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4163A - 이어잭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어잭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4163A
KR20120124163A KR1020110041876A KR20110041876A KR20120124163A KR 20120124163 A KR20120124163 A KR 20120124163A KR 1020110041876 A KR1020110041876 A KR 1020110041876A KR 20110041876 A KR20110041876 A KR 20110041876A KR 20120124163 A KR20120124163 A KR 20120124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arphone
ear jack
microphone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승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1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4163A/ko
Publication of KR20120124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입된 이어폰 종류의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어잭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어폰이 삽입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마이크 단자, 검출단자, 그라운드 단자, 우음향 단자 및 좌음향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 단자는 상기 이어폰 삽입 시 이어폰의 단자들과 접촉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삽입된 이어폰 종류의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돌출부를 가지는 종래의 표준 이어잭의 마이크 단자만을 다수의 돌출부를 가지도록 변경하면 되기 때문에 이어폰의 오인식 방지를 위한 별도의 회로 추가나 회로 변경이 필요치 않다.

Description

이어잭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EARJACK AND A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3.5 파이(Φ) 이어잭(Earjack)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 단자가 다수의 돌출부를 가지도록 형성된 이어잭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록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기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 재생 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 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라디오 수신 기능 및 이어폰 통화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어폰 통화를 위하여 마이크 단자를 포함하는 3.5 파이(Φ) 규격의 표준 이어잭(earjack)이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가 증가하고 있다. 상기 표준 이어잭의 일예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표준 이어잭(10)은 마이크 단자(11), 그라운드 단자(12), 우음향 단자(13), 좌음향 단자(14) 및 검출 단자(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준 이어잭(10)은 3극 이어폰(미도시) 및 4극 이어폰(20)이 모두 장착가능하다. 상기 4극 이어폰(20)은 마이크 단자(M), 그라운드 단자(G), 우음향 단자(R), 좌음향 단자(L)를 포함하며, 각 단자들(M, G, R, L) 사이에는 제1 내지 제3절연부(21, 22, 23)가 존재한다. 한편, 3극 이어폰(미도시)은 마이크 단자(M) 및 제3절연부(23)가 그라운드 단자(G)로 형성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검출 단자(15)를 통해 3극 이어폰((미도시) 또는 4극 이어폰(20)의 삽입이 감지되면, 마이크 단자(11)의 전압 레벨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 레벨에 따라 3극 이어폰(미도시)과 4극 이어폰(20)을 구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휴대 단말기는 측정된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 레벨 이상의 전압 즉, 하이(High) 레벨이면 4극 이어폰(20)이 삽입된 것으로 인식하고, 측정된 전압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 미만의 전압 즉, 로우(Low) 레벨이면 3극 이어폰(미도시)이 삽입된 것으로 인식한다.
도 2는 종래의 이어폰 종류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표준 이어잭(10)의 마이크 단자(11)에는 풀업 저항(R1)을 통해 마이크 바이어스 전압(Mic_Bias)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표준 이어폰(20)이 이어잭(10)에 삽입되어, 이어잭(10)의 마이크 단자(11)와 이어폰(20)의 좌 음향 단자(L), 우음향 단자(R) 또는 그라운드 단자(G)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는 경우 마이크 단자(11)의 출력 전압(Ear_mic)은 로우 레벨이 된다. 이는 이어폰(20)의 좌음향 단자(L) 및 우음향 단자(R)의 저항 성분(R2, R3)이 상기 풀업 저항(R1, 예컨대 1 키로옴(k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값(예컨대 32 옴(Ω))을 가지며, 그라운드 단자(12)는 0 옴(Ω)의 저항값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이어잭(10)의 마이크 단자(11)와 이어폰(20)의 마이크 단자(M)가 연결되는 경우 마이크 단자(11)의 출력 전압(Ear_mic)은 하이 레벨이 된다. 