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181B1 -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181B1
KR101801181B1 KR1020170082731A KR20170082731A KR101801181B1 KR 101801181 B1 KR101801181 B1 KR 101801181B1 KR 1020170082731 A KR1020170082731 A KR 1020170082731A KR 20170082731 A KR20170082731 A KR 20170082731A KR 101801181 B1 KR101801181 B1 KR 101801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distribution
reflector
unit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웅기
지동수
Original Assignee
디비라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비라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비라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2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04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는, 기판에 다수의 LED소자가 실장되어 이루어진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광면 쪽에서 상대회전하는 배광부; 및 상기 LED소자의 실장위치와 각각 대응하는 상기 배광부에 호형의 반사갓 형태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배광부의 상대회전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LED소자로부터 방사된 광을 서로 다르게 배광하도록 이루어진 가변배광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LED소자가 실장된 광원부에 대하여 상대회전하는 배광부에 관통형성된 호형의 반사갓인 가변배광홀이 LED소자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며 광원에 대한 배광을 자유자재로 가변 내지 변경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과 사용상의 확장성이 제고되는 한편, 피조광 영역에 대한 광의 집중도와 광효율이 증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얇은 두께, 단순한 구조 및 적은 부품 수로 배광 가변형 조명모듈이 구현됨에 따라 손전등이나 고정형 조명등과 같은 각종 조명장치에 손쉽게 적용될 수 있고, 제조의 용이성 및 제조비용의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LIGHTING DEVICE WITH VARIABLE LIGHT DISTRIBUTION}
본 발명은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전등이나 고정형 조명등과 같은 각종 조명장치에 적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광원의 배광(light distribution, 配光)을 자유자재로 가변시킬 수 있는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형광등이나 백열등을 주요 광원으로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광효율, 소비전력 및 수명 측면에서 상대적 우위를 가진 엘이디가 주류 광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광을 방출하는 PN접합 반도체 소자로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은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가시광 영역뿐만 아니라 자외선이나 적외선 영역의 범위까지 선택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조명장치는, 인쇄회로기판에 하나 이상의 LED가 실장되고, 이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균일한 확산과 지향성을 확보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의 광면에는 반사판이 설치되게 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 중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1-0133386호(공개일: 2011년12월12일)는 발광 소자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기판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부와, 상기 발광 모듈부 상에 배치된 반사체와,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발광 모듈부와 상기 반사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마주보는 두 개의 발광소자 간의 거리는 반사체 상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선행기술에 따르면, 재래식 조명장치 즉, 백열전구와 같은 구체 전면에 대한 배광이 가능하고, 배광 특성과 방열 특성의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발광 모듈부에서 방출되는 광을 반사체를 통해 커버체 전면에 대하여 배광되도록 한 점에서 광의 집중도가 현저히 저하됨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집광하지 못하여 피조광 영역에서의 광효율이 저감되는 문제가 있으며, 발광 모듈부에서 방출되는 광의 분포 즉, 배광을 자유자재로 간편하게 가변 내지 변경시키지 못한다는 점에서 구조적 개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1-0133386호(공개일: 2011년12월12일)
본 발명의 목적은, 피조광 영역에 대한 광의 집중도와 광효율을 증진함은 물론, 손전등이나 고정형 조명등과 같은 각종 조명장치에 손쉽게 적용될 수 있고,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에 따라 광원의 배광(light distribution, 配光)을 자유자재로 가변시킬 수 있는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기판에 다수의 LED소자가 실장되어 이루어진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광면 쪽에서 상대회전하는 배광부; 및 상기 LED소자의 실장위치와 각각 대응하는 상기 배광부에 호형의 반사갓 형태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배광부의 상대회전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LED소자로부터 방사된 광을 서로 다르게 배광하도록 이루어진 가변배광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가변배광홀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반사갓과 제2 반사갓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반사갓은 상기 광면을 기준으로 60°의 반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반사갓은 상기 제1 반사갓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광면을 기준으로 90°의 반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변배광홀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반사갓, 제2 반사갓 및 제3 반사갓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반사갓은 상기 광면을 기준으로 30°의 반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반사갓은 상기 제1 반사갓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광면을 기준으로 60°의 반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반사갓은 상기 제2 반사갓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광면을 