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201B1 -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 - Google Patents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201B1
KR101802201B1 KR1020160037116A KR20160037116A KR101802201B1 KR 101802201 B1 KR101802201 B1 KR 101802201B1 KR 1020160037116 A KR1020160037116 A KR 1020160037116A KR 20160037116 A KR20160037116 A KR 20160037116A KR 101802201 B1 KR101802201 B1 KR 101802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nozzle
nozzle structure
dimensional print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522A (ko
Inventor
한진수
도현옥
문주영
이상범
김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비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비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비콘
Priority to KR1020160037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201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8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filamentary material being melted, e.g. fused deposition modelling [FD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식 노즐의 연결 구조로 핀 배터리 커넥터 방식을 채용하는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조형판, 상기 조형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원료를 토출하는 노즐 구조와, 상기 노즐 구조에서 토출되는 원료에 의해 상기 조형판에 3차원 조형물이 형성되도록 상기 노즐 구조를 x축, y축 및 z축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노즐 구조 및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노즐 구조는, 3차원 조형물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를 압출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금속 블록과 상기 금속 블록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노즐부를 가열하는 히팅부; 및 상기 노즐부 및 상기 히팅부와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핀 배터리 커넥터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접촉점에 착탈된다.

Description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THREE DIMENSIONAL PRINTER USING LOADED-UNLOADED NOZZLE PREVENTING SHORT}
본 발명은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탈식 노즐의 연결 구조로 핀 배터리 커넥터 방식을 채용하는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3D 구조물을 형성하는 기술에는 열 가소성 플라스틱류를 압출하여 적층하는 방식, 액체 상태의 '광경화성 수지'가 담긴 수조(Vat) 안에 레이저 빔을 투사하고 수조 안에 있는 조형물이 한 층(Layer) 씩 만들어질 때마다 수조가 층 두께만큼 하강하고 다시 레이저를 주사하여 입체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식, 액체 상태의'광경화성 수지(빛을 받으면 경화되는 수지)'에 조형하고자 하는 모양의 빛을 투사하면서 수지를 층층이 굳혀 입체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식, 잉크젯 프린터 원리를 이용하여 프린터 헤드의 노즐에서 액체 상태의 컬러 잉크와 경화물질(바인더)을 분말 원료에 압출하여 입체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이 가운데 열 가소성 플라스틱류를 압출하여 적층하는 방식은 하나의 동일한 액화 원료(플라스틱, 왁스, 금속 등)를 지정(목표)된 범위에 적층시켜 입체 구조물을 완성 시킨다.
여기서, 3차원 프린터는 물체의 입체형상을 3차원 그래픽 설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2차원 단면 형상 데이터 조합으로 생성한 후, 생성된 2차원 다면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LA(Poly Lactic Acid) 등과 같은 플라스틱 등의 원료물질을 압출하여 조형판(Bed)에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이를 통하여 물체의 입체 조형물을 제조하게 된다.
