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410B1 - Tongs crane - Google Patents

Tongs c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410B1
KR101798410B1 KR1020160033368A KR20160033368A KR101798410B1 KR 101798410 B1 KR101798410 B1 KR 101798410B1 KR 1020160033368 A KR1020160033368 A KR 1020160033368A KR 20160033368 A KR20160033368 A KR 20160033368A KR 101798410 B1 KR101798410 B1 KR 101798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pipe
equalizer beam
clamp arm
equalizer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3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09723A (en
Inventor
배태삼
송영조
박흥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성진이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성진이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03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410B1/en
Publication of KR20170109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7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4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2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andling workpieces, e.g. ingots, which require to be supported temporarily within, or withdrawn from, a treatment chamber, e.g. tong cranes, soaking-pit cranes, stripp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Abstract

집게 크레인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집게 크레인은 견인장치를 매개로 승강 이동하는 이퀄라이저 빔과, 이퀄라이저 빔의 양측 하단에 연결된 집게 암을 포함하고, 이퀄라이저 빔은 중공을 갖는 코어파이프와, 집게 암과 연결되며, 집게 암에 걸리는 하중을 코어파이프 쪽으로 전달하도록 코어파이프와 연결되는 집게 암 연결수단을 포함한다.A tongue crane is disclosed. The tongue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qualizer beam that moves up and down via a traction device and a tongue arm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equalizer beam. The equalizer beam is connected to a core pipe having a hollow, And tongue arm connection means connected to the core pipe to transmit the load on the tongue arm toward the core pipe.

Description

집게 크레인{TONGS CRANE}TONGS CRANE

본 발명은 집게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중량 고강도 이퀄라이저 빔을 갖는 집게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ceps cra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rceps crane having a light weight high intensity equalizer beam.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연주공정에서 생산된 슬래브(Slab) 등의 철강제품은 천장 크레인의 일종인 집게 크레인을 이용하여 압연공정으로 운반한다.In general, steel products such as slabs produced in the steel making process are transported to the rolling process using a tongue crane, which is a type of ceiling cran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 크레인(10)은 상측 네 모서리 부분에 다수의 견인장치(20)가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승강 이동하는 이퀄라이저 빔(21)의 양측에 마주하게 위치되어 슬래브(S)를 그립핑(gripping)하는 집게 암(22)이 형성되고, 각 집게 암(22)에 형성된 중심축 사이에는 센터 빔(23)이 연결되며, 이퀄라이저 빔(21)과 센터 빔(23)의 사이에는 그 연결을 단속(斷續)하는 통키(Tong-key)(24)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towing devices 20 are installed at upper four corners of the forceps crane 10, and are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an equalizer beam 21 moving upward and downward, A center beam 23 is connected between center axes formed in the respective clamp arms 22 and a center beam 23 is connected between the equalizer beams 21 and the center beam 23, A tong-key 24 for interrupting the connection is provided.

이와 같은 집게 크레인(10)은 통키(24)의 동작에 따라 이퀄라이저 빔(21)과 센터 빔(23)이 근접하거나 멀어지게 되며, 이에 연동하여 집게 암(22) 이 벌어지거나 오므라들게 됨에 따라 양측의 집게 암(22)이 슬래브(S)를 그립핑하여 운반할 수 있게 된다.The equalizer beam 21 and the center beam 23 are brought close to or away from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toggle 24 and the tongue arm 22 is opened or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equalizer beam 21 and the center beam 23, The gripper arms 22 of the grippers 22 can grip the slabs S and carry them.

한편 이퀄라이저 빔(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다수의 견인장치(20)가 설치되어, 집게 크레인(10)이 전체적인 평형을 유지하면서 승강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이퀄라이저 빔(21)의 양측 하면에 각각 설치된 브래킷(25)을 통하여 집게 암(22)과 센터 빔(23)의 하중이 이퀄라이저 빔(21)으로 전달될 뿐만 아니라 이송대상이 되는 슬래브(S)의 하중 또한 전달되게 되므로 이퀄라이저 빔(21)은 충분한 강도가 요구되게 된다.The equalizer beam 21 is constructed such that a plurality of towing devices 20 ar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equalizer beam 21 so that the elevator crane 10 can be moved up and down while maintaining the overall balance. The load of the clamp arm 22 and the center beam 23 is transmitted to the equalizer beam 21 through the brackets 25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and the load of the slab S to be conveyed is also transmitted, The beam 21 is required to have a sufficient strength.