이는 이어폰(20)의 마이크 단자(M)의 저항 성분(R4)이 상기 풀업 저항(R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저항값(예컨대 2.2 키로옴(kΩ))을 가지기 때문이다. 한편, 이어잭(10)의 마이크 단자(11)가 이어폰(20)의 절연부들(21, 22, 23)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면, 마이크 단자(11)의 출력 전압(Ear_mic)은 마이크 바이어스 전압(예컨대 2.7 V)과 동일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극 이어폰(20) 삽입 도중 상기 마이크 단자(11)의 출력 전압(Ear_mic)은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로 변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상기 이어잭(10)에 4극 이어폰(20)을 삽입하더라도, 마이크 단자(11)가 4극 이어폰(20)의 좌음향 단자(L), 우음향 단자(R) 및 그라운드 단자(G)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경우 마이크 단자(11)에서 로우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3극 이어폰(미도시)이 삽입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3극 이어폰(미도시)을 삽입하더라도, 마이크 단자(11)가 3극 이어폰(미도시)의 절연부(미도시)와 접촉되는 경우 마이크 단자(11)에서 하이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4극 이어폰(20)이 삽입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종래의 표준 이어잭(10)은 이어폰 삽입 시 이어폰의 종류를 오인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삽입된 이어폰의 종류를 오인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어잭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돌출부를 가지도록 마이크 단자가 형성된 이어잭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어잭은 이어폰이 삽입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마이크 단자, 검출단자, 그라운드 단자, 우음향 단자 및 좌음향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 단자는 상기 이어폰 삽입 시 이어폰의 단자들과 접촉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어잭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는 이어폰의 탈착이 가능한 이어잭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어잭은 상기 이어폰이 삽입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마이크 단자, 검출단자, 그라운드 단자, 우음향 단자 및 좌음향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 단자는 상기 이어폰 삽입 시 이어폰의 단자들과 접촉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잭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는 삽입된 이어폰 종류의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돌출부를 가지는 종래의 표준 이어잭의 마이크 단자만을 다수의 돌출부를 가지도록 변경하면 되기 때문에 이어폰의 오인식 방지를 위한 별도의 회로 추가나 회로 변경이 필요치 않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된 이어폰의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준 이어잭 및 4극 이어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이어폰 종류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잭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잭에 4극 이어폰이 삽입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잭에 3극 이어폰이 삽입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잭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잭(Earjack, 100)은 이어폰(20)이 삽입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110) 및 상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마이크 단자(111), 그라운드 단자(112), 우음향 단자(113), 좌음향 단자(114) 및 검출 단자(1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만 않았지만, 상기 이어잭(100)은 이어잭(100)을 인쇄회로 기판(Print Circuit Board, 미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단자(111), 그라운드 단자(112), 우음향 단자(113), 좌음향 단자(114) 및 검출 단자(115)는 4극 이어폰(20)의 해당 단자와 접촉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기 설정된 위치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4극 이어폰(20)이 이어잭(100)에 완전히 삽입될 경우 상기 이어잭(100)의 마이크 단자(111)는 4극 이어폰(20)의 마이크 단자(M)와 접촉되고, 상기 이어잭(100)의 그라운드 단자(112) 및 검출 단자(115)는 4극 이어폰(20)의 그라운드 단자(G)와 접촉되고, 상기 이어잭(100)의 우음향 단자(113)는 4극 이어폰(20)의 우음향 단자(R)와 접촉되며, 상기 이어잭(100)의 좌음향 단자(114)는 4극 이어폰(20)의 좌음향 단자(L)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단자(111), 그라운드 단자(112), 우음향 단자(113), 좌음향 단자(114) 및 검출 단자(115)는 4극 이어폰(20)과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하여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4극 이어폰(20)과 접촉되는 