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915B1 -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915B1
KR101801915B1 KR1020160124961A KR20160124961A KR101801915B1 KR 101801915 B1 KR101801915 B1 KR 101801915B1 KR 1020160124961 A KR1020160124961 A KR 1020160124961A KR 20160124961 A KR20160124961 A KR 20160124961A KR 101801915 B1 KR101801915 B1 KR 101801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reinforcing
wedge
receiv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4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5/04Bilge or keel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63B9/00
    • B63B9/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63B273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장치는, 선박을 지지하는 칼럼부; 및 상기 칼럼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칼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 상기 칼럼부를 승, 하강 시키는 승하강유닛; 및 상기 칼럼부를 고정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지장치{SUP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선박 등을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대조/중조/선행중조와 같은 선박의 블록을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블록 형태로 제작되고, 이들을 조합하여 건조하게 된다. 블록형태로 조합하는 과정에서 선체 내부 및 선측의 작업은 외부로 노출 상태여서 비계 및 족장을 이용하여 가능하나, 이러한 비계 및 족장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선박 블록이 견고하게 지지되는 상태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또한, 받침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선저가 바닥에 접하게 되므로, 선저에 대한 작업은 선체(블록)를 지면에서 일정높이를 유지하도록 받쳐지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선박 블록의 지지 및 선저에 대한 작업을 위해 H빔과 같은 보강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보강재는 용접 등을 통하여 선박 블록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선박 블록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한 번 사용된 보강재는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보관 또는 재사용되지 않고 폐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보강재는 선박 블록 등을 제조할 때마다 새로이 생산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보관 및 재사용 가능한 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 블록을 지지하는 칼럼부; 및 상기 칼럼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칼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 상기 칼럼부를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유닛; 및 상기 칼럼부를 고정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지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는 선택적으로 외부로 돌출되어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레그부가 구비되는 지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바퀴 및 바퀴 설치부가 구비되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퀴 설치부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퀴는 상기 바퀴 설치부의 경사면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레그부가 상기 지면과 접하는 지점보다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작업자가 운반시 사용하기 위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지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럼부의 상부에는 선박 블록에 용이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지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는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지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럼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보강부; 상기 제1 보강부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보강부와 어긋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칼럼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지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 중 하나 이상을 압압하여 상기 칼럼부를 고정하는 지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장치가 쉽게 보관될 수 있고 재사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에 의해 선박 블록이 지지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홀더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지지장치에 대한 하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지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지지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에 의해 선박 블록이 지지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지지장치의 단면도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지지장치(10)는, 대조, 중조, 선행중조와 같은 선박 블록(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선박 블록(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장치(10)는 칼럼부(100) 및 수용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칼럼부(100)는 선박 블록(20)에 접촉되어 선박 블록(20)을 지지할 수 있으며, 수용부(200)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칼럼부(100)는 수용부(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통해 작업자는 칼럼부(100)만을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칼럼부(100)는 선박 블록(20)을 지지하는 몸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단부가 선박 블록(20)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제1 보강부(111); 및 제1 보강부(111)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제1 보강부(111)와 연결되는 제2 보강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제1 보강부(111)의 양측 단부가 제2 보강부(112)의 중심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보강부(111)와 제2 보강부(112)는 대략 수직으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보강부(112)는 제1 보강부(111)의 양측 단부에서 쌍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쌍으로 제공되는 제2 보강부(112)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용부(200)는 칼럼부(100)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210); 