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809B1 -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 Google Patents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809B1
KR101802809B1 KR1020160013560A KR20160013560A KR101802809B1 KR 101802809 B1 KR101802809 B1 KR 101802809B1 KR 1020160013560 A KR1020160013560 A KR 1020160013560A KR 20160013560 A KR20160013560 A KR 20160013560A KR 101802809 B1 KR101802809 B1 KR 101802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lid
sampling unit
samp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339A (ko
Inventor
한병권
Original Assignee
이엑스티 주식회사
한국기초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엑스티 주식회사, 한국기초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엑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3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80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8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after finishing the foundation struc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시공된 기초의 시공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시료 채취기에 있어서, 원형 또는 사각형의 링 형상으로 굴착기구의 외주면 일측에 시공된 기초파일의 깊이에 따라 시공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이 설치되는 몸체와, 일단이 막힌 관 형상의 부재로 외면이 상기 몸체의 외면 일측에 결합되는 채취부 및, 상기 채취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뚜껑형상으로 일면에 압력을 받으면 시료가 안으로 투입되도록 오픈되는 마개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가 결합된 굴착기구가 상기 채취부의 일단으로 압력을 받도록 회전하면서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깊이에 도달된 후 상기 채취부의 타단으로 압력을 받도록 회전하여 상기 채취부 안으로 시료가 투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초파일을 시공하는 굴착기구에 시료 채취기를 결합하여 기초파일의 시료를 바로 채취할 수 있어 시공된 기초파일의 품질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시료 채취기가 굴착기구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시공된 기초파일의 전체적인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The sampler for checking out status of constructed foundation-pile }
본 발명은 지반에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시료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축물이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축조할 경우에는 그 기초를 견고히 하기 위하여 지반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 파일, PHC 파일 또는 H형 빔을 매설하는 방법으로 기초공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상기 파일 등의 시공은 건축물 및 구조물 등을 축조하는데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공사이다.
상기 파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타설시공법과 굴착시공법 등이 소개된 바 있다. 굴착시공법은 파일연결부에 장착된 스크류 파일을 회전작동시켜 지반을 굴착하여 파일공을 형성시킨 다음 파일공에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던가 파일을 삽입시키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러한 스크류 파일을 이용한 기존방법은 지반 천공시 발생되는 슬라임이 과도하게 발생되어 천공 때 마다 굴삭기로 천공홀에서 올라오는 슬라임을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천공장치 및 주입하는 주입장치가 별개로 개발되어 있어 파일을 시공하는데 공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고, 천공하면서 천공 홀의 토사를 모두 제거하고 그라우팅을 함으로 그라우팅재가 과도하게 들어가 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등록특허 제10-1441929호와 특허출원 제2015-0002671 호가 제시되어 굴착시 발생되는 슬라임이 거의 없고 그라우팅액이 토사와 혼합되어 굴착시 그라우팅하는 재료가 적게 들어 파일의 시공기간 및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라임과 그라우팅재를 혼합하여 파일 형태로 만든 발명으로 안정적으로 설계상의 지지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어 고층 빌딩이나 중요한 구조물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지중에 시공되는 기초파일의 성격상 기초파일의 품질을 제대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단지, 시추보링과 표준관입시험 등을 하여 지반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으나 시추보링과 표준관입시험은 시공된 기초파일에 장비를 제대로 설치할 방법이 없을 뿐만 아니라 교란된 시료를 얻어 제대로 된 기초파일의 품질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8522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착 또는 기초파일 시공시에 사용되는 굴착기구에 시료 채취기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한 후 시공된 기초파일에 삽입시켜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으로 토사와 그라우팅액이 혼합되어 형성된 기초파일의 품질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시료 채취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시공된 기초의 시공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시료 채취기에 있어서, 원형 또는 사각형의 링 형상으로 굴착기구의 외주면 일측에 시공된 기초파일의 깊이에 따라 시공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이 설치되는 몸체와, 일단이 막힌 관 형상의 부재로 외면이 상기 몸체의 외면 일측에 결합되는 채취부 및, 상기 채취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뚜껑형상으로 일면에 압력을 받으면 시료가 안으로 투입되도록 오픈되는 마개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가 결합된 굴착기구가 상기 채취부의 일단으로 압력을 받도록 회전하면서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깊이에 도달된 후 상기 채취부의 타단으로 압력을 받도록 회전하여 상기 채취부 안으로 시료가 