부분(이하 접점)이 상기 통로로 일정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잭(100)은 마이크 단자(111)가 이어폰(20)의 단자들과 접촉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마이크 단자(111)는 2 개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단자(111)의 2 개의 돌출부 사이의 거리(D)는 이어폰(20) 삽입 도중 마이크 단자(111)가 제1절연부(21) 내지 제3절연부(23)에만 접촉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4극 이어폰(20)의 절연부들(21, 22, 23)의 폭보다 크고, 상기 4극 이어폰(20)의 우음향 단자(R)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4극 이어폰(20)의 마이크 단자(M)의 폭(L1), 그라운드 단자(G)의 폭(L2) 및 우음향 단자(R)의 폭(L3)은 약 2.5 mm의 크기를 가지고, 좌음향 단자(L)의 폭(L4)은 약 5mm의 크기를 가지고, 제1절연부(21)의 폭(W3)은 약 0.4 mm의 크기를 가지며, 제2절연부(22)의 폭(W2) 및 제3절연부(23)의 폭(W1)은 약 0.7 mm의 크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4극 이어폰(20)의 각 단자의 크기는 표준 규격에 따른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2개의 돌출부 사이의 거리(D)는 0.7 mm 초과 2.5 m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들 사이의 거리(D)는 일정 크기의 마진(Margin)을 두고 1.2 ~ 2 mm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어잭(100)은 4극 이어폰(20)이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만 상기 마이크 단자(111)의 2개의 돌출부가 이어폰(20)의 마이크 단자(M)와 모두 접촉되고, 그 이외의 경우 즉, 이어폰(20) 삽입 도중에는 마이크 단자(111)의 2개의 돌출부가 그라운드 단자(G), 우음향 단자(R), 좌음향 단자(L) 중 적어도 하나와 반드시 접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어잭(100)은 이어폰(20) 삽입 도중 마이크 단자(111)로부터 하이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지 않고, 로우 레벨의 신호만 출력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3극 이어폰(미도시)의 경우 마이크 단자(M)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완전히 삽입되더라도, 상기 이어잭(100)의 마이크 단자(111)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이어잭(100)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는 이어폰 삽입 감지 시 3극 이어폰(미도시)이 삽입된 것으로 처리하고, 마이크 단자(111)의 출력 전압을 체크하여 마이크 단자(111)의 출력 전압이 하이 레벨로 변경되는 경우 4극 이어폰(20)이 삽입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의 이어잭(100)의 모습은 일 예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이어잭(100)의 각 단자의 위치, 형상 등은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 3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마이크 단자(111), 그라운드 단자(112), 우음향 단자(113), 좌음향 단자(114) 및 검출 단자(115)는 인쇄회로 기판(미도시, Print Circuit Board)에 장착되기 위한 접속 단자(미도시)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 단자들(미도시)은 상기 이어잭(100)을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고정시키는 역할 및 4극 이어폰(20)과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사이에 신호 전송 경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잭에 4극 이어폰이 삽입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4극 이어폰(20)을 이어잭(100)에 삽입하게 되면, 식별 부호 4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잭(100)의 마이크 단자(111)는 4극 이어폰(20)의 좌음향 단자(L) 및 제1절연부(21)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마이크 단자(111)의 출력 전압은 제1그래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전압(Ref)보다 낮은 로우 레벨이다. 이는 상기 검출 단자(115)가 이어폰(20)과 접촉되지 않아 마이크 바이어스 전원(Mic_bias)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는, 상기 검출 단자(115)가 4극 이어폰(20)의 좌음향 단자(L)와 접촉되더라도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풀업 저항(R1)에 비하여 4극 이어폰(20)의 좌음향 단자(L)의 저항 성분(R2)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한편, 4극 이어폰(20)이 일정 거리만큼 더 삽입되면, 식별 부호 42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잭(100)의 그라운드 단자(112) 및 검출 단자(115)는 4극 이어폰(20)의 좌음향 단자(L)와 접촉되고, 이어잭(100)의 마이크 단자(111)는 4극 이어폰(20)의 우음향 단자(R) 및 제2절연부(22)와 접촉된다. 이때, 역시 마이크 단자(111)의 출력 전압은 제2그래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전압(Ref)보다 낮은 로우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4극 이어폰(20)의 우음향 단자(R)의 저항 성분(R3)이 풀업 저항(R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지기 때문이다.
