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067B1 -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067B1
KR101799067B1 KR1020160041204A KR20160041204A KR101799067B1 KR 101799067 B1 KR101799067 B1 KR 101799067B1 KR 1020160041204 A KR1020160041204 A KR 1020160041204A KR 20160041204 A KR20160041204 A KR 20160041204A KR 101799067 B1 KR101799067 B1 KR 101799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pin
housing
contact
hea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4117A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1020160041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067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은 일 측에 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 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핀에 접촉되는 제2 핀, 그리고 상기 제2 핀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플러그가 삽입될 경우 플러그의 일 측에 구비된 헤드부에 가압되어 상기 제2 핀을 상기 제1 핀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절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의 헤드부 및 몸체부에 각각 접촉되어 스위치 역할을 수행하는 핀을 플러그의 헤드부에만 접촉되도록 설치함으로써, 플러그가 삽입 도중 플러그의 몸체부에 접촉되어 스위치 역할을 수행하는 또 다른 핀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노이즈를 예방하고, 플러그의 헤드부 및 몸체부에 각각 접촉되어 스위치 역할을 수행하는 다수의 핀이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되기 전 삽입중인 플러그의 헤드부에 동시에 접촉되어 쇼트(short)를 발생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Multimedia Apparatus Jack}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스마트폰(휴대폰), 피디에이(PDA)나 엠피쓰리(MP3) 등의 전자 단말기와 더불어 교통수단이 되는 차량에도 음향을 전달해 주는 멀티미디어 박스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 박스에는 이어폰 단자-플러그(plug)에 결합될 경우, 헤드유닛(Head Unit)을 통하여 스피커로 음향을 전달할 수 있는 잭(jack)이 구비되어 있다.
잭은 회로의 구성에 따라 2극, 3극 또는 4극으로 나뉘고, 극의 수에 따라 전원, 접지, 스위치나 비디오/오디오 등의 회로 수를 증가시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주로 모노 음원을 수신할 때에는 2극용 잭을 사용하며, 스테레오 음원을 수신할 때에는 보편적으로 3극용 잭을 사용하며, 스테레오 수신 기능 외에 개인 휴대 단말기의 주파수 조정, 되감기, 정지나 앞으로 감기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4극용 잭을 사용한다. 특히, 차량에 장착되는 오디오 시스템이나 멀티미디어 시스템으로서의 에이브이(AV: Audio/Video) 장치에서도 음향을 수신하기 위하여 이러한 잭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 단말기나, 차량에 구비된 잭은 플러그(3)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경우, 잭 내부에 설치되어 스위치 역할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검출핀(1, 2)이 이동 중인 플러그(3)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온/오프(ON/OFF) 상태가 반복되어 팝업 노이즈(POP UP NOISE)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검출핀(1, 2)은 처음에 서로 접촉(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이동 중인 플러그(3)의 외면(헤드부(3a))에 직접적으로 가압되어 외측으로 밀리며 접촉해제(오프) 상태로 전환되고, 플러그(3)의 편차구간(A)이 통과될 때 순간적으로 편차구간(A) 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다시 접촉(온) 상태로 전환된 후, 다시 이동 중인 플러그(3)의 외면(몸체부(3b))에 가압되어 외측으로 밀려 접촉해제(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검출핀(1, 2)이 반복적으로 온/오프 됨에 따라, 잭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장치에는 팝업 노이즈(POP UP NOISE)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이동 중인 플러그(3)의 헤드부(3a)에 플러그(3)의 헤드부(3a)에 접촉되는 복수 개의 검출핀과 플러그의 몸체부(3b)에 접촉되는 복수 개의 검출핀이 동시에 접촉되어 쇼트(Short)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한 팝업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하여 잭에 팝업 노이즈 저감용 소자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였으나, 잭에 소자를 추가적으로 적용함에 따라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제조과정이 다소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0-000709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플러그의 결합 또는 분리 시에 노이즈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은 일 측에 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 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핀에 접촉되는 제2 핀, 그리고 상기 제2 핀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플러그가 삽입될 경우 플러그의 일 측에 구비된 헤드부에 가압되어 상기 제2 핀을 상기 제1 핀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절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핀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핀에 접촉되고, 상기 절연부재가 설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는 헤드부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상기 헤드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면, 그리고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상기 플러그가 삽입될 경우 상기 절연부재와 함께 상기 헤드부에 가압되는 제3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핀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헤드부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상기 헤드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면, 그리고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안착홈 