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835B1 - 처리 방법, 처리 장치,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처리 방법, 처리 장치,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835B1
KR101802835B1 KR1020167017308A KR20167017308A KR101802835B1 KR 101802835 B1 KR101802835 B1 KR 101802835B1 KR 1020167017308 A KR1020167017308 A KR 1020167017308A KR 20167017308 A KR20167017308 A KR 20167017308A KR 101802835 B1 KR101802835 B1 KR 101802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window
sensing
turn
ge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7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1992A (ko
Inventor
지칭 랴오
샨 종
자오지에 시아
리푸 수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9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H04M1/7251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sor position based on codes indicative of cursor displacements from one discrete location to another, e.g. using cursor control keys associated to different directions or using the tab ke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분야에 적용가능하고, 처리 방법, 처리 장치, 및 단말기를 제공한다. 처리 방법은, 스크린 내의 감응창상의 감지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감응창상의 감지위치 및, 감응창 상의 감지위치와 스크린상의 표시위치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감응창상의 획득된 감지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상의 표시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표시위치가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내에 위치할 때,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에 터치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및 터치 버튼에 대한 조작지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조작 지시는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한 조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의 전체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에 한손으로 조작이 수행될 수 있어, 조작이 용이하며 사용자의 조작 효율이 개선된다. 또한, 고정된 메뉴가 감응창 상에 요구되지 않아 감응창의 크기가 줄어든다.

Description

처리 방법, 처리 장치, 및 단말기{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처리 방법, 처리 장치,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 와 같은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지능형 기술의 빠른 발전에 따라, 시장의 주류 지능형 모바일 단말기에서, 물리적 키보드를 사용하는 입력 방식은 점차 폐기되고, 멀티-터치 기능을 갖는 스크린을 사용하는 입출력 방식이 사용된다. 지능형 모바일 단말기의 대형 스크린은 더 많은 콘텐츠와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폰트 크기 또한 크다. 따라서, 눈은 볼 때 편함을 느낀다.
그러나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한 손으로 잡고 있을 때, 한 손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조작의 스크린 범위는 제한된다. 스크린이 상대적으로 크고, 한손 조작으로 사용할 때, 일부 영역은 손가락이 닿을 수 있는 터치 영역을 벗어난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전체 스크린의 콘텐츠에 대해 조작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스크린의 크기가 5인치를 넘으면, 사용자는 스크린의 왼쪽 윗부분 및 오른쪽 윗부분을 한 손으로 터치할 수 없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 많은 기능 및 콘텐츠는 스크린의 윗쪽 부분을 조작하여 구현되어야 한다. 이런 경우 조작이 수행될 수 있는 터치 영역의 다른 영역은 다른 손으로써 조작이 완성된다. 따라서, 조작이 복잡해지고, 사용자의 조작 효율은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스크린에 한 손으로 조작을 수행할 때, 전체 스크린 콘텐츠를 조작할 수 없어 조작을 완성하기 위해 다른 손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이 복잡해지고 조작 효율은 영향을 받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처리 방법, 처리 장치 및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 이러한 처리 방법은, 스크린 내의 감응창(sensitive screen)상의 감지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감응창상의 획득된 감지위치 및, 상기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와 상기 스크린상의 표시위치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감응창상의 획득된 감지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스크린상의 표시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표시위치가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에 터치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버튼에 대한 조작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지시는 상기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한 조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측면을 참조하면, 제1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 방식에서, 상기 감응창상의 획득된 감지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스크린상의 표시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
상기 표시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위치가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에 터치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커서가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에 상기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이다.
제1 측면을 참조하면, 제1 측면의 가능한 제2 구현 방식에서, 상기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와 상기 스크린상의 표시위치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감응창의 길이-폭 비율이 상기 스크린의 길이-폭 비율과 동일한 것, 및/또는 상기 감응창의 경계에 대한 상기 감지위치의 상대적 위치는 상기 스크린의 경계에 대한 상기 표시위치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하다.
제1 측면을 참조하면, 제1 측면의 가능한 제3 구현 방식에서, 상기 스크린 내의 감응창상의 감지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감응창 및 상기 스크린 사이의 위치 관계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측면을 참조하면, 제1 측면의 가능한 제4 구현 방식에서, 상기 스크린 내의 감응창상의 감지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감응창을 턴 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응창을 턴 온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물리적 버튼을 사용하여 상기 감응창을 턴 온하는 단계이거나, 또는 상기 감응창을 턴 온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린 내의 감응창을 사용하여, 상기 감응창에 대해 행해진 제스처를 탐지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조작 명령을 획득하도록, 상기 제스처에 따른 매칭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조작 지시가 상기 감응창을 턴 온 시키는 지시일 때, 상기 감응창을 턴 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을 참조하면, 제1 측면의 가능한 제5 구현 방식에서, 상기 감응창을 턴 오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응창을 턴 오프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물리적 버튼을 사용하여 상기 감응창을 턴 오프하는 단계이거나, 또는 상기 감응창을 턴 오프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린 내의 감응창을 사용하여, 상기 감응창에 행해진 제스처를 탐지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조작 명령을 획득하도록, 상기 제스처에 따라 매칭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조작 지시가 상기 감응창을 턴 오프 하는 지시일 때, 상기 감응창을 턴오프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을 참조하면, 제1 측면의 가능한 제6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에 의해, 스크롤 바에 수행된 슬라이딩(sliding)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따라, 상기 스크린의 콘텐츠에, 슬라이딩 및 브라우징(browsing)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 바는 상기 감응창의 모서리에 표시된, 수직 및/또는 수평 스크롤바이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 이러한 처리 장치는, 스크린 내의 감응창상의 감지위치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 획득 모듈; 상기 감응창상의 획득된 감지위치 및, 상기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와 상기 스크린상의 표시위치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감응창상의 획득된 감지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스크린상의 표시위치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2 획득 모듈; 상기 표시위치가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에 터치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1 표시 모듈; 상기 터치 버튼에 대한 조작 지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지시는 상기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한 조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2 측면을 참조하면, 제2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 방식에서, 상기 표시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2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커서가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에 상기 터치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2 측면을 참조하면, 제2 측면의 가능한 제2 구현 방식에서, 상기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와 상기 스크린상의 표시위치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감응창의 길이-폭 비가 상기 스크린의 길이-폭 비와 동일한 것, 및/또는 상기 감응창의 경계에 대한 상기 감지위치의 상대적 위치가 상기 스크린의 경계에 대한 상기 표시위치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한 것이다.
