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467B1 -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 - Google Patents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467B1
KR101801467B1 KR1020160058514A KR20160058514A KR101801467B1 KR 101801467 B1 KR101801467 B1 KR 101801467B1 KR 1020160058514 A KR1020160058514 A KR 1020160058514A KR 20160058514 A KR20160058514 A KR 20160058514A KR 101801467 B1 KR101801467 B1 KR 101801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ixing
front board
boar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7820A (ko
Inventor
이철재
Original Assignee
이철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재 filed Critical 이철재
Priority to KR1020160058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46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7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에 따르면, 일측면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삽입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부가 마주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지지대;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대의 후방 상부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는 후방보드; 및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지지대의 전방 상부에 결합되는 제1전방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삽입홈부가 마주되게 한 쌍의 측면지지대가 배치되고, 측면지지대의 후방에 후방보드가 결합되어 모니터가 거치되고, 측면지지대의 전방에 형성된 제1수평홈과 제2수평홈에 제1전방보드가 삽입됨으로써, 제1전방보드를 사용자의 눈높이 내지 공간활용을 위하여 자유롭게 위치 변경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전방보드를 추가로 삽입하여 제1전방보드와 제2전방보드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사무용품을 수납하거나 키보드를 보관하여 공간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Multipurpose Monitor Stand}
본 발명은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높이에 모니터나 노트북을 거치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수납 또는 독서대로 사용 가능한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 앞에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기에 언제나 책상은 좁고 정리가 잘 안되어 있다. 특히 모니터와 키보드가 자리를 차지하기 때문에 공간 확보도 어렵고 다른 작업 시 방해가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모니터 받침대 및 책상정리용 선반이 개발되었다.
기존의 모니터받침대는 모니터를 적정높이로 받쳐주고, 키보드를 그 하단에 수납함으로써 인체공학적인 작업환경과 공간 활용 측면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모니터받침대는 그 윗면의 빈공간 혹은 그 측면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소품을 보관하기도 하고, 모니터받침대 하단에 서랍이나 별도의 보드를 형성하여 사물을 정리하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모니터와 키보드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면서 책상 위의 소품을 정리, 보관할 수 있는 사물정리용 선반 또한 공간활용 측면에서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모니터받침대는 그 주 기능이 모니터를 일정높이로 유지시켜주는 것이기에, 필요이상으로 높일 수 없다보니, 그 하단에 키보드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확보는 가능하나,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서랍이나 선반을 그 밑면에 설치할 경우 키보드 수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니터받침대를 앞쪽으로 확장하면 타이핑 등의 작업 시 오히려 방해가 되는 단점이 있었다.
책상정리용 선반은 공간의 활용도는 높으나, 모니터와 키보드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키보드 사용에 방해가 되었다. 또한, 독서대를 위치시키거나 노트북을 거치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책상정리용 선반이 오히려 방해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5725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68488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삽입홈부가 마주되게 한 쌍의 측면지지대가 배치되고, 측면지지대의 후방에 후방보드가 결합되어 모니터가 거치되고, 측면지지대의 전방에 형성된 제1수평홈과 제2수평홈에 제1전방보드가 삽입됨으로써, 제1전방보드를 사용자의 눈높이 내지 공간활용을 위하여 자유롭게 위치 변경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전방보드를 추가로 삽입하여 제1전방보드와 제2전방보드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사무용품을 수납하거나 키보드를 보관하여 공간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홈이 형성되어, 경사홈에 제1전방보드를 삽입시켜 기울이고, 제1전방보드의 하단을 받침대가 지지함으로써, 제1전방보드를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변경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가능하며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에 따르면, 일측면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삽입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부가 마주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지지대;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대의 후방 상부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는 후방보드; 및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지지대의 전방 상부에 결합되는 제1전방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삽입홈부는, 상기 측면지지대의 전후방향으로 제1수평홈과, 상기 제1수평홈에 이격되어 전후방향으로 제2수평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전방보드는, 상기 제1수평홈 또는 