위와 같은 3차원 프린터는, 조형 작업 중에 간헐적으로 조형판의 표면에서 이탈한 용융된 원료가 압출기(Extruder) 기능을 수행하는 노즐(Nozzle)의 외벽에서부터 노즐에 열을 가하는 히터(Heater)의 내부까지 부착되어 노즐, 히터 등의 파손을 야기하는 바, 히터 및 노즐을 포함하는 모듈 구조를 정비하거나 교체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8614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노즐 모듈을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는 착탈식 기술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3차원 프린터의 착탈식 노즐 구조에 의하면, 신호 송수신을 위한 연결 단자를 주로 포고 핀(Pogo Pin) 형태로 구현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포고 핀 방식은 주로 단일 접점을 통하여 모듈 간 연결을 구현하는 방식이므로 노즐 구조와 3차원 프린터의 본체 간 오조립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오조립으로 인하여 쇼트(Short)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3차원 프린터에서 출력 작업이 수행되는 중에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포고 핀 내부의 스프링이 변형되어 접촉 불량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8614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3차원 프린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착탈식 노즐 구조를 3차원 프린터와 연결하는 데 있어서, 핀 배터리 커넥터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노즐 구조와 3차원 프린터의 본체 간 오조립이 없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 구조를 포함하지 않는 핀 배터리 커넥터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3차원 프린터의 출력 작업으로 인한 발열에도 변형이 없는 연결 구조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접촉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형판, 상기 조형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원료를 토출하는 노즐 구조와, 상기 노즐 구조에서 토출되는 원료에 의해 상기 조형판에 3차원 조형물이 형성되도록 상기 노즐 구조를 x축, y축 및 z축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노즐 구조 및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노즐 구조는, 3차원 조형물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를 압출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금속 블록과 상기 금속 블록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노즐부를 가열하는 히팅부; 및 상기 노즐부 및 상기 히팅부와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핀 배터리 커넥터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접촉점에 착탈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 구조는,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를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온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노즐 구조의 이상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구조는, 온도 냉각을 위한 송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발생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송풍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즐 구조는, 상기 노즐 구조의 전원 공급 경로에 장착되어 주변 온도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 경로를 단선하는 온도 퓨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장점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는 착탈식 노즐 구조 및 3차원 프린터 본체 간에 핀 배터리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노즐 구조 및 3차원 프린터의 본체 간 오조립으로 인한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는 착탈식 노즐 구조 및 3차원 프린터 본체 간에 스프링 구조를 포함하지 않는 핀 배터리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3차원 프린터의 출력 작업으로 인한 발열에도 커넥터의 변형이 없고, 따라서 접촉 불량 등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의 노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의 연결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에 적용된 온도 퓨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의 노즐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는, 조형판(100), 노즐 구조(200), 이송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형판(100)은, 상부에 3차원 조형물이 형성되는 베드(Bed)로, 3차원 조형물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제어부(400)의 제어 또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으며, 완성된 3차원 조형물 처리 시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착탈식 베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조형판(100)은, 발열 기능을 통하여 3차원 조형물의 하면이 조형판(100)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노즐 구조(200)는, 조형판(100)을 향하는 방향(A)으로 3차원 조형물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를 토출한다. 이때, 노즐 구조(200)는, 노즐부(210), 히팅부(220), 연결부(230), 온도 감지부(240) 및 송풍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210)는, 3차원 조형물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를 압출한다. 즉, 노즐부(210)는, 원료인 필라멘트 등을 입력받아 히팅부(220)로부터 전달된 열을 가하며, 열에 의하여 용융된 원료를 압출하는데, 소정의 경로를 통하여 주입된 필라멘트를 용융·압출하여 조형판(100) 위에 조형물을 만든다. 여기서, 원료로서 열 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 가소성 수지는 PLA, ABS,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 나일론(Nylon), 레이우드(Laywood)를 필라멘트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노즐부(210)의 원료 토출 부분의 구경은 0.25mm 내지 0.4mm 구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원료의 종류 및 원료를 액화하는 온도에 따라 원료의 점성은 변화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노즐부(210)는 황동(Brass), 스테인레스(Stainless Steel)와 같은 금속, 바람직하게는 황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히팅부(220)는, 노즐부(210)의 외측에 결합되는 금속 블록과 금속 블록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선으로 이루어져 노즐부(210)를 가열한다. 즉, 히팅부(220)는, 노즐부(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금속 블록으로,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하여 가열되는 내부의 열선에 의하여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고온의 열을 노즐부(210)로 전달하게 된다. 즉, 노즐부(210)의 상부가 히팅부(220) 내에 형성된 홀(도시되지 않음)과 결합하고, 이를 통하여 노즐부(210)가 히팅부(220)에서 발생한 열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연결부(230)는, 노즐부(210) 및 히팅부(220)와 제어부(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핀 배터리 커넥터로, 제어부(400)에 연결된 접촉점(401)에 착탈될 수 있다. 이때,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의 연결부(230)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노즐 구조(200)가 3차원 프린터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조감도이고, 도 3c는 노즐 구조(200)가 3차원 프린터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에 적용된 온도 퓨즈부(260)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연결부(230)는,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핀의 휴대폰용 배터리 커넥터를 2개 설치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나, 포고 핀 방식이 아닌 2핀 내지 10핀 방식 중 어떤 커넥터도 사용 가능하며, 이와 같은 커넥터를 적어도 1개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즉, 연결부(230)는,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형상의 볼록 접속 단자를 구비하고, 3차원 프린터의 본체는, 제어부(400)에 연결된 접촉점(401)으로 볼록 접속 단자를 가이드할 수 있는 오목 형상 내에 평면형 접속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 접속 단자와 평면형 접속 단자가 접촉점(401)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고, 볼록 접속 단자와 평면형 접속 단자를 통하여 전기적 신호가 통하게 된다.