제2 측면을 참조하면, 제2 측면의 가능한 제3 구현 방식에서, 상기 감응창과 상기 스크린 사이의 위치 관계를 미리 설정하도록 구성된 미리 설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2 측면을 참조하면, 제2 측면의 가능한 제4 구현 방식에서, 상기 감응창을 턴 온 하도록 구성된 턴-온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턴-온 모듈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물리적 버튼을 사용하여 상기 감응창을 턴 온 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턴-온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린의 감응창을 사용하여, 상기 감응창에 대해 행해진 제스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1 감지 모듈;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조작 명령을 획득하도록, 상기 제스처에 따른 매칭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매칭 모듈; 및 상기 조작 지시가 상기 감응창을 턴 온 하는 지시일 때, 상기 감응창을 턴 온하도록 구성된 턴-온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제2 측면을 참조하면, 제2 측면의 가능한 제5 구현 방식에서, 상기 감응창을 턴 오프 하도록 구성된 턴-오프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턴-오프 모듈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물리적 버튼을 사용하여 상기 감응창을 턴 오프 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턴-오프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린의 감응창을 사용하여, 상기 감응창에 행해진 제스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2 감지 모듈;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조작 명령을 획득하도록, 상기 제스처에 따라 매칭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매칭 모듈; 및 상기 조작 지시가 상기 감응창을 턴 오프하는 지시일 때, 상기 감응창을 턴 오프하도록 구성된다.
제2 측면을 참조하면, 제2 측면의 가능한 제6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에 의해 스크롤 바에 수행된 슬라이딩(sliding) 조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 및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따라, 상기 스크린의 콘텐츠에 슬라이딩(sliding) 및 브라우징(browsing) 조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조작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 바는 상기 감응창의 모서리에 표시된, 수직 및/또는 수평 스크롤바 이다.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말기를 제공하고, 이러한 단말기는, 프로세서, 스크린, 메모리, 및 버스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를 사용하여, 상기 프로세서, 스크린, 및 메모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프로세서는 전술한 방볍을 구현하도록, 상기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처리 방법의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지시를 사용하여 구현되고,
상기 스크린은, 입력 기능, 출력 및 표시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감응창을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지시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스크린 내의 감응창상의 감지위치가 획득된다. 감응창상의 획득된 감지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상의 표시위치가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할 때, 터치 버튼은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에 표시되고, 터치 버튼에 대한 조작 지시를 사용하여 조작 가능영역에 대해 조작이 수행된다. 따라서, 단말기의 전체 스크린에 대한 콘텐츠에 한손으로 조작이 수행될 수 있어, 조작이 용이하며 사용자의 조작 효율이 개선된다. 또한, 고정된 메뉴가 감응창 상에 요구되지 않아 감응창의 크기가 줄어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결 수단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된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분명한 것은, 이하의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당업자는 여전히 이러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창의적 노력 없이 다른 도면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방법에서, 커서가 스크린의 조작 불가능 영역에 위치할 때, 단말기의 표시 인터페이스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방법에서, 커서가 스크린의 조작 가능 영역에 위치할 때, 단말기의 표시 인터페이스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방법의 조작 프로세스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방법에서, 감응창을 턴-온 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방법에서, 감응창을 턴-온 하는 제스처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방법에서, 감응창을 턴-오프 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방법에서, 감응창을 턴-오프 하는 제스처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방법에서, 스크롤 바의 표시 및 조작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방법에서, 스크롤 바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방법에서, 감응창상에서 입력 트랙(input track)이 연속적으로 슬라이드할 때, 스크린의 대응하는 위치에서 커서의 연속적 움직임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방법에서, 감응창상에서 입력 트랙이 연속적으로 슬라이드 하지 않을 때, 커서의 비연속적 움직임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장치의 개략적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 수단 및 유익한 효과를 분명하고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구체적 실시예는 단순히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 구체적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의 따른 처리 방법이 제공되고 이러한 처리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101): 스크린 내의 감응창상의 감지위치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101) 이전에, 처리 방법은 추가로, 감응창(sensitive screen)과 스크린 사이의 위치 대응 관계을 미리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감응창은 스크린의 부분 영역이고, 감응창은 단말기의 중심 터치 영역이다. 감응창의 크기는 디자이너에 의해 고정된 값으로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다. 감응창은 또한 디자이너에 의해 고정된 위치로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위치가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응창은 스크린의 왼쪽 아래에 위치하거나 스크린의 오른쪽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또는 스크린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감응창은 투명한 상태로 표시된다. 감응창상의 감지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 되고 감응창에 의해 유도된, 감응창상의 위치거나, 또는 감응창상의 터치 없이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제스처에 대응하는, 감응창상에서 감지된 위치 일 수 있다.
