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140B1 -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non-woven fabric - Google Patents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non-woven fabr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140B1
KR101798140B1 KR1020137007873A KR20137007873A KR101798140B1 KR 101798140 B1 KR101798140 B1 KR 101798140B1 KR 1020137007873 A KR1020137007873 A KR 1020137007873A KR 20137007873 A KR20137007873 A KR 20137007873A KR 101798140 B1 KR101798140 B1 KR 101798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ibers
convex
rol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8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37619A (en
Inventor
요시히코 키누가사
히데유키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95916A external-priority patent/JP4982616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95915A external-priority patent/JP4982615B2/en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7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6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1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0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having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e.g. natural fibres, prestretched or fibrillated artificial fibres
    • D04H1/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having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e.g. natural fibres, prestretched or fibrillated artificial fibres and hardened by felting; Felts or felted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1/00Non-woven pile fabrics
    • D04H11/08Non-woven pile fabrics formed by creation of a pile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non-woven fabric without addition of pile-forming material, e.g. by needling, by differential shrink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06C3/06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by rotary disc, roller, or lik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부직포(1)는 장섬유(2)로 이루어지는 웹을 열융착부(3)에 의해 고정한 부직포이다. 본 발명의 부직포(1)는 장섬유(2)의 일부가 파단되어, 일단부(20a)만이 열융착부(3)에 의해 고정되는 동시에, 타단부측의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는 섬유(21)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1)에서는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는 섬유(21)는 그 선단 섬유직경의 증가 비율이 15% 이상이다.The nonwoven fabric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woven fabric in which a web composed of long fibers (2) is fixed by a heat fusion portion (3). In the nonwoven fabric 1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long fibers 2 is broken so that only one end 20a is fixed by the heat-sealed portion 3 and the free end 20b on the other end side is thick And a fiber 21. In the nonwoven fabric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rease rate of the fiber diameter of the fiber 21 having the free end portion 20b thickened is 15% or more.

Description

부직포 및 부직포의 제조방법{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NON-WOVEN FABRIC}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woven fabric and a nonwoven fabric,

본 발명은 장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woven fabric made of long fibers.

예를 들어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는 파단 강도가 높고 가공 적성이 뛰어나며, 게다가 경제적이라는 이유로 스펀본드 부직포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펀본드 부직포는 그 제조법상, 전체에 푹신함 등이 부족해 촉감(감촉)을 향상시키기가 어려웠다. For example, sponge-bonded nonwoven fabrics are widely used for absorbent articles such as disposable diapers because they have high breaking strength,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are economical. However, in spunbonded nonwoven fabrics,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feel (feel) due to the lack of softness in the whole of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스펀본드 부직포를 기재(基材)로, 단섬유를 적층하고, 그 적층체를 니들 펀치 가공하여, 표면에서 원호형상 섬유 루프가 드러난 부직포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원호형상 섬유 루프가 드러난 부직포를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하면, 그 원호형상 섬유 루프가 피부에 걸려 오히려 사용감을 저하시킨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구성 섬유의 선단형상에 대하여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nonwoven fabric in which a spunbonded nonwoven fabric is laminated on a base material and monofilaments are laminated and needle punching is performed to reveal an arc fiber loop on the surface. However, when the nonwoven fabric in which the circular-shaped fiber loop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re exposed is used in an absorbent article such as a disposable diaper, the circular-shaped fiber loops are hung on the skin, which deteriorates the feeling of use. In addition, Patent Document 1 does not describe the tip shape of the constituent fibers at all.

또,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는 연신(延伸)한 연속 장섬유 부직포를, 그 두께방향의 중간부를 경계로 박리 분리하여, 한 면에, 섬유 접합부로부터 박리한 섬유나, 루프형상으로 신장된 섬유 등이 혼재하는 기립 모양 부직포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립 모양 부직포도 제조법상, 루프형상으로 신장된 섬유 등이 많이 혼재한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하면 그 루프형상 섬유가 피부에 걸려 사용감을 저하시킨다. 또한 특허문헌 2에도 구성 섬유의 선단형상에 대하여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Further, 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2, a stretched continuous filament nonwoven fabric is peeled and separated at the boundary in the thickness direction as a boundary, and a fiber peeled from the fiber bonding portion or a fiber stretched in a loop shape And the like are disclosed. However, since the standing-up nonwoven fabric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is believed to contain a lot of fibers stretched in a loop shap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when used for an absorbent article such as a disposable diaper, the loop-shaped fiber is caught on the skin and deteriorates the feeling of use. 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does not describe the tip shape of the constituent fibers at all.

또 특허문헌 3에는 단섬유가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 식모(植毛)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식모 시트의 선단은 굵어져 있지 않고, 섬유의 컷팅면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이 모나거나 해서 촉감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부직포에 접착제를 이용해서 다른 섬유를 부착시키고 있기 때문에, 사용되는 접착제 등의 약제로 인해 피부에 악영향을 끼치거나 피부에 자극을 주거나 할 위험이 있다. 또한 사용시 식모 섬유의 벗겨짐, 접착면 노출 등의 문제도 있다. Patent Document 3 describes a planted hair sheet in which short fibers are formed by an adhesive. The leading end of the flocked sheet is not thickened, and the cut surface of the fiber is exposed, so that the tip ends may be piled up and the tactile sensation may be deteriorated. Further, since other fibers are adhered to the nonwoven fabric by using an adhesive, there is a risk of adversely affecting the skin or irritating the skin due to a medicine such as an adhesive to be used. In addition, when used, there is a problem of flaking of the flocking fibers and exposure of the adhesive surface.

부직포의 구성 섬유를 기모시키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니들 펀치나 샌드 페이퍼를 이용해서 부직포를 가공하거나, 식모 기술로 부직포에 식모하는 등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As a technique for bricking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for example, a method of processing the nonwoven fabric using a needle punch or a sand paper, or implanting the nonwoven fabric using a flocking technique can be considered.

예를 들어 특허문헌 4에는 부직포에 밀착 가공에 의한 기계적인 힘을 가해 구성 섬유에 취약부를 형성한 후, 취약부가 형성된 부직포를, 샌드 페이퍼를 피복한 롤러에 통과시키고, 그 후 기모기로 구성 섬유를 기모시킨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5에는 입모(立毛) 시트를 주무름(dynamic effect) 처리한 후, 샌드 페이퍼를 이용해서 찰과 처리하는 입모 시트의 처리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For example, Patent Document 4 discloses a method in which a weak portion is formed on a constituent fiber by applying a mechanical force to a nonwoven fabric by a close process, and then a nonwoven fabric having a weak portion is passed through a roller coated with a sandpaper, In a non-woven fabric. Patent Document 5 discloses a method of treating a napped sheet in which a raised hair sheet is subjected to a dynamic effect treatment and then subjected to abrasion treatment using a sand paper.

또 특허문헌 6에는 웹을 수축시키고, 그 후 수축시킨 웹을 니들 펀치를 이용해서 처리하는 부직포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7에는 단순히 부직포 시트의 구성 섬유가 파단될 때까지 신장시켜서 부직포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특허문헌 4~7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부직포 등은 확실히 유연한 촉감(감촉)을 가지고 있다. Patent document 6 discloses a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in which a web is shrunk, and then the shrunk web is treated using a needle punch. Patent Document 7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a nonwoven fabric sheet by simply stretching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until the fibers are broken. The nonwoven fabric and the like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s of the above-described Patent Documents 4 to 7 certainly have a soft touch feeling.

그러나 특허문헌 4에 기재된 기모시킨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 및 특허문헌 5에 기재된 입모 시트의 처리방법은 모두 샌드 페이퍼를 이용해서 부직포를 가공하기 때문에 부직포에 큰 데미지를 주어, 얻어지는 기모 부직포의 부직포 파단 강도의 저하를 경감하기가 어렵다. 또한 특허문헌 6에 기재된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니들 펀치를 이용해서 처리하기 때문에 제조 속도가 느리고 비용을 억제하기가 어렵다. 또한 특허문헌 7에 기재된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은 연신 처리로만 기모시키기 때문에 연신 처리로 인해 부직포에 큰 데미지를 주어, 얻어지는 기모 부직포의 부직포 강도 저하를 경감하기가 어렵다. However, both of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brushed nonwoven fabric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4 and the method for treating the woven mattress shee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5 all use a sand paper to process the nonwoven fabric, so that the nonwoven fabric is greatly damaged,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decrease in strength. In addition, sinc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nonwoven fabric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6 is performed using a needle punch, the production speed is low and it is difficult to suppress the cost. In addition, since the method of produc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7 is brushed only by the stretching treatment,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deterioration of the strength of the obtained nonwoven fabric of the brushed nonwoven fabric by giving a large damage to the nonwoven fabric by the stretching treatment.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1-19015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19015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2-302861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30286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1-198997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198997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0-65645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0-65645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9-187665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9-187665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4-106676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4-106676 US4187343AUS4187343A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단 강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에 푹신함이 있어, 촉감이 향상된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루프형상 섬유가 적어, 피부에 걸리기 어려워 촉감이 향상된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woven fabric which is fluffy throughout and has improved tactile feel despite its high breaking strength. Further, the nonwoven fabric has less loop-shaped fibers and is less likely to be caught on the skin, thereby improving the fee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 섬유가 기모된 촉감이 좋은 부직포를 얻는 동시에, 얻어진 기모 부직포의 부직포 파단 강도의 저하를 경감한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구성 섬유가 기모된 부직포를 얻는 동시에, 제조 속도가 빠르고 비용을 억제할 수 있는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nonwoven fabric in which the constituent fibers are worn to obtain a nonwoven fabric having good feel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obtained nonwoven fabric breaking strength of the obtained woven nonwoven fabric is reduced.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nonwoven fabric in which the nonwoven fabric in which the constituent fibers are woven is obtained and the production speed is fast and the cost can be suppressed.

본 발명은 파단 강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에 푹신함이 있어, 촉감이 향상된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루프형상 섬유가 적어, 피부에 걸리기 어려워 촉감이 향상된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rovision of a nonwoven fabric having a soft feeling as a whole despite having high breaking strength and having improved tactile sensa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providing a nonwoven fabric having few loop-shaped fibers and being hard to catch on skin and having improved feel.

본 발명은 장섬유로 이루어지는 웹을 열융착부에 의해 고정한 부직포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woven fabric in which a web made of long fibers is fixed by a heat fusion portion.

부직포는 상기 장섬유의 일부가 파단되어, 일단부(一端部)만이 상기 열융착부에 의해 고정되는 동시에, 타단부(他端部)측의 자유단부가 굵어져 있는 섬유를 구비하고 있다. The nonwoven fabric includes fibers in which a part of the long fibers is broken so that only one end portion is fixed by the heat fusion portion and the free end portion on the other end side is thick.

또한 본 발명은 구성 섬유가 기모된 촉감이 좋은 부직포를 얻는 동시에, 얻어진 기모 부직포의 부직포 파단 강도의 저하를 경감한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 섬유가 기모된 부직포를 얻는 동시에, 제조 속도가 빠르고 비용을 억제할 수 있는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nonwoven fabric in which the constituent fibers are worn and the nonwoven fabric is excellent in touch and the degradation of the nonwoven fabric breaking strength of the obtained woven nonwoven fabric is reduced.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nonwoven fabric in which constituent fibers are woven in a nonwoven fabric and at the same time, production speed is high and cost can be suppressed.

본 발명은 50℃ 이하의 온도로 부직포의 복수 개소 각각에 부분 연신 가공을 실시하고, 상기 부분 연신 가공이 실시된 부직포에 상기 부직포의 구성 섬유를 기모하는 기모 가공을 실시하는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nonwoven fabric by subjecting each of a plurality of portions of a nonwoven fabric to a partial stretching process at a temperature of 50 DEG C or less and bridging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to the partially stretched nonwoven fabric .

본 발명에 의하면, 파단 강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에 푹신함이 있어, 촉감이 향상된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루프형상 섬유가 적어, 피부에 걸리기 어려워 촉감이 향상된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onwoven fabric having a soft feeling as a whole and having improved tactile feel despite the high breaking strength.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onwoven fabric in which the number of loop-shaped fibers is small, and the skin is hardly caught, thereby improving the feel.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구성 섬유가 기모된 촉감이 좋은 부직포를 얻는 동시에, 얻어진 기모 부직포의 부직포 파단 강도의 저하를 경감한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성 섬유가 기모된 부직포를 얻는 동시에, 제조 속도가 빠르고 비용을 억제할 수 있는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onwoven fabric in which the constituent fibers are woven with good feel and a reduced feeling of the nonwoven fabric breaking strength of the obtained woven nonwoven fabric is reduce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nonwoven fabric in which the nonwoven fabric in which the constituent fibers are woven is obtained, and the manufacturing speed is fast and the cost can be suppressed.

도 1은 본 발명의 부직포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부직포가 가지는 자유단부가 굵어져 있는 섬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부직포의 선단 섬유직경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부직포의 기모되어 있는 섬유 개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부직포의 사용형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하여 신장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X1-X1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부직포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바람직한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가공장치가 가지는 부분 연신 가공부를 비스듬하게 본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부분 연신 가공부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나타내는 가공장치가 가지는 기모 가공부를 비스듬하게 본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부직포의 기모된 구성 섬유 개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ber in which the free end of the nonwoven fabric shown in Fig. 1 is thick.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eferre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nonwoven fabric shown in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eferre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nonwoven fabric shown in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thod for measuring the fiber diameter at the tip of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number of brushed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is expanded and expanded,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use form of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1-X1 in Fig.
Fig.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eferred processing apparatus used in the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blique view of a partial stretch processing portion of the processing apparatus shown in Fig.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the partial stretching part shown in Fig.
Fig. 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rushed machined portion of the machining apparatus shown in Fig. 9 obliquely.
1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number of constituent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부직포를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on the basis of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본 실시형태의 부직포(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섬유(2)로 이루어지는 웹을 열융착부(3)에 의해 간헐적으로 고정한 부직포로서, 장섬유(2)의 일부가 파단되어, 일단부(20a)만이 열융착부(3)에 의해 고정되는 동시에, 타단부측의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는 섬유(21)를 구비하고 있다. 부직포(1)에 대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직포(1)의 길이방향을 Y방향, 부직포(1)의 폭방향을 X방향으로 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한편, 부직포(1)에 관하여, 구성 섬유의 배향방향에 의해 섬유의 배향방향을 따른 MD방향을 길이방향(Y방향), 그것과 직교하는 CD방향을 폭방향(X방향)이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길이방향(Y방향)과 MD방향은 같은 방향을 의미하고, 폭방향(X방향)과 CD방향은 같은 방향을 의미한다. 1, the nonwoven fabric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nonwoven fabric in which a web composed of long fibers 2 is intermittently fixed by a heat fusion portion 3, and a part of the long fibers 2 is broken, Only the one end portion 20a is fixed by the heat fusion portion 3 and the free end portion 20b on the other end side is thick. The nonwoven fabric 1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1 as the Y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1 as the X direction,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nonwoven fabric 1, the MD direction along the fiber orientation direction is determined to be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direction) and the C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ber direction is determined to be the width direction (X direction)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direction of the constituent fibers.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direction) and the MD direction mean the same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X direction) and the CD direction mean the same direction.

본 실시형태의 부직포(1)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하면, 부직포(1)는 장섬유(2)로 이루어지는 웹을 열융착부(3)에 의해 간헐적으로 서로의 섬유를 압착 또는 융착하여, 고정한 스펀본드 부직포를 바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이것을 원래의 스펀본드 부직포라고 한다. 부직포(1)는 장섬유의 일부가 파단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적인 스펀본드 부직포에 비해 얇은 두께일 경우에도 푹신함을 가진다. The nonwoven fabric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nonwoven fabric 1 is obtained by compressing or fusing the fibers of the long fibers 2 intermittently with the heat fusion portion 3, Bonded nonwoven fabric. Hereinafter, this is referred to as an original spunbond nonwoven fabric. Since the nonwoven fabric 1 has a part of the long fibers broken, the nonwoven fabric 1 is also fluffy even when it is thinner than a conventional spunbonded nonwoven fabric.

여기서 "장섬유"란, 30mm 이상의 섬유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섬유길이 150mm 이상인 소위 연속 장섬유이면 파단 강도가 높은 부직포가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Here, the term "long fiber" means a fiber having a fiber length of 30 mm or more, and is preferably a continuous fiber having a fiber length of 150 mm or more because a nonwoven fabric having high breaking strength can be obtained.

부직포(1)는 저렴하면서 양호한 촉감이 얻어지는 점, 또한 가공 적성의 관점에서 그 평량이 5~100g/㎡인 것이 바람직하고, 5~25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basis weight of the nonwoven fabric 1 is preferably from 5 to 100 g / m 2, more preferably from 5 to 25 g / m 2,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cheap and good touch feeling and also from the viewpoint of processability.

부직포(1)는 사용시의 찢어짐 방지 및 가공 적성의 관점에서, 그 파단 강도값이 5.00N/5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30N/50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원래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파단 강도값은 부직포(1)의 파단 강도를 달성하는 목적의 관점에서 7N/5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0N/50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후술하는 기모법으로 제조되는 부직포(1)의 파단 강도값은 다른 기모방법에 비해 원래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파단 강도값으로부터의 저하가 적은 것이 얻어진다. 부직포(1) 및 원래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파단 강도는 X방향(CD방향)에서 상기한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1)와 원래의 부직포의 파단 강도비(부직포(1)의 파단 강도/원래의 부직포의 파단 강도)는 0.5~1.0인 것이 바람직하고, 0.7~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파단 강도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된다. The breaking strength value of the nonwoven fabric 1 is preferably 5.00 N / 50 m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8 to 30 N / 50 mm, from the viewpoints of preventing tearing during use and suitability for processing. On the other hand, from the viewpoint of achieving the breaking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1, the breaking strength value of the original spunbonded nonwoven fabric is preferably 7 N / 50 mm or more, more preferably 10 to 50 N / 50 m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eaking strength value of the nonwoven fabric 1 produced by the brassiere method described later can be lowered from the breaking strength value of the original spunbonded nonwoven fabric compared with the other brushed method. The breaking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1 and the original spunbonded nonwoven fabric preferably satisfies the above-described range in the X direction (CD direction). The breaking strength ratio (breaking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1 / breaking strength of the original nonwoven fabric) between the nonwoven fabric 1 and the original nonwoven fabric is preferably 0.5 to 1.0, more preferably 0.7 to 1.0. The breaking strength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파단 강도의 측정법] [Measurement of breaking strength]

22℃ 65%RH 환경하에서, 부직포(1) 또는 원래의 스펀본드 부직포에서, X방향(폭방향)으로 200mm, Y방향(길이방향)으로 50mm 치수의 직사각형 형상의 측정편을 잘라낸다. 이 잘라낸 직사각형 형상의 측정편을 측정 샘플로 한다. 이 측정 샘플을 X방향이 인장방향이 되도록, 인장 시험기(예를 들면 오리엔테크사제 텐실론 인장 시험기 "RTA-100")의 척에 장착한다. 척간 거리는 150mm로 한다. 측정 샘플을 300mm/분으로 잡아당겨, 샘플 파단까지의 최대 하중점을 X방향의 파단 강도로 한다. 또한 Y방향으로 200mm, X방향으로 50mm 치수의 직사각형 형상의 측정편을 잘라내, 이것을 측정 샘플로 한다. 이 측정 샘플을 그 Y방향이 인장방향이 되도록 인장 시험기의 척에 장착한다. 상술한 X방향의 파단 강도의 측정방법과 동일한 순서로 Y방향의 파단 강도를 구한다. A rectangular measuring piece having a size of 200 mm in the X direction (width direction) and 50 mm in the Y direction (length direction) is cut out from the nonwoven fabric 1 or the original spunbonded nonwoven fabric under the environment of 22 ° C and 65% RH. This cut-out rectangular measuring piece is used as a measurement sample. The measurement sample is mounted on a chuck of a tensile tester (e.g., Tensilon tensile tester "RTA-100" manufactured by Orientech) so that the X direction is the tensile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chucks is set to 150 mm. The measurement sample is pulled at 300 mm / minute, and the maximum load point up to the sample break is taken as the breaking strength in the X direction. A rectangular measuring piece having a size of 200 mm in the Y direction and 50 mm in the X direction is cut out and used as a measurement sample. The measurement sample is mounted on the chuck of the tensile tester so that the Y direction is the tensile direction. The breaking strength in the Y direction i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forementioned measuring method of the breaking strength in the X direction.

