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748B1 -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 - Google Patents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748B1
KR101800748B1 KR1020170114271A KR20170114271A KR101800748B1 KR 101800748 B1 KR101800748 B1 KR 101800748B1 KR 1020170114271 A KR1020170114271 A KR 1020170114271A KR 20170114271 A KR20170114271 A KR 20170114271A KR 101800748 B1 KR101800748 B1 KR 101800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 facility
management system
hmi
production management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이인배
Original Assignee
(주)임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임픽스 filed Critical (주)임픽스
Priority to KR1020170114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748B1/ko
Priority to PCT/KR2018/010354 priority patent/WO20190502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G05B23/0216Human interface functionality, e.g. monitoring system providing help to the user in the selection of tests or in its configur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1Preprocessing measurements, e.g. data collection rate adjustment;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s; Time series or signal analysis, e.g. frequency analysis or wavelets; Trustworthiness of measurements; Indexes therefor; Measurements using easily measured parameters to estimate parameters difficult to measure; Virtual sensor creation; De-noising; Sensor fusion; Unconventional preprocessing inherently present in specific fault detection methods like PCA-based metho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067Control, human or man machine interface, interactive, HMI, MMI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09Process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정 설비의 HMI를 통해 해당 공정 설비를 제어하는 HMI 제어기로서, 생산관리시스템 및 공정 설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생산관리시스템의 작업 지시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작업 지시 이벤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가 수신한 작업 지시 이벤트에서 작업 지시의 대상이 되는 공정 설비의 HMI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 획득부가 획득한 HMI 영상으로부터 공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생산관리시스템의 작업 지시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따른 설정값을 생성하는 설정값 생성부; 상기 영상 획득부가 획득한 공정 설비의 HMI 영상을 통해 상기 공정 설비의 제어 장치를 원격 제어하여 상기 공정 설비의 HMI로 상기 설정값 생성부에서 생성한 설정값을 입력하는 원격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에 따르면, 생산관리시스템(MES)으로부터 발생하는 설비 제어 이벤트 처리를 위해 다양한 제조사의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운영되는 공정 설비에 대한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나 커스터마이징 없이 기존의 운영 소프트웨어를 유지하면서도 제조사에 종속되지 않고도 공정 설비를 중앙에서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에 따르면, HMI 영상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생산관리시스템(MES)의 작업 지시 이벤트 발생 시 작업 지시 대상에 해당하는 공정 설비의 최적 운영 조건을 판단하여 해당 공정 설비에 대한 설정값이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Description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HUMAN MACHINE INTERFACE CONTROLLER WHICH INPUTS SETTING VALUE OF PROCESS FACILITY THROUGH CONTROL LINKAGE BETWEEN MES AND PROCESS FACILITY}
본 발명은 HMI(Human Machine Interface)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를 연계하여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생산관리시스템(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MES)은 생산 및 제조 공정에 있어서 생산 절차의 계획, 원재료 준비 계획, 일정 및 주간 계획 데이터 등을 생성하고 생산 공정이 그 계획에 따라 진행될 수 있도록 진도 관리를 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생산관리시스템(MES)은 물류 및 작업 내역을 관리하고, 제품의 상태를 파악하여 불량 제품 등을 관리할 수 있데, 이를 위해 생산 공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생산 공정에 포함되는 각종 공정 설비를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생산 및 제조 공정에서 사용하는 공정 설비는 매우 다양하며, 이러한 설비들은 각각 상이한 제조사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공정 설비의 소프트웨어는 공정 설비와 패키지 형태로 판매되고, 저마다 독립적인 방식(Stand alone)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 결과 각각의 공정 설비마다 상이한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운영되고 있으므로, 공정 설비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되지 못하고 파편화된 상태이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원하는 공정에 맞도록 별도로 주문을 하여 생산되는 공정 설비를 사용함에 따라 시스템 통합이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생산관리시스템(MES)과 데이터 연동을 하기 위해서는 공정 설비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과정이 필요하나, 패키지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거나 생산관리시스템(MES)에 맞춰 커스터마이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종래에도 생산관리시스템(MES)과 공정 설비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운영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생산관리시스템(MES)에 따라 공정 설비의 소프트웨어를 통합하려는 수직적인 시도만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생산관리시스템(MES)에 맞춰 기존의 공정 설비를 교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워, 생산관리시스템(MES)과 공정 설비가 통합되지 못하고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외에도, 공정 설비에 별도의 제어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공정 설비를 제어하려는 방법이 시도되었으나, 공정 설비에 따라서는 운영 소프트웨어가 개방되어 있지 않아 공정 설비를 제어할 수 경우가 많았다. 설사 제어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제어 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설치된 제어 소프트웨어에 의해 공정 설비에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했다.
