결합 시 크기, 위치 등의 오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오정렬을 보상할 수 있는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31)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은 대응하는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으로부터 출력되는 기지국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거나,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다른 노드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단말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은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100)가 복수의 기지국과 연결되는 경우 각 기지국 별로 대응하여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운링크 경로를 예로 들면,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은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으로부터 출력된 기지국 신호에 대해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서비스 조건에 부합하도록 저잡음 증폭, 필터링, 이득 제어, 증폭 등의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은 인터페이스 보드(120)를 통해 대응하는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릴레이 커넥터(121)에 대응하는 제2 커넥터(141)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커넥터(141)는 대응하는 릴레이 커넥터(121)와 결합 시 크기, 위치 등의 오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오정렬을 보상할 수 있는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141)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100)에서는 서로 대응하는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과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이 동일 평면 상에서 단층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보드(120)의 양면 상에서 케이블 없이 릴레이 커넥터(121)를 통해서 연결되되 유닛들의 위치, 접속을 위한 부재 등의 위치에 오차가 있다 해도 오차를 보상하는 테이퍼부가 릴레이 커넥터(121), 이와 대응하는 커넥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제한된 하우징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또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지며, 관리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지국 신호 정합 장치(130)와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140) 간의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결합 분배 유닛(150)은 복수의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으로부터 출력되는 기지국 신호들을 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광 분배 유닛(도시 생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 분배 유닛은 결합된 기지국 신호들을 광 신호로 변환하여 원격지에 설치된 다수의 리모트 장치(도시 생략)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리모트 장치는 전달된 광신호를 광전 변환한 후 변환된 기지국 신호들을 주파수 대역 별로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주파수 대역 별로 필터링, 증폭 등의 신호처리를 한 후 안테나를 통해 방사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유닛(160)은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 등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고, 각 구성 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 유닛(160)은 인터페이스 보드(120)를 통해 복수의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 복수의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보드(120)를 통해 복수의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 복수의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 등과 소정의 신호(예컨대, 제어 신호, 상태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팬 유닛(170)은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팬은 각각이 적어도 둘 이상의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을 냉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팬 각각이 복수의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 각각에 대해 냉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 유닛(160)은 팬 유닛(17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100)에서는 인터페이스 보드(120)에 제1 감지 커넥터(125)가 구비될 수 있고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에 제2 감지 커넥터(13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감지 커넥터(125)는 릴레이 커넥터(121)와 인접하게 배치되되 인터페이스 보드(120)의 제1 면(120s1)의 상측으로 제1 장착 위치(112)를 향해 노출될 수 있으며, 제2 감지 커넥터(135)는 제1 커넥터(131)와 인접하게 배치되되 제1 감지 커넥터(125)와 결합 시 제1 감지 커넥터(125)가 접지 상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유닛(160)은 제1 감지 커넥터(125) 및 제2 감지 커넥터(135)의 결합 여부에 따라 제1 감지 커넥터(125) 및 제2 감지 커넥터(135)의 접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닛(160)은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과 인터페이스 보드(120) 간의 연결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 결과에 따라 팬 유닛(1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160)은 제1 감지 커넥터(125)와 제2 감지 커넥터(135)가 결합되어 접지된 것으로 감지되면 제2 감지 커넥터(135)가 구비된 기지국 신호 정합 장치 상부에 위치하는 팬이 동작되도록 팬 유닛(170)을 구동시켜 제2 감지 커넥터(135)가 구비된 기지국 신호 정합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100)에서는 제어 유닛(160)이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의 상태, 