단계(S102): 감응창상의 획득된 감지위치 및,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와 스크린상의 표시위치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 관계에 따라, 감응창상의 획득된 감지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상의 표시위치를 획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S102) 이후, 처리 방법은,
표시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와 스크린상의 표시위치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 관계은 구체적으로, 감응창의 길이-폭 비율이 스크린의 길이-폭 비율과 동일한 것, 및/또는 감응창의 경계에 대한 감지위치의 상대적 위치와 스크린의 경계에 대한 표시위치의 상대적 위치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감응창은 직사각형 형상이다. 스크린의 가장자리를 경계로 사용하여, 감응창의 길이-폭 비율은 스크린의 길이-폭 비율과 동일하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감응창을 터치할 때, 커서(21)가 스크린상에 나타나고, 스크린상에 커서가 나타나는 위치와 사용자의 손가락이 감응창을 터치하는 위치 사이에는 일대일 대응 관계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감응창의 중앙을 터치할 때, 커서는 스크린의 중앙에 나타난다. 커서가 스크린의 조작 불가능 영역에 위치할 때, 커서의 형상은 도 2의 커서(21)로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조작 불가능 영역은, 버튼, 링크, 쇼트컷(shortcut), 또는 입력 박스가 없는 영역과 같은, 조작이 수행될 수 없는 모든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커서가 스크린의 조작 불가능 영역에 위치할 때, 감응창이 소정 기간 내에 신규 입력 조작 또는 지시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커서는 사라진다. 또는, 커서가 스크린의 조작 가능 영역에 위치할 때, 소정의 기간 내에 입력 조작 또는 지시를 수신하지 못하더라도 커서는 자동으로 사라진다. 따라서, 커서가 스크린의 조장 불가능 영역에 위치하는 상황이 오랫동안 스크린에 표시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조작 가능 영역 내에 커서가 위치했는지를 편리하게 결정할 수 없는 것을 야기하는, 스크린의 조작 가능 영역에 위치한 커서가 사라지는 상황을 피할수 있다.
단계(S103): 표시위치가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에 터치 버튼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S103)은 구체적으로, 이하의 커서가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엥 대응하는, 감응창의 감지위치에 터치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커서가 스크린의 조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커서의 형상은 도 3의 커서(31)로 나타날 수 있고, 커서에 대응하는, 감응창상의 터치 위치에 터치 버튼(32)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조작 가능 영역은, 버튼, 링크, 쇼트컷(shortcut), 또는 입력 박스와 같이, 조작이 수행될 수 있는 모든 영역을 의미한다.
단계(S104): 터치 버튼에 대한 조작 지시를 수신하고, 조작 지시는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한 조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처리 방법의 조작 과정은 이하와 같다.
감응창에 입력 트랙(input track)이 연속적으로 슬라이드(slide)하고, 대응하여, 커서가 스크린의 대응하는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움직인다. 커서가 조작 가능 영역으로 움직일 때, 터치 버튼은 커서에 대응하는, 감응창의 터치 위치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먼저, 감응창 터치를 멈추고, 이후에 터치 버튼을 조작해야 한다. 이런 경우, 터치 버튼에 수행되는 조작은 스크린의 조작 가능 영역에서 사용자에 의해 직접 수행되는 조작과 동등하고, 조작은 적어도 하나의 단일-탭(single-tap) 조작, 더블-탭(double-tap) 조작, 터치와 홀드(touch and hold) 조작, 및 터치와 홀드 조작 후 드래깅(dragging after touch and hold) 조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방법 및 처리 방법 사이의 차이가 있는 처리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전술한 실시에의 처리 방법에서 단계(S101)이전에, 방법은 추가로 감응창을 턴 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감응창은 미리 설정된 물리적 버튼을 사용하여 턴 온 될 수 있고, 물리적 버튼은 단말기의 측면 테두리 또는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5를 참조하면, 감응창을 턴 온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501): 스크린내의 감응창을 사용하여, 감응창에 행해진 제스처를 탐지한다.
단계(S502): 제스처에 대응하는 조작 명령을 획득하도록, 제스처에 따라 매칭을 수행한다.
단계(S503): 조작 지시가 감응창을 턴 온 하는 지시일 때, 감응창을 턴 온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스처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감응창에 행해진 제스처는, 사용자에 의한 감응창 터치에 의해 형성되고 감응창에 의해 유도될 수 있거나, 또는 감응창 터치 없이 사용자에 의해 감응창에 행해지고 감응창에 의해 유도된 제스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스처는 감응창의 임의의 각도를 시작 각도로 사용하고, 시작 지점으로서 시작 각도를 사용하는 슬라이드 제스처로서 설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왼쪽 하부에서 감응창을 사용하는 것이 예로서 나타나 있고, 감응창의 왼쪽 하부 모서리를 사용하는 슬라이딩 제스처, 즉, 시작 각도로서, 스크린의 왼쪽 하부 모서리는 감응창을 턴 온하는 제스처로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처리 방법은 추가로, 감응창을 턴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감응창은 미리 설정된 물리 버튼을 사용하여 턴 오프될 수 있고, 물리 버튼은 단말기의 측면 모서리,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감응창을 턴 오프하는 단계는 또한 구체적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701): 스크린내의 감응창을 사용하여, 감응창에 행해진 제스처를 탐지한다.