본 실시형태의 부직포(1)는 촉감이 좋은 점에 의해서도 특징지어진다. The nonwoven fabric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lso characterized by its good touch.

종래, 촉감을 나타내는 특성값은 많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카토테크 가부시키가이샤제 KES에서의 특성값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참고문헌: 감촉 평가의 표준화와 해석(제2판), 저자 카와바타 토키오, 발행 1980년 7월 10일). 특히 푹신함을 나타내는 데에는 그 중에서도 압축 특성이라고 불리는 3개의 특성값인 LC(압축 하중-압축 뒤틀림 곡선의 직선성), WC(압축일량), RC(압축 레질리언스)가 알려져 있다. 이 압축 특성들은 하중을 0.5~50gf/㎠(고감도 측정에서는 0.5~10gf/㎠) 걸었을 때의 변형량으로부터 특성값을 산출하고 있다. 그러나 평량이 작은(5~25g/㎡) 부직포 등의 매우 얇은 천에서는 큰 차이가 나지 않아, 촉감과의 상관 관계는 크지 않았다. 또한 인간이 흡수성 물품을 만질 때의 하중은 1g/㎠ 전후로 매우 가벼운 하중으로 촉감을 느끼고 있어, 본래의 촉감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종래의 하중보다 작은 범위에서의 특성값이 유용하다고 생각되어, 하중이 0.3gf/㎠에서 1gf/㎠ 사이의 하중과 그 때의 변형량으로부터 새로운 특성값을 발견하였다. 이 특성값은 스펀본드 부직포와 에어스루 부직포의 촉감 차이를 여실히 보여주는 수치로서 나타나며, 스펀본드 부직포의 촉감을 나타내는 새로운 특성값으로서 부직포를 나타낼 수 있다. Conventionally, characteristic values indicating tactile feel are well known, and in particular, characteristic values at KES made by KATO TECH KK are generally known (Reference: Standardization and Analysis of Texture Evaluation (2nd edition), author TOKIO Kawabata, published July 10, 1980). Especially LC (compressive load-compressive warp curve linearity), WC (compressive capacity) and RC (compression resilience), which are three characteristic values called compression characteristics, are known to show particularly fluffiness. The compression characteristics are calculated from the deformation amount when the load is 0.5 to 50 gf / cm 2 (0.5 to 10 gf / cm 2 for high sensitivity measurement). However, a very thin cloth such as a nonwoven fabric having a small basis weight (5 to 25 g / m 2) did not show a large difference, and the correlation with touch was not great. In addition, since the load when the human touches the absorbent article feels a touch with a very light load around 1 g / cm < 2 >, the characteristic value in a range smaller than the conventional load is considered to be useful in order to exhibit the original touch, A new characteristic value was found from the load between gf / ㎠ and 1gf / ㎠ and the strain at that time. This property value is a numerical value that clearly shows the difference in tactile sensation between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and the air-through nonwoven fabric, and can represent a nonwoven fabric as a new characteristic value indicating the tactile feel of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미소 하중시의 압축 특성값] [Compression Characteristic Value at Micro Load]

22℃ 65%RH 환경하에서, 본 발명에서는 미소 하중시의 압축 특성값을, 촉감을 나타내는 새로운 특성값으로서 정의하고 있다. 측정은 22℃ 65%RH 환경하에서 실시하였다. 미소 하중시의 압축 특성값 산출의 바탕이 되는 데이터의 측정은 카토테크 가부시키가이샤제 KES FB3-AUTO-A(상품명)를 이용하였다. 부직포(1)를 20cm×20cm로 3장 잘라서 측정 샘플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그 중 1장의 측정 샘플을 시험대에 기모면을 위로 향하게 해서 설치한다(기모하지 않았을 경우, 또는 양면이 기모되어 있을 경우에는 양쪽을 측정해서 작은 쪽을 채용한다). 다음으로 면적 2㎠의 원형 평면을 가지는 강판 사이에서 압축한다. 압축 속도 20㎛/sec, 최대 압축 하중 10gf/㎠, 회복 과정도 동일 속도로 측정한다. 이 때, 강판 사이의 변위량을 x(mm)로 하고, 하중을 y(gf/㎠)로 하고, 하중을 검지한 점의 위치를 x=0으로 해서 압축방향으로 측정한다. x의 값은 압축될수록 커진다. Under the environment of 22 deg. C and 65% RH,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pression characteristic value at the time of a minute load is defined as a new characteristic value indicating tactile sensation. The measurement was carried out at 22 deg. C and 65% RH. Measurement of data as a basis for calculating the compression characteristic value at the time of minute load was performed using KES FB3-AUTO-A (trade name) manufactured by KATO TECH K.K. Three nonwoven fabrics (1) were cut into 20 cm x 20 cm, and measurement samples were prepared. Next, one of the measurement samples should be placed facing up on the test stand (if not brushed or if both sides are brushed, measure both sides and use the smaller one). Next, the steel sheet is compressed between steel plates having a circular surface having an area of 2 cm 2. The compression rate is 20 탆 / sec, the maximum compression load is 10 gf / cm 2, and the recovery process is also measured at the same speed. At this time, the displacement amount between the steel plates is x (mm), the load is y (gf / cm2), and the position of the point at which the load is detected is measured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with x = 0. The value of x becomes larger as it is compressed.

미소 하중시의 압축 특성값은 측정한 데이터(x, y)로부터 미소 하중시의 두께 변형량을 추출하여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회복 과정이 아닌 1회째의, 하중이 0.30gf/㎠에서 1.00gf/㎠ 사이의 하중과 그 때의 변형량 데이터를 추출하고, x와 y의 관계에 대하여 근사 직선을 최소 이승법으로 구해, 그 때의 기울기를 상기 특성값으로 한다(단위(gf/㎠)/mm). 1장의 측정 샘플에서 3개소를 측정한다. 3장의 샘플 합계 9개소를 측정한다. 9개소 각각의 특성값을 산출하여, 그들의 평균값을 그 부직포의 미소 하중시의 압축 특성값으로 한다. The compression characteristic value at the minute load is obtained by extracting the thickness deformation amount at the time of the minute load from the measured data (x, y). Specifically, the first load, which is not the recovery process, and the strain data at the time between 0.30gf / ㎠ and 1.00gf / ㎠ are extracted and the approximate straight line is obtained by the least squares metho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x and y , And the slope at that time is taken as the characteristic value (unit (gf / cm2) / mm). Three points are measured in one measurement sample. A total of 9 samples of 3 samples are measured. The characteristic values of each of the nine positions are calculated, and the average value thereof is set as the compression characteristic value at the time of the minute load of the nonwoven fabric.

본 발명자는 미소 하중시의 압축 특성값이 촉감과 상관이 있음을 발견하고, 특히 원래의 부직포가 같을 경우에 강한 상관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미소 하중시의) 압축 특성값은 낮은 수치일수록, 작은 하중으로 찌부러지기 쉬운 것을 나타내며, 인간의 촉감을 느끼는 감각(특히 푹신함)의 양호함을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가공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통상적인 평량이 5~25g/㎡인 원래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상기 압축 특성값은 20.0(gf/㎠)/mm~30.0(gf/㎠)/mm인 데 반해, 그 스펀본드 부직포에 후술하는 가공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1)는 표면이 찌부러지기 쉬워져 18.0(gf/㎠)/mm 이하가 된다. 즉 촉감의 관점에서, 5~25g/㎡의 원래의 스펀본드 부직포에 가공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1)의 상기 압축 특성값은 18.0(gf/㎠)/mm 이하이고, 15.0(gf/㎠)/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촉감이 좋은 에어스루 부직포에 가까운 촉감이 되는 관점에서 10.0(gf/㎠)/mm 이하가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평량이 5~25g/㎡인 원래의 스펀본드 부직포에 가공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1)의 상기 압축 특성값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제조상의 관점에서는 1.00(gf/㎠)/mm 정도이다. 종래의 기모방법 등의 가공 처리에서는 5~25g/㎡와 같은 평량이 낮은 원래의 스펀본드 부직포에, 파단 강도를 대폭으로 감소시키지 않고 이러한 특성값을 가지도록 가공 처리를 실시하기가 곤란하였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compression characteristic value at the time of a minute load has a correlation with touch, and found that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particularly when the original nonwoven fabric is the same. The lower the value of the compression characteristic (at the time of a minute load), the more likely it is to be crushed by a small load, and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feeling of feeling (especially fluffiness) feeling human touch. For example, the compression characteristic value of the original spunbonded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of 5 to 25 g / m < 2 >, which is not subjected to the processing described later, is 20.0 (gf / ,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1 subjected to the processing described later on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is liable to crumble and becomes 18.0 (gf / cm2) / mm or less. (Gf / cm < 2 >) / mm or less and 15.0 gf / cm < 2 > / mm or less, in terms of tactile sensation, in the nonwoven fabric 1 subjected to the processing of the original spunbonded nonwoven fabric of 5 to 25 g /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0.0 (gf / cm 2) / m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a feeling of touch similar to an air through nonwoven fabric having good feel. The lower limit of the compression characteristic value of the nonwoven fabric 1 subjected to the processing treatment on the original spunbonded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of 5 to 25 g / m 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about 1.00 (gf / cm 2) / mm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on. It has been difficult to subject the original spunbonded nonwoven fabric having a low basis weight, such as 5 to 25 g / m 2, to the processing such as the conventional brassiere method so as to have such a characteristic value without significantly reducing the breaking strength.

부직포(1)를 구성하는 장섬유(2)(원래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구성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로 포함하는데,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비닐계 수지, 비닐리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계 수지로는 나일론 등을 들 수 있다. 비닐계 수지로는 폴리 염화 비닐 등을 들 수 있다. 비닐리덴계 수지로는 폴리 염화 비닐리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수지의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고, 이 각종 수지들의 변성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부직포(1)를 구성하는 장섬유로서 복합 섬유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복합 섬유로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 섬유, 심초(core-sheath) 섬유, 편심(偏心)한 크림프(crimp)를 가지는 심초 섬유, 분할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복합 섬유를 이용할 경우에는 심(core)이 폴리프로필렌, 초(sheath)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심초 섬유를 이용하면 부드러운 기모 부직포가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장섬유(2)에는 섬유 착색제, 정전기 방지 특성제, 윤활제, 친수제 등 소량의 첨가물을 부여한 섬유를 이용할 수도 있다. 장섬유(2)의 섬경(纖徑)은 후술하는 가공 전에 5~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long fibers 2 (constituent fibers of the original spunbonded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1 mainly include thermoplastic resins, and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s include polyolefin resins, polyester resins, polyamide resins, Nitrile resins, vinyl resins, vinylidene resins,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olyolefin-based resin include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polybutene. Examples of the polyester-based resin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Examples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clude nylon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vinyl resin include polyvinyl chlorid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vinylidene resin include polyvinylidene chloride and the like. One kind of such various resins may be used singly or a mixture of two or more kinds thereof may be used, or a denatured product of these various resins may be used. The nonwoven fabric 1 may also be a composite fiber. As the composite fibers, side-by-side fibers, core-sheath fibers, core-sheath fibers having an eccentric crimp, and split fibers can be used. When the conjugate fiber is used, it is preferable that a soft brushed nonwoven fabric is obtained by using core-sheath fibers whose core is polypropylene and sheath is polyethylene. Further, the long fibers 2 may also be fibers obtained by adding small amounts of additives such as a fiber coloring agent, an antistatic agent, a lubricant, and a hydrophilic agent. The diameter of the long fibers 2 is preferably 5 to 30 占 퐉, more preferably 10 to 20 占 퐉, before the processing described later.

부직포(1)를 형성하는 원래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방사성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로는 매끄럽고 더욱 촉감이 향상되는 관점과 파단이 용이한 점에서, 랜덤 코폴리머, 호모 폴리머, 블록 코폴리머 중 어느 1종 이상을 5~1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80중량% 포함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코폴리머나 호모 폴리머를 혼합해도 되고, 다른 수지를 혼합해도 되지만, 성형시에 실이 끊어지기 어려운 점에서 폴리프로필렌의 호모 폴리머와 랜덤 코폴리머의 혼합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섬유의 결정성을 저하시켜 기모 섬유 자체가 부드러워지고 촉감이 좋아지는 동시에, 부직포 강도와의 양립이 가능하고, 기모 섬유가 엠보싱 등의 융착부에서 절단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엠보싱 융착점 등의 접합부에서의 박리가 없어지고 기모 섬유가 짧아지며, 보풀 뭉치(pilling)가 생기기 어려워 외관도 양호한 것이 얻어진다. 또한 융점의 분포가 넓어지기 때문에 실링성이 좋아진다. 나아가서는 프로필렌 성분을 베이스로 해서 랜덤 코폴리머로서 에틸렌이나 α-올레핀과 공중합한 것이 바람직하고,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로는 동일한 관점에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를 5중량% 이상 포함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25중량% 이상 포함한 수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 중에는 에틸렌 농도가 1~20중량%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끈적임이 없고, 게다가 연신시에 신장하기 쉬우며 털 빠짐(shedding of fuzz)이 적고, 파단 강도가 유지되는 점에서 에틸렌 농도가 3~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는 환경의 관점에서, 재생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25중량% 이상 포함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50중량% 이상 포함한 수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부직포(1)가, 스펀본드층과 멜트블로운층의 적층 부직포를 바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original spunbonded nonwoven fabric forming the nonwoven fabric 1 is formed of a polypropylene resin which is a polyolefin-based resin from the viewpoint of radioactivity. The polypropylene resin is preferably 5 to 100% by weight, more preferably 25 to 50% by weight, of at least one of a random copolymer, a homopolymer and a block copolymer, from the viewpoint of smoothness, 80% by weight. These copolymers or homopolymers may be mixed and other resins may be mixed. However, mixing of a homopolymer of polypropylene and a random copolymer is preferable in that the yarn is not easily broken at the time of molding. As a result, the crystallinity of the fibers is lowered, so that the brushed fibers themselves are softened and the feel is improved. At the same time, the bridging fibers are compatible with the nonwoven fabric strength and the brushed fibers are easily broken at the fused portions such as embossing. Peeling at the joining portion is eliminated, the brushed fabric is shortened, pilling is hardly caused, and appearance is good. Further, the distribution of the melting point is widened, so that the sealing property is improved.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o copolymerize with ethylene or an alpha -olefin as a random copolymer based on the propylene component, and an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resin is particularly preferable. From the same viewpoint, the polypropylene resin is preferably a resin containing 5% by weight or more of an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resin, more preferably a resin containing 25% by weight or 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resin contains an ethylene concentration of 1 to 20% by weight. In particular, the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resin is free from stickiness, is easy to elongate at the time of stretching, has less shedding of fuzz,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ethylene concentration is 3 to 8%. The polypropylene resin is preferably a resin containing at least 25% by weight of the recycled polypropylene resin from the viewpoint of the environment, more preferably at least 50% by weight of the resin. On the other hand,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where the nonwoven fabric 1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laminated nonwoven fabric of the spunbond layer and the meltblown layer.

엠보싱에 의한 열융착부(3)는 촉감이나 가공 적성의 관점에서, 각 열융착부(3)의 면적이 0.05~10㎟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열융착부(3)의 수는 10~250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35~65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X방향으로 이웃하는 열융착부(3)끼리의 중심간 거리는 0.5~1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3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Y방향으로 이웃하는 열융착부(3)끼리의 중심간 거리는 0.5~1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3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From the viewpoints of touch and processing suitability, the area of each heat-sealed portion 3 is preferably 0.05 to 10 mm 2, more preferably 0.1 to 1 mm 2 from the viewpoint of embossing. The number of the thermally fused portions 3 is preferably 10 to 250 / cm2, more preferably 35 to 65 / cm2. The center-to-center distance between adjacent heat-sealed portions 3 in the X direction is preferably 0.5 to 10 mm, more preferably 1 to 3 mm, and the center-to-center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heat-sealed portions 3 in the Y- To 10 mm, more preferably from 1 to 3 mm.

열융착부(3)는 엠보싱(엠보싱 볼록 롤과 플랫 롤 등에 의함)에 의한 열압착에 의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것이나, 초음파 융착에 의한 것, 간헐적으로 열풍을 가해 부분 융착시킨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열압착에 의한 것이 섬유를 파단시키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열융착부(3)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원형, 마름모, 삼각형 등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부직포(1)의 한 면의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열융착부(3)의 합계 면적의 비율은 5~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인 것이 보풀 뭉치가 생기기 어려운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The thermally fused portion 3 is intermittently formed by thermocompression by embossing (embossing convex roll and flat roll or the like), or by ultrasonic welding, intermittently applying hot air and partially fused. Among them, thermocompression bonding is preferable in that it tends to break the fibers. The shape of the heat-sealed portion 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ny shape such as a circle, a rhombus, or a triangle. The ratio of the total area of the heat-welded portions 3 in the surface area of on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1 is preferably 5 to 30%, more preferably 10 to 20% in view of difficulty of forming a napkin.

본 실시형태의 부직포(1)는 장섬유(2)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를 바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장섬유(2)의 일부가 파단되어, 일단부(20a)만이 열융착부(3)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섬유(20)가 형성되어 있고, 섬유(20)는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는 섬유(21)를 포함하고 있다. 선단이 굵어져 있는 것으로서, 그 선단부에서의 단면이 편평형상(타원이나 찌부러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부드러운 선단의 기모 섬유가 얻어져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은 부직포가 얻어진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부(20a)만이 열융착부(3)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섬유(20)는 타단부측의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는 섬유(21) 및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지 않은 섬유(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자유단부"란, 일단부(20a)만이 열융착부(3)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섬유(20)에서의 "타단부"를 의미하며, 바꿔 말하면 "선단부"를 의미한다.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는지 여부는 이하의 측정법으로 섬유직경을 측정하여 선단 섬유직경의 증가 비율을 산출하여 판단한다. The nonwoven fabric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n the basis of a spunbonded nonwoven fabric made of long fibers 2 and a part of the long fibers 2 is broken so that only one end 20a is bonded to the heat- And the fibers 20 include the fibers 21 having the free end portions 20b thick. It is preferable that the tip end is thick and the cross-section at the tip end thereof is flat (elliptical or crushed). As a result, a woven fabric with a soft tip is obtained, and a nonwoven fabric having less irritation to the skin is obtained. As shown in Fig. 1, the fibers 20, in which only one end 20a is fixed by the heat-sealed portion 3, are free from the fibers 21 having the free end 20b on the other end side, 20b are not thickened. Here, the "free end" means the "other end" in the fiber 20 where only the one end 20a is fixed by the heat-sealed portion 3, in other words, the "distal end". Whether or not the free end portion 20b is thick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fiber diameter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and calculating the increasing ratio of the fiber diameter at the tip.