이와 같은 이유로 종래 이퀄라이저 빔(21)의 경우 다수의 H-빔 또는 I-빔을 격자 형태로 배치하여 골격을 구성한 후 골격의 상,하면 및 측면에 강판을 커버하는 방식으로 이퀄라이저 빔(21)을 형성하였다.For this reason, in the conventional equalizer beam 21, a plurality of H-beams or I-beams are arranged in a lattice form to constitute a skeleton, and then the equalizer beam 21 is formed in such a manner as to cover the steel sheet on the top, .

그러나 이와 같은 이퀄라이저 빔(21)은 다수의 H-빔 등으로 격자 형태의 골격을 형성하기 때문에 그 자체의 중량이 상당히 증가될 수밖에 없고, 이는 집게 크레인(10)의 설계에 반영되어, 결과적으로 집게 크레인(10)이 대형화되는 문제점을 야기하였을 뿐만 아니라, 제작원가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경제적인 문제 또한 야기하였다.However, since the equalizer beam 21 forms a lattice-like skeleton with a plurality of H-beams, the weight of the equalizer beam 21 itself is considerably increased, which is reflected in the design of the claw crane 10, Not only caused a problem that the crane 10 became large in size, but also caused an economical problem leading to an increase in production cost.

특히 종래 격자 형태의 골격으로 이루어진 이퀄라이저 빔(21)의 경우, 이퀄라이저 빔(21)으로 전달되는 하중이 격자형태의 골격이 교차하는 중심부에 집중되고, 이러한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는 경우 응력집중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이퀄라이저 빔(21)의 변형을 초래하여 집게 크레인(10) 전체를 조기에 교체하여야 하는 구조적인 문제점도 있었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equalizer beam 21 composed of the conventional lattice type skeleton, the load transferred to the equalizer beam 21 is concentrated at the center portion where the lattice-like skeleton crosses, and when such a state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The equalizer beam 21 is deformed, and the entire crane 10 must be replaced at an early stage.

또한 종래 이퀄라이저 빔(21)은 상당한 면적을 갖게 되는데, 고온의 슬래브(S)를 지속적으로 운반하는 동안 슬래브(S)에서 상승하는 열기가 이퀄라이저 빔(21)에 그대로 전달되어 이퀄라이저 빔(21)의 변형을 가중할 뿐만 아니라 이퀄라이저 빔(21)에 부속된 다른 구성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되고, 다른 한편으론 유지 보수 작업 시 작업자에게 불편을 주기도 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qualizer beam 21 has a considerable area, and the heat rising from the slab S is transmitted to the equalizer beam 21 as it is while continuously conveying the high-temperature slab S, Not only the deformation is weighted but also adversely affects other configurations attached to the equalizer beam 21, and on the other hand, it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operator during maintenance work.

한국공개특허 특2003-0012633호(2003.02.12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3-0012633 (published Feb. 12, 2003)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퀄라이저 빔의 중량을 경량화함과 아울러 응력 집중으로 인한 변형을 줄일 수 있는 이퀄라이저 빔을 갖는 집게 크레인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clamping cranes with an equalizer beam that can reduce the weight of the equalizer beam and reduce strain due to stress concentr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제철소에서 작업 중 슬래브에서 발생하는 열기에 의한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이퀄라이저 빔을 갖는 크레인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 a crane having an equalizer beam capable of reducing damage caused by heat generated in a slab during operation in a steelwork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견인장치를 매개로 승강 이동하는 이퀄라이저 빔과, 상기 이퀄라이저 빔의 양측 하단에 연결된 집게 암을 포함하고, 상기 이퀄라이저 빔은 중공을 갖는 코어파이프와, 상기 집게 암과 연결되며 상기 집게 암에 걸리는 하중을 상기 코어파이프 쪽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코어파이프와 연결되는 집게 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집게 크레인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qualizer comprising: an equalizer beam moving up and down through a traction device; and a clamp arm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equalizer beam, wherein the equalizer beam includes a hollow core pipe, And a tongue arm connecting means connected to the core pipe to transmit a load applied to the tongue arm to the core pipe.

상기 코어파이프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게 암 연결수단은 집게 암 브래킷으로 제공되어, 상기 집게 암에 걸리는 하중은 상기 집게 암 연결브래킷을 매개로 상기 코어파이프에 전달될 수 있다.The core pipe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the clamp arm connecting means is provided as a clamp arm bracket so that a load applied to the clamp arm can be transmitted to the core pipe via the clamp arm connecting bracket.