기준으로 90°의 반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와 상기 배광부 간의 상대회전은, 상기 광원부 및 배광부 중 어느 하나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형태로 2 이상의 관통형성된 호형의 가이드홀과, 상기 광원부 및 배광부 중 나머지 하나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에 일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상대회동하는 가이드돌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는, 상기 광원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가변배광홀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케이스와 결합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는 하우징이 더 구비되어 상기 광원부 및 배광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측에 관통형성된 호형의 조작장공과, 상기 조작장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배광부에서 돌출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배광부를 정역회전시키는 조작노브를 포함하는 조작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광부의 전면에는, 상기 배광부에 선택적으로 탈착결합될 수 있는 렌즈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반사갓들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볼록렌즈, 오목렌즈 및 다양한 색채의 필터렌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갓들의 사이에는, 인접한 상기 반사갓들에 각각 대응하는 반사면을 갖는 인서트반사블록이 더 구비되어 인접한 상기 반사갓들 간에 발생하게 되는 빛샘 내지 빛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LED소자가 실장된 광원부에 대하여 상대회전하는 배광부에 관통형성된 호형의 반사갓인 가변배광홀이 LED소자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며 광원에 대한 배광을 자유자재로 가변 내지 변경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과 사용상의 확장성이 제고되는 한편, 피조광 영역에 대한 광의 집중도와 광효율이 증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얇은 두께, 단순한 구조 및 적은 부품 수로 배광 가변형 조명모듈이 구현됨에 따라 손전등이나 고정형 조명등과 같은 각종 조명장치에 손쉽게 적용될 수 있고, 제조의 용이성 및 제조비용의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을 위쪽과 아래쪽에서 각각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광이 가변되는 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을 위쪽과 아래쪽에서 각각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광이 가변되는 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100)는, 얇은 두께, 단순한 구조 및 적은 부품 수로 용이하게 제조되면서도, 피조광 영역에 대한 광의 집중도와 광효율을 증진함은 물론, 사용자의 단순 조작으로 광원에 대한 배광을 자유자재로 가변 내지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10), 배광부(120), 가변배광홀(130), 하우징(140) 및 조작부(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구성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광원부(110)는, 피조광 영역으로 광을 방출하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기판(112)에 다수의 LED소자(114)가 실장(mounting, 實裝)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기판(112)은, 외부 전원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실장된 LED소자(114)에 정격으로 인가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요소로서, LED소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금속배선이 인쇄되고 전원공급회로의 구성을 위한 각종 회로부품이 탑재될 수 있다.
LED소자(114)는,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광을 방출하는 반도체 소자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서, 상술한 기판(112)을 통해 전원을 인가받게 되는데, 그 구체적 구조나 발광원리는 이미 공지된 기술인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된 금속배선(미도시) 및 회로부품(미도시) 등이 구비된 원판형상의 기판(112)에 대하여 그 중앙부를 기준으로 동일거리에 링형상으로 이격배치되는 다수의 LED소자(114)로 구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다수의 LED소자(114)가 일정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며 균등배치됨으로써, 전체적인 광원부(110)의 광균일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물론, 광원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1열의 링형 LED 배치구조와 달리, 2열 또는 3열의 링형 LED 배치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아가 기판(112)상에 무작위적으로 다수의 LED소자(114)를 배치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무작위적으로 LED소자(114)가 배치되는 경우, 광균일도가 저하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배광부(120)는, 광원부(110)의 광면(110a)(즉, 기판(112)상에 LED소자(114)가 실장되어 광이 방사되는 면) 쪽에서 상대회전하는 판상의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부(110)와 배광부(120) 간의 상대회전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하고 간단한 구조의 가이드홀(116) 및 가이드돌기(122)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홀(116)은 후술할 가이드돌기(122)의 상대회전을 안내하는 구성요소로서, 광원부(1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형태로 2 이상이 호형상으로 관통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돌기(122)는 상술한 가이드홀(116)을 따라 이동하며 배광부(120)의 상대회전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가이드홀(116)에 일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상대회동할 수 있도록 배광부(120)에서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가이드돌기(122)가, 가이드홀(116)에 의해 안내되며 가이드홀(116)의 길이만큼 왕복 이동함에 따라 배광부(120)는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상대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 2b에 도시된 바와 달리, 가이드홀(116)이 배광부(12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형태로 2 이상이 호형상으로 관통형성되고, 가이드돌기(122)가 광원부(110)에서 가이드홀(116)에 끼워지도록 돌출형성되어 동일한 배광부(120)의 상대회전을 구현할 수도 있다.