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이 인터페이스 보드(120)에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지 여부에 따라 팬 유닛(17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최소화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방열 기능을 수행하여 장비 파손, 오작동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감지 커넥터(125)와 제2 감지 커넥터(135)의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커넥터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릴레이 커넥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는 각각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릴레이 커넥터(121), 제1 커넥터(131) 및 제2 커넥터(14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4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릴레이 커넥터(121), 제1 커넥터(131) 및 제2 커넥터(141)의 구체적인 구성 및 결합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릴레이 커넥터(121)는 인터페이스 보드(120)에 구비되되 양단이 각각 제1 커넥터(131) 및 제2 커넥터(141) 중 대응하는 커넥터와 결합되어,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 및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릴레이 커넥터(121)는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 릴레이 커넥터 바디(123) 및 릴레이 커넥터 절연 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은 인터페이스 보드(120)의 본체를 관통하도록 연장되고, 일단이 제1 커넥터(131)의 제1 커넥터 콘택(132)과 접촉되며, 타단이 제2 커넥터(141)의 제2 커넥터 콘택(142)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커넥터 콘택(132)을 흐르는 신호(예컨대, 파워 레벨 조절된 기지국 신호)가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을 통해 제2 커넥터 콘택(142)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파워 레벨 조절된 기지국 신호는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에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서비스 조건에 따라 처리될 수 있다.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의 일측은 함몰홈(122a)으로 구성될 수 있고 타측은 돌출핀(12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의 일측, 즉 함몰홈(122a)에는 후술될 제1 커넥터 콘택(132)의 돌출핀(132a)이 삽입되어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과 제1 커넥터 콘택(132) 간의 물리적·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고,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의 타측, 즉 돌출핀(122b)은 후술될 제2 커넥터 콘택(142)의 함몰홈(142a)에 삽입되어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과 제2 커넥터 콘택(142) 간의 물리적·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은 도전성 물질, 예를 들어, 금 등의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커넥터 바디(123)는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으며,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릴레이 커넥터 바디(123)는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강도를 갖는 도전성 물질, 예를 들어 니켈 등의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커넥터 절연 부재(124)는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과 릴레이 커넥터 바디(123)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위치하여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 및 릴레이 커넥터 바디(123) 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릴레이 커넥터 절연 부재(124)는 절연성 물질, 예를 들어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커넥터 절연 부재(124)는 형상적으로 및/또는 조성적으로 구분되는 두 부분, 예를 들어 제1 커넥터(131)를 향하는 부분과 제2 커넥터(141)를 향하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릴레이 커넥터 절연 부재(124)는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의 외주면 중 일부 영역과는 서로 접촉될 수 있으나, 다른 일부 영역에서는 빈 공간(123c)을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빈 공간(123c)에는 제2 커넥터(141)와의 결합 시 제2 커넥터(141)의 제2 커넥터 절연 부재(144) 및 제2 커넥터 콘택(142)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구현예에 따라서, 릴레이 커넥터 바디(123)는 클립부(123a)와 탄성 부재(12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립부(123a)는 인터페이스 보드(120)의 본체를 관통하는 릴레이 커넥터(121)를 인터페이스 보드(120)의 본체에 결합 및 지지할 수 있다. 탄성 부재(123b)는 제2 커넥터(141)를 향하는 선단에 배치되며 릴레이 커넥터(121)와 제2 커넥터(141) 간의 결합 시 정렬 오차를 보상하고 결합 상태를 유지해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123b)는 릴레이 커넥터(121)와 제2 커넥터(141)의 결합 시 결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여 오정렬을 보상해줄 수 있고, 릴레이 커넥터(121)와 제2 커넥터(141)가 결합되면 복원되어 제2 커넥터(141)로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릴레이 커넥터(121)와 제2 커넥터(141)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해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123b)는 릴레이 커넥터 바디(123)의 선단 외주면에 원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절개편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커넥터(141)로 릴레이 커넥터(121)가 삽입될 때 다수의 절개편 중 적어도 일부가 내측으로 오므라들 수 있으며, 제2 커넥터(141)로 릴레이 커넥터(121)가 삽입되면 오므라들었던 절개편이 외측으로 벌어져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 부재(123b)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구현예에 따라서, 릴레이 커넥터 바디(123)는 제1 커넥터(131)를 향하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상보 테이퍼부(123d)를 포함할 수 있다. 