투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를 제공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기초파일을 시공하는 굴착기구에 시료 채취기를 결합하여 기초파일의 시료를 바로 채취할 수 있어 시공된 기초파일의 품질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시료 채취기가 굴착기구에 원하는 심도에 2개의 1세트(set)로 설치될 수 있고, 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시공된 기초파일의 전체적인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시공된 기초파일의 시료를 채취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비를 세팅할 필요 없이 기초파일을 시공하는데 사용된 굴착기구에 간단히 시료 채취기를 결합하여 간단히 기초파일의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시료 채취기에 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3은 마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시료 채취기에 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시료 채취기에 관한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도5의 채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도5의 채취부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시료 채취기가 굴착기구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몸체의 외면에 채취부가 일정각도로 틀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시료 채취기에 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3은 마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시료 채취기에 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시료 채취기에 관한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6은 도5의 채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도5의 채취부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시료 채취기가 굴착기구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몸체의 외면에 채취부가 일정각도로 틀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원발명은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시공된 기초의 시공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시료 채취기에 있어서, 원형 또는 사각형의 링 형상으로 굴착기구(20)의 외주면 일측에 시공된 기초의 깊이에 따라 시공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이 설치되는 몸체(100)와, 일단이 막힌 관 형상의 부재로 외면이 상기 몸체(100)의 외면 일측에 결합되는 채취부(200) 및, 상기 채취부(200)의 타단에 결합되는 뚜껑형상으로 일면에 압력을 받으면 시료가 안으로 투입되도록 오픈되는 마개(300)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100)가 결합된 굴착기구(20)가 상기 채취부(200)의 일단으로 압력을 받도록 회전하면서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깊이에 도달된 후 상기 채취부(200)의 타단으로 압력을 받도록 회전하여 상기 채취부(200) 안으로 시료가 투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몸체(100), 채취부(200) 및 마개(300)로 구성되는 시료 채취기(10)에 관한 것으로 굴착기구에 간단히 설치한 후 바로 기초파일의 시료를 바로 획득하는 방법으로 현장에서 콘크리트 등 다양한 믹싱재료를 타설하여 형성된 기초파일의 품질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축물이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축조할 경우에는 그 기초를 견고히 하기 위하여 지반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 파일, PHC 파일 또는 H형 빔을 매설하는 방법으로 기초공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상기 파일 등의 시공은 건축물 및 구조물 등을 축조하는데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공사이다.
상기 파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타설시공법과 굴착시공법 등이 소개된 바 있다. 굴착시공법은 파일연결부에 장착된 스크류 파일을 회전작동시켜 지반을 굴착하여 파일공을 형성시킨 다음 파일공에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던가 파일을 삽입시키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러한 스크류 파일을 이용한 기존방법은 지반 천공시 발생되는 슬라임이 과도하게 발생되어 천공 때 마다 굴삭기로 천공홀에서 올라오는 슬라임을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천공장치 및 주입하는 주입장치가 별개로 개발되어 있어 파일을 시공하는데 공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고, 천공하면서 천공 홀의 토사를 모두 제거하고 그라우팅을 함으로 그라우팅재가 과도하게 들어가 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등록특허 제10-1441929호와 특허출원 제2015-0002671호가 제시되어 굴착시 발생되는 슬라임이 거의 없고 그라우팅액이 토사와 혼합되어 굴착시 그라우팅하는 재료가 적게 들어 파일의 시공기간 및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라임과 그라우팅재를 혼합하여 파일 형태로 만든 발명으로 안정적으로 설계상의 지지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어 고층 빌딩이나 중요한 구조물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지중에 시공되는 기초파일의 성격상 기초파일의 품질을 제대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단지, 시추보링과 표준관입시험 등을 하여 지반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으나 시추보링과 표준관입시험은 시공된 기초파일에 장비를 제대로 설치할 방법이 없을 뿐만 아니라 교란된 시료를 얻어 제대로 된 기초파일의 품질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착 또는 기초파일 시공시에 사용되는 굴착기구에 시료 채취기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한 후 시공된 기초파일에 삽입시켜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으로 토사와 그라우팅액이 혼합되어 형성된 기초파일의 품질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시료 채취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기초파일을 시공하는 굴착기구에 시료 채취기를 결합하여 기초파일의 시료를 바로 채취할 수 있어 시공된 기초파일의 품질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시료 채취기가 굴착기구에 원하는 심도에 2개의 1세트(set)로 설치될 수 있고, 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시공된 기초파일의 전체적인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된 기초파일의 시료를 채취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비를 세팅할 필요 없이 기초파일을 시공하는데 사용된 굴착기구에 간단히 시료 채취기를 결합하여 간단히 기초파일의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몸체(100)는 기초파일의 시료를 채취하기 위하여 시료 채취기가 굴착기구(20)에 손쉽게 설치되게 도와 주는 부재이다. 