제2수평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전방보드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홈부에 상기 제1전방보드가 삽입될 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핀을 포함한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삽입홈이 다수개 형성된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제1전방보드가 상기 측면지지대의 경사홈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삽입될 때, 상기 제1전방보드의 하측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전방보드를 지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수평홈에 삽입되는 제2전방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전방보드와 제2전방보드는, 상기 제1수평홈과 제2수평홈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제1전방보드와 제2전방보드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측면지지대; 일측면이 상기 측면지지대가 마주보는 측면에 제1회동축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면에 상부홈이 형성된 제1회동부;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대의 후방 상부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는 후방보드; 및 상기 상부홈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지지대의 전방 상부에 결합되는 제1전방보드;를 포함한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삽입홈이 다수개 형성된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제1회동부가 제1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전방보드가 경사진 상태로 배치될 때, 상기 제1전방보드의 하측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전방보드를 지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지지대는, 전후방향으로 하부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홈에 삽입되는 제2전방보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회동부의 하부에 구비되되 일측면이 상기 측면지지대가 마주보는 측면에 제2회동축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면에 하부홈이 형성된 제2회동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면지지대는, 양측면을 관통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에 고정되어 상기 제1회동부를 고정시키며, 상기 제1회동부의 내입홈에 결합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공에 삽입결합되며, 일측이 내입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이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일측이 돌출된 돌기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버튼부와, 상기 제1회동부의 내입홈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삽입홈부가 마주되게 한 쌍의 측면지지대가 배치되고, 측면지지대의 후방에 후방보드가 결합되어 모니터가 거치되고, 측면지지대의 전방에 형성된 제1수평홈과 제2수평홈에 제1전방보드가 삽입됨으로써, 제1전방보드를 사용자의 눈높이 내지 공간활용을 위하여 자유롭게 위치 변경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전방보드를 추가로 삽입하여 제1전방보드와 제2전방보드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사무용품을 수납하거나 키보드를 보관하여 공간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경사홈이 형성되어, 경사홈에 제1전방보드를 삽입시켜 기울이고, 제1전방보드의 하단을 받침대가 지지함으로써, 제1전방보드를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변경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가능하며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의 제1전방보드가 경사홈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의 제1회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의 제1회동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의 제1회동부가 회동된 상태는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의 하부홈에 제2전방보드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의 제1회동부와 제2회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의 제1회동부와 제2회동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의 제1전방보드가 경사홈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는, 측면지지대(10), 후방보드(20) 및 제1전방보드(30)를 포함한다.
측면지지대(10)는 일측면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삽입홈부(11)가 형성되되, 삽입홈부(11)가 마주되게 배치된다.
이때, 측면지지대(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삽입홈부(11)는 측면지지대(10)의 전후방향으로 제1수평홈(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홈부(11)는 제1수평홈(12)을 관통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전방을 향하는 경사홈(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홈부(11)의 제1수평홈(12)은 전방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지지대(10)는 전방과 후방이 높이차이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면지지대(10)의 전방이 후방보다 높을 수 있다. 이때, 측면지지대(10)의 후방에 후술할 후방보드(20)가 결합되고 후방보드(20) 상부에 모니터가 배치되면, 후술할 전방보드가 후방보드(20)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측면지지대(10)의 후방이 전방보다 높게 배치시키면, 전방보드보다 후방보드(20)가 상부에 위치되며, 모니터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전방보드는 제1수평홈(12) 및 후술할 제2수평홈(13)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높낮이 조절을 통해 모니터 내지 사무용품 배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후방보드(20)는 한 쌍의 측면지지대(10)의 후방 상부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결합된다.
제1전방보드(30)는 삽입홈부(11)에 삽입되어 측면지지대(10)의 전방 상부에 결합된다.
이때, 제1전방보드(30)의 일측에는 제1수평홈(12) 또는 경사홈(14)에 제1전방보드(30)가 삽입될 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핀(31)이 형성된다.