및 복수 개의 핀이 설치되는 핀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상기 플러그가 삽입될 경우 플러그에 구비된 몸체부에 접촉되는 보조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는 상기 절연부재에 접촉되는 상기 헤드부, 그리고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플러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단자를 구비하는 상기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플러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접촉단자, 제2 접촉단자 및 제3 접촉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핀부는 상기 제1 접촉단자에 접촉되는 제4 핀, 상기 제2 접촉단자에 접촉되는 제5 핀 및 상기 제3 접촉단자에 접촉되는 제6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의 헤드부 및 몸체부에 각각 접촉되어 스위치 역할을 수행하는 핀을 플러그의 헤드부에만 접촉되도록 설치함으로써, 플러그가 삽입 도중 플러그의 몸체부에 접촉되어 스위치 역할을 수행하는 또 다른 핀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노이즈를 예방하고, 플러그의 헤드부 및 몸체부에 각각 접촉되어 스위치 역할을 수행하는 다수의 핀이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되기 전 삽입중인 플러그의 헤드부에 동시에 접촉되어 쇼트(short)를 발생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의 헤드부에 가압되는 제2 핀에 비전도성 절연부재를 설치하여 플러그가 절연부재를 가압하여 제2 핀을 제1 핀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함으로써, 플러그가 제2 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고, 플러그 헤드부와 플러그 몸체부 사이의 편차로 인하여 핀이 플러그에 다수회 접촉되어 온/오프 되는 것을 예방하여 플러그와 제2 핀의 접촉으로 발생될 수 있는 노이즈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핀의 구조를 개선하여 팝업 노이즈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박스에 별도의 노이즈 제거 부품(노이즈 제거용 소자(IC Chip)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이를 통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과 플러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에 플러그가 결합되기 전과 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의 제2 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에 플러그가 결합될 때, 제2 핀과 제3 핀의 변형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의 제3 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의 각 핀에 플러그가 접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노이즈 제거용 소자가 적용되지 않은 종래의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에 플러그를 결합 또는 해제하였을 때의 노이즈 주파수 파형, 노이즈 제거용 소자가 적용된 종래의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에 플러그를 결합 또는 해제하였을 때의 노이즈 주파수 파형, 그리고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에 플러그를 결합 또는 해제하였을 때의 노이즈 주파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에 팝업 노이즈가 발생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100)(이하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100)'이라 함)은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일 측에 입구가 형성되고,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입구를 통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된 후술할 플러그(200)가 안착되는 플러그 안착홈(110a), 그리고 후술할 복수 개의 핀(120, 130, 150, 160)이 설치되는 핀 안착홈(110b)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10)은 절연, 완충 및 방열이 가능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100)은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핀(120, 130)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 개의 핀(120, 130)은 서로 접촉되어 있거나, 서로 이격되어 스위치(switch) 역할을 수행하는 제1 핀(120) 및 제2 핀(130)을 포함한다.
제1 핀(120)은 핀 안착홈(110b)이 형성된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후술할 제2 핀(130)에 접촉된다. 예컨대, 제1 핀(120)의 일측에는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2 핀(130)에 소정의 면적으로 접촉 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12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핀(130)은 제1 핀(120)으로부터 하우징(110)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고,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1 핀(120)에 접촉된다.
더 자세하게는, 제2 핀(130)은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고정부(131), 그리고 고정부(131)로부터 하우징(110)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제1 핀(120)에 접촉되고, 후술할 절연부재(140)가 설치되는 연장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133)는 탄성 변형(elastic deformation)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연장부(133)는 고정부(131)로부터 하우징(110)의 내측을 향하여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절곡되어 내측에 완충공간(a)을 형성함으로써, 플러그(200)에 가압될 경우에는 완충공간(a)이 형성된 하우징(110)의 외측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되고, 플러그(200)의 힘이 해제될 경우에는 탄성 변형되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즉, 연장부(133)는 하우징(110)에 플러그(200)가 결합될 경우에는 하우징(110)의 외측 방향을 향하여 회동되어 제1 핀(120)으로부터 이격되고, 반대로 하우징(110)으로부터 플러그(200)가 분리될 경우에는 탄성 변형되어 제1 핀(120)에 접촉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핀(120)과 제2 핀(130)의 접촉이 해제될 경우, 멀티미디어 장치(미도시)는 본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100)에 플러그(200)가 결합되었다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100)은 제2 핀(130)에 결합되는 절연부재(140)를 포함한다.
