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797B1 -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 - Google Patents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797B1
KR101801797B1 KR1020170036014A KR20170036014A KR101801797B1 KR 101801797 B1 KR101801797 B1 KR 101801797B1 KR 1020170036014 A KR1020170036014 A KR 1020170036014A KR 20170036014 A KR20170036014 A KR 20170036014A KR 101801797 B1 KR101801797 B1 KR 101801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e
resistor
signal
inflows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진화전기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화전기통신(주) filed Critical 진화전기통신(주)
Priority to KR1020170036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36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urge arres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는, 서지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서지 전압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센서부, 센서부에서 정류된 서지 전압을 소정 비율로 감쇄한 제1 신호와, 서지 유입 횟수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하는 감쇄부, 제1 및 제2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신호의 크기에 대응하는 서지 크기와 제2 신호의 유입에 대응하는 서지 유입 횟수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누적된 서지 크기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누적된 서지 크기에 대응하는 소손율이나 서지 유입 횟수에 대응하는 표시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제어부, 및 LCD 모듈 및 복수의 LED를 구비하며, 제어 신호에 따라, LCD 모듈에 서지 유입 횟수 및 소손율을 표시하거나, 복수의 LED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하거나 소등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지 보호기에 유입된 서지 유입 횟수와 유입된 서지 크기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표시할 수 있어, 서지 보호기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Replacement recommendation apparatus for internal deterioration of surge protector}
본 발명은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지 유입 횟수와 유입된 서지 크기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그 정도를 표시함으로써 연결된 서지 보호기의 내부 열화 정도 및 소손 정도를 파악하여 교체 권고 및 알림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펄스, 스파크, 노이즈 등으로 불리는 서지(surge)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고전압 대전류의 전기적인 동요현상을 의미한다. 즉, 서지는 여러 가지 발생원인으로 전력계통의 전원선, 신호 선로, 및 기타 통신 선로 등의 도체를 통하여 발생, 침입하는 순간적인 이상 과전압이라 할 수 있다.
서지의 발생 원인으로는, 번개와 같은 강한 충격성 전기로 인한 동전류 현상, 근접한 고압 송전선과 유도체에 의한 유도 전자파, 주위의 강한 RF 송신탑과 근접한 전기전자 유도체의 유도현상, 고주파 용접기와 같은 강한 ARC에 의한 유도 잡음, 스위치 온/오프 작동으로 인한 개폐 서지, 및 마찰정전기로 인한 피해 현상 등이 있다.
아날로그 시대에는 고압계통 피뢰기만 설치해도 큰 문제가 없었으나, 디지털 시대로 진입하면서 많은 부분들이 반도체 소자로 대체되면서, 낙뢰, 번개, 전력계통 사고 또는 전기기기의 스위치 작동, 인접 부하의 변동 등에 의해 발생하는 서지에 극히 민감하게 영향을 받아서 기기의 오동작이나 성능저하 및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서지의 발생으로 전기회로나 전자회로에 전기 방해, 자기 방해, 정전기 방해, 전자파 방해 등과 같은 장애가 나타나서, 디지털 기기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하거나, 프로그램의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으며, 누적된 서지의 영향으로 시스템이나 구성 부품에 전기적인 절연 열화 등과 같이 많은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지의 발생으로 인한 전기 기기, 전자 부품, 소프트웨어 등의 손상이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발생 원인과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서지를 흡수 및 차단할 수 있는 서지 보호기가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서지 보호기는 내부 부품에 손상이 있더라고, 부품의 손상이 가시적으로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서지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서지 보호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서지 보호기에서 사용하는 부품의 손상 정도를 알 수 없으므로, 서지 보호기의 교체 시기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도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지 유입 횟수와 유입된 서지 크기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표시함으로써, 연결된 서지 보호기의 열화 및 소손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서지 보호기 외부에서 내부에 배열되어 있는 부품들의 열화 및 소손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는, 서지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서지 전압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정류된 서지 전압을 소정 비율로 감쇄한 제1 신호와, 서지 유입 횟수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하는 감쇄부, 상기 제1 및 제2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신호의 크기에 대응하는 서지 크기와 상기 제2 신호의 