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988B1 -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988B1
KR101799988B1 KR1020160041047A KR20160041047A KR101799988B1 KR 101799988 B1 KR101799988 B1 KR 101799988B1 KR 1020160041047 A KR1020160041047 A KR 1020160041047A KR 20160041047 A KR20160041047 A KR 20160041047A KR 101799988 B1 KR101799988 B1 KR 101799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reality contents
contents
display device
oper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4375A (ko
Inventor
곽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1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988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에 의한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N개(단, N은 자연수 임)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M개(단, M은 자연수이며, N ≥ M 임)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하는 단계와,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와,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판별하는 단계와, 판별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가 재생할 수 있는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일부를 선별하여 보여줌으로써 재생할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택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목록화면에 대한 화면넘김 횟수를 최소화하여 재생할 가상현실 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하고 이러한 선택 결과를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가 인식할 때까지의 시간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본 발명은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가상현실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로 만들어서 그 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것이며, 사용자의 현장감을 높여 주기 위해서 입체 표시 장치, 두부장착 표시 장치(head-mounted display) 등의 이펙터(effector)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제스처(gesture)를 인식하는 인터페이스, 시선 영역을 인식하는 인터페이스 등과 같이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컴퓨터 키보드나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와 비교할 때에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시간과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가 명령을 인식하는 시간 등이 더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가 많은 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보유하여 재생 가능한 가상현실 컨텐츠 목록을 한 화면에 보여줄 수 없는 경우 등에는 목록화면에 대한 화면넘김이 요구되므로 재생하고자 하는 가상현실 컨텐츠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사용자에 의한 선택 결과를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가 인식하기까지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01229호, 공개일자 2016년 01월 06일.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재생 가능한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일부를 선별하여 보여줌으로써 재생할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택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목록화면에 대한 화면넘김 횟수를 최소화하여 재생할 가상현실 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하고 이러한 선택 결과를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가 인식할 때까지의 시간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으로서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에 의한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N개(단, N은 자연수 임)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M개(단, M은 자연수이며, N ≥ M 임)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 선택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 또는 관련 정보를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로부터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관련 정보로서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에 기 저장된 상기 N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할 수 있다.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기 저장된 상기 N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상기 산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판별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로부터 상기 판별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에 기 저장된 가상현실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판별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하여 재생 및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의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재생 허용 기간, 재생 허용 횟수, 다운로드 허용 기간 또는 다운로드 허용 횟수 중에서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으로서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는 처리부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에 의한 가상현실 화면 및 화면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N개(단, N은 자연수 임)의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M개(단, M은 자연수이며, N ≥ M 임)의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하며,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 선택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상기 감지부를 통해 파악하며, 상기 파악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처리부에 의해 재생된 상기 가상현실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 또는 관련 정보를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로부터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관련 정보로서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에 기 저장된 상기 N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며, 기 저장된 상기 N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상기 산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로부터 상기 판별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에 기 저장된 가상현실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판별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의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재생 허용 기간, 재생 허용 횟수, 다운로드 허용 기간 또는 다운로드 허용 횟수 중에서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으로서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은,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가 N개(단, N은 자연수 임)의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재생할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판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가상현실 운용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N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M개(단, M은 자연수이며, N ≥ M 임)의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하며,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 선택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판별하며, 상기 판별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고,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운용 서버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 또는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신호 또는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에게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의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며,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가 재생할 수 있는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일부를 선별하여 보여줌으로써 재생할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택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목록화면에 대한 화면넘김 횟수를 최소화하여 재생할 가상현실 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하고 이러한 선택 결과를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가 인식할 때까지의 시간을 최소화한다.
아울러, 특정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기 설정된 특정 장소에서만 재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는 디바이스별로 재생 권한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은,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 복수의 발신기(201 내지 205) 및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를 포함한다.
복수의 발신기(201 내지 205)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소에 설치되며, 고유의 무선 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발신기(201 내지 205)의 개수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된 것에 불과하기에 전체 개수는 얼마든지 변화될 수 있고, 무선 신호는 이를 수신한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가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우라면 위경도 좌표값 등과 같이 그 자체로서 위치를 나타내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예컨대, 발신기(201 내지 205)는 비콘(beacon),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송출기, 와이파이(Wi-Fi) AP(Access Point), 라이파이(Li-Fi) AP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발신기(201 내지 205)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도시 생략됨)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 또는 착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발신기(201 내지 205)나 GPS 위성에서 송출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N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M개(단, M은 자연수이며, N ≥ M 임)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하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판별하며, 판별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한다. 이러한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발신기(201 내지 205)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서비스 영역(10) 내에서 재생이 허용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가상현실 화면으로 표시 및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의 위치가 변화되면 서비스 영역(10) 또한 변화되고, 복수의 발신기(201 내지 205) 중에서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대상이 변화될 수 있다.