상보 테이퍼부(123d)는 제1 커넥터(131)에 구비된 테이퍼부(133d)와 반대 방향의 경사를 가질 수 있으며, 릴레이 커넥터 바디(123)가 제1 커넥터(131)의 제1 커넥터 바디(133) 내로 삽입될 때 릴레이 커넥터 바디(12)와 제1 커넥터 바디(133) 간의 오정렬을 보상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면, 제1 커넥터(131)는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에 구비되되, 릴레이 커넥터(121)와 결합되어 파워레벨을 낮춘 상태의 기지국 신호를 릴레이 커넥터(121)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31)는 제1 커넥터 콘택(132), 제1 커넥터 바디(133), 및 제1 커넥터 절연 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콘택(132)은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과 접촉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커넥터 콘택(132)의 돌출핀(132a)이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의 일측에 형성된 함몰홈(122a)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제1 커넥터 콘택(132)과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 간의 접촉, 다시 말해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커넥터 콘택(132)는 도전성 물질, 예를 들어 금 등의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바디(133)는 제1 커넥터 콘택(132)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으며, 제1 커넥터 콘택(13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바디(133)는 제1 커넥터 콘택(132)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강도를 갖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절연 부재(134)는 제1 커넥터 콘택(132)과 제1 커넥터 바디(133)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커넥터 콘택(132) 및 제1 커넥터 바디(133) 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커넥터 절연 부재(134)는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현예에 따라서, 제1 커넥터 바디(133)는 제1 캡부(133a)와 제1 캡부(133a)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1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부(133a)는 릴레이 커넥터(121)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제1 지지부(133b)는 릴레이 커넥터(121)로부터 먼 영역, 예를 들어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33b)와 제1 커넥터 콘택(132) 사이에는 제1 커넥터 절연 부재(134)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캡부(133a)와 제1 커넥터 콘택(132) 사이에는 예를 들어 제1 커넥터 절연 부재(134)가 개재되지 않고 빈 공간(133c)이 형성될 수 있다. 빈 공간(133c)에는 제1 커넥터(131)와 릴레이 커넥터(121)가 서로 결합될 때 릴레이 커넥터 바디(123)와 릴레이 커넥터 절연 부재(124) 및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31)와 릴레이 커넥터(121)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커넥터 바디(133)의 제1 캡부(133a)는 릴레이 커넥터(121)를 향하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부(133d)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릴레이 커넥터(121)가 제1 커넥터(131)에 삽입, 결합될 때 릴레이 커넥터(121)와 제1 커넥터(131)의 위치가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더라도 테이퍼부(133d)로 인해 정렬 오차가 보상될 수 있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면, 제2 커넥터(141)는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에 구비되되, 릴레이 커넥터(121)와 결합되어 릴레이 커넥터(121)로부터 기지국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커넥터(141)는 제2 커넥터 콘택(142), 제2 커넥터 바디(143), 및 제2 커넥터 절연 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 콘택(142)은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과 접촉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 커넥터 콘택(142)의 함몰홀(142a)에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의 타측에 형성된 돌출핀(122b)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제2 커넥터 콘택(142)과 릴레이 커넥터 콘택(122) 간의 접촉, 다시 말해 물리적,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커넥터 콘택(142)는 도전성 물질, 예를 들어 금 등의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 바디(143)는 제2 커넥터 콘택(142)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으며, 제2 커넥터 콘택(14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바디(143)는 제2 커넥터 콘택(142)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강도를 갖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 절연 부재(144)는 제2 커넥터 콘택(142)과 제2 커넥터 바디(143)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위치하여 제2 커넥터 콘택(142) 및 제2 커넥터 바디(143) 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커넥터 절연 부재(144)는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현예에 따라서, 제2 커넥터 바디(143)와 제2 커넥터 절연 부재(144) 사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빈 공간(143a)이 형성될 수 있다. 