절연부재(140)는 제2 핀(130)의 연장부(133)에 결합되어 제2 핀(130)의 연장부(133)와 함께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재(140)는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플러그(200)가 삽입될 경우, 플러그(200)의 일 측에 구비된 헤드부(210)에 가압되어 제2 핀(130)의 연장부(133)와 함께 하우징(110)의 외측 방향을 향하여 회동되며 제2 핀(130)의 연장부(133)를 제1 핀(120)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예컨대, 절연부재(140)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비전도성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절연부재(14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00)의 삽입 시 헤드부(210)의 경사면(210a)에 접촉되어 헤드부(2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면(140a),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00)가 삽입된 후, 헤드부(210)의 외주면(210b)에 접촉되어 헤드부(210)를 지지하는 지지면(140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절연부재(140)의 안내면(140a)은 헤드부(210)의 경사면(210a)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100)은 헤드부(210)에 접촉되는 제3 핀(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3 핀(150)은 하우징(110)의 폭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제2 핀(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플러그(200)가 삽입될 경우, 절연부재(140)와 함께 헤드부(210)에 가압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3 핀(150)은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고정부(151), 그리고 고정부(151)로부터 하우징(110)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탄성 변형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연장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53)는 고정부(151)로부터 하우징(110)의 내측을 향하여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절곡되어 내측에 완충공간(a)을 형성함으로써, 플러그(200)에 가압될 경우에는 완충공간(a)이 형성된 하우징(110)의 외측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되고, 플러그(200)의 힘이 해제될 경우에는 탄성 변형되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53)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00)의 삽입 시 헤드부(210)의 경사면(210a)에 접촉되어 헤드부(2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면(153a),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00)가 삽입된 후, 헤드부(210)의 외주면(210b)에 접촉되어 헤드부(210)를 지지하는 지지면(153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연장부(153)의 안내면(153a)은 헤드부(210)의 경사면(210a)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153)의 지지면(153b)은 라운드(round)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본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100)은 보조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보조핀부(160)는 하우징(110)에 설치되고,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플러그(200)가 삽입될 경우, 플러그(200)에 구비된 몸체부(220)의 접촉단자에 접촉된다.
여기서, 플러그(200)는 절연부재(140) 및 제3 핀(150)에 접촉되는 헤드부(210), 그리고 헤드부(210)로부터 플러그(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단자(221, 223, 225)를 구비하는 몸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200)의 몸체부(220)는 헤드부(210)로부터 플러그(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접촉단자(221), 제2 접촉단자(223) 및 제3 접촉단자(225)를 구비하고, 보조핀부(160)는 각각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제1 접촉단자(221)에 접촉되는 제4 핀(161), 제2 접촉단자(223)에 접촉되는 제5 핀(163) 및 제3 접촉단자(225)에 접촉되는 제6 핀(165)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플러그(200)의 헤드부(210)와 플러그(200)에 구비된 접촉단자(221, 223, 225)는 플러그(200)의 반경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편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220)에 형성된 접촉단자(221, 223, 225)의 외경은 헤드부(210)의 외경보다 미리 설정된 크기만큼 플러그(200)의 반경방향(도 3의 y축 방향)을 향하여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핀(130)의 연장부(133)에 결합된 절연부재(140) 및 제3 핀(150)의 연장부(153)는 접촉단자(221, 223, 225)에 접촉되는 보조핀부(160)의 접촉부위보다 하우징(110)의 중심축(CA)을 향하여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플러그(200)가 삽입될 경우에도 보조핀부(160)는 보조핀부(160)를 통과하는 플러그(200)의 헤드부(210)에는 접촉되지 않고, 몸체부(220)의 접촉단자(221, 223, 225)에만 접촉될 수 있다. 즉, 제2 핀(130)에 결합된 절연부재(140) 및 제3 핀(150)은 플러그(200)의 헤드부(210)에만 접촉되고, 보조핀부(160)는 플러그(200)의 몸체부(220)에 구비된 접촉단자(221, 223, 225)에만 접촉될 수 있다.
제4 핀(161)은 제3 핀(150)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플러그(200)가 삽입될 경우, 플러그(200)의 제1 접촉단자(221)에 가압되어 제1 접촉단자(221)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가 플러그(200)를 통해 이어폰 또는 스피커 등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즉, 스마트폰이나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잭에 플러그를 삽입하면, 전원 온(ON) 시 자동으로 음악이 재생).