아울러,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는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에게 전송하며,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로부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를 수신하고,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에 의거하여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로부터 무선 신호 또는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N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M개(단, M은 자연수이며, N ≥ M 임)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에게 송신한다.
아울러,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에서 송신된 디바이스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를 생성하여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에게 송신한다. 여기서,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에는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재생 허용 기간, 재생 허용 횟수, 다운로드 허용 기간, 다운로드 허용 횟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처리부(130), 표시부(140), 감지부(150), 제어부(160)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발신기(201 내지 203) 또는 GPS 위성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를 대상으로 하여 각종 신호 및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 한다. 예컨대, 통신부(110)는 무선 송수신기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저장부(120)에는 N개의 가상현실 컨텐츠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20)에는 복수의 발신기(201 내지 203) 또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신호나 이러한 무선 신호로부터 산출할 수 있는 위치 정보와 재생이 허용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일대일 또는 일대다로 맵핑된 맵핑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부(120)는 비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N개의 가상현실 컨텐츠와 맵핑테이블은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의 저장부(120)에 저장되지 않고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처리부(13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가상현실 컨텐츠들을 재생한다. 예컨대, 처리부(13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프로세서로 구현할 수 있다.
표시부(140)에는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가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표시되며, 처리부(130)에 의해 재생된 가상현실 컨텐츠에 의한 가상현실 화면이 표시된다. 예컨대, 표시부(140)는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감지부(150)는 표시부(140)에 의해 출력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신호를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 또는 시선 영역을 인식하여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입력 및 인식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부(150)는 관성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로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하고, N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하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하고,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감지부(150)를 통해 파악하며, 파악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처리부(130)를 제어하고, 처리부(130)에 의해 재생된 가상현실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프로세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의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에게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하며,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로부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하고,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에 의거하여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에 의한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은, 복수의 발신기 또는 GPS 위성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401)를 포함한다.
그리고, N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하는 단계(S411 내지 S441)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단계 S411를 수행하고 단계 S421 및 S422는 생략할 수 있다. 즉, 단계 S401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를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S4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 운용 서버로부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4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단계 S411은 생략하고 단계 S421 및 S422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단계 S401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4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산출된 위치 정보를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S4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411, S421, S422, S431 및 S432는 모두 생략될 수 있다. 즉,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에 기 저장된 N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421은 수행하고 단계 S411, S422, S431 및 S432는 생략될 수 있다. 즉, 단계 S401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4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 저장된 N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단계 S421에서 산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하는 단계(S4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S442)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판별하는 단계(S443)를 더 포함한다.
또, 판별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단계(S451 내지 S461)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가상현실 컨텐츠가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에 저장된 경우라면,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에 기 저장된 가상현실 컨텐츠들 중에서 단계 S443에서 판별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하여 재생 및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가상현실 컨텐츠가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 저장된 경우라면, 판별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선택 정보를 컨텐츠 선택 관련 정보로서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S451)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 운용 서버로부터 판별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컨텐츠 재생 관련 정보로서 수신하는 단계(S453)를 포함할 수 있고, 수신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단계(S461)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의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컨텐츠 선택 관련 정보로서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S451)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 운용 서버로부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관련 정보로서 수신하는 단계(S45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에 의거하여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S4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에 의한 가상현실 서비스 과정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복수의 발신기(201 내지 205)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해당 장소에 설치된 복수의 발신기(201 내지 205)는 고유의 무선 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송출되는 무선 신호는 이를 수신한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가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우라면 위경도 좌표값 등과 같이 그 자체로서 위치를 나타내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예컨대, 발신기(201 내지 205)는 비콘, 블루투스 신호 송출기, 와이파이 AP, 라이파이 AP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발신기(201 내지 205)가 동작 중인 환경에서 사용자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를 휴대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발신기(201 내지 205)가 가지는 무선 신호 도달 거리에 따라 모든 무선 신호가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의 통신부(110)에 의해 수신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의 무선 신호가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의 통신부(11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발신기(201)와 제 2 발신기(202) 및 제 3 발신기(203)에서 송출된 무선 신호가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에 의해 수신되면 해당 발신기들의 위치를 포함하는 서비스 영역(10)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의 통신부(110)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S401).
