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505B1 - 세탁물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505B1
KR101802505B1 KR1020170083731A KR20170083731A KR101802505B1 KR 101802505 B1 KR101802505 B1 KR 101802505B1 KR 1020170083731 A KR1020170083731 A KR 1020170083731A KR 20170083731 A KR20170083731 A KR 20170083731A KR 101802505 B1 KR101802505 B1 KR 101802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link
laundry
couple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덕
김예담
Original Assignee
정용덕
김예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덕, 김예담 filed Critical 정용덕
Priority to KR1020170083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4Collapsible drying cabinets; Wall mounted collapsible hoo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세탁물 건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개방된 상면을 구비하고, 내부공간이 온풍출입구가 형성되는 트레이에 의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공간에 설치되는 온풍생성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개방된 하면을 구비하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는 세탁물거치대;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 및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공간과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온풍통로를 제공하는 신축 가능한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스가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향 이동하게 되면 상기 온풍통로는 상기 세탁물거치대에 거치되는 세탁물의 수납공간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물 건조 장치{LAUNDRY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와 분리된 공간에서 온풍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세탁물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은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된 건조대에 널어 자연 건조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자연 건조 방식은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예를 들어 흐린 날에는 세탁물이 충분히 건조되지 않아 옷감이 상하거나 쾌쾌한 냄새가 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기 중 미세먼지가 많은 날에 창문을 개방하지 않아 통풍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의 실내에서 세탁물을 건조시켜야 하는 경우에도 그러하다.
최근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 또는 가스를 이용하여 날씨와 상관없이 세탁물을 충분히 건조시킬 수 있는 세탁물 건조 장치가 다수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세탁물 건조 장치는 전기 또는 가스를 이용한 히터 및 이와 관련된 장치들로 인하여 제품 단가가 높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세탁물을 수납하여 건조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커진 장치 크기로 인하여 넓은 설치 공간이 요구되었고 그로 인해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 세탁물 건조 장치는 베란다 등과 같이 집안 외진 구석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5400호(2011.05.23, 빨래건조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온풍에 의해 세탁물 건조가 가능하고 크기 조절이 자유로운 세탁물 건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개방된 상면을 구비하고, 내부공간이 온풍출입구가 형성되는 트레이에 의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공간에 설치되는 온풍생성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개방된 하면을 구비하는 상부케이스; 상호간에 평행하게 수평 연장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프레임 바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 바에 각각 결합되어 세탁물이 거치되는 복수의 제1 연결 바로 구성되는 제1 세탁물거치대; 상기 제1 세탁물거치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호간에 평행하게 수평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프레임 바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2 프레임 바에 각각 결합되어 세탁물이 거치되는 복수의 제2 연결 바로 구성되는 제2 세탁물거치대; 상기 제1 프레임 바와 상기 제2 프레임 바에 결합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제1 높이조절부; 상기 제2 프레임 바와 상기 트레이에 결합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제2 높이조절부; 및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공간과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온풍통로를 제공하는 신축 가능한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스가 상기 제1 및 제2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향 이동하게 되면 상기 온풍통로는 상기 제1 및 제2 세탁물거치대에 거치되는 세탁물의 수납공간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높이조절부는, 제1 링크; 중간 부분에서 상기 제1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1 링크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상기 제1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1 링크의 하단과 상기 제1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2 링크의 하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프레임 바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제1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1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1 링크의 상단과 상기 제1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2 링크의 상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프레임 바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제2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높이조절부는, 제1 링크; 중간 부분에서 상기 제2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1 링크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상기 제2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1 링크의 하단과 상기 제2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2 링크의 하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트레이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제1 슬라이딩부재; 상기 제2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1 링크의 상단과 상기 제2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2 링크의 상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프레임 바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제2 슬라이딩부재; 상기 제2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제2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트레이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가 치합하는 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1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벽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공간을 외부공간에 연결하는 제1 환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측벽에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외부공간에 