또한 상기 이퀄라이저 빔은 상기 코어파이프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보강패널을 더 포함한다.The equalizer beam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ement panels spac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re pipe.

또한 상기 이퀄라이저 빔은 상기 복수의 수직보강패널과 상기 코어파이프를 연결하는 수평보강패널을 더 포함한다.The equalizer beam may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reinforcement panel connecting the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ement panels and the core pipe.

또한 상기 이퀄라이저 빔은 상기 복수의 수직보강패널과 연결되는 상판, 하판 및 측판을 더 포함한다.The equalizer beam further includes a top plate, a bottom plate, and a side plat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panels.

또한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중앙 영역에는 개구된 중앙홀이 형성되어 상기 이퀄라이저 빔의 중앙 영역은 개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central hole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so that the central region of the equalizer beam can be opened.

또한 상기 집게 암 연결브래킷은 상기 코어파이프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측에 형성된 장착공과, 상기 집게 암이 연결되도록 상기 이퀄라이저 빔의 하방으로 돌출된 하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공을 포함한다.The tongue arm connection bracket may include a mounting hole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tongue arm connection bracket so that the core pipe is inserted and coupled, and at least one shaft hole protruded downward from the equalizer beam to connect the tongue arm.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집게 크레인의 이퀄라이저 빔은 중량이 가벼우면서 강도가 월등히 향상됨에 따라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예방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함과 아울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 the equalizer beam of the claw crane to be light in weight and significantly improved in strength,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that may occur during the operation, extending service life and reducing maintenance cost.

도 1은 기존의 집게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집게 크레인의 이퀄라이저 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퀄라이저 빔의 내부 보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어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어파이프와 수직보강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어파이프, 수직보강패널 및 수평보강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tongue cran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qualizer beam of a tongue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reinforcing member of an equalizer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re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core pipe and a vertical reinforcement panel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core pipe, a vertical reinforcement panel, and a horizontal reinforcement panel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rom the drawings, and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집게 크레인의 이퀄라이저 빔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퀄라이저 빔의 내부 보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1과 대비하여, 이퀄라이저 빔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하 설명한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qualizer beam of a tongue cran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qualizer beam internal reinforcement memb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 comparison with FIG. 1, other elements except the equalizer beam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퀄라이저 빔(30)은 상판(31)과 하판(32) 및 상판(31)과 하판(32)을 연결하여 측면을 둘러싸는 측판(33)을 포함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2 and 3, an equalizer beam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plate 31, a lower plate 32, and a side plate (not shown) connecting the upper plate 31 and the lower plate 32 33). ≪ / RTI >

상판(31)에는 이퀄라이저 빔(30)을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견인장치(20)가 연결되고, 상판(31), 하판(32) 및 측판(33) 사이에는 이퀄라이저 빔(3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수의 보강부재가 결합된다.A traction device 20 for lifting and moving the equalizer beam 30 is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31 and between the upper plate 31 and the lower plate 32 and between the side plates 33 the intensity of the equalizer beam 30 is increased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are combined.

다수의 보강부재는 이퀄라이저 빔(30)의 중앙영역에 위치되는 중공을 갖는 코어파이프(40)와, 코어파이프(40)와 연결되는 복수의 수직보강패널(50) 및 코어파이프(40)와 복수의 수직보강패널(50)을 연결하는 수평보강패널(60)을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includes a core pipe 40 having a hollow position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equalizer beam 30,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panels 50 and core pipes 40 connected to the core pipe 40, And a horizontal reinforcing panel 60 connecting the vertical reinforcing panel 50 of the frame.

코어파이프(40)는 도 4와 같이 내부가 빈 중공(41)을 구비하며, 반원형으로 성형한 두 개의 중공 파이프(40a,40b)를 접합하여 결합함에 의해 전체적으로 원형 링 형상이 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4, the core pipe 40 has hollow hollows 41, and two hollow pipes 40a and 40b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re joined and joined together to form a circular ring as a whole .

이러한 중공 구조의 코어파이프(40)는 속이 빈 내경에 비하여 그 강도는 충분히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어파이프(40)는 직경의 1/2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하여 내경을 형성하면, 1/4 중량을 줄일 수 있는 것에 반하여 강도는 1/16만 감소하므로 기존의 H빔 또는 I빔과 대비하여 저중량 고강도 이퀄라이저 빔(30)을 효과적으로 형성하게 된다.The core pipe 40 of such a hollow structure can sufficiently maintain its strength as compared with the hollow inner diameter. Specifically,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re pipe 40 is half the diamet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by a factor of 1/4.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trength is reduced by 1/16, The high-intensity equalizer beam 30 is effectively formed.

