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364B1 -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364B1
KR101801364B1 KR1020160129633A KR20160129633A KR101801364B1 KR 101801364 B1 KR101801364 B1 KR 101801364B1 KR 1020160129633 A KR1020160129633 A KR 1020160129633A KR 20160129633 A KR20160129633 A KR 20160129633A KR 101801364 B1 KR101801364 B1 KR 101801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space
oxygen
storage tank
electrolytic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석
Original Assignee
김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선 filed Critical 김상선
Priority to KR1020160129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08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2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02E60/36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전해조로부터 수소가 원활하게 발생될 수 있도록 하여 수소 흡입을 통한 노화개선, 활성산소 억제, 뇌질환치료 및 예방 등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한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HYDROGEN GENE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전해조로부터 수소가 원활하게 발생될 수 있도록 하여 수소 흡입을 통한 노화개선, 활성산소 억제, 뇌질환치료 및 예방 등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한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소는 연소가 용이하며, 연소열이 크고, 공해물질이 생성되지 않아 일반연료, 수소자동차, 수소비행기, 연료전지, 핵융합에너지 등의 청정한 에너지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소를 생성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석유나 천연가스, 석탄 등의 탄화수소화합물(hydrocarbon)에 대한 개질반응에 의해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수소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탄소가 지구 온난화의 원인 물질인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오염물질을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96495호에는 전해통 내부에 복수의 전극판을 일정간격으로 겹쳐 설치하고 음극, 양극을 통전시켜 전기 반응에 의한 수소와 산소를 발생시키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는 고열로 인해 다량의 수증기가 발생되는 것은 물론, 발생되는 수소를 흡입이 용이하도록 원활하게 포집하여 배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96495호(2001.07.0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전해조로부터 수소가 원활하게 발생될 수 있도록 하여 수소 흡입을 통한 노화개선, 활성산소 억제, 뇌질환치료 및 예방 등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한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으로 전해액이 저장되며, 내부와 연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전해액을 전기분해하여 수소가 발생되도록 하는 수소발생부;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전해액을 상기 수소발생부로 공급하는 전해액공급부; 및 상기 수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수소가 상기 저장탱크로 유입되도록 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탱크에는, 수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소발생부는, 상기 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전해액이 수용되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의 내부를 수소발생공간과, 상기 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전해액이 저장되는 산소발생공간으로 나누는 한편, 상기 산소발생공간에서 발생되는 수소가 통과되며 상기 수소발생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격막; 및 상기 수소,산소발생공간에 구비되는 음,양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음,양극판으로 음,양극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은, 일단부가 상기 수소발생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해조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면서 상기 수소발생공간에서 발생되는 수소가 상기 저장탱크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해액공급부는, 일단부가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산소발생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해조에 연결되는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되며, 구동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전해액이 상기 산소발생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며, 상기 전해조로 공급되는 전해액 속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 및 일단부가 상기 산소발생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해조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제1순환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순환관은, 