유입에 대응하는 서지 유입 횟수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누적된 서지 크기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누적된 서지 크기에 대응하는 소손율이나 상기 서지 유입 횟수에 대응하는 표시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제어부, 및 LCD 모듈 및 복수의 LED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LCD 모듈에 상기 서지 유입 횟수 및 상기 소손율을 표시하거나, 상기 복수의 LED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하거나 소등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서지 전압이 입력되는 제1 및 제2 입력단자, 상기 제1 및 제2 입력단자에 병렬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 상기 제1 및 제2 입력단자에 병렬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저항, 및 상기 제1 및 제2 입력단자에 입력단이 연결된 브릿지 정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쇄부는, 상기 브릿지 정류기의 (+)출력단인 제1 노드와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3 저항, 상기 제1 노드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4 저항, 상기 제4 저항의 타단에 애노드가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으로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5 저항, 애노드는 상기 제5 저항의 타단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전원단에 연결되는 제3 다이오드, 상기 제3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상기 제5 저항의 타단을 연결한 출력 노드와 상기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상기 제5 저항의 타단과 상기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6 저항, 이미터는 접지단에 연결되고, 컬렉터로 상기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7 저항,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전원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8 저항,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상기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4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가 연결되는 서지 보호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위한 통신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발생 원인에 따라 입력 신호에 유도되는 서지를 흡수 및 제거하는 서지 보호기에 유입된 서지 유입 횟수와 유입된 서지 크기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된 서지 보호기의 열화 및 소손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서지 보호기의 고장 전에 미리 교체 시기를 파악할 수 있어서, 서지로 인한 전자기기나 부품 등의 파손이나 오동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교체 권고 회로 및 기능이 없는 서지 보호기의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서지 보호기의 유지 보수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의 동작 환경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의 외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4는 도 1에서 센서부와 감쇄부에 대한 회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서 제어부에 대한 회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대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7은 도 1에서 전원부에 대한 회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의 동작 환경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100)는 서지 보호기(10)에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서지 보호기(10)는 다양한 발생 원인에 따라 입력 신호 등에 유도되는 서지를 흡수 및 제거하여 전자기기나 부품 등의 파손이나 오동작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100)는 서지 보호기(10)에 연결되어, 서지 보호기(10)에 유입되는 서지 유입 횟수와 유입된 서지 크기 등을 누적하여 저장하고, 서지 유입 횟수와 서지 보호기(10)의 소손율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100)의 동작에 따라, 서지 보호기(10)의 손상 정도나 교체 시기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의 외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100)에는, LED(171a, 171b, 171c). LCD 모듈(173), 상태표시 스위치(175a), 및 LED 확인 스위치(175b) 등을 배치할 수 있다.
LED(171a, 171b, 171c)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누적된 서지 크기에 따라 LED(171a, 171b, 171c) 중 어느 하나를 점등하여, 서지 보호기(10)의 소손 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절전을 위해, LED 확인 스위치(175b)의 푸시나 터치 등과 같은 조작 전까지는 LED(171a, 171b, 171c)가 소등한 상태를 유지하고, LED 확인 스위치(175b)가 조작된 경우에만, 소정시간 동안 누적된 서지 크기에 따라 LED(171a, 171b, 171c) 중 적어도 하나가 점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LCD 모듈(173)은 상태표시 스위치(175a)가 푸시나 터치 등과 같은 조작 전에는 서지 유입 횟수를 표시하고, 상태 스위치(175a)가 조작된 경우에는 누적된 서지 크기에 따라 LCD 모듈(173)에 서지 보호기(10)의 소손율이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100)는 센서부(110), 감쇄부(130), 제어부(150), 표시부(170), 및 전원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서지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서지 전압을 정류하여 출력한다. 