빈 공간(143a)은 릴레이 커넥터(121)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빈 공간(143a)에는 제2 커넥터(141)와 릴레이 커넥터(121)의 결합 시 릴레이 커넥터 바디(123)와 릴레이 커넥터 절연 부재(124)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커넥터(141)와 릴레이 커넥터(121)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커넥터 바디(143)는 릴레이 커넥터(121)를 향하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부(143b)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릴레이 커넥터(121)가 제2 커넥터(140)에 삽입, 결합될 때 릴레이 커넥터(121)와 제2 커텍터(140)의 위치가 정확히 매칭되지 않더라도 테이퍼부(143b)에 의하여 오정렬이 보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감지 커넥터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감지 커넥터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제1 및 제2 감지 커넥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및 제2 감지 커넥터(125, 135)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4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제1 및 제2 감지 커넥터(125, 135)의 구체적인 구성 및 결합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제1 감지 커넥터(125)는 인터페이스 보드(120)에 구비되되 제2 감지 커넥터(135)와의 결합을 통해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의 장착, 다시 말해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과 인터페이스 보드(120)의 연결 상태가 제어 유닛(160, 도 1 참조)에 의해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감지 커넥터(125)는 제1 감지 커넥터 콘택(126), 제1 감지 커넥터 바디(127) 및 제1 감지 커넥터 절연 부재(1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커넥터 콘택(126)은 제2 감지 커넥터(135)의 제2 감지 커넥터 콘택(136)과 접촉될 수 있다. 제1 감지 커넥터 콘택(126)은 함몰홈(126a)을 구비하여 함몰홈(126a)에 제2 감지 커넥터 콘택(136)의 돌출핀(136a)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제2 감지 커넥터 콘택(136)과 접촉, 다시 말해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감지 커넥터 콘택(126)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커넥터 바디(127)는 제1 감지 커넥터 콘택(126)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으며, 제1 감지 커넥터 콘택(126)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감지 커넥터 바디(127)는 제1 감지 커넥터 콘택(126)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강도를 갖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커넥터 절연 부재(128)는 제1 감지 커넥터 콘택(126)과 제1 감지 커넥터 바디(127)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위치하여 제1 감지 커넥터 콘택(126) 및 제1 감지 커넥터 바디(127) 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감지 커넥터 절연 부재(128)는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제1 감지 커넥터 바디(127)는 제2 감지 커넥터(135)를 향하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상보 테이퍼부(127a)를 포함할 수 있다. 상보 테이퍼부(127a)는 제2 감지 커넥터(135)에 구비된 감지 커넥터 테이퍼부(137d)와 반대 방향의 경사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감지 커넥터 바디(127)가 제2 감지 커넥터(135)의 제2 감지 커넥터 바디(137) 내로 삽입될 때 상호간의 정렬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감지 커넥터(135)는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에 구비되되, 제1 감지 커넥터(125)와의 결합을 통해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의 연결 상태가 제어 유닛(160, 도 1 참조)에 의해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감지 커넥터(135)는 제2 감지 커넥터 콘택(136)과 제2 감지 커넥터 바디(1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 커넥터 콘택(136)은 제1 감지 커넥터 콘택(126)과 홈-돌출핀 결합을 통해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 커넥터 바디(137)는 제2 감지 커넥터 콘택(136)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으며, 제2 감지 커넥터 콘택(136)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감지 커넥터 바디(137)는 제2 감지 커넥터 콘택(136)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강도를 갖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감지 커넥터 바디(137)는,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에 구비되는 제1 커넥터(131)와 달리(또는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140)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141)와 달리) 제2 감지 커넥터 콘택(136)과 적어도 일부가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라운드인 제2 감지 커넥터 바디(137)와 제2 감지 커넥터 콘택(136)이 쇼트되어 제2 감지 커넥터 바디(137) 및 제2 감지 커넥터 콘택(136)이 함께 그라운드로 기능할 수 있고, 제어 유닛(160, 도 1 참조)은 제2 감지 커넥터(135)와 제1 감지 커넥터(125)의 결합 시 접지 상태가 형성됨에 따른 전류 또는 전압을 센싱하여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과 인터페이스 보드(120)의 연결 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 유닛(160)은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과 인터페이스 보드(120)의 연결 상태에 대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팬 유닛(170)을 제어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제2 감지 커넥터 바디(137)는 제2 캡부(137a)와 제2 캡부(137a)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137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캡부(137a)는 제1 감지 커넥터(125)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지지부(137b)는 제1 감지 커넥터(125)로부터 먼 영역, 예를 들어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130)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37b)와 제2 감지 커넥터 콘택(136)은 서로 접촉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2 캡부(137a)와 제2 감지 커넥터 콘택(136)은 서로 접촉되지 않고 빈 공간(137c)을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빈 공간(137c)에는, 제1 감지 커넥터(125)와 제2 감지 커넥터(135)가 서로 결합할 때, 제1 감지 커넥터 바디(127)와 제1 감지 커넥터 절연 부재(128) 및 제1 감지 커넥터 콘택(126)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감지 커넥터(125)와 제2 감지 커넥터(135)가 원활히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감지 커넥터 바디(137)의 제2 캡부(137a)에는 제1 감지 커넥터(125)를 향하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부(137d)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감지 커넥터(125)가 제2 감지 커넥터(135)로 삽입, 결합될 때, 제1 감지 커넥터(125)와 제2 감지 커넥터(135)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테이퍼부(137d)로 인해 제1 감지 커넥터(125)와 제2 감지 커넥터(135)가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110: 하우징
