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230B1 -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230B1
KR101802230B1 KR1020160163802A KR20160163802A KR101802230B1 KR 101802230 B1 KR101802230 B1 KR 101802230B1 KR 1020160163802 A KR1020160163802 A KR 1020160163802A KR 20160163802 A KR20160163802 A KR 20160163802A KR 101802230 B1 KR101802230 B1 KR 101802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mooring line
moving block
fram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호
김봉재
윤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3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부유체 또는 해양구조물이 특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장착된 계류라인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는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가 제공된다.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는, 프레임, 각각 일단부에 계류라인이 연결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간격이 조절되도록 적어도 하나가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핀과 제2핀, 제1핀 및 제2핀 중 적어도 하나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블록, 프레임 및 이동블록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제1핀과 제2핀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랙바, 및 프레임 및 이동블록 중 나머지 하나에 결합되며, 랙바에 치합되어 이동블록을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가 결합된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Apparatus of tension adjusting the mooring line}
본 발명은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계류라인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부유체 또는 해양구조물을 계류시킬 수 있는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과 같은 해양구조물은 해상에서의 작업 시 파도, 바람, 조류 등의 환경저항에 의한 선체의 위치 변동을 최소화하여, 작업 위치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계류라인은 이러한 선박의 특정 위치에의 고정을 위하여 설치되는 장치로, 앵커파일에 연결되어 해저면까지 도달하게 된다. 계류라인을 이용하여 해양구조물을 계류하는 경우, 해양구조물의 전체 중량, 날씨 및 해상조건 등에 따라, 계류라인에 형성되는 장력이 크게 변화될 수 있다. 특히, 조수간만의 차이가 큰 해상은 해수면의 높이 변화가 크고, 수면의 높이 변화에 따라 계류라인에 걸리는 장력도 함께 변한다.
종래의 계류라인은 라인에 형성되는 장력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방식으로, 계류라인을 감았다가 풀어주며 장력을 조절하거나, 선체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를 이동시켜 계류라인에 형성된 장력을 조절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으나, 두 경우 모두 잠수부가 해수면 아래의 체인 스토퍼를 풀고 장력에 맞춰 계류라인을 조절하고, 다시 스토퍼를 고정하는 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에 비해 작업상의 효율이 몹시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계류라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34654호, (2016. 03. 30)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파도, 바람, 조류 등의 환경 저항에 대해 신속하고 편리하게 장력을 조절하며 대처할 수 있어, 선박과 같은 해양구조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계류시킬 수 있는 해양구조물의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는, 프레임과, 각각 일단부에 계류라인이 연결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간격이 조절되도록 적어도 하나가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핀 및 제2핀과, 상기 제1핀 및 상기 제2핀 중 적어도 하나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블록과,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이동블록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제1핀과 상기 제2핀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랙바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이동블록 중 나머지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랙바에 치합되어 상기 이동블록을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가 결합된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1핀과 상기 제2핀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1판과 제2판을 포함하며, 상기 계류라인은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 사이로 노출된 상기 제1핀과 상기 제2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핀과 상기 제2핀의 이동방향을 따라 개구된 장공형태를 이루며, 상기 랙바는 상기 관통홀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블록은 상기 제1핀 또는 상기 제2핀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핀과 상기 제2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장력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입수하여 수작업으로 직접 조절하지 않더라도 계류라인의 장력 조절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파도, 바람, 조류 등의 환경저항에 의한 작업 위치 변동을 최소화하여 해양구조물을 안정적으로 계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가 설치된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의 이동블록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이동블록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계류라인 장력 조절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라인장력 조절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가 