상기 칼럼부(10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승하강유닛(220); 및 칼럼부(100)를 고정할 수 있는 홀더(230); 및 지면과 접촉하는 레그부(240); 및 지지장치(10)의 이동을 위한 이동유닛(2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용홈(210)은 몸체부(11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칼럼부(100)가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홈(210)은 깊이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칼럼부(100)의 몸체부(11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용홈(210)은 제1 보강부(111)가 수용될 수 있는 중앙홈부(211) 및 제2 보강부(112)가 수용될 수 있는 말단홈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홈부(211)와 말단홈부(212)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승하강유닛(2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B-B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승하강유닛(220)은 수용홈(2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승하강유닛(220)은 칼럼부(100)를 지지할 수 있 수 있으며, 칼럼부(100)를 승강 또는 하강 시킬 수 있다. 승하강유닛(220)에 의해 지지장치(10)의 길이는 조절될 수 있다. 일예로, 이러한 승하강유닛(220)은 유압잭업일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홀더(230)를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C-C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홀더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홀더(230)는 몸체부(110)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수용홈(210)의 안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칼럼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홀더(230)는 수용부(2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몸체부(110)의 제1 보강부(111)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230)는 나사부(231) 및 쐐기부(2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용부(200) 내부에는 홀더(23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부(231)는 수용홈(210)의 측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쐐기부(232)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외부에서 삽입 방향으로 나사부(231)를 회전시켜, 쐐기부(232)를 수용홈(210)의 안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나사부(231)를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인 이탈방향으로 회전시켜 쐐기부(232)를 수용홈(210)의 바깥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쐐기부(232)는 쐐기부(232)는 나사부(231)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공간(s)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쐐기부(232)는 수용홈(21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쐐기부(232)의 내측 단부(232-1)의 폭(d1)은 쌍으로 제공되는 제2 보강부(112) 간의 거리보다 작고, 쐐기부(232)의 외측 단부(232-2)의 폭(d2)은 쌍으로 제공되는 제2 보강부(112) 간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쐐기부(232)의 내측부는 쌍으로 제공되는 제2 보강부(112)의 사이에서 안쪽방향으로 이동하여 몸체부(110)를 압압함으로써, 몸체부(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쐐기부(232)는 제1 보강부(111) 및 제2 보강부(112) 중 하나 이상을 압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쐐기부(232)의 내측 단부(232-1)가 제1 보강부(111)를 압압하고, 쐐기부(232)의 내측 단부(232-1)와 외측 단부(232-2)의 사이의 측부(232-3)가 제2 보강부(112)를 압압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레그부(240)를 설명한다. 도 7은 도 2의 지지장치에 대한 하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레그부(240)는 수용부(2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지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그부(240)는 몸체부(110)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피봇(241)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회전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피봇(241)은 몸체부(110)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레그부(240)로 인해 지면과의 접촉면적이 확대되고, 이로 인해 지지장치(10)는 지면에 대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동유닛(250)은 지지장치(10)의 이동을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이동유닛(250)은 바퀴설치부(251), 바퀴(252) 및 손잡이(254)를 포함할 수 있다. 바퀴설치부(251)는 바퀴(252)를 지지하고, 수용부(200)의 측부에 구비된다. 바퀴설치부(252)에는 지면을 향해 아래로 기울어진 경사면이 구비되어 있으며, 바퀴(251)는 바퀴설치부(252)의 이러한 경사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254)는 바퀴 설치부(251) 및 바퀴(252) 보다 상부에서 이동유닛(250)의 측부에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자는 운반시 손잡이를 잡고 지지장치(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칼럼부(100)가 접합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들을 원용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지지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지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칼럼부(100)는 몸체부(110)에 대해 회전가능한 접합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130)가 선박 블록(20)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므로, 칼럼부(100)가 선박 블록(20)에 보다 우수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접합부(130)는 선체(20)에 접합되는 접합체(131); 및 접합체(131)를 몸체부(110)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칼럼핀(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합체(131)는 선박 블록(20)에 용접되어 고정됨으로써 선박 블록(20)을 지지할 수 있다. 접합체(131)는 몸체부(1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접합체(131)는 몸체부(110)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보강부(111)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칼럼핀(132)은 제1 보강부(111)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칼럼핀(132)은 몸체부(110)의 상부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핀지지부(113)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핀지지부(113)는 제2 보강부(112)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접합체(131)는 일측의 제2 보강부(112)와 타측의 제2 보강부(112) 사이에 인입될 수 있도록 일측의 제2 보강부(112)와 타측의 제2 보강부(112) 사이의 거리(d3)보다 더 작은 폭(d4)을 가질 수 있다.
