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453B1 -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453B1
KR101798453B1 KR1020110076149A KR20110076149A KR101798453B1 KR 101798453 B1 KR101798453 B1 KR 101798453B1 KR 1020110076149 A KR1020110076149 A KR 1020110076149A KR 20110076149 A KR20110076149 A KR 20110076149A KR 101798453 B1 KR101798453 B1 KR 101798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handle
condensed water
bracke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4188A (ko
Inventor
이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10076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453B1/ko
Publication of KR20130014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탑커버에 고정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응축수 마개가 형성되어 있고, 응축수 마개를 개폐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응축수통으로 구성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브라켓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 및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와 응축수 마개가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 마개를 개폐하는 핸들을 포함하되, 상기 응축수 마개는 상기 핸들의 승강 및 회전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 {Laundry dryer}
본 발명은 응축수통을 끼우거나 뺄 때 응축수 마개가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구조로 된 의류건조기 및 응축수통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의류건조기(3)에는 응축수를 받는 응축수 통(1)이 있고, 상기 응축수 통(1)의 입구(2)는 구멍이 뚫려 있었다.
상기 응축수 통(1)에 응축수가 가득 차면 응축수통을 꺼내서 응축수를 버리도록 구성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응축수 통(1)은 소비자가 응축수 통(1)을 뺄 때 구멍을 통해 물이 흘러서 외부로 넘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응축수통을 끼우거나 뺄 때 응축수 마개가 자동으로 열리고 닫혀서 외부로 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건조기 및 응축수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탑커버에 고정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응축수 마개가 형성되어 있고, 응축수 마개를 개폐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응축수통으로 구성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브라켓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 및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상기 응축수통에는 응축수 마개와, 상기 응축수 마개의 중앙에 형성된 반원홈에 연결부가 결합되어 형성되되, 상기 응축수 마개와 연결부는 응축수 입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상기 응축수 마개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내측에 다수개 형성된 리브와, 상기 리브의 일단에 형성된 제1원형리브와 제2원형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1원형리브에 형성된 홈과, 제2원형리브에 형성된 반원홈과, 상기 원통부 상단부에 형성된 두 개의 걸림턱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상기 연결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중앙에 돌출 형성된 기둥과, 상기 기둥에 연결된 걸림부와, 상기 기둥의 끝단에 연결된 핸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상기 브라켓은 직사각형 형태로 측면이 개방되어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은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경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상기 연결부의 기둥과 원통부 중앙에 형성된 홈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상기 응축수 마개의 반원홈과 상기 연결부의 걸림부가 일직선상에 위치할 때 상기 스프링에 의해 핸들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응축수 마개가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상기 브라켓 일측에는 응축수가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호스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응축수통은 응축수 마개가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 마개를 개폐하는 핸들을 포함하되, 상기 응축수 마개는 상기 핸들의 승강 및 회전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의류건조기 및 응축수통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의 탑커버와 브라켓의 탈착의 간편화와 조립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작업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응축수통을 브라켓에 끼우거나 뺄 때 핸들의 눌림에 의해 브라켓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 및 회전함으로써 응축수 마개가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구조를 적용하여 외부로 응축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응축수통의 핸들을 눌러서 열어서 응축수 물을 쉽게 부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의류건조기 및 응축수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 및 응축수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마개 및 연결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마개 및 연결부의 동작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통과 브라켓의 결합 동작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통과 브라켓의 결합 동작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통과 브라켓의 결합 동작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통과 브라켓의 결합 동작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의류건조기 및 응축수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 및 응축수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통 및 연결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통 및 연결부의 동작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통과 브라켓의 결합 동작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통과 브라켓의 결합 동작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통과 브라켓의 결합 동작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통과 브라켓의 결합 동작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탑커버(111)에 고정되는 브라켓(20)을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20)에 대해 슬라이딩 되는 응축수통(10)과, 상기 응축수통(10)에 형성된 응축수 입구(50)에 설치되는 응축수 마개(30)와, 스프링(S)과 연결부(4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좌측 상부에는 응축수통(10)이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통(10)에는 응축수 입구(50)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 입구(50) 내에 응축수 마개(30)과 스프링(S)과 연결부(40)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100)의 탑커버(111)에는 브라켓(20)이 고정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20)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되, 개방된 측면에 가이드홈(20h)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20)의 일측에는 오목홈(21h)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홈(21h)에 호스(21)가 장착된다.