연결하는 제2 환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환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살균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의 중앙부는 상향 돌출되고, 상기 온풍출입구는 상기 트레이의 주변부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중앙부의 경사벽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주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세탁물거치대에 거치되는 세탁물에서 떨어지는 물을 수용하고, 상기 중앙부의 경사벽은 상기 온풍출입구의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게 휘어져서 상기 세탁물에서 떨어지는 물이 상기 온풍출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높이조절부는, 제1 링크; 중간 부분에서 상기 제1 링크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의 하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트레이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제1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의 상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탁물거치대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제2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저면에는 위치고정돌기가 각각 돌출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입구에는 상기 제1 가이드 홈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폭을 감소시키는 슬릿부재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슬릿부재에 의해 감소된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폭 확장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각각 구속되고 상기 위치고정돌기를 넘어갈 수 있을 정도의 높이까지만 상하 방향의 이동이 허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에는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상기 제1 가이드 홈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홈을 따라 상호간에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가 자중 또는 상기 세탁물거치대의 하중에 의해 미끄러져 접촉하게 되는 상기 위치고정돌기의 일 측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돌기의 반대 측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제1 가이드 홈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가 치합하는 랙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1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부케이스의 하부공간에 배치되는 온풍생성부에 의해 세탁물 건조가 가능하고, 상부케이스가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향 이동하게 되면 세탁물의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반면, 상부케이스를 높이조절부에 의해 하향 이동시켜 하부케이스에 결합하게 되면 장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넓은 설치 공간이 요구되지 않고, 따라서 그로 인해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으며 거실 등 생활공간에 보관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물 건조 장치를 수직으로 절단한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 장치를 세탁물 건조가 가능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세탁물 건조 장치를 커버부재가 제거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세탁물 건조 장치를 수직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높이조절부의 일 예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높이조절부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높이조절부에 의한 높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높이조절부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 장치(10)는 하부케이스(100), 상부케이스(200), 세탁물거치대(300), 높이조절부(400) 및 커버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100)는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케이스(100)의 내부공간은 하부케이스(100)에 형성되는 트레이(110)에 의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부공간은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트레이(110)에는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연결하는 온풍출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110)의 중앙부(111)는 상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온풍출입구(112)는 트레이(110)의 주변부(113)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서 중앙부(111)의 경사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주변부(113)는 세탁물거치대(300)에 거치되는 세탁물에서 떨어지는 물을 수용할 수 있고, 주변부(113)에 수용된 물은 하부케이스(100)에 형성되는 배수구(미도시)를 통해 외부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중앙부(111)의 경사벽은 온풍출입구(11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휘어져서 세탁물에서 떨어지는 물이 온풍출입구(112)를 통해 하부케이스(100)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됨으로써 하부공간에 설치된 각종 전기기계 장치의 고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100)의 하부공간에는 온풍, 즉 따듯한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온풍생성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온풍생성부(120)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21)와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팬(123)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하부케이스(100)의 측벽에는 하부케이스(100)의 하부공간을 외부공간에 연결하는 제1 환기구(101)가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온풍생성부(120)에 의해 외부 공기가 제1 환기구(101)를 통해 하부케이스(100)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되어 가열된 후에 온풍출입구(112)를 통해 하부케이스(100)의 상부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100)에는 제1 환기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130)와 필터(130)를 통과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자외선살균램프(140)가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하부케이스(100)의 외부 측면에는 온풍생성부(120)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스크린(103)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200)는 하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부케이스(200)가 하부케이스(100)에 결합 내지 밀착하게 되면, 상부케이스(200)의 내부공간은 하부케이스(100)의 상부공간과 협력하여 세탁물거치대(300), 높이조절부(400) 및 커버부재(500)의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200)는 잠금장치(105)에 의해 하부케이스(100)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200)는 하부케이스(1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높이조절부(400)에 의해 상향 이동할 수 있고, 높이조절부(400)에 의해 하향 이동한 후에는 잠금장치(105)에 의해 하부케이스(100)에 결합되어 장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 장치(10)는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해질 수 있고, 장치 이동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부케이스(100)에는 이동바퀴(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부케이스(200)는 사용자가 상부케이스(200)를 들어올릴 때에 잡을 수 있는 손잡이(203)를 구비할 수 있다.