단계(S702): 제스처에 대응하는 조작 명령을 획득하도록, 제스처에 따라 매칭을 수행한다.
단계(S703): 조작 지시가 감응창을 턴 오프하는 지시일 때, 감응창을 턴 오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스처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감응창에 행해진 제스처는, 사용자에 의한 감응창 터치에 의해 형성되고 감응창에 의해 유도될 수 있거나, 또는 감응창 터치 없이 사용자에 의해 감응창에 행해지고 감응창에 의해 유도된 제스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스처는, 감응창의 시작 각도의 중심 대칭 각도를 시작 지점으로 사용하는 슬라이딩 제스처로서 설정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왼쪽 하부에 있는 감응창을 사용하는 것이 예로서 나타나 있고, 감응창의 오른쪽 상부 모서리를 시작 지점으로 사용하는 슬라이딩 제스처는 감응창을 턴 오프 하는 제스처로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추가로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방법 및 처리 방법 사이의 차이가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처리 방법은 추가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901): 사용자에 의해, 스크롤 바에 수행된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고, 스크롤 바는 감응창의 모서리에 표시된 수직 및/또는 수평 스크롤 바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수직 스크롤 바는 스크롤 블록(91) 및 스크롤 박스(92)를 포함하고, 수평 스크롤 바는 스크롤 블록(93) 및 스크롤 박스(94)를 포함한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크롤 블록의 길이는, 전체 콘텐츠 내에서 스크린의 현재 페이지상의 콘텐츠의 위치 및 비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스크롤 블록의 길이가 전체 스크롤 박스의 길이의 1/5이고 스크롤 블록이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면, 모두 5개의 콘텐츠 스크린이 있고, 현재 페이지상의 콘텐츠는 전체 콘텐츠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것을 나타낸다. 스크롤 블록의 길이는 콘텐츠 새로 고침에의해 자동으로 조정된다.
예를 들어, 스크롤 바는 감응창의 오른쪽 측면 및 왼쪽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감응창의 오른쪽 측명에 위치할 수 있는 스크롤 바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슬라이딩할 때, 사용자는 스크린 상에 현재 표시된 콘텐츠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감응창의 하부 측상에 위치하는 스크롤 바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할 때, 사용자는 스크린상에 현재 표시된 콘텐츠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고, 이는 사용에게 스크린상에 표시된 콘텐츠를 브라우즈(browse)하기 쉽다.
단계(S902): 슬라이딩 조작에 따라 스크린상의 콘텐츠에 슬라이딩 또는 브라우징(browsing) 조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S902)는 구체적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 속도 및 슬라이딩 폭을 포함한 슬라이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이에 대응하도록, 슬라이딩 속도 및 슬라이딩 폭에 따라, 스크린상의 콘텐츠에 슬라이딩 및 브라우징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추가로,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방법 및 처리 방법 사이의 차이가 있는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처리 방법의 단계(S102)이후에, 방법은 추가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응창상에서 입력 트랙이 연속적으로 슬라이드 하는 것이 감지되면, 스크린상의 대응하는 위치로 커서가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단계;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응창상에서 입력 트랙이 연속적으로 슬라이드하지 않는 것이 감지되면,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상의 표시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사용자가 먼저 감응창상의 a위치에 탭 하고, 이후 손을 떼고, 추가로, 감응창상의 b위치에 탭 할 때, 스크린상의 커서의 표시위치는 a위치에 대응하는 A위치로부터 b 위치에 대응하는 B위치로 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크린의 감응창상의 감지위치가 획득된다. 감응창상의 획득된 감지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상의 표시위치가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에 터치 버튼이 표시되고, 터치 버튼에 대해, 조작 지시를 사용하여 조작 가능 영역 상에 조작이 수행된다. 따라서, 조작은 단말기의 전체 스크린상의 콘텐츠에 한 손으로 수행될 수 있고, 조작이 쉬우며 사용자의 조작 효율을 개선한다. 또한, 고정된 기능 메뉴가 감응창상에 있는 것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감응창의 영역이 줄어든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장치는 제1 획득 모듈(11), 제2 획득 모듈(12), 제1 표시 모듈(13), 및 제1 수신 모듈(14)을 포함한다.
제1 획득 모듈(11)은 스크린의 감응창상의 감지위치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처리 장치는 추가로, 감응창 및 스크린 사이의 위치 관계를 미리 설정하도록 구성된 미리 설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감응창은 스크린의 일부일 수 있고 감응창은 단말기의 중앙 터치 영역일 수 있다. 감응창의 크기는 디자이너에 의해 고정 값으로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감응창은 디자이너에 의해 고정된 위치에 위치할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응창은 스크린의 왼쪽 아래 또는 오른쪽 아래에 위치할수 있거나, 또는 스크린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감응창은 투명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감응창상의 감지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감응창상에 터치되고 감응창에 의해 유도될 수 있거나, 또는 감응창 터치 없이, 사용자에 의해 감응창에 행해지고 감응창에 의해 유도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감응창상의 위치일 수 있다.