상세하게 몸체(100)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링 형상으로 굴착기구(20)의 외주면 일측에 시공된 기초의 깊이에 따라 시공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이 설치되는 부재이다. 즉, 몸체(100)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링 형상으로 되어 있어 굴착기구(20)가 내부의 관통공 안으로 삽입되도록 한 후 기초파일의 품질을 확인할 수 있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부재이다. 몸체(100)는 기초파일의 시공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공현장에 따라 1개 이상이 굴착기구(20)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일례로 2개의 몸체(100)가 굴착기구(20)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2개가 1개의 쌍으로 이루어져 2개 이상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간격은 뒤에서 설명하는 채취부(200) 직경의 1/2배에서 100배의 크기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다.
몸체(100)는 굴착기구(20)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몸체(100)는 상기 굴착기구(2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반원 형상의 부재로 양단에 판형상의 돌출부재(130)가 결합되어 있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와, 일단이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돌출부재(13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방법으로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를 일체화시키는 제1결합부재(14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는 굴착기구(20)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된 후 상기 제1결합부재(140)로 상기 몸체(100)가 굴착기구(20)의 외주면 일측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돌출부재(130)는 운반 및 결합을 용이하도록 판 형상의 부재이다. 제1결합부재(140)는 일단이 돌출부재(13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방법으로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를 일체화 시키는 부재로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몸체(100)는 굴착기구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반원 형상의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와,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판형상의 부재로 일측에 결합홈(131)이 생성되어 있는 돌출부재(130) 및, 일단이 상기 제2몸체(120)에 회전되어 움직이도록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150)로 구성되되,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굴착기구(20)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된 후 상기 제2결합부재(150)가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결합홈(13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법으로 상기 몸체(100)가 굴착기구(20)의 외주면 일측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돌출부재(130)는 운반 및 결합을 용이하도록 판 형상의 부재로 가운데 결합홈(131)이 생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의 모양을 하고 있다. 제2결합부재(150)는 몸체(100)가 굴착기구(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제2몸체(120)에서 회전되면서 결합홈(131)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일체거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제2결합부재(15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제2결합부재(150)는 링 형상의 부재로 상기 제2몸체(120)의 상기 돌출부재(130) 일면에 2개가 결합되는 링부재(151)와, 일단이 링모양으로 되어 있고, 타단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부재(152)와, 일단이 상기 링부재(151)와 상기 볼트부재(152)의 일단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볼트부재(152)가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153) 및, 상기 볼트부재(152)의 타단에 설치되는 아이너트(eye nut)(154)로 구성되되, 상기 볼트부재(152)가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결합홈(131)에 삽입된 후 상기 아이너트(154)가 회전되어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120)를 일체화 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몸체(100)가 굴착기구(20)의 외주면 일측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몸체(1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채취부(200)는 몸체(100)에 결합되어 기초파일의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부재이다. 상세하게 채취부(200)는 일단이 막힌 관 형상의 부재로 외면이 상기 몸체(100)의 외면 일측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채취부(200)는 일단에 1개 이상의 배출구(221)가 뚫려 있어 회전시 상기 채취부(200) 안으로 투입된 시료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채취부(200)의 배출구(221)는 다양한 크기로 뚫려 있을 수 있는데 일례로 7mm 크기의 직경으로 뚫려 있을 수 있다. 채취부(200)는 시료를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몸체(100)에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일례로 용접 또는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채취부(200)는 시료를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채취부(200)의 외면이 상기 몸체(100)의 외면 일측에 상기 몸체(100)와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채취부(200)와 상기 몸체(100)가 이루는 각도는 몸체(100)가 이루는 평면과 채취부(200)의 길이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하며 그 각도는 5도 내지 30도일 수 있다.