[섬유직경의 측정법] [Measurement of Fiber Diameter]

먼저 22℃ 65%RH 환경하에서,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할 부직포(1)에서 예리한 면도칼로 X방향으로 2cm, Y방향으로 2cm 크기의 측정편을 잘라내고,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열융착부(3)를 지나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꺾인선(Z)에서 바깥으로 접은 측정 샘플을,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본 테이프를 얹은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용 알루미늄제 시료대에 얹고서 고정한다. 다음으로, 약 750배로 확대한 SEM 화상으로부터, 일단부(20a)만이 열융착부(3)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섬유(20)를 랜덤으로 10개 골라내고, 그 섬유들의 자유단부의 선단 부근을 사진 촬영한다. 얻어진 사진(도 2 참조)으로부터, 자유단부(20b)의 선단에서 120㎛ 떨어진 위치에서의 섬유(20)의 섬유직경(자유단부(20b)를 제외한 부위에서의 섬유(20)의 직경(21a))을 각각 측정한다. 자유단부(20b)를 제외한 부위에서의 섬유(20)의 직경(21a)을 측정할 때의 기울기를, 그대로 자유단부(20b)측으로 평행 이동하여, 자유단부(20b)의 선단과 선단에서 20㎛ 떨어진 위치 사이에 끼인 영역에서 가장 굵어져 있는 위치에서의 섬유(21)의 섬유직경(자유단부(20b)에서의 섬유(21)의 직경(21b))을 측정한다. 한편, 선단부가 편평형상일 경우에는 관찰 각도에 따라서는 선단이 굵어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그 경우에도 얻어진 사진으로 그대로 측정한다. First, as shown in Fig. 5 (a), measurement pieces measuring 2 cm in the X direction and 2 cm in the Y direction were cut out from the nonwoven fabric 1 to be measured with a sharp razor under the environment of 22 ° C and 65% RH, , A measurement sample folded outward from a folded line Z extending in the X direction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thermally fused portions 3 is placed on a test sample Place it on a sample stand made of aluminum for microscope (SEM) and fix it. Next, from the SEM image enlarged by about 750 times, 10 pieces of the fibers 20 fixed only at the one end 20a by the heat-sealed portion 3 are randomly selected, and the vicinity of the tip of the free end of the fibers Take pictures. The diameter 21a of the fiber 20 at the portion excluding the free end 20b of the fiber 20 at a position 120 占 퐉 away from the tip of the free end 20b is calculated from the obtained photograph (see Fig. 2) Respectively. The inclination at the time of measuring the diameter 21a of the fiber 20 at the portion other than the free end 20b is moved in parallel to the free end 20b as it is, (The diameter 21b of the fiber 21 at the free end 20b) of the fiber 21 at the position where the fiber 21 is thickest in the region sandwiched between the distant positions.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tal end portion is a flat-shaped portion, there is a case where the distal end does not appear thick depending on the observation angle. In this case, however,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는 섬유(21)란, 앞에서 랜덤으로 골라낸 10개의 섬유(20) 중에서, 10개의 섬유(20) 사진 각각으로부터 측정한, 자유단부(20b)에서의 섬유(20)의 직경(21b)과, 자유단부(20b)를 제외한 부위에서의 섬유(20)의 직경(21a)으로부터, 하기의 식(1)로 구해진 선단 섬유직경의 증가 비율값이 15% 이상이라는 요건을 만족시키는 섬유인 것을 의미하며, 열융착부(3)들 사이(열융착부(3)와 섬유의 경계를 제외한 섬유형태 부분)에서의 섬유 절단이 억제되고, 파단 강도의 감소가 억제되며, 촉감이 좋은 것이 얻어지는 점에서, 20% 이상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상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fibers 21 having the free end portions 20b are made of the fibers 20 at the free end portion 20b measured from each of the ten fibers 20 photographs out of the ten fibers 20 randomly picked out from the front. Of the fiber diameter obta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is 15% or more from the diameter 21a of the free end 20b and the diameter 21a of the fiber 20 at the portion excluding the free end 20b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utting of the fibers between the heat-sealed portions 3 (the portion in the form of a fiber excluding the boundary between the heat-sealed portion 3 and the fibers), suppress the decrease of the breaking strength,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good tactile feeling, it is preferable to be at least 20%, more preferably at least 25%.

선단 섬유직경의 증가 비율(%)=[(21b-21a)÷21a×100] (1) (%) Of the tip fiber diameter = [(21b-21a) / 21a x 100] (1)

부직포(1)에서는 촉감과 파단 강도를 양립하는 관점에서, 일단부(20a)만이 열융착부(3)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섬유(20)(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는 섬유(21) 및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지 않은 섬유(22))에 있어서의,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는 섬유(21)의 비율이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는 섬유(21)의 비율은 상술한 섬유직경 측정법에 있어서, 랜덤으로 10개 고른 섬유(20)를 약 750배로 확대한 SEM 화상으로부터, 선단 섬유직경의 증가 비율을 각각 산출하여,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는 섬유(21)의 비율을 산출한다. In the nonwoven fabric 1, only one end portion 20a of the fibers 20 (the fibers 21 having the thick free end portions 20b) fixed by the heat-sealed portion 3, The ratio of the fiber 21 having the free end portion 20b to 20% or more is preferably 20% or more, more preferably 30% or more, in the free end portion 20b , And particularly preferably 40% or more. The ratio of the fiber 21 having the free end portion 20b increased from the SEM image obtained by enlarging the fibers 10 randomly selected by the fiber diameter measuring method described above by about 750 times, And the ratio of the fibers 21 in which the free end 20b is thick is calculated.

또한 부직포(1)는 열융착부(3)의 주변부에서 절단된 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부직포(1)의 열융착부(3)를 랜덤으로 골라서 열융착부(3)의 주변부(열융착부(3)와 장섬유(2)의 경계에서 외측 및 내측으로 100㎛ 이내의 범위, 총계 10㎟분)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다. 섬유가 절단된 자국(엠보싱부의 섬유가 눌려서 찌부러진 형상과, 눌려서 찌부러지지 않고 섬유형상 그대로인 부분이 비연속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셌을 경우에, 이 섬유가 절단된 자국 수가 많으면, 극표면(極表面)만 기모하고 있게 되어, 기모량치고는 파단 강도가 높은 부직포가 얻어지는 점에서, 3군데 이상 절단된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5군데~15군데 절단된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nonwoven fabric 1 also contains fibers cut at the periphery of the heat-sealed portion 3. The heat-welded portions 3 of the nonwoven fabric 1 are randomly select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heat-sealed portion 3 10 mm 2) is observed with an electron microscope. In the case where the marks of the cut portion of the fibers (the portion of the embossed portion where the fibers are crushed and crushed, and the portions where the fibers remain unbroken without being crushed and are discontinuous) are coun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nonwoven fabric is a nonwoven fabric that has been cut at three or more points, more preferably, a nonwoven fabric that has been cut at five to fifteen places.

부직포(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융착부(3, 3)들 사이에서 루프형상으로 기립하는 루프형상 섬유(23)를 가지고 있다. 기립되어 있는 "루프형상 섬유(23)"란, 상술한 섬유직경 측정법에서 도 5(c)와 같이 관찰했을 때, 타단부측에 자유단부(20b)를 가지지 않고, 꺾인선(Z)에서 0.5mm 이상 떨어져서 기립되어 있는 섬유를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루프형상 섬유(23)란 상기 기립되어 있는 루프형상 섬유를 말한다. 본 실시형태의 부직포(1)를 구성하는 섬유는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는 섬유(21) 및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지 않은 섬유(22)로 이루어지는, 일단부(20a)만이 열융착부(3)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섬유(20)와, 섬유(20) 이외에, 열융착부(3, 3)들 사이에서 루프형상으로 기립되는 루프형상 섬유(23)를 가지고 있다. 부직포(1)는 피부에 걸리지 않아 불쾌감이 저감되어 촉감 향상으로 이어지는 관점에서, 부직포(1)를 구성하는 섬유 중 일단부(20a)만이 열융착부(3)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섬유(20) 및 루프형상 섬유(23)의 총 수에서 루프형상 섬유(23)의 비율이 50%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고, 4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루프형상 섬유(23)의 비율은 상술한 섬유직경의 측정법에서, 약 50배로 확대한 SEM 화상으로부터 랜덤으로 10개 섬유를 고르고, 랜덤으로 고른 10개의 섬유로부터, 일단부(20a)만이 열융착부(3)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섬유(20)(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는 섬유(21),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지 않은 섬유(22)), 및 루프형상 섬유(23)를 추출하고, 섬유(21), 섬유(22) 및 섬유(23)의 총 수에서 섬유(23)(루프형상 섬유)의 비율을 산출하여 구한다. 한편, 측정값은 다른 부위의 SEM 화상 9점으로부터도 마찬가지로 비율을 구해, 그들의 10점 평균에 의해 산출한다. 한편, 랜덤으로 고른 10개의 섬유 중에 루프형상 섬유(23)가 1개 포함될 경우, 루프형상 섬유(23)는 1개로 카운트한다. As shown in Fig. 1, the nonwoven fabric 1 has loop-shaped fibers 23 rising in a loop shape between the heat-sealed portions 3, 3. The standing looped fiber 23 has no free end 20b on the other end side and has a free end 20b on the broken line Z when observed as in Fig. 5 (c) mm < / RTI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op-shaped fibers 23 are the loop-shaped fibers standing up. The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formed such that only one end portion 20a made of the fiber 21 having the free end portion 20b thick and the fiber 22 having no thick free end portion 20b The fibers 20 fixed by the heat fusion portion 3 and the loop shaped fibers 23 rising in a loop shape between the heat fusion portions 3 and 3 in addition to the fibers 20 are also provided. The fibers 20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1 and the fibers 20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1 are fixed only by the heat-sealed portions 3 from the viewpoint that the nonwoven fabric 1 is not caught on the skin, Shaped fibers 23 in the total number of loop-shaped fibers 23 and loop-shaped fibers 23 is preferably less than 50%,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45%, and particularly preferably not more than 40%. In the above-mentioned fiber diameter measurement method, the loop-shaped fibers 23 are randomly selected from 10 randomly selected fibers from a SEM image enlarged by about 50 times, and only one end 20a of the loop- The fibers 20 (the fibers 21 having the free end 20b thickened, the fibers 22 having the free end 20b not thickened) and the loop-shaped fibers 23 And the ratio of the fibers 23 (loop-shaped fibers) is calculated from the total number of the fibers 21, the fibers 22 and the fibers 23, and is obtained. On the other hand, the measured values are similarly calculated from 9 points of the SEM images of the other regions and are calculated by their 10-point average. On the other hand, when one loop-shaped fiber 23 is included among 10 randomly selected fibers, the loop-shaped fiber 23 is counted as one.

부직포(1)에서는 자유도가 비교적 높아진 섬유를 포함함으로써 섬유간의 틈이 메워져 표면의 거칠기가 작고 매끄러워진다. 촉감 향상으로 이어지는 관점에서 섬유직경의 분포(분산도)는 넓으면 넓을수록 바람직한데, 촉감의 관점에서는 0.33 이상이면 충분히 만족할만한 효과가 얻어지고, 0.35 이상이면 더욱 만족할만한 효과가 얻어진다. 섬유직경의 분포(분산도)는 특별히 상한은 없지만, 100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섬유직경의 분포(분산도)는 0.35~0.9이다. 여기서 말하는 섬유직경의 분포(분산도)란, 부직포(1)를 구성하는 모든 섬유의 섬유직경의 분포(분산도)를 의미하며, 일단부(20a)만이 열융착부(3)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섬유(20), 루프형상 섬유(23), 및 양 단부가 열융착부(3)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루프형상으로 기립되어 있지 않은 섬유(후술하는 가공 처리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섬유) 전체의 분포이다. 섬유직경의 분포(분산도)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된다. In the nonwoven fabric (1), since the fibers having a relatively high degree of freedom are included, the gaps between the fibers are filled, and the roughness of the surface is small and smooth. From the viewpoint of tactile improvement, the wider and wider the distribution (dispersion degree) of the fiber diameter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tactile feeling, a satisfactory effect is obtained when the difference is 0.33 or more, and a more satisfactory effect is obtained when the difference is 0.35 or more. The distribution (dispersion degree) of the fiber diamet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00 or less. More preferably, the fiber diameter distribution (dispersion degree) is 0.35 to 0.9. The distribution (dispersion degree) of the fiber diameters herein means the distribution (dispersion degree) of the fiber diameters of all the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1. Only one end 20a is fixed by the heat-sealed portion 3 The fibers 20, the loop-like fibers 23, and both ends are fixed by the heat-sealed portion 3, and the fibers that are not standing in a loop form (fibers that are not affected by the processing described later) Distribution of the whole. The distribution of the fiber diameter (dispersion degree)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섬유직경의 측정법[섬유직경의 분포(분산도)의 측정법] Method of measuring fiber diameter [Method of measuring the distribution of fiber diameter (dispersion degree)] [

먼저 22℃ 65%RH 환경하에서, 측정할 부직포(1)에서 예리한 면도칼로 X방향으로 2cm, Y방향으로 2cm 크기의 측정편을 잘라내, 카본 테이프를 얹은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용 알루미늄제 시료대에 접지 않고 그대로 얹어서 고정한다. 다음으로, 약 750배로 확대한 SEM 화상으로부터 랜덤으로 섬유를 10개 추출하여, 자유단부(20b)를 제외한 부위에서 각각의 섬유직경을 측정한다(한편, 측정하는 부직포(1)가, 스펀본드층과 멜트블로운층의 적층 부직포를 바탕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멜트블로운층의 섬유는 고르지 않고 스펀본드층의 섬유만 선택한다.). 1개의 상기 알루미늄제 시료대에서 10개의 섬유직경을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하고, 측정된 10개의 섬유직경(d1~d10)에서 평균값(dave)을 구하고, 얻어진 10개의 섬유직경(d1~d10)과 평균값(dave)으로부터, 하기의 식(2)로, 랜덤으로 고른 10개 섬유의 섬유직경의 분포를 구한다. 측정 단위는 ㎛로 하고, 0.1㎛의 분해능으로 계측한다. 10개 섬유의 섬유직경의 분포를 측정하여, 1개의 부직포(1)에 대하여 6개소 상기 알루미늄제 시료대를 작성하고, 각 개소에서 얻어진 10개 섬유의 섬유직경 분포의 평균값(하기 식(3) 참조)을, 부직포(1)의 섬유직경 분포로 한다. 한편, 10개 섬유의 섬유직경 분포의 산출에는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표계산 소프트 excel2003의 VARPA 함수를 사용한다. First, a measuring piece having a size of 2 cm in the X direction and 2 cm in the Y direction was cut with a sharp razor in the nonwoven fabric 1 to be measured under the environment of 22 ° C and 65% RH, and a sample made of aluminum fo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Put it on the stand as it is without folding. Next, ten fibers are randomly extracted from the SEM image enlarged by about 750 times, and the fiber diameters of the non-woven fabric 1 are measured at portions except for the free end 20b (the nonwoven fabric 1 to be measured is the spunbond layer And the laminated nonwoven fabric of the meltblown layer, the fibers of the meltblown layer are uneven and only the fibers of the spunbond layer are selected). Ten fiber diameters were measured as described above in one of the aluminum sample bands and an average value (d ave ) was determined from ten measured fiber diameters (d 1 to d 10 ), and the obtained ten fiber diameters d 1 ~ d 10) and the average value (d from ave), the formula (2) below, obtains the distribution of the fiber diameters of 10 fibers picked at random. The measurement unit is set to be 탆, and measurement is made with a resolution of 0.1 탆. The distribution of the fiber diameters of the ten fibers was measured to prepare six samples of the aluminum sample band for one nonwoven fabric 1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fiber diameter distributions of the ten fibers obtained at each spot (the following formula (3) (Hereinafter referred to as " nonwoven fabric 1 "). On the other hand, the VARPA function of the excel2003 table calculation software of Microsoft is used for calculating the fiber diameter distribution of 10 fibers.

10개 섬유의 섬유직경 분포= [(d1-dave)2+(d2-dave)2+ … (d10-dave)2)]/10 …(2) The fiber diameter distribution of 10 fibers = [(d 1 -d ave ) 2 + (d 2 -d ave ) 2 + ... (d 10 -d ave ) 2 )] / 10 ... (2)

부직포(1)에서의 섬유직경 분포(분산도)=(상기 식(2)에서 얻어진 10개 섬유의 섬유직경 분포의 총 합)/6 …(3) The fiber diameter distribution (dispersion degree) in the nonwoven fabric 1 = (the sum of the fiber diameter distributions of the ten fibers obtained in the above formula (2)) / 6 (3)

부직포(1)는 촉감이 좋아지는 관점에서, 기모되어 있는 섬유가 8개/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개/c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충분한 파단 강도가 얻어지는 관점에서 상한은 100개/c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관상 보풀이 일어나 보이지 않는 점에서 40개/cm 이하가 바람직하다. 기모되어 있는 섬유는 이하의 측정법으로 측정한다. The nonwoven fabric 1 preferably has 8 fibers / cm or more, more preferably 12 fibers / cm or more, from the standpoint of improving the feeling of touch.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sufficient breaking strength,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not more than 100 / cm,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40 / cm from the viewpoint of appearance of nappy. The brushed fibers ar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측정법] [Measuring method of brushed fibers]

도 6은 22℃ 65%RH 환경하에서, 부직포(1)를 구성하는 섬유 중에서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개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먼저, 측정할 부직포에서 예리한 면도칼로 20cm×20cm의 측정편을 잘라내,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편의 기모된 면에서 바깥으로 접어 측정 샘플(104)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이 측정 샘플(104)을 A4 사이즈의 검은 대지(臺紙) 위에 얹고,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또 그 위에 세로 1cm×가로 1cm의 구멍(107)을 낸 A4 사이즈의 검은 대지를 얹는다. 이 때,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 샘플(104)의 접힘선(105)이, 위쪽 검은 대지의 구멍(107)으로부터 보이도록 배치한다. 양쪽 대지에는 후지쿄와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의 "켄란(흑) 연량(ream weight) 265g"을 이용하였다. 그 후, 위쪽 대지 구멍(107)의 양측 각각으로부터, 접힘선(105)을 따라 바깥으로 5cm 떨어진 위치에 50g의 추를 각각 얹어, 측정 샘플(104)이 완전히 접힌 상태를 만든다. 다음으로,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스코프(KEYENCE사 제품 VHX-900)를 이용해서 30배의 배율로 대지의 구멍(107) 안을 관찰하고, 측정 샘플(104)의 접힘선(105)에서 0.2mm 위쪽으로 평행 이동한 위치에 형성되는 가상선(108)보다 위쪽으로 기모되어 있는 1cm당 기모된 섬유의 개수를 계측한다. 9개소 계측하여, 평균값(소수 둘째자리를 사사오입)을 기모되어 있는 섬유로 한다.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number of fibers brushed i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1 under an environment of 22 ° C and 65% RH. First, a measuring piece of 20 cm x 20 cm is cut out from a nonwoven fabric to be measured with a sharp razor blade, and the measuring sample 104 is folded out from the worn surface of the measuring piece as shown in Fig. 6 (a). Next, as shown in Fig. 6 (b), the measurement sample 104 is laid on a blackboard of A4 size, and a hole 107 of 1 cm length x 1 cm width is laid thereon. Put the black groun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b), the folding line 105 of the measurement sample 104 is arranged so as to be seen from the hole 107 in the upper black ground. "Kenan (black) ream weight 265 g" of Fuji Kyowa and Seishi Kabushiki Kaisha was used for both sites. Thereafter, a weight of 50 g is placed on each of the both sides of the upper ground hole 107 at a position 5 cm away from the outer side along the folding line 105 to make the measurement sample 104 completely folded. Next, as shown in Fig. 6 (c), the hole 107 of the ground is observed at a magnification of 30 times using a microscope (VHX-900 manufactured by KEYENCE Co., Ltd.) The number of brushed fibers per 1 cm brushed upward above the imaginary line 108 formed at a position shifted upward by 0.2 mm is measured. And the average value (rounding off the prime number) is used as the brushed fiber.

또한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수를 셀 때에는 예를 들면 도 6(c)에 나타내는 섬유(106a)와 같이, 접힘선(105)에서 0.2mm 위쪽에 있는 가상선(108)을 2회 가로 지르는 섬유가 있을 경우, 그 섬유는 2개로 센다. 구체적으로는, 도 6(c)에 나타낸 예에서는 가상선(108)을 1회 가로지르는 섬유가 4개, 가상선(108)을 2회 가로 지르는 섬유(106a)가 1개 존재하는데, 2회 가로지르는 섬유(106a)는 2개로 세어서, 기모된 섬유의 개수는 6개가 된다. When the number of worn-out fibers is counted, a fiber that crosses the imaginary line 108, which is 0.2 mm above the folding line 105 twice, as in the case of the fiber 106a shown in Fig. 6 (c) If present, the fibers count as two. Specifically,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c), there are four fibers crossing the imaginary line 108 once, and one fiber 106a crossing the imaginary line 108 twice. The number of fibers 106a crossed is counted as two, and the number of woven fibers is six.

부직포(1)는 촉감 향상의 관점에서, 기모되어 있는 섬유(가상선(108)을 가로 지르는 섬유)의 평균 섬유직경이, 같은 면의 기모되지 않은 부위의 표면 섬유(가상선(108)을 가로지르지 않고, 가상선(108)에 도달하지 않은 섬유)의 평균 섬유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섬유직경은 기모되어 있는 섬유, 및 기모되지 않은 섬유 각각 12개소의 섬유직경을 현미경(광학현미경, 또는 SEM 등)으로 계측한 섬유직경을 말한다.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섬유직경은 기모되어 있지 않은 섬유의 97%~40%가 바람직하고, 90%~40%인 것이 촉감이 뛰어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The nonwoven fabric 1 is preferably made such that the average fiber diameter of the brushed fibers (fibers crossing the imaginary line 108) is greater than the average fiber diameter of the surface fibers (the imaginary line 108) And the fibers not reaching the imaginary line 108) are preferably smaller than the average fiber diameter of the fibers. The average fiber diameter refers to a fiber diameter measured by a microscope (optical microscope, SEM or the like) of the fiber diameter of twelve portions of each of the brushed and unbrushed fibers. The fiber diameter of the brushed fiber is preferably from 97% to 40%, more preferably from 90% to 40%, of the non-brushed fiber, since it is excellent in touch.