세탁물거치대(300)는 상부케이스(200), 구체적으로 상부케이스(200)의 내부 측면에 브래킷(B)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세탁물거치대(300)는 상호간에 평행하게 수평 연장되어 상부케이스(200)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프레임 바(310)와 양단이 한 쌍의 프레임 바(310)에 각각 결합되어 세탁물이 거치되는 복수의 연결 바(320)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400)는 하단이 하부케이스(100)에, 상단이 상부케이스(20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40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높이조절부(400) 자체의 높이가 변경됨에 따라 지면에 안착된 하부케이스(100)에 대한 상부케이스(200)의 배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높이조절부(400)의 세부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커버부재(500)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단이 하부케이스(100)의 내부 측면의 상단에, 하단이 상부케이스(200)의 내부 측면이 하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커버부재(500)는 하부케이스(100)의 상부공간과 상부케이스(200)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온풍통로(510)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온풍생성부(120)에 의해 하부케이스(100)의 상부공간으로 공급된 온풍은 온풍통로(510)를 통해 상부케이스(200)의 내부공간까지 유동하면서 세탁물거치대(300)에 거치된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고, 상부케이스(200)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환기구(201)를 통해 외부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온풍통로(510)는 세탁물거치대(300)에 거치된 세탁물의 수납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커버부재(500)는 상부케이스(200)가 높이조절부(400)에 의해 상하 이동함에 따라 신축 가능하도록 신축 가능한 재질 또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재(500)는 주름관 형태의 섬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500)의 측면에는 세탁물을 온풍통로(510)에 넣고 뺄 수 있도록 지퍼 등에 의해 개폐 가능한 도어(5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높이조절부(400)는 제1 링크(410), 제2 링크(420), 제1 슬라이딩부재(430) 및 제2 슬라이딩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410)와 제2 링크(420)는 각각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링크(410)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과 제2 링크(420)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결합되는 핀(pin)에 의해 상호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링크(410)는 상호간에 핀에 의해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링크(410)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링크(420)도 마찬가지로 상호간에 핀에 의해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링크(4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링크(410)와 제2 링크(420)의 하단은 가장 아래쪽에 배치된 제1 링크(410)와 제2 링크(420)의 하단을 의미할 수 있고, 제1 링크(410)와 제2 링크(420)의 상단은 가장 위쪽에 배치된 제1 링크(410)와 제2 링크(420)의 상단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재(430)는 제1 링크(410) 및 제2 링크(420)의 하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 슬라이딩부재(430) 중 하나의 제1 슬라이딩부재(430)는 제1 링크(410)에, 다른 하나의 제1 슬라이딩부재(430)는 제2 링크(4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재(430)는 트레이(110), 구체적으로 주변부(113)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114)에 삽입되어 제1 가이드 홈(11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세탁물거치대(300)가 복수인 경우에, 높이조절부(400)는 인접하는 2개의 세탁물거치대(300) 사이에도 형성될 수 있고, 제1 가이드 홈(114)은 세탁물거치대(300), 구체적으로 프레임 바(310)의 상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114)의 저면에는 제1 슬라이딩부재(430)가 자체 하중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 위치고정돌기(115)가 돌출될 수 있다. 제1 위치고정돌기(115)는 제1 가이드 홈(114)을 따라 상호간에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슬라이딩부재(430)는 복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높이조절부(400)의 배치 높이도 세탁물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배치 높이 중 하나로 조절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재(430)가 자체 하중에 의해 미끄러져 접촉하게 되는 제1 위치고정돌기(115)의 일 측면은 제1 슬라이딩부재(4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위치고정돌기(115)의 반대 측면은 사용자가 손잡이(203)를 잡고 상부케이스(200)를 들어올릴 때에 제1 슬라이딩부재(430)가 제1 위치고정돌기(115)를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114)의 입구에는 제1 가이드 홈(114)의 폭을 감소시켜주는 제1 슬릿부재(116)가 결합될 수 있고, 제1 슬라이딩부재(430)에는 제1 슬릿부재(116)에 의해 감소된 폭보다 큰 폭을 가지고 제1 위치고정돌기(115)의 상단에서 제1 슬릿부재(116)의 하면까지의 높이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제1 폭 확장 영역(4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슬라이딩부재(430)는 제1 가이드 홈(114)에 구속될 수 있고, 제1 위치고정돌기(115)를 넘어갈 수 있을 정도의 높이까지만 상하 이동이 허용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부재(440)는 제1 링크(410) 및 제2 링크(420)의 상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2 슬라이딩부재(440) 중 하나의 제2 슬라이딩부재(440)는 제1 링크(410)에, 다른 하나의 제2 슬라이딩부재(440)는 제2 링크(4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부재(440)는 세탁물거치대(300), 구체적으로 프레임 바(3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311)에 삽입되어 제2 가이드 홈(3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홈(311)의 저면에는 제2 슬라이딩부재(440)가 세탁물거치대(300)의 하중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2 위치고정돌기(313)가 돌출될 수 있다. 