채취부(200)는 몸체(100)에 결합되어 시료를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실시예로 상기 채취부(200)는 일단이 막힌 관 형상의 부재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너비로 절개되어 채취뚜껑(220)이 형성된 채취몸체(210)와 상기 채취뚜껑(220) 부분이 굴착기구(20)의 회전시 상기 채취몸체(210)에 고정되도록 상기 채취몸체(210)와 상기 채취뚜껑(220)을 감싸는 방법으로 설치되는 링 밴드 형상의 제1고정부재(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시료를 채취한 후 상기 뚜껑(210)과 상기 제1고정부재(230)를 상기 채취부(200)로부터 분리시켜 시료를 얻을 수 있다. 채취몸체(210)와 채취뚜껑(220)은 관 형상의 채취부(200)에서 채취뚜껑(220) 부분을 절개하여 채취부(200)를 분리시킨 구성으로 시료를 채취한 후 시료를 채취부(200)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제1고정부재(230)는 링 밴드 형상으로 상기 채취부(200)와 상기 채취뚜껑(220)을 감싸는 방법으로 설치되어 굴착기구(20)의 회전시 채취뚜껑(220) 부분이 상기 채취부(200)에 고정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링 밴드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채취부(200)는 일단이 막힌 관 형상의 부재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너비로 절개되어 채취뚜껑(220)이 형성된 채취몸체(210)와 상기 채취뚜껑(220)의 일측과 상기 채취몸체(210)의 일측이 맞닿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채취몸체(210)와 상기 채취뚜껑(220)의 일측을 서로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240)와 상기 채취뚜껑(220)의 타측과 상기 채취몸체(210)의 타측이 맞닿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채취뚜껑(220)이 오픈될 때 상기 채취뚜껑(220)의 타측 부분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오픈되도록 하는 경첩(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사용자가 시료를 채취한 후 상기 제2고정부재(240)를 풀어 상기 채취뚜껑(220)이 자연스럽게 타측을 기준을 회전되어 채취한 시료를 얻을 수 있다. 채취몸체(210)와 채취뚜껑(220)은 관 형상의 채취부(200)에서 채취뚜껑(220) 부분을 절개하여 채취부(200)를 분리시킨 구성으로 시료를 채취한 후 시료를 채취부(200)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제2고정부재(240)는 상기 채취뚜껑(220)의 일측과 상기 채취몸체(210)의 일측이 맞닿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채취몸체(210)와 상기 채취뚜껑(220)의 일측을 서로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즉, 제2고정부재(240)는 채취부(200)가 절단되어 채취몸체(210)와 채취뚜껑(220)으로 분리되되 상기 채취몸체(210)와 채취뚜껑(220)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제2고정부재(240)는 채취몸체(210)와 채취뚜껑(220)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일측이 상기 채취몸체(2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채취뚜껑(220)에 결합되는 매미고리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고정부재(240)는 상기 채취뚜껑(220)의 일측과 상기 채취몸체(210)의 일측이 맞닿을 때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상기 채취뚜껑(220)의 일측과 상기 채취몸체(210)의 일측 각각에 결합되는 관형상의 결합관(241)과, 일단이 상기 결합관(241)을 관통하여 상기 채취몸체(210)와 상기 채취뚜껑(220)의 일측을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막대(242) 및, 상기 고정막대(242)의 일단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고정막대가 상기 결합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는 고정핀(243)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경첩(250)은 상기 채취뚜껑(220)의 타측과 상기 채취몸체(210)의 타측이 맞닿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채취뚜껑(220)이 오픈될 때 상기 채취뚜껑(220)의 타측 부분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오픈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즉, 경첩(250)은 부재에 설치되어 부재가 타측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오픈되도록 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의 경첩이 사용될 수 있다. 고정막대(242)는 타단이 일정각도로 구부러져 'ㄱ'자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고정막대(242)는 1개로 제작되어 설치될 수도 있으나 때에 따라서 2개로 제작되어 설치될 수 있다. 고정막대(242)가 2개로 제작되어 설치되는 경우 2개의 고정막대(242)가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다수개의 결합관(241)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채취몸체(210)와 상기 채취뚜껑(220)의 일측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핀(243)은 충격에 의해서 고정막대(242)가 결합관(24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한 부재로 고정막대(242)의 일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통상적인 핀 부재이다.