또한, 온도 감지부(240)는, 노즐 구조(200)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를 연결부(230)를 통하여 제어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온도 감지부(240)에서 측정된 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값을 비교함으로써 노즐 구조(200)의 이상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400)는, 온도 감지부(240)에서 측정된 온도를 통하여 노즐 구조(200)의 쇼트에 의한 과열을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송풍부(25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노즐 구조(200) 또는 조형판(100) 상의 작업 공간을 포함하는 부분의 온도를 냉각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온도 감지부(240)에서 측정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송풍부(250)를 구동하여 온도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온도 퓨즈부(260)는, 노즐 구조(200)의 전원 공급 경로에 장착되어 주변 온도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함에 따라 전원 공급 경로를 단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30)가 설치된 기판(231) 상에 전원 공급 경로를 형성하고, 온도 퓨즈부(260)가 전원 공급 경로 상에서 과열 시 단선되는 구조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온도 퓨즈부(260)는, 노즐 구조(200)의 회로 단락(Short) 또는 부품 고장 등에 기인하는 과전류에 의하여 생성되는 발열을 감지하고, 과열 시 회로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이송부(300)는,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노즐부(210)를 x축, y축 및 z축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이송부(300)는, 노즐부(21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수직 이송부(도시되지 않음) 및 노즐부(210)를 x축 및 y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이송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평 이송부 및 수직 이송부 각각은 이송 모터 및 이송 모터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리드 스크류(Lead screw)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노즐부(210)를 이송시킬 수 있는 한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나 실린더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본 발명의 3차원 프린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 PC 등에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3차원 조형물에 관한 수평 슬라이싱 파일 내 명령에 따라 이송부(300)의 이동 정도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400)는, STL(STereoLithography) 형식으로 저장된 그래픽 파일이 슬라이싱된 G 코드 등을 통하여 3차원 조형물을 형성하기 위한 수평 단면의 각 좌표 및 위 좌표에 따른 경로를 따라 노즐부(210)를 진행시키는 이송부(300)의 이동 정도를 지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G 코드 등의 데이터로부터 수평 이송부 및 수직 이송부의 작업을 분배하고, 분배된 작업에 따라 수평 이송부 및 수직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수평 이송부를 구동하기 위하여 X축 부호화부(도시되지 않음) 및 Y축 부호화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3차원 프린터의 안정된 조형물의 생성을 위하여, 조형판(100)의 온도가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는, 연결부(230)의 구조를 통하여 쇼트를 방지하는 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핀 배터리 커넥터로 노즐부(210) 및 히팅부(220)와 제어부(400)를 복수개의 단자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므로, 주로 한 점에 의해 연결되는 포고 핀 방식에 비교하여 안정적인 연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스프링 구조를 포함하지 아니하므로 높은 온도에 노출된 경우에도 단자 형태의 변형이 적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온도 감지부(240)가 노즐 구조(200)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를 연결부(230)를 통하여 제어부(400)로 전달하므로, 쇼트 등이 발생할 수 있는 온도로 과열되어 있는지 여부를 제어부(400)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이러한 판단 결과에 따라 표시부(도시되지 않음)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위험 상태를 경고하거나, 쇼트 발생 직전인 경우에 송풍부(250)를 구동하여 과열된 온도를 냉각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온도 퓨즈부(260)를 통하여, 쇼트 등에 의한 과열 시 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추가적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개시된 기술인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조형판
200: 노즐 구조
210: 노즐부
220: 히팅부
230: 연결부
240: 온도 감지부
250: 송풍부