센서부(110)는 서지 보호기(10)에서 서지 보호 회로가 동작하여 접지로 방출되는 전류로부터 서지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감쇄부(130)는 센서부(110)에서 정류된 서지 전압을 소정 비율로 감쇄한 신호와, 서지 유입 횟수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감쇄부(1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서지 유입 횟수와, 입력된 신호의 크기에 대응하는 서지 크기를 누적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메모리에 저장된 누적된 서지 크기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표시부(170)의 LED 점등이나 소등을 위한 제어 신호와, LED 모듈(173)에 서지 유입 횟수나 소손율 등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70)는 서로 다른 색상의 LED와 LCD 모듈(173)을 구비하며,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LED를 점등하거나 소등하고, LED 모듈(173)에 숫자나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전원부(190)는 외부의 전원이나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서지 보호기(10)에서 사용되는 바리스터의 파손 여부를 감시하고, 바리스터가 파손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부(150)로 파손 감지 신호를 전달하여, 제어부(150)가 표시부(170)에 바리스터 파손에 대응하는 표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바리스터 감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서지 유입 횟수와 유입된 서지 크기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서지 유입 횟수와 서지 보호기(10)의 소손율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서 센서부와 감쇄부에 대한 회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센서부(110)는, 제너 다이오드 D1, 저항 R1, 저항 R2, 및 브릿지 정류기 BD1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된 서지 전압이 입력되는 입력 단자 CT-IN에 병렬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 D1, 저항 R1, 저항 R2와, 입력 단자 CT-IN에 입력단이 연결된 브릿지 정류기 BD1에 의해, 입력 단자 CT-IN을 통해 입력되는 서지 전압은 정류되어 브릿지 정류기 BD1의 (+)출력단과 (-)출력단으로 출력된다. 입력 단자 CT-IN에는 CT(Current Transformer) 등을 연결하여, 서지 보호기(10)에서 서지 보호 회로가 동작하여 접지로 방출되는 전류로부터 서지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감쇄부(130)는, 저항 R3, 저항 R4, 저항 R5, 저항 R6, 저항 R7, 저항 R8, 제너 다이오드 D2, 다이오드 D3, 다이오드 D4, 커패시터 C1, 트랜지스터 Q1 및 비드 L1을 포함할 수 있다.
감쇄부(130)에서, 브릿지 정류기 BD1의 (+)출력단인 제1 노드(N1)와 감쇄부(130)의 출력단인 제2 노드(N2) 사이에 저항 R5, 다이오드 D3, 저항 R6가 직렬 연결되고, 제1 노드(N1)와 접지단 사이에 저항 R3가 연결된다. 커패시터 C1은 다이오드 D3의 캐소드와 저항 R6의 연결 노드와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고, 저항 R7은 제2 노드(N2)와 접지단 사이에 연결된다. 다이오드 D4의 애노드는 제2 노드(N2)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전원단에 연결되고, 커패시터 C1과 접지단의 연결노드와 저항 R7와 접지단의 연결노드 사이에 비드 L1이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는 저항 R8을 통해 제1 노드(N1)에 연결되고, 이미터는 접지단에 연결되며, 컬렉터는 제어부(150)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연결된다.
제너 다이오드 D2는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와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고, 저항 R8은 트랜지스터 Q1의 컬렉터와 전원단 사이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센서부(110)에서 제1 노드(N1)로 출력되는 정류된 서지 전압은 감쇄부(130)에서 소정 비율로 감쇄된 저전압으로 변환되어 제2 노드(N2)로 출력된다. 또한, 일정 크기 이상의 서지 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 Q1 가 온 상태로 변환되어, 서지 유입 횟수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50)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서 제어부와 표시부에 대한 회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60), 저항 R9, 저항 R10, 및 스위치 SW1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SW1은 마이크로 컨트롤러(160)를 리셋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60)는 감쇄부(130)에서 제2 노드(N2)로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PF0 I/O 포트로 입력받아, 출력 전압의 유입에 대응하는 서지 유입 횟수와 출력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는 서지 크기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누적된 서지 크기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표시부(170)의 LED 점등이나 소등을 위한 제어 신호를 PD4, PD5, PD6 I/O 포트로 출력하고, 표시부(170)의 LCD 모듈(173)에 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PA0, PA1, PA3, PA4, PA5, PA6, PA7 I/O 포트로 출력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60)는 회로 오동작 등으로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누적된 서지 유입 횟수와 서지 크기, 기준값 등을 복수로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170)는 저항 R8, 저항 R11, 저항 R12, 저항 R13, 제너 다이오드 D2, 트랜지스터 Q1, 발광다이오드 LP1, 발광다이오드 LP2, 발광다이오드 LP3, LCD 모듈(173), 및 커패시터 C3 ~ C14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 LP1, LP2, LP3 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누적된 서지 크기에 따라 LED LP1, LP2, LP3 중 어느 하나를 점등할 수 있다.
