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852B1 - 도로명 주소체계의 도로번호를 이용한 도로명 색인부 및 도로명 노선표 - Google Patents

도로명 주소체계의 도로번호를 이용한 도로명 색인부 및 도로명 노선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852B1
KR101798852B1 KR1020150048198A KR20150048198A KR101798852B1 KR 101798852 B1 KR101798852 B1 KR 101798852B1 KR 1020150048198 A KR1020150048198 A KR 1020150048198A KR 20150048198 A KR20150048198 A KR 20150048198A KR 101798852 B1 KR101798852 B1 KR 101798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name
route
road nam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3796A (ko
Inventor
민경국
Original Assignee
민경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국 filed Critical 민경국
Publication of KR20160013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명 주소체계의 도로번호를 이용한 도로명 색인부 및 도로명 노선표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명 색인부는 상기 도로번호(a)와 노선도로명(b) 및 도로명이 부여된 도로마다 기점부터 종점까지의 구간거리를 알 수 있도록 도로명이 부여된 모든 도로 구간의 기/종점 위치와 교차로마다 도로명판에 표기된 해당도로의 도로명과 기초번호;로 도로명 색인부 및 노선표를 구성하되 노선도로명(b) 도로를 중심으로 좌우로 교차 또는 분기된 분기도로명(d)들이 가,나,다 순으로 표기되는 색인용 도로명표시부(가)와; 분기구간표시부(나-1,나-2) 및; 기초번호(g) 및 노선도로명(b)이 순번에 따라 순차 기재되는 노선색인부(다); 로 이루어진다.
도로명 노선표는 상기 도로번호(a)와 노선도로명(b) 및 기초번호(e)를 종점 표시와 함께 표기한 노선도로명표시부(라)와; 교차로명(h)이 차례로 계층 표기되는 교차로명표시부(마) 및; 분기도로명(d)의 기점과 종점이 구분되어 표기되는 좌,우측 분기도로명표시부(바-1,바-2); 교차로구간 기초번호표시부(사);로 이루어져 네비게이션이 없더라도 사용자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접근 경로를 신속 간편하게 예측할 수 있고, 해당노선의 기점에서 종점까지 좌우 분기되는 모든 도로의 연결구조와 분기점 위치 파악 및 목적지 도로의 위치와 거리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 초행길에도 목적지를 정확히 찾아갈 수 있는 것이며, 새로운 도로명 주소의 우수성과 편리성을 널리 알릴 수도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도로명 주소체계의 도로번호를 이용한 도로명 색인부 및 도로명 노선표{Road name index and road routes list using road number of road name domicile}
본 발명은 도로명 주소체계의 도로번호를 이용한 도로명 색인부 및 도로명 노선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로번호와 건물 기초번호를 색인어로 사용하여 도로명 주소체계의 주 도로로 사용되는 모든 도로의 기점(시점)과 종점의 위치를 상세한 지도 도면 없이도 신속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찾아갈 수 있는 도로명 주소체계의 도로번호를 이용한 도로명 색인부 및 도로명 노선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사용하던 지번주소 체계에서 나타나는 아래의 각종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2014년 1월 1일부터 도로명 주소체계에 의한 도로명주소를 전면 시행하고 있다.
즉, 도로명주소를 시행하기 이전에 사용하던 종래의 지번주소는 조세징수를 목적으로 토지를 구분하고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주소체계로서, 위치를 식별하는 기능이 미약함은 물론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빈번한 지번의 분할 및 합병 등으로 지번과 지번간의 배열이 무질서하게 되어 더 이상 주소로서의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였으며, 이는 물류비용의 증가와 소방, 방범, 구조 등 긴급을 요하는 서비스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대두 되었다.
이에 우리나라 정부는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주소체계를 위해 도로에는 이름을 부여하고, 건물에는 건물번호를 부여한 도로명 주소를 법적 주소로 공표하고 2014년 1월 1일부터 화재 및 범죄 등 각종 재난 사고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도로명 주소를 전면 시행하고 있다.
상기 도로명 주소의 부여 원칙을 살펴보면, 남→북, 서→동 방향으로 도로구간의 기점 및 종점을 설정하고, 도로의 폭 크기에 따라 40m 또는 8차선 이상의 도로는 "대로"로, 12~40m 또는 2~7차로의 도로는 "로"로, 기타 "대로"와 "로"에서 분기되는 작은 도로는 "길"로 위계를 정하여 도로명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대로"와 "로"에서 분기되는 작은 도로(길)의 도로명은 분기가 시작되는 지점의 상위 도로명을 부명으로 하여 기점에서 종점 방향으로 왼쪽(좌측) 길은 홀수의 일련번호를, 오른쪽(우측) 길은 짝수의 일련번호를 좌우 대칭으로 사용한 일련번호(상위도로명+일련번호+길) 부여방식과; 해당 도로가 분기되는 지점에 위치한 상위도로의 기초번호를 사용한 기초번호(상위도로명+기초번호+번길) 부여방식; 으로 도로명을 부여하였으며, 그 외에 별도로 상위도로명을 사용하지 않고 이름이나 지명을 사용한 복합명사(고유명사+길) 부여방식으로 도로명을 부여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건물번호 부여 원칙"은 해당도로(대로, 로)의 기점에서 종점까지 중앙선을 20m 간격으로 일정하게 나누어 왼쪽 도로에는 홀수(1,3,5,‥‥), 오른쪽 도로에는 짝수(2,4,6 ‥‥)로 가상의 기초번호를 설정하여 해당 건축물의 주 출입구와 마주한 기초번호를 해당건축물의 건물번호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대로와 로의 경우 건물번호에 10을 곱하면 해당 도로구간의 기점에서 해당 건축물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알 수 있고, 운전자나 보행자가 도로를 진행하면서 건물번호가 점차 증가한다면 동쪽이나 북쪽 방향으로 진행 중임을 알 수 있고, 반대로 건물번호가 점차 감소한다면 서쪽이나 남쪽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정부는 모든 도로구간의 기/종점 위치와 두 개의 도로가 만나는 교차로마다 도로명판에 해당 도로의 도로명과 기초번호를 표기하여 위치와 방향을 안내하는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도로망구조를 살펴보면, 전국을 권역으로 시도, 국도, 지방도, 고속도로 등으로 도로를 구분하되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남→북, 서→동 방향으로 해당노선의 기점 및 종점을 정하고, 남북종단 노선에는 홀수, 서동횡단 노선에는 짝수로 도로번호를 정하여 교차로마다 예고표지와 본표지로 구성된 도로표지판에 도로번호를 표기하여 해당노선의 위치와 방향을 안내하는 도로정보를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제공함으로서 목적지를 찾아가는데 유용한 교통정보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도로명 주소는 주소지 건축물이 위치한 도로구간에 진입하기만 하면 누구든지 주소지 건축물의 위치는 물론 방향과 거리까지 정확히 예측하여 찾아갈 수 있으므로 지번 주소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으로 기대되는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도로는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된 도로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어 도로의 수가 지나치게 많고, 복합하게 얽혀져 있어 일반인이 주소지 건축물이 위치한 해당 도로구간에 진입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는 지번주소와 마찬가지로 도로와 도로 간의 연계성이 미흡하여 상세한 지도 도면 없이는 찾아가고자 하는 주소지 건물이 위치한 해당 도로의 위치를 찾아가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를 위한 선행기술로 아래 특허문헌에 개시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1999-011918호(1999년 3월 25일 공개)의 "도로구분이 용이한 지도"(이하 '선행기술 1'이라 칭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해당도로의 기점과 종점을 표시하는 선의 색상을 단색으로 하거나 서로 다르게 하면서 선의 종류를 서로 다르게 인쇄하거나 선의 굵기를 서로 차등지게 인쇄한 것이고, 또한 해당도로의 기점(시점)과 종점을 나타내는 색인마크를 기점(시점)과 종점을 표시하는 선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인쇄 표기한 것이다.