상기 산소발생공간에서 발생되는 산소가 상기 저장탱크로 유입되면서 상기 배출구를 통해 수소와 함께 산소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산소발생공간에 수용되는 전해액이 상기 저장탱크로 재유입되면서 전해액의 재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전해조를 통과하는 전해액의 재순환에 따른 온도 상승에 따라 상기 전해조로 공급되는 전해액의 온도가 일정온도로 공급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내부 양측을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수소공간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해액이 저장되며 상기 공급관과 연통되는 산소공간으로 나누는 한편, 상기 수소,산소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단수 또는 복수의 중공이 형성되는 분기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순환관은, 타단부가 상기 산소공간과 연통되면서 상기 산소발생공간에서 발생되는 산소가 상기 산소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전해조에서 배출되는 전해액이 상기 산소공간으로 재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관은, 타단부가 상기 수소공간과 연통되면서 상기 수소발생공간에서 발생되는 수소가 상기 수소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산소공간으로 유입되는 산소는, 상기 중공을 통해 상기 수소공간으로 이동되면서 수소와 함께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소공간으로 수용된 전해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수위감지부; 및 상기 제1수위감지부의 수위 감지신호에 따라 일정수위 이하에서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음,양극판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상기 제1펌프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관은, 상기 격막을 통해 상기 수소발생공간으로 유입되는 전해액이 수소와 함께 상기 수소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수소공간으로 수용되는 전해액을 상기 산소공간으로 공급하는 재순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재순환부는, 일단부가 상기 수소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산소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재순환관; 및 상기 재순환관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2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소공간으로 수용된 전해액의 일정수위를 감지하는 제2수위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수위감지부의 수위 감지신호에 따라 일정수위 이상에서 상기 제2펌프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해조로부터 수소가 원활하게 발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소 흡입을 통한 노화개선, 활성산소 억제, 뇌질환치료 및 예방 등에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에서 저장탱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이하 "수소 발생장치"라 한다)(1)는 내측으로 전해액이 저장되는 저장탱크(10), 상기 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전해액을 전기분해하여 수소가 발생되도록 하는 수소발생부(20), 상기 저장탱크(10)로부터 전해액을 상기 수소발생부(20)로 공급하는 전해액공급부(30) 및 상기 수소발생부(20)에서 발생되는 수소가 상기 저장탱크(10)로 유입되도록 하는 연결관(40)을 포함한다.
전해액은 전기분해에 의해 수소를 발생시키는 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10)는 투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면에 전해액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눈금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10)에는 내부와 연통되며, 외부로부터 전해액을 공급받기 위한 유입구(11) 및 수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에는 개폐를 위한 뚜껑(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 및 상기 배출구(12)는 상기 저장탱크(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구(12)에는 수소 배출을 위한 별도의 다른 배출장치(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수소 발생장치(1)는 상기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수소를 흡입함으로써 노화개선, 활성산소 억제, 뇌질환치료 및 예방 등에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수소는 비타민C의 176배, 비타민E의 431배에 달하는 항산화효과가 있으며,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을 예방하고, 소음에 의한 청각장애를 개선하며, 학습 등의 기억력 향상을 개선하고, 관절,류마티스 등의 항염증에 효과가 있으며, 피부 콜라겐의 재구축이 촉진되도록 하고, 알레르기 억제 및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세포를 보호하여 주름 형성을 억제하며, 암 치료 및 아토피성 피부염에 효과가 있고, 니코틴 유발성의 남성 기능 장애를 개선하며, 활성산소 중에서도 독성산소로 알려진 하이드록실레디칼을 선택적으로 흡착하여 물로 배출하는 것은 물론, 흡입시 패혈증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수소발생부(20)는 상기 저장탱크(10)에서 공급되는 전해액이 수용되는 전해조(21), 상기 전해조(21)의 내부를 수소발생공간(21a)과 상기 저장탱크(10)에서 공급되는 전해액이 저장되는 산소발생공간(21b)으로 나누는 격막(22), 상기 수소발생공간(21a)에 구비되는 음극판(23) 및 상기 산소발생공간(21b)에 구비되는 양극판(24)을 포함한다.