가변배광홀(130)은, 배광부(120)의 상대회전에 따라 이동하며 LED소자(114)로부터 방사된 광이 서로 다르게 배광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부로서, 다수 개로 구성된 LED소자(114)의 실장위치와 각각 대응하는 배광부(120)에 호형의 반사갓 형태로 관통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변배광홀(130)은, 종래 조명장치의 반사갓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지만, 종래와 같은 하나의 깔때기 또는 원추형 반사갓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호형의 장공형태로 되되, 장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양한 각도의 반사면(132a,134a,136a)을 갖는 복수의 반사갓(132,134,136)이 병렬배치되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구별된다.(도 1 및 도 4 참조)
위와 같이 호형으로 병렬배치된 복수의 반사갓 즉, 가변배광홀(130)이 배광부(120)의 상대회전에 따라 광원부(110)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상대이동하게 되면, 다수의 LED소자(114)에 대한 배광은 동시적으로 동일한 광균일도를 유지하며 단계별로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가변배광홀(130)의 두께(T)는 광의 직진성과 일정한 비례관계를 이루게 되는 인자로서, LED소자(114)에서 방사된 광의 직진성을 증대하기 위해서 가변배광홀(130)의 두께를 증대할 수 있다.
가변배광홀(130)은 반사재질의 금속성 배광부(120)에 대한 기계적 가공(천공가공)을 통해 제작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방열상의 장점이 있다.
또한, 가변배광홀(130)은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배광부(120)과 일체로 사출성형한 후, 가변배광홀(130)의 반사면(132a,134a,136a) 영역에 한정하거나 또는 배광부(120) 전체에 대하여 크롬이나 알루미늄 등과 같은 고반사성 소재를 증착하는 방식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배광홀(130)은 일례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반사갓(132)과 제2 반사갓(1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반사갓(132)은 광면(110a)을 기준으로 대략 60°의 반사면(132a)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2 반사갓(134)은 제1 반사갓(132)에서 연장형성되며 광면(110a)을 기준으로 대략 90°의 반사면(134a)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가변배광홀(130)에 대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LED소자(114) 모두가 제1 반사갓(132) 위치에 놓이게 되면(실선으로 표시), 다수의 LED소자(114)는 동일한 형상의 제1 반사갓(132)에 의해 동시적으로 대략 60°의 광각을 갖는 광을 균일한 분포로 방사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후술할 조작부(150)를 통해 배광부(1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수의 LED소자(114) 모두가 제2 반사갓(134) 위치에 놓이도록 조작(점선으로 표시)하게 되면, 다수의 LED소자(114)는 동일한 형상의 제2 반사갓(134)에 의해 동시적으로 대략 0°의 광각을 갖는 광(직광)을 균일한 분포로 방사하게 된다.