즉, 제1전방보드(30)가 삽입홈부(11)의 제1수평홈(12)에 삽입되면, 사무용품을 제1전방보드(30)의 상부에 놓을 수 있고, 그 하부에 키보드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1전방보드(30)가 삽입홈부(11)의 경사홈(14)에 삽입되면, 노트북을 거치하는 거치대 또는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는 받침대(40)를 더 포함한다.
받침대(40)는 길이방향으로 삽입홈(41)이 다수개 형성된다.
이때, 받침대(40)는 제1전방보드(30)가 측면지지대(10)의 경사홈(14)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삽입될 때, 제1전방보드(30)의 하측이 삽입홈(41)에 삽입되어 제1전방보드(30)를 지지해준다.
그리고, 또 다른 삽입홈(41)에 책 또는 노트북의 하단을 고정시켜 노트북 거치대 또는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다.
측면지지대(10)는 제1수평홈(12)과 이격되어 형성된 제2수평홈(13)이 형성된다.
이때, 제2수평홈(13)에 제1전방보드(30)가 삽입되어, 책상과 제1전방보드(30) 사이의 공간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전방보드(30) 상부에 배치되는 모니터 또는 사무용품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는 제2전방보드(50)를 더 포함한다.
제2전방보드(50)는 제1전방보드(3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제2수평홈(13)에 삽입된다. 그리고 이탈방지핀(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전방보드(30)와 제2전방보드(50)는, 제1수평홈(12)과 제2수평홈(13)에 각각 삽입되고, 제1전방보드(30)와 제2전방보드(50)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수납공간을 통해서 별도의 사무용품 특히 서류 등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제1전방보드(30)와 제2전방보드(50)를 제1수평홈(12)과 제2수평홈(13)에 삽입하되, 측면지지대(10)의 전후방향으로 삽입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공간활용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제1전방보드(30)와 제2전방보드(5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제2전방보드(5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놓이더라도 사용자가 최하부에 배치된 사무용품 즉, 서류를 확인할 수 있어 공간활용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의 제1회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의 제1회동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의 제1회동부가 회동된 상태는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의 하부홈에 제2전방보드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한편,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는 측면지지대(10), 제1회동부(60), 후방보드(20) 및 제1전방보드(30)를 포함한다.
측면지지대(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측면지지대(10)는 양측면을 관통하는 고정공(15)이 형성되고 후술할 고정수단(70)이 결합된다.
이때, 고정공(15)은 후술할 제1회동부(60)의 삽입홈부(11)가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수단(70)이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측면지지대(10)는, 전후방향으로 하부홈(16)이 형성된다.
제1회동부(60)는 일측면이 측면지지대(10)가 마주보는 측면에 제1회동축(62)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면에 하나 이상의 상부홈(63)이 형성된 삽입홈부(11)가 형성된다.
후방보드(20)는 한 쌍의 측면지지대(10)의 후방 상부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결합된다.
제1전방보드(30)는 삽입홈부(11)의 상부홈(63)에 삽입되어 측면지지대(10)의 전방 상부에 결합된다.
즉, 삽입홈부(11)가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제1회동부(60)를 회전 및 고정시키면 제1전방보드(30)를 수평으로 배치시킬 수 있어 보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삽입홈부(11)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제1회동부(60)를 회전 및 고정시키면 제1전방보드(30)를 경사지게 배치시킬 수 있어, 노트북 거치대 또는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는 고정수단(70)을 더 포함한다.
고정수단(70)은 고정공(15)에 고정되어 제1회동부(60)를 고정시키며, 제1회동부(60)의 내입홈(61)에 결합된다. 이때, 제1회동부(60)의 삽입홈부(11)는 수평으로 이루어진다.
고정수단(70)은 고정부재(71), 버튼부(74), 탄성부재(76) 및 고정핀(77)을 포함한다.
