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224B1 - 분리형 구조를 포함하는 전기로의 전극봉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분리형 구조를 포함하는 전기로의 전극봉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224B1
KR101798224B1 KR1020160113396A KR20160113396A KR101798224B1 KR 101798224 B1 KR101798224 B1 KR 101798224B1 KR 1020160113396 A KR1020160113396 A KR 1020160113396A KR 20160113396 A KR20160113396 A KR 20160113396A KR 101798224 B1 KR101798224 B1 KR 101798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pipe
electrode rod
unit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근
전남수
김동섭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3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01Heating elements or systems
    • F27D99/0006Electric heating elements or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2Casings; Linings; Walls; Roofs incorporating 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7/00Forming, maintaining, or circulating atmospheres in heating chambers
    • F27D7/02Supplying steam, vapour, gases, or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7/00Forming, maintaining, or circulating atmospheres in heating chambers
    • F27D7/02Supplying steam, vapour, gases, or liquids
    • F27D2007/023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02Cooling of furnaces
    • F27D2009/001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being a fluid other than a gas
    • F27D2009/0013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being a fluid other than a gas the fluid being water
    • F27D2009/0016Water-spr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Details (AREA)
  • Discharge Heating (AREA)

Abstract

분리형 구조를 포함하는 전기로의 전극봉 냉각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봉 냉각장치(100)는, 전기로와 인접되게 배치되어 전극봉을 냉각시키는 전극봉 냉각장치로서, 전극봉의 일단부의 둘레는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다수 개의 분사부(113)가 전극봉을 향해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냉각수 분사부(110); 전기로의 상단부와 고정되고, 냉각수 분사부(110)와 체결 결속되어 전기로의 상단부에 냉각수 분사부(110)를 고정시키는 결속고정부(120); 및 상기 냉각수 분사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냉각수 유동로와 연통되고, 냉각수 분사부(11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전극봉 냉각장치에 따르면, 가열된 전극봉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고, 전극 클램프 실린더(clamp cylinder) 및 전극 암(arm)을 고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전기로로부터 제공되는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손쉬운 전극봉 냉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구조를 포함하는 전기로의 전극봉 냉각장치{Device for Cooling of Electrode in Electric Furnace Having Separated Structure}
본 발명은 전기로의 전극봉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형 구조를 포함하는 전극봉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봉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봉 냉각장치(10)는, 전기로의 상단부에 고정부재(3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극봉 냉각장치(10)는 전기로의 전극봉을 냉각시켜주는 장치로서, 가열된 전극봉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전극봉 냉각장치(10)는, 전극 클램프 실린더(clamp cylinder) 및 전극 암(arm)을 고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전극봉 냉각장치(10)는 고열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로서, 고열에 의해 처짐현상이 발생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봉 냉각장치(10)가 처짐에 따라 전극봉에 분사해야 할 냉각수가 의도되지 않은 곳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효과적인 전극봉 냉각 작업이 이뤄질 수 없으며, 전극봉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봉 냉각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로의 상단부에 직접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극 클램프 실린더의 상태 변경에 따라 적절히 위치를 변경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전극봉 냉각장치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11-0004456 (2011년 05월 06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된 전극봉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고, 전극 클램프 실린더(clamp cylinder) 및 전극 암(arm)을 고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전기로로부터 제공되는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손쉬운 전극봉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극봉 냉각장치는, 전기로와 인접되게 배치되어 전극봉을 냉각시키는 전극봉 냉각장치로서, 전극봉의 일단부의 둘레는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다수 개의 분사부가 전극봉을 향해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냉각수 분사부; 전기로의 상단부와 고정되고, 냉각수 분사부와 체결 결속되어 전기로의 상단부에 냉각수 분사부를 고정시키는 결속고정부; 및 상기 냉각수 분사부의 내부에 형성된 냉각수 유동로와 연통되고, 냉각수 분사부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분사부는, 내부에 냉각수 유동로가 형성된 다수의 배관이 도넛 형태로 연통된 구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분사부는, 상기 냉각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를 냉각수 분사부 전체를 감싸는 경로로 유동시켜 냉각수 분사부를 냉각시키는 제 1 배관; 및 상기 냉각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를 다수 개의 분사부로 전달하는 제 2 배관;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배관은, 상기 냉각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 유입부; 상기 냉각수 유입부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를 냉각수 분사부 전체를 감싸는 경로로 유동시키는 분사부 냉각배관; 및 상기 분사부 냉각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외부로 전달하는 냉각수 배출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 배출부에는 분사부 냉각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의 유동량을 검출하여 운용자에게 검출 데이터를 전달하는 유동량 검출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분사부를 구성하는 배관은, 다각형 단면구조, 원형 단면구조 또는 타원형 단면구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분사부는, 분사부의 냉각수 분사 방향을 변경하는 분사부 분사방향 변경수단을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사부 분사방향 변경수단은, 상기 배관과 연통되고, 