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776B1 - 드론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776B1
KR101801776B1 KR1020160061896A KR20160061896A KR101801776B1 KR 101801776 B1 KR101801776 B1 KR 101801776B1 KR 1020160061896 A KR1020160061896 A KR 1020160061896A KR 20160061896 A KR20160061896 A KR 20160061896A KR 101801776 B1 KR101801776 B1 KR 101801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s
drone
mission
airspace
d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율
Original Assignee
메타빌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타빌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타빌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1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4Anti-collision systems
    • B64C2201/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 운항을 위한 드론운용 시스템으로서, 드론의 임무에 대응하여 드론이 운항되는 공역을 고도별로 복수개의 드론공역들로 각각 분할하고 드론공역들을 관리하는 드론공역체계부 및 드론공역체계부를 바탕으로 드론의 임무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드론공역에서 운항되도록 드론통신망을 통하여 드론의 운항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드론 운항제어부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고도별 드론공역체계를 확립하고 이를 이용하여 드론 운용시스템을 개발하여 드론의 사고 및 법규위반을 예방하는 등 드론을 효율적으로 운항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론운용 시스템 {Drone flight system}
본 발명은 드론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공역체계를 확립하고, 이를 이용한 드론 운항제어부를 구축하여 드론의 운항을 효율적으로 운용 및 관리할 수 있는 드론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드론(Drone; 무인비행장치)의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사회적으로도 큰 이슈가 되고 있으며, 드론을 레저나 스포츠 등 취미용으로 활용하면서 일반인들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상기 드론은 고속비행을 하기도 하며, 운송, 촬영, 산불감시, 안전진단 및 도로교통과 같은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데 활용되거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인들이 레저나 스포츠에 이용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기한 드론의 관심도와 활용도가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이렇게 급격히 증가한 대량의 드론이 비행할 수 있는 공역에 대한 체계가 확립되지 않고 협소한 공역으로 인하여 드론의 사고 및 법규위반이 급증하는 등 효율적인 드론 운용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7210호
본 발명은, 드론이 비행할 수 있는 드론공역체계를 확립하고, 이를 이용한 드론 운항제어부를 구축하여 드론의 효율적인 운항을 이룰 수 있는 드론운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드론 운항을 위한 드론운용 시스템으로서, 상기 드론의 임무에 대응하여 상기 드론이 운항되는 공역을 고도별로 복수개의 드론공역들로 각각 분할하고 상기 드론공역들을 관리하는 드론공역체계부 및 상기 드론공역체계부를 바탕으로 상기 드론의 임무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상기 드론공역에서 운항되도록 드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드론의 운항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드론 운항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드론공역체계부는, 지상으로부터 설정된 고도까지 형성되며 상기 드론의 비행이 제한되는 드론비행 제한공역과, 상기 드론비행 제한공역과 인접한 상공에 위치하며, 단발성임무를 수행하는 상기 드론이 운항되는 단발성임무공역과, 상기 단발성임무공역과 인접한 상공에 위치하며, 운송임무를 수행하는 상기 드론이 운항되는 비행공역과, 상기 비행공역과 인접한 상공과 비행기 운항구역의 저공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드론이 긴급 회피할 수 있는 긴급회피공역을 포함하는 드론공역들로 형성된 드론운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운용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고도별 드론공역체계를 확립하고 이를 이용하여 드론운용 시스템을 개발하여 드론의 사고 및 법규위반을 예방하는 등 드론을 효율적으로 운항할 수 있다.