접합체(131)는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선박 블록의 고정작업이 종료되면 접합체(131)와 선박 블록(20) 간의 용접이 해제되어 접합체(131)가 선박 블록(2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처럼 한번 용접된 접합체(131)는 선박 블록(20)의 고정작업에 다시 사용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접합체(131)만 교체하면 지지장치(10)를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지지장치 20: 선박 블록
100: 칼럼부 110: 몸체부
111: 제1 보강부 112: 제2 보강부
113: 핀지지부 130: 접합부
131: 접합체 132: 칼럼핀
200: 수용부 210: 수용홈
211: 중앙홈부 212: 말단홈부
220: 승하강유닛 230: 홀더
231: 나사부 232: 쐐기부
232-1: 내측 단부 232-2: 외측 단부
232-3: 측부 240: 레그부
241: 피봇 250: 이동유닛
251: 바퀴 설치부 252: 바퀴
254: 손잡이

Claims (8)

  1. 선박을 지지하기 위해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칼럼부; 및
    상기 칼럼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칼럼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칼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
    상기 칼럼부를 승, 하강 시키는 승하강유닛; 및
    상기 칼럼부를 고정하고,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쐐기부를 포함하는 홀더; 및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외부로 돌출되어,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레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칼럼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보강부;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보강부와 어긋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보강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제2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는 상기 쐐기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쐐기부의 내측 단부 폭은 양측의 상기 제2 보강부 사이의 거리보다 작고,
    상기 쐐기부의 외측 단부 폭은 양측의 상기 제2 보강부 사이의 거리보다 크며,
    상기 쐐기부는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를 압압하여 상기 칼럼부를 고정하는 지지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바퀴 및 바퀴 설치부가 구비되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퀴 설치부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퀴는
    상기 바퀴 설치부의 경사면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레그부가 상기 지면과 접하는 지점보다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작업자가 운반시 사용하기 위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지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부의 상부에는 선박에 용이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지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지지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60124961A 2016-09-28 2016-09-28 지지장치 KR101801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961A KR101801915B1 (ko) 2016-09-28 2016-09-28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961A KR101801915B1 (ko) 2016-09-28 2016-09-28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915B1 true KR101801915B1 (ko) 2017-11-27

Family

ID=6081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961A KR101801915B1 (ko) 2016-09-28 2016-09-28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9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2354A (zh) * 2022-07-05 2022-09-23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用于lng双燃料船鞍座分段腹板拼板的钢平台胎架
CN115158605A (zh) * 2022-08-18 2022-10-1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坞墩组件和斜底船的支撑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128Y1 (ko) * 2005-07-07 2005-09-15 기득산업 주식회사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KR100998112B1 (ko) * 2008-05-21 2010-12-02 김종영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128Y1 (ko) * 2005-07-07 2005-09-15 기득산업 주식회사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KR100998112B1 (ko) * 2008-05-21 2010-12-02 김종영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2354A (zh) * 2022-07-05 2022-09-23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用于lng双燃料船鞍座分段腹板拼板的钢平台胎架
CN115092354B (zh) * 2022-07-05 2023-12-05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用于lng双燃料船鞍座分段腹板拼板的钢平台胎架
CN115158605A (zh) * 2022-08-18 2022-10-1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坞墩组件和斜底船的支撑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915B1 (ko) 지지장치
CN107234415B (zh) 一种船体运输工装及船体支撑方法
KR102129486B1 (ko) 용접작업대 및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CN210755887U (zh) 一种激光切割机工作台
KR101984667B1 (ko) 갠트리 크레인
CN210254889U (zh) 一种门槛焊接固定零件的专用夹具
CN102500988A (zh) 一种起重机主梁翻转装置
JP6169155B2 (ja) 移動台車装置
EP1147980B1 (en)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reinforcements on a shell, particularly for a submarine
CN114473283B (zh) 一种吊机基座装焊方法及吊机基座装焊工装
KR200437112Y1 (ko) 선박용 러그 취부장치
JP5036574B2 (ja) 建設機械のフロート取付装置
KR20130125179A (ko) 중량물 승강 장치
KR101531328B1 (ko)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
CN219151938U (zh) 一种拱架加工辅助装置
CN205171973U (zh) 移动式工作台
KR100903859B1 (ko) 보조사다리 제작용 지그
CN212420250U (zh) 一种叉车侧移器货叉架拼焊装置
CN213857662U (zh) 一种大型真空装置的可分区操作结构
CN214933767U (zh) 一种船舶分段运输用支撑装置
CN209999843U (zh) 一种石墨烯定岛型超纤革膜上图案转印结构
JPH0640224Y2 (ja) 車両整備用昇降装置
CN216881151U (zh) 校正工装
CN211028725U (zh) 一种钣金焊接工作台
CN220335713U (zh) 一种适用于钢拱肋拱脚连接段空间角度定位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