상기 수소 발생장치(1)는 상기 음,양극판(23,24)으로 음,양극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막(22)은 상기 전원공급부(60)에서의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산소발생공간(21b)에서 전기분해되며 발생되는 수소가 통과되어 상기 수소발생공간(21a)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소량의 전해액이 상기 산소발생공간(21b)으로부터 상기 수소발생공간(21a)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격막(22)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전해액공급부(30)는 일단부가 상기 저장탱크(1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산소발생공간(21b)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해조(21)에 연결되는 공급관(31) 및 상기 공급관(31)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되며 구동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되는 전해액이 상기 산소발생공간(21b)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펌프(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펌프(32)는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에 따라 구동되며, 상기 전원공급부(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연결관(40)은 일단부가 상기 수소발생공간(21a)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해조(2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저장탱크(10)에 연결되면서 상기 수소발생공간(21a)에서 발생되는 수소가 상기 저장탱크(10)로 유입 및 모여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소 발생장치(1)는 상기 전해조(21)로 공급되는 전해액 속에 용존된 미네랄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6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제1펌프(32)와 상기 전해조(21)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급관(31)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 발생장치(1)는 일단부가 상기 산소발생공간(21b)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해조(2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저장탱크(10)에 연결되는 제1순환관(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순환관(70)은 상기 산소발생공간(21b)에서 발생되는 산소가 상기 저장탱크(10)로 유입되면서 상기 배출구(12)를 통해 수소와 함께 산소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산소발생공간(21b)에 수용되는 전해액이 상기 저장탱크(10)로 유입되면서 전해액의 재순환이 이루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수소만을 흡입함에 따른 체내의 산소결핍 현상 등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되는 전해액이 원활하게 순환되면서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소 발생장치(1)는 상기 저장탱크(1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내부 양측을 수소공간(14)과 산소공간(15)으로 나누는 한편, 상기 수소,산소공간(14,15)이 상호 연통되도록 단수 또는 복수의 중공(81)이 형성되는 분기막(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기막(80)은 상기 저장탱크(10)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저장탱크(10)의 내부를 상기 수소,산소공간(14,15)으로 나눈다.
상기 수소,산소공간(14,15)은 내부면적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산소공간(15)으로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해액이 저장되며, 상기 공급관(31)은 일단부가 상기 산소공간(15)과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10)에 연결된다.
상기 제1순환관(70)은 타단부가 상기 산소공간(15)과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10)에 연결되면서 상기 산소발생공간(21b)에서 발생되는 산소가 상기 산소공간(15)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전해조(21)에서 배출되는 전해액이 상기 산소공간(15)으로 재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관(40)은 타단부가 상기 수소공간(14)과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10)에 연결되면서 상기 수소발생공간(21a)에서 발생되는 수소가 상기 수소공간(14)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관(40)을 통해 상기 수소발생공간(21a)에 존재하는 전해액이 수소와 함께 상기 수소공간(14)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2)는 상기 산소공간(15)과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산소공간(15)으로 유입되는 산소는 상기 중공(81)을 통해 상기 수소공간(14)으로 이동되면서 수소와 함께 상기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수소 발생장치(1)는 상기 산소공간(15)으로 수용된 전해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수위감지부(90) 및 상기 제1수위감지부(0)의 수위 감지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50)에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1수위감지부(90)의 수위 감지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50)로부터 상기 음,양극판(23,24)으로 전원공급이 온(ON)/오프(OFF) 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1펌프(32)가 구동 또는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 전원공급부(50)로부터 상기 음,양극판(23,24)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상기 산소공간(15)으로 전해액에 대한 보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수위감지부(90)는 상기 산소공간(15)을 이루는 내부에 위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가이드바(91), 상기 제1가이드바(91)에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산소공간(15)에 수용되는 전해액에 뜬 상태로부터 수위변화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는 제1가이드부재(92) 및 상기 제1가이드부재(9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바(91)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재(92)가 접함에 따라 상기 산소공간(15)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를 통한 상기 전원공급부(50)에서의 전원공급이 오프(OFF)되도록 하는 제1감지센서(93)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92)는 상기 산소공간(15)에 수용되는 전해액에 뜰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산소공간(15)에 수용된 전해액이 감소함에 따라 하강되면서 상기 제1감지센서(93)와 접촉된다.