둘째, 드론 운용시스템 구축을 토대로 인프라 지원이 확립되면, 공공 및 민간 드론들이 안전하고 자유롭게 비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드론 활용분야 확대와 수요 증대 및 관련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통합 드론 운용시스템을 구축하여 드론의 운용기준 마련 및 드론의 표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운항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드론공역체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드론 운항제어부의 구성의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드론 운항제어부의 역할 및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운항시스템(300)은, 드론공역체계부(100)와, 드론 운항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상기한 드론 운항시스템(300)의 구성을 설명함에 앞서, 드론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드론은 위치정보 및 주변 영상정보를 상기 드론 운항제어부(200)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비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드론 운항제어부(200)에 의하여 제어되는 드론비행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론 운항제어부(200)와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드론은 운송임무를 수행할 경우를 대비하여 물품을 적재한 상태에서 운항할 수 있도록 물품적재장치(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으며, 비행속도에 대응하여 프로펠러 사이즈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품을 쓰레기, 구호품, 의류, 식료품 및 의약품 등 다양한 물품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드론공역체계부(100)는, 드론 공역의 협소함을 해결하고, 효율적인 드론 비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상기 드론의 임무에 대응하여 상기 드론이 운항되는 공역을 고도별로 복수개의 드론공역들로 각각 분할하고 상기 드론공역들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론 공역체계부는, 베이직룰(Basic rule)과, 옵셔널룰(Optional rule)을 토대로 하여 형성 드론공역 체계를 형성한다. 상기 베이직룰은, 구간별 최저/최고 속도제한 준수에 대한 상기 드론의 속도, 구간별 최저/최고 고도제한 준수에 대한 상기 드론의 고도, 고속구간 진입요청 및 허가절차 준수에 대한 해당하는 상기 드론공역 진입 및 구간별 이탈 시 감속비행 및 진행방향 탐지를 위한 이탈 및 고속구간 이외의 구간에서 정지비행 가능을 위한 상기 드론의 정지비행과 완충공역(150)에서의 관제권 이양절차에 대한 권한과, 모든 구간의 ADS-B활성화를 위한 정보를 토대로 하여 형성된다.
상기 옵셔널룰은, 재난/재해 임무와 상기 베이직룰의 예외에 대한 우선상황, 돌발상황에 대한 안전장치 활성화를 포함하는 돌발상황과, 재난/재해 발생 주변지역 폐쇄에 대한 사항을 토대로 하여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드론공역체계부(100)는, 드론비행 제한공역(Flight restriction layer;110)과, 단발성임무공역(Solitary mission flight layer;120)과, 비행공역(Cruise flight layer;130)과, 긴급회피공역(Emergency Run-up flight layer;140)과, 완충공역(Route change buffer layer;150)을 포함하는 드론공역들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론비행 제한공역(110)은, 지상으로부터 설정된 고도까지 형성되며 상기 드론의 이착륙은 이루어지지만, 상기 드론의 비행은 제한되는 공역이다.
상기 단발성임무공역(120)은 상기 드론비행 제한공역(110)과 인접한 상공에 위치하며, 단발성임무를 수행하는 공역으로, 사업자 권한 영역이기도 하다. 여기서, 상기 단발성임무는 운송을 제외한 물품의 적재지점 및 하역지점 판단, 감시, 통신 등 다양한 임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발성임무공역(120)은, 저공의 상기 비행제한구역의 고도와, 드론 및 임무장비의 성능과 임무의 특성을 감안한 고도 범위로서 소음 최소화, 개인정보촬영억제, 복잡한 임무환경처리, 통신가시거리 확보, 정지/저속/회전 비행, 유인 조종 등을 고려하여 고도범위를 설정한다.
한편, 상기 단발성임무공역(120)은 해당 지역의 고층건물, 인구밀집, 기상변화, 지상시설물 등과 관련한 환경특성과, 향후 제정되는 표준 및 기술 기준에 따른 제원에 대한 드론의 제원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고도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상기한 사항을 고려하여 상기 단발성임무공역(120)은 75m 내지 85m 범위의 고도로 형성되며, 이중 80m 고도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는 상기 단발성임무공역(120)의 바람직한 고도범위 또는 기준값이 되는 고도범위로서 상기한 고려사항에 따라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비행공역(130)은 상기 단발성임무공역(120)과 인접한 상공에 위치하며, 상기 드론이 운송을 위한 비행, 상기 단발성 임무공역으로의 이동을 위한 비행, 복귀를 위한 비행, 원거리임무에 따른 비행이 이루어지는 공역이다.
상세하게, 상기 비행공역(130)은, 탑재물건의 무게 또는 전체 하중 또는 상기한 탑재물건의 무게와 전체 하중에 대한 비행성능에 따라 분류된 중량 저속구간(131)과, 경량 고속구간(132)을 포함한다. 상기 중량 저속구간(131)은 상기 단발성임무공역(120)과 인접한 상공에 위치하고 중량의 운송물을 저속으로 운송하거나, 운송임무 이외의 임무용 드론의 자체무게가 저속구간 기준중량 이상인 경우 자체비행을 하기 위한 구간이다. 여기서, 상기 물품의 중량, 경량의 기준은 상기 드론의 사양과 물품의 중량 등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경량 고속구간(132)은 상기 중량 저속구간(131)과 인접한 상공에 위치하고 상기 중량의 운송물보다 무게가 적은 경량의 운송물을 고속으로 운송하기 위한 구간이다.