다른 선행기술로는 아래 특허문헌에 개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3-0119267호(2013년 10월 31일 공개)의 "도로명주소 지도"(이하 '선행기술 2'라 칭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도로명주소 지도를 구성할 때 다른 도로명이 부여된 도로구간선의 만나는 부분을 띄어놓아 별개의 도로임을 알 수 있도록 하며, 다른 이름의 도로구간선이 교차할 경우 교차부분에서 한쪽 길을 "v"형태로 표기하여 길이 교차되어 연속됨을 알 수 있도록 하고, 곁가짓길을 점선으로 추가 표시한 것이다.
또한, 선행기술 2는 도로명주소 지도를 구성할 때 곁가짓길 위에 본번을 표기하되 점선을 따라 본번에 부속되는 부번만 이색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곁가짓길을 따라 표시되는 부번을 이웃하는 곁가짓길의 부번과 이색으로 표시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 1과 선행기술 2는 모두 찾아가고자 하는 해당지역이 상세하게 표시된 지도를 휴대하고 있어야만 도로의 기점과 종점의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지역을 찾아갈 수 있는 것으로서, 기존의 지도에 구비되는 색인부 또는 도로명 노선도만으로는 모든 도로의 기점과 종점 위치 및 거리 등을 쉽게 확인하거나 알아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현재 사용되고 있는 도로명주소 안내지도는 색인부에 해당도로가 위치한 지도 도면의 페이지수와 가로와 세로의 좌표를 표기하여 지도상에서 해당도로의 위치만 확인할 수 있을 뿐 실제로 사용자가 그 도로를 어떻게 찾아가야 하는 지는 전혀 알 수 없으므로 지도 책자에서 관련된 여러 페이지를 모두 찾아보아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낯선 곳을 찾아가는 초행길 운전자나 보행자의 경우 해당지역 확인에 상당한 시간을 소비하고서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1999-011918호(1999년 3월 25일 공개)의 "도로구분이 용이한 지도"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3-0119267호(2013년 10월 31일 공개)의 "도로명주소 지도"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및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세한 지도 책자를 사용하여 주소지를 찾아가는 기존의 안내방식을 탈피함과 아울러 도로표지판의 도로번호와 도로명주소의 기초번호(건물번호)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도로명주소가 부여된 건축물이나 도로 위치를 상세한 지도 도면 없이 누구든지 쉽게 찾아갈 수 있으며,
도로번호가 부여된 시도, 국도, 지방도로 구성된 지역에서의 노선도로망별로 해당노선의 기점에서 종점까지 연결된 1차도로를 중심으로 분기된 2차도로의 연결구조 및 교차로명 등의 위치를 상세한 지도 없이 쉽게 파악하여 찾아갈 수 있는 도로명 주소체계에 의한 도로번호를 이용한 도로명 색인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번호가 부여된 시도, 국도, 지방도로 구성된 지역에서의 노선도로망별로 해당노선의 기점에서 종점까지 연결된 1차도로를 중심으로 분기된 2차도로의 연결구조 및 교차로명과 건축물 등을 상세한 지도 없이 쉽게 파악하여 찾아갈 수 있는 도로명 주소체계에 의한 도로번호를 이용한 도로명 노선표를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해당 지역별로 남→북의 종단방향 및 서→동의 횡단방향으로 연결된 시도노선 및 국도노선의 위치와 방향을 안내하는 도로 표지판에 표기된 다수의 도로번호(a)와, 도로명 주소체계에 따라 정부가 남→북 및 서→동 방향으로 연결된 도로의 구간을 나누어 기점과 종점을 정하여 도로명을 부여한 다수의 도로 중, 상기 시도노선 및 국도노선과 도로노선이 중첩된 다수의 노선도로명(b) 및; 도로명이 부여된 도로마다 기점부터 종점까지 중앙선을 20미터 간격으로 일정하게 나누어 왼쪽 도로에는 홀수, 오른쪽 도로에는 짝수의 기초번호를 부여하고, 그 기초번호에 10을 곱하면 해당 도로 구간의 기점에서 해당 위치까지 구간거리를 알 수 있도록 도로명이 부여된 모든 도로 구간의 기/종점 위치와 교차로마다 도로명판에 표기된 해당도로의 도로명과 기초번호;로 도로명 색인부를 구성하되
상기 도로번호가 부여된 시도노선 및 국도노선과 도로노선이 중첩된 노선도로명(b) 도로를 중심으로 좌우로 교차 또는 분기된 분기도로명(d)들이 가,나,다 순으로 표기되는 색인용 도로명표시부와; 상기 도로명표시부의 우측에 구비되며, 노선도로명 도로에서 분기된 분기도로명(d) 도로의 구간이 시작되는 지점과 분기도로명(d) 도로의 구간이 끝나는 지점의 도로명판에 표기된 해당 분기도로명 도로의 기초번호가 표기되는 분기구간표시부(나-1,나-2) 및; 도로명표시부(가)의 좌측에 구비되며, 노선도로명(b) 도로에서 분기된 분기도로명 도로의 구간이 시작되는 지점의 도로명판에 표기된 노선도로명의 기초번호와 그 노선도로명(b) 도로가 속한 노선의 도로번호가 표기되고, 도로명 주소체계에 따라 남→북 및 서→동 방향으로 연결된 노선도로명(b)이 순번에 따라 기재되는 노선색인부;로 도로명 색인부를 구성함으로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해당 지역별로 남→북의 종단방향 및 서→동의 횡단방향으로 연결된 시도노선 및 국도노선의 위치와 방향을 안내하는 도로 표지판에 표기된 다수의 도로번호(a)와, 도로명 주소체계에 따라 정부가 남→북 및 서→동 방향으로 연결된 도로의 구간을 나누어 기점과 종점을 정하여 도로명을 부여한 다수의 도로 중, 상기 시도노선 및 국도노선과 도로노선이 중첩된 다수의 노선도로명(b) 및; 도로명이 부여된 도로마다 기점부터 종점까지 중앙선을 20미터 간격으로 일정하게 나누어 왼쪽 도로에는 홀수, 오른쪽 도로에는 짝수의 기초번호를 부여하고, 그 기초번호에 10을 곱하면 해당 도로 구간의 기점에서 해당 위치까지 구간거리를 알 수 있도록 정부가 도로명이 부여된 모든 도로 구간의 기/종점 위치와 교차로마다 도로명판에 표기한 해당도로의 도로명과 기초번호;로 도로명 노선표를 구성하되