또한 코어파이프(40)는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의 이퀄라이저 빔에서 격자 형태의 골격이 교차하는 중심부에 대하여 응력집중이 발생하는 것과 달리 응력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re pipe 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ring, stress concentration is generated at the center portion where the lattice-like skeleton intersects the existing equalizer beam, and the stress is dispersed.

물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코어파이프(40)는 링 형상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원 형상, 마름모 형상, 다각 형상 등 다른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although the core pipe 40 has been described as a ring shape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pipe 4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ring shape, but may be provided in other shapes such as elliptical shape, rhombic shape, and polygonal shape.

코어파이프(40)의 외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두 부분에서 집게 암(22)이 연결되는 집게 암 연결수단이 결합된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pipe (40) is coupled a tongue arm connecting means to which the gripper arms (22) are connected in two parts facing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여기서 집게 암 연결수단은 집게 암 연결브래킷(70)으로 이루어진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나, 집게 암(22)과 코어파이프(40)를 연결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Here, the tongue-and-groove connecting means includes the tongue-arm connecting bracket 70,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tongue arm 22 and the core pipe 4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집게 암 연결브래킷(70)은 집게 암(22)에 걸리는 하중을 코어파이프(40) 쪽으로 전달하고, 코어파이프(40)에서는 집게 암 연결브래킷(70)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이 분산되게 된다.The forceps connecting bracket 70 transfers a load applied to the forceps arm 22 toward the core pipe 40 and the force transmitted by the forceps connection bracket 70 is dispersed in the core pipe 40.

집게 암 연결브래킷(70)의 상측에는 코어파이프(40)가 끼워져 삽입되는 코어파이프 장착공(71)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집게 암(22)의 상단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공(73)이 형성된다. 여기서 집게 암 연결브래킷(70)의 형상 및 축공(73)의 수는 집게 암(22)의 구조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A core pipe mounting hole 71 into which the core pipe 40 is inserted and inserte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lamp arm connection bracket 70 and at least one shaft hole 73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clamp arm 22 is coupled is formed on the lower side . Here, the shape of the tongue arm connection bracket 70 and the number of the shaft holes 73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tongue arm 22.

집게 암 연결브래킷(70)은 그 장착공(71)에 코어파이프(40)가 끼워진 후 용접 또는 볼트 체결에 의해 코어파이프(40)와 일체화되도록 함으로써, 집게 암(22)의 자체 하중 및 센터 빔(23)과 슬래브(S)의 하중 등 집게 암(22)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집게 암 연결브래킷(70)을 통해 코어파이프(40)에 직접 전달되게 된다.The forceps connecting bracket 70 is integrated with the core pipe 40 by welding or bolting after the core pipe 40 is fitted to the mounting hole 71 so that the self-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clamp arm 22 such as the load of the slider 23 and the slab S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ore pipe 40 through the clamp arm connection bracket 70. [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코어파이프(40)의 원주면 둘레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보강패널(50)이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5,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panels 50 may be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pipe 4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복수의 수직보강패널(50)은 집게 암 연결브래킷(70)을 통해 코어파이프(40)에 전달되는 하중을 이퀄라이저 빔(30)의 전체로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plurality of vertical stiffening panels 50 allow the load transferred to the core pipe 40 through the forceps connecting brackets 70 to be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equalizer beam 30. [

복수의 수직보강패널(50)에는 각각 코어파이프(40)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홀(51)이 형성되며, 끼움홀(51)이 코어파이프(40)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용접 결합됨에 의해 코어파이프(40)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panels 50 are each formed with a fitting hole 51 in which the core pipe 40 is fitted and joined. When the fitting hole 51 is fitted in the core pipe 40, 40, respectively.

복수의 수직보강패널(50)은 각각 서로 균일한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수직보강패널(50)은 코어파이프(40)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도록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 패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각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은 대응하는 상판(31), 하판(32) 및 측판(33)과 용접 결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panels 5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uniform distance. The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panels 5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as to distribute the load transmitted to the core pipe 40. The edge portions of the rectangular panels are formed in the corresponding upper and lower plates 31, 32 and the side plate 33, respectively.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수직보강패널(50)은 코어파이프(40)의 외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보강패널(60)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3 and 6,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panels 5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horizontal reinforcing panel 60 extending horizontally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pipe 40.

