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637B1 - 수직형 탈기기 - Google Patents

수직형 탈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637B1
KR101802637B1 KR1020160029640A KR20160029640A KR101802637B1 KR 101802637 B1 KR101802637 B1 KR 101802637B1 KR 1020160029640 A KR1020160029640 A KR 1020160029640A KR 20160029640 A KR20160029640 A KR 20160029640A KR 101802637 B1 KR101802637 B1 KR 101802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ertical tank
vertical
inflow water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032A (ko
Inventor
박병성
최영준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9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63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6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0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 F22D1/5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incorporating thermal de-aeration of feed-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42Degasification of liquids modifying the liquid flow
    • B01D19/0047Atomizing, spraying, trick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증기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탱크 내부의 유동 제어가 가능하며, 전체적인 탈기 효율이 향상된 수직형 탈기기에 관한 것으로, 유입수의 탈기가 이루어지는 수직형 탱크와, 상기 수직형 탱크의 측면에 설치되어 유입수와 수증기를 동시에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수직형 탱크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유입수로부터 제거된 산소를 배출시키는 배기관 및 상기 수직형 탱크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산소가 제거된 유입수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수직형 탈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직형 탈기기 {Vertical Deaerator}
본 발명은 수직형 탈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증기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탱크 내부의 유동 제어가 가능하며, 전체적인 탈기 효율이 향상된 수직형 탈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 및 소각플랜트 등과 같은 각종 산업분야에서는 열기기와 연관된 산업용 증기발생설비를 사용하며, 보일러 급수를 스팀드럼에 보내기 전에 급수 내의 용존산소 및 탄산가스를 분리 제거하기 위해서 탈기기를 설치하여 급수 중에 용존되어 있는 산소 및 탄소가스를 분리 제거한다.
용존가스는 비응축성가스로 증기사용설비의 전열면에 단열 가스층을 만들고 열전달을 방해하여 설비의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용존산소는 금속에 대한 부식성이 탄산가스에 비하여 약 10배 정도이고, 고온고압 상태에서는 상온시에 비해서 약 20배 이상에 달한다. 또한, 급수의 온도가 상승하면 물에 녹아있던 산소는 활성화된 기체 상태로 물 속에 녹아있는 무기물과 화학반응을 하여 불순물(Particulates)로 변하게 되며, 이렇게 만들어진 것의 일부는 열교환기 표면에 표착(deposit)하게 된다. 더욱이, 보일러 표면에 부착되어 철의 산화부식을 가속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탈기기를 설치하여 급수에 함유되어 있는 산소농도를 최대로 감소시키는 것은 중요하다.
탈기기를 통하여 산소가 탈기되는 원리는 산소의 용해도가 포화온도에서 0이 되는 것이다. 즉, 포화온도에서 공기는 물에 녹지 않고, 포화온도에서 모든 산소는 증발되어 제거되게 된다. 물 표면은 수증기와 접촉하게 될 때 포화온도가 되며, 이에 따라 공기(산소)는 물 표면에서 곧바로 증발하게 된다. 이때 탈기되는 속도는 물속에 있는 산소가 물표면(수증기와 접촉하는 표면)에 도달하는 속도가 된다. 탈기되는 비율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물이 수증기와 접촉하는 면을 크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시 말하면, 공기가 표면까지 확산(diffusion)되는 거리를 작게하여야 탈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탈기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탈기기는 탈기기 몸체(10)를 포함하고, 탈기기 몸체(10)의 상단부에는 물과 수증기가 유입될 수 있는 물 유입관(20)과 수증기 유입관(30)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증기 유입관(30)을 통해 수중으로 수증기가 공급되고, 상기 물 유입관(20)을 통해 탈기기 몸체(10) 내로 유입된 물은 적정한 수위를 유지하면서 수증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물에 포함된 산소가 제거되어진다. 즉, 물의 표면적에 수증기가 접촉되게 되면서, 수증기는 응축되고, 응축되면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물이 가열되면서 물에 포함된 산소가 증발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산소가 제거된 물은 배출부(40)를 통해 응축수 탱크 등에 유입되게 되며, 물에서 증발된 산소는 탈기기 몸체(10)의 상단부에 구비된 산소배출관(50)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탈기기 몸체(10)가 수평형으로 형성되었으며, 몸체로 유입된 물을 적정한 수위로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물의 표면적(물방울)과 수증기가 접할 수 있는 시간이 짧아 물질 및 에너지 교환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탈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피가 큰 몸체가 필요하며, 부피가 커짐에 따라 부지면적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운영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수증기가 수중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물과의 물질 및 에너지 교환에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88-0012946호 (1988.11.29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증기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탱크 