그러면,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N개(단, N은 자연수 임)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단계 S401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M개(단, M은 자연수이며, N ≥ M 임)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하여야 한다. 여기서,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할 때에 자신이 단독으로 수행하거나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와의 협업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발신기(201 내지 205)으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와 해당 발신기가 설치된 위치나 부근에서 재생이 허용된 가상현실 컨텐츠가 일대일 또는 일대다로 맵핑되어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경우에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가 단독으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발신기(201), 제 2 발신기(202) 및 제 3 발신기(203)에 일대일 대응하는 총 3개의 가상현실 컨텐츠가 제어부(160)에 의해 선별될 수 있다.
또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와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가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협업으로 선별할 경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단계 S401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를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에게 무선 전송(S411)하거나 단계 S401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의 관련 정보를 무선 전송(S422)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여기서, 단계 S401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부(160)가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며(S421), 산출된 위치 정보를 관련 정보로서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422). 예컨대, 제어부(160)는 제 1 발신기(201) 내지 제 3 발신기(203)로부터 무선 신호가 수신된 경우라면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며, GPS 신호가 수신된 경우라면 GPS 측량법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그러면,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 또는 위치 정보에 대한 위치 인증을 수행(S431)한 후에 위치 인증 내역을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에게 송신한다(S432). 이를 위해,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에는 복수의 발신기(201 내지 205)가 송출하는 고유의 무선 신호와 해당 발신기가 설치된 위치 정보별로 재생을 허용할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며, 이렇게 미리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가 위치 정보별로 재생을 허용할 가상현실 컨텐츠를 결정 및 인증하고(S431), 결정된 위치 정보별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위치 인증 내역에 포함시켜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에게 전송한다(S432). 여기서, 위치 인증이라 함은 단계 S411에서 전송된 무선 신호 또는 단계 S422에서 전송된 위치 정보에 대해 가상현실 컨텐츠의 재생이 허용된 장소임을 인증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써,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N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단계 S401의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하게 된다(S441).
그리고, 표시부(140)는 파악된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출력한다(S442). 예컨대, 화면 인터페이스에는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가 아이콘(icon) 형태로 표시되거나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재생되기를 희망하는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택하게 되며, 감지부(150)는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선택 행위를 감지하여 그 감지 결과를 제어부(160)에게 제공하고, 제어부(160)는 감지부(150)의 감지 결과에 의거하여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한다(S443). 여기서, 감지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 또는 시선 영역을 인식하여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입력 및 인식 방식을 이용하여 컨텐츠 선택 행위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현실 컨텐츠가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의 저장부(120)에 저장된 경우라면,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기 저장된 가상현실 컨텐츠들 중에서 단계 S443에서 판별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처리부(130)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모든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에게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재생이 허용된 경우라면 제어부(160)는 단계 S443 이후에 곧바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처리부(130)를 제어하지만,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의 디바이스 식별정보별로 어떤 가상현실 컨텐츠를 몇 번 혹은 어느 기간 동안 재생하거나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는 재생 권한이 설정된 경우라면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와의 협업이 필요할 수 있다.
이처럼,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와의 협업을 위해, 통신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에게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의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컨텐츠 선택 관련 정보로서 송신한다(S451). 예컨대, 디바이스 식별정보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의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 사전에 발급된 ID(Identification), ESN(Electronic Serial Number),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면,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는 디바이스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재생 권한 정보를 읽어 들여 해당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가지는 가상환경 표시 장치(100)에게 가상화면 컨텐츠의 재생이 허용되었는지를 인증하며(S452), 이러한 디바이스 인증 결과에 따라 재생 권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관련 정보로서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에게 전송한다(S453). 여기서, 재생 권한 정보에는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재생 허용 기간, 재생 허용 횟수, 다운로드 허용 기간 또는 다운로드 허용 횟수 중에서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재생 권한 정보는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해 사전에 이루어지는 컨텐츠 구매 절차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재생 허용 횟수는 재생 권한 정보를 전송할 때마다 1회씩 차감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컨텐츠가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에 저장된 경우라면, 단계 S451에서 디바이스 식별정보가 전송될 때에 제어부(160)는 단계 S443에서 선택된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함께 송신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단계 S453에서 컨텐츠 재생 관련 정보가 전송될 때에 해당 가상현실 컨텐츠가 함께 전송될 수 있으며, 통신부(110)에 의해 해당 가상현실 컨텐츠가 다운로드되어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다운로드라 함은 스트리밍(streaming) 형태를 포함한다.
이로써,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100)의 통신부(110)는 가상현실 운용 서버(300)로부터 재생 권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60)에게 전달하며, 제어부(160)는 재생 권한 정보에 따라 처리부(130)가 단계 S443에서 선택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처리부(130)에 의해 재생된 가상현실 컨텐츠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40)를 통해 출력된다. 여기서, 가상현실 컨텐츠는 단계 S453에서 전송된 재생 권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재생 허용 기간과 재생 허용 횟수 이내에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 및 출력될 수 있다(S461).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가 재생 가능한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일부를 선별하여 보여줌으로써 재생할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택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목록화면에 대한 화면넘김 횟수를 최소화하여 재생할 가상현실 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하고 이러한 선택 결과를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가 인식할 때까지의 시간을 최소화한다.