도 1은 종래의 생산관리시스템(MES)에 의한 작업 지시 발생 시 설비 운영자가 설정값을 입력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생산관리시스템(MES)의 생산 계획에 따라 작업 지시가 발생하면, 해당 작업 지시에 따라 공정 설비에 설정값이 입력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 설비 운영자는 생산관리시스템(MES)에서 작업 지시서를 출력하거나, 현장에 비치된 모니터에 표시되는 내용을 참조하여 해당 공정 설비에서 요구되는 설정값을 입력했다. 이때, 공정 설비의 시스템이 생산관리시스템(MES)과 통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공정 설비 운영자는 공정 매뉴얼에 따라 설정값을 해당 공정 설비의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통해 입력해야 했다. 그러나 공정 설비의 HMI를 통한 설정값 입력 시, 공정 설비 운영자의 판단 실수 또는 입력 실수로 인해 공정 설비에 잘못된 설정값을 입력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또한, 동일한 기종의 설비라도 양품 생산을 위한 설정값이 상이하여, 생산관리시스템(MES)의 계획에 따라 공정 설비가 최적으로 운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된 선행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9996호 ‘생산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등이 제안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생산관리시스템(MES)으로부터 발생하는 설비 제어 이벤트 처리를 위해 다양한 제조사의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운영되는 공정 설비에 대한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나 커스터마이징 없이 기존의 운영 소프트웨어를 유지하면서도 제조사에 종속되지 않고도 공정 설비를 중앙에서 컨트롤할 수 있는,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HMI 영상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생산관리시스템(MES)의 작업 지시 이벤트 발생 시 작업 지시 대상에 해당하는 공정 설비의 최적 운영 조건을 판단하여 해당 공정 설비에 대한 설정값이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는,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는,
공정 설비의 HMI를 통해 해당 공정 설비를 제어하는 HMI 제어기로서,
생산관리시스템 및 공정 설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생산관리시스템의 작업 지시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작업 지시 이벤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가 수신한 작업 지시 이벤트에서 작업 지시의 대상이 되는 공정 설비의 HMI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 획득부가 획득한 HMI 영상으로부터 공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생산관리시스템의 작업 지시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따른 설정값을 생성하는 설정값 생성부;
상기 영상 획득부가 획득한 공정 설비의 HMI 영상을 통해 상기 공정 설비의 제어 장치를 원격 제어하여 상기 공정 설비의 HMI로 상기 설정값 생성부에서 생성한 설정값을 입력하는 원격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공정 설비의 HMI 영상에서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상기 공정 설비의 제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HMI 영상에서 각각의 설정값이 입력되는 위치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공정 설비에 연결된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공정 설비의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공정 설비에 연결된 키보드 및 마우스의 입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격제어부는,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공정 설비의 제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값 생성부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상기 생산관리시스템의 작업 지시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따른 설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공정 데이터를 변수로 하는 함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에 따르면, 생산관리시스템(MES)으로부터 발생하는 설비 제어 이벤트 처리를 위해 다양한 제조사의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운영되는 공정 설비에 대한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나 커스터마이징 없이 기존의 운영 소프트웨어를 유지하면서도 제조사에 종속되지 않고도 공정 설비를 중앙에서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에 따르면, HMI 영상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생산관리시스템(MES)의 작업 지시 이벤트 발생 시 작업 지시 대상에 해당하는 공정 설비의 최적 운영 조건을 판단하여 해당 공정 설비에 대한 설정값이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생산관리시스템(MES)에 의한 작업 지시 발생 시 설비 운영자가 설정값을 입력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가 운영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에서 공정 설비를 원격 제어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100)과 공정 설비(300)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300)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200)가 운영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100)과 공정 설비(300)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300)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200)는, 생산관리시스템(100)과 공정 설비(300)를 중계할 수 있다.