수평보강패널(60)은 코어파이프(40)의 내경 측 중앙 부분에서 코어파이프(4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면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된 복수의 수직보강패널(50) 및 집게 암 연결브래킷(70)을 서로 연결시킨다.The horizontal reinforcement panel 60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ement panels 50 and a forceps connection bracket (not shown)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re pipe 40 in the inner diameter side center portion of the core pipe 40, 70 to each other.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복수의 수직보강패널(50)에 전달되는 하중은 수평보강패널(60)을 통해 이웃하는 다른 수직보강패널(50)로 전달됨에 따라 응력 분산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load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ement panels 50 is transmitted to the adjacent vertical reinforcement panel 50 through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panel 60, so that the stress dispersion is more efficiently performed.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판(31), 하판(32) 및 측판(33)은 코어파이프(40)와 결합된 복수의 수직보강패널(50) 및 집게 암 연결브래킷(70)의 가장자리 부분과 용접 결합될 수 있고, 코어파이프(40)의 상하 및 측면 둘레를 덮도록 마련된다.2 and 3, the upper plate 31, the lower plate 32 and the side plate 33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panels 50 coupled with the core pipe 40 and the edges of the clamp arm connecting brackets 70 And is provided so as to cover the upper and lower and side circumferences of the core pipe 40. [

또한 상판(31)과 하판(32)의 각 중앙에는 각각 코어파이프(40)의 내경과 대응하는 개구된 중앙홀(80)이 형성된다.In addition, an open center hole 80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ore pipe 40 is formed at each center of the upper plate 31 and the lower plate 32.

중앙홀(80)은 이퀄라이저 빔(30)의 전체 무게를 경량화함과 동시에 집게 암(22)에 의해 들어올리는 슬래브(S)에서 상승하는 열기가 중앙홀(80)을 통해 방출되도록 함에 의해 고온의 열에 의한 이퀄라이저 빔(30)의 열 변형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The center hole 80 reduces the overall weight of the equalizer beam 30 and at the same time allows the heat rising from the slab S lifted by the clamp arm 22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center hole 80, Thereby preventing thermal deformation of the equalizer beam 30 due to heat.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실시 예의 이퀄라이저 빔(30)의 보강구조는 원형 링 형상의 코어파이프(40)를 중심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H빔 또는 I빔을 격자형태로 구성한 기존의 이퀄라이저 빔과 대비하여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퀄라이저 빔(30)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다수의 보강부재를 통해 분산시킴에 의해 응력집중으로 인한 구조적 변형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래브(S)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기는 이퀄라이저 빔(30)의 중앙홀(80)을 통해 용이하게 방출시킬 수 있어, 이퀄라이저 빔(30)에 가해지는 열 변형을 회피할 수 있게 되며, 이퀄라이저 빔(30)의 고강도 경량화를 통해 집게 크레인(10)을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 소모를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집게 크레인(10)의 제작 및 운전과 유지보수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equalizer beam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around the core pipe 40 having the circular ring shape, and the conventional equalizer beam in which the conventional H beam or I beam is formed in a lattice form, And the stress generated by the equalizer beam 30 is dispersed through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to prevent structural deformation due to stress concentration. Also, the hot heat generated in the slab S can be easily radiated through the center hole 80 of the equalizer beam 30, so that the thermal deformation applied to the equalizer beam 30 can be avoid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for driving the clamping cranes 10 by making the beams 30 lighter and light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reduce the manufacturing, operation and maintenance costs of the tong crane 10.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foregoing has shown and 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 집게 크레인, 20: 견인장치,
22: 집게 암, 30: 이퀄라이저 빔,
31: 상판, 32: 하판,
33: 측판, 40: 코어파이프,
50: 수직보강패널, 51: 끼움홀,
60: 수평보강패널, 70: 집게 암 연결브래킷,
71: 장착공, 73: 축공,
80: 중앙홀.
10: Tongue crane, 20: Towing device,
22: forceps, 30: equalizer beam,
31: top plate, 32: bottom plate,
33: side plate, 40: core pipe,
50: vertical reinforcement panel, 51: insertion hole,
60: Horizontal reinforcement panel, 70: Tongue arm connection bracket,
71: mounting hole, 73: shaft hole,
80: Central hall.