상기 호스(21)는 'ㄱ'자 형태로 구성되며 호스(21)를 통해 응축수가 유입된다.
상기 가이드홈(20h)은 상하 방향으로 구배가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0h)은 수직한 형태로 형성된 제1면(22)과, 상기 제1면(22)에 연결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제2면(23)과, 상기 제2면(23)에 연결되어 일단에 반원이 형성된 제3면(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면(22)은 브라켓(20)의 길이 방향대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면(23)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며 경사가 형성된다.
상기 제3면(24)은 일단은 수직한 형태로 되되, 끝단은 반원의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후술할 핸들(44)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면(22)과 제2면(23)과 제3면(24)은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면(22)과 제2면(23)과 제3면(24)에 의해 가이드홈(20h)이 형성된다.
상기 제1면(22)과 제2면(23)과 제3면(24)에 후술할 응축수통(10)이 슬라이딩되어 맞물려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브라켓(20)은 내측으로 갈수록 구배가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할 핸들(44)이 눌림과 아울러 상기 제2면(23)에 의해 핸들(44)이 닫힘 가능한 각도로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축수통(10)은 응축수 마개(30)와, 상기 응축수 마개(30)의 중앙에 형성된 반원홈(34h)에 연결부(40)가 결합 되어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 마개(30)와 연결부(40)는 응축수가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수 마개(30)는 응축수통(1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응축수 마개(30)는 원통부(31)와, 상기 원통부(31)의 내측에 다수개 형성된 리브(32)와, 상기 리브(32)의 일단에 형성된 제1원형리브(33)와 제2원형리브(34)를 포함하되, 상기 제1원형리브(33)에 형성된 홈(33h)과, 제2원형리브(34)에 형성된 반원홈(34h)과, 상기 원통부(31) 상단부에 형성된 두 개의 걸림턱(3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원통부(31)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부는 원판의 형상으로 원통부(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원통부(31) 상단부에는 두 개의 걸림턱(35)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35)은 원기둥의 형태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리브(32)는 수직한 형태로 다수개가 연결되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십자가 형상으로 교차되어 형성된다.
상기 리브(32)의 중앙부에는 상기 다수개의 리브(32)를 연결시키는 제1원형리브(33)와 제2원형리브(3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원형리브(33)에는 홈(33h)이 형성되고, 제2원형리브(34)에는 반원홈(34h)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40)는 바닥부(41)와, 상기 바닥부(41) 중앙에 돌출 형성된 기둥(42)과, 상기 기둥(42)에 연결된 걸림부(43)와, 상기 기둥(42)의 끝단에 연결된 핸들(44)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40)는 상기 응축수 마개(30)에 대해서 승하강하고, 핸들(44)은 눌러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바닥부(41)는 원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41)의 중앙에는 상부 방향으로 기둥(42)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기둥(42)에는 굴곡진 형태의 걸림부(43)가 연결된다.
상기 기둥(42)의 내측은 관통되어 홈(42h)이 형성되며, 상기 홈(42h)에는 돌출부(42a)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42a)는 상기 핸들(44)의 바닥부에 결합된다.
상기 핸들(44)은 전체적으로 타원의 형태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핸들(44)은 상기 응축수 마개(30)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20)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 및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40)의 핸들(44)과 원통부(31) 중앙에 형성된 제1원형리브(33) 사이에는 스프링(S)이 설치된다.