상기 중량 저속구간(131)과, 상기 경량 고속구간(132) 각각은 저공의 상기 단발성임무공역(120) 고도를 감안하고, 유인항공기 운용고도, 고층건물 및 시설물의 높이, 드론의 비행성능과 배터리 소모량, 통신가시거리, 돌발 상황으로 추락에 따른 안전장치 활성화 등을 감안하여, 신속하고 계획된 시간에 이동할 수 있는 것을 감안하여 고도범위를 설정한다.
이에, 상기 중량 저속구간(131)과, 상기 경량 고속구간(132)은 55m 내지 65m 범위의 고도로 형성되며, 60m 고도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바람직한 고도범위 또는 기준값이 되는 고도범위로서 상기한 고려사항에 따라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긴급회피공역(140)은 상기 비행공역(130)과 인접한 상공과 비행기 운항구역의 저공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드론이 긴급 회피할 수 있는 공역이다.
상기 완충공역(150)은, 상기 단발성 임무공역과, 상기 비행공역(130)과, 긴급회피공역(14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비행공역(130)의 상기 중량 저속구간(131)과 상기 경량 고속구간(132)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완충공역(150)은, 상기 드론의 임무를 수행과는 별도로 진입대기 등 운용적인 측면에서 대기하는 공역으로, 각 드론공역의 고도를 감안하고, 드론의 상승 및 하강속도, 기상조건에 따른 정지비행 성능 등을 감안한 고도 범위로서 각 공역 간의 안전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고도범위를 설정한다. 이에, 상기 완충공역(150)은 15m 내지 25m 범위의 고도로 형성되며, 20m 고도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드론 운항제어부(200)은, 상기 드론공역체계부(100)를 바탕으로 상기 드론의 임무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상기 드론공역에서 운항되도록 드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드론의 운항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론 운항제어부(200)은, 경찰청의 불법비행정보와, 기상청의 기상정보와, 국토부의 3D공간정보와, 국토부의 ATM의 공공정보와, 차량탑재 이동 감시장치로부터 불법 무인비행장치의 탐색과 무인비행장치 운용자를 통한 비행경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통해 드론을 운항시킬 수 있다.
상기 드론통신망은, 상기 송신부로부터 상기 드론의 위치정보와 주변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드론비행제어부를 제어하는 드론통합운용서버와, 상기 드론통합운용서버와 상기 드론의 상기 송신부 및 상기 드론비행제어부와 서로 통신되게 하는 유무선통신망과 LTE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드론 운항제어부(200)는, 드론등록부(210)와, 임무관리부(220)와, 드론 운항관리부(230)와, 드론 관리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드론등록부(210)는, 드론의 인·허가 및 드론등록코드를 부여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론등록부(210)는, 상기 드론의 비행거리와, 비행속도와, 비행고도를 포함하는 드론정보를 토대로 하여 상기 드론등록코드를 발급하고, 상기 드론등록코드는 상기 드론의 적재량에 대응하여 변동하여 설정한다. 상기 드론등록부(210)는 식별코드를 확인한 후 등록관리하는 피아식별과, 드론의 현재위치확인 및 공역관리를 위한 위치식별과, 지형지물확인 및 충돌관리를 위한 지형식별과, 비행상태확인 및 상태관리를 위한 상태식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임무관리부(220)는, 상기 드론의 임무를 생성하고 해당하는 상기 드론에 임무코드를 발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임무코드는, 재난/재해현장 또는 사건/사고현장에 투입되는 공공감시임무와, 대기환경/산불감시/수질감시/병충해감시를 포함하는 환경감시임무를 포함하는 감시임무코드와, 응급환자 또는 긴급물품을 운송하는데 투입되는 공공운송임무와, 일반택배를 운송하는데 투입되는 물류운송임무를 포함하는 운송임무코드를 포함한다.
아래의 표 1 내지 표 4는 상기한 임무코드를 나타내며, 표 1은 트랜스폰더 확장코드를 나타내고, 표 2는 감시임무코드를 나타내고, 표 3은 운송임무코드를 나타내고, 표 4는 공통 비행코드를 나타낸다.