상기 제1감지센서(93)는 상기 산소공간(15)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일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를 통한 상기 전원공급부(50)에서의 전원공급이 오프(OFF)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소 발생장치(1)는 상기 저장탱크(10)로부터 상기 수소발생부(20)로 전해액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음,양극판(23,24)으로의 전원공급에 따른 과열로 인한 화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위감지부(90)는 상기 제1가이드바(91)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재(92)의 승강을 차단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상기 산소공간(15)으로 공급되는 전해액의 일정 상한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제1상한선부재(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소 발생장치(1)는 상기 산소공간(15)으로의 전해액 공급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부재(92)가 상기 제1상한선부재(94)에 접하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전해액에 대한 인위적인 보충 및 공급이 일정 지점에서 중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산소공간(15)으로 수용되는 전해액의 일정수위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92)가 상기 제1상한선부재(94)에 접한 상태로부터 상기 제1감지센서(93)에 접하기 전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수소 발생장치(1)는 상기 수소공간(14)으로 수용되는 전해액을 상기 산소공간(15)으로 공급하기 위한 재순환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순환부(120)는 일단부가 상기 수소공간(14)과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산소공간(15)과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10)에 연결되는 재순환관(121) 및 상기 재순환관(111)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2펌프(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2펌프(112)는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에 따라 구동되며, 상기 전원공급부(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수소 발생장치(1)는 상기 수소공간(14)으로 수용된 전해액의 일정수위 감지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펌프(112)가 구동 또는 정지되도록 하는 제2수위감지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위감지부(120)는 상기 수소공간(14)을 이루는 내부에 위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가이드바(121), 상기 제2가이드바(121)에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수소공간(14)에 수용되는 전해액에 뜬 상태로부터 수위변화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는 제2가이드부재(122)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12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가이드바(121)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가이드부재(122)가 접한 상태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상기 수소공간(14)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를 통한 상기 제2펌프(112)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감지센서(123)를 포함한다.
상기 제2가이드부재(122)는 전해액에 뜰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소공간(14)에 수용된 전해액이 증가함에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제2감지센서(123)와 접한 상태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제2감지센서(123)는 상기 수소공간(14)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제2가이드부재(122)가 이격됨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를 통한 상기 제2펌프(112)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감지센서(123)는 상기 수소공간(14)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인 경우, 상기 제2가이드부재(122)가 접함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를 통한 상기 제2펌프(112)의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수소공간(14)의 일정수위는 상기 제2가이드부재(122)가 상기 제2감지센서(123)에 접하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위감지부(120)는 상기 제2가이드부재(12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가이드바(131)에 연결되며 상기 제2가이드부재(132)의 승강을 차단하는 한편, 상기 수소공간(14)으로 공급되는 전해액의 일정 상한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제2상한선부재(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소 발생장치(1)는 상기 수소공간(14)으로의 전해액 공급에 따라 상기 제2가이드부재(122)가 상기 제2상한선부재(124)에 접하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수소공간(14)으로부터 상기 산소공간(15)으로의 전해액에 대한 공급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소 발생장치(1)는 상기 전해조(21)를 통과하는 전해액의 재순환에 따른 온도 상승에 따라 상기 전해조(21)로 공급되는 전해액의 온도가 일정온도로 공급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온도조절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부(130)는 상기 공급관(31)의 양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쿨러(131) 및 상기 공급관(31)을 통과하는 전해액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32)를 포함한다.