또한, 채취부(200)의 타단 내측 공간에 뒤에서 설명하는 마개몸체(310)가 끼워지는 마개결합홈(211)이 파져 있을 수 있다. 즉, 마개몸체(310)가 채취부(200) 타단 내측 공간에 끼워져 고정될 때 내측 공간에 마개결합홈(211)이 있어 마개몸체(310)가 채취부(200) 타단 내부에 용이하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채취부(2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마개(300)는 채취부(200)의 타단에 결합된 후 압력을 받으면 시료가 채취부(200) 안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상세하게 마개(300)는 채취부(200)의 타단에 뚜껑 형상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채취부(200)의 타단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있어 일면에 압력을 받으면 시료가 안으로 투입되도록 오픈되는 부재이다.
마개(300)는 채취부(200)의 타단에 결합된 후 시료 채취시 압력을 받으면 오픈되어 시료가 채취부(200) 안으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상기 마개(300)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중심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을 따라 다수개로 절개되어 있어 압력을 받으면 다수개로 절개된 면이 상기 채취부(200) 안으로 들어가면서 시료가 안으로 투입되어 원하는 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마개(300)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링 형태의 마개몸체(310)와 판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상기 마개몸체(310)의 내부 면에 다수개가 설치되되 일단의 일측이 서로 겹치고 타단이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마개판(320)으로 구성되되, 상기 마개판(320)이 압력을 받으면 다수의 상기 마개판(320)의 타단이 상기 채취부(200) 안으로 들어가면서 상기 채취부(200) 안으로 시료가 투입되어 원하는 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마개(3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시료 채취기 20 : 굴착기구
100 : 몸체
110 : 제1몸체 120 : 제2몸체
130 : 돌출부재 131 : 결합홈
140 : 제1결합부재 150 : 제2결합부재
151 : 링부재 152 : 볼트부재
153 : 회전축 154 : 아이너트
200 : 채취부
210 : 채취뚜껑 220 : 채취몸체
230 : 제1고정부재 240 : 제2고정부재
241 : 결합관 242 : 고정막대
243 : 고정핀
250 : 경첩
300 : 마개
310 : 마개몸체 320 : 마개판

Claims (17)

  1. 시공된 기초의 시공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시료 채취기에 있어서,
    원형 또는 사각형의 링 형상으로 굴착기구(20)의 외주면 일측에 시공된 기초파일의 깊이에 따라 시공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이 설치되는 몸체(100);
    일단이 막힌 관 형상의 부재로 외면이 상기 몸체(100)의 외면 일측에 결합되는 채취부(200); 및,
    상기 채취부(200)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면에 압력을 받으면 시료가 안으로 투입되도록 오픈되는 마개(300)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100)가 결합된 굴착기구(20)가 상기 채취부(200)의 일단으로 압력을 받도록 회전하면서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깊이에 도달된 후 상기 채취부(200)의 타단으로 압력을 받도록 회전하여 상기 채취부(200) 안으로 시료가 투입되도록 하고,
    상기 채취부(200)의 일단에 1개 이상의 배출구(221)가 뚫려 있어 회전시 상기 채취부(200) 안으로 투입된 시료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기 굴착기구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반원 형상의 부재로 양단에 판형상의 돌출부재(130)가 결합되어 있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및,
    일단이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돌출부재(13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방법으로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를 일체화시키는 제1결합부재(140)로 구성되되,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굴착기구(20)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된 후 상기 제1결합부재(140)로 상기 몸체(100)가 굴착기구(20)의 외주면 일측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기 굴착기구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반원 형상의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12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판형상의 부재로 일측에 결합홈(131)이 생성되어 있는 돌출부재(130); 및,