고정부재(71)는 고정공(15)에 삽입결합되며, 일측이 내입된 고정홈(72)이 형성되고, 타측에 고정홈(72)이 관통된 관통공(73)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공(73)은 고정홈(7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후술할 버튼부(74)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버튼부(74)는 일측이 돌출된 돌기(75)가 관통공(73)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부재(71)의 고정홈(72)에 삽입된다. 이때, 버튼부(74)의 일측은 타측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버튼부(74)의 일측과 타측의 길이는 고정부재(71)의 양측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76)는 제1회동부(60)의 내입홈(61)에 구비된다.
고정핀(77)은 탄성부재(76)에 결합되고, 탄성부재(76)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부재(71)의 고정홈(72)에 삽입된다.
이때, 탄성부재(76)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어 고정홈(72)에 삽입된 고정부재(71)의 끝단이 버튼부(74)의 타측을 가압하여 버튼부(74)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75)가 고정공(15)의 외부 즉, 측면지지대(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돌기(75)를 가압하면, 버튼부(74)의 타측이 고정핀(77)의 끝단을 가압하면서 탄성부재(76)가 수축되어, 고정핀(77)이 고정부재(71)의 고정홈(72)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제1회동부(60)가 회동되어 삽입홈부(11)가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는 받침대(40)를 더 포함한다.
받침대(40)는 제1회동부(60)가 제1회동축(62)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제1전방보드(30)가 경사진 상태로 배치될 때, 제1전방보드(30)의 하측이 삽입홈(41)에 삽입되어 제1전방보드(30)를 지지해준다.
즉, 제1회동부(60)는 버튼부(74)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외력을 가하면, 버튼부(74)가 고정홈(72)의 내부로 삽입되며 고정부재(71)의 고정홈(72)에 삽입된 고정핀(77)을 고정홈(72)으로부터 이탈시킴에 따라 회동가능하고, 고정핀(77)이 고정홈(72)과 대응되게 위치되면 고정핀(77)이 탄성부재(76)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홈(72)으로 삽입됨에 따라 고정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와 사용에 따라 제1회동부(60)를 자유롭게 회동 및 고정시켜 공간활용은 물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는, 제2전방보드(50)를 더 포함한다.
제2전방보드(50)은 하부홈(16)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1회동부(60)를 회동시키면, 제2전방보드(50)는 수평한 상태에서 보드로 사용가능하고, 제1전방보드(30)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측면지지대(10)는 양측면을 관통하여 후술할 제2회동부(8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70)이 결합되는 고정공이 더 형성된다.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는, 제2회동부(80)를 더 포함한다.
제2회동부(80)는, 제1회동부(60)의 하부에 구비되되 일측면이 측면지지대(10)가 마주보는 측면에 제2회동축(81)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제2회동부(80)는, 타측면에 하부홈(16)이 형성되어, 제1전방보드(30) 또는 제2전방보드(50)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회동부(80)에는, 고정수단(7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내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회동축(62)과 제2회동축(81)은 측면지지대(10)의 전후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회동부(60)와 제2회동부(80)의 상부홈(63)과 하부홈(16)이 서로 수평하게 회동될 수 있어, 제1전방보드(30)와 제2전방보드(50)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회동부(60)와 제2회동부(80) 중 어느 하나만 회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동부(60)를 고정시키고, 제2회동부(80)를 회동시키면, 제1회동부(60)에 결합된 제1전방보드(30)는 보드로 사용가능하고, 제2회동부(80)에 결합된 제2전방보드(50)는 독서대 등으로 사용가능하다.