상기 쿨러(131)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제1펌프(32)와 상기 필터(60)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온도감지센서(132)의 온도감지에 따라 일정온도 이하에서는 상기 쿨러(131)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일정온도 이상에서는 상기 쿨러(131)가 구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전해액의 일정온도는 40도 내지 45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수소발생시 전해액의 온도가 40도 정도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상기 수소 발생장치(1)는 상기 전해조(21)를 통과하는 전해액의 재순환에 따른 온도 상승에 따라 상기 전해조(21)로 공급되는 전해액의 온도가 일정온도를 유지하며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수소 발생장치 10 : 저장탱크
11 : 유입구 12 : 배출구
13 : 뚜껑 14 : 수소공간
15 : 산소공간 20 : 수소발생부
21 : 전해조 21a : 수소발생공간
21b : 산소발생공간 22 : 격막
23 : 음극판 24 : 양극판
30 : 전해액공급부 31 : 공급관
32 : 제1펌프 40 : 연결관
50 : 전원공급부 60 : 필터
70 : 제1순환관 80 : 분기막
90 : 제1수위감지부 91 : 제1가이드바
92 : 제1가이드부재 93 : 제1감지센서
94 : 제1상한선부재 100 : 제어부
110 : 재순환부 111 : 재순환관
112 : 제2펌프 120 : 제2수위감지부
121 : 제2가이드바 122 : 제2가이드부재
123 : 제2감지센서 124 : 제2상한선부재
130 : 온도조절부 131 : 쿨러
132 : 온도감지센서

Claims (7)

  1. 내측으로 전해액이 저장되며, 내부와 연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전해액을 전기분해하여 수소가 발생되도록 하는 수소발생부;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전해액을 상기 수소발생부로 공급하는 전해액공급부;
    상기 수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수소가 상기 저장탱크로 유입되도록 하는 연결관; 및
    상기 저장탱크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내부 양측을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수소공간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해액이 저장되는 산소공간으로 나누는 한편, 상기 수소,산소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단수 또는 복수의 중공이 형성되는 분기막을 포함하며,
    상기 수소발생부는,
    상기 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전해액이 수용되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의 내부를 수소발생공간과, 상기 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전해액이 저장되는 산소발생공간으로 나누는 한편, 상기 산소발생공간에서 발생되는 수소가 통과되며 상기 수소발생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격막; 및
    상기 수소,산소발생공간에 구비되는 음,양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해액공급부는,
    일단부가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산소발생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해조에 연결되는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되며, 구동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전해액이 상기 산소발생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음,양극판으로 음,양극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산소공간으로 수용된 전해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수위감지부;
    상기 제1수위감지부의 수위 감지신호에 따라 일정수위 이하에서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음,양극판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상기 제1펌프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며, 상기 전해조로 공급되는 전해액 속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 및
    일단부가 상기 산소발생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해조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제1순환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순환관은,
    타단부가 상기 산소공간과 연통되면서 상기 산소발생공간에서 발생되는 산소가 상기 산소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전해조에서 배출되는 전해액이 상기 산소공간으로 재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관은,
    일단부가 상기 수소발생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해조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수소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에 되면서 상기 수소발생공간에서 발생되는 수소가 상기 수소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산소공간으로 유입되는 산소는,
    상기 중공을 통해 상기 수소공간으로 이동되면서 수소와 함께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제1수위감지부는,
    상기 산소공간을 이루는 내부에 위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가이드바;
    상기 제1가이드바에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산소공간에 수용되는 전해액에 뜬 상태로부터 수위변화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는 제1가이드부재;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바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접함에 따라 상기 산소공간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한 상기 전원공급부에서의 전원공급이 오프되도록 하는 제1감지센서; 및
    상기 제1가이드바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승강을 차단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상기 산소공간으로 공급되는 전해액의 일정 상한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제1상한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를 통과하는 전해액의 재순환에 따른 온도 상승에 따라 상기 전해조로 공급되는 전해액의 온도가 일정온도로 공급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격막을 통해 상기 수소발생공간으로 유입되는 전해액이 수소와 함께 상기 수소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수소공간으로 수용되는 전해액을 상기 산소공간으로 공급하는 재순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재순환부는,