제5 핀(163)은 제4 핀(161)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플러그(200)가 삽입될 경우, 플러그(200)의 제2 접촉단자(223)에 가압되어 제2 접촉단자(223)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6 핀(165)은 하우징(110)의 외면에 설치되고, 일부가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삽입되도록 절곡되어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플러그(200)가 삽입될 경우, 플러그(200)의 제3 접촉단자(225)에 가압되어 제3 접촉단자(225)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6 핀(165)은 하우징(110)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각 핀(120, 130, 150, 160)에는 하우징(110)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편 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하우징(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우징(110)에 플러그(200)가 삽입될 경우, 하우징(110)에 설치된 복수 개의 핀(120, 130, 150, 160)과 플러그(200)의 접촉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하우징(110)에 플러그(200)가 삽입될 경우, 하우징(110)에 설치된 복수 개의 핀(120, 130, 150, 160)과 플러그(200)의 접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100)을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플러그(200)가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플러그(200)가 삽입되는 방향의 전방에 구비된 헤드부(210)는 하우징(110)에 설치된 제6 핀(165), 제5 핀(163) 및 제4 핀(161)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2 핀(130)에 결합된 절연부재(140) 및 제2 핀(130)과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3 핀(150)의 연장부(153)를 가압하여, 제2 핀(130)의 연장부(133) 및 제3 핀(150)의 연장부(153)를 하우징(110)의 외측 방향을 향하여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 핀(120)에 접촉되어 있던 제2 핀(130)이 제1 핀(120)으로부터 이격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제2 핀(130)의 연장부(133) 및 제3 핀(150)의 연장부(153)는 헤드부(210)에 가압되어 있는 상태에서 헤드부(210) 측으로 가해지는 반력을 통하여 헤드부(210)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플러그(200)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헤드부(210)의 후방에 구비된 제1 접촉단자(221)는 제6 핀(165) 및 제5 핀(163)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4 핀(161)에 접촉되고, 제1 접촉단자(221)의 후방에 구비된 제2 접촉단자(223)는 제6 핀(165)을 통과한 후 제5 핀(163)에 접촉되며, 제2 접촉단자(223)의 후방에 구비된 제3 접촉단자(225)는 제6 핀(165)에 접촉된다.
이때, 플러그(200)의 헤드부(210)와 플러그(200)의 접촉단자(221, 223, 225)는 플러그(200)의 반경방향(도 3의 y축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편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220)에 형성된 접촉단자(221, 223, 225)의 외경은 헤드부(210)의 외경보다 미리 설정된 크기만큼 플러그(200)의 반경방향을 향하여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핀(130)의 연장부(133)에 결합된 절연부재(140) 및 제3 핀(150)의 연장부(153)는 접촉단자(221, 223, 225)에 접촉되는 보조핀부(160)의 접촉부위보다 하우징(110)의 중심축(CA)을 향하여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플러그(200)가 삽입될 경우에도 보조핀부(160)는 보조핀부(160)를 통과하는 플러그(200)의 헤드부(210)에 접촉되지 않고, 몸체부(220)의 접촉단자(221, 223, 225)에만 접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100)과 종래의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의 노이즈 주파수 측정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노이즈 제거용 소자(POP UP IC)가 적용되지 않은 종래의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POP UP IC 제거)은 플러그가 하우징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경우 모두 노이즈 신호가 검출(사각 박스 표시)되었다. 그리고 노이즈 제거용 소자가 적용된 종래의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POP UP IC 장착)은 플러그가 하우징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노이즈 신호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고, 플러그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노이즈 제거용 소자가 적용되지 않은 종래의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POP UP IC 제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작은 노이즈 신호가 검출(사각 박스 표시)되었다.
반면, 본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100)은 플러그(200)가 하우징(110)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경우 모두 노이즈 신호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즉, 본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100)은 노이즈 제거용 소자가 적용된 종래의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POP UP IC 장착)과 대비하였을 때, 플러그(200)가 하우징(110)에 삽입되는 경우에서는 노이즈 제거용 소자가 적용된 종래의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POP UP IC 장착)과 거의 동일한 노이즈 신호가 검출되었으나, 플러그(20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노이즈 제거용 소자가 적용된 종래의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POP UP IC 장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작은 노이즈 신호가 검출되었다.