설치된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1)는 해양구조물과해저면의 앵커(anchor)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계류라인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계류라인 상에서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선박과 같은 해양구조물을 해상의 일 지점에 계류시킬 수 있고, 계류라인(L)이 파단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해양구조물은 예를 들어, 원유나 천연가스 등을 채굴하기 위한 부유식 원유생산저장설비 또는 액화천연가스설비일 수 있고, 해상에 부유하는 각종 구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선박과 같이 자체 추진이 가능한 구조물 뿐 아니라 바지선 등에 의해 견인되는 자체 추진력을 갖추지 못한 모든 부유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해양구조물은 해당되는 특정 지점에 계속적으로 계류하고 있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하는 반면, 해상의 상황은 일정하지 않다. 즉, 해상은 파도, 바람, 조류 등에 의해 예상치 못하게 급변하게 되고, 해상조건 변화에 따라 해양구조물을 해당하는 위치에 계류시키는 계류라인에 걸리는 장력 역시 급변하게 된다.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라인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계류라인 상에 걸리는 장력이 여러 지점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조절될 수 있어, 장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1)는 프레임(100)과, 각각 일단부에 계류라인(L)이 연결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간격이 조절되도록 적어도 하나가 프레임(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핀(310) 및 제2핀(320)과, 제1핀(310) 및 제2핀(320) 중 적어도 하나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프레임(10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블록(200)과, 프레임(100) 및 이동블록(20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제1핀(310)과 제2핀(320)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랙바(130)와, 프레임(100) 및 이동블록(200) 중 나머지 하나에 결합되며, 랙바(130)에 치합되어 이동블록(200)을 따라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231)가 결합된 개구부(210)을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1판(110) 및 제2판(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판(110) 및 제2판(120)에는 제1핀(310)과 제2핀(320)이 관통하는 관통홀(140)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홀(140)은 제1핀(310)과 제2핀(320)의 이동방향을 따라 개구된 장공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통홀(140)의 양측에는 랙바(1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랙바(130)는 추후 설명할 이동블록(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프레임(100)을 형성하는 제1판(110) 및 제2판(12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판(110)과 제2판(120)의 내측면 중앙에는 제1판(110) 및 제2판(120)과 직교하여 연결된 연결판(150)이 형성되어 있어, 제1판(110)과 제2판(120)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프레임(100)의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듯, 프레임(100)의 골격을 형성하는 제1판(110)과 제2판(120)은 평행하게 배치되되,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연결판(150)에 의해 일정간격 이격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제1판(110)과 제2판(120)을 관통하는 제1핀(310)과 제2핀(320)은 제1판과 제2판 사이 공간으로, 연결판(150)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각각 노출될 수 있다.
계류라인(L)은 제1판(110)과 제2판(120) 사이로 노출된 제1핀과 제2핀(320)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이다.
제1판(110), 제2판(120) 및 연결판(150)에 의해 H-빔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100)은, 제1판(110)과 제2판(120)의 외측면 각각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이동블록(2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동블록(200)은 제1핀(310) 및 제2핀(320) 중 적어도 하나의 양단부에 결합된다. 즉, 이동블록(200)은 제1핀(310) 또는 제2핀(320)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제1핀(310) 또는 제2핀(32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이동블록(200)은 제1판(110) 및 제2판(120)의 외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이동은 프레임(100) 및 이동블록(20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랙바(130)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랙바(130)는 제1핀(310) 및 제2핀(320)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프레임(100) 또는 이동블록(2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랙바(130)는 후술할 피니언기어(231)와 치합되어 제1핀(310) 및 제2핀(320)의 이동을 유도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프레임(100) 상에 랙바(130)가 형성되고, 이동블록(200) 상에 피니언기어(231)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동블록(200) 상에 랙바(130)가 형성되고, 프레임(100) 상에 피니언기어(231)가 형성되는 경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랙바(130)는 프레임(100) 및 이동블록(20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피니언기어(231)가 결합된 구동유닛(230)은 프레임(100) 및 이동블록(200) 중 나머지 하나에 결합되는 것이다.
랙바(130)와 피니언기어(231)가 치합된 상태에서 구동유닛(230)이 작동하게 되면, 피니언기어(231)의 회전에 의해 랙바(130)를 따라 이동블록(200)이 이동한다. 이동블록(200)이 이동하게 되면, 이동블록(200)에 고정된 제1핀(310) 또는 제2핀(320)이 함께 이동된다.