Figure 112016048436714-pat00001
Figure 112016048436714-pat00002
Figure 112016048436714-pat00003
Figure 112016048436714-pat00004
상기 드론 운항관리부(230)는, 상기 드론의 운항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론 운항관리부(230)는, 상기 드론의 운항 노선 상의 지형을 고려하여 상기 드론의 운항 노선을 관리하는 드론 노선관리부(231)와, 상기 드론의 임무 수행에 대한 상기 드론의 비행위치와 비행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드론의 운항을 관리하는 드론 비행관리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드론 노선관리부(231)는, 상기 드론의 운항 노선의 3D공간정보를 이용하고, 상기 드론의 운항 노선 상의 지형지물을 확인하여 상기 드론의 운항노선을 생성한다.
상기 드론 비행관리부(232)는, 상기 드론에 설치된 근거리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근거리정보와, 상기 드론의 비행위치와, 비행중인 상기 드론의 노선 상에 있는 지형지물을 각각 확인하여 상기 드론의 충돌을 방지하는 충돌방지부와, 상기 드론의 비행위치와 비행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드론공역체계부(100)의 해당하는 드론공역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드론의 임무에 대응하여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는 비행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드론 관리부(240)는 상기 드론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드론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론 관리부(240)는, 상기 드론을 각 관리대상으로 분류하고, 운향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드론의 보안을 감시하는 보안감시부와, 상기 드론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드론의 운항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드론의 불법사용을 방지하는 불법사용예방부와, 상기 드론의 위치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드론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드론공역체계부 110... 드론비행 제한공역
120... 단발성임무공역 130... 비행공역
131... 중량 저속구간 132... 경량 고속구간
40... 긴급회피공역 150... 완충공역
200... 드론 운항제어부 210... 드론등록부
220... 임무관리부 230... 드론 운항관리부
231... 드론 노선관리부 232... 드론 비행관리부
240... 드론 관리부 300... 드론 운항시스템

Claims (14)

  1. 드론 운항을 위한 드론운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임무에 대응하여 상기 드론이 운항되는 공역을 고도별로 복수개의 드론공역들로 각각 분할하고 상기 드론공역들을 관리하는 드론공역체계부; 및
    상기 드론공역체계부를 바탕으로 상기 드론의 임무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상기 드론공역에서 운항되도록 드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드론의 운항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드론 운항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드론공역체계부는,
    지상으로부터 설정된 고도까지 형성되며 상기 드론의 비행이 제한되는 드론비행 제한공역과,
    상기 드론비행 제한공역과 인접한 상공에 위치하며, 단발성임무를 수행하는 상기 드론이 운항되는 단발성임무공역과,
    상기 단발성임무공역과 인접한 상공에 위치하며, 운송임무를 수행하는 상기 드론이 운항되는 비행공역과,
    상기 비행공역과 인접한 상공과 비행기 운항구역의 저공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드론이 긴급 회피할 수 있는 긴급회피공역을 포함하고,
    상기 드론 운항제어부은,
    드론의 인·허가 및 드론등록코드를 부여하고 관리하는 드론등록부와,
    상기 드론의 임무를 생성하고 해당하는 상기 드론에 임무코드를 발급하는 임무관리부와,
    상기 드론의 운항을 관리하는 드론 운항관리부와,
    상기 드론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드론을 관리하는 드론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 운항관리부는,
    상기 드론의 운항 노선 상의 지형을 고려하여 상기 드론의 운항 노선을 관리하는 드론 노선관리부와,
    상기 드론의 임무 수행에 대한 상기 드론의 비행위치와 비행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드론의 운항을 관리하는 드론 비행관리부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2. 드론 운항을 위한 드론운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임무에 대응하여 상기 드론이 운항되는 공역을 고도별로 복수개의 드론공역들로 각각 분할하고 상기 드론공역들을 관리하는 드론공역체계부; 및
    상기 드론공역체계부를 바탕으로 상기 드론의 임무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상기 드론공역에서 운항되도록 드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드론의 운항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드론 운항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드론공역체계부는,
    지상으로부터 설정된 고도까지 형성되며 상기 드론의 비행이 제한되는 드론비행 제한공역과,
    상기 드론비행 제한공역과 인접한 상공에 위치하며, 단발성임무를 수행하는 상기 드론이 운항되는 단발성임무공역과,
    상기 단발성임무공역과 인접한 상공에 위치하며, 운송임무를 수행하는 상기 드론이 운항되는 비행공역과,