생산관리시스템(100)은, 생산 절차의 계획, 원재료 수배 준비 계획, 일정 및 주간 계획 등을 세우고, 공정 설비(300)가 그 계획에 따라 진행될 수 있도록 진도 관리(진척 관리)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생산관리시스템(100)의 관리는 작업 지시 이벤트에 의해 이루어진다. 작업 지시 이벤트는, 생산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 작업 지시 발생 시, 작업 지시의 대상이 되는 공정 설비(300)와 해당 공정 설비(300)에서 수행되는 공정 또는 작업을 포함하는 데이터이며, 공정 설비 셋업과 작업 지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생산관리시스템(100)은 작업 지시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공정 설비(300)는 작업 지시 이벤트에 따라 운영될 수 있다.
공정 설비(300)는, 공정을 수행하는 설비로서, 해당 공정 설비(30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정 설비(300)는, HMI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HMI는, 공정 설비 제어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변환함으로써, 공정 설비를 보다 용이하게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즉, HMI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값을 통해 공정 설비(300)의 제어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해당 공정 설비(300)가 제어될 수 있다.
HMI 제어기(200)는, 공정 설비(300)의 HMI를 통해 해당 공정 설비(300)를 제어할 수 있다. 생산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 작업 지시 이벤트가 발생하면, HMI 제어기(200)는, 작업 지시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작업 지시 이벤트에는 작업 지시의 대상이 되는 공정 설비(300)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므로, HMI 제어기(200)는, 작업 지시 이벤트로부터 작업 지시의 대상이 되는 공정 설비(300)를 특정할 수 있다. HMI 제어기(200)는, 작업 지시의 대상이 되는 공정 설비(300)의 HMI 영상을 제어하여 해당 공정 설비(300)에 설정값이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HMI 영상은 공정 설비(300)의 HMI 화면이 스트리밍 또는 미러링된 영상이다. 즉, HMI 제어기(200)는, 공정 설비(300)의 HMI 영상을 획득하고, HMI 영상을 통해 공정 설비(30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제어를 통해 HMI 제어기(200)는, 공정 설비(300)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나, 소프트웨어를 커스터마이징 하지 않고도 공정 설비(3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100)과 공정 설비(300)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300)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100)과 공정 설비(300)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300)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200)는, 공정 설비(300)의 HMI를 통해 해당 공정 설비(300)를 제어하는 HMI 제어기(200)로서, 송수신부(210), 영상 획득부(220), 설정값 생성부(230) 및 원격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HMI 제어기(20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송수신부(210)는, 생산관리시스템(100) 및 공정 설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생산관리시스템(100)의 작업 지시 이벤트 발생 시 작업 지시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HMI 제어기(200)는, 생산관리시스템(100)과 공정 설비(300)를 중계하는 역할을 하므로, 생산관리시스템(100) 및 공정 설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송수신부(210)는, 생산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 작업 지시 이벤트를 수신하고, 공정 설비(300)에 제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송수신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송수신부(210)는, 산업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종의 생산관리시스템이나 공정 설비라고 하더라도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220)는, 송수신부(210)가 수신한 작업 지시 이벤트에서 작업 지시의 대상이 되는 공정 설비(300)의 HMI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영상 획득부(220)는, 공정 설비(300)의 HMI 화면이 스트리밍 또는 미러링되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획득부(220)는, 작업 지시의 대상이 되는 공정 설비(300)의 HMI 영상을 통해 후술하는 설정값 생성부(230)에서 설정값을 생성하도록 하고, 원격제어부(240)에서 해당 공정 설비(30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설정값 생성부(230)는, 영상 획득부(220)가 획득한 HMI 영상으로부터 공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생산관리시스템(100)의 작업 지시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따른 설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공정 데이터는 공정 설비(300)의 최적 운영 조건을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 HMI 영상으로부터 수집할 수 있는 공정 설비(300)에 대한 운영 정보 및 공정 현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값은, 생산관리시스템(100)의 작업 지시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공정 설비(300)의 최적 운영값으로, 온도, 압력, 원재료 비율 및 질소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설정값 생성부(230)는, HMI 영상으로부터 해당 공정 설비(300)의 공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생산관리시스템(100)의 작업 지시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최적의 설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값 생성부(230)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생산관리시스템(100)의 작업 지시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따른 설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조건은, 공정 데이터를 변수로 하는 함수일 수 있다. 이러한 미리 정해진 조건은,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등에 의해 도출되는 함수일 수 있으며, 함수를 도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의 편의상, 공정 데이터 변수를 온도로만 한정하는 경우, HMI 영상에서 온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위치가 미리 설정되고, 설정된 HMI 영상의 위치에서 출력되는 공정 설비(300)의 온도(x)를 변수로 하여 작업 지시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설정값(y)이 생성될 수 있다. 