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885B1 -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885B1
KR101802885B1 KR1020150151828A KR20150151828A KR101802885B1 KR 101802885 B1 KR101802885 B1 KR 101802885B1 KR 1020150151828 A KR1020150151828 A KR 1020150151828A KR 20150151828 A KR20150151828 A KR 20150151828A KR 101802885 B1 KR101802885 B1 KR 101802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feeding
cleaning
fish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368A (ko
Inventor
김진아
Original Assignee
김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아 filed Critical 김진아
Priority to KR1020150151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885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먹이통본체를 사용자가 맨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방출방향 조작이 가능한 먹이급여관을 통해 입자형태의 먹이를 어패류에 용이하게 급여할 수 있고, 나아가 청소볼을 이용하여 순환구조로 먹이급여관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는, 어패류에 입자형태의 먹이를 공급하기 위한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먹이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상기 먹이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투입구 및 배출구와, 상기 먹이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투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뚜껑과, 사용자가 맬 수 있도록 외측에 어깨끈이 구비된 먹이통본체와;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형의 관체로, 일단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고, 일부 구간은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한 플렉시블관으로 이루어지며, 타단에는 먹이방출노즐이 구비된 먹이급여관과;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먹이수용공간에 수용된 먹이를 동력을 이용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먹이토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FEEDING DEVICE FOR FISH AND SHELLFISH}
본 발명은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먹이통본체를 사용자가 맨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방출방향 조작이 가능한 먹이급여관을 통해 입자형태의 먹이를 어패류에 용이하게 급여할 수 있고, 나아가 청소볼을 이용하여 순환구조로 먹이급여관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식량 위기에 대응하여 양식업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양식업은 수산 식량 공급의 주요 원천으로 역할이 높아져, 1980년대 세계 수산물 생산량의 6.5%에 불과하던 양식 생산량은 현재 40%에 육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미래 수산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세계 시장 진출을 위해서 건강한 양식 수산물의 양산 체제의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며, 최근 농림수산식품부에서 10대 전략 품목을 집중 육성하여 2020년까지 100억 달러 수출 달성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이들 중 고부가가치 양식 품종인 전복, 해삼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전복 종묘생산은 국립수산과학원의 북제주종묘배양장에서 1973~1975년에 종묘생산기초 기술개발 시험을 시작하였고, 1985년에는 북제주 및 강릉종묘배양장에서 추계 전복 종묘생산 기술을 확립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전복생산의 획기적인 도약은 2003년부터 전복 해상가두리 양식의 실시로 비약적인 발전이 되었다.
이에 따라 종묘의 수요가 많아져 육상종묘 생산시설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한국전복산업연합회 자료에 의하면 전복종묘생산량은 2001년부터 꾸준히 증가하여 2011년 종묘가 5억 2천만 마리가 생산되었으나, 2012년에는 초기 부착규조 부족문제로 대량폐사가 발생하여 생산량이 전년에 비해 10% 이상 감소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한편, 종래에는 어패류 특히, 양식되고 있는 전복의 치패에 입자형태의 먹이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손으로 먹이를 쥔 상태에서 먹이를 흩뿌리는 수작업 방식을 취하였다.
하지만, 상기의 수작업에 의한 어패류에의 먹이 공급 방법은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고, 구역에 따라 고른 분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수작업에 의한 먹이 공급 방법을 개선해 보고자 관련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10-1993-0003807호(공개일자: 1993.03.22.)에는 "수력을 이용한 양어용 먹이공급장치"가 제안된 바 있고, 등록특허공보 제10-1270650호(공고일자: 2013.06.03.)에는 "패류 빌딩양식을 위한 먹이생물 공급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의 제안기술들은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어패류에의 먹이 공급 방법을 대체할 수는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먹이통본체를 사용자가 맨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방출방향 조작이 가능한 먹이급여관을 통해 입자형태의 먹이를 어패류에 용이하게 급여할 수 있는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는, 어패류에 입자형태의 먹이를 공급하기 위한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먹이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상기 먹이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투입구 및 배출구와, 상기 먹이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투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뚜껑과, 사용자가 맬 수 있도록 외측에 어깨끈이 구비된 먹이통본체와;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형의 관체로, 일단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고, 일부 구간은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한 플렉시블관으로 이루어지며, 타단에는 먹이방출노즐이 구비된 먹이급여관과;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먹이수용공간에 수용된 먹이를 동력을 이용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먹이토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는, 상기 먹이토출수단은, 상기 배출구 부근에 장착되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주변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먹이를 상기 