    상기 비행공역과 인접한 상공과 비행기 운항구역의 저공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드론이 긴급 회피할 수 있는 긴급회피공역을 포함하고,
    상기 드론 운항제어부은,
    드론의 인·허가 및 드론등록코드를 부여하고 관리하는 드론등록부와,
    상기 드론의 임무를 생성하고 해당하는 상기 드론에 임무코드를 발급하는 임무관리부와,
    상기 드론의 운항을 관리하는 드론 운항관리부와,
    상기 드론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드론을 관리하는 드론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 관리부는,
    상기 드론을 각 관리대상으로 분류하고, 운향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드론의 보안을 감시하는 보안감시부와, 상기 드론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드론의 운항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드론의 불법사용을 방지하는 불법사용예방부와, 상기 드론의 위치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드론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부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행공역은,
    상기 단발성임무공역과 인접한 상공에 위치하고 자체비행 또는 중량의 운송물을 저속으로 운송하기 위한 중량 저속구간과,
    상기 중량 저속구간과 인접한 상공에 위치하고 상기 중량의 운송물보다 무게가 적은 경량의 운송물을 고속으로 운송하기 위한 경량 고속구간을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발성 임무공역은 75m 내지 85m 범위의 고도로 형성되는 드론운용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량 저속구간과 상기 경량 고속구간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공역들을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드론공역체계부는,
    상기 단발성 임무공역과, 상기 비행공역과, 긴급회피공역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공역들을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드론등록부는,
    상기 드론의 비행거리와, 비행속도와, 비행고도를 포함하는 드론정보를 토대로 하여 상기 드론등록코드를 발급하고,
    상기 드론등록코드는 상기 드론의 적재량에 대응하여 변동하여 설정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임무코드는,
    재난/재해현장 또는 사건/사고현장에 투입되는 공공감시임무와, 대기환경/산불감시/수질감시/병충해감시를 포함하는 환경감시임무를 포함하는 감시임무코드와,
    응급환자 또는 긴급물품을 운송하는데 투입되는 공공운송임무와, 일반택배를 운송하는데 투입되는 물류운송임무를 포함하는 운송임무코드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드론 운항관리부는,
    상기 드론의 운항 노선 상의 지형을 고려하여 상기 드론의 운항 노선을 관리하는 드론 노선관리부와,
    상기 드론의 임무 수행에 대한 상기 드론의 비행위치와 비행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드론의 운항을 관리하는 드론 비행관리부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드론 노선관리부는,
    상기 드론의 운항 노선의 3D공간정보를 이용하고, 상기 드론의 운항 노선 상의 지형지물을 확인하여 상기 드론의 운항노선을 생성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드론 비행관리부는,
    상기 드론에 설치된 근거리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근거리정보와, 상기 드론의 비행위치와, 비행중인 상기 드론의 노선 상에 있는 지형지물을 각각 확인하여 상기 드론의 충돌을 방지하는 충돌방지부와,
    상기 드론의 비행위치와 비행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드론공역체계부의 해당하는 드론공역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드론의 임무에 대응하여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는 비행제어부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12. 삭제
  13. 드론 운항을 위한 드론운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임무에 대응하여 상기 드론이 운항되는 공역을 고도별로 복수개의 드론공역들로 각각 분할하고 상기 드론공역들을 관리하는 드론공역체계부; 및
    상기 드론공역체계부를 바탕으로 상기 드론의 임무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상기 드론공역에서 운항되도록 드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드론의 운항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드론 운항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드론공역체계부는,
    지상으로부터 설정된 고도까지 형성되며 상기 드론의 비행이 제한되는 드론비행 제한공역과,
    상기 드론비행 제한공역과 인접한 상공에 위치하며, 단발성임무를 수행하는 상기 드론이 운항되는 단발성임무공역과,
    상기 단발성임무공역과 인접한 상공에 위치하며, 운송임무를 수행하는 상기 드론이 운항되는 비행공역과,
    상기 비행공역과 인접한 상공과 비행기 운항구역의 저공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드론이 긴급 회피할 수 있는 긴급회피공역을 포함하고,
    상기 드론 공역체계부는,
    상기 드론의 속도, 상기 드론의 고도, 해당하는 상기 드론공역 진입 및 이탈 및 상기 드론의 정지비행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하는 베이직룰과,
    재난/재해 임무 시의 우선권과, 상기 베이직룰의 예외와, 돌발상황에 대한 안전과, 재난/재해 발생 주변지역 폐쇄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하는 옵셔널룰을 토대로 하여 형성되는 드론운용 시스템.