Claims (7)

견인장치를 매개로 승강 이동하는 이퀄라이저 빔과, 상기 이퀄라이저 빔의 양측 하단에 연결된 집게 암을 포함하고,
상기 이퀄라이저 빔은 중공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코어파이프; 및
상기 집게 암과 연결되며, 상기 집게 암에 걸리는 하중을 상기 코어파이프 쪽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코어파이프와 연결되는 집게 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집게 암 연결수단은 상기 코어파이프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측에 형성된 장착공과, 상기 집게 암이 연결되도록 상기 이퀄라이저 빔의 하방으로 돌출된 하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공을 갖는 집게 암 연결브래킷을 포함하는 집게 크레인.
An equalizer beam moving up and down via a traction device; and a clamp arm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equalizer beam,
Wherein the equalizer beam is a core pipe having a hollow ring shape; And
And a clamp arm connected to the clamp arm and connected to the core pipe to transmit a load applied to the clamp arm to the core pipe,
The clamping arm connecting means includes a mounting hole formed on the upper side for coupling the core pipe and a clamp arm connecting bracket having at least one shaft hole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equalizer beam to be connected to the clamp arm, cran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저 빔은 상기 코어파이프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보강패널을 더 포함하는 집게 크레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qualizer beam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ement panels spaced apart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re pi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저 빔은 상기 복수의 수직보강패널과 상기 코어파이프를 연결하는 수평보강패널을 더 포함하는 집게 크레인.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qualizer beam further comprises a horizontal reinforcement panel connecting the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ement panels to the core pi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저 빔은 상기 복수의 수직보강패널과 연결되는 상판, 하판 및 측판을 더 포함하는 집게 크레인.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qualizer beam further comprises a top plate, a bottom plate and a side plat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ement panel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중앙 영역에는 개구된 중앙홀이 형성되어 상기 이퀄라이저 빔의 중앙 영역은 개방되는 집게 크레인.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central hole is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so that the central region of the equalizer beam is opened.
삭제delete
KR1020160033368A 2016-03-21 2016-03-21 Tongs crane KR1017984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368A KR101798410B1 (en) 2016-03-21 2016-03-21 Tongs c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368A KR101798410B1 (en) 2016-03-21 2016-03-21 Tongs cr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723A KR20170109723A (en) 2017-10-10
KR101798410B1 true KR101798410B1 (en) 2017-11-22

Family

ID=6018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368A KR101798410B1 (en) 2016-03-21 2016-03-21 Tongs cr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41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478B1 (en) * 2014-07-02 2015-12-10 윤 명 하 Grab for cargo crane
JP2015229534A (en) 2014-06-03 2015-12-2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Upper body of mobile cra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9534A (en) 2014-06-03 2015-12-2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Upper body of mobile crane
KR101576478B1 (en) * 2014-07-02 2015-12-10 윤 명 하 Grab for cargo cr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723A (en) 201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410B1 (en) Tongs crane
CN201195661Y (en) Permanent deflection-proof sheet metal sling
KR200476339Y1 (en) Prefabricated lifting device fixed on grating
CN211769731U (en) Hoisting tool
CN112573344B (en) Use method of hoisting and turning-over device for super-large concrete prefabricated stand plate
KR102099312B1 (en) Single sided wall carrying apparatus
CN207920108U (en) A kind of hanger structure of roof color steel plate lifting
CN216638621U (en) Kaldo furnace hoist
CN202609776U (en) Special hanger for crane girder
CN212953856U (en) Module wall body hangs tool flatly
WO2007034565A1 (en) Panel lifting device
CN219906664U (en) Novel converter ship type hopper
CN220201147U (en) Hanging bracket is transported to assembled component
CN202936088U (en) T-shaped beam steel lifting bracket
JP7163167B2 (en) Furnace body dismantling method
CN209721360U (en) A kind of hoisting gripping member
CN216272655U (en) Generator transportation device
RU206553U1 (en) DEVICE FOR CAPTURE AND TRANSPORTATION OF WALL FORMWORKS
CN219408870U (en) Heavy H-shaped steel straightening roll sheet assembly lifting appliance
KR102497626B1 (en) The adsorption hanger for transfer
CN220908153U (en) Bridge precast beam hoisting point conversion equipment
KR20120065004A (en) Handling jig for heavy weight product
JP2006070572A (en) Implement for adjusting length of chain
CN219567274U (en) Hoisting device
CN117533936B (en) Lifting appliance for large gear ring pit furn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