도로명 주소체계에 따라 남→북 및 서→동 방향으로 노선이 중첩되어 선형으로 연결된 노선도로명의 순번으로 해당 노선도로명(b)들을 도로번호와 함께 순번에 따라 순차 표기하고, 그 우측에는 해당 도로 종점 위치에 표기된 기초번호를 종점 표시와 함께 표기한 노선도로명표시부와; 노선도로명(b) 도로위에 위치한 교차로명(h)이 차례로 계층 표기되는 교차로명표시부와; 노선도로명 도로에서 분기되는 분기도로명과 그 분기도로명의 기점과 종점이 구분되어 표기되는 좌,우측 분기도로명표시부; 노선도로명(b) 도로와 분기도로명(d) 도로가 만나는 지점의 도로명판 기초번호를 표기하는 교차로구간 기초번호표시부; 로 도로명 노선표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여백부위 일측에 "X, Y"축으로 도로번호와, 순번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간별 노선도로명들이 표시된 낱장의 노선지도에 의해 찾아가고자 하는 도로명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상세한 지도 도면이 없더라도 본 발명의 도로명 색인부에서 해당 색인어를 찾기만 하면 함께 표시된 "도로번호 + 구간번호 + 기초번호"에 의해 해당 도로 및 해당 건물의 위치를 한눈에 파악하여 사용자의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접근 경로를 신속 간편하게 사전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해당노선의 기점에서 종점까지 좌우로 분기된 모든 도로의 연결구조와 분기점 위치 파악이 신속하며, 목적지 도로의 위치는 물론 거리까지 정확히 예측하여 정확하게 찾아갈 수 있으므로 자세한 지도 도면이나 차량용 네비게이션이 없이 찾아가는 초행길이라 하더라도 안전 운행에 상당한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동안 식별이 어렵고 홍보가 잘 안 되어 무관심으로 일관하는 국민들에게 새로운 도로명주소의 우수성과 편리성을 널리 알릴 수 있으므로 도로명 주소의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해 매우 유용한 것이며, 각종 우편물과 택배물을 배송 운반하는 사람들에게도 매우 필요하고 유용한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도로명 노선도를 전국의 수많은 행정 구역 중 서울시 지역에 일례로 적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 는 서울 지역에서 도로번호 "51" 시도노선의 노선도로명을 표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도로명 색인부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도로명 노선표를 도로번호 “51”에 적용한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이 적용된 도로명 노선표 중 도로번호 "51"의 세번째 구간도로인 "종암로" 만을 발췌하여 도로지도와 함께 비교 도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도로명 노선지도를 이용한 도로명 색인부를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 구성 및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노선도를 전국의 수많은 행정 구역 중 서울시 지역에 일례로 적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도로명 노선도는, 해당지역(일례: 서울시)의 시도노선(a-1) 및 국도노선(a-2)과 노선이 중첩되는 간선도로는 1차 도로로, 계층으로 분기되거나 교차되는 간선도로는 2차 도로로 위계를 정하여 형성한다.
즉, 해당지역을 통과하는 시도노선(a-1)인 남→북의 종단방향 도로표지판에는 통상 홀수 도로번호(21, 31, 41, 51, 71), 서→동의 횡단방향 도로표지판에는 짝수 도로번호(20, 50, 60, 90, 92)가, 국도노선(a-2)의 도로표지판에는 도로번호(1,3,6,47)가 각각의 노선별 도로번호로 부여되어 있으며, 그 외에 자동차전용 도로번호(30, 61, 70, 88)가 표기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도로번호(a)는 상기 각 도로표지판에 부여된 도로번호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도로명 노선도는, 해당 지역별로 남→북의 종단방향 및 서→동의 횡단방향으로 연결된 시도노선(a-1) 및 국도노선(a-2)의 위치와 방향을 안내하는 도로 표지판에 표기된 다수의 도로번호(a)와;
도로명 주소체계에 따라 정부가 남→북 및 서→동 방향으로 연결된 도로의 구간을 나누어 기점과 종점을 정하여 도로명을 부여한 다수의 도로 중, 상기 시도노선(a-1) 및 국도노선(a-2)과 도로노선이 중첩된 다수의 노선도로명(b); 을 도로명 주소체계에 따라 남→북 및 서→동 방향으로 연결된 순번으로 도로번호가 표기된 해당 지역의 노선지도(M)위에 상기 노선도로명(b)의 구간이 구분되게 해당 노선위에 표기하고, 상기 노선지도(M)의 일측 여백 부위에는 상기 도로번호(a)와 상기 노선도로명(b)을 "X, Y"축으로 하여 연결된 순번에 따라 순차 기재된 것이다.
일례로, 도 2 는 서울 지역에서 도로번호 "51" 시도노선의 구간별 노선도로명을 표시한 도면으로서, 서울 지역에 속한 도로번호 중 일례로 도로번호 "51"의 시도노선(a-1)에는 남쪽에서 북쪽을 향해 모두 4개의 구간별 노선도로명(b)(언주로, 고산자로, 종암로, 도봉로)이 있으므로 이들에 구간번호(①,②,③,④)를 순차적으로 부여하면 "51-① 언주로", "51-② 고산자로", "51-③ 종암로", "51-④ 도봉로" 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X, Y"축으로 기재되는 구간별 노선도로명(b)의 일측에 구간기점(c)을 표시하면 도로번호별로 구간별 노선도로의 기점위치를 한눈에 보아 알 수 있다.