또한 부직포(1)는 보풀 뭉치가 되기 어렵고 털이 빠지기 어려우며, 외관적으로 부드러워 보여서 바람직한 관점에서,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높이가 1.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8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관점에서는 낮으면 낮을수록 바람직하지만, 0.2mm 이상이면 충분히 만족할만한 촉감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에 더하여 파단 강도와의 양립을 위해,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높이가 1.5mm 이하이면서, 기모되어 있는 섬유가 8개/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높이가 0.5mm 이하이면서, 기모되어 있는 섬유가 15개/cm 이상인 것이, 피부에 달라붙기 어려워 감촉이 바람직하다는 점에서 좋다. 여기서 섬유의 높이란, 섬유의 길이와 달리, 섬유를 측정할 때 잡아당기지 않고 자연 상태에서의 섬유 높이를 의미한다.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길이값이 큰 경우나 섬유의 강성이 높으면,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높이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높이는 이하의 측정법으로 측정한다. In addition, the nonwoven fabric 1 is preferably a nonwoven fabric having a height of 1.5 mm or less, more preferably 0.8 mm or less, from the viewpoint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napkin 1 to become a napkin, From the above viewpoint, the lower the lower the better, but the greater the upper limit of 0.2 mm, the satisfactory tactile sensation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o the above, in order to be compatible with the breaking strength,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brushed fiber is 1.5 mm or less, and the brushed fibers are 8 / cm or more.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worn-out fiber is 0.5 mm or less, and the worn-out fiber is 15 / cm or more because it is hard to stick to the skin and the feeling is preferable. Here, unlike the length of the fiber, the height of the fiber means the height of the fiber in the natural state without pulling it when the fiber is measured. When the length of the brushed fiber is large or when the rigidity of the fiber is high, the height of the brushed fiber tends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brushed fiber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ement method.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높이는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개수를 측정할 때에 동시에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지의 구멍(107) 안을 관찰하고, 접힘선(105)에서 평행하게 선을 0.05mm마다 기모 섬유가 교차하지 않게 되는 곳까지 긋는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한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개수(0.2mm 위쪽에 있는 가상선(108)으로부터 판단)에 비해, 평행한 선에 교차하는 섬유가 절반이 되는 평행선을 골라, 거기에서 접힘선까지의 거리를 기모 높이로 한다. 이상의 조작을 측정하는 부직포에 대하여 3장분 계측하고, 1장에 대하여 3개소, 3장에서 합계 9개소의 평균을 내,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높이로 한다. The height of the brushed fiber is measured simultaneously when the number of brushed fibers is measured.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c), the inside of the hole 107 is observed, and a line parallel to the folding line 105 is drawn to the point where the brushed fibers do not intersect every 0.05 mm. Next, a parallel line in which fibers intersecting parallel lines are halved, as compared with the number of brushed fibers measured as described above (judged from imaginary line 108 above 0.2 mm), and folds The distance to the line is the brushed height. The nonwoven fabric for measuring the above operation is measured for three minutes, and an average of nine points in total at three points and three points for one sheet is taken as the height of the brushed fibers.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높이, 및 기모되어 있는 섬유에 더하여 부직포(1)의 벌크 유연성(bulk softness)이 8.0cN 이하인 것이, 유연한 것이 얻어져 촉감이 뛰어난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0.5~3.0cN인 것이, 영아나 유아의 배내옷과 같이 부드러워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벌크 유연성은 이하의 측정법으로 측정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bulk softness of the nonwoven fabric 1 is 8.0 cN or less in addition to the height of the worn-out fiber and the worn-out fiber, because it is flexible and excellent in touch.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content is 0.5 to 3.0 cN because it softens like infant liners and infant clothes. Bulk flexibility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벌크 유연성의 측정방법] [Method of measuring bulk flexibility]

부직포(1)의 벌크 유연성은 22℃ 65%RH 환경하에서, 부직포(1)를 MD방향으로 150mm, CD방향으로 30mm 잘라내, 직경 45mm의 링형상으로, 스테이플러를 이용해서 단부를 상하 2군데에서 고정한다. 이 때 스테이플러의 심은 MD방향으로 길어지도록 한다. 인장 시험기(예를 들면 오리엔테크사제 텐실론 인장 시험기 "RTA-100")를 이용해서, 시료대 위에 상기 링을 통형상으로 세워, 위쪽에서 대와 거의 평행한 평판으로 압축 속도 10mm/분의 속도로 압축해 갔을 때의 최대 하중을 측정하여, CD방향의 벌크 유연성으로 한다. 다음으로, MD방향과 CD방향을 바꿔서 링을 제작하고, 마찬가지로 MD방향의 벌크 유연성을 측정한다. MD방향 및 CD방향 각각 2개씩 링을 제작하여 측정하고, 이 CD방향과 MD방향의 평균값들을 부직포(1)의 벌크 유연성으로 한다. The bulk flexibility of the nonwoven fabric 1 was measured by cutting the end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1 at 150 mm in the MD direction and 30 mm in the CD direction under the environment of 22 ° C and 65% RH in a ring shape with a diameter of 45 mm do. At this time, the stem of the stapler is made longer in the MD direction. The ring was placed in the form of a cylinder on a sample table using a tensile tester (e.g., Tensilon tensile tester "RTA-100" manufactured by Orientec Co., Ltd.), and a flat plat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able To measure the maximum load at the time of compression to obtain the bulk flexibility in the CD direction. Next, the ring is manufactured by changing the MD direction and the CD direction, and similarly, the bulk flexibility in the MD direction is measured. The rings are fabricated and measured in the MD direction and the CD direction, respectively, and average values in the CD direction and the MD direction are taken as the bulk flexibility of the nonwoven fabric 1.

부직포(1)를 형성하는 원래의 스펀본드 부직포에 유연제를 이겨넣거나 도포하거나 하면,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효과적이다. 유연제로는 예를 들면 왁스 에멀전, 반응형 유연제,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아미노기 함유 실리콘, 옥시알킬렌기 함유 실리콘,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 활성제로는 카르복실산염계의 음이온 계면 활성제, 술폰산염계의 음이온 계면 활성제, 황산에스테르염계의 음이온 계면 활성제, 인산에스테르염계의 음이온 계면 활성제(특히 알킬인산에스테르염) 등의 음이온 계면 활성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올레에이트,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모노올레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 모노 지방산 에스테르, N-(3-올레일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디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밀납,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세스퀴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등의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제4급 암모늄염, 아민염 또는 아민 등의 양이온 계면 활성제; 카르복시, 술포네이트, 설페이트를 함유하는 제2급 혹은 제3급 아민의 지방족 유도체, 또는 복소환식 제2급 혹은 제3급 아민의 지방족 유도체 등의, 양성 이온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공지의 약제를 부차적 첨가제(소량 성분)로서 본 발명의 유연제에 첨가할 수 있다. If the original spunbonded nonwoven fabric forming the nonwoven fabric 1 is impregnated with a softening agent or applied,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effective. As the softening agent, for example, a wax emulsion, a reactive softening agent, a silicone system, a surfactant and the like can be used.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o use an amino group-containing silicone, an oxyalkylene group-containing silicone, or a surfactant. Examples of the surfactant include anionic surfactants such as an anionic surfactant based on a carboxylate salt, an anionic surfactant based on a sulfonic acid salt, an anionic surfactant based on a sulfate ester salt, and an anionic surfactant based on a phosphate ester salt (particularly, alkylphosphate ester salts); Polyhydric alcohol mono fatty acid esters such as sorbitan fatty acid esters, diethylene glycol monostearate, diethylene glycol monooleate, glyceryl monostearate, glyceryl monooleate and propylene glycol monostearate, N- (3-ole 2-hydroxypropyl) diethanolamine, polyoxyethylene hydrogenated castor oil, polyoxyethylene sorbit beeswax, polyoxyethylene sorbitan sesquistearate, polyoxyethylene monooleate, polyoxyethylene glyceryl mono Nonionic surfactants such as oleate, polyoxyethylene monostearate, polyoxyethylene monolaurate, polyoxyethylene monooleate, polyoxyethylene cetyl ether, and polyoxyethylene lauryl ether; quaternary ammonium salts, amines Cationic surfactants such as salts or amines; Amphoteric surfactants such as aliphatic derivatives of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containing carboxy, sulfonate and sulfate or aliphatic derivatives of heterocyclic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can be used. If necessary, known medicaments may be added to the soften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econdary additive (small amount).

유연제를 포함함으로써, 촉감이 좋고 털 빠짐이 적으며, 표면의 피부 마찰도 낮고, 파단 강도도 높아 본 발명에서 효과가 특히 높다. By including the softening agent, the skin feel is good, the hair loss is small, the skin friction on the surface is low, and the breaking strength is high, so that the effect is particularly high in the present invention.

유연제는 단락 <0026>에 기재된 상기 랜덤 코폴리머와의 병용이, 보다 그 효과를 증가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기모된 섬유에서 랜덤 코폴리머에 의한 미끈미끈함이 생기는 것을 유연제로 인해 저감시킬 수 있어, 산뜻한 촉감이 얻어지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The softening agent is preferably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random copolymer described in the paragraph to further increase its effect,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smoothness caused by the random copolymer in the brushed fiber due to the softening agent,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in that a fresh touch is obtained.

또한 부직포(1)가, 후술하는 스펀본드층과 멜트블로운층의 적층 부직포를 바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층 부직포의 스펀본드층이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예를 들어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적층 부직포, 스펀본드-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적층 부직포 등을 이용할 경우에는, 한 층의 스펀본드층에만 상기 유연제를 이겨넣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든 스펀본드층에 이겨넣거나 해도 된다. 한 층의 스펀본드층에 유연제를 이겨넣었을 경우에는, 그 층측에 후술하는 가공 처리를 실시하여, 자유단부가 굵어져 있는 섬유를 구비하도록 하면, 촉감이 좋고 파단 강도도 높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부직포(1)는 촉감이나 파단 강도의 조정이 용이한 점에서, 스펀본드 부직포 단체(單體)를 바탕으로 형성하는 것보다, 스펀본드층과 멜트블로운층의 적층 부직포를 바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nonwoven fabric 1 is formed on the basis of a laminated nonwoven fabric of a spunbond layer and a meltblown layer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punbond layer of the laminated nonwoven fabric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punbond-meltblown- When the spunbond laminated nonwoven fabric, the spunbond-spunbond-meltblown-spunbond laminated nonwoven fabric or the like is u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oftener be overlaid on only one of the spunbond layers and may be overlaid on all of the spunbond layers . When a softener is mixed in a spunbond layer of one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ayer is provided with a fiber having a free end portion by performing a processing described later on the layer side so as to provide good tactile feel and high breaking strength. As described above, the nonwoven fabric 1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laminated nonwoven fabric of the spunbond layer and the meltblown layer,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nonwoven fabric 1 is formed based on a single spunbonded nonwoven fabric .

다음으로, 본 발명의 부직포(1)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3,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부직포(1)의 제조방법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제조장치는 프리(pre) 가공부(4)와, 프리 가공부(4)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기모 가공부(5)로 크게 구별된다. Next, a preferred production method of the nonwoven fabric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The manufacturing apparatus preferably used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nonwoven fabric 1 is roughly classified into a pre-processing section 4 and a brushed processing section 5 disposed downstream of the pre-processing section 4. [

프리 가공부(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리는 볼록부(410)와 오목부(420)가 둘레면에 마련된 1쌍의 롤(41, 42)로 이루어지는 스틸 매칭 엠보싱 롤러(steel matching embossing roller)(43)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틸 매칭 엠보싱 롤러(43)는 롤(41)의 둘레면에 마련된 복수개의 볼록부(410)와 롤(42)의 둘레면에 마련된 복수개의 오목부(420)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볼록부(410)는 롤(41)의 회전축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각각 균일하고도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1쌍의 롤(41, 42)은 어느 한쪽의 회전축으로 구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맞물려서 회전한다. 또한 프리 가공부(4)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틸 매칭 엠보싱 롤러(43)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원료 부직포(10)를 반송하는 반송 롤(44, 45)을 구비하고 있다. 3, the pre-processed portion 4 includes a convex portion 410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 steel-matched embossing roller (steel) 41 comprising a pair of rolls 41 and 42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420 matching embossing roller (43). 3, the steel matching embossing roller 43 has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410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 41 and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420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 42, And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410 are uniformly and regularly arranged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ll 41, respectively. The pair of rolls 41 and 42 are engaged and rotated as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means (not shown) to either one of the rotating shafts. 3, the pre-processing section 4 is provided with conveying rolls 44 and 45 for conveying the raw material nonwoven fabric 10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steel matching embossing roller 43 .

롤(41)의 각 볼록부(410)는 롤(41)의 둘레면에서 볼록부(410)의 정점까지의 높이가 1~1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2~7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회전축방향으로 이웃하는 볼록부(410)끼리의 거리(피치)는 0.01~2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둘레방향으로 이웃하는 볼록부(410)끼리의 거리(피치)는 0.01~2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롤(41)의 각 볼록부(410)의 꼭대기부 표면의 형상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원형, 다각형, 타원형 등이 이용되고, 각 볼록부(410)의 꼭대기부 표면의 면적은 0.01~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롤(42)의 각 오목부(420)는 롤(41)의 각 볼록부(41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롤(41)의 각 볼록부(410)와 롤(42)의 각 오목부(420)의 맞물림 깊이(각 볼록부(410)와 각 오목부(420)가 겹쳐 있는 부분의 길이)는 0.1~1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5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Each convex portion 410 of the roll 41 preferably has a height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 41 to the apex of the convex portion 410 of 1 to 10 mm and more preferably 2 to 7 mm. The distance (pitch) between adjacent convex portions 410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is preferably 0.01 to 20 mm, more preferably 1 to 10 mm, and the distance (pitch) between neighboring convex portions 4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eferably 0.01 to 20 mm, more preferably 1 to 10 mm. The shape of the top surface of each convex portion 410 of the roll 4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circular, polygonal, elliptical, or the like, and the area of the top surface of each convex portion 410 may be 0.01 To 500 mm &lt; 2 &gt;, and more preferably 0.1 to 10 mm &lt; 2 &gt;. Each recess 420 of the roll 42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vex portion 410 of the roll 41. The engaging depth of each convex portion 410 of the roll 41 and the concave portion 420 of the roll 42 (the length of the portion where each convex portion 410 and each concave portion 420 overlap) More preferably 1 to 5 mm, and still more preferably 1 to 5 mm.

기모 가공부(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면에 볼록부(510)가 마련된 볼록 롤(51)을 구비하고, 볼록 롤(51)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원료 부직포(10')를 반송하는 반송 롤(52, 53)을 구비하고 있다. 볼록 롤(51)은 그 회전축으로 구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회전한다. 4, the brushed portion 5 is provided with a convex roll 51 provided with a convex portion 510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is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nvex roll 51 with a raw material nonwoven fabric 10 ') For transporting the recording medium. The convex roll 51 rotates as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means (not shown) to the rotational shaft.

볼록 롤(51)의 각 볼록부(510)는 볼록 롤(51)의 둘레면에서 볼록부(510)의 정점까지의 높이가 0.001~3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0.1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회전축방향으로 이웃하는 볼록부(510)끼리의 거리(피치)는 0.1~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1~3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둘레방향으로 이웃하는 볼록부(510)끼리의 거리(피치)는 0.1~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1~3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볼록 롤(51)의 각 볼록부(510)의 꼭대기부 표면의 형상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원형, 다각형, 타원형 등이 이용되고, 각 볼록부(510)의 꼭대기부 표면의 면적은 0.00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Each convex portion 510 of the convex roll 51 preferably has a height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51 to the apex of the convex portion 510 is preferably 0.001 to 3 mm and more preferably 0.001 to 0.1 mm . (Pitch) between adjacent convex portions 510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is preferably 0.1 to 50 mm, more preferably 0.1 to 3 mm, and the distance (pitch) between neighboring convex portions 5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eferably 0.1 to 50 mm, more preferably 0.1 to 3 mm. The shape of the top surface of each convex portion 510 of the convex roller 5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circular, polygonal, elliptical, or the like, and the area of the top surface of each convex portion 510 may be More preferably from 0.001 to 20 mm &lt; 2 &gt;, and even more preferably from 0.01 to 1 mm &lt; 2 &gt;.

이러한 구성의 프리 가공부(4) 및 기모 가공부(5)를 구비하는 제조장치에서는, 먼저 부직포(1)의 원료인, 예를 들면 띠형상의 스펀본드 부직포(원료 부직포(10))를 롤(미도시)에서 풀어내, 반송 롤(44, 45)에 의해 원료 부직포(10)를 스틸 매칭 엠보싱 롤러(43)의 1쌍의 롤(41, 42) 사이에 반송한다. 프리 가공부(4)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 부직포(10)를 1쌍의 롤(41, 42) 사이에 끼워 눌러서 원료 부직포(10)에 데미지를 준다. 데미지를 줄 때, 스펀본드 부직포의 구성 섬유 사이에서 열융착을 일으키지 않는 관점에서, 스틸 매칭 엠보싱 롤러(43)의 1쌍의 롤(41, 42)은 적극적으로 가열을 하지 않거나, 또는 원료 부직포(10)를 구성하는 섬유의 성분 중 가장 낮은 융점을 나타내는 성분의 융점 이하 온도로, 특히 상기 융점에서 70℃ 이상 더 낮은 온도로 스틸 매칭 엠보싱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the pre-processing unit 4 and the brushed processing unit 5 having such a constitution, the spun bond nonwoven fabric (raw material nonwoven fabric 10), for example, a strip-shaped raw material of the nonwoven fabric 1, (Not shown), and the raw material nonwoven fabric 10 is conveyed between the pair of rolls 41, 42 of the steel matching embossing roller 43 by the conveying rolls 44, 45. As shown in Fig. 3, in the pre-processing section 4, the raw material nonwoven fabric 10 is pressed between a pair of rolls 41 and 42 to damage the raw material nonwoven fabric 10. The pair of rolls 41 and 42 of the steel matched embossing roller 43 are not heated positively or the raw material nonwoven fabric (not shown in the drawing) does not actively heat from the viewpoint of causing no thermal fusion between constituent fibers of the spunbonded non-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steel-matched embossing process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component showing the lowest melting point among the components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steel sheet 10, particularly at a temperature of 70 deg. C or lower at the melting point.

다음으로, 데미지를 받은 원료 부직포(10')를, 반송 롤(52, 53)에 의해, 둘레면에 볼록부(510)가 마련된 볼록 롤(51)에 반송한다. 기모 가공부(5)에서는 데미지를 받은 원료 부직포(10')의 표면을 볼록 롤(51)로 가공하고,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장섬유(2)의 일부를 파단하여, 일단부(20a)만이 스펀본드 부직포의 열융착부(3)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섬유(20)를 가지는 부직포(1)를 형성한다(도 1 참조). 장섬유(2)의 일부를 파단하여, 도 1에 나타내는 섬유(20)를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관점에서, 볼록 롤(51)의 회전방향을, 원료 부직포(10')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원료 부직포(10')의 반송 속도에 대하여 0.3~10배의 속도로 볼록 롤(51)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둘레방향(반송방향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1.5~20배의 속도로 볼록 롤(51)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볼록 롤(51)의 속도는 볼록 롤(51)의 둘레면에서의 주속도(circumferential speed)를 의미한다. Next, the damaged raw material nonwoven fabric 10 'is conveyed by the conveying rolls 52 and 53 to the convex roll 51 provided with the convex portions 510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urface of the raw material nonwoven fabric 10 'that has undergone damage is processed into a convex roll 51 and a part of the long fibers 2 constituting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is broken to form the one end portion 20a, Only the nonwoven fabric 1 having the fibers 20 fixed by the heat-sealed portion 3 of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is formed (see Fig. 1).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convex roll 51 is set to be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w material nonwoven fabric 10 'is convey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arrying direction of the raw material nonwoven fabric 10' from the viewpoint of breaking a part of the long fibers 2 and efficiently forming the fibers 20 shown in Fig. , And it is preferable to rotate the convex roll 51 at a speed of 0.3 to 10 times the conveying speed of the raw material nonwoven fabric 10 '. When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or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rotate the convex roll 51 at a speed of 1.5 to 20 times. Here, the speed of the convex roll 51 means the circumferential speed a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vex roll 51. [

장섬유(2)의 일부를 더욱 효율적으로 파단하여, 도 1에 나타내는 섬유(20)를 더욱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관점에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 롤(51)보다 반송 롤(53)의 위치를 높게 설정하여, 데미지를 받은 원료 부직포(10')가 볼록 롤(51)의 접촉면에 10~180°의 포위각(wrap angle)(α)으로 접촉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0~120°의 포위각(α)으로 접촉해 있는 것이, 부직포의 넥크 인(neck in)에 의한 폭 감소가 억제되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The position of the conveying roll 53 relative to the convex roll 51 as shown in Fig. 4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more efficiently breaking a part of the long fibers 2 to more efficiently form the fibers 20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hat the damaged raw material nonwoven fabric 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face of the convex roll 51 at a wrap angle alpha of 10 to 180 degrees,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ontact with the envelope angle? Is suppressed because the width of the nonwoven fabric is reduced by the neck in.