배관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배관과 결속되는 회전배관;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관 외주면과 결속되고, 회전배관의 양단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회전결속부; 및 상기 회전배관의 일측부에 내부가 연통되어 장착된 분사노즐;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속고정부는, 상기 배관과 연통되어 내부에 냉각수 유동로가 형성되어 있고, 냉각수 분사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전기로의 상단부와 결속되어 연장부를 고정시키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는 단열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공급부는, 상기 냉각수 분사부와 연통되어 일측부에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장착되고, 제 2 공급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냉각수 분사부에 전달하는 제 1 공급배관; 및 상기 제 1 공급배관과 연통되어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냉각수를 제 1 공급배관으로 전달하며, 유연한 구조의 배관을 구비하는 제 2 공급배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공급부에는 이물질 차단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극봉 냉각장치에 따르면, 특정구조의 냉각수 분사부, 결속고정부 및 냉각수 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가열된 전극봉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고, 전극 클램프 실린더(clamp cylinder) 및 전극 암(arm)을 고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전기로로부터 제공되는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손쉬운 전극봉 냉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봉 냉각장치에 따르면, 냉각수 분사부를 냉각시키는 제 1 배관 및 다수 개의 분사부로 냉각수를 전달하는 제 2 배관을 구비함으로써, 전극봉 냉각 효과뿐만 아니라 전극봉 냉각장치 자체의 냉각까지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전극봉 냉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봉 냉각장치에 따르면, 특정 위치에 이물질 필터 및 유동량 검출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전극봉 냉각장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산화에 의해 발생한 이물질에 의한 유동로 막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전극봉 냉각장치 유지관리를 더욱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봉 냉각장치에 따르면, 분사부의 냉각수 분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분사부 분사방향 변경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냉각수 공급 압력, 전극봉 과열 정도 및 냉각수 온도 등을 고려하여 분사부의 분사방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전극봉 냉각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봉 냉각장치에 따르면, 내부에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냉각수 유동로가 형성된 연장부 및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결속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전극봉 냉각장치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봉 냉각장치에 따르면, 유연한 구조의 배관을 구비하는 제 2 공급배관 및 제 1 공급배관을 포함하는 냉각수 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전극 클램프 실린더(clamp cylinder)의 클로즈(close) 상태 및 오픈(open) 상태에 대응하여 적절히 배관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어, 전극봉 냉각장치의 장착 유무에 관계없이 전극 클램프 실린더의 상태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봉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봉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각수 분사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냉각수 분사부와 결속고정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냉각수 분사부와 결속고정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 분사방향 변경수단을 나타내는 절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전극 클램프 실린더(clamp cylinder)의 상태에 따른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봉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봉 냉각장치(100)는, 전기로와 인접되게 배치되어 전극봉을 냉각시키는 전극봉 냉각장치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봉 냉각장치(100)는, 특정 구조의 냉각수 분사부(110), 결속고정부(120) 및 냉각수 공급부(130)를 구비함으로써, 가열된 전극봉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고, 전극 클램프 실린더(clamp cylinder) 및 전극 암(arm)을 고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전기로로부터 제공되는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손쉬운 전극봉 냉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봉 냉각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냉각수 분사부(110)는, 전극봉의 일단부의 둘레는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다수 개의 분사부(113)가 전극봉을 향해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결속고정부(120)는, 전기로의 상단부와 고정되고, 냉각수 분사부(110)와 체결 결속되어 전기로의 상단부에 냉각수 분사부(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냉각수 공급부(130)는, 냉각수 분사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냉각수 유동로와 연통되고, 냉각수 분사부(110)에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봉 냉각장치(100)는, 결속고정부(1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냉각수 분사부(110)를 제공할 수 있어, 전기로로부터 제공되는 열에 의한 처침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냉각수 분사부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분사부(110)는, 내부에 냉각수 유동로가 형성된 다수의 배관(111, 112)이 도넛 형태로 연통된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배관(111, 112)은 제 1 배관(111)과 제 2 배관(112)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 1 배관(111)은, 냉각수 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를 냉각수 분사부(110) 전체를 감싸는 경로로 유동시켜 냉각수 분사부(1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 1 배관(111)은, 냉각수 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 유입부(114), 냉각수 유입부(114)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를 냉각수 분사부(110) 전체를 감싸는 경로로 유동시키는 분사부 냉각배관(115), 및 분사부 냉각배관(115)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외부로 전달하는 냉각수 배출부(116)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봉 냉각장치(100)는 냉각수 분사부(110) 자체를 냉각시키는 제 1 배관(111)를 구비하고 있어, 전극봉 냉각장치(100)가 전기로로부터 제공되는 열에 의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 냉각배관(115)의 경로를 다양화하여 냉각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배관(112)은, 냉각수 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를 다수 개의 분사부(113)으로 전달하는 배관이다.