시도노선과 국도노선의 시작되는 기점과 끝나는 종점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즉, 남→북 종단하는 홀수번호 노선은 남쪽이 기점이고 북쪽이 종점이며, 서→동 횡단하는 짝수번호 노선은 서쪽이 기점이고 동쪽이 종점이다.
특히, 각 구간별 노선도로명(b)에서 계층으로 분기되는 분기도로명(d)들이 몇 개이고, 어떠한 도로명들이 분기되는지를 상세한 지도 도면을 보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도로명 노선도만으로 사전에 미리 파악할 수 있으므로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고 정확하게 찾아갈 수 있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도로명 주소체계에 의한 노선지도를 이용한 도로명 노선도는 드넓은 서울시 지역을 일례로 표시하더라도 서울시 전역을 통과하는 여러 시도노선(a-1) 및 국도노선(a-2)의 각 도로번호(a) 및 이들에 속한 구간별 노선도로명(b) 들이 모두 한 장의 노선지도(M)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처럼 상세한 지도 도면이나 또는 차량용 네이게이션이 없더라도 노선지도(M) 일측의 여백부위에 "X, Y"축으로 기재된 도로번호(a) 및 도로명 주소체계에 따라 남→북 및 서→동 방향으로 순번에 따라 순차 기재된 구간별 노선도로명(b)들에 의해 찾아가고자 하는 1차도로 또는 분기 되는 2차도로의 도로명 도로가 어느 도로번호의 몇 번째 구간에 있는 지를 미리 한눈에 파악하여 예측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 정확하게 그 위치를 찾아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도로번호의 구간별 노선도로명(b) 도로에는 좌,우로 분기되거나 교차되는 여러 분기도로명들이 있다.
즉, 도 4 는 본 발명의 도로명 노선표를 도로번호 51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번호 "51"의 구간도로에는 4개의 구간도로(언주로,고산자로,종암로,도봉로)가 속해 있으며, 이를 일례로 들면 다음과 같다.
"51-① 언주로"를 기점으로 한 구간도로에는 "양재대로, 개포로, 양재천로, 남부순환로, 도곡로, ……… 도산대로, 압구정로"의 1차 분기도로명(d)들이 있고,
"51-② 고산자로"를 기점으로 한 구간도로에는 "뚝섬로, 광나루로, 독서당로……… 약령시로, 제기로"의 1차 분기도로명(d)들이 있으며,
"51-③ 종암로"를 기점으로 한 구간도로에는 "안암로, 회기로, 북악산로, 월곡로, 정릉로, 화랑로"의 1차 분기도로명(d)들이 있고,
"51-④ 도봉로"를 기점으로 한 구간도로에는 "동소문로, 숭인로, 오현로, 솔샘로 ……… 도봉산길, 마들로"의 1차 분기도로명(d)들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도 3 은 본 발명의 도로명 주소체계에 의한 도로번호를 이용한 도로명 색인부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서, 남북 종단방향의 도로번호(51번)에 속한 구간별 노선도로명(b)과 그 노선도로명 도로에서 교차되거나 1차 분기되는 도로명들을 가,나,다 순으로 기획 편집한 것이다.
이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도로명 색인부는, 상기한 도로명 주소체계의 도로표지판에 표기된 도로번호 및 그 도로번호의 구간별로 순차 기재된 노선도로명을 색인어로 사용한 것이다.
즉, 해당 지역별로 남→북의 종단방향 및 서→동의 횡단방향으로 연결된 시도노선(a-1) 및 국도노선(a-2)의 위치와 방향을 안내하는 도로 표지판에 표기된 다수의 도로번호(a)와,
도로명 주소체계에 따라 정부가 남→북 및 서→동 방향으로 연결된 도로의 구간을 나누어 기점과 종점을 정하여 도로명을 부여한 다수의 도로 중, 상기 시도노선(a-1) 및 국도노선(a-2)과 도로노선이 중첩된 다수의 노선도로명(b) 및;
도로명이 부여된 도로마다 기점부터 종점까지 중앙선을 20미터 간격으로 일정하게 나누어 왼쪽 도로에는 홀수, 오른쪽 도로에는 짝수의 기초번호를 부여하고, 그 기초번호에 10을 곱하면 해당 도로 구간의 기점에서 해당 위치까지 구간거리를 알 수 있도록 도로명이 부여된 모든 도로 구간의 기점 및 종점 위치와 교차로마다 도로명판에 표기된 해당도로의 도로명과 기초번호;로 도로명 색인부를 구성하되
상기 도로번호가 부여된 시도노선(a-1) 및 국도노선(a-2)과 도로노선이 중첩된 노선도로명(b) 도로를 중심으로 좌우로 교차 또는 분기된 분기도로명(d)들이 가,나,다 순으로 표기되는 색인용 도로명표시부(가)와;
상기 도로명표시부(가)의 우측에 구비되며, 노선도로명(b) 도로에서 분기된 분기도로명(d) 도로의 구간이 시작되는 지점과 분기도로명(d) 도로의 구간이 끝나는 지점의 도로명판에 표기된 해당 분기도로명(d) 도로의 기초번호(e)(f)가 표기되는 분기구간표시부(나-1,나-2) 및;
도로명표시부(가)의 좌측에 구비되며, 노선도로명(b) 도로에서 분기된 분기도로명(d) 도로의 구간이 시작되는 지점의 도로명판에 표기된 노선도로명의 기초번호(g)와 그 노선도로명(b) 도로가 속한 노선의 도로번호(a)가 표기되고, 도로명 주소체계에 따라 남→북 및 서→동 방향으로 연결된 노선도로명(b)이 순번에 따라 기재되는 노선색인부(다); 로 이루어진 도로명 색인부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로명표시부(가)에 기재되는 1차 분기도로명(d) 도로가 구간별 노선도로명(b) 도로에서 처음 분기되는 기점도로일 때, 좌측으로 분기되는 경우는 좌측 분기구간표시부(나-1)에 기초번호(f)를 표기하고 필요시 좌측방향의 종점(k)을 덧붙여 표기하며, 우측으로 분기되는 경우는 우측 분기구간표시부(나-2)에 기초번호(e)를 표기하고 필요시 우측방향의 종점(k)을 덧붙여 표기하면 된다.