제2 위치고정돌기(313)는 제2 가이드 홈(311)을 따라 상호간에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슬라이딩부재(440)는 복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높이조절부(400)의 배치 높이도 세탁물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배치 높이 중 하나로 조절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부재(440)가 세탁물거치대(300)의 하중에 의해 미끄러져 접촉하게 되는 제2 위치고정돌기(313)의 일 측면은 제2 슬라이딩부재(4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위치고정돌기(313)의 반대 측면은 사용자가 손잡이(203)를 잡고 상부케이스(200)를 들어올릴 때에 제2 슬라이딩부재(440)가 제2 위치고정돌기(313)를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홈(311)의 입구에는 제2 가이드 홈(311)의 폭을 감소시켜주는 제2 슬릿부재(315)가 결합될 수 있고, 제2 슬라이딩부재(440)에는 제2 슬릿부재(315)에 의해 감소된 폭보다 큰 폭을 가지고 제2 위치고정돌기(313)의 하단에서 제2 슬릿부재(315)의 상면까지의 높이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제2 폭 확장 영역(441)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슬라이딩부재(440)는 제2 가이드 홈(311)에 구속될 수 있고, 제2 위치고정돌기(313)를 넘어갈 수 있을 정도의 높이까지만 상하 이동이 허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높이조절부(400)는 제1 링크(410), 제2 링크(420), 제1 슬라이딩부재(430) 및 제2 슬라이딩부재(440) 외에 추가적으로 피니언기어(450), 구동모터(460) 및 랙기어(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기어(450)는 제1 슬라이딩부재(430), 구체적으로 제1 슬라이딩부재(43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60)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모터(460)는 제1 슬라이딩부재(430)에 결합되어 피니언기어(4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랙기어(470)는 제1 가이드 홈(114)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피니언기어(450)에 치합할 수 있다. 그 결과, 구동모터(460)가 피니언기어(450)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1 슬라이딩부재(430)는 제1 가이드 홈(11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구동모터(460)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03)을 통해 입력하는 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고, 그 결과 사용자는 손잡이(203)를 잡고 상부케이스(200)를 들어올리지 않아도 높이조절부(400)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 슬라이딩부재(430)가 제1 가이드 홈(114)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제1 링크(410) 또는 제2 링크(420)를 통해 제1 슬라이딩부재(430)에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부재(440)는 추가 동력원이 없어도 제2 가이드 홈(3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거치대(300)가 복수인 경우, 세탁물거치대(300), 구체적으로 프레임 바(3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114)에 삽입되는 제1 슬라이딩부재(430)는 프레임 바(3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311)에 삽입되는 제2 슬라이딩부재(440)에 연결링크(480)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제2 슬라이딩부재(440)가 제2 가이드 홈(311)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추가 동력원이 없이도 제1 가이드 홈(11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세탁물 건조 장치 100: 하부케이스
110: 트레이 120: 온풍생성부
130: 필터 140: 자외선살균램프
200: 상부케이스 300: 세탁물거치대
400: 높이조절부 500: 커버부재

Claims (7)

  1. 개방된 상면을 구비하고, 내부공간이 온풍출입구가 형성되는 트레이에 의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공간에 설치되는 온풍생성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개방된 하면을 구비하는 상부케이스;
    상호간에 평행하게 수평 연장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프레임 바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 바에 각각 결합되어 세탁물이 거치되는 복수의 제1 연결 바로 구성되는 제1 세탁물거치대;
    상기 제1 세탁물거치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호간에 평행하게 수평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프레임 바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2 프레임 바에 각각 결합되어 세탁물이 거치되는 복수의 제2 연결 바로 구성되는 제2 세탁물거치대;
    상기 제1 프레임 바와 상기 제2 프레임 바에 결합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제1 높이조절부;
    상기 제2 프레임 바와 상기 트레이에 결합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제2 높이조절부; 및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공간과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온풍통로를 제공하는 신축 가능한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스가 상기 제1 및 제2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향 이동하게 되면 상기 온풍통로는 상기 제1 및 제2 세탁물거치대에 거치되는 세탁물의 수납공간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높이조절부는,
    제1 링크;
    중간 부분에서 상기 제1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1 링크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상기 제1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1 링크의 하단과 상기 제1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2 링크의 하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프레임 바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제1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1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1 링크의 상단과 상기 제1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2 링크의 상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프레임 바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제2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높이조절부는,
    제1 링크;
    중간 부분에서 상기 제2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1 링크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상기 제2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1 링크의 하단과 상기 제2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2 링크의 하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트레이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제1 슬라이딩부재;