즉, 가변배광홀(130)이 관통형성된 배광부(120)의 정역회전과 같은 단순한 기계적 메커니즘에 의해 다수의 LED소자(114)는 손쉽게 다양한 광각의 광을 방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제1,2 반사갓(132,134)의 반사면(132a,134a)은, 사용용도, 설치장소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그 각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장공형태의 가변배광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일례로, 대략 60° 내지 90°) 연속적으로 변화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제1,2 반사갓(132,134)은 각각 종래와 같이 완전한 깔때기 또는 원추형 반사갓 형태가 아닌 서로 연통된 형태의 장공형 구조를 이루는 관계상, LED소자(114)로부터 방사된 광의 빛샘 내지 빛왜곡이 각각의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빛샘이나 빛왜곡은, 완벽한 대칭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10) 및 가변배광홀(130)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일정부분 저감 내지 방지될 수 있고, 반사갓(132,134)이나 LED소자(114) 등에 대한 광설계의 보완을 통해 구조적으로 해소될 수 있으며, 나아가 후술할 인서트반사블록(170)을 통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하우징(140)은, 광원부(110) 및 배광부(120)를 내부에 수용하여 광원부(110) 및 배광부(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배광부(120)의 안정적인 상대회전을 담보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케이스(142) 및 상부케이스(14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케이스(142)는 그릇형상의 구성요소로서 광원부(110) 및 배광부(120)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광원부(110)의 하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부케이스(144)는 가변배광홀(13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링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로서, 배광부(120)의 자유회전을 저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배광부(120)의 테두리영역과 밀착되면서 하부케이스(142)와 결합하게 된다.
조작부(150)는, 외부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배광부(120)를 상대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이를 통해 다수의 LED소자(114)로부터 방사된 광의 배광이 간편하면서도 일률적으로 변경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1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장공(152) 및 조작노브(15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작장공(152)은 상부케이스(144)의 일측에 호형으로 관통형성된 구성요소이고, 조작노브(154)는 배광부(120)에서 돌출형성되어 조작장공(15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요소로서, 이렇게 노출된 조작노브(154)의 단부를 조작하여 사용자는 자유롭게 배광부(120)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조작장공(152)의 주변에는 조작노브(154)의 위치에 대응한 LED소자(114)의 배광상태를 문자(도 3 참조)나 기호로 지시하여 주는 인디케이터(156)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가변배광홀(13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와 달리, 더욱더 다양한 배광의 구현을 위해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반사갓(132), 제2 반사갓(134) 및 제3 반사갓(13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반사갓(132)은 광면(110a)을 기준으로 대략 30°의 반사면(132a)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2 반사갓(134)은 제1 반사갓(132)에서 연장형성되며 광면(110a)을 기준으로 대략 60°의 반사면(134a)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3 반사갓(136)은 제2 반사갓(134)에서 연장형성되며 광면(110a)을 기준으로 대략 90°의 반사면(136a)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가변배광홀(130)에 대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LED소자(114) 모두가 제1 반사갓(132) 위치에 놓이게 되면, 다수의 LED소자(114)는 동일한 형상의 제1 반사갓(132)에 의해 동시적으로 대략 30°의 광각을 갖는 광을 균일한 분포로 방사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조작부(150)를 통해 배광부(1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수의 LED소자(114) 모두가 제2 반사갓(134) 위치에 놓이도록 조작하게 되면, 다수의 LED소자(114)는 동일한 형상의 제2 반사갓(134)에 의해 동시적으로 대략 60°의 광각을 갖는 광을 균일한 분포로 방사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조작부(150)를 통해 배광부(120)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켜 다수의 LED소자(114) 모두가 제3 반사갓(136) 위치에 놓이도록 조작하게 되면, 다수의 LED소자(114)는 동일한 형상의 제3 반사갓(136)에 의해 동시적으로 대략 0°의 광각을 갖는 광(직광)을 균일한 분포로 방사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경우에도, 가변배광홀(130)이 관통형성된 배광부(120)의 정역회전과 같은 단순한 기계적 메커니즘을 통해 다수의 LED소자(114)는 더욱 다양한 광각의 광을 방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제1,2,3 반사갓(132,134,136)의 반사면(132a,134a,136a)은, 사용용도, 설치장소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그 각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장공형태의 가변배광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일례로, 대략 30° 내지 90°) 연속적으로 변화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음은 앞서 살펴본 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60) 및 인서트반사블록(1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렌즈부(16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LED소자(114)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집광 또는 분산시키거나 특정한 색채로 변환하기 위해 배광부(120)의 전면에 선택적으로 탈착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렌즈부(160)는, 상술한 반사갓들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볼록렌즈(160a), 오목렌즈(160b) 및 다양한 색채의 필터렌즈(160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볼록렌즈(160a)는 LED소자(114)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소정의 초점으로 집광하기 위한 것이고, 오목렌즈(160b)는 LED소자(114)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소정의 초점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것이고, 다양한 색채의 필터렌즈(160c)는 LED소자(114)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소정의 색채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렌즈들이 조합된 형태로 렌즈부(160)를 구성하게 되면, LED소자(114)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더욱 다양하게 변환할 수 있게 된다.