냉각수 배출부(116)는, 분사부 냉각배관(115)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냉각수 배출부(116)에는 분사부 냉각배관(115)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의 유동량을 검출하여 운용자에게 검출 데이터를 전달하는 유동량 검출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봉 냉각장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산화에 의해 발생한 이물질에 의한 유동로 막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전극봉 냉각장치 유지관리를 더욱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는 도 3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도 3 및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분사부(110)를 구성하는 배관(111, 112)은, 다각형 단면구조, 원형 단면구조 또는 타원형 단면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제 1 배관(111)과 제 2 배관(112) 사이에 방열핀을 추가로 장착할 수 있으며, 배관(111, 112)의 단면구조에 대응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열핀의 크기 및 면적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결속고정부(120)는 연장부(121) 및 결속부재(12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부(121)는, 배관(141)과 연통되어 내부에 냉각수 유동로가 형성되어 있고, 냉각수 분사부(110)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결속부재(122)는, 연장부(121)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전기로의 상단부와 결속되어 연장부(12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21) 내부에 형성된 냉각수 유동로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수는 결속고정부(120)를 지속적을 냉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과열에 의한 결속고정부(120)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결속고정부(120)에 대한 냉각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연장부(121)의 외주면에는 단열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단열구조는 전극봉 주위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연장부(121) 내부에 형성된 냉각수 유동로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연장부(121) 외주면에 형성되는 단열구조는, 석면류와 같은 단열재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진공구조를 포함하여 대류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중 진공 배관으로 구성하여, 중앙부에는 냉각수 유동로를 배치하여 냉각수를 유동시키고, 외부에는 진공배관을 배치하여 대류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 분사방향 변경수단을 나타내는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의 A-A'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분사부(110)는, 분사부(113)의 냉각수 분사 방향을 변경하는 분사부 분사방향 변경수단(14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 분사방향 변경수단(140)은, 회전배관(141), 회전결속부(142) 및 분사노즐(14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배관(141)은 배관(112)과 연통되고, 배관(112)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배관과 결속될 수 있다.