제1핀(310) 및 제2핀(320)은 이동블록(200)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판(110) 또는 제2판(120)의 외측면에 위치한 이동블록(200)에는 제1핀(310) 또는 제2핀(320)이 종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핀(310) 및 제2핀(320)은 도면 상에서는 원통의 기둥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프레임(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라면 어느 형태이건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각 기둥 형상일 수도 있다.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한 제1핀(310) 및 제2핀(320)이 이동블록(200)에 삽입, 관통되어 고정되면, 제1핀(310) 및 제2핀(320)이 이동블록(2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핀(310)과 제2핀(320)의 횡방향으로 제1고정핀(311)과 제2고정핀(321)을 삽입하여 이동블록(200)으로부터의 이탈을 막는다. 즉, 제1고정핀(311) 및 제2고정핀(321)의 일측면과 이동블록(200)의 상면은 서로 각각의 일면이 맞닿은 상태로, 제1고정핀(311) 및 제2고정핀(321)은 이동블록(200)의 상면에 안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핀(310)과 제2핀(320)이 제1고정핀(311)과 제2고정핀(321)을 이용하여 이동블록(200)에 고정되면, 제1핀(310) 및 제2핀(320)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는, 이동블록(200)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와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제1핀(310) 또는 제2핀(320)의 이동범위는 제1판(110) 내지 제2판(120)에 형성된 장공형의 관통홀(140)의 길이 및 관통홀(140) 양쪽에 배치된 랙바(130)의 길이와 동일한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블록(200)의 이동범위는 피니언기어(231)가 치합되는 랙바(130)의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이동블록(200)과 프레임(100)을 관통하는 제1핀(310) 및 제2핀(320)은 이동블록(200)과 함께 이동되되, 프레임(100) 상에 형성된 관통홀(140)의 길이에 의해 이동 범위가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동블록(20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본다.
도 3은 도 1의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의 이동블록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이동블록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블록(20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유닛(23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동블록(200)의 이동은 구동유닛(230)에 연결된 피니언기어(231)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블록(200)은 박스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100)에 접하는 면 중 일부가 개구되어 개구부(210)가 형성된다. 개구부(210)를 통해, 이동블록(200)의 내부는 이동블록(200) 외부와 연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통에 의해, 이동블록(200)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유닛(230)의 일부가 이동블록(200)의 외측공간으로 노출될 수 있다.
개구부(210)의 장축방향은 이동블록(200)이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210)의 폭은 랙바(130)의 폭 또는 피니언기어(231)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블록(200)이 프레임(100)에 안착하여 프레임(100)과 결합할 때, 제1판(110)과 제2판(120)의 외측면에 설치된 랙바(130)는 이동블록(200)이 프레임(100)에 안착되어 접하게 될 개구부(210)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동블록(200) 내부에 설치되는 개구부(210)의 일부, 즉 피니언기어(231)는 개구부(210)를 통해, 제1판(110) 또는 제2판(120)의 외측면에 설치된 랙바(130)와 서로 맞물릴 수 있으며, 이러한 맞물림에 의해 이동블록(20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면 상에는, 랙바(130)는 프레임(100)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피니언기어(231)를 포함하는 구동유닛(230)은 이동블록(200)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랙바(130)와 피니언기어(231)의 설치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즉, 프레임(100) 상에서 이루어지는 이동블록(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유도하는 결합이면 어느 곳이나 가능하다.
구동유닛(230)은, 모터(232)와 모터(232)에 연결된 피니언기어(231)로 이루어진다. 모터(232)를 통해 전달된 전기에너지는 피니언기어(231)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운동에너지로 변환되며, 모터(232)를 동력원으로 한 피니언기어(231)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기어(231)에 치합된 랙바(130)를 따라 구동유닛(230)이 결합된 이동블록(200)의 이동이 가이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유닛(230, 도 3 참조)의 모터(232)는 이동블록(200) 내부에 적어도 하나가 수용되며, 이동블록(200)의 일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모터(232)의 일측면에는 피니언기어(231)가 결합되어 있고, 모터(232)는 외부케이블(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어 외부(예를 들어, 선박조정실)로부터 외부케이블을 통해 동력을 전달 받고, 이동블록(200)의 이동신호도 전달받을 수 있다.