제2 획득 모듈(12)은 획득된 감응창상의 감지위치 및,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와 스크린상의 표시위치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감응창상의 획득된 감지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상의 표시위치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처리 장치는 추가로, 표시 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2 표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와 스크린상의 표시위치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 관계는, 구체적으로, 감응창의 길이-폭 비율이 스크린의 길이-폭 비율과 동일한 것 및/또는 감응창의 경계에 대한 감지위치의 상대적 위치는 스크린의 경계에 대한 표시위치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감응창은 직사각형 형상이다. 스크린의 가장자리를 경계로 사용하여, 감응창의 길이-폭 비율은 스크린의 길이-폭 비율과 동일하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감응창을 터치할 때, 커서(21)가 스크린상에 나타나고, 스크린상에 커서가 나타나는 위치와 사용자의 손가락이 감응창을 터치하는 위치 사이에는 일대일 대응 관계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감응창의 중앙을 터치할 때, 커서는 스크린의 중앙에 나타난다. 커서가 스크린의 조작 불가능 영역에 위치할 때, 커서의 형상은 도 2의 커서(21)로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조작 불가능 영역은, 버튼, 링크, 쇼트컷(shortcut), 또는 입력 박스가 없는 영역과 같은, 조작이 수행될 수 없는 모든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커서가 스크린의 조작 불가능 영역에 위치할 때, 감응창이 소정 기간 내에 신규 입력 조작 또는 지시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커서는 사라진다. 또는, 커서가 스크린의 조작 가능 영역에 위치할 때, 소정의 기간 내에 입력 조작 또는 지시를 수신하지 못하더라도 커서는 자동으로 사라진다. 따라서, 커서가 스크린의 조장 불가능 영역에 위치하는 상황이 오랫동안 스크린에 표시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조작 가능 영역 내에 커서가 위치했는지를 편리하게 결정할 수 없는 것을 야기하는, 스크린의 조작 가능 영역에 위치한 커서가 사라지는 상황을 피할수 있다.
제1 표시 모듈(12)은 표시 위치가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에 터치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표시 모듈(13)은 구체적으로, 커서가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에 터치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커서가 스크린의 조작 가능영역에 위치할 때, 커서의 형상은 도 3의 커서(31)일 수 있고, 터치 버튼(32)이 커서에 대응하는, 감응창상의 터치 위치에 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조작 가능 영역은 버튼, 링크, 쇼트컷, 또는 입력 박스와 같은, 조작이 수행될 수 있는 모든 영역을 의미한다.
제1 수신 모듈(14)은 터치 버튼에 대한 조작 지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조작 지시는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한 조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처리 방법의 조작 과정은 이하와 같다.
감응창상에서 입력 트랙이 연속적으로 슬라이드 하고, 이에 대응하여, 커서가 스크린상의 대응하는 위치에 연속적으로 움직인다. 커서가 조작 가능 영역으로 움직일 때, 터치 버튼은 커서에 대응하는, 감응창상의 터치위치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감응창의 터치를 먼저 중단하고, 이후 터치 버튼을 조작해야 한다. 이런 경우, 터치 버튼상에 수행되는 조작은 스크린상의 조작 가능영역에서 사용자에 의해 직접 수행된 조작과 동등하다. 이러한 조작은 적어도 하나의 단일-탭 조작, 더블-탭 조작, 터치와 홀드 조작, 및 터치와 올드 이후의 드래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추가로,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장치 및 처리 장치 사이의 차이가 있는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처리 장치는 추가로, 턴-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턴-온 모듈은 감응창을 턴 온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턴-온 모듈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물리 버튼을 사용하여 감응창을 턴 온하도록 구성되고, 물리 버튼은 단말기의 측면 경계,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턴-온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1 감지 모듈, 제1 매칭 모듈, 및 턴-온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모듈은 감응창을 사용하여, 감응창에 행해지는 제스처를 탐지하도록 구성된다.
제1 매칭 모듈은 제스처에 대응하는 조작 명령을 획득하도록, 제스처에 따라 매칭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턴-온 서브 모듈은 조작 지시가 감응창을 턴 온 하는 지시일 때, 감응창을 턴 온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스처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감응창에 행해진 제스처는, 사용자에 의한 감응창 터치에 의해 형성되고 감응창에 의해 유도될 수 있거나, 또는 감응창 터치 없이 사용자에 의해 감응창에 행해지고 감응창에 의해 유도된 제스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스처는 감응창의 임의의 각도를 시작 각도로 사용하고, 시작 지점으로서 시작 각도를 사용하는 슬라이드 제스처로서 설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왼쪽 하부에서 감응창을 사용하는 것이 예로서 나타나 있고, 감응창의 왼쪽 하부 모서리를 사용하는 슬라이딩 제스처, 즉, 시작 각도로서, 스크린의 왼쪽 하부 모서리는 감응창을 턴 온하는 제스처로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처리 장치는 추가로, 턴-오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턴-오프 모듈은 감응창을 턴 오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턴-오프 모듈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물리 버튼을 사용하여, 감응창을 턴 오프 하도록 구성되고, 물리 버튼은 단말기의 경계 축,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턴-오프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2 감지 모듈, 제2 매칭 모듈, 및 턴-오프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 모듈은 감응창을 사용하여 감응창에 행해진 제스처를 탐지하도록 구성된다.
제2 매칭 모듈 제스처에 대응하는 조작 명령을 획득하도록, 제스처에 따라 매칭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턴-오프 서브 모듈은 조작 지시가 감응창을 턴 오프 하는 지시일 때, 감응창을 턴 오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스처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감응창에 행해진 제스처는, 사용자에 의한 감응창 터치에 의해 형성되고 감응창에 의해 유도될 수 있거나, 또는 감응창 터치 없이 사용자에 의해 감응창에 행해지고 감응창에 의해 유도된 제스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스처는 감응창의 임의의 각도를 시작 각도로 사용하고, 시작 지점으로서 시작 각도를 사용하는 슬라이드 제스처로서 설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왼쪽 하부에서 감응창을 사용하는 것이 예로서 나타나 있고, 감응창의 왼쪽 하부 모서리를 사용하는 슬라이딩 제스처, 즉, 시작 각도로서, 스크린의 왼쪽 하부 모서리는 감응창을 턴 온하는 제스처로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추가로,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장치 및 처리 장치 사이의 차이가 있는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처리 장치는 추가로 제2 수신 모듈 및 조작 모듈을 포함한다.