배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전원부의 작동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급여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는, 상기 먹이토출수단은, 상기 먹이방출노즐에 장착되어 회전되며 먹이를 타격하여 먹이를 외부로 비산시키는 회전스캐터와, 상기 회전스캐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전원부의 작동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급여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는, 상기 먹이급여관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내부청소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내부청소수단은, 상기 먹이수용공간에 투입되는 청소볼과, 일단은 상기 먹이급여관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먹이통본체의 뚜껑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청소용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먹이토출수단이 작동되는 경우 상기 청소볼이 상기 먹이급여관 및 상기 청소용연결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먹이수용공간으로 순환되며 상기 먹이급여관의 내부가 청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는, 상기 먹이급여관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내부청소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내부청소수단은, 상기 먹이수용공간에 투입되는 청소볼과, 일단은 상기 먹이급여관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먹이통본체의 뚜껑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청소용연결관과, 상기 청소용연결관 상에 장착되어 상기 먹이급여관에서 상기 청소용연결관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청소용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청소용송풍팬이 작동되는 경우 상기 청소볼이 상기 먹이급여관 및 상기 청소용연결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먹이수용공간으로 순환되며 상기 먹이급여관의 내부가 청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는, 상기 먹이통본체는, 상기 먹이수용공간의 바닥면에 일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낙하유도경사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낙하유도경사판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는, 상기 먹이급여관은, 사용자가 먹이의 방출 방향을 조작할 수 있도록 외측에 손으로 파지 가능한 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는, 상기 전원부는 상기 먹이통본체에 장착되는 배터리와 외부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외부전원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급여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통해 자체전원 또는 상기 외부전원연결부를 통해 외부전원을 상기 구동모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는 먹이통본체를 사용자가 맨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방출방향 조작이 가능한 먹이급여관을 통해 입자형태의 먹이를 어패류에 용이하게 급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는 청소볼을 이용하여 순환구조로 먹이급여관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의 청소모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의 구성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의 청소모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는 어패류에 입자형태의 먹이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먹이통본체(10)와, 먹이급여관(20)과, 먹이토출수단(30)과, 내부청소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먹이통본체(10)는 어패류에 급여하기 위한 입자형태의 먹이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고, 먹이수용공간(11)이 형성되며, 투입구(12)와, 배출구(13)와, 뚜껑(14)과, 어깨끈(15)과, 낙하유도경사판(16)이 구비된다.
상기 먹이수용공간(11)은 상기 투입구(12)를 통해 투입되는 먹이가 수용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낙하유도경사판(16)에 의해 상기 먹이통본체(10)의 내부공간이 상하로 분리되고 그 상부공간이 상기 먹이수용공간(11)이 되도록 형성되고, 그 하부공간은 배터리(331)와 같은 구성이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투입구(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외부에서 먹이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먹이통본체(10)의 상부면에 상기 먹이수용공간(1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도 1에 도시된 뚜껑(14) 또는 도 2에 도시된 청소용연결관(42)의 타단이 착탈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배출구(1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낙하유도경사판(16)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먹이수용공간(1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먹이급여관(20)의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뚜껑(14)은 상기 먹이수용공간(11)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상기 투입구(12)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
한편, 청소용연결관(42)이 상기 투입구(12)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뚜껑(14)이 제거된 상태에서 연결된다.
상기 어깨끈(15)은 사용자가 상기 먹이통본체(10)를 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외측 일면에 좌우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먹이통본체(10)를 사용자가 배낭형으로 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낙하유도경사판(16)은 상기 먹이수용공간(11)에 수용된 먹이가 중력에 의해 상기 배출구(13)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먹이수용공간(11)의 바닥면에 일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13)는 상기 낙하유도경사판(16)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먹이급여관(20)은 사용자가 먹이의 방출 방향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형의 관체로 플렉시블관(22)과, 먹이방출노즐(23)과, 손잡이(24)가 구비된다.
즉, 상기 먹이급여관(20)은 일단(21)은 상기 배출구(13)에 연결되고, 일부 구간은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한 플렉시블관(22)로 이루어지며, 타단에는 먹이방출노즐(23)이 구비되며, 사용자가 먹이의 방출 방향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외측에 손으로 파지 가능한 손잡이(24)가 구비된다.