한편, 일단부(20a)만이 열융착부(3)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섬유(20)를 부직포(1)의 양면에 형성할 경우에는, 볼록 롤(51)에 의해 가공한 원료 부직포(10')의 표면과 다른 표면(이면)을, 다른 볼록 롤(51)에 의해 또 가공함으로써 얻어진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fibers 20 whose one end portion 20a is fixed by the heat-sealed portion 3 are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nonwoven fabric 1, the raw material nonwoven fabric 10 ' (Another surface) different from the surface of the other convex roll 51 by the other convex roll 51.

본 발명자는 상기의 섬유(20)가 형성되는 이유로서, 스틸 매칭 엠보싱 롤러(43)에 의해 스펀본드 부직포(원료 부직포(10))가 연신되고, 스펀본드 부직포(원료 부직포(10))의 열융착부(3)에 약화점이 형성되며, 그 후 볼록 롤(51)에 의해, 부직포의 열융착부(3)의 극표면의 약화점에서 장섬유(2)가 파단되어, 열융착부(3)로부터 절단된 섬유가 형성된다고 추측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이 열융착부(3)로부터 절단된 섬유가,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는 섬유(21)라고 추측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자는 볼록 롤(51)에 의해, 열융착부(3)의 약화점에서 장섬유(2)가 박리되고, 이 열융착부(3)로부터 박리된 섬유가, 열융착부(3, 3)들 사이에서 루프형상으로 기립하는 루프형상 섬유(23)가 된다고 추측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자는 볼록 롤(51)로 표면을 가공할 때에, 열융착부(3, 3)들 사이에서 장섬유(2)가 파단되어,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지 않은 섬유(22)가 형성된다고 추측하고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부직포(1)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부직포는 종래의 기모방법으로 제조되는 부직포에 비해, 루프형상 섬유(23)나, 굵어져 있지 않은 섬유(22)의 비율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종래의 기모방법으로 제조되는 부직포와 같이, 굵어져 있지 않은 섬유(22)가 많이 존재하면, 엠보싱부와 엠보싱부 사이 등의 열융착부(3) 사이에서 파단되어, 열융착부(3) 사이에서 이른바 끊어진 틈(갈라진 틈, 구멍)이 생기게 된다. 이로 인해 기모되어 있지 않은 베이스 섬유를 흠집 내지 않고 기모할 수 있어 파단 강도가 높은 것이 얻어진다. 반대로, 약화점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기모하려고 하면, 보다 강한 힘으로 부직포 표면을 문지르지 않으면 섬유가 기모되기 어렵고, 기모되지 않은 극표면 이외의 베이스 섬유까지 기모시에 상처를 입히게 되기 때문에, 부직포 전체가 파단되기 쉬워 강도가 유지되기 어렵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부직포(1)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부직포는 굵어져 있지 않은 섬유(22)의 비율이 적으므로 파단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부직포를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등의 외포재로 이용했을 경우에는, 기저귀를 입으려 끌어올릴 때 손가락 등으로 뚫리기 어려워 찢어지기 어렵다(뚫림 강도(piercing strength)가 높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이드 실에 이용했을 경우, 기저귀를 벗을 때 사이드 실을 찢어서 탈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기저귀의 가로방향으로 부직포가 찢어지기 어려워, 보다 찢기 쉬운 것이 얻어진다. 또 약화점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기모하면, 열융착부로부터 섬유 박리가 생겨 기모 섬유의 개수가 적어지는 동시에, 기모 높이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보풀이 되기 쉽다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 쉬워진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reason why the fibers 20 are formed is that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raw nonwoven fabric 10) is stretched by the steel matching embossing roller 43 and the heat of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raw nonwoven fabric 10) The weakening point is formed in the fused portion 3 and then the long fiber 2 is broken at the weakening point of the pole surface of the heat fused portion 3 of the nonwoven fabric by the convex roll 51, ) Are formed in the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The present inventors assume that the fibers cut from the heat-sealed portion 3 are the fibers 21 having the free end portions 20b thick.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ound out that the long fibers 2 are peeled off at the weakening point of the heat fusion portion 3 and the fibers peeled from the heat fusion portion 3 are peeled off from the heat fusion portions 3, Shaped fibers 23 standing up in a loop shape between the fibers 3 and 3. The present inventors have also found that when the surface is processed with the convex roll 51, the long fibers 2 are broken between the heat-sealed portions 3 and 3, and the free ends 20b are not twisted with the fibers 22, Is formed. The nonwoven fabric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nonwoven fabric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maller ratio of the loop-shaped fibers 23 and the non-thickened fibers 22 than the nonwoven fabric produced by the conventional brassiere method . If there are a lot of unfolded fibers 22 such as a nonwoven fabric manufactured by the conventional brassiere method, it is broken between the embossed portion 3 and the embossed portion, Called cracks (cracks, holes) are created in the surface. As a result, the base fiber which is not brushed can be brushed without scratching, and a high breaking strength can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if the bristles are to be brushed with no weakening point formed, the fibers will not be brushed unless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is rubbed with a stronger force, and the base fibers other than the brushed nonwoven fabric will be scratched when brushed. Is likely to be broken, so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strength. On the other hand, the nonwoven fabric produced by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nonwoven fabric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breaking strength because the proportion of the fibers 22 that are not thick is small. In addition, when such a nonwoven fabric is used as an outer covering material of a disposable diaper or the like such as a pants-type disposable diaper, it is difficult to be ruptured with fingers or the like when pulling up the diaper to wear it, which makes it difficult to tear (high piercing strength). In addition, when the diaper is used in the side seats of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the side seals are torn off when the diaper is taken off. At this time, the nonwoven fabric is hardly tor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diaper, and more easily torn. Further, if the bristles are brushed without forming weakening points, the fibers are peeled off from the thermally fused portions, the number of the bristle fibers decreases, and the bristle height tends to increase. For this reason, problems such as easy formation of fluffs tend to occur.

상기 스틸 매칭 엠보싱 롤러(43)에 의해, 열융착부(3)와 열융착부(3) 사이의 섬유가 연신되는 동시에, 열융착부(3) 주변부에서 약화점이 형성되기 쉽다. 약화점의 조정은 스틸 매칭 엠보싱 롤러(43)의 상하 1쌍의 롤(41, 42)의 맞물림량에 따라 조정된다. 약화점은 연신방향에 대하여 접합부와 접합부 사이의 섬유길이가 짧은 것에 형성되기 쉽다. 이 약화점이 형성됨으로써 취약부가 생기고, 기모 가공부(5)에 의한 기모시에 섬유가 약화점에서 절단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기모 섬유가 짧은 것이 얻어지고 촉감이 뛰어나며, 외관상으로도 보풀이 눈에 띄지 않아 보풀 뭉치가 되기 어렵고, 파단 강도도 높은 기모 부직포가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동시에, 열융착부(3)와 열융착부(3) 사이의 섬유를 연신함으로써 섬유가 가늘어지고, 또한 열융착부(3)도 부드러워져서 촉감이 좋은 부직포가 얻어진다. 특히 스틸 매칭 엠보싱 롤러(43)에 의해 섬유가 가늘게 연신되어 길게 신장됨으로써, 섬유간의 거리가 늘어나 통기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기모 가공부(5)에 의해 기모처리함으로써 기모된 표면의 섬유의 부피 밀도(bulk density)가 저하되기 때문에, 같은 평량의 부직포여도 기모된 부직포쪽이 통기도가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섬유의 연신과 기모 처리를 조합함으로써, 통기도가 원래의 부직포에 비해 1.2~2.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3~1.8배로 향상된다. 통기도는 카토테크제 AUTOMATIC AIR-PERMEABILITY TESTER KES-F8-AP1로 통기 저항을 측정하고, 그 역수(逆數;reciprocal)로서 구한다. 얻어진 부직포의 통기도는 24m/(kPa·s)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감과 통기도가 모두 양호한 원료 부직포(10)의 스펀본드 부직포로는 멜트블로운층을 포함하지 않는 스펀본드층만이 적층된 것(예를 들면 스펀본드-스펀본드-스펀본드)로 구성되어 있는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The fibers between the heat-sealed portion 3 and the heat-sealed portion 3 are stretched by the steel-matched embossing roller 43 and weakening points are likely to be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heat-sealed portion 3. The adjustment of the weakening poin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engagement of the upper and lower pairs of rolls 41 and 42 of the steel matching embossing roller 43. The weakening point is likely to be formed in a short fiber length between the joining portion and the join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stretching direction. Since the weakened portion is formed and the fiber is easily cut at the weakening point during bricking by the brick processing portion 5, the short bristle fiber is obtained and the soft feel is excellent, and the lint is conspicuous even in appearance It is preferable that a roughened nonwoven fabric which is difficult to form a nap roll and has a high breaking strength is obtained. At the same time, the fibers between the heat-welded portion 3 and the heat-sealed portion 3 are stretched to make the fibers thin, and the heat-sealed portion 3 becomes soft. Especially, the fibers are stretched by the steel matching embossing roller 43 to be elongated and elongated, whereby the distance between the fibers is increased and the air permeability is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bulk density of the fibers on the brushed surface is lowered by brick processing by the brick processing section 5, the air permeability of the brick-made nonwoven fabric is improved even if the same basic weight is used. As described above, by combining the stretching of the fibers and the brushed treatment, the air permeability is improved to 1.2 to 2.0 times, more preferably 1.3 to 1.8 times as compared with the original nonwoven fabric. The air permeability is measured as a reciprocal by measuring the ventilation resistance with the AUTOMATIC AIR-PERMEABILITY TESTER KES-F8-AP1 manufactured by KATO TECH. The air permeability of the obtained nonwoven fabric is preferably 24 m / (kPa · s) or more.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of the raw material nonwoven fabric 10 having both good feel and air permeability is a nonwoven fabric composed of a laminate of only a spunbond layer not containing a meltblown layer (for example, spunbond-spunbond-spunbond) .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부직포(1)를 사용했을 때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effects of the above-described nonwoven fabric 1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형태의 부직포(1)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섬유(2)의 일부가 파단되어, 일단부(20a)만이 열융착부(3)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섬유(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섬유(2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에 부직포(1)에 푹신함을 줄 수 있다. 또한 장섬유(2)의 일부밖에 파단되지 않았기 때문에, 파단 강도를 원래의 스펀본드 부직포와 마찬가지로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부직포(1)의 섬유(2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는 섬유(21)를 포함하고 있다.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는 섬유(21)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자유단부(20b)가 따끔따끔하지 않고 피부에 걸리기 어려워 촉감이 좋다. 또한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는 섬유(21)는 자유단부(20b)측이 늘어지기 쉽고 매끄러워지므로 촉감이 좋다. 1, the nonwoven fabric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with fibers 20 in which a part of the long fibers 2 is broken and only one end portion 20a is fixed by the heat fusion portion 3 is formed . Since the fibers 20 are formed, the entire nonwoven fabric 1 can be fluffy. In addition, since the nonwoven fabric is not broken only in a part of the long fibers 2, the breaking strength can be maintained as high as that of the original spunbonded nonwoven fabric. In addition, the fibers 20 of the nonwoven fabric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fibers 21 having a free end portion 20b as shown in Fig. Since the free end 20b includes the thick fibers 21, the free end 20b is not prickly and hard to catch on the skin, so that the feel is good. In addition, the fibers 21 having the free end 20b of a larger thickness tend to stretch on the side of the free end 20b and are smooth, so that the feel is good.

스펀본드 부직포나 스펀본드 적층 부직포는 종래 푹신함이 적어, 에어스루 제법의 부직포에 비해 촉감이 떨어진다.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부직포(1)에 의하면, 스펀본드층과 멜트블로운층의 적층 부직포가 가지는 일본 종이와 같은 매끄러움에, 푹신함을 더하여 촉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or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has a less soft feeling than conventional nonwoven fabrics, and is less tactile than the nonwoven fabric of the air through method. According to the nonwoven fabric 1 of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ftness is added to the smoothness of a laminated nonwoven fabric of a spunbond layer and a meltblown layer, such as Japanese paper, and the feeling can be greatly improved.

부직포(1)의 이용 범위는 주로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구성 부재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구성 부재로는 예를 들면 표면 시트, 이면 시트, 외장체를 구성하는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부직포(1)의 이용 범위는 그 밖에 청소용 시트에도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하, 부직포(1)를 이용한 일회용 기저귀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use range of the nonwoven fabric 1 is suitably used for constituent members of absorbent articles such as disposable diapers and sanitary napkins. Examples of the constituent members include a topsheet, a backsheet, and a sheet constituting an external body. The use range of the nonwoven fabric 1 is also preferably used for other cleaning sheets. Hereinafter, the disposable diaper using the nonwoven fabric 1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as an example.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0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40)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50)와, 흡수성 본체(50)의 비(非)피부 접촉면측에 위치하며 상기 흡수성 본체(50)를 고정하고 있는 외포재(60)를 구비하고 있다. 7,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100 includes an absorbent main body 50 including the absorbent body 40 and a non-absorbent main body 50 located on the non-skin- And an outer covering member 60 which fixes the outer covering member 60.

흡수성 본체(5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70), 액체 불투과성(발수성도 포함) 이면 시트(80) 및 양 시트(70, 80) 사이에 개재된 액체 보유성 흡수체(40)를 가지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세로로 길다. 8, the absorbent main body 50 includes a liquid-pervious topsheet 70, a liquid-impermeable backsheet 80 (including water-repellent), and a liquid-pervious topsheet 70 interposed between the both sheets 70, (40) and is substantially longitudinally long.

외포재(60)는 착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등측부(A),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부(B), 그들 사이에 위치하며 가랑이부에 배치되는 가랑이부(C)를 가지고 있으며, 등측부(A)와 배측부(B)의 양측 가장자리부(6a, 6b)끼리 접합되어, 1쌍의 사이드 실부(도시하지 않음), 1쌍의 다리 개구부(도시하지 않음) 및 허리 개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또한 외포재(60)는 기저귀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층 시트(62), 그 피부 접촉면측에 위치하며 부분적으로 상기 외층 시트(62)와 접합된 내층 시트(61)를 가지고 있고, 허리 개구부 및 다리 개구부를 형성하는 허리부 및 다리부(6d)에서의 양 시트(61, 62) 사이에, 개더 형성용 허리부 탄성부재(63) 및 다리부 탄성부재(64)가 배치되어 있다. The outer covering material 60 has a back side portion A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wearer, a back side portion B disposed on the rear side, and a crotch portion C disposed between the back side portion B and the crotch portion, A pair of side seal portions (not shown), a pair of leg openings (not shown), and a waist opening portion (not shown) are joined to each other by the side edge portions 6a, 6b of the back side B, . The outer covering material 60 has an outer layer sheet 62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diaper and an inner layer sheet 61 located on the skin contact surface side and partially bonded to the outer layer sheet 62, The gathers for waist elastic members 63 and the leg elastic members 64 are disposed between the waist portions forming the openings and the both sheets 61 and 62 of the leg portions 6d.

흡수성 본체(5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포재(60)의 등측부(A)에서 배측부(B)에 걸쳐 배치되어 있고, 흡수성 본체(50)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는 외포재(60)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보다 길이방향 안쪽으로 후퇴한 위치에 있다. 흡수성 본체(5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50)의 이면 시트(80)의 비피부 접촉면이 접착제, 히트실, 초음파 실 등에 의한 접합법으로 외포재(60)의 내층 시트(61)의 피부 접촉면에 접합되어 있다. 7, the absorbent main body 50 is disposed from the back side portion A to the back side portion B of the outer covering material 60, and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sorbent main body 50 are covered with the outer covering material And is retracted i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60. 8, the non-skin contact surface of the backsheet 80 of the absorbent main body 50 is joined to the inner sheet 61 of the covering material 60 by an adhesive, a heat seal, an ultrasonic seal, Of the present invention.

흡수성 본체(50)의 길이방향 양 측부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이면서 통기성인 소재로 구성된 사이드 커프스(55, 55)가 마련되어 있다. 각 사이드 커프스(55)의 자유단부 근방에는 사이드 커프스 형성용 탄성부재(56)가 신장 상태로 배치 고정되어 있다. 사이드 커프스(55)는 기저귀 장착시에 자유단부측이 기립해서, 흡수성 본체(50)의 폭방향으로의 배설물 유출을 저지할 수 있다. 사이드 커프스(55) 형성용 시트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50)의 폭방향 바깥쪽의 소정 폭 부분(55a)이, 흡수체(40)의 비피부 접촉면측에 말아넣어져서, 흡수체(40)와 이면 시트(80)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소정 폭 부분(55a)이, 이면 시트(80)와 외포재(60) 사이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As shown in Fig. 8, side cuffs 55, 55 made of a liquid-impermeable or water-repellent and breathable material are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sorbent main body 50. An elastic member 56 for forming a side cuff is arranged and fixed in a stretched state in the vicinity of the free end of each side cuff 55. The side cuffs 55 stand on the free end side when the diaper is attached, and can prevent the excretion of the absorbent main body 50 from flowing out in the width direction. 8, a predetermined width portion 55a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nt main body 50 is curved on the non-skin contact side of the absorbent body 40, (40) and the backsheet (80). On the other hand, the predetermined width portion 55a may be fixed between the backsheet 80 and the outer covering material 60. [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는 외층 시트(62)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표면 시트(70), 이면 시트(80), 사이드 커프스(55) 형성용 시트, 내층 시트(61)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모 부직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의 각 부의 부재로는, 통상적으로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는 것을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 시트(70)로는 액체 투과성 부직포나 개공 필름, 이들의 적층체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이면 시트(80)로는 수지 필름이나 수지 필름과 부직포의 적층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사이드 커프스(55) 형성용 시트로는 신축성 필름, 부직포, 직물 또는 그들의 적층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내층 시트(61) 및 외층 시트(62)로는 발수성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used as the outer-layer sheet (62). The roughened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used as the topsheet 70, the backsheet 80, the sheet for forming the side cuffs 55, and the inner layer sheet 61. As the members of the respective parts when th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used, those commonly used in absorbent articles such as disposable diapers can be used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For example, the topsheet 70 may be a liquid-permeable nonwoven fabric, a porous film, a laminate thereof, or the like. As the backsheet 80, a resin film, a laminate of a resin film and a nonwoven fabric,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sheet for forming the side cuffs 55, a stretchable film, a nonwoven fabric, a fabric or a laminated sheet of them can be used. As the inner layer sheet 61 and the outer layer sheet 62, a water repellent nonwoven fabric or the like can be used.

흡수체(40)로는 종래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는 것 등을,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체(40)로는 펄프 등의 섬유재료의 섬유 집합체 또는 이것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담지시킨 것을, 티슈 페이퍼나 투수성 부직포 등의 피복재로 감싸서 이루어지는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As the absorber 40, those conventionally used for absorbent articles such as disposable diapers and the like can be used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For example, as the absorber 40, a fibrous aggregate of a fibrous material such as pulp or a fibrous aggregate of fibrous material such as pulp, or a fibrous aggregate of a fibrous material such as pulp or the like, or a fibrous aggregate of fibrous material such as pulp on which a superabsorbent polymer is carried thereon is wrapped with a covering material such as tissue paper or a permeable nonwoven fabric.