제2 수신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스크롤 바에 수행된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스크롤 바는 감응창의 모서리에 표시된 수직 및/또는 수평 스크롤 바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수직 스크롤 바는 스크롤 블록(91) 및 스크롤 박스(92)를 포함하고, 수평 스크롤 바는 스크롤 블록(93) 및 스크롤 박스(94)를 포함한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크롤 블록의 길이는, 전체 콘텐츠 내에서 스크린의 현재 페이지상의 콘텐츠의 위치 및 비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스크롤 블록의 길이가 전체 스크롤 박스의 길이의 1/5이고 스크롤 블록이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면, 모두 5개의 콘텐츠 스크린이 있고, 현재 페이지상의 콘텐츠는 전체 콘텐츠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것을 나타낸다. 스크롤 블록의 길이는 콘텐츠 새로 고침에의해 자동으로 조정된다.
예를 들어, 스크롤 바는 감응창의 오른쪽 측면 및 왼쪽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감응창의 오른쪽 측명에 위치할 수 있는 스크롤 바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슬라이딩할 때, 사용자는 스크린 상에 현재 표시된 콘텐츠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감응창의 하부 측상에 위치하는 스크롤 바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할 때, 사용자는 스크린상에 현재 표시된 콘텐츠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고, 이는 사용에게 스크린상에 표시된 콘텐츠를 브라우즈(browse)하기 쉽다.
조작 모둘은 슬라이딩 조작에 따라 스크린상의 콘텐츠에 슬라이딩 또는 브라우징 조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조작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3 획득 모듈 및 조작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획득 모듈은 슬라이딩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슬라이딩 정보는 슬라이딩 속도 및 슬라이딩 폭을 포함한다.
조작 서브 모듈은 대응하여, 슬라이딩 속도 및 슬라이딩 폭에 따라, 스크린상의 콘텐츠에 슬라이딩 및 브라우징 조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추가로,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장치 및 처리 장치와의 차이가 있는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처리 장치는 추가로, 움직임 모듈 및 제3 표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모듈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감응창상에서 입력 트랙이 연속적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이 탐지되면, 스크린상의 대응하는 위치에 커서를 연속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제3 표시 모듈은, 감응창상에서 손가락이 연속적으로 슬라이드하지 않는 것이 탐지되면,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상의 표시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먼저 감응창상의 a위치에 탭 하고, 이후 손을 떼고, 추가로, 감응창상의 b위치에 탭 할 때, 스크린상의 커서의 표시위치는 a위치에 대응하는 A위치로부터 b 위치에 대응하는 B위치로 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크린의 감응창상의 감지위치가 획득된다. 감응창상의 획득된 감지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상의 표시위치가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에 터치 버튼이 표시되고, 터치 버튼에 대해, 조작 지시를 사용하여 조작 가능 영역 상에 조작이 수행된다. 따라서, 조작은 단말기의 전체 스크린상의 콘텐츠에 한 손으로 수행될 수 있고, 조작이 쉬우며 사용자의 조작 효율을 개선한다. 또한, 고정된 기능 메뉴가 감응창상에 있는 것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감응창의 영역이 줄어든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추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의해 제공된, 전술한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추가로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단계 및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실시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고,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는 단말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에서, 단말기(200)는 프로세서(21), 스크린(22), 메모리(24), 및 버스(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은 프로세서(21)에 적용될 수 있다. 환언하면, 프로세서(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는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1)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다. 구현 과정에서, 전술한 방법의 단계는 프로세서(21)내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지시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장치, 디스크리트 게이트(discrete gate), 트랜지스터 논리 회로, 디스크리트 하드웨어 구성요소(discrete hardware component)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 다이어그램은 구현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프로세서(21)에 의해 직접 완성되거나, 프로세서(21)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예컨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memory), 또는 레지스터(register)와 같은 당 업계에서 발달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23) 내에 위치한다. 프로세서(21)는 메모리(23) 내의 정보를 읽고, 전술한 방법의 단계에 따른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전술한 단계를 수행한다.
스크린(22)은 입출력 기능 및 표시 기능이 있는 스크린을 의미하고, 스크린은 감응창을 포함한다. 감응창은 스크린의 일부 영역이고 감응창은 단말기의 중앙 터치 영역이다. 감응창의 크기는 설계자에 의해 고정된 값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다. 감응창은 설계자에 의해 고정된 위치에 설정될 수 있거나, 사용자에의해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응창은 스크린의 왼쪽 아래 또는 오른쪽 아래에 위치하거나 스크린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감응창은 투명한 상태로 표시된다. 감응창상의 감지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고 감응창에 의해 유도된, 감응창상의 위치일 수 있거나, 또는 감응창의 터치 없이, 사용자에 의해 감응창에 행해지고 감응창에의해 감지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감응창상의 위치일 수 있다.