    일단이 상기 제2몸체(120)에 회전되어 움직이도록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150)로 구성되되,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굴착기구(20)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된 후 상기 제2결합부재(150)가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결합홈(13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법으로 상기 몸체(100)가 굴착기구(20)의 외주면 일측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재(150)는
    링 형상의 부재로 상기 제2몸체(120)의 상기 돌출부재(130) 일면에 2개가 결합되는 링부재(151);
    일단이 링모양으로 되어 있고, 타단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부재(152);
    일단이 상기 링부재(151)와 상기 볼트부재(152)의 일단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볼트부재(152)가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153); 및,
    상기 볼트부재(152)의 타단에 설치되는 아이너트(eye nut)(154)로 구성되되,
    상기 볼트부재(152)가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결합홈(131)에 삽입된 후 상기 아이너트(154)가 회전되어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120)를 일체화 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몸체(100)가 굴착기구(20)의 외주면 일측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부(200)는
    일단이 막힌 관 형상의 부재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너비로 절개되어 채취뚜껑(220)이 형성된 채취몸체(210)와 상기 채취뚜껑(220) 부분이 굴착기구(20)의 회전시 상기 채취몸체(210)에 고정되도록 상기 채취몸체(210)와 상기 채취뚜껑(220)을 감싸는 방법으로 설치되는 링 밴드 형상의 제1고정부재(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시료를 채취한 후 상기 채취뚜껑(220)과 상기 제1고정부재(230)를 상기 채취몸체(210)로부터 분리시켜 시료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부(200)는
    일단이 막힌 관 형상의 부재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너비로 절개되어 채취뚜껑(220)이 형성된 채취몸체(210);
    상기 채취뚜껑(220)의 일측과 상기 채취몸체(210)의 일측이 맞닿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채취몸체(210)와 상기 채취뚜껑(220)의 일측을 서로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240); 및,
    상기 채취뚜껑(220)의 타측과 상기 채취몸체(210)의 타측이 맞닿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채취뚜껑(220)이 오픈될 때 상기 채취뚜껑(220)의 타측 부분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오픈되도록 하는 경첩(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사용자가 시료를 채취한 후 상기 제2고정부재(240)를 풀어 상기 채취뚜껑(220)이 자연스럽게 타측을 기준을 회전되어 채취한 시료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240)는
    일측이 상기 채취몸체(2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채취뚜껑(220)에 결합되는 매미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240)는
    상기 채취뚜껑(220)의 일측과 상기 채취몸체(210)의 일측이 맞닿을 때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상기 채취뚜껑(220)의 일측과 상기 채취몸체(210)의 일측 각각에 결합되는 관형상의 결합관(241);
    일단이 상기 결합관(241)을 관통하여 상기 채취몸체(210)와 상기 채취뚜껑(220)의 일측을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막대(242); 및,
    상기 고정막대(242)의 일단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고정막대가 상기 결합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는 고정핀(24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9. 제8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고정막대(242)가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다수개의 상기 결합관(241)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채취몸체(210)와 상기 채취뚜껑(220)의 일측을 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부(200)는 외면이 상기 몸체(100)의 외면 일측에 상기 몸체(100)와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부(200)와 상기 몸체(100)가 이루는 각도는 5도 내지 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300)는