렌즈부(160)와 배광부(120) 간의 탈착결합은, 후크결합, 가변배광홀(130)에 대한 억지끼움 결합 또는 자석을 활용한 자력결합 등 다양한 탈착결합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다양한 렌즈부(160)가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탈착결합됨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LED소자(114)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더욱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가변형 조명장치(100)의 활용도나 취급성 내지 편의성 등이 증진될 수 있다.
인서트반사블록(170)은, 서로 인접한 반사갓들 간에 빛샘 내지 빛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인접하는 반사갓들(132,134) 사이에 마련되는 구성요소로서, 인접한 반사갓들에 각각 대응하는 반사면(132a,134a)을 갖는 블록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반사갓들의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사갓(132)과 제2 반사갓(134)의 사이에 인서트반사블록(17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반사갓(132) 쪽을 마주하는 인서트반사블록의 일면(172)은, 도 5의 좌측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사갓(132)과 마찬가지로 대략 60°의 반사면(132a)을 갖는 곡면형태로 형성하게 되며, 제2 반사갓(134) 쪽을 마주하는 인서트반사블록의 타면(174)은, 제2 반사갓(134)과 마찬가지로 대략 90°의 반사면(134a)을 갖는 곡면형태로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인서트반사블록의 하면(176)은, 배광부(120)의 상대회전시 광면(110a) 쪽으로 돌출된 LED소자(114)와 간섭이 없도록, 기판(11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인서트반사블록(170)을 통해 반사갓들(132,134)은, 각각 종래와 같이 완전한 깔때기 또는 원추형 반사갓 형태를 이룸에 따라, 서로 인접한 반사갓이 서로 연통되는 구조(장공형 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되는 빛샘 내지 빛왜곡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인서트반사블록(170)은, 배광부(120) 및 가변배광홀(130)과 함께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방식으로 제작하거나 또는 상술한 렌즈부(160)와 일체로 형성한 후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조명장치(100)의 가변배광홀(130)에 억지끼움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반사갓들의 경우에는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반사갓(132)과 제2 반사갓(134) 사이와, 제2 반사갓(134)과 제3 반사갓(136) 사이에 각각 인서트반사블록(170)이 구비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
110: 광원부 110a: 광면
112: 기판 114: LED소자
116: 가이드홀 120: 배광부
122: 가이드돌기 130: 가변배광홀
132: 제1 반사갓 132a, 134a, 136a: 반사면
134: 제2 반사갓 136: 제3 반사갓
140: 하우징 142: 하부케이스
144: 상부케이스 150: 조작부
152: 조작장공 154: 조작노브
156: 인디케이터 160: 렌즈부
160a,160b,160c: 볼록,오목,필터렌즈 170: 인서트반사블록
172: 인서트반사블록의 일면 174: 인서트반사블록의 타면
176: 인서트반사블록의 하면

Claims (8)

  1. 기판에 다수의 LED소자가 실장되어 이루어진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광면 쪽에서 상대회전하는 배광부; 및
    상기 LED소자의 실장위치와 각각 대응하는 상기 배광부에 호형의 반사갓 형태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배광부의 상대회전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LED소자로부터 방사된 광을 서로 다르게 배광하도록 이루어진 가변배광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배광홀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반사갓과 제2 반사갓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반사갓은 상기 광면을 기준으로 60°의 반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반사갓은 상기 제1 반사갓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광면을 기준으로 90°의 반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
  2. 삭제
  3. 기판에 다수의 LED소자가 실장되어 이루어진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광면 쪽에서 상대회전하는 배광부; 및