상기 핸들(44)은 두 개의 걸림턱(35) 사이에서만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응축수 마개(30)의 반원홈(34h)과 상기 연결부(40)의 걸림부(43)가 일직선상에 위치할 때 상기 스프링(S)에 의해 핸들(44)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응축수 마개(30)가 닫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응축수 마개(30)와 연결부(40)의 결합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기둥(42)에 상기 응축수 마개(30)의 홈(33h)을 결합하면 상기 걸림부(43)에 상기 반원홈(34h)이 결합된다.
상기 돌출부(42a)에 스프링(S)을 결합한 후, 상기 기둥(42)의 홈(42h)에 상기 돌출부(42a)가 삽입되어 응축수 마개(30)와 연결부(40)는 결합 된다.
도 6은 응축수 마개(30) 및 연결부(40)의 동작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a)는 응축수 마개(30)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b)는 핸들(44)을 눌러 걸림부(43)가 반원홈(34h)에서 해제되어 원통부(31)가 스프링(S)에 의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c)는 응축수 마개(30)가 열려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응축수통(10)이 본체(100)에 내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응축수 마개(30)가 열려있는 상태(c)이고, 사용자가 응축수통(10)을 뺄 경우에는 핸들(44)이 승하강 및 회전하면서 응축수 마개(30)가 닫히게 된다. 탈착한 응축수통(10)에 있는 응축수는 핸들(44)을 눌러 응축수 마개(30)를 열어서 버릴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응축수 마개(30)와, 스프링(S)과, 연결부(40)가 내장된 응축수통(10)을 브라켓(20)에 끼우거나 뺄 때 핸들(44)의 눌림에 의해서 응축수 마개가 열리거나 닫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응축수 마개(30)가 열려있는 상태의 응축수통(10)을 탑커버(111)에 장착된 브라켓(20)의 가이드홈(20h)에 끼우기 전의 상태이다.
이때, 응축수 마개(30)와 연결부(40)는 결합되며, 걸림부(43)는 반원홈(34h)에 삽입되고, 핸들(44)도 제2원형리브(34) 방향을 향해 있으며 걸림턱(35)의 일측에 지지된다.
도 8은 응축수통(10)을 브라켓(20)에 끼우면서 제1면(22)에 핸들(44)이 맞물린 상태이고, 도 9는 핸들(44)이 제2면(23)에 눌리는 동시에 회전하는 상태이다.
이때, 핸들(44)이 브라켓(20)의 제1면(22) 및 제2면(23)에 의해 눌리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스프링(S)은 압축되고, 연결부(40)는 하강한다.
연결부(40)와 응축수 마개(30)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걸림부(43)와 반원홈(34h)의 결합도 서서히 해제되며, 응축수 마개(30)와 연결부(40) 사이의 간격이 벌어져 틈이 생기게 된다.
도 10은 핸들(44)이 제3면(24)에 형성된 홈, 즉 정위치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이다.
이때, 핸들(44)은 제3면(24)에 눌려서 완전히 하강하고, 90도로 회전하면서 걸림부(43)는 반원홈(34h)으로부터 완전히 해제된다. 핸들(44)은 다른 걸림턱(35)에 지지 되면서 응축수 마개(30)는 열림 상태가 된다.
응축수 마개(30)가 열림 상태에 있을 때, 브라켓(20)에 연결된 호스(21)를 통해 응축수가 유입되며, 응축수는 응축수 마개(30)와 연결부(40) 사이의 벌어진 틈을 통해 응축수통(10)에 유입된다.
또한, 응축수통(10)에 유입된 물을 비우기 위해 응축수통(10)을 본체(100)로부터 뺏을 때, 응축수 마개(30)가 닫힌 상태에서 핸들(44)을 누르면 응축수 마개(30)가 열리게 되어 물을 빼낼 수 있다. 물을 빼낸 후에 다시 핸들(44)을 누르면 회전되면서 응축수 마개(30)는 닫힌다.