즉, HMI 영상에서는 다양한 변수들이 고정된 위치에 출력되므로 해당 위치를 지정하여 공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공정 데이터를 변수로 하는 함수를 생성함으로써 공정 설비(300)의 최적 운영 조건이 도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관리시스템(100)과 공정 설비(300)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300)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200)에서 공정 설비(300)를 원격 제어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제어부(240)는, 영상 획득부(220)가 획득한 공정 설비(300)의 HMI 영상을 통해 공정 설비(300)의 제어 장치를 원격 제어하여 공정 설비(300)의 HMI로 설정값 생성부(230)에서 생성한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원격제어부(240)는, 제어하고자 하는 공정 설비(300)의 HMI 영상으로 원격 제어하여 공정 설비(300)의 HMI에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부는, 공정 설비(300)의 HMI 영상에서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공정 설비(300)의 제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조건은, HMI 영상에서 각각의 설정값이 입력되는 위치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변수를 온도로만 한정하는 경우, HMI 영상에서 온도에 대한 설정값이 입력되는 위치가 미리 설정된다면, 원격제어부(240)는, 공정 설비(300)의 제어 장치를 제어하여 온도에 대한 설정값이 입력되는 위치에서 설정값 생성부(230)에서 생성한 온도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HMI 영상에서 설정값이 입력되는 위치는, 미리 정해진 위치일 수 있으나, HMI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설정값에 대한 문자를 인식함으로써 특정되는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정 설비(300)의 종류에 따라 온도에 대한 설정값이 입력되는 위치가 상이하다면, 각각의 공정 설비마다 미리 정해진 조건이 상이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HMI 영상 분석을 통해 온도에 대한 문자를 인식함으로써 위치가 특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HMI 영상에서 각각의 설정값이 입력되는 위치는 변수로 설정되며, 입력하고자 하는 설정값에 따라 상이하게 특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격제어부(240)는, 공정 설비(300)에 연결된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원격제어부(240)는, 공정 설비(300)의 제어 장치를 통해 공정 설비(300)에 연결된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원격제어를 통해 해당 공정 설비(300)의 HMI에 설정값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공정 설비(300)에 연결된 입력 장치가 실제로 조작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원격제어부(240)는, 공정 설비(300)의 제어 장치를 원격 제어함으로써,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가 발생하여 HMI에 설정값이 입력되는 것과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원격제어부(240)는, 공정 설비(300) 외부에서 원격 제어를 통해 공정 설비(300)를 제어하여 설정값 생성부(230)에서 생성한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다.
원격제어부(240)는, 공정 설비(300)의 제어 장치를 통해 공정 설비(300)에 연결된 키보드 및 마우스의 입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원격제어부(240)는, 원격 제어를 통해 공정 설비(300)의 키보드 및 마우스의 입력 신호를 제어하되, 마우스 입력 신호를 제어하여 HMI 영상에서 정해진 위치로 마우스 커서 위치를 이동시키고, 해당 위치에서 키보드 입력 신호를 제어하여 설정값을 입력함으로써 공정 설비(300)에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생산관리시스템(100)과 공정 설비(300)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300)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200)에 따르면, 생산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 발생하는 설비 제어 이벤트 처리를 위해 다양한 제조사의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운영되는 공정 설비(300)에 대한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나 커스터마이징 없이 기존의 운영 소프트웨어를 유지하면서도 제조사에 종속되지 않고도 공정 설비(300)를 중앙에서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생산관리시스템(100)과 공정 설비(300)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300)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200)에 따르면, HMI 영상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생산관리시스템(100)의 작업 지시 이벤트 발생 시 작업 지시 대상에 해당하는 공정 설비(300)의 최적 운영 조건을 판단하여 해당 공정 설비(300)에 대한 설정값이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생산관리시스템
200: HMI 제어기
210: 송수신부
220: 영상 획득부
230: 설정값 생성부
240: 원격제어부
300: 공정 설비

Claims (8)

  1. 공정 설비의 HMI를 통해 해당 공정 설비를 제어하는 HMI 제어기로서,
    생산관리시스템 및 공정 설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생산관리시스템의 작업 지시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작업 지시 이벤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가 수신한 작업 지시 이벤트에서 작업 지시의 대상이 되는 공정 설비의 HMI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 획득부가 획득한 HMI 영상으로부터 공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생산관리시스템의 작업 지시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따른 설정값을 생성하는 설정값 생성부;
    상기 영상 획득부가 획득한 공정 설비의 HMI 영상을 통해 상기 공정 설비의 제어 장치를 원격 제어하여 상기 공정 설비의 HMI로 상기 설정값 생성부에서 생성한 설정값을 입력하는 원격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공정 설비의 HMI 영상에서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상기 공정 설비의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HMI 영상에서 각각의 설정값이 입력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공정 설비에 연결된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공정 설비의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공정 설비에 연결된 키보드 및 마우스의 입력 신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공정 설비의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 생성부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상기 생산관리시스템의 작업 지시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따른 설정값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공정 데이터를 변수로 하는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
