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954A - 도획구역과 소획구역 설정에 의한 제3의 주소모형 - Google Patents

도획구역과 소획구역 설정에 의한 제3의 주소모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954A
KR20190104954A KR1020190103908A KR20190103908A KR20190104954A KR 20190104954 A KR20190104954 A KR 20190104954A KR 1020190103908 A KR1020190103908 A KR 1020190103908A KR 20190103908 A KR20190103908 A KR 20190103908A KR 20190104954 A KR20190104954 A KR 20190104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road
model
area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관수
Original Assignee
박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관수 filed Critical 박관수
Priority to KR102019010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4954A/ko
Publication of KR2019010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위치에 의거 번지부여 작업은 고도기술 필요하고 비용의 많이 들고 고단위 번지번호 배열 등 복잡성으로 인해 상용화되지 못하였다. 이를 해결하여 간단한 번지로 표시하여 활용 방안을 찾는 것이 오랜 난제였다. 순차적 번호 방식이 점의 형식이라면, 도로명은 선의 형식이라 할 수 있고, 본 발명은 면의 형식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처럼 약 80m 거리로 소획구역을 나눈 체계화된 모형은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모형으로 주소체계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천이나 도로 교차로를 기준으로 국가마다 다르나 우리 나라는 0.8km내외(0.5-1.3km 범위)의 가로세로를 이른바 기본구역으로 정한다. 기본구역은 모형의 기본이 되는 곳을 가로세로 10등분하여 100개 이내의 소획구역으로 분리하도록 하여, 기본구역-소획구역-번지체계의 모형을 갖춘다. 소획구역별로 각기 토지건물에 번지를 부여한다.
본 발명은 도로나 하천도 도획구역, 소획구역, 번지 등의 배치가 가능하고, 일반번지나 산번지 외에 도로번지와 하천번지를 창설하여, 도로와 하천 및 호수도 정확한 지점 표기가 가능토록 하였다.

Description

도획구역과 소획구역 설정에 의한 제3의 주소모형 {address model}
본 특허는 주소표기에 관한 것이다.
주소는 순차적으로 번호를 매기는 방식과 지정위치에 따라 번호를 매기는 방식이 있다. 순차적 번지 부여를 점형태로 볼 경우, 도로선을 따라 표시하는 것을 선형태라고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자가 제시한 발명은 면형태의 한 종류이다. 본 발명은 기본모형에 의한 주소표기 체계는 주소표기 제3모델이라 할 수 있다. 주소 표기의 형태의 다양성을 제공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도로명 주소는 도로기점을 파악이 어렵고, 소로의 ‘00길’은 널리 알려진 명칭이 아닐 때는 암기하고 찾는 것이 쉽지 않다. 앞집 뒷집같이 비슷한 위치임에도 도로명과 번지를 달리하거나 같은 도로명을 사용해도 전혀 다른 구역이 많다. 또, 도로 자체에는 번지가 없다. 도로나 호수 및 하천내의 위치 표시가 곤란하다.
10진법에 의한 정형화된 위치로의 번지부여 방식은 상용화시 단순화 곤란, 고도기술요구, 작업비용 과다 등으로 오랜 세월 외면당했다.
본 발명은 기본모형을 활용하여 번지의 단순화에 성공하였다. 소단위로 획을 그어 만든 구역이란 뜻의 소획구역(블록)을 번지의 상위개념으로 도입하고, 그 갯수를 10진법에 의한 100개 이내로 한정하여, 위치 번호를 부여하는 모형을 발명했다. 모형은 도획구역(기본구역)-소획구역-번지로 구성되고, 소획구역 별로 번지 번호를 부여하도록 설계하였다. 소획구역 번호와 번지 번호가 100을 초과하기 어렵기에 큰 숫자가 배정되는 것을 차단한다.
모형에 기초가 되는 기본모형은, 가로세로 0.8km내외 다시말하면 0.4-1.3km의 도로로 구획된 구역을 설정하여 도획구역이라 칭하고 가로세로 각각 10등분하여 배열하면, 도획구역 1개는 소획구역 100개 이내로 구성된다. 이때 가로는 뒷자리수 구성을 위한 1-10을, 세로는 앞자리 수 구성을 위한 0-9를 배정하면 각각의 세로열 별로 뒷자리가 일치된 번호로 나타난다. 소획구역 번호는 도획구역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나타낸다.