아울러, 특정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기 설정된 특정 장소에서만 재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는 디바이스별로 재생 권한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각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 110 : 통신부
120 : 저장부 130 : 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감지부
160 : 제어부

Claims (20)

  1.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에 의한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으로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N개(단, N은 자연수 임)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M개(단, M은 자연수이며, N ≥ M 임)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 선택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의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로부터,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의 전송에 대응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 또는 관련 정보를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로부터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관련 정보로서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에 기 저장된 상기 N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기 저장된 상기 N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상기 산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판별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로부터 상기 판별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에 기 저장된 가상현실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판별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하여 재생 및 표시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재생 허용 기간, 재생 허용 횟수, 다운로드 허용 기간 또는 다운로드 허용 횟수 중에서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
  10.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는 처리부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에 의한 가상현실 화면 및 화면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N개(단, N은 자연수 임)의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M개(단, M은 자연수이며, N ≥ M 임)의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하며,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 선택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상기 감지부를 통해 파악하며,
    상기 파악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처리부에 의해 재생된 상기 가상현실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되,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할 때에,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의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로부터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의 전송에 대응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처리부를 제어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 또는 관련 정보를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로부터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관련 정보로서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에 기 저장된 상기 N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며,
    기 저장된 상기 N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상기 산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악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로부터 상기 파악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처리부를 제어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에 기 저장된 가상현실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파악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처리부를 제어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
  17. 삭제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재생 허용 기간, 재생 허용 횟수, 다운로드 허용 기간 또는 다운로드 허용 횟수 중에서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
  19.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가 N개(단, N은 자연수 임)의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재생할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판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가상현실 운용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N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M개(단, M은 자연수이며, N ≥ M 임)의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하며,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 중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 선택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판별하며, 상기 판별된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고,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할 때에,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운용 서버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 또는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신호 또는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M개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파악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에게 송신하며,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장치의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에게 전송하며, 상기 가상현실 운용 서버로부터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의 전송에 대응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별 재생 권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
  20. 삭제
KR1020160041047A 2016-04-04 2016-04-04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799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047A KR101799988B1 (ko) 2016-04-04 2016-04-04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047A KR101799988B1 (ko) 2016-04-04 2016-04-04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375A KR20170114375A (ko) 2017-10-16
KR101799988B1 true KR101799988B1 (ko) 2017-11-21

Family

ID=60296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047A KR101799988B1 (ko) 2016-04-04 2016-04-04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9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478B1 (ko) * 2018-07-19 2019-03-08 주식회사 테크노블러드코리아 가상현실 장비의 콘텐츠 표시방법
KR20200056721A (ko) 2018-11-15 2020-05-25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기의 광학 특성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2013450B1 (ko) * 2019-02-27 2019-08-22 주식회사 테크노블러드코리아 다수개의 화면을 이용한 중계 콘텐츠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8952A (ja) * 2012-04-26 2013-11-07 Sharp Corp コンテンツ処理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サーバ、コンテンツ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8952A (ja) * 2012-04-26 2013-11-07 Sharp Corp コンテンツ処理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サーバ、コンテンツ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375A (ko)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2956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targeted devices
EP2583153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gesture based remote control
EP2676436B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data transfer methods in a controlling device
EP3180763B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transmitting content
WO2018038997A1 (en) Controlling objects using virtual rays
US10540022B2 (en) Interactive input controls in a simulated three-dimensional (3D) environment
US962602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799988B1 (ko) 가상현실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5009299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40055703A (ko)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
US8771077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a gaming profile using proximity of a wireless device
EP3085422B1 (en) Game board
KR20090023735A (ko)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1835A (ko) 탈착식 조작계를 이용한 차량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3124851A1 (en) A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etween mobile devices
CN106713598A (zh) 基于指示方向的指令传输方法及装置、智能设备
KR20070051271A (ko)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8771076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gaming profiles
US1071914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BR112015021110B1 (pt) Método para configurar uma interface gráfica de usuário de guia de programa em um dispositivo portátil
WO2016056540A1 (ja) 指示装置、プログラム、指示システム、及び指示方法
US11455035B2 (en) Inputs to virtual reality devices from touch surface devices
KR20110115727A (ko) 휠체어의 이동을 이용한 오락 시스템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호스트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800611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 control scheme over virtual reality content
KR102587154B1 (ko) 홀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