회전결속부(142)는 배관(112)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관 외주면과 결속되고, 회전배관(141)의 양단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분사노즐(143)은 회전배관(141)의 일측부에 내부가 연통되어 장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구조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10에는 전극 클램프 실린더(clamp cylinder)의 상태에 따른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공급부(130)는 제 1 공급배관(131) 및 제 2 공급배관(132)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공급배관(131)은, 냉각수 분사부(110)와 연통되어 일측부에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장착되고, 제 2 공급배관(132)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냉각수 분사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제 2 공급배관(132)은, 제 1 공급배관(131)과 연통되어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냉각수를 제 1 공급배관(131)으로 전달하며, 유연한 구조의 배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냉각수 공급부(130)에는 이물질 차단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봉 냉각장치(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클램프 실린더(clamp cylinder)의 상태에 따라 냉각수 공급부(130)의 구조를 자연스럽게 변경시킬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봉 냉각장치(10)의 경우(좌측 (a)), 전극 클램프 실린더의 상태를 클로즈(close) 또는 오픈(open)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 전극봉 냉각장치(10)를 분해하여 재조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봉 냉각장치(100)의 경우(우측 (b)), 전극 클램프 실린더(clamp cylinder)의 상태에 따라 냉각수 공급부(130)의 구조를 자연스럽게 변경시킬 수 있는 유연한 구조의 배관을 구비하고 있어, 전극 클램프 실린더의 상태를 클로즈(close) 또는 오픈(open)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 전극봉 냉각장치(10)를 분해하거나 재조립할 필요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극봉 냉각장치에 따르면, 특정구조의 냉각수 분사부, 결속고정부 및 냉각수 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가열된 전극봉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고, 전극 클램프 실린더(clamp cylinder) 및 전극 암(arm)을 고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전기로로부터 제공되는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손쉬운 전극봉 냉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봉 냉각장치에 따르면, 냉각수 분사부를 냉각시키는 제 1 배관 및 다수 개의 분사부로 냉각수를 전달하는 제 2 배관을 구비함으로써, 전극봉 냉각 효과뿐만 아니라 전극봉 냉각장치 자체의 냉각까지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전극봉 냉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봉 냉각장치에 따르면, 특정 위치에 이물질 필터 및 유동량 검출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전극봉 냉각장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산화에 의해 발생한 이물질에 의한 유동로 막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전극봉 냉각장치 유지관리를 더욱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봉 냉각장치에 따르면, 분사부의 냉각수 분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분사부 분사방향 변경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냉각수 공급 압력, 전극봉 과열 정도 및 냉각수 온도 등을 고려하여 분사부의 분사방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전극봉 냉각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봉 냉각장치에 따르면, 내부에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냉각수 유동로가 형성된 연장부 및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결속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전극봉 냉각장치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봉 냉각장치에 따르면, 유연한 구조의 배관을 구비하는 제 2 공급배관 및 제 1 공급배관을 포함하는 냉각수 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전극 클램프 실린더(clamp cylinder)의 클로즈(close) 상태 및 오픈(open) 상태에 대응하여 적절히 배관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어, 전극봉 냉각장치의 장착 유무에 관계없이 전극 클램프 실린더의 상태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봉 냉각장치
20: 전극 클램프 실린더(clamp cylinder)
30: 고정부재
100: 전극봉 냉각장치
110: 냉각수 분사부
111: 제 1 배관
112: 제 2 배관
113: 분사부
114: 냉각수 유입부
115: 분사부 냉각배관
116: 배출부
117: 냉각수 유입부
120: 결속고정부
121: 연장부
122: 결속부재
130: 냉각수 공급부
131: 제 1 공급배관
132: 제 2 공급배관
140: 분사부 분사방향 변경수단
141: 회전배관
142: 회전결속부
143: 분사노즐

Claims (12)

  1. 전기로와 인접되게 배치되어 전극봉을 냉각시키는 전극봉 냉각장치로서,
    전극봉의 일단부의 둘레는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다수 개의 분사부(113)가 전극봉을 향해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냉각수 분사부(110);
    전기로의 상단부와 고정되고, 냉각수 분사부(110)와 체결 결속되어 전기로의 상단부에 냉각수 분사부(110)를 고정시키는 결속고정부(120); 및
    상기 냉각수 분사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냉각수 유동로와 연통되고, 냉각수 분사부(11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130);
    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분사부(110)는,
    상기 냉각수 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를 냉각수 분사부(110) 전체를 감싸는 경로로 유동시켜 냉각수 분사부(110)를 냉각시키는 제 1 배관(111); 및
    상기 냉각수 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를 다수 개의 분사부(113)으로 전달하는 제 2 배관(112);
    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고정부(120)는,
    상기 배관(111, 112)과 연통되어 내부에 냉각수 유동로가 형성되어 있고, 냉각수 분사부(110)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연장부(121); 및
    상기 연장부(121)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전기로의 상단부와 결속되어 연장부(121)를 고정시키는 결속부재(1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냉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분사부(110)는,