300: 이송부
400: 제어부

Claims (4)

  1. 조형판, 상기 조형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원료를 토출하는 노즐 구조와, 상기 노즐 구조에서 토출되는 원료에 의해 상기 조형판에 3차원 조형물이 형성되도록 상기 노즐 구조를 x축, y축 및 z축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노즐 구조 및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노즐 구조는,
    3차원 조형물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를 압출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금속 블록과 상기 금속 블록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노즐부를 가열하는 히팅부;
    상기 노즐부 및 상기 히팅부와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노즐 구조의 전원 공급 경로에 장착되어 주변 온도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 경로를 단선하는 온도 퓨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절곡된 형상의 볼록 접속 단자 및 상기 볼록 접속 단자를 가이드하는 오목 형상 내 평면형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핀 배터리 커넥터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접촉점에 착탈되는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 구조는,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를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온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노즐 구조의 이상 발생을 감지하는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즐 구조는,
    온도 냉각을 위한 송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발생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송풍부를 구동시키는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
  4. 삭제
KR1020160037116A 2016-03-28 2016-03-28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 KR101802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116A KR101802201B1 (ko) 2016-03-28 2016-03-28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116A KR101802201B1 (ko) 2016-03-28 2016-03-28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522A KR20170111522A (ko) 2017-10-12
KR101802201B1 true KR101802201B1 (ko) 2017-11-29

Family

ID=60140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116A KR101802201B1 (ko) 2016-03-28 2016-03-28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753B1 (ko) * 2018-06-25 2020-02-03 주식회사 휴로 3d프린터 토출시스템
KR102287959B1 (ko) * 2020-12-03 2021-08-10 김영희 교체가 용이한 3d프린터용 핫엔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522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794B1 (ko) 복합 3d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KR101704620B1 (ko) 출력오류 보정이 가능한 압출 적층 방식 3d 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출력오류 보정방법
KR101802201B1 (ko) 쇼트 방지 착탈식 노즐이 적용된 3차원 프린터
CN105328902A (zh) 具有运动传感器的3d打印机
KR101653817B1 (ko) 가변노즐헤드가 구비되는 3d프린터 및 그 작동방법
CN103753817A (zh) 一种3d打印机喷头装置
KR101849592B1 (ko) 노즐 교체형 3차원 프린터
JP2010247508A (ja) 液体吐出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76320B2 (ja) 造形装置、造形方法および造形システム
JP2019142147A (ja) 造形装置、造形方法および造形システム
JP2020116820A (ja) 造形装置、システム、造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02193B1 (ko) 3차원 프린터용 노즐 구조
JP2019142150A (ja) 造形装置、造形方法および造形システム
KR101678126B1 (ko)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장비
CN105690767A (zh) 一种可应用于3d打印的机器人
KR20200044214A (ko) 복수의 노즐 조립체 교체 방식의 3d 프린터
KR101664988B1 (ko) 3d 프린터의 로드 어셈블리
CN207028190U (zh) 一种3d打印机的喷嘴结构
KR20190076417A (ko) 3d 프린터 노즐 구조
KR20170111623A (ko) 유도 가열 방식의 베드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
KR20180072253A (ko) 3차원 프린터
KR20170031888A (ko) 3차원 프린터 원료 감지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
CN104859120A (zh) 一种注塑机的模具冷却水监控系统和水温联网监控系统
KR20190114125A (ko) 고기능성 친환경 3d 필라멘트 제조를 위한 원스탑 공정 및 그를 이용한 3d 필라멘트
KR101723726B1 (ko) 프린터 인쇄기법을 이용하여 다이오드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