따라서, 응축수 마개(30)가 닫힌 상태에서 응축수통(10)을 브라켓(20)에 끼우거나 뺄 때 핸들(44)이 브라켓의 가이드홈(20h)에 눌리면서 안내되어 핸들(44)이 승강 및 회전함으로써 응축수 마개(30)의 열림/닫힘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응축수가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핸들(44)을 누르고 회전하여 응축수 마개(30)를 열어서 응축수를 부을 수 있어서 종래의 구멍으로 응축수가 흐르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응축수통 20 : 브라켓 20h : 가이드홈
21 : 호스 22 : 제1면 23 : 제2면
24 : 제3면 30 : 응축수 마개 31 : 원통부
32 : 리브 33 : 제1원형리브 33h : 홈
34 : 제2원형리브 34h : 제2원형리브 35 : 걸림턱
40 : 연결부 41 : 바닥부 42 : 기둥
43 : 걸림부 44 : 핸들 50 : 응축수 입구
S : 스프링 100 : 본체 111 : 탑커버

Claims (9)

  1. 본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응축수 마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응축수 마개를 개폐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응축수통으로 구성되고,
    상기 응축수통은 상기 브라켓에 대해 슬라이딩되고,
    상기 응축수 마개에는 응축수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응축수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부분을 개폐하는 걸림부와, 상기 브라켓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 및 회전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응축수 마개에 대해서 승하강하고 회전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핸들을 상기 브라켓에 끼우거나 뺄 때 상기 핸들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좌우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가 회전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하방향으로 구배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가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마개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부분은 상기 홈에 연통되고,
    상기 연결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 돌출 형성된 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은 상기 홈에 삽입되며,
    상기 핸들은 상기 기둥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기둥과 상기 바닥부가 연결된 부분에 형성되는 의류건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마개에는 두 개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핸들은 두 개의 걸림턱 사이에서만 회전되는 의류건조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 돌출 형성된 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은 상기 응축수 마개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며,
    상기 핸들은 상기 기둥의 끝단에 연결되는 의류건조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응축수 마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수 마개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응축수가 유입되도록 호스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9. 삭제
KR1020110076149A 2011-07-29 2011-07-29 의류건조기 KR101798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149A KR101798453B1 (ko) 2011-07-29 2011-07-29 의류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149A KR101798453B1 (ko) 2011-07-29 2011-07-29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188A KR20130014188A (ko) 2013-02-07
KR101798453B1 true KR101798453B1 (ko) 2017-11-20

Family

ID=4789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149A KR101798453B1 (ko) 2011-07-29 2011-07-29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4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169B1 (ko) * 2001-05-21 2003-04-1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169B1 (ko) * 2001-05-21 2003-04-1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188A (ko) 201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7880B1 (en) Plug structure for drinking container
JP6030779B2 (ja) 溶媒抽出装置
WO2018082442A1 (zh) 接水组件、除湿机及空调器
KR102163331B1 (ko) 탈부착 가능한 방진 필터 및 밸브의 어셈블리를 구비한 주전자
KR101798453B1 (ko) 의류건조기
KR101241107B1 (ko) 세면대용 팝업식 개폐장치
EP2883994A1 (en) Drainage device for wall-mounted washing machine
KR101311214B1 (ko) 노즐고정형 펌핑식 화장품용기
JP5864412B2 (ja) フロート装置
CN204161794U (zh) 按钮内藏式防误开容器盖
KR200420228Y1 (ko) 용기 안전 캡
CN203869282U (zh) 除湿机防滴漏水装置
CN210154089U (zh) 便于收集盖体内壁水珠的水箱
CN208222741U (zh) 一种加湿器
KR200475485Y1 (ko) 팝업밸브
CN204998979U (zh) 杠杆式启闭的容器盖
CN208404205U (zh) 烹饪器具
KR200442237Y1 (ko) 케이스 일체형 우산
KR101791851B1 (ko) 세면기용 팝업 밸브
CN207544820U (zh) 一种保温杯盖
CN218932652U (zh) 储水组件和衣物护理设备
TWI821736B (zh) 洗劑儲存盒組件及洗衣機
CN209291083U (zh) 一种管道用封盖
CN208658905U (zh) 一种快速冷却的烹饪器具
WO2020191818A1 (zh) 按压式旅行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