여기서 "종점(k)"은 좌,우측 분기구간표시부(나-1)(나-2)에서 일례로 표시한 바와 같이 좌측을 가리키는 "◀"과, 우측을 가리키는 "▶"로 구분하여 표시하였으며, 노선도로명(b) 도로에서 분기된 분기도로명(d) 도로의 구간이 시작되는 지점과 분기도로명(d) 도로의 구간이 끝나는 지점의 도로명판에 표기된 해당 분기도로명(d) 도로의 기초번호(e)(f)가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도로명 색인부를 서울시 지역에 속한 도로번호 "51"의 시도노선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로번호 "51"의 시도노선(a-1)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첩된 노선도로명(b)들이 구간별 순번에 따라 순차 기재되어 "51-① 언주로", "51-② 고산자로", "51-③ 종암로", "51-④ 도봉로"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들 구간별의 노선도로명(b)들에는 도 4 에서와 같이 교차되거나 좌,우 분기되는 1차 분기도로명(d)들이 많이 있음은 이미 언급한바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명 색인부에 구비된 도로명표시부(가)에는 시도노선(a-1) 및 국도노선(a-2)의 각 도로번호(a)에 속한 구간별 노선도로명(b)(언주로, 고산자로, 종암로, 도봉로)에서 분기되는 모든 1차 분기도로명(d)들은 "가,나,다"순으로 모두 기재된다.
여기서, 일례로 "숭인로"를 찾아가고자 할 때 이러한 본 발명의 도로명 색인부에 "가,나,다"순으로 기재되어 있는 도로명표시부(가)에 기재된 도로명 중 "숭인로"를 찾으면 된다.(도 3 의 맨 하단에 위치)
그러면, "숭인로" 일측의 노선색인부(다)에는 도로번호 “51-④”와, 노선도로명(b) "도봉로"가 있고, 노선도로명(b) 도로에서 분기된 분기도로명(d) 도로의 구간이 시작되는 지점의 도로명판에 1/10로 축척되어 표기된 노선도로명의 기초번호(g)가 “35”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므로 "숭인로"는 도로번호 "51"의 ④번째 구간도로인 "도봉로"에서 분기되는 도로임을 확인할 수 있고, 기초번호(g)인 숫자 "35"는 홀수이므로 "좌측"으로 1차 분기되는 도로임을 알 수 있다(반대로 짝수일 경우는 "우측"으로 분기되는 도로임).
또한, 기초번호(g)인 숫자 "35"는 1/10로 축척된 구간거리를 뜻하므로 구간별 노선도로명(b)인 도봉로의 기점에서 350m 더 진행한 교차분기점의 1차 분기도로명(d)에서 좌측(왼쪽)으로 분기되는 2차도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초번호로 표시된 숫자는 축척 하지 않고 실제 거리를 그대로 표기할 수도 있으나, 홀수와 짝수 구분을 위해 1/10로 축척하여 표시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우측의 분기구간표시부(나-2)에 기초번호 “1”이 표시되고, 좌측의 분기구간표시부(나-1)에는 “◀76”으로 방향과 구간거리를 표시하는 종점(k)의 표시(◀)와 기초번호 “76”이 함께 표시되어 있으므로("76"은 구간거리 760m를 1/10로 축척된 숫자이므로) 이에 의해 숭인로는 도봉로의 교차분기점에서 시작되어 좌측으로 분기되는 2차도로이고, 그 구간거리는 760m 임이 쉽게 확인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분기되는 "숭인로"의 교차분기점에서는 "건물번호 부여 원칙"에 따라 좌측에는 홀수의 건물번호가 부여되고, 우측에는 짝수의 건물번호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누구라도 신속 간편하게 찾아가고자 하는 건물을 쉽게 찾을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마장로"를 찾아가기 위해 도 3 의 도로명표시부(가)에서 "마장로"를 찾은 후 그 옆의 노선색인부(다)를 보면 도로번호(51-②)와 노선도로명(고산자로) 및 분기점인 기초번호(g)가 "296"으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도로번호 “51”의 두번째 노선도로명(b)인 "고산자로"(1차도로)가 확인되고, 1/10로 축척된 거리를 뜻하는 기초번호(g)는 "296"으로 짝수이므로 고산자로 기점에서 2,960m 진행하면 나오는 교차분기점에서 "우측"으로 1차 분기되는 도로임이 확인되는 것이다.
그리고, 우측 분기구간표시부(나-2)에는 “362▶”로 기초번호(e)인 숫자“362”와 우측을 가리키는 종점(k)의 표시 “▶”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마장로는 고산자로에서 우측으로 분기되는 도로로서 총 구간거리는 "3,620m"임이 확인된다.
또한, 좌측 분기구간표시부(나-1)에는 기점과 종점 표시 없이 기초번호(f)인 숫자 "243"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1차 분기도로명(d)의 도로는 좌측의 다른 구간별 노선도로명(b)에서 분기된 후 교차되는 도로임을 확인되며, 그 교차분기점 위치는 2,430m 지점이므로 이를 총 구간거리(3,620m)에서 빼면 교차분기점에서 "▶" 표시에 의해 우측 종점(k)까지 뻗은 마장로의 남은 구간거리는 1,190m 임이 확인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도로명 노선표가 도로번호(51)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도로명 노선표는 상기의 도로명 주소체계의 도로번호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도로명 노선표는 해당 지역별로 남→북의 종단방향 및 서→동의 횡단방향으로 연결된 시도노선(a-1) 및 국도노선(a-2)의 위치와 방향을 안내하는 도로 표지판에 표기된 다수의 도로번호(a)와, 도로명 주소체계에 따라 정부가 남→북 및 서→동 방향으로 연결된 도로의 구간을 나누어 기점과 종점을 정하여 도로명을 부여한 다수의 도로 중, 상기 시도노선(a-1) 및 국도노선(a-2)과 도로노선이 중첩된 다수의 노선도로명(b) 및; 도로명이 부여된 도로마다 기점부터 종점까지 중앙선을 20미터 간격으로 일정하게 나누어 왼쪽 도로에는 홀수, 오른쪽 도로에는 짝수의 기초번호를 부여하고, 그 기초번호에 10을 곱하면 해당 도로 구간의 기점에서 해당 위치까지 구간거리를 알 수 있도록 정부가 도로명이 부여된 모든 도로 구간의 기/종점 위치와 교차로마다 도로명판에 표기한 해당도로의 도로명과 기초번호;로 도로명 노선표를 구성하되,
도로명 주소체계에 따라 남→북 및 서→동 방향으로 중첩되어 연결된 노선도로명(b)의 순번으로 해당 노선도로명(b)들을 도로번호와 함께 순번에 따라 순차 표기하고, 그 우측에는 해당 도로 종점 위치에 표기된 기초번호(e)를 종점 표시와 함께 표기한 노선도로명표시부(라)와; 노선도로명(b) 도로위에 위치한 교차로명(h)이 차례로 계층 표기되는 교차로명표시부(마)와; 상기 교차로명표시부(마)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구비되며, 노선도로명(b) 도로에서 분기되는 분기도로명(d)과 그 분기도로명(d)의 기점과 종점이 구분되어 표기되는 좌,우측 분기도로명표시부(바-1,바-2);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교차로명표시부(마)와 좌,우측 분기도로명표시부(바-1,바-2)의 사이에는 노선도로명(b) 도로와 분기도로명(d) 도로가 만나는 지점에 해당 노선도로명(b)이 표기된 도로명판의 기초번호를 표기하는 교차로구간 기초번호표시부(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기도로명표시부(바-1,바-2)에는 노선도로명(b) 도로에서 분기된, 분기도로명(d) 도로의 구간이 시작되는 지점과 분기도로명(d) 도로의 구간이 끝나는 지점의 교차로에 해당 분기도로명(d)이 표기된 도로명판의 기초번호(e)(f)가 표기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도로명 노선표를 이용하여 찾아가고자 하는 도로명의 위치와 거리 등을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례로 도시한 도 4 에서 노란색 바탕에 표시된 구간별 노선도로명(b) 중 "언주로"가 표시된 노선도로명표시부(라)에는 “51-① 언주로”와 “920▶"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남쪽에서 북쪽을 향한 도로번호 "51"의 첫번째 구간도로이고, "▶" 표시는 종점(k)을 나타내며, 그 옆 숫자 "920"은 언주로 기점에서 종점까지의 구간거리를 1/10로 축척하여 표시한 기초번호(g)이므로 언주로의 구간거리는 총 9,200m 임이 확인된다.