메모리(23)는 일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하고, 지시 및 데이터를 프로세서(21)에 제공한다. 메모리(23)의 부분은, 추가로 NV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는, 프로세서(21)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미리 설정된, 감응창 및 스크린 사이의 위치 관계,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와 스크린상의 표시위치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 및 제스처와 조작 명령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와 스크린상의 표시위치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는 구체적으로, 감응창의 길이-폭 비율이 스크린의 길이-폭 비율과 동일한 것 및/또는 감응창 경계에 대한 감지위치의 상대적 위치는 스크린의 경계에 대한 표시위치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단말기(200)의 구성요소는 버스(24)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버스(24)는 데이터 버스 뿐아니라 파워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한다. 그러나 명확한 설명을 위해, 다양한 버스가 도면에서 버스(24)로 표시된 버스일 수 있다.
당업자는, 실시 예에서의 방법의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는 관련된 하드웨어를 지시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ROM/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전술 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이지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어떠한 수정, 동등한 교체, 또는 개선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 되어야한다.

Claims (16)

  1. 처리 방법으로서,
    스크린 내의 감응창(sensitive screen)상의 감지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감응창상의 획득된 감지위치 및, 상기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와 상기 스크린상의 표시위치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감응창상의 획득된 감지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스크린상의 표시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표시위치가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에 터치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버튼에 대한 조작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감응창상의 획득된 감지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스크린상의 표시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
    상기 표시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위치가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에 터치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커서가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에 상기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이며,
    상기 조작 지시는 상기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한 조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와 상기 스크린상의 표시위치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감응창의 길이-폭 비율이 상기 스크린의 길이-폭 비율과 동일한 것, 및/또는 상기 감응창의 경계에 대한 상기 감지위치의 상대적 위치는 상기 스크린의 경계에 대한 상기 표시위치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한 것인, 처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내의 감응창상의 감지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감응창 및 상기 스크린 사이의 위치 관계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처리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내의 감응창상의 감지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감응창을 턴 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응창을 턴 온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물리적 버튼을 사용하여 상기 감응창을 턴 온하는 단계이거나, 또는
    상기 감응창을 턴 온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린 내의 감응창을 사용하여, 상기 감응창에 대해 행해진 제스처를 탐지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조작 명령을 획득하도록, 상기 제스처에 따른 매칭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조작 지시가 상기 감응창을 턴 온 시키는 지시일 때, 상기 감응창을 턴 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처리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응창을 턴 오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응창을 턴 오프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물리적 버튼을 사용하여 상기 감응창을 턴 오프하는 단계이거나, 또는
    상기 감응창을 턴 오프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린 내의 감응창을 사용하여, 상기 감응창에 행해진 제스처를 탐지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조작 명령을 획득하도록, 상기 제스처에 따라 매칭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조작 지시가 상기 감응창을 턴 오프 하는 지시일 때, 상기 감응창을 턴오프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처리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스크롤 바에 수행된 슬라이딩(sliding)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따라, 상기 스크린의 콘텐츠에, 슬라이딩 및 브라우징(browsing)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 바는 상기 감응창의 모서리에 표시된, 수직 및/또는 수평 스크롤바 인, 처리 방법.
  7. 처리 장치로서,
    스크린 내의 감응창상의 감지위치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 획득 모듈;
    상기 감응창상의 획득된 감지위치 및, 상기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와 상기 스크린상의 표시위치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감응창상의 획득된 감지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스크린상의 표시위치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2 획득 모듈;
    상기 표시위치가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에 터치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1 표시 모듈;
    상기 터치 버튼에 대한 조작 지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2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커서가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된 조작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에 상기 터치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작 지시는 상기 조작 가능 영역에 대한 조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응창상의 감지위치와 상기 스크린상의 표시위치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감응창의 길이-폭 비가 상기 스크린의 길이-폭 비와 동일한 것, 및/또는 상기 감응창의 경계에 대한 상기 감지위치의 상대적 위치가 상기 스크린의 경계에 대한 상기 표시위치의 상대적 위치와 동일한 것인, 처리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응창과 상기 스크린 사이의 위치 관계를 미리 설정하도록 구성된 미리 설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처리 장치.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응창을 턴 온 하도록 구성된 턴-온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턴-온 모듈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물리적 버튼을 사용하여 상기 감응창을 턴 온 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턴-온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린의 감응창을 사용하여, 상기 감응창에 대해 행해진 제스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1 감지 모듈;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조작 명령을 획득하도록, 상기 제스처에 따른 매칭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매칭 모듈; 및
    상기 조작 지시가 상기 감응창을 턴 온 하는 지시일 때, 상기 감응창을 턴 온하도록 구성된 턴-온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처리 장치.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응창을 턴 오프 하도록 구성된 턴-오프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턴-오프 모듈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물리적 버튼을 사용하여 상기 감응창을 턴 오프 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턴-오프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린의 감응창을 사용하여, 상기 감응창에 행해진 제스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2 감지 모듈;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조작 명령을 획득하도록, 상기 제스처에 따라 매칭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매칭 모듈; 및
    상기 조작 지시가 상기 감응창을 턴 오프하는 지시일 때, 상기 감응창을 턴 오프하도록 구성된 턴-오프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처리 장치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스크롤 바에 수행된 슬라이딩(sliding) 조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 및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따라, 상기 스크린의 콘텐츠에 슬라이딩(sliding) 및 브라우징(browsing) 조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조작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 바는 상기 감응창의 모서리에 표시된, 수직 및/또는 수평 스크롤바인, 처리 장치.
  13. 제7항 또는 제8항에 기재된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기.