상기 식별 부호 42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상태에서 4극 이어폰(20)이 더 삽입되면, 식별 부호 43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잭(100)의 우음향 단자(113)는 4극 이어폰(20)의 좌음향 단자(L)와 접촉되고, 이어잭(100)의 그라운드 단자(112) 및 검출 단자(115)는 4극 이어폰(20)의 우음향 단자(R)와 접촉되고, 이어잭(100)의 마이크 단자(111)는 4극 이어폰(20)의 그라운드 단자(G)와 접촉된다. 이때, 이어잭(100)의 마이크 단자(111)의 출력 전압은 제3그래프(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전압(약 0V)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4극 이어폰(20)이 이어잭(100)에 완전히 삽입되면, 식별 부호 44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잭(100)의 좌음향 단자(114)는 4극 이어폰(20)의 좌음향 단자(L)와 접촉되고 이어잭(100)의 우음향 단자(113)는 4극 이어폰(20)의 우음향 단자(R)와 접촉되고, 이어잭(100)의 그라운드 단자(112) 및 검출 단자(115)는 4극 이어폰(20)의 그라운드 단자(G)와 접촉되고, 이어잭(100)의 마이크 단자(111)는 4극 이어폰(20)의 마이크 단자(M)와 접촉된다. 이때, 이어잭(100)의 마이크 단자(111)의 출력 전압은 제4그래프(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 전압(Ref)보다 높은 하이 레벨로 변경된다. 이는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4극 이어폰(20)의 마이크 단자(M)의 저항 성분(R4)이 상기 풀업 저항(R1)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이어잭(100)의 마이크 단자(111)의 출력 전압이 하이 레벨로 변경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4극 이어폰(20)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잭에 3극 이어폰이 삽입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3극 이어폰(30)을 이어잭(100)에 삽입하게 되면, 식별 부호 5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잭(100)의 마이크 단자(111)는 3극 이어폰(30)의 좌음향 단자(L) 및 제1절연부(31)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이어잭(100)의 마이크 단자(111)의 출력 전압은 제5그래프(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전압(Ref)보다 낮은 로우 레벨이다. 한편, 3극 이어폰(20)이 일정 거리만큼 이어잭(100)에 더 삽입되면, 식별 부호 52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잭(100)의 그라운드 단자(112) 및 검출 단자(115)는 3극 이어폰(30)의 좌음향 단자(L)와 접촉되고, 이어잭(100)의 마이크 단자(111)는 3극 이어폰(30)의 우음향 단자(R) 및 제2절연부(32)와 접촉된다. 이때, 상기 이어잭(100)의 마이크 단자(111)의 출력 전압은 제6그래프(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전압(Ref)보다 낮은 로우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3극 이어폰(30)의 좌음향 단자(L) 및 우음향 단자(R)의 저항 성분(R2, R3)이 상기 풀업 저항(R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지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3극 이어폰(30)이 이어잭(100)에 완전히 삽입되면, 식별 부호 53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잭(100)의 좌음향 단자(114)는 3극 이어폰(30)의 좌음향 단자(L)와 접촉되고 이어잭(100)의 우음향 단자(113)는 3극 이어폰(30)의 우음향 단자(R)와 접촉되며, 이어잭(100)의 그라운드 단자(112), 검출 단자(115) 및 마이크 단자(111)는 3극 이어폰(30)의 그라운드 단자(G)와 접촉된다. 이때, 이어잭(100)의 마이크 단자(111)의 출력 전압은 그라운드 전압(약 0V)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이크 단자(111)의 출력 전압은 제7그래프(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3극 이어폰(30) 삽입 시 이어잭(100)의 마이크 단자(111)가 3극 이어폰(30)의 절연부(31, 32)에만 접촉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아 3극 이어폰(30) 삽입 시 하이 레벨의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3극 이어폰(30) 삽입 시 하이레벨의 신호가 발생하여 4극 이어폰(20)이 삽입된 것으로 오인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잭(100)은 이어폰 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이어잭(100)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는 상기 마이크 단자(111)의 출력 전압을 확인하고, 상기 출력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4극 이어폰(20)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3극 이어폰(30)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는 이어폰 인식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인식 회로는 마이크 단자(111)의 출력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마이크 단자(111)의 출력 전압이 큰 경우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Comparator) 또는 상기 마이크 단자(111)의 출력 전압을 인식할 수 있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ADC : Analog Digital Converter)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삽입된 이어폰의 종류를 오인식하는 문제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잭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이어잭 110 : 본체
111 : 마이크 단자 112 : 그라운드 단자
113 : 우음향 단자 114 : 좌음향 단자
115 : 검출 단자 20 : 4극 이어폰
30 : 3극 이어폰

Claims (7)

  1. 이어폰이 삽입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마이크 단자, 검출단자, 그라운드 단자, 우음향 단자 및 좌음향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 단자는
    상기 이어폰 삽입 시 이어폰의 단자들과 접촉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돌출부는
    두 개의 돌출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돌출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이어폰의 단자들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부들의 폭보다 크고, 상기 이어폰의 단자들 중 우음향 단자의 폭 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3극 이어폰 또는 4극 이어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잭.