또한 "고산자로"가 표시된 노선도로명표시부(라)에는 "51-② 고산자로"와 “572▶"가 표시되었으므로 이는 도로번호 "51"의 두번째 구간도로로 기점에서 종점까지의 구간거리는 5,720m 이고,
그 다음 “51-③ 종암로”와“214▶”는 도로번호 "51"의 세번째 구간도로로서 구간거리는 2,140m 이며,
그 다음 “51-④ 도봉로”와 “984▶”는 도로번호 "51"의 네번째 구간도로로서 구간거리는 9,840m임이 한눈에 확인된다.
도 4 에 도시된 상기의 구간도로 중에서, 도로번호 "51"의 세번째 노선도로명(b)인 “51-③ 종암로”와 “214▶”를 일례로 보면 51-② 고산자로 통과시 진행 방향을 따라 아래의 분기도로 사항을 한눈에 알 수 있다.
즉, 종암로 일측에 기재된 종점(k)의 “▶”표시와 숫자 "214"에 의해 그 종암로의 총 구간거리가 2,140m 임이 확인된다.
그리고, 그 종암로 기점의 교차로명표시부(마)에 "고려대역(6번출구)"의 교차로명(h)이 기재되어 있으면서 그 좌측의 교차로구간 기초번호표시부(사)에 기점(j)인 "◎"이 표시되고, 좌측 분기도로명표시부(바-1)에 "[1-170]▶안암로"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종암로 기점(고려대역 6번출구)에서 좌측으로 구간거리 1,700m인 안암로가 분기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그리고, 그 "고려대역(6번출구)" 위에 기재된 "고려대역(3번출구)" 교차로명(h) 우측의 교차로구간 기초번호표시부(사) 및 우측 분기도로명표시부(바-2)에는 분기점까지의 거리를 뜻하는 기초번호(g)인 짝수 "8" 및 "회기로[1-202]▶"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이는 종암로 기점에서 80m 전방에 고려대역(3번출구)의 교차로명(h)이 있고, 그 교차로명(h)에서 우측 방향으로 구간거리 2,020m인 회기로가 분기되고 있음이 쉽게 확인된다.
또한 우측 분기도로명표시부(바-2)에서 상기 "회기로[1-202]▶"가 기재된 곳 위에는 "→[141]경희대로[1-26]▶"의 기재사항에 의해 회기로를 따라 1,410m 진행한 지점에서 좌측으로 종점까지 구간거리가 260m인 경희대로가 2차 분기도로명으로 기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종암로 우측 80m 지점에서 분기된 회기로 기점에서 1,410m 진행하면 좌측으로 경희대로가 분기되는 것임을 한눈에 보아 알 수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좌,우측 분기도로명표시부(바-1)(바-2)에는 1차 분기도로명 도로에서 또 분기되는 2차 분기도로명들이 표시될 수 있으므로 1차 분기도로명 뿐만 아니라 2차 분기도로명까지 단번에 사전 파악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그 위쪽 "개운산입구교차로"의 교차로명(h) 좌측의 교차로구간 기초번호표시부(사) 및 분기도로명표시부(바-1)에는 홀수 "23"의 기초번호(g) 및 "[1-1064]▶북악산로"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이는 종암로 기점에서 230m 전방에 "개운산입구교차로"의 교차로명(h)이 있고, 그 교차로명(h)에서 좌측 방향으로 구간거리 10,640m인 북악산로가 분기되고 있음이 쉽게 확인된다.
그리고 "종암사거리"의 교차로명(h) 좌측의 교차로구간 기초번호표시부(사)에는 홀수의 기초번호(g)인 “149”가, 분기도로명표시부(바-1)에는“[1←460]▶정릉로”이 표시되어 있고, 우측의 교차로구간 기초번호표시부(사) 및 분기도로명표시부(바-2)에는 짝수의 기초번호(g) “150”과 “화랑로[1→850]▶”이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는 이는 종암로 기점에서 1,490m 전방에 "종암사거리"의 교차로명(h)이 있으면서 그 종암사거리에서 좌측으로는 구간거리 4,600m인 정릉로가 분기되고, 종암사거리 우측으로는 구간거리 8,500m인 화랑로가 분기되는 것임을 한눈에 보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일례로 상기 구간별 노선도로명(b)에서 계층으로 분기되는 여러 1차 분기도로명(d) 중 "숭인로"를 찾아가거나 그 위치를 사전에 파악하고자 할 때는 구간별 노선도로명(b) 및 1차 분기도로명(d)을 포함하여 모든 도로명들이 나열된 본 발명의 도로명 색인부에서 "숭인로"를 찾는다.