    상기 채취부(200)의 타단에 뚜껑 형상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채취부(200)의 타단 내측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300)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중심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을 따라 다수개로 절개되어 있어 압력을 받으면 다수개로 절개된 면이 상기 채취부(200) 안으로 들어가면서 시료가 안으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300)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링 형태의 마개몸체(310)와 판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상기 마개몸체(310)의 내부 면에 다수개가 설치되되 일단의 일측이 서로 겹치고 타단이 서로 맞물리는 방법으로 설치되는 마개판(320)으로 구성되되,
    상기 마개판(320)은 압력을 받으면 다수의 상기 마개판(320)의 타단이 상기 채취부(200) 안으로 들어가면서 상기 채취부(200) 안으로 시료가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부(200)의 타단 내측 공간에 상기 마개몸체(310)가 끼워지는 마개결합홈(211)이 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굴착기구(20)의 외주면에 2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KR1020160013560A 2016-02-03 2016-02-03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KR101802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560A KR101802809B1 (ko) 2016-02-03 2016-02-03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560A KR101802809B1 (ko) 2016-02-03 2016-02-03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339A KR20170092339A (ko) 2017-08-11
KR101802809B1 true KR101802809B1 (ko) 2017-11-29

Family

ID=5965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560A KR101802809B1 (ko) 2016-02-03 2016-02-03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8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7540A (ja) * 2008-02-25 2009-09-03 Kinuta Yoko:Kk ソイルセメントサンプル採取用具
JP2012184559A (ja) * 2011-03-04 2012-09-27 Onoda Chemico Co Ltd 未硬化改良土の試料の採取器及び採取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7540A (ja) * 2008-02-25 2009-09-03 Kinuta Yoko:Kk ソイルセメントサンプル採取用具
JP2012184559A (ja) * 2011-03-04 2012-09-27 Onoda Chemico Co Ltd 未硬化改良土の試料の採取器及び採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339A (ko)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392B1 (ko) 소구경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2353939B1 (ko)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겹침 주열식 현장타설말뚝 흙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JP5230576B2 (ja) 土中試料の採取装置、該採取装置を取り付けたヘッド、および該ヘッドを用いた土中試料の採取方法
KR101694844B1 (ko) 안내 케이싱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KR101675884B1 (ko) 확장판이 제작된 헬리컬 파일 및 그 시공 방법
KR101824049B1 (ko) 지반개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개량공법
CA2885091C (en) Ground engaging shaft
KR102091646B1 (ko) 지반개량형 합성말뚝 시공방법
KR101754662B1 (ko) 기초파일 시공방법
JP6632028B2 (ja) コンクリート組立擁壁
KR100992886B1 (ko) 흙막이 벽체 시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케이싱 시스템
KR101802809B1 (ko)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
KR102351397B1 (ko) 다각형 겹침주열말뚝에 의한 원형수직구 시공방법 및 원형수직구
JP3192516U (ja) 鋼管コンクリート複合杭
KR102019908B1 (ko) 연속벽 형성 가이드
JP5391390B1 (ja) 基礎鋼管、基礎鋼管に使用する回転工具及びこれらの施工方法
KR101042272B1 (ko) 연결구가 구비된 마이크로 파일 천공 케이싱파이프
JPH11181790A (ja) 建屋基礎の施工法
KR100968648B1 (ko) 흙막이 벽체 시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JP2007177488A (ja) 浸透管の埋設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施工装置
JP6735138B2 (ja) 土留壁構造の構築方法および土留壁構造
KR101702180B1 (ko) 차수기능의 분리형 선단슈를 이용한 비배토 현장타설말뚝 시공 공법
KR102259961B1 (ko) 말뚝 보강재 가이드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05551B1 (ko) 중공콘크리트관을 이용한 가설 흙막이 벽체
KR101762628B1 (ko) 건물 내부 흙막이용 h파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