사이드 커프스 형성용 탄성부재(56), 허리부 탄성부재(63) 및 다리부 탄성부재(64)로는, 통상적으로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는 것 등을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연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산에틸-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축성 재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As the elastic members 56 for forming the side cuffs, the waist elastic members 63 and the leg elastic members 64, those commonly used for absorbent articles such as disposable diapers can be used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For example, an elastic material composed of a natural rubber, a polyurethane, a polystyrene-polyisoprene copolymer, a polystyrene-polybutadiene copolymer, and a polyethylene-? Olefin copolymer such as ethyl acrylate-ethylene.

본 발명의 부직포는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부직포(1)에 전혀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nonwoven fabric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예를 들면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부직포(1)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펀본드 부직포를 바탕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스펀본드층과 멜트블로운층의 적층 부직포를 바탕으로 형성해도 된다. 적층 부직포일 경우에는 스펀본드층을 멜트블로운층의 표면 및/또는 이면에 배치한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펀본드층과 멜트블로운층의 적층 부직포는 그 전체가, 매끄럽고 더욱 촉감이 향상되는 관점과 기모시의 섬유 파단이 용이한 점에서, 특히 랜덤 코폴리머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를 25중량% 이상 포함하고, 멜트블로운층에는 호모 폴리머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랜덤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지가 최외측층의 스펀본드층을 형성하는 것이, 부드러운 층이 외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굽힘 강성이 낮아지고 유연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가격 대 성능비(cost performance)의 점에서, 피부에 닿는 면의 스펀본드층만 상기 랜덤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적층 부직포로 하는 것이, 촉감이 좋은 면(랜덤 코폴리머가 포함되는 층)과 파단 강도를 내는 면을 분담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랜덤 코폴리머 대신에, 재생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25중량% 이상 포함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환경에 부담을 주지 않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nonwoven fabric 1 of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formed on the basis of a spunbonded nonwoven fabric, but may be formed based on a laminated nonwoven fabric of a spunbond layer and a meltblown layer. In the case of a laminated nonwoven fabric, it is preferable that the spunbond layer is a nonwoven fabric disposed on the surface and / or the back surface of the meltblown layer. In particular, the laminated nonwoven fabric of the spunbond layer and the meltblown layer preferably has an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resin as a random copolymer in an amount of 25% by weight or more And a homopolymer polypropylene resin is preferably used for the meltblown layer.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in including the random copolymer forms the spunbond layer of the outermost layer because the soft layer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so that the bending stiffness is lowered and becomes flexible. It is preferable that a laminated nonwoven fabric in which only the spunbond layer on the surface touching the skin is formed of a resin containing the random copolymer in terms of price and cost performance is a surface having a good tactile feel (a layer containing a random copolymer ) And the surface giving the breaking strength can be shared, and the touch can be efficiently improved. Likewise,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not burdening the environment that it is made of a fiber made of a polypropylene resin containing at least 25% by weight of a recycled polypropylene resin in place of the random copolymer.

부직포(1)를 형성하는 원래의 부직포는 부직포(예를 들면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 부직포, 예를 들면 스펀본드층과 멜트블로운층을 열 엠보싱에 의해 적층한 부직포, 부직포와 미결합 웹을 적층하여 열 등에 의해 접합한 것 외에, 30mm 이상의 스테이플(staple) 섬유를 히트 롤 등으로 열압착시킨 것, 혹은 에어스루 열처리 후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단섬유, 복합 섬유(사이드 바이 사이드, 심초, 편심 섬유), 권축 섬유, 열수축 섬유, 열신장 섬유, 연신에 의해 분할하는 섬유여도 된다. 특히 저렴한 점에서 단섬유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직포에 다른 부직포나 필름을 접착제나 열에 의해 접합한 복합 부직포여도 된다. 이 경우, 기모 가공은 다른 부직포나 필름을 접합하기 전에 해도 되고, 후에 해도 된다. The original nonwoven fabric forming the nonwoven fabric 1 may be a nonwoven fabric (e.g., a spunbonded nonwoven fabric), a laminated nonwoven fabric such as a nonwoven fabric obtained by laminating a spunbond layer and a meltblown layer by heat embossing, Staple fibers of 30 mm or more are heat-pressed with a heat roll or the like, or those obtained by embossing after air-through heat treatment. The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may be staple fibers, conjugated fibers (side by side, core strands, eccentric fibers), crimped fibers, heat shrinkable fibers, thermally stretched fibers, or fibers that are split by stretching. Short fibers are particularly preferred because of their low cost. The nonwoven fabric may be a composite nonwoven fabric obtained by bonding another nonwoven fabric or film to the nonwoven fabric by an adhesive or heat. In this case, the brick processing may be performed before or after bonding the other nonwoven fabric or the film.

또한 기모 가공부(5)에 의한 기모시에 볼록 롤(51)의 회전방향이 부직포의 흐름방향(MD방향)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섬유의 배향도(MD/CD)는 1.1~1.8,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5이면, 섬유가 볼록 롤(51)의 볼록부(510)에 걸리기 쉬워져 기모량이 많은 것이 얻어지기 쉬워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섬유의 배향도는 샘플을 MD방향으로 95mm, CD방향으로 95mm 사각으로 잘라내, 마이크로파식 분자 배향계 MOA-6004(Oji Scientific Instruments사 제품)에 의해 MOR값으로서 측정된다. 섬유의 배향도는 샘플수 5점의 평균값으로 한다. Since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convex roll 51 is made in the direction of flow (MD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during bricking by the brushed fabric 5, the orientation degree (MD / CD) of the fibers is 1.1 to 1.8, Is 1.2 to 1.5, it is preferable that the fibers are easily caught by the convex portions 510 of the convex rolls 51, so that it is easy to obtain a wedge amount. The degree of orientation of the fiber was measured as a MOR value by a microwave molecular alignment system MOA-6004 (manufactured by Oji Scientific Instruments), cutting the sample into a square of 95 mm in the MD direction and 95 mm in the CD direction. The degree of orientation of the fibers is an average value of 5 samples.

상술한 제조장치를 이용해서 제조된 부직포는 선행기술인 특허문헌 3에 나타난 것과 같은 식모 시트와는 달리, 부직포에 접착제 등을 이용해서 새로운 섬유를 부착시키는 조작이 없기 때문에, 사용되는 접착제 등의 약제로 인해 피부에 악영향을 끼칠 위험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식모와는 달리, 사용시의 식모 섬유의 벗겨짐, 접착면 노출 등의 문제도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면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고 있는 부직포 중 하나인 스펀본드 부직포는 얇아, 일반적인 기모 가공에서는 찢어짐이 생기기 쉬워 곤란하지만, 상술한 제조장치를 이용한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모 밀도가 높고 촉감이 좋은 기모(스펀본드) 부직포가 얻어진다. Unlike the flocked sheet as shown in Patent Document 3 which is the prior art, the nonwoven fabric manufactured using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apparatus has no operation for adhering new fibers to the nonwoven fabric by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Therefore, So that the risk of adverse effects on the skin can be reduced. In addition, unlike flocking, there is no problem such as flaking of flocking fiber and exposure of adhesive surface during use. For example,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which is one of the nonwoven fabrics used in the absorbent article is thin, and tearing is apt to occur in general brasswork. 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producing a nonwoven fabric using the production apparatus, A woven (spunbond) nonwoven fabric is obtain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부직포 제조방법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Next, a method for producing a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ased on its preferred embodiments.

한편, 부직포에 관해서는 구성 섬유의 배향방향을 봤을 때, 일반적으로 섬유의 배향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MD방향 또는 길이방향,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을 CD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MD방향(길이방향)의 부직포를 반송하는 방향과 롤을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시트를 반송하는 방향은 같은 방향을 의미하고, 부직포의 CD방향(폭방향)과 롤 회전축방향은 같은 방향을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nonwoven fabric, the direction along the fiber orientation direction is generally described as the MD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ber direction as the CD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as viewed along the orientation direction of the constituent fiber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nonwoven fabric in the MD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veye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heet is conveyed by rotating the rol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eans the same direction, and the CD direction (width direction) Means the same direction.

도 9~도 12는 본 발명의 부직포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가공장치(이하, 간단히 가공장치라고도 함)의 일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s. 9 to 12 schematically show one embodiment of a processing apparatus used in the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processing apparatus).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가공장치(1)는 부분 연신 가공부(2)와, 부분 연신 가공부(2)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기모 가공부(3)로 크게 구별된다. As shown in Fig. 9, the machin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roughly divided into a partial stretch machining section 2 and a brushed machining section 3 disposed downstream of the partial stretch machining section 2. As shown in Fig.

부분 연신 가공부(2)는 부직포(4)의 복수 개소 각각에 부분 연신 가공을 실시하는 부분이며, 본 실시형태의 가공장치(1)에서는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쌍의 요철 롤(21, 22)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부분 연신" 가공이란, 일반적으로 실시되는 롤간의 속도차에 의해 부직포 전체에 연신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미연신 부분과 연신 부분을 가지도록 가공하는 방법이다. 미연신 부분이란 부직포 중 연신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부분이며, "연신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란, 가공상 적극적으로 연신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The partial stretching part 2 is a part for performing partial stretching on each of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nonwoven fabric 4. In the working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9 and 10, (21, 22). The "partial stretching" process as used herein refers to a method of processing the nonwoven fabric so as to have an unstretched portion and a stretched portion, instead of performing the stretching process on the entire nonwoven fabric by the speed difference between rolls. The unstretched portion is a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that is not subjected to the stretching treatment, and "not subjected to the stretching treatment" means that the stretching treatment is not actively conducted in processing.

1쌍의 요철 롤(21, 22)은 한쪽 롤(21)이 둘레면에 복수개의 볼록부(210)를 가지며, 다른 쪽 롤(22)이, 둘레면에 한쪽 롤(21)의 볼록부(210)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록부(210)가 들어가는 오목부(220)를 가지고 있다. 1쌍의 요철 롤(21, 22)은 알루미늄 합금 또는 철강 등의 금속성 원통형상이다. 본 실시형태의 가공장치(1)에서는 서로 맞물리는 볼록부(210)와 오목부(220)가 둘레면에 마련된 1쌍의 요철 롤(21, 22)로 이루어지는 소위 스틸 매칭 엠보싱 롤러(23)를 구비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틸 매칭 엠보싱 롤러(23)는 롤(21)의 둘레면에 마련된 복수개의 볼록부(210)와 롤(22)의 둘레면에 마련된 복수개의 오목부(220)가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볼록부(210)는 롤(21)의 회전축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각각 균일하고도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1쌍의 롤(21, 22)은 기어(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해서 구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됨으로써 회전한다. 한편, 1쌍의 롤(21, 22)을 어느 한쪽의 회전축에 구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시켜, 맞물림에 의해 회전시켜도 되지만, 서로의 홈의 중심에서 연신함으로써 부분 연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관점에서, 맞물림과는 별도로 기어를 이용해서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쌍의 롤(21, 22)의 회전속도(주속도(V2))는 가공장치(1)가 구비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여기서, 롤(21, 22)의 주속도(V2)는 (롤(21)의 톱니끝 외경-맞물림 깊이 D)를 직경으로 해서, 롤의 회전수로부터 원주의 속도로서 구해진다. The pair of uneven rolls 21 and 22 has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210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of the rolls 21 and the other of the convex portions 210 of the one roll 21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10 having a concave portion 220 in which the convex portion 210 is inserted. The pair of concave-convex rolls 21 and 22 are metallic cylinders such as aluminum alloy or steel. The machin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so-called steel matching embossing roller 23 comprising a convex portion 210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 pair of concave-convex rolls 21 and 22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220 Respectively. 11, the steel-matched embossing roller 23 has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210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 21 and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220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 22, And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210 are uniformly and regularly arranged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lls 21, respectively. The pair of rolls 21 and 22 are rotated by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from a driving means (not shown) using a gear (not shown). On the other hand, the pair of rolls 21 and 22 may be rotated by engagement by driving force from a driving means (not shown) to either one of the rotation shafts. However,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using a gear separately from the engagement. The rotational speed (main speed V2) of the pair of rolls 21 and 22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machining apparatus 1. Here, the main speed V2 of the rolls 21, 22 is obtained as the speed of the circumference from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ll, with the diameter (the tooth tip outer diameter-engagement depth D of the roll 21) as the diameter.

롤(21) 둘레면의 볼록부(210)의 형상은 상부에서 봤을 때 원형, 사각형, 타원형, 마름모꼴, 직사각형(반송방향 또는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이어도 되지만, 부직포(4)의 파단 강도 저하가 적은 점에서 원형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록부(210)를 측면에서 본 형상으로는 사다리꼴, 사각형, 만곡형상 등을 들 수 있으며, 롤 회전시의 마모(abrasion)가 적은 점에서 사다리꼴이 바람직하고, 사다리꼴의 저변각(底邊角;bottom angle)이 70도~89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210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 21 may be circular, rectangular, elliptical, rhombic, rectangular (long in the carrying direction o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arrying direction) The circular shape is preferable in that the strength is not lowered. In addition, trapezoidal, quadrangular, and curved shapes can be used as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210 when viewed from the side. A trapezoidal shape is preferable in view of abrasion during rotation of the roll, ; bottom angle) of 70 to 89 degrees.

부분 연신 가공부(2)는 가공전의 부직포(4)에 높은 유연성 등의 개량 효과가 나타나고, 연신 후의 부직포(4')의 파단 강도를 유지하는 관점에서, 부직포(4)의 복수 개소 각각을 기계 연신 배율 1.05~20배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10배로 연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기계 연신 배율은 부직포(4)에 연신 처리를 실시하는, 롤(21)의 볼록부(210)와 롤(22)의 오목부(220)의 맞물림 형상에 의해 구한 값을 의미한다. 복수 개소 각각의 기계 연신 배율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21)에서의 둘레방향으로 이웃하는 볼록부(210)끼리의 거리(피치 P1), 롤(21)에서의 회전축방향으로 이웃하는 볼록부(210)끼리의 거리(피치 P2), 및 롤(21)의 각 볼록부(210)와 롤(22)의 각 볼록부의 맞물림 깊이(D), 및 롤(21)에서의 볼록부(210)의 정점의 둘레방향의 길이(도트 직경 A1), 롤(21)에서의 볼록부 정점의 회전축방향의 길이(도트 직경 A2)에 의해, 하기 [수 1], [수 2]에 나타내는 수식으로 구해진다. 롤(21)의 볼록부(210) 형상과 롤(22)의 볼록부 형상이 다를 경우에는 도트 직경(A1)을 롤(21)과 롤(22) 각각의 정점의 둘레방향 길이의 평균값으로서 구해진다. 도트 직경(A2)도 마찬가지로 롤(21)과 롤(22) 각각의 정점의 회전축방향 길이의 평균값으로서 구해진다. 또한 도트 상부면의 형상이 직사각형 이외에 원형, 타원, 그리고 다각형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구해진다. 이 때의 기계 연신 배율은 연신 배율이 가장 높은 부분(롤(21)의 볼록부(210)와 롤(22)의 볼록부가 가장 접근한 부위)의 연신 배율로 한다. 이것을 기계 연신 배율로 한다. 단, 기계 연신 배율은 롤 형상이 아닌,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2007-22066호에 기재된 평판 타입, 캐터필러(caterpillar) 타입 등의 형상이어도 마찬가지로 구해진다. The partial stretch processing section 2 shows the effect of improving flexibility such as high flexibility in the nonwoven fabric 4 before processing and the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nonwoven fabric 4 are wound around the machin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drawing at a draw magnification ratio of 1.05 to 20, more preferably to draw at 2 to 10 times. The mechanical stretching magnification herein means a value obtained by the shape of engagement of the convex portion 210 of the roll 21 and the concave portion 220 of the roll 22, which is subjected to the stretching treatment to the nonwoven fabric 4. [ As shown in Fig. 11, the respective mechanical stretching ratios of the rollers 21 are set such that the distance (pitch P 1 ) between the adjacent convex portions 2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ll 21, (Pitch P 2 ) between the protrusions 210 of the roll 21 and the depth D of engagement of the protrusions 210 of the roll 21 with the protrusions of the roll 22, (Dot diameter A 1 )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pex 210 of the roll 21 and the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of the apex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roll 21 (dot diameter A 2 ) ]. When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210 of the roll 21 i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roll 22, the dot diameter A 1 is set as an average value of the circumferential lengths of the apexes of the rolls 21 and 22 Is obtained. The dot diameter A 2 is also obtained as an average value of the lengths of the vertexes of the rolls 21 and 22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Also, when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ot is a circle, an ellipse, and a polygon in addition to the rectangle, the same is also obtained. The mechanical stretching magnification at this time is set to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of the portion having the highest stretching magnification (the convex portion 210 of the roll 21 and the convex portion of the roll 22 closest to each other). This is defined as the mechanical stretching magnification. However, the mechanical stretching magnification is obtained not only in a roll shape but also in a flat plate type, a caterpillar type, etc.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22066, for example.

둘레방향의 기계 연신 배율 Mechanical stretching magnific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igure 112013026838274-pct00001
Figure 112013026838274-pct00001

회전축방향의 기계 연신 배율 Mechanical stretching magnification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Figure 112013026838274-pct00002
Figure 112013026838274-pct00002

한편, 구해진 둘레방향 및 회전축방향 중 어느 한쪽의 기계 연신 배율이, 상기 범위의 기계 연신 배율을 만족하면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btained mechanical stretching magnification of either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may satisfy the mechanical stretching magnification in the above range.