그러면 숭인로 일측에 도로번호(a)인 “51-④”와 노선도로명(b)인 “도봉로”가 색인되므로 “51번 도로”의 네번째 노선도로 임이 확인되며, 숫자 "35"는 홀수로 좌측을 뜻하는 기초번호(g)이므로 도 4 의 도로명 노선표에 표시된 "51-④"의 도봉로에서 계층으로 분기된 교차로명(h) 중 숫자 "35"가 표시된 곳의 좌측 분기도로명표시부(바-1)에는 "[1←76]▶숭인로" 라고 기재되어 있으므로 그 숭인로는 미아역(4번출구)에서 좌측으로 분기된 도로임이 확인되는 것이며, 기초번호(e)인 숫자 '76"에 의해 "숭인로"의 총 구간거리는 "760m"임이 한눈에 확인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명 노선표의 구간별 노선도로명(b)에 포함된 교차로명(h)과 각 교차로명(h)에서 분기되는 1차 분기도로명(d)의 상태를 일례로 보인 상기 도로번호 "51"의 구간도로 중 세번째 구간인 "종암로" 만을 발췌하여 도로지도와 함께 도시한 도 5 에 의해 살펴보면 본 발명의 도로명 노선표는 도 4 의 노선표 자체만을 보고서도 도 5 의 도로지도에 표시된 도로별 교차로명(h)과 1차 분기도로명(d) 및 분기되는 도로의 방향을 지도 없이도 정확히 알 수 있으며, 특히 각 교차로명과 분기도로의 구간거리를 상세한 도로지도 없이도 쉽게 확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구간별 노선도로명(b)의 진행방향을 따라, 또는 그 구간도로에서 분기되는 1차 분기도로명(d) 의 도로가 어느 쪽을 향하여 분기되는 도로인 가를 쉽게 알 수 있음에 따라 그 도로 양쪽에 마주보고 있는 건물들 중 어느 쪽이 홀수 번지의 건물이고 어느 쪽이 짝수 번지의 건물인가를 신속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도로명 노선지도를 이용한 도로명 색인부를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도로명 색인부를 구성할 때 상기 색인용 도로명표시부(가)와 분기구간표시부(나-1,나-2)및 노선색인부(다) 외에 노선도로명(b) 도로위에 위치한 교차로명(h)이 차례로 계층 표기되는 교차로명표시부(마)와; 1차 분기도로명(d) 도로에서 분기된 2차 분기도로명(d) 도로의 구간이 시작되는 지점의 도로명판에 표기된 1차 분기도로명(d)과 기초번호를 함께 표기하는 분기점B 표시부(아);를 더 포함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도 5 의 도로명 색인부에서 찾아가고자 하는 도로명을 색인하여 찾아보면 그 도로명이 어느 구간별 노선도로명(b)의 어느 교차로명(h)에서 1차 분기되는 도로인지, 또 그 색인된 도로에서 또 분기되는 2차 분기도로명이 있는 지의 여부를 색인부 만으로 자세하게 알 수 있어 바람직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명 색인부의 도로명 색인어 중에서 찾아가고자 하는 도로명을 색인하여 찾기만 하면 그 색인어와 함께 표시된 "도로번호 + 노선도로명 + 기초번호"에 의해 해당 도로 및 해당 건물의 위치를 한눈에 파악하여 사용자의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접근 경로를 신속 간편하게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도로표지판에 표기된 안내정보를 보고 해당지역의 노선도로망을 따라 해당노선에 진입하면 도로명 노선표 및 도로명 색인부에서 해당노선의 기점에서 종점까지 좌우로 분기된 모든 도로의 연결구조와 분기점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으며, 도로변 건축물의 주 출입구에 부착된 건물번호의 위치정보를 사용자 자신의 현 위치를 실시간 인지하면서 목적지 도로의 위치는 물론 거리까지 정확히 예측하여 찾아갈 수 있으므로 낯선 지역을 처음 찾아간다고 하더라도 초행길 운전자의 안전운전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위치 예측성을 높이고자 하는 도로명 주소의 주소 부여 원칙과 건물번호 부여 원칙에 따른 본래 기능을 완벽하게 접목시킨 것으로서, 지번체계에 익숙한 국민들에게 새로운 도로명주소의 우수성과 편리성을 널리 알릴 수 있으므로 국민들의 무관심과 홍보부족으로 부진한 도로명 주소의 정착 및 활성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M : 노선지도 a : 도로번호
a-1 : 시도노선 a-2 : 국도노선
b : 노선도로명 c : 구간기점
d : 분기도로명 e : 기초번호
f : 기초번호 g : 기초번호
h : 교차로명
j : 기점 k : 종점
가 : 도로명표시부 나-1,나-2: 좌,우 분기구간표시부
다 : 노선색인부 라 : 노선도로명표시부
마 : 교차로명표시부 바-1,바-2: 좌,우 분기도로명표시부
사 : 교차로구간 기초번호표시부 아 : 분기점B 표시부

Claims (6)

  1. 삭제
  2. 해당 지역별로 남→북의 종단방향 및 서→동의 횡단방향으로 연결된 시도노선(a-1) 및 국도노선(a-2)의 위치와 방향을 안내하는 도로 표지판에 표기된 다수의 도로번호(a)와,
    도로명 주소체계에 따라 정부가 남→북 및 서→동 방향으로 연결된 도로의 구간을 나누어 기점과 종점을 정하여 도로명을 부여한 다수의 도로 중, 상기 시도노선(a-1) 및 국도노선(a-2)과 도로노선이 중첩된 다수의 노선도로명(b) 및;
    도로명이 부여된 도로마다 기점부터 종점까지 중앙선을 20미터 간격으로 일정하게 나누어 왼쪽 도로에는 홀수, 오른쪽 도로에는 짝수의 기초번호를 부여하고, 그 기초번호에 10을 곱하면 해당 도로 구간의 기점에서 해당 위치까지 구간거리를 알 수 있도록 도로명이 부여된 모든 도로 구간의 기/종점 위치와 교차로마다 도로명판에 표기된 해당도로의 도로명과 기초번호;로 도로명 색인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도로번호가 부여된 시도노선(a-1) 및 국도노선(a-2)과 도로노선이 중첩된 노선도로명(b) 도로를 중심으로 좌우로 교차 또는 분기된 분기도로명(d)들이 가,나,다 순으로 표기되는 색인용 도로명표시부(가);
    상기 도로명표시부(가)의 우측에 구비되며, 노선도로명(b) 도로에서 분기된 분기도로명(d) 도로의 구간이 시작되는 지점과 분기도로명(d) 도로의 구간이 끝나는 지점의 도로명판에 표기된 해당 분기도로명(d) 도로의 기초번호가 표기되는 분기구간표시부(나-1,나-2);
    도로명표시부(가)의 좌측에 구비되며, 노선도로명(b) 도로에서 분기된 분기도로명(d) 도로의 구간이 시작되는 지점의 도로명판에 표기된 노선도로명의 기초번호와 그 노선도로명(b) 도로가 속한 노선의 도로번호가 표기되고, 도로명 주소체계에 따라 남→북 및 서→동 방향으로 연결된 노선도로명(b)이 순번에 따라 기재되는 노선색인부(다);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명 주소체계의 도로번호를 이용한 도로명 색인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색인용 도로명표시부(가)와 분기구간표시부(나-1,나-2)및 노선색인부(다)에,
    노선도로명(b) 도로위에 위치한 교차로명(h)이 차례로 계층 표기되는 교차로명표시부(마)와;
    1차 분기도로명(d) 도로에서 분기된 2차 분기도로명(d) 도로의 구간이 시작되는 지점의 도로명판에 표기된 1차 분기도로명(d)과 기초번호를 함께 표기하는 분기점B 표시부(아);
    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명 주소체계의 도로번호를 이용한 도로명 색인부.