    상기 제2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1 링크의 상단과 상기 제2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2 링크의 상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프레임 바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제2 슬라이딩부재;
    상기 제2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제2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트레이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가 치합하는 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1 높이조절부의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벽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공간을 외부공간에 연결하는 제1 환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측벽에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외부공간에 연결하는 제2 환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환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살균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중앙부는 상향 돌출되고,
    상기 온풍출입구는 상기 트레이의 주변부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중앙부의 경사벽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주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세탁물거치대에 거치되는 세탁물에서 떨어지는 물을 수용하고,
    상기 중앙부의 경사벽은 상기 온풍출입구의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게 휘어져서 상기 세탁물에서 떨어지는 물이 상기 온풍출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저면에는 위치고정돌기가 각각 돌출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입구에는 상기 제1 가이드 홈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폭을 감소시키는 슬릿부재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슬릿부재에 의해 감소된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폭 확장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각각 구속되고 상기 위치고정돌기를 넘어갈 수 있을 정도의 높이까지만 상하 방향의 이동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에는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상기 제1 가이드 홈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홈을 따라 상호간에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가 자중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세탁물거치대의 하중에 의해 미끄러져 접촉하게 되는 상기 위치고정돌기의 일 측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돌기의 반대 측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7. 삭제
KR1020170083731A 2017-06-30 2017-06-30 세탁물 건조 장치 KR101802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731A KR101802505B1 (ko) 2017-06-30 2017-06-30 세탁물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731A KR101802505B1 (ko) 2017-06-30 2017-06-30 세탁물 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505B1 true KR101802505B1 (ko) 2017-11-28

Family

ID=60811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731A KR101802505B1 (ko) 2017-06-30 2017-06-30 세탁물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5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9201837B1 (en) * 2019-03-06 2019-06-20 Qingdao Longtaike Clothing Co., Ltd. An expandable clothes airing basket
KR20210037496A (ko) 2019-09-27 2021-04-06 정용덕 의류건조기
FR3139835A1 (fr) * 2022-09-20 2024-03-22 Seb S.A. Appareil de défroissage comprenant une base, un toit et un rideau délimitant une enceinte de défroissa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835B1 (ko) * 2011-06-03 2012-12-04 양홍모 실내 세탁 건조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835B1 (ko) * 2011-06-03 2012-12-04 양홍모 실내 세탁 건조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9201837B1 (en) * 2019-03-06 2019-06-20 Qingdao Longtaike Clothing Co., Ltd. An expandable clothes airing basket
KR20210037496A (ko) 2019-09-27 2021-04-06 정용덕 의류건조기
FR3139835A1 (fr) * 2022-09-20 2024-03-22 Seb S.A. Appareil de défroissage comprenant une base, un toit et un rideau délimitant une enceinte de défroiss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505B1 (ko) 세탁물 건조 장치
CN107046781B (zh) 集成在吊顶上的组合电器
US3776217A (en) Nursing box for babies or similar purposes
KR20180001629U (ko) 소독박스
US3500738A (en) Multiple use air moving apparatus
US2898837A (en) Ventilated bed enclosure
CN204438507U (zh) 一种暖风、烘干、消毒浴室一体机
US1688200A (en) Inclosed bed for premature and feeble infants
US2616617A (en) Air circulating device
KR101090023B1 (ko)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
US20180259254A1 (en) Washstand furniture
KR20110025407A (ko) 이동 가능한 접철식 간이싱크대
JP3242649U (ja) 折り曲げ可能な乾燥装置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KR200493889Y1 (ko) 실외휴식을 위한 야외벤치부가 구비된 이동식 찜질용 주택
KR20150012868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철식 다리미판
KR200462256Y1 (ko) 건조체의 기울기 조절이 자유로운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101154282B1 (ko) 선반내장형 창틀
EP1752578A1 (en) Wall mounted electrical clothes drier
KR101445382B1 (ko) 빨래 건조장치
EP1946690A2 (en) Personal drying apparatus
KR920008390Y1 (ko) 수납식 침대의 후레임 절첩장치
GB2513335A (en) A laundry storage system
JP5709287B1 (ja) 温風取込機能付きこたつ
CN210886683U (zh) 一种快速消毒烘干衣架
KR101487428B1 (ko) 노출식 빨래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