상기 먹이토출수단(30)은 상기 투입구(12)를 통해 상기 먹이수용공간(11)에 수용된 먹이를 동력을 이용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송풍팬(31a)과, 구동모터(32)와, 전원부(33)와, 급여제어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팬(31a)은 상기 배출구(13) 부근에 장착되고, 회전력에 의해 상기 배출구(13) 방향으로 주변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먹이를 상기 배출구(13)로 토출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구동모터(32)는 상기 송풍팬(31a)을 회전시키는 구성이고, 상기 전원부(23)는 상기 구동모터(32)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전원부(2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먹이통본체(10)의 내부공간 중 상기 낙하유도경사판에 구분되는 하부공간에 장착되는 배터리(331)와, 외부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외부전원연결부(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급여제어부(34)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전원부(23)의 작동 및 상기 구동모터(32)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먹이의 방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급여제어부(3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331)를 통해 자체전원 또는 상기 외부전원연결부(332)를 통해 외부전원을 상기 구동모터(32)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는 먹이급여모드와 청소모드로 나뉘는데 먹이급여모드에서는 배터리(33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청소모드에서는 먹이급여모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구동모터(32)의 고속회전이 요구되므로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위해 상기 외부전원연결부(332)를 통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청소수단(40)은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의 장기간 사용에 따라 먹이가 침착되어 있는 상기 먹이급여관(20)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청소볼(41)과, 청소용연결관(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청소볼(41)은 상기 먹이수용공간(11)에 먹이 대신 투입되는데, 유동되며 상기 먹이급여관(20)의 내측벽에 부딪히는 경우 부딪힌 지점에 붙어있던 이물질 등을 분리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청소용연결관(42)은 일단은 상기 먹이급여관(20)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먹이통본체(10)의 뚜껑(14)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12)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먹이토출수단(30)의 송풍팬(31a)이 작동되는 경우 공기의 흐름에 따라 상기 청소볼(41)이 상기 먹이급여관(20) 및 상기 청소용연결관(4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상기 투입구(12)를 통해 상기 먹이수용공간(11)으로 순환되며 상기 먹이급여관(20)의 내부가 청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를 살펴보았고,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먹이통본체(10)와, 먹이급여관(20)과, 먹이토출수단(30)과, 내부청소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먹이통본체(10)와, 먹이급여관(2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먹이토출수단(30)과, 상기 내부청소수단(4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먹이토출수단(30)은 상기 투입구(12)를 통해 상기 먹이수용공간(11)에 수용된 먹이를 동력을 이용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회전스캐터(31b)와, 구동모터(32)와, 전원부(33)와, 급여제어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스캐터(31b)는 상기 먹이방출노즐(23)에 장착되어 회전되며 먹이를 타격하여 먹이를 외부로 비산시키는 구성이고, 상기 구동모터(32)는 상기 회전스캐터(31b)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전원부(23)와, 상기 급여제어부(3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내부청소수단(40)은 상기 내부청소수단(40)은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의 장기간 사용에 따라 먹이가 침착되어 있는 상기 먹이급여관(20)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청소볼(41)과, 청소용연결관(42)과, 청소용송풍팬(43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청소볼(41)과 상기 청소용연결관(42)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와 동일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청소용송풍팬(43b)의 구성이 추가로 요구된다.
상기 청소용송풍팬(43b)은 상기 청소용연결관(42) 상에 장착되어 상기 먹이급여관(20)에서 상기 청소용연결관(30)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청소용송풍팬(43)이 작동되는 경우 공기의 흐름에 따라 상기 청소볼(41)이 상기 먹이급여관(20) 및 상기 청소용연결관(4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상기 투입구(12)를 통해 상기 먹이수용공간(11)으로 순환되며 상기 먹이급여관(20)의 내부가 청소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발명의 명칭]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먹이통본체
11 먹이수용공간
12 투입구
13 배출구
14 뚜껑
15 어깨끈
16 낙하유도경사판
20 먹이급여관
21 일단
22 플렉시블관
23 먹이방출노즐
24 손잡이
30 먹이토출수단
31a 송풍팬
31b 회전스캐터
32 구동모터
33 전원부
331 배터리
332 외부전원연결부
34 급여제어부
40 내부청소수단
41 청소볼
42 청소용연결관
43b 청소용송풍팬

Claims (8)

  1. 어패류에 입자형태의 먹이를 공급하기 위한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먹이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상기 먹이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투입구 및 배출구와, 상기 먹이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투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뚜껑과, 사용자가 맬 수 있도록 외측에 어깨끈이 구비된 먹이통본체와;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형의 관체로, 일단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고, 일부 구간은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한 플렉시블관으로 이루어지며, 타단에는 먹이방출노즐이 구비된 먹이급여관과;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먹이수용공간에 수용된 먹이를 동력을 이용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먹이토출수단을; 및