내부의 유동 제어가 가능하며, 전체적인 탈기 효율이 향상된 수직형 탈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입수의 탈기가 이루어지는 수직형 탱크와, 상기 수직형 탱크의 측면에 설치되어 유입수와 수증기를 동시에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수직형 탱크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유입수로부터 제거된 산소를 배출시키는 배기관 및 상기 수직형 탱크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산소가 제거된 유입수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수직형 탈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유입수는 동시에 분사되는 수증기에 의해 미립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수직형 탱크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입수와 수증기는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상기 수직형 탱크의 내부를 회전하도록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수직형 탱크의 외주면과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수직형 탱크의 외주면에 분사노즐이 설치되는 위치의 가로 접선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입수와 수증기는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상기 수직형 탱크의 내부에서 상부를 향해 나선형을 그리며 회전하도록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수직형 탱크의 상단부를 향해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유입수의 평균 직경은 50㎛이상 1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관 주변에 설치되어 하단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시키는 스프레이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레이 노즐은 상기 배기관을 중심으로 주변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유입수의 일부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형 탱크의 중심부에는 상기 스프레이 노즐에 의해 분사되어 하강하는 유체의 유동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형 탱크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관을 향해 상승하는 유입수 또는 수증기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집부는, 메쉬(mesh) 또는 데미스터(demister)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집부는, 가운데가 뚫린 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집부는, 상기 스프레이 노즐에 의해 유체가 분사되는 범위만큼 가운데가 뚫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직형 탈기기에 따르면, 수직형 탱크로 이루어짐으로써 부지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영비도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탱크의 부피를 작게 설계하여도 수위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수증기(steam)와 유입수(feed water)가 수직형 탱크의 측면에 위치한 분사노즐을 통해 동시에 분사됨으로써, 유입수가 미립자화되어 수증기와 유입수 간의 물질 및 에너지 전달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탈기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유입수가 분사노즐에 의해 탱크의 내부를 회전하도록 분사됨으로써, 유입수가 회전하는 유동이 발생하여 수증기와의 반응시간이 충분히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기관 주변에 설치되는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탱크의 중심부에서 하강하는 유체의 유동이 형성되어, 수증기가 배기관으로 접근하여 배기관을 통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탱크 내부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집부를 통해 배기관을 향해 접근하는 유입수 또는 수증기를 포집할 수 있어, 유입수와 수증기의 손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탈기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탈기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직형 탈기기의 내부 유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수직형 탱크를 제외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수직형 탈기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탈기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탈기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수직형 탈기기의 내부 유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수직형 탱크를 제외한 평면도이다.
발전 및 소각 플랜트 등 산업용 증기 발생 설비에 있어서 급수 내의 용존산소와 이산화탄소는 급수계통의 부식을 유발하여 결국 배관 계통 및 전체 설비의 급격한 수명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용존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탈기기의 설치가 필수적이며, 본 발명의 수직형 탈기기는 탈기가 필요한 곳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우선,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탈기기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탈기기는 개략적으로 수직형 탱크(100), 분사노즐(200), 배기관(300), 배출부(400), 스프레이 노즐(500) 및 포집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직형 탱크(100)는 유입수(feed water)의 탈기가 이루어지는 곳으로, 가로의 길이보다 세로의 길이가 충분히 긴 탱크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형 탱크(100)는 상단부, 중단부 및 하단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단부와 하단부는 둥근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수직형 탱크(100)로 이루어짐으로써 부지면적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영비도 절감될 수 있으며, 탱크의 부피를 작게 설계하여도 수위 조절이 용이하다.