프레임(100)을 이루는 제1판(110) 또는 제2판(120) 외측면의 랙바(130)는 이동블록(200)의 개구부(210)를 통해 이동블록(200) 내부공간으로 일정부분 수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판(110) 또는 제2판(120)의 외측면에 이동블록(200)이 안착되면, 구동유닛(230, 도 3 참조)에 결합된 피니언기어(231)와 프레임(100) 상에 안착된 랙바(130)는 완전히 치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블록(200)을 관통한 상태로 고정된 제1핀(310) 또는 제2핀(3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장력 측정 센서(400)가 부착되어 있다. 장력 측정 센서(400)가 제1핀(310) 또는 제2핀(320) 표면에 부착되어, 제1핀(310) 또는 제2핀(320)에 형성되는 장력을 직접 측정 가능하다. 제1핀(310)과 제2핀(320)에는 계류라인이 직접 연결되며, 따라서 계류라인(L)에 형성되는 장력이 제1핀(310) 또는 제2핀(320)에도 전달되게 된다. 장력 측정 센서(400)는 제1핀(310)과 제2핀(320)에 걸린 압력을 직접 측정하거나, 계류라인(L)과 제1핀(310) 또는 계류라인(L)과 제2핀(320) 사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장력 측정 센서(400)는 스트레인게이지와 같이 제1핀(310)과 제2핀(320)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센서일 수도 있다. 즉, 장력 측정 센서(400)는 계류라인(L)의 장력으로 환산할 수 있는 측정값을 얻을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할 것이다. 계류라인(L)에 형성된 장력에 의해 제1핀(310) 또는 제2핀(320)에 압력의 변화가 생성되면, 이러한 압력을 장력 측정 센서(400)가 측정한다. 제1핀(310) 또는 제2핀(320)에 부착된 장력 측정 센서(400)를 통해 감지된 제1핀(310)과 제2핀(320) 상에 형성된 압력 변화는 계류라인(L) 상에 걸리는 장력 변화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핀(310) 및 제2핀(320)에 부착된 장력 측정 센서(400)를 통해 감지된 이러한 장력의 변화를 해소시키기 위한 신호를 외부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개구부(210)으로 전달하여, 제1핀(310) 및 제2핀(320)이 고정된 이동블록(200)을 이동시키고, 이러한 이동블록(200)의 이동을 통해 계류라인(L)에 형성된 장력의 변화를 해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계류라인 상에 형성된 장력에 따라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가 조절되는 과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계류라인 장력 조절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의 해상상황에 놓여있던 계류라인에 일정 기준 이상의 장력이 형성되는 경우, 이러한 초과 장력을 해소하여야 계류라인의 파단 및 훼손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계류라인에 걸리는 장력의 변화를 장력 측정 센서(400)가 감지하게 되면, 장력 측정 센서(400)는 초과 장력 해소를 위해 이동블록(200)에 움직임 신호를 주어 이동블록(200)의 이동을 지시하게 된다. 즉, 외부케이블을 통해 모터(232)에 구동전력이 공급되고,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양단부쪽으로 이동블록(200)이 이동하여, 제1핀(310)과 제2핀(320)의 간격이 넓어진다. 즉, 전체적인 계류라인(L)의 길이를 증가시켜 장력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피니언기어(231)의 회전을 유도하고, 피니언기어(231)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기어(231)에 치합된 랙바(130)를 따라 이동블록(200)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제1핀(310)과 제2핀(320)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1핀(310)과 제2핀(320)의 이동에 의해, 평소 A만큼의 간격을 유지하던 제1핀(310)과 제2핀(320)은 A"로 그 간격이 넓어진 상태가 된다.
결과적으로, 이동블록(200)에 고정된 제1핀(310) 또는 제2핀(320)은 이동블록(200)의 이동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하여 궁극적으로는 계류라인(L)의 길이를 증가시켜줌으로써 초과된 장력을 해소할 수 있다. 이 때, 제1핀 또는 제2핀(320)은 관통홀(140)을 따라, 관통홀(140)의 외곽 방향을 향해 이동된다.
또한, 해류의 방향 또는 풍향이 바뀌어 계류라인 상에 형성되는 장력이 감소하는 경우 역시, 일정 기준 이상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1)가 작동하게 된다. 예를 들면, 해상 상황에 의해 계류라인이 헐거워져 장력이 일정 기준 이하가 되는 경우, 계류라인과 직접 맞닿아 있는 제1핀(310) 또는 제2핀(320)의 장력 측정 센서(400)가 이러한 장력 감소를 인식하게 된다. 즉, 계류라인에 걸리는 장력이 감소하여 선박이 표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준 이상의 장력이 형성되도록 유도하여야 하는데, 장력 측정 센서(400)가 장력 감소를 인식하게 되면, 신호가 케이블을 통해 전달된다.