부분 연신 가공부(2)의 1쌍의 요철 롤은 기계 연신 배율을 상기 범위로 하여, 가공 후에 얻어지는 부직포의 파단 강도 저하를 저감하기 위해, 공급된 부직포(4)의 총 면적에 대하여 10%~80% 부분에 부분 연신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80% 부분에 부분 연신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부분 연신 가공을 실시하는 부직포(4)의 복수 개소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21)의 각 볼록부(210)와 롤(22)의 각 오목부(220)의 맞물림에 의해 연신되는 부분, 상세하게 기술하면, 롤(21)의 각 볼록부(210)에서의 에지(210a)와, 롤(22)의 각 오목부(220)에서의 패이기 시작한 에지(220a)에 의해 연신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각 볼록부의 볼록면(꼭대기부 표면) 위에 닿는 부직포 부분은 적극적으로 연신 작용을 받기 어렵다. 따라서 부직포(4)의 총 면적에 대하여 부분 연신 가공을 실시한 부분이란, 공급한 부직포(4)의 총 면적에서, 롤(21)의 각 볼록부(210)의 꼭대기부 표면의 면적을 총합한 총 면적을 제외하고, 또, 롤(21)에 있어서 이웃하는 각 볼록부(210)들 사이의 바닥면의 면적을 총합한 총 면적을 제외한 부분을 의미한다. 부직포에 가해지는 실효적인 연신 효과로서, 부직포의 토탈 연신 배율은 연신되는 부분의 면적률과 연신되는 부분에 걸리는 부직포의 연신 배율을 곱한 값에, 미연신 부분(실질적으로 연신되지 않는 부분을 포함)의 연신 배율을 1배로 해서 미연신의 면적률을 더한 값에 의해 구해진다. 또한 연신되는 부분에 걸리는 부직포의 연신 배율은 둘레방향(MD방향)의 부직포 연신 배율과 회전축방향(CD방향)의 부직포 연신 배율로 나뉜다. 즉 하기의 식(1)로 구해진다. The pair of uneven rolls of the partially drawn portion 2 has a mechanical stretching magnification within the above range so as to reduce the breaking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obtained after the processing, It is preferable to subject the 80% portion to the partial stretching process, and more preferably the 40% to 80% portion to perform the partial stretching process.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nonwoven fabric 4 to be subjected to the partial stretching process are obtained by engaging the convex portions 210 of the rolls 21 and the concave portions 220 of the rolls 22 as shown in Fig. The edge 210a of each convex portion 210 of the roll 21 and the edge 220a of the roll 22 which starts to lose in each concave portion 220 And the stretched portion. The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contacting the convex surface (top surface) of each convex portion is hardly actively subjected to the stretching action. The portion subjected to the partial stretching process with respect to the total area of the nonwoven fabric 4 means that the total area of the supplied nonwoven fabric 4 is the total sum of the areas of the top surfaces of the convex portions 210 of the rolls 21 Means a portion except for the total area excluding the area and the total area of the bottom surface between adjacent convex portions 210 in the roll 21. As an effective stretching effect applied to the nonwoven fabric, the total stretching magnification of the nonwoven fabric is determined by multiplying 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area ratio of the stretched portion by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of the nonwoven fabric wound around the stretched portion, the unstretched portion (including the portion that is not substantially stretched) And the area ratio of the non-drawn area is added. The stretching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to the stretched portion is divided into a nonwoven stretching ratio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D direction) and a nonwoven stretching ratio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CD direction). That is, it is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부직포의 토탈 연신 배율= {둘레방향(MD방향)의 부직포의 연신 배율×부직포의 MD방향의 연신 면적률} + {회전축방향(CD방향)의 부직포의 연신 배율×부직포의 회전축방향(CD방향)의 연신 면적률} + {미연신 부분(실질적으로 연신되지 않는 부분을 포함)의 연신 배율(1배)×부직포의 미연신의 면적률} …(1) Total drawing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 {drawing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D direction) x drawing area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in the MD direction} + {drawing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CD direction) Stretching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to the stretch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including the portion which is not substantially stretched (1 times)) (One)

여기서, 둘레방향(MD방향)의 부직포 연신 배율은 부직포의 공급 속도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상기 둘레방향의 기계 연신 배율에, 후술하는 공급 속도와 롤(21)(또는 롤(22))의 주속의 비(롤 주속/공급 속도)를 곱한 값을 의미한다. 회전축방향(CD방향)의 부직포 연신 배율은 부직포에 주름이 생김에 따라 폭이 줄어들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방향의 기계 연신 배율에, 롤(21)과 롤(22)의 통과 전후의 부직포의 폭변화비(롤 통과 후의 부직포 폭/롤 통과 전의 부직포 폭)을 곱한 값을 의미한다. MD방향, CD방향 모두 연신을 받을 경우(부직포가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신을 받을 경우)에는, 기계 연신 배율을 벡터로 해서 MD방향과 CD방향의 합성합으로서 구해진다. 또한 볼록부의 형상이 상부에서 봤을 때 원형 등일 경우에는 각각의 점에서의 기계 연신 배율의 적분값으로서 구해진다. 부직포의 토탈 연신 배율이 하기 범위이면, 부분 연신에 의해, 원래의 부직포가 가지는 열압착부와 열압착부 사이의 섬유가 가늘어지는, 열압착부의 주변부(열압착부와 섬유의 경계 근방)에서 끊어진 틈(갈라진 틈)이 연신 작용에 의해 형성되어, 기모시에 섬유가 그 부분에서 절단되기 쉽고, 또한 열압착부가 연신에 의해 변형되기 때문에, 열압착부 자체가 부드러워지므로, 기모시에 열압착부에서의 박리가 생기기 어렵고 기모 섬유가 짧아져 기모하기 쉽고, 촉감이 뛰어난 부직포가 얻어진다. 연신 전의 원래의 부직포에 비해 부분 연신 가공에 의해 파단 강도 저하가 적고, 촉감이 좋은 것이 얻어지는 점에서, 부직포의 토탈 연신 배율은 1.3배~4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1.5배~3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열압착부의 면적률과 토탈 연신 배율의 비{부직포의 열압착부의 면적률(%)/(토탈 연신 배율(배)×100)}는 바람직하게는 0.02~0.12,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0.10인 것이, 파단 강도를 유지하면서 열압착부를 적당히 망가뜨리고, 기모량이 많아지는 점에서 좋다. 한편, 원래의 부직포는 평면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분산되는 열압착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열압착부란, 열에 의한 구성 섬유의 압착부뿐만 아니라, 초음파에 의한 구성 섬유의 압착부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Since the nonwoven fabric stretching magnific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D direc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feeding speed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the mechanical stretching magnific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changed by changing the feeding speed and the speed of the roll 21 (or the roll 22) (Roll peripheral velocity / feed velocity). Since the width of the nonwoven fabric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CD direction) becomes wrinkles, the width of the nonwoven fabric before and after the roll 21 and the roll 22 is changed to the mechanical stretching magnific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Non-woven fabric width after roll passing / non-woven fabric width before roll passing). When both the MD direction and the CD direction are subjected to the elongation (when the nonwoven fabric is elongated in an oblique direction), the mechanical stretching magnification is taken as a vector, and the sum is obtained as a combined sum of the MD direction and the CD direction. And when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is a circular shape or the like when viewed from the top, it is obtained as an integral value of the mechanical drawing magnification at each point. If the total stretching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is in the following range, the partial stretching causes the fibers between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portion and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portion of the original nonwoven fabric to be torn, Since the cracks (cracks) are formed by the stretching action, the fibers are easily cut at the portions during bricking, and the thermocompression-bonded portions themselves are softened because the thermocompression-bonded portions are deformed by stretching, It is difficult to peel off the bristles and the bristle fibers are shortened to easily wrinkle, and a nonwoven fabric excellent in touch is obtained. The total draw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is preferably from 1.3 times to 4 times, more preferably from 1.5 times to 3 times, from the standpoint that the lowering of the breaking strength is less and the touch feeling is less than that of the original nonwoven fabric before stretching . The ratio of the area ratio of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to the total stretching magnification ratio (area ratio (%) of the thermocompression bonded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 (total stretching magnification (x) x 100) is preferably 0.02 to 0.12, 0.10 is preferable in that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portion is adequately broken and the bristle amount is increased while maintaining the breaking strength. On the other hand, the original nonwoven fabric is provided with a thermocompression part which is regularly dispersed in the plane direction, and the thermocompression part includes not only the crimped part of the constituent fiber by heat but also the crimped part of constituent fiber by ultrasonic.

기계 연신 배율을 상기 범위로 하고, 부분 연신 가공을 실시하는 부분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21)의 각 볼록부(210)는 롤(21)의 둘레면에서 볼록부(210)의 정점까지의 높이(h)가 1~1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2~7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둘레방향으로 이웃하는 볼록부(210)끼리의 거리(피치 P1)는 0.01~2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회전축방향으로 이웃하는 볼록부(210)끼리의 거리(피치 P2(미도시))는 0.01~2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롤(21)의 각 볼록부(210)의 꼭대기부 표면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형, 다각형, 타원형 등이 이용되며, 각 볼록부(210)의 꼭대기부 표면의 면적은 0.01~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이웃하는 각 볼록부(210)들 사이의 각 바닥면의 면적은 0.01~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볼록부(210)의 에지부가 R형상인 것이 가공시에 부직포의 구멍이 열리기 어려운 점에서 바람직하고, R값으로는 0.2mm~0.5×도트 직경(A1) 또는 0.5×도트 직경(A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볼록부(210)의 표면의 면적은 R의 중간점(볼록부를 상부면에서 투영하여)으로 한다. 부분적인 기계 연신 배율도 마찬가지로 중간점에서 구한다. As shown in Fig. 11, each convex portion 210 of the roll 21 is convex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 21 in order to set the mechanical stretching magnification within the above range, The height h to the apex of the portion 210 is preferably 1 to 10 mm, more preferably 2 to 7 mm. The distance (pitch P 1 ) between the convex portions 21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eferably 0.01 to 20 mm, more preferably 1 to 10 mm, and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convex portions 210 Pitch P 2 (not shown)) is preferably 0.01 to 20 mm, more preferably 1 to 10 mm. The top surface of each convex portion 210 of the roll 2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circular, polygonal, elliptical, or the like. The area of the top surface of each convex portion 210 is 0.01 To 500 mm &lt; 2 &gt;, and more preferably 0.1 to 10 mm &lt; 2 &gt;. Further, the area of each bottom surface between adjacent convex portions 210 is preferably 0.01 to 500 mm 2, more preferably 0.1 to 10 mm 2. The R value is preferably from 0.2 mm to 0.5 x the dot diameter (A 1 ) or 0.5 x the dot diameter (A 2 ). The area of the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210 in this case is the middle point of R (projecting the convex portion from the upper surface). The partial mechanical stretching magnification is also obtained at the midpoint.

또한 부직포의 열압착부(엠보싱 등에 의한 열융착부 등)의 피치와, 1쌍의 롤(21, 22)의 볼록부(210)의 피치와의 비의 관계(부직포 열압착부의 피치/볼록부의 피치)가 0.05~0.7,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4이면, 연신되는 부분에 부직포의 열압착부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 때문에, 열압착부가 변형되어 부드러워지는 동시에, 연신에 의한 약화점이 부직포의 열압착부 주변부에서 형성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가벼운 힘으로도 부직포의 표면을 기모하기 쉽고, 기모 섬유가 짧은 것이 얻어져, 보풀 뭉치가 생기기 어려워 촉감이 좋은 것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부직포 열압착부의 피치와 1쌍의 롤(21, 22)의 볼록부(210)의 피치와의 비의 바람직한 범위는, 부직포의 MD방향에서의 열압착부의 피치와 1쌍의 롤(21, 22)의 볼록부(210)의 둘레방향의 피치(P1)의 비, 및 부직포의 CD방향에서의 열압착부의 피치와 1쌍의 롤(21, 22)의 볼록부(210)의 회전축방향의 피치(P2)의 비 중 어느 한쪽을 만족시키면 되지만, 양쪽 모두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atio of the pitch of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portions (such as heat-sealed portions by embossing or the like) of the nonwoven fabric to the pitches of the convex portions 210 of the pair of rolls 21 and 22 (the pitch / convexity of the non- Pitch) is 0.05 to 0.7, more preferably 0.1 to 0.4,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thermally pressed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is present on the stretched portion. Therefore,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portion is deformed and softened, and the weakening point by stretching is easily formed at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Therefore,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is easily wiped with a light force, It is preferable that a fluff bundle is unlikely to be generated and a good touch can be obtained. Here, a preferable range of the ratio of the pitch of the nonwoven fabric thermocompression portion to the pitch of convex portions 210 of the pair of rolls 21, 22 is set so that the pitch of the thermocompression portions in the MD direction of the non- The ratio of the pitch P 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vex portion 210 of the pair of rolls 21 and 22 to the pitch of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portion in the CD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Direction pitch P 2 , it is preferable to satisfy both of them.

롤(22)의 각 오목부(220)는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21)의 각 볼록부(21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기계 연신 배율을 상기 범위로 하고, 부분 연신 가공을 실시하는 부분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21)의 각 볼록부(210)와 롤(22)의 각 볼록부의 맞물림 깊이(D)(각 볼록부(210)와 각 오목부(220)가 겹쳐 있는 부분의 길이)는 0.1~1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8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롤(21)의 볼록부(210) 꼭대기부와 롤(22)의 오목부(220) 바닥부 사이는 부직포(4)를 공급했을 때에, 부직포(4)를 사이에 끼우지 않도록 간격이 벌어져 있는 것이, 부직포(4)가 단단해지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concave portions 220 of the roll 22 ar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s 210 of the roll 21. 11, the convex portions 210 of the roll 21 and the convex portions of the roll 2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order to set the mechanical stretching magnification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depth D (length of the portion where each convex portion 210 and each concave portion 220 overlap) is preferably 0.1 to 10 mm, more preferably 1 to 8 mm. The gap between the top of the convex portion 210 of the roll 21 and the bottom of the concave portion 220 of the roll 22 is such that the nonwoven fabric 4 is spaced apart from the non- , And the nonwoven fabric 4 is not hardened.

또한 부분 연신 가공부(2)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틸 매칭 엠보싱 롤러(23)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부직포(4)를 반송하는 반송 롤(24, 25)을 구비하고 있다. 부직포(4)의 반송 속도(V1)는 가공장치(1)가 구비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여기서, 부직포(4)의 반송 속도(V1)란, 부직포(4)의 롤에서 풀려나온 부직포(4) 표면에서의 속도를 의미한다. 10, the partial stretching part 2 is provided with conveying rolls 24 and 25 for conveying the nonwoven fabric 4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steel matching embossing roller 23. [ The conveying speed V1 of the nonwoven fabric 4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processing apparatus 1. [ Here, the conveying speed V1 of the nonwoven fabric 4 means the speed at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4 released from the roll of the nonwoven fabric 4.

기모 가공부(3)는 부분 연신 가공이 실시된 부직포(4')의 구성 섬유(41)를 기모하는 부분이며, 본 실시형태의 가공장치(1)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면에 볼록부(310)가 마련된 볼록 롤(31)을 구비하고 있다. 볼록 롤(31)은 알루미늄 합금 또는 철강 등의 금속성 원통형상이다. 볼록 롤(31)은 그 회전축에 구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회전한다. 볼록 롤(31)의 회전속도(주속도 V4)는 가공장치(1)가 구비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여기서, 볼록 롤(31)의 주속도(V4)란, 롤(21, 22)의 주속도(V2)와 마찬가지로 볼록 롤(31) 표면에서의 속도를 의미한다. The bristle processing portion 3 is a portion that brims the constituent fibers 41 of the partially stretch-processed nonwoven fabric 4 '. In the working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2, And a convex roll 31 provided with a convex portion 310. The convex roll 31 is a metallic cylindrical shape such as an aluminum alloy or steel. The convex roll 31 rotates as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means (not shown) to the rotating shaft. The rotational speed (main speed V4) of the convex roll 31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machining apparatus 1. Here, the main speed V4 of the convex roll 31 means the speed at the surface of the convex roll 31 as well as the main speed V2 of the rolls 21 and 22.

기모 가공부(3)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 롤(31)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부직포(4')를 반송하는 반송 롤(32, 33)을 구비하고 있다. 연신 가공된 부직포(4')의 반송 속도(V3)는 가공장치(1)가 구비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여기서, 연신 가공된 부직포(4')의 반송 속도(V3)란, 연신 가공 전 부직포(4)의 반송 속도(V1)와 마찬가지로 볼록 롤(31)에 공급되는 부직포(4') 표면에서의 속도를 의미한다. As shown in Fig. 12, the brushed portion 3 is provided with transport rolls 32 and 33 for transporting the nonwoven fabric 4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nvex roll 31. As shown in Fig. The conveying speed V3 of the drawn nonwoven fabric 4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processing apparatus 1. [ Here, the conveying speed V3 of the drawn nonwoven fabric 4 'refers to the speed at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4' supplied to the convex roll 31 as well as the conveying speed V1 of the nonwoven fabric 4 before stretching .

볼록 롤(31)의 각 볼록부(310)는 볼록 롤(31)의 둘레면에서 볼록부(310)의 정점까지의 높이가 0.01~3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1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둘레방향으로 이웃하는 볼록부(310)끼리의 거리(피치)는 0.01~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3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회전축방향으로 이웃하는 볼록부(310)끼리의 거리(피치)는 0.01~3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3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볼록부의 밀도는 500~5000개/㎠인 것이 기모의 작용점이 많아지고, 기모량이 많은 부직포가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볼록 롤(31)의 각 볼록부(310) 꼭대기부 표면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원형, 다각형, 타원형 등이 이용되고, 각 볼록부(310) 꼭대기부 표면의 면적은 0.00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Each convex portion 310 of the convex roll 31 preferably has a height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31 to the apex of the convex portion 310 of 0.01 to 3 mm and more preferably 0.01 to 1 mm. The distance (pitch) between the adjacent convex portions 3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eferably 0.01 to 50 mm, more preferably 0.01 to 3 mm, and the distance (pitch) Is preferably 0.01 to 30 mm, more preferably 0.01 to 3 mm. The density of the convex portion is preferably 500 to 5000 pieces / cm 2 because the bristles have a large number of points of action and a large amount of bristles can be obtained. The shape of the top surface of each convex portion 310 of the convex roll 3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circular, polygonal, elliptical, or the like. The area of the top surface of each convex portion 310 may be 0.001 - More preferably from 0.01 to 1 mm &lt; 2 &gt;.

본 실시형태의 가공장치(1)에서는 부분 연신 가공이 실시된 부직포(4')의 구성 섬유(41)를 더욱 효율적으로 기모하는 관점에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 롤(31)의 위치보다, 볼록 롤(31) 하류측의 반송 롤(33)의 위치를 높게 설정하고 있고, 연신 가공이 실시된 부직포(4')가 볼록 롤(31)의 접촉면에 10~180°의 포위각(α)으로 접촉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0~120°의 포위각(α)으로 접촉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가공장치(1)에서는 포위각(α)이 되도록, 볼록 롤(31)과 반송 롤(33)의 위치를 바꿨지만, 바꾸지 않아도 된다. In the working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from the viewpoint of more efficiently wringing the constituent fibers 41 of the partially drawn nonwoven fabric 4 ', as shown in Fig. 12, the position of the convex roll 31 The position of the conveying roll 33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nvex roll 31 is set to a high position and the stretching nonwoven fabric 4 ' ),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a confining angle (alpha) of 30 to 120 DEG. On the other hand, in the machin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itions of the convex roll 31 and the conveying roll 33 are changed so as to be the envelope angle?, But they do not have to be changed.

본 실시형태의 가공장치(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1쌍의 롤(21, 22)의 구동 수단에 기초한 주속도(V2), 볼록 롤(31)의 구동 수단에 기초한 주속도(V4), 장력 검출기에 의한 장력 검출에 기초한 부직포(4)의 반송 속도(V1), 및 장력 검출기에 의한 장력 검출에 기초한 연신 가공된 부직포(4')의 반송 속도(V3)의 속도 제어를, 소정의 동작 시퀸스에 따라 제어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ain speed V2 based on the driving means of the pair of rolls 21, 22, (V1) of the nonwoven fabric 4 based on the tension detection by the tension detector, and the transport speed V1 of the nonwoven fabric 4 'based on the tension detection by the tension detector,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operation sequence.

다음으로 본 발명의 부직포 제조방법의 일실시형태를,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가공장치(1)를 이용해서 도 9~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Next, one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ducing a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2, us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의 부직포 제조방법은 먼저, 50℃ 이하의 온도로 부직포(4)의 복수 개소 각각에 부분 연신 가공을 실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인 띠형상의 부직포(4)를 롤에서 풀어내, 반송 롤(24, 25)에 의해 부직포(4)를 부분 연신 가공부(2)가 가지는 스틸 매칭 엠보싱 롤러(23)의 1쌍의 롤(21, 22) 사이에 공급하여, 부직포(4)에 부분 연신 가공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반송 롤(24, 25)에 의해 반송된 부직포(4)를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한쪽 롤(21)이 가지는 복수개의 볼록부(210)와, 다른 쪽 롤(22)이 가지는 복수개의 오목부(220) 사이에 끼워서 눌러, 상기 부분 연신 가공에 의해 부직포(4)의 복수 개소 각각에 반송방향 및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 가공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반송방향 및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부직포(4)의 파단 강도 감소를 방향별로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50℃ 이하의 온도란, 롤(21, 22)에 적극적으로 온도를 가하지 않고, 부직포(4)에 연신 가공을 실시할 때 상온인 것을 의미한다. 바꿔 말하면, 부직포(4)에 연신 가공을 실시할 때에, 부직포의 구성 섬유간에서 열융착을 일으킴으로써 부직포(4)가 단단해져 버리지 않는 관점에서, 어떠한 종류의 구성 섬유 수지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인 것을 의미한다. 한편,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란, 상술한 롤의 회전축방향과 같은 방향이다. In the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nonwoven fabric 4 are subjected to partial stretching at a temperature of 50 DEG C or lower.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the nonwoven fabric 4, which is a raw material, is unwound from a roll, and the nonwoven fabric 4 is fed by the conveying rolls 24, Is fed between the pair of rolls 21, 22 of the matching embossing roller 23, and the nonwoven fabric 4 is partially stretched. More specifically, the nonwoven fabric 4 conveyed by the conveying rolls 24 and 25 is conveyed to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210 of one of the rolls 21 shown in Figs. 10 and 11, This is held between a plurality of depressions 220 and is stretch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arrying direction and the carrying direction to each of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nonwoven fabric 4 by the partial drawing process. Thus, by performing draw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arrying direction and the carrying direction, the reduction of the breaking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4 can be suppressed for each direction. Here, the temperature of 50 DEG C or lower means that the temperature is not positively applied to the rolls 21 and 22, and the room temperature is when the nonwoven fabric 4 is subjected to the drawing process. In other words, when stretching the nonwoven fabric 4,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any kind of the constituent fiber resin from the viewpoint that the nonwoven fabric 4 is not hardened by causing thermal fusion between constituent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it means. On the other h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ransport direction is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roll described above.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호하게 부분 연신 가공을 실시하기 위해, 도 10에 나타내는, 부직포(4)를 1쌍의 요철 롤(21, 22) 사이에 공급할 때의 공급 속도(V1)와 1쌍의 요철 롤(21, 22)의 주속도(V2)와의 관계를, V1>V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V1/V2의 값을 1.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V1/V2의 값을 1.1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상한값은 반송되는 부직포(4)에 뒤틀림이 생기지 않게 하는 관점에서, V1/V2의 값이 1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V1/V2를 작게 함으로써 보다 기모량이 늘어나 촉감이 향상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preferably perform the partial stretching process, the feed speed V1 when the nonwoven fabric 4 is fed between the pair of concave-convex rolls 21 and 22 and the pair of concav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relation of V1 / V2 to the main speed V2 of the first and second cams 21 and 22.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value of V1 / V2 is 1.05 or more, and the value of V1 / V2 is 1.1 or more Particularly preferred.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value of V1 / V2 is smaller than 10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the nonwoven fabric 4 being conveyed from being distorted. By reducing V1 / V2, the bristle amount is increased and the touch feeling is improved.