즉,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제1회동부(60)와 제2회동부(80)의 고정 또는 회동을 통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측면지지대 11: 삽입홈부
12: 제1수평홈 13: 제2수평홈
14: 경사홈 15: 고정공
16: 하부홈 20: 후방보드
30: 제1전방보드 31: 이탈방지핀
40: 받침대 41: 삽입홈
50: 제2전방보드 60: 제1회동부
61: 내입홈 62: 제1회동축
63: 상부홈 70: 고정수단
71: 고정부재 72: 고정홈
73: 관통공 74: 버튼부
75: 돌기 76: 탄성부재
77: 고정핀 80: 제2회동부
81: 제2회동축

Claims (11)

  1. 한 쌍의 측면지지대;
    일측면이 상기 측면지지대가 마주보는 측면에 제1회동축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면에 상부홈이 형성된 제1회동부;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대의 후방 상부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는 후방보드; 및
    상기 상부홈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지지대의 전방 상부에 결합되는 제1전방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지지대는, 양측면을 관통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에 고정되어 상기 제1회동부를 고정시키며, 상기 제1회동부의 내입홈에 결합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공에 삽입결합되며, 일측이 내입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이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일측이 돌출된 돌기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버튼부와,
    상기 제1회동부의 내입홈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삽입홈이 다수개 형성된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제1회동부가 제1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전방보드가 경사진 상태로 배치될 때, 상기 제1전방보드의 하측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전방보드를 지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대는, 전후방향으로 하부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홈에 삽입되는 제2전방보드;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부의 하부에 구비되되 일측면이 상기 측면지지대가 마주보는 측면에 제2회동축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면에 하부홈이 형성된 제2회동부;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58514A 2016-05-13 2016-05-13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 KR101801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514A KR101801467B1 (ko) 2016-05-13 2016-05-13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514A KR101801467B1 (ko) 2016-05-13 2016-05-13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820A KR20170127820A (ko) 2017-11-22
KR101801467B1 true KR101801467B1 (ko) 2017-11-24

Family

ID=6081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514A KR101801467B1 (ko) 2016-05-13 2016-05-13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4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232B1 (ko) * 2020-11-27 2021-12-27 주식회사 디엠엑스 Uv-c 살균 기능을 갖는 개방형 모니터 받침대
KR102523071B1 (ko) * 2022-05-12 2023-04-19 김병우 키보드 받침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488Y1 (ko) * 2012-04-23 2013-08-21 (주)디너팩토리 책상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독서대 겸용 모니터 받침대
KR101570793B1 (ko) * 2014-05-07 2015-11-20 (주)제이유퍼니처 거울이 구비된 서랍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488Y1 (ko) * 2012-04-23 2013-08-21 (주)디너팩토리 책상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독서대 겸용 모니터 받침대
KR101570793B1 (ko) * 2014-05-07 2015-11-20 (주)제이유퍼니처 거울이 구비된 서랍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820A (ko)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2233B1 (en) Portable stand for a laptop computer
US20110050063A1 (en) Adjustable table stand and device using the same
CA2586150C (en) Organizer attachable to computer monitor frame
US20090020660A1 (en) Adjustable stand for electronic devices
US9027747B2 (en) Protection cover support sea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JP2014183113A (ja) 電子機器用のスタンド
KR101801467B1 (ko)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
TW201328548A (zh) 折疊型支架
KR101268863B1 (ko) 접철식 독서대
KR20190072059A (ko) 전도 및 낙하 방지용 패널을 갖는 서가
KR200439926Y1 (ko) 독서대
KR20140058852A (ko) 다기능 받침대로 활용 가능한 독서대
KR20210024858A (ko) 다용도 독서대
KR20140082546A (ko) 모바일 기기 거치대를 구비한 책상
US6601815B2 (en) Adjustable tra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523071B1 (ko) 키보드 받침대
KR200460599Y1 (ko) 파티션 선반장치
KR200393956Y1 (ko) 슬라이드 가능한 씨디꽂이함이 구성된 책장
KR102511436B1 (ko) 수납기능을 갖는 컴퓨터 모니터용 받침대
CN216401014U (zh) 一种财务凭证收纳装置
KR200184749Y1 (ko) 책받침대
JP4412239B2 (ja) 引き出しの支持構造
JP3155161U (ja) ミラートレイ
JP2017092495A (ja) 電子機器用のスタンド
JP5014693B2 (ja) 配線カバー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た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