계류라인에 형성되는 장력을 일정 기준 이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블록(200)이 관통홀(140)의 내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제1핀(310)과 제2핀(320)의 간격은 좁아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계류라인의 전체 길이를 감소시켜줌으로써 장력 감소를 해소할 수 있다. 즉, 제1핀(310)과 제2핀(320)은 프레임(100)의 중앙부쪽으로 모아지게 되고, 평소 A만큼의 간격을 유지하던 제1핀(310)과 제2핀(320)은 A'으로 그 간격이 매우 좁아지게 된다. 이렇듯, 피니언기어(231)의 회전방향을 초과 장력을 해소할 때 와는 반대로 설정하여 이동블록(200)을 제1판(110)과 제2판(120)의 중앙부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고, 제1핀(310)과 제2핀(320) 사이의 간격을 A에서 A'가 되도록 조절하여 전체적인 계류라인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의 예들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제1판(110) 또는 제2판(120)에 형성되는 관통홀(140)의 길이와 관통홀(140)의 양측에 배치되는 랙바(130) 길이의 설정폭에 따라 이동블록(200)의 이동 가능 거리를 설정할 수 있으며, 관통홀(140)과 랙바(130)의 길이에 따라 장력 조절 역시 넓은 범위를 아우르며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동블록(200)의 이동에 의해 제1핀(310)과 제2핀(320) 사이의 간격을, A, A', 또는 A"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계류라인의 장력 조절이 매우 용이해진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
100: 프레임 110: 제1판
120: 제2판 130: 랙바
140: 관통홀 150: 연결판
200: 이동블록 210: 개구부
230: 구동유닛 231: 피니언기어
232: 모터 310: 제1핀
311: 제1고정핀 320: 제2핀
321: 제2고정핀 400: 장력 측정 센서
L: 계류라인

Claims (5)

  1. 프레임;
    각각 일단부에 계류라인이 연결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간격이 조절되도록 적어도 하나가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핀과 제2핀;
    상기 제1핀 및 상기 제2핀 중 적어도 하나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블록;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이동블록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제1핀과 상기 제2핀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랙바; 및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이동블록 중 나머지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랙바에 치합되어 상기 이동블록을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가 결합된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1핀과 상기 제2핀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1판과 제2판을 포함하며,
    상기 계류라인은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 사이로 노출된 상기 제1핀과 상기 제2핀에 연결되는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핀과 상기 제2핀의 이동방향을 따라 개구된 장공형태를 이루며,
    상기 랙바는 상기 관통홀의 양측에 배치되는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은 상기 제1핀 또는 상기 제2핀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 및 상기 제2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장력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는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
KR1020160163802A 2016-12-02 2016-12-02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 KR101802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802A KR101802230B1 (ko) 2016-12-02 2016-12-02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802A KR101802230B1 (ko) 2016-12-02 2016-12-02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230B1 true KR101802230B1 (ko) 2017-11-28

Family

ID=6081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802A KR101802230B1 (ko) 2016-12-02 2016-12-02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2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477A (ko) 2018-12-28 2020-07-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계류용 밧줄 사고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477A (ko) 2018-12-28 2020-07-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계류용 밧줄 사고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6806B2 (en) Riser support system for use with an offshore platform
KR101572938B1 (ko) 부유 구조물의 중력식 계류장치
KR101984917B1 (ko) 펜더 대빗 장치
US6463800B2 (en) Energy conserving moored buoyant ocean profiler
KR101802230B1 (ko) 계류라인 장력 조절 장치
US3703151A (en) Biased taut line mooring system
US4797033A (en) Anchor line-stabilized system
KR101747312B1 (ko) 부유구조물의 계류장치
US3865064A (en) Arrangement for anchoring a floating body
KR20100049146A (ko) 수중 세장체 viv하중계수 계측을 위한 가진장치
KR101630246B1 (ko) 부력 조절이 가능한 수중 케이블 로봇장치
KR101654588B1 (ko) 계류라인의 장력 조절장치, 계류라인의 장력 조절방법, 및 그 계류라인 장력 조절장치를 갖는 계류 시스템
KR101434151B1 (ko) 터렛용 체인잠금시스템
KR101788941B1 (ko) 해양플랜트용 예인라인 제어 시스템
JP2008265494A (ja) 係留装置
CN210139943U (zh) 水下张紧器
KR20190125790A (ko) 수상 부유 시설물용 계류장치
US3550549A (en) Tension anchor system for offshore apparatus
NO340970B1 (en) Mooring arrangement
KR20170043934A (ko)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JP5197352B2 (ja) 係留装置
JP2022027337A (ja) 浮桟橋システム
KR101379021B1 (ko) 수중 변위측정장치
KR20160054232A (ko) 부유식 구조물
KR101809658B1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