  5. 이어폰의 탈착이 가능한 이어잭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어잭은
    상기 이어폰이 삽입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마이크 단자, 검출단자, 그라운드 단자, 우음향 단자 및 좌음향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 단자는
    상기 이어폰 삽입 시 이어폰의 단자들과 접촉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잭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돌출부는
    상기 이어폰 단자들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부들의 폭보다 크고, 상기 이어폰 단자들 중 우음향 단자의 폭 보다 작은 거리를 가지는 두 개의 돌출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잭.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검출 단자를 통해 이어폰 삽입 감지 시 상기 마이크 단자의 출력 전압을 확인하고, 상기 출력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4극 이어폰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3극 이어폰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는 이어폰 인식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잭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10041876A 2011-05-03 2011-05-03 이어잭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201201241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876A KR20120124163A (ko) 2011-05-03 2011-05-03 이어잭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876A KR20120124163A (ko) 2011-05-03 2011-05-03 이어잭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163A true KR20120124163A (ko) 2012-11-13

Family

ID=47509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876A KR20120124163A (ko) 2011-05-03 2011-05-03 이어잭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41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736A (ko) * 2015-01-28 2016-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잭 인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9537271B2 (en) 2014-12-08 2017-01-03 Xiaomi Inc. Earphone socket, earphone plug, earphone and electronic device
CN107995372A (zh) * 2017-12-25 2018-05-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误触接地识别处理方法、电路及移动终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7271B2 (en) 2014-12-08 2017-01-03 Xiaomi Inc. Earphone socket, earphone plug, earphone and electronic device
KR20160092736A (ko) * 2015-01-28 2016-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잭 인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7995372A (zh) * 2017-12-25 2018-05-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误触接地识别处理方法、电路及移动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92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earphone
US10659874B2 (en) Audio I O headset plug and plug detection circuitry
US7553195B2 (en) Plug
US8428288B2 (en) Ear jack for detecting earphone plug
KR101820730B1 (ko) 이어폰 접속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8243945B2 (en) Earphone jack
US7226319B2 (en) Earphone jack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9525941B2 (en) Earjack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63677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어폰 인식 회로 장치 및 방법
TWI566468B (zh) 行動裝置之電路結構以及行動裝置
US201302932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erroneous detection of jack
US9774152B2 (en) Forward and backward compatible 5 pole audio plug and jack system
TW201025742A (en) Portable electric apparatus and jack connection method therefor
KR20120124163A (ko) 이어잭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20120080824A (ko)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커넥터
US20090111336A1 (en) Split connector and method
KR20150000698A (ko) 전자 기기의 액세서리 인식 방법 및 장치
JP2016123041A (ja) 電子機器
CN109560413B (zh) 一种音频接口及电子设备
US8876559B2 (en) Electronic device and switch method thereof
JP6527795B2 (ja) 電子機器
KR20140004667U (ko) 오디오 플러그 구조의 개선
TWI416808B (zh) 耳機插孔結構
JP2012100076A (ja) 制御システム、制御機器、及び、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