    일단부가 상기 수소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산소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재순환관; 및
    상기 재순환관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2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공간으로 수용된 전해액의 일정수위를 감지하는 제2수위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수위감지부의 수위 감지신호에 따라 일정수위 이상에서 상기 제2펌프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
KR1020160129633A 2016-10-07 2016-10-07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 KR101801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633A KR101801364B1 (ko) 2016-10-07 2016-10-07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633A KR101801364B1 (ko) 2016-10-07 2016-10-07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364B1 true KR101801364B1 (ko) 2017-11-24

Family

ID=6081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633A KR101801364B1 (ko) 2016-10-07 2016-10-07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36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0430A (zh) * 2018-01-08 2018-05-22 上海纳诺巴伯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吸氢机用的利用膜电极产生氢气和氧气的装置及方法
KR101989021B1 (ko) 2018-03-15 2019-06-13 김상선 농축산용 및 수산물 양식용 수소수 생성장치
KR20220086790A (ko) 2020-12-16 2022-06-24 권기진 인체의 면역력과 자연치유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휴대용 수소 흡입 장치
KR20220121658A (ko) * 2021-02-25 2022-09-01 (주)엘켐텍 물 전기분해를 이용한 수소 생산 시스템에서의 물 관리 장치
KR20220135061A (ko) * 2021-03-29 2022-10-06 김성록 수소 산소 혼합가스 발생 및 피부 조사장치
KR20220151494A (ko) * 2021-05-06 2022-11-15 (주)이노시스 치료용 수소호흡발생기 구동 제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4043A (ja) 2007-12-27 2009-08-06 Toshigoro Sato 水電解ガス発生装置
JP2013199697A (ja) * 2012-03-26 2013-10-03 Mitsubishi Heavy Ind Ltd 水電解装置及び水電解装置の動作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4043A (ja) 2007-12-27 2009-08-06 Toshigoro Sato 水電解ガス発生装置
JP2013199697A (ja) * 2012-03-26 2013-10-03 Mitsubishi Heavy Ind Ltd 水電解装置及び水電解装置の動作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0430A (zh) * 2018-01-08 2018-05-22 上海纳诺巴伯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吸氢机用的利用膜电极产生氢气和氧气的装置及方法
KR101989021B1 (ko) 2018-03-15 2019-06-13 김상선 농축산용 및 수산물 양식용 수소수 생성장치
KR20220086790A (ko) 2020-12-16 2022-06-24 권기진 인체의 면역력과 자연치유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휴대용 수소 흡입 장치
KR20220121658A (ko) * 2021-02-25 2022-09-01 (주)엘켐텍 물 전기분해를 이용한 수소 생산 시스템에서의 물 관리 장치
KR102610119B1 (ko) 2021-02-25 2023-12-05 (주)엘켐텍 물 전기분해를 이용한 수소 생산 시스템에서의 물 관리 장치
KR20220135061A (ko) * 2021-03-29 2022-10-06 김성록 수소 산소 혼합가스 발생 및 피부 조사장치
KR102488845B1 (ko) * 2021-03-29 2023-01-17 김성록 수소 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KR20220151494A (ko) * 2021-05-06 2022-11-15 (주)이노시스 치료용 수소호흡발생기 구동 제어 시스템
KR102580065B1 (ko) * 2021-05-06 2023-09-19 (주)이노시스 수소호흡발생기 구동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364B1 (ko) 수소 흡입을 통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수소 발생장치
KR200459135Y1 (ko) 포터블 수소풍부수 제조장치
US57954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 purification
CN106460205B (zh) 氢氧发生器和用于产生氢氧气体的方法
KR20110082568A (ko) 용존 수소 음료수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8224A (ko) 전해수 생성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소수 서버와 투석액 조제용수의 제조장치
KR101436138B1 (ko) 해수전해 및 연료전지 복합시스템
KR101373389B1 (ko) 고농도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CN109071278B (zh) 氢水制造系统
KR101883864B1 (ko) 자화 활성 및 순환 방식을 적용한 자화수소수 정수기
WO2017135208A1 (ja) 電解水生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解水サーバー
CN107635927A (zh) 富氢水供给器
JP6366360B2 (ja) 水素分子を含有する電解還元水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2017520399A (ja)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
KR101587697B1 (ko) 수소수 제조장치
ES2759623T3 (es) Electrooxidación a presiones elevadas
KR101706124B1 (ko) 전해질 및 용매 전기분해 장치 및 방법
JP6554086B2 (ja) 電解水サーバー
KR101387800B1 (ko) 수소챔버 및 산소챔버를 구비한 물통
KR20180038689A (ko) 유체연료의 연소효율 증진 및 유해물질 감소를 위한 자동차용 수소 공급장치
JP2007075665A (ja) 浴用水用の電解還元水生成装置
KR20160144823A (ko) 격막형 수소수기
JP5415372B2 (ja) 電解用塩水供給装置
KR20150092821A (ko) 온수 수소수의 제공이 가능한 수소수 제조장치
KR20190064185A (ko)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