111: 수용 공간
112: 제1 장착 위치
113: 제2 장착 위치
120: 인터페이스 보드
121: 릴레이 커넥터
122: 릴레이 커넥터 콘택
123: 릴레이 커넥터 바디
123b: 탄성 부재
123d: 상보 테이퍼부
124: 릴레이 커넥터 절연 부재
125: 제1 감지 커넥터
126: 제1 감지 커넥터 콘택
127: 제1 감지 커넥터 바디
127a: 상보 테이퍼부
128: 제1 감지 커넥터 절연 부재
130: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
131: 제1 커넥터
132: 제1 커넥터 콘택
133: 제1 커넥터 바디
133d: 테이퍼부
134: 제1 커넥터 절연 부재
135: 제2 감지 커넥터
136: 제2 감지 커넥터 콘택
137: 제2 감지 커넥터 바디
137d: 테이퍼부
140: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
141: 제2 커넥터
142: 제2 커넥터 콘택
143: 제2 커넥터 바디
143b: 테이퍼부
144: 제2 커넥터 절연 부재
150: 결합 분배 유닛
160: 제어 유닛
170: 팬 유닛

Claims (16)

  1.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제1 면의 상측으로 제1 장착 위치(mounting location)를 정의하고 상기 제1 면에 반대하는 제2 면의 상측으로 제2 장착 위치를 정의하되, 일단이 상기 제1 면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면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릴레이 커넥터를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보드;
    상기 제1 장착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릴레이 커넥터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1 커넥터를 구비하는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 및
    상기 제2 장착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릴레이 커넥터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부(tapered portion)를 구비하고,
    상기 릴레이 커넥터는,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의 본체를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제1 면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면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커넥터 콘택과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커넥터 콘택과 접촉하는 릴레이 커넥터 콘택;
    상기 릴레이 커넥터 콘택의 주위를 둘러싸는 릴레이 커넥터 바디; 및
    상기 릴레이 커넥터 콘택과 상기 릴레이 커넥터 바디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위치되는 릴레이 커넥터 절연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릴레이 커넥터를 향하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상기 테이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릴레이 커넥터 바디는, 상기 제1 커넥터를 향하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상보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릴레이 커넥터를 향하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상기 테이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릴레이 커넥터 바디는, 상기 제2 커넥터를 향하는 선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커넥터와 상기 릴레이 커넥터의 결합 시 상기 제2 커넥터와 상기 릴레이 커넥터가 결합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릴레이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커넥터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릴레이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커넥터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릴레이 커넥터의 릴레이 커넥터 콘택과 접촉하는 제1 커넥터 콘택;
    상기 제1 커넥터 콘택의 주위를 둘러싸는 제1 커넥터 바디; 및
    상기 제1 커넥터 콘택과 상기 제1 커넥터 바디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1 커넥터 절연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바디는,
    상기 릴레이 커넥터를 향하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상기 테이퍼부가 형성된 제1 캡부; 및
    상기 제1 캡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릴레이 커넥터의 릴레이 커넥터 콘택과 접촉하는 제2 커넥터 콘택;
    상기 제2 커넥터 콘택의 주위를 둘러싸며, 상기 릴레이 커넥터를 향하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상기 테이퍼부가 형성된 제2 커넥터 바디; 및
    상기 제2 커넥터 콘택과 상기 제2 커넥터 바디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2 커넥터 절연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11.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제1 면의 상측으로 제1 장착 위치를 정의하고 상기 제1 면에 반대하는 제2 면의 상측으로 제2 장착 위치를 정의하되, 일단이 상기 제1 면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면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릴레이 커넥터를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보드;
    상기 제1 장착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릴레이 커넥터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1 커넥터를 구비하는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 및