소획구역내 각 토지별로 번지를 부여하는데, 특이점은 일반번지, 산번지 외에 도로번지, 하천번지를 창설하여 부여한다.
시가지 지역에서 기본모형에 따라 주소를 배정시 단순성으로 비용이 절감된다. 단순 언어와 숫자로 구성되므로 기억도 쉽고, 소획구역 번호만으로도 위치를 거의 파악할 수 있다. 또, 도로번지 창설로 도로 자체와 도로의 지하 및 공중공간의 특정 상점 위치까지도 표시할 수 있다. 하천도 마찬가지다
도1은 경계도로와 구역 배열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구역을 기본구역이라 한다. A-35, A-36, A-37이란 표시는 구역번호다. 기본구역과 도획구역이 일치하기도 하지만, 현실적으로 대부분의 도획구역은 기본구역과 경계도로로 구성된다.
도2는 기본구역을 가로와 세로를 10등분하여 100개의 소획구역으로 설정한 것으로 ‘기본모형’이라 칭한다.
도3은 현실적으로 나타나는 도획구역 형태로 도2의 기본구역보다 약간 넓게 나타난다. 그것은 좌측과 상단 및 하단은 중앙선까지 우측은 경계도로 전부가 도획구역에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제11소획구역은 학교나 공장 같이 큰 소획구역이며, 제61번 소획구역은 대학교와 같은 곳으로 61번 내부의 점선은 내부도로다. 59와 69사이에는 후문 통로가 존재한다.
도4는 도3의 제1 및 제11소획구역의 번지를 표시한 것이다. 제1소획구획의 좌측과 상단은 대로를 포함하고, 우측과 하단은 소로를 포함하며, 4개의 소획지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소로가 존재한다. 소획지 좌측에서부터 1번이 시작되고, 일반토지는 00번지, 도로는 도-00번지를 사용한다. 도로는 인접한 일반번지와 비슷한 도로번지 번호가 나타나는 점이 특이하다. 소획지 크기에 의거 번지수 할당도 가능하며, 이를 참조하여 위에서 첫째 소획지는 1-30번지 둘째 소획지는 31-50번지 셋째 소획지는 51-70번지 넷째 소획지는 71-100번지로 나타난다. 반면에 제11소획구역은 일반번지는 제1소획구역과 동일하나, 도로는 대로는 로-00번지를 소로는 길-00번지를 사용하여 대로와 소로를 구분하였다. 도로번지 번호는 지점이 비슷한 일반번지와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도5는 도4의 모형이 동일하다. 다만,도로가 아닌 일반번지는 오늘날 한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도로명 주소번지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도로번지는 제1소획구역의 최상단도로는 천호대로-00번지, 첫번째 사잇길에는 동일로60길-00번지, 우측도로는 천호대로102길-00번지로 표시하였고 나머지는 도4와 동일하다.
도6은 삼각형 형태로 나타나는 도획구역이다.
도7은 도획구역내에 대로가 존재하고 내부 대로에도 소획구역 번호을 부여한 형태이다.
도8은 하천 또는 호수내 기본구역을 표기하는 형태로, 도(가)는 대형 하천으로 하천 폭에 3개의 도획구역이 들어간다. 도(나) 소형하천을 예로 것으로 하천 폭에 1개의 도획구역이 들어간다.
도로 등으로 분리되어 획정되는 일정한 구역이란 뜻의 ‘도획구역’이라고 칭한다. 도획구역은 10진법에 의하여 가로세로 10개씩으로 나열된 최대 100개의 소획구역을 만들고, 소획구역별로 토지건물에 번지를 매기는 형태다. 원칙적으로 도획구역 전체로 소획구역을 분할해야 한다. 그렇지만 분류작업의 신속화를 위해 경계도로를 제외한 내부를 ‘기본구역’이라고 따로 정하고 이를 소획구역으로 분할한 ‘기본모형’을 활용할 수도 있으며, 이때 외곽도로 즉, 도획구역 경계도로는 인접한 소획구역으로 편입하여 도로번지를 부여한다.