  14. 단말기로서,
    상기 단말기는, 프로세서, 스크린, 메모리, 및 버스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를 사용하여, 상기 프로세서, 스크린, 및 메모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항에 기재된 처리 방법을 구현하도록, 상기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처리 방법의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지시를 사용하여 구현되고,
    상기 스크린은, 입력 기능, 출력 및 표시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감응창을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지시 및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15. 삭제
  16. 삭제
KR1020167017308A 2013-12-03 2013-12-03 처리 방법, 처리 장치, 및 단말기 KR101802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3/088458 WO2015081503A1 (zh) 2013-12-03 2013-12-03 一种处理方法、装置及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992A KR20160091992A (ko) 2016-08-03
KR101802835B1 true KR101802835B1 (ko) 2017-11-29

Family

ID=5255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7308A KR101802835B1 (ko) 2013-12-03 2013-12-03 처리 방법, 처리 장치,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73613B2 (ko)
EP (1) EP3079340B1 (ko)
KR (1) KR101802835B1 (ko)
CN (1) CN104380238A (ko)
WO (1) WO20150815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39761B (zh) * 2015-02-26 2017-11-2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单手操作的方法及移动终端
CN106293414B (zh) * 2015-05-18 2019-08-06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按钮显示方法及用户设备
CN106371688B (zh) 2015-07-22 2019-10-0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全屏幕单手操作方法及装置
WO2017022031A1 (ja) * 2015-07-31 2017-02-09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
CN108475156A (zh) * 2015-12-31 2018-08-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户界面的菜单显示方法及手持终端
CN106527903B (zh) * 2016-12-08 2020-04-07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触摸控制方法及装置
EP3609402A4 (en) * 2017-04-14 2020-12-16 Rehabilitation Institute Of Chicago D/B/A Shirley PROSTHETIC VIRTUAL REALITY LEARNING INTERFACE AND RELATED PROCESSES
US20190056857A1 (en) * 2017-08-18 2019-02-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izing an active region of a user interface
US10417991B2 (en) 2017-08-18 2019-09-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display device user interface modification
US11237699B2 (en) 2017-08-18 2022-0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ximal menu generation
US11301124B2 (en) 2017-08-18 2022-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interface modification using preview panel
CN109101147B (zh) * 2018-06-28 2022-01-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消息通知显示方法及终端
CN112416226A (zh) * 2020-11-19 2021-02-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按钮的显示方法和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EP4343526A1 (en) 2021-12-08 2024-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one-handed operation mode, and operat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69749A1 (en) * 2010-01-13 2011-07-14 Lenovo (Singapore) Pte, Ltd. Virtual touchpad for a touch device
US20120218307A1 (en) * 2011-02-25 2012-08-30 Asustek Computer Inc.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control screen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2737B2 (ja) * 2007-09-06 2010-02-10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JP4500845B2 (ja) * 2007-11-13 2010-07-14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2077273A1 (ja) 2010-12-07 2012-06-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JP5295328B2 (ja) * 2011-07-29 2013-09-18 Kddi株式会社 スクリーンパッドによる入力が可能な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入力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17241A (ko) * 2011-08-10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서 입출력 방법 및 장치
CN102681779A (zh) * 2012-04-25 2012-09-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南京分公司 触摸屏操作方法及装置
CN102880399B (zh) * 2012-08-01 2016-03-30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屏幕操作方法及装置
CN102915201B (zh) * 2012-09-17 2015-08-0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大屏幕触控手机的单手操作方法
CN102945136B (zh) 2012-11-09 2016-08-03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触控操作方法
CN103024156A (zh) * 2012-11-29 2013-04-0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单手操作移动终端的实现方法、系统及移动终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69749A1 (en) * 2010-01-13 2011-07-14 Lenovo (Singapore) Pte, Ltd. Virtual touchpad for a touch device
US20120218307A1 (en) * 2011-02-25 2012-08-30 Asustek Computer Inc.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control screen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992A (ko) 2016-08-03
WO2015081503A1 (zh) 2015-06-11
EP3079340A1 (en) 2016-10-12
EP3079340B1 (en) 2019-03-06
EP3079340A4 (en) 2016-11-30
US10073613B2 (en) 2018-09-11
US20160306518A1 (en) 2016-10-20
CN104380238A (zh)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835B1 (ko) 처리 방법, 처리 장치, 및 단말기
US11604560B2 (en) Application associ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5265433B2 (ja)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3370140B1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working mode of touch screen
US20130063493A1 (en) Devices and Methods Involving Display Interaction Using Photovoltaic Arrays
TW201329835A (zh) 顯示控制裝置、顯示控制方法及電腦程式
JP2010244132A (ja) タッチパネル付き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制御方法およ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制御プログラム
US20130167084A1 (en) Information terminal,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terminal, and program for controlling information terminal
WO2013044735A1 (zh) 一种浏览器及浏览网页的方法
US20160004420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0222967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crolling a document on a touch panel
US963269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US9292185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170285798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functional key on side surface
KR102135167B1 (ko)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
KR101294201B1 (ko) 휴대형 장치 및 그 조작 방법
JP5620895B2 (ja) 表示制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03079B1 (ko) 터치스크린에서 화면 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US11042293B2 (e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4951221A (zh) 响应触摸操作的方法和电子设备
KR101371524B1 (ko) 원격 접속 제어용 마우스 장치
KR101692848B1 (ko) 호버링을 이용하는 가상 터치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JP2024027867A (ja) オシロスコープ
JP6127892B2 (ja) マルチウィンドウ制御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JP2014153850A (ja)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