  14.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위치정보 및 주변 영상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비행을 제어하는 드론비행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통신망은, 상기 송신부로부터 상기 드론의 위치정보와 주변 영상보를 수신하여 상기 드론비행제어부를 제어하는 드론통합운용서버와, 상기 드론통합운용서버와 상기 드론의 상기 송신부 및 상기 드론비행제어부와 서로 통신되게 하는 유무선통신망과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KR1020160061896A 2016-05-20 2016-05-20 드론운용 시스템 KR101801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896A KR101801776B1 (ko) 2016-05-20 2016-05-20 드론운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896A KR101801776B1 (ko) 2016-05-20 2016-05-20 드론운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776B1 true KR101801776B1 (ko) 2017-11-27

Family

ID=60810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896A KR101801776B1 (ko) 2016-05-20 2016-05-20 드론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7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822A (ko) 2018-12-10 2020-06-18 메타빌드주식회사 도로 사면 점검을 위한 드론 운용 시스템 및 방법
CN112437945A (zh) * 2018-07-18 2021-03-02 上泷良平 空域权管理系统
KR20210039793A (ko) 2019-10-02 2021-04-12 주식회사 피스퀘어 통합 드론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CN112437945B (zh) * 2018-07-18 2024-05-24 上泷良平 空域权管理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2827A (ja) * 2010-04-23 2011-11-17 Nec Corp 高度情報表示方法および高度情報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2827A (ja) * 2010-04-23 2011-11-17 Nec Corp 高度情報表示方法および高度情報表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7945A (zh) * 2018-07-18 2021-03-02 上泷良平 空域权管理系统
CN112437945B (zh) * 2018-07-18 2024-05-24 上泷良平 空域权管理系统
KR20200070822A (ko) 2018-12-10 2020-06-18 메타빌드주식회사 도로 사면 점검을 위한 드론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39793A (ko) 2019-10-02 2021-04-12 주식회사 피스퀘어 통합 드론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356B1 (ko) 드론을 이용한 물품운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드론을 이용한 물품운송방법
US9973737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assistant for monitoring of user activity
KR101803005B1 (ko) 드론 스카이-하이웨이 구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드론 운항방법
US6584383B2 (en) Anti-hijacking security system and apparatus for aircraft
US6864805B1 (en) Surveillance system for aircraft interior
WO2017006421A1 (ja) 回転翼機着陸装置
US10600327B2 (en) Unmanned aircraft transportation
US20180181125A1 (en) On-ground vehicle collision avoidance utilizing unmanned aerial vehicles
Tang et al. Systematic review of collision-avoidance approaches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ITRM20070214A1 (it) Apparato elettronico per la sorveglianza del traffico aereo ad elevata protezione per inibire l'uso non autorizzato di velivoli
US202002098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safe operation of an operating object
US201803732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afe Utilization of Unmanned Automated Vehicles in Entertainment Venues
JP6285398B2 (ja) 小型飛行システム
KR101801776B1 (ko) 드론운용 시스템
Cotton et al. Airborne trajectory management for urban air mobility
Peinecke et al. Minimum risk low altitude airspace integration for larger cargo UAS
CN112767726A (zh) 用于机场的有人驾驶、自动驾驶车辆的管控方法及系统
López et al. DroneAlert: Autonomous drones for emergency response
CN110914845A (zh) 用于资源管理的系统和装置
JPWO2019138447A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WO2019130280A2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the autonomous controlling and marshalling of autonmous-enabled flying objects and autonmous-enabled transportation objects
US10386475B2 (en) Method of detecting collisions on an airport installation and device for its implementation
CN115380316A (zh) 用于监测在飞行器的环境中的对象的方法和系统
Hlas et al. Autonomous navigation and control of unmanned aerial systems in the national airspace
WO2023286295A1 (ja) 侵入判断装置、侵入検知システム、侵入判断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