실제 도획구역의 설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역의 가로세로가 가령 10km라면 소획구역 100개를 설정하면, 소획구역이 가로세로가 1km이고 그곳에 번지번호를 부여한다고 할 경우에는 번지가 복잡해지고 위치 인식력이 거의 없다. 그렇다고 가로세로를 20,30등분하면 이해가 어렵고, 가로세로를 100등분하여 1만개 소획구역을 만들면 복잡해진다. 따라서 넓이 규모가 적당한 것이 좋다.
도획구역은 기본적으로 교차하는 큰 도로나 하천 등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교차하는 대로가 없고 소로라도 있으면 그것을 기준으로 설정한다. 면적 기준은 동일 시가지에선 면적이 지나치게 차이가 나지 않게 설정한다.
택지지구의 끝자락처럼 임야와 접촉되어 도로가 없거나 도로를 기준으로 한 경계가 불합리할 경우 적당한 경계선으로 설정한다. 우리나라는 보통 36평인 120㎡ 내외의 주거지가 많고 시가지의 90%정도는 가로세로가 0.8km 이내로 형성되기에 0.8km(0.5-1.3km) 내외가 알맞다. lkm초과는 삼각형이거나 공원이 소재하는 등 특수한 상황이고, 대부분 가로와 세로의 길이의 합이1.8km이내고, 면적기준으로 볼때 1k㎡ 이하가 99%이상이다. 그러나, 인구밀도 낮아 주택지가 660㎡의 규모가 많은 국가는 도획구역 크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획구역이 삼각형,오각형,사다리꼴 등 여러 형태로도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사각형에 유추하여 적용하면 된다.
본 발명자는 도로 등으로 분할된 가장 작은 일단의 규모 토지를 소획지라고 명명한다. 소획지로 소획구역을 만드는 것이 현실적이다. 작은 소획지는 수개를 합하여 1개의 소획구역으로 만들고, 지나치게 길면 적당지점으로 분할하면 된다. 이렇게 나타난 소획구역은 기본모형과 정확이 일치하지 않고, 또 도획구역 경계도로도 도획구역으로 포함되는 경우가 많기에 도2의 기본모형을 참조하여 적당히 번호를 부여하면 도3의 형태로 나타난다.
도3를 살펴보면 소획구역의 규모가 동일하지 않다. 소획구역 11번은 다른 소획구역보다 2배 정도 크기이며 중학교나 기업체 등이다. 대학교 같은 곳은 소획구역 61번처럼 41-48,51-58,61-68, 71-78, 81-88번이 합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 경우 61번이란 단일번호를 사용하거나 그 면적의 크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61외 39구획”으로 표기하거나 각 단과대학 건물마다 각각의 소획구역 번호를 표기할 수도 있다. 소획구역 59와 69번 사이에는 대학 후문 통로인 중로가 존재한다.
소획구역이 확정되면 소획구역 별로 토지건물의 번지를 부여한다. 번지부여 방식은 순차적으로 매기는 방식, 도로명방식, 위치 정형화 방식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다만, 도로번지는 임야의 산-00번지처럼 ‘도,로,길,지점,점’ 등의 단어를 사용하여 ‘도-00번지,길-00번지,로-00번지 또는 00지점’으로 표기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한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면, ‘서울 성동구 송정 12나길 51번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서울 성동구 124도획구역 69소획구역 55번지’로 단순표기시 ‘서울 성동구 124-69-55’로 나타날 수 있다. ‘서울 성동구 124도획 69소획 55번지’ 등으로 표기되어 위치를 대강 알 수 있다. 주소작업의 신속화 및 단순화를 위해 도획구역은 ‘구’ 소획구역은 ‘획’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번지에 대해서는 현도로명 번지를 활용할 경우에는 ‘서울 124구 69획 송정12나길 51’로 나타난다. 한편, 도로지하에 존재하는 지하철 군자역 과자점은 ‘서울 125구 10획 도(또는길)-15번지 지하1층2호’로 나타나고, 도로명 번지 활용시 ‘서울 125구 10획 천호대로 도-550번지 지하1층2호’로 표시 가능하다.