  4. 해당 지역별로 남→북의 종단방향 및 서→동의 횡단방향으로 연결된 시도노선(a-1) 및 국도노선(a-2)의 위치와 방향을 안내하는 도로 표지판에 표기된 다수의 도로번호(a)와,
    도로명 주소체계에 따라 정부가 남→북 및 서→동 방향으로 연결된 도로의 구간을 나누어 기점과 종점을 정하여 도로명을 부여한 다수의 도로 중, 상기 시도노선(a-1) 및 국도노선(a-2)과 도로노선이 중첩된 다수의 노선도로명(b) 및;
    도로명이 부여된 도로마다 기점부터 종점까지 중앙선을 20미터 간격으로 일정하게 나누어 왼쪽 도로에는 홀수, 오른쪽 도로에는 짝수의 기초번호를 부여하고, 그 기초번호에 10을 곱하면 해당 도로 구간의 기점에서 해당 위치까지 구간거리를 알 수 있도록 정부가 도로명이 부여된 모든 도로 구간의 기/종점 위치와 교차로마다 도로명판에 표기한 해당도로의 도로명과 기초번호; 를 이용하여 도로명 노선표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로명 주소체계에 따라 남→북 및 서→동 방향으로 노선이 중첩되어 선형으로 연결된 노선도로명(b)의 순번으로 해당 노선도로명(b)들을 도로번호와 함께 순번에 따라 순차 표기하고, 그 우측에는 해당 도로 종점 위치에 표기된 기초번호를 종점 표시와 함께 표기한 노선도로명표시부(라)와;
    노선도로명(b) 도로위에 위치한 교차로명(h)이 차례로 계층 표기되는 교차로명표시부(마)와;
    상기 교차로명표시부(마)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구비되며, 노선도로명(b) 도로에서 분기되는 분기도로명(d)과 그 분기도로명(d)의 기점과 종점이 구분되어 표기되는 좌,우측 분기도로명표시부(바-1,바-2);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명 주소체계의 도로번호를 이용한 도로명 노선표.
  5. 제 4 항에 있어서,
    교차로명표시부(마)와 좌,우측 분기도로명표시부(바-1,바-2)의 사이에는,
    노선도로명(b) 도로와 분기도로명(d) 도로가 만나는 지점에 해당 노선도로명(b)이 표기된 도로명판의 기초번호를 표기하는 교차로구간 기초번호표시부(사);
    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명 주소체계의 도로번호를 이용한 도로명 노선표.
  6. 제 4 항에 있어서,
    분기도로명표시부(바-1,바-2)에는
    노선도로명(b) 도로에서 분기된, 분기도로명(d) 도로의 구간이 시작되는 지점과 분기도로명(d) 도로의 구간이 끝나는 지점의 교차로에 해당 분기도로명(d)이 표기된 도로명판의 기초번호가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명 주소체계의 도로번호를 이용한 도로명 노선표.
KR1020150048198A 2014-07-28 2015-04-06 도로명 주소체계의 도로번호를 이용한 도로명 색인부 및 도로명 노선표 KR101798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025 2014-07-28
KR20140096025 2014-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796A KR20160013796A (ko) 2016-02-05
KR101798852B1 true KR101798852B1 (ko) 2017-11-17

Family

ID=5535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198A KR101798852B1 (ko) 2014-07-28 2015-04-06 도로명 주소체계의 도로번호를 이용한 도로명 색인부 및 도로명 노선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8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7367B (zh) * 2016-05-26 2020-06-26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一种标注选择方法及装置
CN110069579B (zh) * 2017-08-30 2021-02-26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电子围栏分块方法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5649A1 (en) 2006-02-08 2007-08-09 Tele Atlas North America, Inc. Map database having address points for determining destin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5649A1 (en) 2006-02-08 2007-08-09 Tele Atlas North America, Inc. Map database having address points for determining destin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796A (ko) 2016-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0060B2 (en) Method of operating a navigation system to provide route guidance
US8442767B2 (en) Method of operating a navigation system to provide route guidance
CN107806880B (zh) 一种在地图中沿道路标记位置的系统及其方法
CN102607578B (zh) 用于制作局部区域的导航地图的方法及装置
US200300741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available driving lane recommendations
CN102047301B (zh) 用于提供车道信息的方法及用于执行该方法的设备
WO2018161771A1 (zh) 一种编码标签、导航方法和地图
JP2007226688A (ja) 位置検索装置及び位置検索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3206956A (zh) 导航方法和导航装置
US8301641B2 (en) Method of collecting information for a geographic database for use with a navigation system
CN103884350A (zh) 可变车道指示提醒的导航方法
KR101798852B1 (ko) 도로명 주소체계의 도로번호를 이용한 도로명 색인부 및 도로명 노선표
CN101169330B (zh) 利用单一分歧图片的车载导航装置
CN101517372B (zh) 用于显示行程路线的显示装置
CN102955783A (zh) 地图数据检索道路的方法及装置,车载系统
CN100507153C (zh) 公共路面上用于标识位置的路标系统
KR20190104954A (ko) 도획구역과 소획구역 설정에 의한 제3의 주소모형
CN102235868A (zh) 操作导航系统以提供路线指引的方法
WO2007028333A1 (fr) Systeme de description d'emplacement d'adresse et de guidage et sa methode
KR20200117806A (ko) 기본구역, 도로구역, 소획구역 설정에 의한 주소 모형
KR10069561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도로 표지 정보 제공 방법 및시스템
Burke et al. Identifying Sensible Locations for Separated Bike Lanes on a Congested Urban Road Network: Case Study in Toronto, Canada
CN103522963B (zh) 车载终端空间迷宫式模块
Hei et al. Proposition on the Redesigning Outdoor Guidance Systems on Campus: A Case Study of Southwest Minzu University Aeroport Campus in Southwest China
EP1017035A1 (en) Representation system for road ma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