참고로, 도 8에서 최상측 파형은 우측 음향 신호(AUX_R)를 나타내고, 증간 파형은 좌측 음향 신호(AUX_L)를 나타내며, 최하측 파형은 플러그 감지 신호(DET)를 나타낸다. 즉, 플러그 감지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의 형상이 파형이 변형되는 부분(플러그가 인식되거나, 플러그의 인식이 해제되는 부분)에서 일그러지거나, 불규칙할수록 팝업 노이즈가 증가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200)의 헤드부(210) 및 몸체부(220)에 각각 접촉되어 스위치 역할을 수행하는 핀(120, 130)을 플러그(200)의 헤드부(210)에만 접촉되도록 설치함으로써, 플러그(200)가 삽입 도중 플러그(200)의 몸체부(220)에 접촉되어 스위치 역할을 수행하는 또 다른 핀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노이즈를 예방하고, 플러그(200)의 헤드부(210) 및 몸체부(220)에 각각 접촉되어 스위치 역할을 수행하는 다수의 핀이 플러그(200)가 완전히 삽입되기 전 삽입중인 플러그(200)의 헤드부(210)에 동시에 접촉되어 쇼트(short)를 발생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200)의 헤드부(210)에 가압되는 제2 핀(130)에 비전도성 절연부재(140)를 설치하여 플러그(200)가 절연부재(140)를 가압하여 제2 핀(130)을 제1 핀(120)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함으로써, 플러그(200)가 제2 핀(13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고, 플러그(200)의 헤드부(210)와 플러그(200)의 몸체부(220) 사이의 편차로 인하여 제2 핀(130)이 플러그(200)에 다수회 접촉되어 온/오프 되는 것을 예방하여 플러그(200)와 제2 핀(130)의 접촉으로 발생될 수 있는 노이즈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핀(130, 150)의 구조를 개선하여 팝업 노이즈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박스에 별도의 노이즈 제거 부품(노이즈 제거용 소자(IC Chip)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이를 통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
110. 하우징
110a. 플러그 안착홈 110b. 핀 안착홈
120. 제1 핀
130. 제2 핀
131. 고정부 133. 연장부
140. 절연부재
140a. 안내면 140b. 지지면
150. 제3 핀
151. 고정부
153. 연장부
153a. 안내면 153b. 지지면
160. 보조핀부
161. 제4 핀
163. 제5 핀
165. 제6 핀
200. 플러그
210. 헤드부
210a. 경사면 210b. 외주면
220. 몸체부
221. 제1 접촉단자
223. 제2 접촉단자
225. 제3 접촉단자

Claims (10)

  1.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제1 핀(120);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하우징의 내측으로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핀에 접촉하고, 하우징의 내측으로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핀에서 이격되는 제2 핀(130); 및
    상기 제2 핀에 결합되는 절연부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핀(130)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131); 및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고정부(131)와는 상기 일단에서만 연결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내측으로 상기 고정부(131)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1 핀(120)에 접촉되고, 상기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쪽으로 회동하는 연장부(133);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부재(140)는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연장부(133)에 끼워지는 상태로 장착되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플러그가 삽입될 경우, 플러그의 헤드부(210)에 의해 가압되어 제2 핀의 연장부(133)와 함께 하우징(110)의 외측 방향을 향하여 회동하여 제2 핀(130)의 연장부(133)를 제1 핀(120)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상기 플러그가 제2 핀(13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41204A 2016-04-04 2016-04-04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 KR101799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204A KR101799067B1 (ko) 2016-04-04 2016-04-04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204A KR101799067B1 (ko) 2016-04-04 2016-04-04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117A KR20170114117A (ko) 2017-10-13
KR101799067B1 true KR101799067B1 (ko) 2017-11-17

Family

ID=6013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204A KR101799067B1 (ko) 2016-04-04 2016-04-04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0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117A (ko) 201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302B1 (ko) 이어플러그 인식을 위한 이어잭
US8243945B2 (en) Earphone jack
US10356503B2 (en) Charging of wireless earbuds
CN101783985B (zh) 耳机
US9402120B2 (en) Wireless earbuds
EP3189671B1 (en) Longitudinal arranged wireless earbuds and the charging thereof
US9385546B2 (en) To-be-charged apparatus, charging adapter, electronic apparatus set, and plug unit
KR20160141848A (ko) 무선주파수 테스트 소켓 및 무선주파수 테스트 케이블
WO2016165297A9 (zh) 耳机插座及检测耳机是否插入到位的方法
US20160219356A1 (en) Earphone assembly
US9774152B2 (en) Forward and backward compatible 5 pole audio plug and jack system
US9525941B2 (en) Earjack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9713511B (zh) 检测电路、耳机插座、方法及移动终端
US20100330829A1 (en) Adjustable plug and earphone utilizing the same
US9466909B1 (en) Connector
US9578411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noise removal function
KR101799067B1 (ko) 멀티미디어 장치용 잭
US20120040568A1 (en) Audio plug and audio connector using the same
US20220386050A1 (en) State detection device for use in an audio interface
TWI467870B (zh) 電子裝置及其音頻訊號連接器
US20150131843A1 (en) Support Base and Charger of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US9509103B2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KR20120124163A (ko) 이어잭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20060092684A (ko) 이어폰 어셈블리
CN109560413B (zh) 一种音频接口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