    내부에 냉각수 유동로가 형성된 다수의 배관(111, 112)이 도넛 형태로 연통된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냉각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관(111)은,
    상기 냉각수 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 유입부(114);
    상기 냉각수 유입부(114)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를 냉각수 분사부(110) 전체를 감싸는 경로로 유동시키는 분사부 냉각배관(115); 및
    상기 분사부 냉각배관(115)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외부로 전달하는 냉각수 배출부(11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냉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배출부(116)에는 분사부 냉각배관(115)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의 유동량을 검출하여 운용자에게 검출 데이터를 전달하는 유동량 검출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냉각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분사부(110)를 구성하는 배관(111, 112)은, 다각형 단면구조, 원형 단면구조 또는 타원형 단면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냉각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분사부(110)는, 분사부(113)의 냉각수 분사 방향을 변경하는 분사부 분사방향 변경수단(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냉각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 분사방향 변경수단(140)은,
    상기 배관(112)과 연통되고, 배관(112)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배관과 결속되는 회전배관(141);
    상기 배관(112)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관 외주면과 결속되고, 회전배관(141)의 양단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회전결속부(142); 및
    상기 회전배관(141)의 일측부에 내부가 연통되어 장착된 분사노즐(14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냉각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1)의 외주면에는 단열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냉각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공급부(130)는,
    상기 냉각수 분사부(110)와 연통되어 일측부에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장착되고, 제 2 공급배관(132)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냉각수 분사부(110)에 전달하는 제 1 공급배관(131); 및
    상기 제 1 공급배관(131)과 연통되어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냉각수를 제 1 공급배관(131)으로 전달하며, 유연한 구조의 배관을 구비하는 제 2 공급배관(1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냉각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공급부(130)에는 이물질 차단 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냉각장치.
KR1020160113396A 2016-09-02 2016-09-02 분리형 구조를 포함하는 전기로의 전극봉 냉각장치 KR101798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396A KR101798224B1 (ko) 2016-09-02 2016-09-02 분리형 구조를 포함하는 전기로의 전극봉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396A KR101798224B1 (ko) 2016-09-02 2016-09-02 분리형 구조를 포함하는 전기로의 전극봉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224B1 true KR101798224B1 (ko) 2017-12-12

Family

ID=60943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396A KR101798224B1 (ko) 2016-09-02 2016-09-02 분리형 구조를 포함하는 전기로의 전극봉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2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379B1 (ko) * 2018-07-11 2019-02-08 한형기 전기로용 분할타입 테이퍼드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273Y1 (ko) * 1999-09-14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전기로의 전극봉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273Y1 (ko) * 1999-09-14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전기로의 전극봉 냉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379B1 (ko) * 2018-07-11 2019-02-08 한형기 전기로용 분할타입 테이퍼드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07088B (zh) 边缘浇口注射成型设备
AU2013222056B2 (en) Steam spraying apparatus and clothing dry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JP6107422B2 (ja) 熱交換ユニットおよび人体局部洗浄装置
KR101229347B1 (ko)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ES2391438T3 (es) Aparato para producir silicio policristalino
EP3174441B1 (en) Instant tube heater with homogenous temperature control
KR101798224B1 (ko) 분리형 구조를 포함하는 전기로의 전극봉 냉각장치
TW201008751A (en) Injection molding nozzle for an injection molding tool
JPH0114513B2 (ko)
CN107738440A (zh) Fdm型3d打印机及3d打印头
JPH11149839A (ja) 碍子の洗浄装置
RU2018127666A (ru) Устройство теплового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для инъекционной системы
ES2809523T3 (es) Dispositivos de intercambio de calor, sistemas de adhesivo líquido y métodos relacionados
CN208446290U (zh) 一种树木灌溉滴水器
JP5220644B2 (ja) 被処理物の処理装置及び乾燥装置
KR101917292B1 (ko) 공랭장치가 구비된 초음파 융착장치
KR101510215B1 (ko) 열혼합 인라인 히터
KR20090020117A (ko) 사출 성형용 핫 런너 매니폴드
JP6438936B2 (ja) 注入域の領域に配設されたファン式空冷装置を備えるプラスチック加工機
ES2452552T3 (es) Dispositivo de pintado por pulverización con un sistema de calentamiento del fluido portador
JP5490935B2 (ja) 被処理物の処理装置
KR101781370B1 (ko) 사출성형기용 노즐 조립체
KR101742298B1 (ko) 미그용접용 토치 노즐
CN202687186U (zh) 储运容器
CN215849482U (zh) 免冷却油缸和注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