    상기 제2 장착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릴레이 커넥터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기지국 신호 처리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는, 일단이 상기 제1 면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제1 감지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은, 상기 제1 감지 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 감지 커넥터를 구비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커넥터와 상기 제2 감지 커넥터는, 상기 제1 감지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감지 커넥터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 커넥터는, 상기 제1 감지 커넥터를 향하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감지 커넥터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 커넥터는,
    상기 제1 감지 커넥터의 제1 감지 커넥터 콘택과 접촉하는 제2 감지 커넥터 콘택; 및
    상기 제2 감지 커넥터 콘택의 주위를 둘러싸는 제2 감지 커넥터 바디;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감지 커넥터 콘택과 상기 제2 감지 커넥터 바디의 적어도 일부는 직접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커넥터와 상기 제2 감지 커넥터의 결합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와 상기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 간의 전기적 연결을 감지하는 제어 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제거하는 팬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와 상기 기지국 신호 정합 유닛 간 전기적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팬 유닛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160078703A 2016-06-23 2016-06-23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KR101802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703A KR101802974B1 (ko) 2016-06-23 2016-06-23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US15/421,751 US10003119B2 (en) 2016-06-23 2017-02-01 Base station interface device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15/972,311 US10559869B2 (en) 2016-06-23 2018-05-07 Base station interface device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703A KR101802974B1 (ko) 2016-06-23 2016-06-23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974B1 true KR101802974B1 (ko) 2017-11-30

Family

ID=6067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703A KR101802974B1 (ko) 2016-06-23 2016-06-23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003119B2 (ko)
KR (1) KR1018029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6357A (ja) * 1998-07-16 2000-02-02 Tokai Rika Co Ltd プラグイン結合構造
CN102195712A (zh) * 2010-02-04 2011-09-21 康宁光缆系统有限公司 通信设备外罩、组件以及相关的对准部件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6731A (en) * 1988-08-03 1989-07-11 Amp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s
CN102870288B (zh) * 2010-03-29 2016-03-02 康宁电磁股份有限公司 数字小信号及rf微波同轴超小型推进式差分对系统
JP5590952B2 (ja) 2010-04-15 2014-09-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付き基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6357A (ja) * 1998-07-16 2000-02-02 Tokai Rika Co Ltd プラグイン結合構造
CN102195712A (zh) * 2010-02-04 2011-09-21 康宁光缆系统有限公司 通信设备外罩、组件以及相关的对准部件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59869B2 (en) 2020-02-11
US10003119B2 (en) 2018-06-19
US20170373417A1 (en) 2017-12-28
US20180254539A1 (en) 2018-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7029B2 (en) Connector arrangement having multiple independent connectors
KR102241461B1 (ko) 캐비티 필터
US7026996B2 (en) Antenna apparatus having high receiving efficiency
US10483669B2 (en) Unitary RF connector for a board-to-board connection and a ganged connector including a plurality of such unitary connector, for a multiple board-to-board connection
US20210098849A1 (en) Cavity filter and connecting structure included therein
JP2005142785A (ja) 複合アンテナ
EP3843217A1 (en) Board mating connector
US2021032833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or and communication module comprising same
US11482803B2 (en) Cavity filter and connecting structure included therein
KR101802974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기지국 인터페이스 장치
CN101938075B (zh) 自动化装置
JP2022179527A (ja) キャビティフィルタ
EP1525679B1 (en) Bias-t apparatus and center conductor of the same
KR102203367B1 (ko) 커넥팅 장치
JP4109553B2 (ja) アンテナモジュール
US11817643B2 (en) Cavity filter and connecting structure included therein
US20230047023A1 (en) Connecting apparatus
US8902108B2 (en) Housing antenna system
KR101604743B1 (ko) 중계기용 단위 모듈
JP2011233952A (ja) 筐体一体型アンテナ
CA2597450C (en) Signal coupling apparatus and transmitter including signal coupling apparatus
KR20130078132A (ko) 기판용 알에프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