예컨대, LED LP1, LP2, LP3를 각각 Green LED, Yellow LED, Red LED를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기준으로 서지 크기의 누적 상태가 0 ~ 50% 또는 0 ~ 60%인 경우 Green LED를 점등하여, 연결된 서지 보호기(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Green LED의 점등은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하고 있다는 것도 나타낼 수 있다. 누적 상태가 50 ~ 80% 또는 60 ~ 70%인 Yellow LED를 점등하며, 누적 상태가 80 ~ 100% 또는 70 ~ 100%인 경우에는 Yellow LED를 소등하고 Red LED를 점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Yellow LED가 점등되면, 서지 보호기(10)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Red LED가 점등되면, 서지 보호기(10)가 더 이상 그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운 상태임을 알 수 있다.
표시부(170)는 사용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LED로 구성하는 대신, 복수의 색상으로 점등되는 LED를 사용할 수도 있다.
LCD 모듈(173)은 서지 유입 횟수와, %단위로 소손율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부(170)의 LED 점등 상태와 LCD 모듈(173)에 표시되는 소손율 등에 따라, 사용자는 서지 보호기(10)의 부품이 어느 정도 손상되었는지 알 수 있으며, 서지 보호기(10)의 교체 시기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160)는 I/O 포트(161a, 161b, 161c, 161d, 161e, 161f, 161g), 타이머(162), 카운터(163), LCD 컨트롤러(164), A/D 컨버터(165), 비교기(166), 메모리(167), 및 코어 로직부(169) 등을 구비할 수 있다.
A/D 컨버터(165)는 감쇄부(13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입력받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다.
메모리(167)에는 코어 로직부(169)에 의해, A/D 컨버터(165)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값이 누적되어 저장된다. 메모리(167)에는 기준값과 서지 유입 횟수, 소손율 등도 저장된다.
비교기(166)는 메모리(167)에 저장된 누적된 디지털 값을 기준값과 비교한다.
코어 로직부(169)는 비교기(166)의 비교 결과에 따라, 표시부(150)에 배치된 LED 점등이나 소등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I/O 포트(16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코어 로직부(169) LCD 컨트롤러(164)를 통해 서지 유입 횟수와 소손율이 LCD 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I/O 포트(16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서지 유입 횟수와 유입된 서지 크기를 산출하여 메모리에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서 전원부에 대한 회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원부(190)는 저항 R21, 저항 R22, 저항 R23, 저항 R24, 저항 R25, 브릿지 정류기 BD2, 션트 레귤레이터 다이오드(shunt regulator diode) U2, 커패시터 C21, 커패시터 C22, TVS(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다이오드 D2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원은 저항 R21, 저항 R22를 통해 브릿지 정류기 BD2에 입력되어 정류되고, 브릿지 정류기 BD2의 (+)출력단과 (-)출력단으로 출력된다.
브릿지 정류기 BD2의 (+)출력단과 동작 전원 VCC의 출력단인 제3 노드(N3) 사이에 저항 R23이 직렬 연결되고, 제3 노드(N3)와 접지단사이에 직렬연결된 저항 R24와 저항 R25, 션트 레귤레이터 다이오드 U2, 커패시터 C2, TVS 다이오드 D20이 병렬 연결된다.
직렬 연결된 저항 R24와 저항 R25에 의해 분배된 전압은 션트 레귤레이터 다이오드 U2의 레퍼런스 단자를 통해 기준 전압으로 제공된다.
션트 레귤레이터 다이오드는 전원부(190)를 통해 출력되는 동작 전원 VCC의 정전압 유지를 위해 사용된다.