    상기 먹이급여관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내부청소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먹이토출수단은, 상기 배출구 부근에 장착되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주변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먹이를 상기 배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전원부의 작동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급여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부청소수단은, 상기 먹이수용공간에 투입되는 청소볼과, 일단은 상기 먹이급여관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먹이통본체의 뚜껑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청소용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먹이토출수단이 작동되는 경우 상기 청소볼이 상기 먹이급여관 및 상기 청소용연결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먹이수용공간으로 순환되며 상기 먹이급여관의 내부가 청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
  2. 어패류에 입자형태의 먹이를 공급하기 위한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먹이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상기 먹이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투입구 및 배출구와, 상기 먹이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투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뚜껑과, 사용자가 맬 수 있도록 외측에 어깨끈이 구비된 먹이통본체와;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형의 관체로, 일단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고, 일부 구간은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한 플렉시블관으로 이루어지며, 타단에는 먹이방출노즐이 구비된 먹이급여관과;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먹이수용공간에 수용된 먹이를 동력을 이용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먹이토출수단을; 및
    상기 먹이급여관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내부청소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먹이토출수단은, 상기 먹이방출노즐에 장착되어 회전되며 먹이를 타격하여 먹이를 외부로 비산시키는 회전스캐터와, 상기 회전스캐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전원부의 작동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급여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부청소수단은, 상기 먹이수용공간에 투입되는 청소볼과, 일단은 상기 먹이급여관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먹이통본체의 뚜껑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청소용연결관과, 상기 청소용연결관 상에 장착되어 상기 먹이급여관에서 상기 청소용연결관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청소용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청소용송풍팬이 작동되는 경우 상기 청소볼이 상기 먹이급여관 및 상기 청소용연결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먹이수용공간으로 순환되며 상기 먹이급여관의 내부가 청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통본체는, 상기 먹이수용공간의 바닥면에 일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낙하유도경사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낙하유도경사판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급여관은, 사용자가 먹이의 방출 방향을 조작할 수 있도록 외측에 손으로 파지 가능한 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먹이통본체에 장착되는 배터리와 외부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외부전원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급여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통해 자체전원 또는 상기 외부전원연결부를 통해 외부전원을 상기 구동모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151828A 2015-10-30 2015-10-30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 KR101802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828A KR101802885B1 (ko) 2015-10-30 2015-10-30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828A KR101802885B1 (ko) 2015-10-30 2015-10-30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368A KR20170050368A (ko) 2017-05-11
KR101802885B1 true KR101802885B1 (ko) 2017-11-29

Family

ID=58741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828A KR101802885B1 (ko) 2015-10-30 2015-10-30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8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259B1 (ko) * 2021-07-13 2022-01-21 (주)한국해양기술 육상수조식 양식장용 해수 공급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2322A (ja) * 2001-09-28 2003-04-08 Dainichi Co Ltd 自動給餌装置
KR200363992Y1 (ko) * 2004-07-08 2004-10-08 이용해 사료 공급 장치
JP2005237227A (ja) * 2004-02-25 2005-09-08 Dainichi Co Ltd 給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2322A (ja) * 2001-09-28 2003-04-08 Dainichi Co Ltd 自動給餌装置
JP2005237227A (ja) * 2004-02-25 2005-09-08 Dainichi Co Ltd 給餌装置
KR200363992Y1 (ko) * 2004-07-08 2004-10-08 이용해 사료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368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521B1 (ko)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KR20200121267A (ko) 반려동물 사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사료공급방법
KR101802885B1 (ko) 어패류용 먹이 공급 장치
CN206005512U (zh) 猪用喂料装置
CN203814391U (zh) 一种水产养殖用投料施药装置
KR102064667B1 (ko) 양돈용 액상 사료 제조 장치
CN209680638U (zh) 一种珍珠清洗烘干装置
JP5379768B2 (ja) 粉粒体供給装置
KR101779835B1 (ko) 친환경 순환식 양식 장치
TWI747637B (zh) 水生動物養殖系統的乾溼兩用自動投餌器
CN107319611A (zh) 一种水产养殖用饲料高效混合设备
CN110915738A (zh) 一种水产养殖鱼食发射器
CN103598131A (zh) 水产养殖用自动投饵系统及投饵方法
CN205492150U (zh) 黑斑蛙养殖箱
CN206390022U (zh) 一种匀质投饵机
JP5027943B1 (ja) 生餌用クーラーセット
CN108238345A (zh) 宠物饲料分类储存桶
KR101954097B1 (ko) 개체굴 분리 및 세척장치
TWM623942U (zh) 水產養殖之投餌設備
CN213719331U (zh) 一种养殖用自动化喂料系统的定量杯
KR20150091597A (ko) 자동 사료 급이기의 이송날개 구조
JP4397433B1 (ja) 電動リール内蔵型釣竿用グリップ装置および釣具
KR20160130595A (ko) 낚시용 집어기
CN214102816U (zh) 一种鳜鱼养殖用饲料投放装置
CN217791032U (zh) 一种小龙虾育种饲料供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