    상기 LED소자의 실장위치와 각각 대응하는 상기 배광부에 호형의 반사갓 형태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배광부의 상대회전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LED소자로부터 방사된 광을 서로 다르게 배광하도록 이루어진 가변배광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배광홀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반사갓, 제2 반사갓 및 제3 반사갓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반사갓은 상기 광면을 기준으로 30°의 반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반사갓은 상기 제1 반사갓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광면을 기준으로 60°의 반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반사갓은 상기 제2 반사갓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광면을 기준으로 90°의 반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와 상기 배광부 간의 상대회전은,
    상기 광원부 및 배광부 중 어느 하나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형태로 2 이상의 관통형성된 호형의 가이드홀과, 상기 광원부 및 배광부 중 나머지 하나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에 일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상대회동하는 가이드돌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는,
    상기 광원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가변배광홀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케이스와 결합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는 하우징이 더 구비되어 상기 광원부 및 배광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측에 관통형성된 호형의 조작장공과, 상기 조작장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배광부에서 돌출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배광부를 정역회전시키는 조작노브를 포함하는 조작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부의 전면에는,
    상기 배광부에 선택적으로 탈착결합될 수 있는 렌즈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반사갓들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볼록렌즈, 오목렌즈 및 다양한 색채의 필터렌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렌즈를 포함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갓들의 사이에는,
    인접한 상기 반사갓들에 각각 대응하는 반사면을 갖는 인서트반사블록이 더 구비되어 인접한 상기 반사갓들 간에 발생하게 되는 빛샘 내지 빛왜곡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
KR1020170082731A 2017-06-29 2017-06-29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 KR101801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731A KR101801181B1 (ko) 2017-06-29 2017-06-29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731A KR101801181B1 (ko) 2017-06-29 2017-06-29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181B1 true KR101801181B1 (ko) 2017-11-27

Family

ID=6081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731A KR101801181B1 (ko) 2017-06-29 2017-06-29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1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3713A (ja) * 2011-05-24 2012-12-10 Panasonic Corp 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3713A (ja) * 2011-05-24 2012-12-10 Panasonic Corp 照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0421B1 (en) Light emitting device
JP6733545B2 (ja) 電球型光源装置
US200201265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ear led lighting
JP4970172B2 (ja) 照明器具
JP2002304903A (ja) 照明器具
EP1567389A1 (en) Lamp for vehicle
TW201307753A (zh) 使用發光體之面照明光源裝置
WO2012121082A1 (ja) 照明器具
JP2016046067A (ja) 広角度拡散光学系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装置
JP2012099331A (ja) 照明装置
KR20090001671U (ko) 집중 조명용 엘이디램프
JP2012256595A (ja) レンズ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装置
JP2013026087A (ja) 照明装置
KR101801181B1 (ko) 배광 가변형 조명장치
KR101069693B1 (ko) 측광원에 의해 발광하는 비구면렌즈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장치
JP2012243680A (ja) 照明装置
JP2012243679A (ja) 照明装置
JP5853128B2 (ja) 照明器具
TWI557369B (zh) 照明用罩以及照明裝置
JP2014056694A (ja) 照明器具
JP5853208B2 (ja) 照明器具
JP5355630B2 (ja) 発光装置
KR20150138886A (ko) Led 조명장치
KR20120137077A (ko) 엘이디 조명기기
JP2018088427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