TVS 다이오드는 정전기 방전(electrostatic discharge)이나 유도부하 스위칭(inductive load switching) 혹은 유도 방전(induced lightning) 등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과도상태로부터 약한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TVS 다이오드는 천이하는 전압을 클랩핑하고 전류를 외부로 누출시켜 라인과 라인, 라인과 접지 사이를 보호하는 역활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로 구성에 의해, 전원부(190)는 외부의 전원을 정류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센서부 130 : 감쇄부
150 : 제어부 170 : 표시부
190 : 전원부

Claims (10)

  1. 서지 전압이 입력되는 제1 및 제2 입력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 입력단자에 병렬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제1 및 제2 입력단자에 병렬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저항과, 상기 제1 및 제2 입력단자에 입력단이 연결된 브릿지 정류기를 구비하여, 상기 서지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서지 전압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정류된 서지 전압을 소정 비율로 감쇄한 제1 신호와, 서지 유입 횟수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하는 감쇄부;
    상기 제1 및 제2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신호의 크기에 대응하는 서지 크기와 상기 제2 신호의 유입에 대응하는 서지 유입 횟수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누적된 서지 크기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누적된 서지 크기에 대응하는 소손율이나 상기 서지 유입 횟수에 대응하는 표시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제어부; 및
    LCD 모듈 및 복수의 LED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LCD 모듈에 상기 서지 유입 횟수 및 상기 소손율을 표시하거나, 상기 복수의 LED 중 적어도 하나를 점등하거나 소등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부 및 상기 제어부에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부는,
    상기 브릿지 정류기의 (+)출력단인 제1 노드와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3 저항;
    상기 제1 노드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4 저항;
    상기 제4 저항의 타단에 애노드가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으로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5 저항;
    애노드는 상기 제5 저항의 타단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전원단에 연결되는 제3 다이오드;
    상기 제3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상기 제5 저항의 타단을 연결한 출력 노드와 상기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상기 제5 저항의 타단과 상기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6 저항;
    이미터는 접지단에 연결되고, 컬렉터로 상기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7 저항;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전원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8 저항;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상기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4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패시터와 상기 접지단의 연결노드와, 상기 제6 저항과 상기 접지단의 연결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비드를 더 포함하는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및 제2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기준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비교기; 및
    상기 디지털 값을 누적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누적된 디지털 값을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는 상기 비교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코어 로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연결되는 서지 보호기를 더 포함하는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위한 통신 포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서지 보호기에 포함된 바리스터의 파손 여부를 감시하는 바리스터 감시부를 더 포함하는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된 서지 유입 횟수와 서지 크기는 복수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
KR1020170036014A 2017-03-22 2017-03-22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 KR101801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014A KR101801797B1 (ko) 2017-03-22 2017-03-22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014A KR101801797B1 (ko) 2017-03-22 2017-03-22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797B1 true KR101801797B1 (ko) 2017-12-20

Family

ID=6093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014A KR101801797B1 (ko) 2017-03-22 2017-03-22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001A (ko) * 2021-06-02 2022-12-09 주식회사 성진테크윈 저전류 변류기를 이용한 고 서지전류측정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892B1 (ko) * 2007-10-16 2008-10-22 김정수 서지 카운터
KR101268355B1 (ko) * 2013-02-15 2013-06-04 선광엘티아이(주) 서지보호기의 수명예측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892B1 (ko) * 2007-10-16 2008-10-22 김정수 서지 카운터
KR101268355B1 (ko) * 2013-02-15 2013-06-04 선광엘티아이(주) 서지보호기의 수명예측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001A (ko) * 2021-06-02 2022-12-09 주식회사 성진테크윈 저전류 변류기를 이용한 고 서지전류측정 방법
KR102524718B1 (ko) 2021-06-02 2023-04-24 이계광 저전류 변류기를 이용한 고 서지전류측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18286B (zh) 一种瞬时过压保护电路
KR100906304B1 (ko) 서지전압 보호회로의 누설전류 차단제어장치
KR101801798B1 (ko) 교체 권고 기능을 구비한 서지 보호기
US9748764B2 (en) Surge protective devices
KR100906305B1 (ko) 양방향 억제용 서지전압 방지장치
KR100957833B1 (ko) 써지 보호기
WO2007064062A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surge and over voltage
KR20190143747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01797B1 (ko)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
KR101013244B1 (ko) 비접지 계통의 서지방지시스템
US9590418B2 (en) Apparatus for checking damage to surge protector and automatically changing surge protector
KR100614117B1 (ko) 카운트 수단이 구비된 서지보호장치
KR101027038B1 (ko) 서지 보호기용 통신 시스템
KR101801799B1 (ko) 교체 권고 기능을 구비한 서지 보호 장치
KR101720126B1 (ko)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
KR101544573B1 (ko) 서지 보호 시스템
KR100907943B1 (ko) 감시카메라용 통합형 서지 방지장치
KR101607457B1 (ko) 서지 및 과전압 보호 회로를 구비하는 형광등기구
CN208190251U (zh) 一种电源防护电路及电子设备
KR100664741B1 (ko) 써지차단기능을 구비한 전원공급기
CN104569636A (zh) 一种电涌保护器压敏电阻劣化预警电路和装置
CN108306275B (zh) 一种电源防护电路及电子设备
KR101409479B1 (ko)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
CN106099840A (zh) 一种电源电路的保护电路及电源电路
KR101304261B1 (ko) 서지 보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