하천이나 호수도 구역 및 번지 부여가 가능하다. 요령은 일반적인 도획구역 형태를 참조하면 되기에 생략한다. 다만, 하천이나 저수지는 천(또는강,하,수,물)- 00번지(지점)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Claims (1)

  1. 도로나 하천으로 둘러싸인 도획구역을 설정하고, 구역 형태의 기초되는 세로에 앞자리 번호로 사용될 0-9를, 가로에 뒷자리로 사용될 1-10의 숫자를 차례로 등분 배열하여 조립된 번호를 소획구역 번호로 채택하여, 소획구역 위치를 10진법 따라 배열할 수 있는 체계이고, 번지에 있어서는 도로에 대하여는 도로번지 창설, 하천에 대하여는 하천번지 창설하여 일반토지 번지와는 구별되어 표시되는 시스템적 주소 모형
KR1020190103908A 2019-08-23 2019-08-23 도획구역과 소획구역 설정에 의한 제3의 주소모형 KR20190104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908A KR20190104954A (ko) 2019-08-23 2019-08-23 도획구역과 소획구역 설정에 의한 제3의 주소모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908A KR20190104954A (ko) 2019-08-23 2019-08-23 도획구역과 소획구역 설정에 의한 제3의 주소모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954A true KR20190104954A (ko) 2019-09-11

Family

ID=6794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908A KR20190104954A (ko) 2019-08-23 2019-08-23 도획구역과 소획구역 설정에 의한 제3의 주소모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49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0148A (ko) * 2021-01-07 2022-07-15 (주)웨이버스 새로운 주소 체계에서 참조 주소 자동 생성 장치, 참조 주소 자동 생성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0148A (ko) * 2021-01-07 2022-07-15 (주)웨이버스 새로운 주소 체계에서 참조 주소 자동 생성 장치, 참조 주소 자동 생성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liveira et al. Teaching urban morphology
NZ203340A (en) Map reference coordinates determination from street address
WO2018161771A1 (zh) 一种编码标签、导航方法和地图
CN102003964A (zh) 操作导航系统以提供路线指引的方法
CN102003965A (zh) 操作导航系统以提供路线指引的方法
KR20190104954A (ko) 도획구역과 소획구역 설정에 의한 제3의 주소모형
Bekker-Nielsen 350 years of research on Neoklaudiopolis (Vezirköprü)
EP1376063B1 (de) Verfahren zur Zieleingabe an einem Navigationsgerät und Navigationsdatenbasis
Kent et al. The Soviet mapping of Poland–a brief overview
Friendly et al. Visualizing nature and society
CN106530142A (zh) 建筑文化遗产区域保护的方法
KR20200117806A (ko) 기본구역, 도로구역, 소획구역 설정에 의한 주소 모형
KR101798852B1 (ko) 도로명 주소체계의 도로번호를 이용한 도로명 색인부 및 도로명 노선표
KR20190050940A (ko) 기본구역과 소획구역에 의한 주소모형
CN105632326A (zh) 激光制导电子信息立体地图
Pipralia et al. Exploring the imageability of urban form in walled city Jaipur
KR20090037083A (ko) 관광지도
KR20190050307A (ko) 도획구역과 소획구역 설정에 의한 제3의 주소 모형
CN107591080A (zh) 一种道路压盖关系的绘制方法及装置
Thinnakorn The urban imag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Nakhon Si Thammarat’s Old Town Community in Thailand
Beisaw Over, Under and In Between: Collaborative Learning from Landscapes using Contemporary Archaeology
KR200358275Y1 (ko) 도로를 중심으로 한 가변축척지도
Lobel Rural and urban geography in early maps: The value of early maps as evidence for the topography of English towns
Olender Cities and Human Experience–the Touchpoints of Space Perception and Wayfinding Systems in the Communication Design Perspective
Ticknor et al. A Network of Commun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