상기 수직형 탱크(100)의 측면에는 유입수(feed water)와 수증기(steam)가 분사되기 위한 분사노즐(20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노즐(200)을 통해 유입수와 수증기가 동시에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노즐(200)은 상기 수직형 탱크(100)의 하단부 상측 또는 중단부 하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수직형 탱크(100) 내부의 적정 수위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노즐(200)은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으나, 상기 수직형 탱크(10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분사노즐(200)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유입수와 수증기를 여러 곳에서 분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일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200)이 상기 수직형 탱크(100)의 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4개가 배치되어 있으며, 같은 방향을 향해 유입수와 수증기를 분사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200)은 상기 수직형 탱크(100)의 외주면과 예각을 이루며, 이에 따라 분사노즐(200)에 의해 분사되는 유입수와 수증기가 상기 수직형 탱크(100)의 내부를 회전하는 흐름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노즐(200)은 상기 수직형 탱크(100)의 외주면에서 분사노즐이 설치되는 위치의 가로 접선과 예각을 이룰 수 있으며, 탱크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분사노즐(200)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본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200)을 통해 분사되는 유입수와 수증기가 상기 수직형 탱크(100)의 내부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흐름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분사노즐(200)의 좌측에서 가로 접선과 예각(α)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 수직형 탱크(100)의 우측 내벽면을 향해 분사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복수개 설치된 분사노즐(200)이 가로 접선과 이루는 각각의 예각은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직형 탱크(10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 설치된 분사노즐(200)에서 각각 상기 수직형 탱크(100)의 우측 내벽면을 향해 분사하므로, 유입수와 수증기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분사노즐(200)은 상기 수직형 탱크(100)의 상단부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200)에 의해 분사되는 유입수와 수증기가 상기 수직형 탱크(100)의 내부에서 상부를 향해 나선형을 그리며 회전하는 흐름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노즐(200)은 상기 수직형 탱크(100)의 외주면에서 분사노즐이 설치되는 위치의 세로 접선과 예각을 이룰 수 있으며, 탱크의 상단부를 향해 기울어지기 위해서는 분사노즐(200)의 하측에서 예각(β)을 이루어야 한다. 복수개 설치된 분사노즐(200)이 세로 접선과 이루는 각각의 예각은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입수가 수증기와 물질 및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반응시간이 충분히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분사노즐(200)을 통해 탈기가 필요한 물(유입수)이 유입되고, 노즐을 통해 분사되면서 물방울 형태가 된다. 이러한 물방울 형태의 유입수는 수증기와 접촉하게 되어 탈기가 이루어지고, 이 때 물방울의 표면적이 넓을수록 탈기의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사노즐(200)을 통해 수증기가 동시에 분사되어지며, 수증기는 함께 분사되는 유입수를 미립자화하여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물방울을 형성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200)에 의해 분사되는 유입수의 평균 직경은 50㎛이상 100㎛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수가 미립자화되어 수증기와 유입수 간의 물질 및 에너지 전달 효율이 향상되며, 전체적인 탈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200)을 통해 분사된 물방울 형태의 유입수는 수증기와 접촉되어 유입수에 포함된 산소 일부 또는 전부가 증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노즐(200)을 통해 유입된 유입수는 수증기와 접촉하여 물방울의 표면이 포화온도가 되며, 산소가 표면에 도달하게 되면 즉시 물에서 증발하게 된다. 이 때, 물방울의 표면적이 작기 때문에 증발속도가 더욱 빨라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탈기를 통해 유입수로부터 제거된 산소는 상기 수직형 탱크(1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배기관(300)을 통해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기관(300)은 상기 수직형 탱크(100)의 최정점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산소를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산소를 포집하기 위한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탈기를 통해 용존하는 산소가 제거된 유입수는 상기 수직형 탱크(100)의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부(400)를 통해 외부의 응축수 탱크 등으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축수 탱크에 모인 물은 보일러 등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배기관(300)의 주변에는 스프레이 노즐(50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레이 노즐(500)을 통해 유체가 하단부를 향해 분사되어진다. 상기 스프레이 노즐(500)은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배기관(300)을 중심으로 주변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배기관(300)을 중심으로 둘러싸며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유체를 여러 곳에서 분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일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레이 노즐(500)은 상기 배기관(300)을 중심으로 좌, 우, 상, 하에 4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레이 노즐(500)을 통해 상기 수직형 탱크(100)의 하단부 측으로 유체를 분사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프레이 노즐(500)을 통해 분사되는 유체는 유입수(feed water)의 일부가 될 수 있으며, 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레이 노즐(500)은 수직형 탱크(100)의 상단부의 중심에 위치하는 배기관(300)을 중심으로 주변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스프레이 노즐(500)에서 하단부 측으로 분사되는 유체로 인해 상기 수직형 탱크(100)의 중심부에는 하강하는 유체의 유동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수증기가 수직형 탱크(100)의 상단부 측으로 접근하여 상기 배기관(300)을 통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특히 상기 분사노즐(200)에 의해 분사되어 탱크의 내부를 회전하며 상단부로 올라오는 수증기를 중심부에서 다시 하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포집부(600)는 상기 수직형 탱크(10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관(300)을 향해 상승하는 유입수 또는 수증기를 포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포집부(600)는 메쉬(mesh) 또는 데미스터(demister)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증기 중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포집부(600)는 가운데가 뚫린 원의 형상, 즉 도넛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스프레이 노즐(500)에 의해 상기 수직형 탱크(100)의 중심부에서는 유체가 하강하는 흐름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스프레이 노즐(500)에 의해 유체가 분사되는 범위만큼 가운데가 뚫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포집부(600)를 통해 배기관(300)을 향해 접근하는 유입수 또는 수증기를 포집할 수 있어, 유입수와 수증기의 손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수직형 탱크 200 : 분사노즐