KR1020170114271A 2017-09-07 2017-09-07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 KR101800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271A KR101800748B1 (ko) 2017-09-07 2017-09-07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
PCT/KR2018/010354 WO2019050267A1 (ko) 2017-09-07 2018-09-05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271A KR101800748B1 (ko) 2017-09-07 2017-09-07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0748B1 true KR101800748B1 (ko) 2017-11-24

Family

ID=60810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271A KR101800748B1 (ko) 2017-09-07 2017-09-07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0748B1 (ko)
WO (1) WO201905026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456B1 (ko) * 2018-06-04 2019-08-28 주식회사 이하 물류창고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20029006A (ko) * 2020-09-01 2022-03-08 이상호 Web hmi 방식을 이용하여 pop 및 mes 데이터를 설비 관리 데이터에 연동하여 관리하는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9051A (ja) * 2004-05-25 2005-12-08 Hakko Denki Kk 制御システム、その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遠隔モニタ装置、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68224T3 (es) * 2011-10-24 2016-04-28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Sistema de tratamiento de alimentos y/o envasado que comprende una interfaz hombre-máquina y software
KR101540800B1 (ko) * 2013-10-25 2015-07-31 (주)시스윈일렉트로닉스 원격제어 시스템
KR102071971B1 (ko) * 2015-05-04 2020-01-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Hmi 시스템
KR101748282B1 (ko) * 2016-11-04 2017-06-27 (주)윈텍 설비 진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설비 진단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9051A (ja) * 2004-05-25 2005-12-08 Hakko Denki Kk 制御システム、その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遠隔モニタ装置、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456B1 (ko) * 2018-06-04 2019-08-28 주식회사 이하 물류창고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20029006A (ko) * 2020-09-01 2022-03-08 이상호 Web hmi 방식을 이용하여 pop 및 mes 데이터를 설비 관리 데이터에 연동하여 관리하는 시스템
KR102409802B1 (ko) 2020-09-01 2022-06-20 이상호 Web hmi 방식을 이용하여 pop 및 mes 데이터를 설비 관리 데이터에 연동하여 관리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0267A1 (ko)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84720B (zh) 用于在过程控制或监测环境中进行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
US7043310B2 (en) Device and process for operation of automation components
US115070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utomated management of a coating plant
US6665635B2 (en) Method for providing power plant maintenance services
JP5000888B2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EP1218802B1 (en) Camera control in a process control system
KR101800748B1 (ko) 생산관리시스템과 공정 설비의 제어 연계를 통해 공정 설비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hmi 제어기
US20090204261A1 (en) Industrial robot system
CN108459564B (zh) 控制系统
US200201943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online engineering of a production environment
US11137888B2 (en) Device, program, and method for creating monitoring image
KR20190075745A (ko) 풀코드 스위치 모니터링 방법, 풀코드 스위치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벨트콘베어 시스템
CN112114565A (zh) 增强的工作指令生成和跟踪系统
US10534346B2 (en) Terminal for processing facilities
US20170277172A1 (en) Sim system,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duction informatization system
KR20090073643A (ko) 생산 현장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90303114A1 (en) Program creating apparatus, program creat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4765316A (zh) 一种利用智能终端作为工业设备控制的人机界面的技术
KR20170101684A (ko) 제조수행 통합관리 시스템
US10070657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loin puller meat processing machine
KR20200028261A (ko)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없는 공장설비에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US7343403B2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remote setup of control equipment in a network
KR100817489B1 (ko) 실시간 제조공정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102086813B1 (ko) 롤러 헤밍장치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CN106529798B (zh) 一种信号交互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