300 : 배기관 400 : 배출부
500 : 스프레이 노즐 600 : 포집부

Claims (17)

  1. 유입수의 탈기가 이루어지는 수직형 탱크;
    상기 수직형 탱크의 측면에 설치되어 유입수와 수증기를 동시에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수직형 탱크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유입수로부터 제거된 산소를 배출시키는 배기관; 및
    상기 수직형 탱크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산소가 제거된 유입수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유입수는 동시에 분사되는 수증기에 의해 미립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탈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수직형 탱크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탈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유입수와 수증기는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상기 수직형 탱크의 내부를 회전하도록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탈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수직형 탱크의 외주면과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탈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수직형 탱크의 외주면에 분사노즐이 설치되는 위치의 가로 접선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탈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유입수와 수증기는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상기 수직형 탱크의 내부에서 상부를 향해 나선형을 그리며 회전하도록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탈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수직형 탱크의 상단부를 향해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탈기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유입수의 평균 직경은 50㎛이상 1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탈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 주변에 설치되어 하단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시키는 스프레이 노즐;
    을 더 포함하는 수직형 탈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노즐은 상기 배기관을 중심으로 주변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탈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유입수의 일부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탈기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형 탱크의 중심부에는 상기 스프레이 노즐에 의해 분사되어 하강하는 유체의 유동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탈기기.
  14. 제1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형 탱크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관을 향해 상승하는 유입수 또는 수증기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부;
    를 더 포함하는 수직형 탈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메쉬(mesh) 또는 데미스터(demister)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탈기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가운데가 뚫린 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탈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스프레이 노즐에 의해 유체가 분사되는 범위만큼 가운데가 뚫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탈기기.
KR1020160029640A 2016-03-11 2016-03-11 수직형 탈기기 KR101802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640A KR101802637B1 (ko) 2016-03-11 2016-03-11 수직형 탈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640A KR101802637B1 (ko) 2016-03-11 2016-03-11 수직형 탈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032A KR20170106032A (ko) 2017-09-20
KR101802637B1 true KR101802637B1 (ko) 2017-11-28

Family

ID=6003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640A KR101802637B1 (ko) 2016-03-11 2016-03-11 수직형 탈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6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032A (ko)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851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и утилизации отходящих дымовых газов
CN107473301B (zh) 一种脱硫废水低温蒸发处理系统
CA2394011A1 (en) Fluidized spray tower
JP5725725B2 (ja) 湿式排煙脱硫装置
KR20170084132A (ko) 액체의 체적을 통해 가스 흐름을 생성 및 처리하는 장치와, 상기 장치를 실행하는 설비 및 방법
CN107686141A (zh) 一种脱硫废水低温蒸发浓缩系统
US20180200643A1 (en) Compact wastewater concentrator utilizing a low temperature thermal energy source
JP2011504803A (ja) 脱気装置
KR101802637B1 (ko) 수직형 탈기기
JP2010523316A (ja) ガスから二酸化イオウを分離する方法及び装置
CN207845196U (zh) 一种脱硫废水低温蒸发浓缩系统
RU2536063C1 (ru) Деаэратор кочетова
CN107436102B (zh) 一种千度高温烟气壁流式急冷塔
CN111036019A (zh) 一种应用于可燃废弃物回收的无烟热回收装置
CN112547387B (zh) 具有自动清理功能的喷枪以及脱硫废水零排放系统
RU2532607C2 (ru) Пластина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опоры для жидкого абсорбента в устройстве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а
CN216779126U (zh) 用于泥磷蒸发回收磷的喷淋系统
CN110127791B (zh) 一种节能型热力除氧器
RU2359176C1 (ru) Установка охлаждения воздуха с испарением рециркулирующей воды
CN207002312U (zh) 一种脱硫废水低温蒸发处理系统
KR101624914B1 (ko) 오염가스 흡수기능을 구비한 이젝터 진공발생장치
CN104373928A (zh) 一种热力除氧器
KR100454856B1 (ko) 직가열식 폐수 증발농축장치
KR102191369B1 (ko) 용해성 유해 가스 분리 장치
CN218249356U (zh) 排气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