본 실시형태와 같은 부분 연신 가공이 아니라, 통상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1축 연신 등의 전체 연신일 경우에는, 공급 속도보다 평활 롤의 주속도쪽이 커지기 때문에 앞서 말한 V1/V2가 1보다 작아져, 예를 들면 통상적인 스펀본드 부직포에서는 1.3배 이상의 부직포의 토탈 연신 배율(1축 연신에서는 V2/V1에 의해 구함)이 있으면 부직포에 찢어짐 등이 생긴다. 그 때문에, 부직포의 토탈 연신 배율을 올릴 수 없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1.3배 이상의 부직포의 토탈 연신 배율이 있어도 부직포에 찢어짐 등이 생기기 어렵다. In the case of general stretching, such as uniaxial stretching, which is generally performed instead of the partial stretching proces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main speed of the smoothing roll becomes larger than the feeding speed, the aforementioned V1 / V2 becomes smaller than 1 For example, in a typical spunbonded nonwoven fabric, when the total draw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of 1.3 times or more (obtained by V2 / V1 in uniaxial drawing) is present, tearing occurs in the nonwoven fabric. For this reason, the total stretching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can not be increased. In this embodiment, however, even if the total stretching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is 1.3 times or more, tearing of the nonwoven fabric is unlikely to occur.

본 발명의 부직포 제조방법은 이어서, 부분 연신 가공이 실시된 부직포(4')에 부직포(4')의 구성 섬유를 기모하는 기모 가공을 실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분 연신 가공이 실시된 부직포(4')를, 반송 롤(32, 33)에 의해, 둘레면에 볼록부(310)가 마련된 볼록 롤(31)에 반송하고, 도 12에 나타내는 볼록 롤(31)에 의해, 부분 연신 가공이 실시된 부직포(4')의 구성 섬유를 부직포(4')의 표면에서 기모시킨다. In the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rushed fabric is then brushed on the nonwoven fabric 4 'subjected to the partial stretching process.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the nonwoven fabric 4 'subjected to the partial stretching is transferred to the convex roll 31 provided with the convex portions 310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by conveying rolls 32 and 33 And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4 'subjected to the partial stretching process are brushed on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4' by the convex roll 31 shown in Fig.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직포(4')의 구성 섬유를 부직포(4')의 표면에서 효율적으로 기모시키는 관점에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 롤(31)의 회전방향을, 연신 가공이 실시된 부직포(4')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V4/V3의 값이 0.3~10이고, V4>V3인 것이 바람직하고, V4/V3의 값이 1.1~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5인 것이, 충분한 기모가 가능하고 롤에 섬유의 엉킴도 적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주속도에 차이가 있음으로써, 보다 기모량이 늘어나 촉감이 향상된다. 한편, 볼록 롤(31)이 반대방향이 아니라, 연신 가공이 실시된 부직포(4')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정방향일 경우, 부분 연신 가공이 실시된 부직포(4')의 반송 속도(V3)와 볼록 롤(31)의 주속도(V4)의 관계는 V4/V3의 값이 1.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8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2,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nvex roll 31 is set to be the same as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nonwoven fabric 4 'in which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4'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4 '. In the case of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value of V4 / V3 is preferably 0.3 to 10, more preferably V4> V3, more preferably 1.1 to 10, and more preferably 1.5 to 5, And the entanglement of the fibers in the roll is small. By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ain speed, the bristle amount is increased and the touch feeling is improv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vex roll 31 is not in the opposite direction but in the for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drawn nonwoven fabric 4 ', the conveying speed V3 of the partially drawn nonwoven fabric 4' The relationship of the main speed V4 of the convex roll 31 is preferably 1.1 to 20, more preferably 1.5 to 10, and particularly preferably 2 to 8 as V4 / V3.

상기 가공을 실시하는 부직포(4)로는, 예를 들면 스펀본드 부직포, 스펀본드층과 멜트블로운층의 적층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고, 혹은 토우 상태의 연속 장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저렴하며 파단 강도가 높고, 게다가 얇은 관점에서 스펀본드 부직포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층 부직포의 경우에는, 스펀본드층을 멜트블로운층의 표면 및/또는 이면에 배치한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펀본드층과 멜트블로운층의 적층 부직포는 그 전체가, 재생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50중량% 이상 포함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토우 상태의 연속 장섬유는 그 굵기가 5~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s the nonwoven fabric 4 to be processed, for example, a spunbond nonwoven fabric, a laminated nonwoven fabric of a spunbond layer and a meltblown layer can be used, or a nonwoven fabric made of a continuous filament in a tow state can be used, And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can be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 of high fracture strength and thinnes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laminated nonwoven fabric, it is preferable that the nonwoven fabric is a spunbond layer disposed on the surface and / or the back surface of the meltblown layer. The laminated nonwoven fabric of the spunbond layer and the meltblown layer is preferably composed entirely of fibers made of a polypropylene resin containing at least 50% by weight of a recycled polypropylene resin. The continuous filament of the tow state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5 to 30 占 퐉, more preferably 10 to 20 占 퐉.

부직포(4)는 저렴하면서 양호한 촉감이 얻어지고, 가공 적성의 관점에서, 그 평량이 10~100g/㎡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5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부직포(4)가 가지는 열압착부인 복수개의 열융착부는 예를 들면 엠보싱 볼록 롤과 플랫 롤 등에 의한 열압착에 의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것이나, 초음파 융착에 의해 형성된 것, 간헐적으로 열풍을 가하여 부분 융착시켜서 형성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열압착에 의해 형성된 것이 기모시키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열융착부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원형, 마름모꼴, 삼각형 등의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부직포(4)의 일면의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열융착부의 합계 면적의 비율은 5~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인 것이 보풀 뭉치가 생기기 어려운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The nonwoven fabric 4 is inexpensive and has good tactile feel. From the viewpoint of processability, the basis weight thereof is preferably 10 to 100 g / m 2, more preferably 10 to 25 g / m 2. The plurality of thermally fused portions of the nonwoven fabric 4 may be intermittently formed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for example, by an embossing convex roll and a flat roll, but may be formed by ultrasonic welding or intermittently applying hot air and partially fusion- And the like. Of these, those formed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are preferable in that they are easily brushed. The shape of the thermally fused por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ny shape such as a circle, a rhombus, or a triangle. The ratio of the total area of the thermally fused portions in the surface area of on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4 is preferably 5 to 30%, more preferably 10 to 20% in view of difficulty of forming a napkin.

스펀본드 부직포를 이용할 경우, 스펀본드 부직포가 가지는 엠보싱에 의한 복수개의 열융착부는 각 열융착부의 면적이 0.05~10㎟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열융착부의 수는 10~250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35~65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열융착부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원형, 마름모, 삼각형 등의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스펀본드 부직포의 일면의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열융착부의 합계 면적 비율은 5~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using a spunbonded nonwoven fabric, the are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hermally fused portions formed by the embossing of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is preferably 0.05 to 10 mm 2, more preferably 0.1 to 1 mm 2. The number of the thermally fused portions is preferably 10 to 250 / cm 2, more preferably 35 to 65 / cm 2. The shape of the thermally fused por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ny shape such as a circle, rhombus, or triangle. The ratio of the total area of the thermally fused portions in the surface area of one surface of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is preferably 5 to 30%, more preferably 10 to 20%.

또한 스펀본드 부직포는 단층이어도 되고, 복수층 적층된 것이어도 된다.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may be a single layer or a plurality of layers.

스펀본드 부직포를 이용할 경우,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구성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비닐계 수지, 비닐리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계 수지로는 나일론 등을 들 수 있다. 비닐계 수지로는 폴리 염화 비닐 등을 들 수 있다. 비닐리덴계 수지로는 폴리 염화비닐리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각종 수지의 변성물이나 혼합물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 섬유의 섬경은 부분 연신 가공 전에 5~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When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is used, the constituent fibers constituting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are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and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clude a polyolefin resin, a polyester resin, a polyamide resin, an acrylonitrile resin, a vinyl resin, Vinylidene resins,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olyolefin-based resin include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polybutene. Examples of the polyester-based resin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Examples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nclude nylon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vinyl resin include polyvinyl chlorid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vinylidene resin include polyvinylidene chloride and the like. Modified products and mixtures of these various resins may also be used. The minor axis of the constituent fibers is preferably 5 to 30 占 퐉, more preferably 10 to 20 占 퐉, before the partial stretch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가공장치(1)를 이용해서 부직포를 제조하는 본 실시형태의 부직포 제조방법에 의하면, 처음에 50℃ 이하의 온도로 부직포(4)의 복수 개소 각각에 부분 연신 가공을 실시하는 프리 가공을 하기 때문에, 그 후 기모 가공을 실시할 때에 기모시키기 쉽고, 또한 열융착되기 어렵기 때문에, 부직포(4')의 구성 섬유가 기모된 촉감이 좋은 부드러운 부직포(4'')가 얻어진다. 또한 얻어진 부직포(4'')는 가공 전 부직포(4)의 복수 개소 각각에 부분 연신 가공을 실시하고, 상기 복수 개소 이외에는 상기 부분 연신 가공을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 부직포 강도를 유지할 수 있어 부직포 강도의 저하를 경감할 수 있다. 특히 원료가 되는 부직포(4)로서 스펀본드 부직포와 같은 부직포 자체의 강도가 높은 부직포를 이용했을 경우에는, 반송 속도를 빨리 할 수 있고 부직포(4'')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분 연신 가공을 1쌍의 롤(21, 22)로 이루어지는 롤을 이용해서 실시하고, 또 기모 가공을 볼록 롤(31)로 이루어지는 롤을 이용해서 실시하기 때문에, 부직포(4'')의 제조 속도를 올릴 수 있고, 나아가 부직포(4')'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which the nonwoven fabric is manufactured by using the processing apparatus 1, the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nonwoven fabric 4 are first subjected to the partial stretching process at a temperature of 50 DEG C or lower The non-woven fabric 4 '' is soft and has a soft feel and the soft fibers 4 '' are obtained, since the woven fabric 4 ' . The obtained nonwoven fabric 4 '' is subjected to the partial stretching process at each of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nonwoven fabric 4 before processing, and since the partial stretching process is not performed except for the plurality of portions, the nonwoven fabric strength can be maintained at that portion The lowering of the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can be reduced. In particular, when a nonwoven fabric having high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itself such as a spunbonded nonwoven fabric is used as the raw nonwoven fabric 4 as a raw material, the conveying speed can be made faster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nonwoven fabric 4 '' can be suppressed.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artial stretching is performed by using the roll comprising the pair of rolls 21 and 22 and the brushed work is performed by using the roll formed by the convex roll 31, ''), And furth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roduction cost of the nonwoven fabric 4 ''.

특히 부직포(4)로서, 상술한 스펀본드 부직포를 이용했을 경우에는, 원래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파단 강도값이 평량 20g/㎡에 10~30N/50mm인 부직포에 대하여, 가공 후에 얻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파단 강도값이 5~20N/50mm이며, 부직포 강도의 저하를 50% 이하로 경감할 수 있다. 이처럼, 가공 후에 얻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파단 강도값은 원래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파단 강도값과 대략 같다. 파단 강도는 원래의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가공 후에 얻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X방향 및 Y방향 중 어느 한쪽에서 상기 범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방향에서 상기 범위를 만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파단 강도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된다. Especially when the above-described spunbonded nonwoven fabric is used as the nonwoven fabric 4,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having a breaking strength value of 10 to 30 N / 50 mm on a basis weight of 20 g / m 2, The breaking strength value is 5 to 20 N / 50 mm, and the decrease in the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can be reduced to 50% or less. As described above, the breaking strength value of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obtained after processing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breaking strength value of the original spunbonded nonwoven fabric. The breaking strength preferably satisfies the above-described range in either the X-direction or the Y-direction of the original spun-bonded nonwoven fabric or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obtained after processing, and more preferably satisfies the above range in both directions. The breaking strength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파단 강도의 측정법] [Measurement of breaking strength]

원래의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가공 후에 얻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를, X방향(폭방향, CD방향)으로 200mm, Y방향(길이방향, MD방향)으로 50mm 치수의 직사각형 형상 측정편을 잘라낸다. 이 잘라낸 직사각형 형상의 측정편을 측정 샘플로 한다. 이 측정 샘플을 X방향이 인장방향이 되도록 인장 시험기(예를 들면 오리엔테크사제 텐실론 인장 시험기 "RTA-100")의 척에 장착한다. 척간 거리는 150mm로 한다. 측정 샘플을 300mm/분으로 잡아당겨, 샘플 파단까지의 최대 하중점을 X방향의 파단 강도로 한다. 또한 Y방향(길이방향, MD방향)으로 200mm, X방향(폭방향, CD방향)으로 50mm 치수의 직사각형 형상 측정편을 잘라내, 이것을 측정 샘플로 한다. 이 측정 샘플을 그 Y방향이 인장방향이 되도록 인장 시험기의 척에 장착한다. 상술한 X방향의 파단 강도 측정방법과 동일한 순서로 Y방향의 파단 강도를 구한다. The original spunbonded nonwoven fabric or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obtained after the processing is cut out in a rectangular shape measuring 50 mm in the X direction (width direction, CD direction) and 200 mm in the Y direction (length direction, MD direction). This cut-out rectangular measuring piece is used as a measurement sample. The measurement sample is mounted on a chuck of a tensile tester (e.g., Tensilon tensile tester "RTA-100" manufactured by Orientech) so that the X direction is the tensile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chucks is set to 150 mm. The measurement sample is pulled at 300 mm / minute, and the maximum load point up to the sample break is taken as the breaking strength in the X direction. A rectangular measuring piece having a size of 50 mm in the X direction (width direction, CD direction) is cut out in the Y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MD direction) and 200 mm, and this is used as a measurement sample. The measurement sample is mounted on the chuck of the tensile tester so that the Y direction is the tensile direction. The breaking strength in the Y direction i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forementioned breaking strength measurement method in the X direction.

또한 특히 부직포(4)로서, 상술한 스펀본드 부직포를 이용했을 경우에는, 가공 후에 얻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표면에서 기모한 부직포의 구성 섬유가 짧아, 외관의 미관을 해하기 어렵다. 여기서, 부직포의 표면에서 기모한 구성 섬유란, 기모한 구성 섬유의 선단이 부직포의 표면에서 0.2mm 이상, 위쪽에 위치하는 섬유를 의미한다. Particularly when the above-mentioned spunbonded nonwoven fabric is used as the nonwoven fabric 4,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brushed on the surface of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obtained after the processing is short, and the appearance is less aesthetically pleasing. Here, the constituent fiber brushed on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means a fiber in which the tip of the brushed constituent fiber is located at least 0.2 mm above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스펀본드 부직포를 이용했을 경우에, 스펀본드 부직포의 표면에서 기모한 부직포의 구성 섬유가 짧은 이유로서, 본 발명자는 부분 연신 가공부(2)의 스틸 매칭 엠보싱 롤러(23)에 의해 스펀본드 부직포를 연신할 때에, 스펀본드 부직포의 열융착부에 약화점을 형성하고, 그 후 기모 가공부(3)의 볼록 롤(31)에 의해 표면을 가공하기 때문에, 약화점이 형성된 열융착부에서 스펀본드 부직포의 구성 섬유인 연속 장섬유가 파단하여, 열융착부에서 절단된 섬유가 형성되기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when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is used,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brushed on the surface of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are short. Since the weakening point is formed in the thermally fused portion of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at the time of stretching and then the surface is processed by the convex roll 31 of the bristle-processed portion 3,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The continuous filaments constituting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continuous filaments are broken, and the filaments cut at the heat-sealed portions are formed.

부직포는 촉감이 좋아지는 관점에서, 기모되어 있는 섬유가 8개/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개/c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충분한 파단 강도가 얻어지는 관점에서 상한은 100개/c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관상 보풀이 일어나 보이지 않는 점에서 40개/cm 이하가 바람직하다. 기모되어 있는 섬유는 이하의 측정법으로 측정한다.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feel of the nonwoven fabric,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woven fibers is 8 / cm or more, more preferably 12 / cm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sufficient breaking strength,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not more than 100 / cm,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40 / cm from the viewpoint of appearance of nappy. The brushed fibers ar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기모한 구성 섬유의 개수의 측정방법] [Method of Measuring the Number of Brushed Composite Fibers]

도 13은 기모한 구성 섬유의 개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샘플링 및 측정 환경은 22℃ 65%RH 환경하에서 실시한다. 먼저, 측정할 부직포에서 예리한 면도칼로 20cm×20cm의 측정편을 잘라내,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편을 기모측이 바깥쪽이 되도록 바깥으로 접어서 측정 샘플(104)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이 측정 샘플(104)을 A4 사이즈의 검은 대지 위에 얹고,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또 그 위에 세로 1cm×가로 1cm의 구멍(107)을 낸 A4 사이즈의 검은 대지를 얹는다. 이 때,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 샘플(104)의 접힘선(105)이, 위쪽 검은 대지의 구멍(107)에서 보이도록 배치한다. 양쪽 대지에는, 후지쿄와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의 "켄란(흑) 연량 265g"을 이용하였다. 그 후, 위쪽 대지 구멍(107)의 양측 각각으로부터, 접힘선(105)을 따라 바깥으로 5cm 떨어진 위치에 50g의 추를 각각 얹어, 측정 샘플(104)이 완전히 접힌 상태를 만든다. 다음으로 도 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스코프(KEYENCE사제 VHX-900)를 이용해서, 30배의 배율로 대지의 구멍(107) 안을 관찰하고, 측정 샘플(104)의 접힘선(105)에서 0.2mm 위쪽으로 평행 이동한 위치에 형성되는 가상선(108)보다 위쪽에 기모되어 있는 기모된 섬유의 개수를 계측한다. 이 때 측정할 부직포에 있어서, 기모 가공이 실시된 부위의 폭이 1cm 이상인 경우에는 기모 가공이 실시된 부위를 포함하도록 20cm×20cm의 측정편을 3편 잘라내서 계측한다. 또한 기모 가공이 실시된 부위의 폭이 1cm 이하일 경우에는 무작위로 20cm×20cm의 측정편을 3편 잘라내서 계측한다. 이상의 조작을, 측정할 부직포에 대하여 3장분 계측하여 합계 9개소의 평균을 내, 기모된 구성 섬유의 개수로 한다. 1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number of brushed constituent fibers. The sampling and measurement environment is performed under the environment of 22 ° C and 65% RH. First, a measuring piece of 20 cm x 20 cm is cut out of a nonwoven fabric to be measured with a sharp razor, and the measuring sample is folded outward so that the brim side is outward as shown in Fig. 13 (a) to form a measurement sample 104. Next, the measurement sample 104 is laid on a black ground of A4 size, and a black ground of A4 size is laid out with a hole 107 of 1 cm length x 1 cm width as shown in Fig. 13 (b).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3 (b), the folding line 105 of the measurement sample 104 is arranged so as to be visible in the hole 107 in the upper black ground. On both sides, "Kenlan (black) weight 265 g" of Fuji Kyowa and Seishi Kabushiki Kaisha was used. Thereafter, a weight of 50 g is placed on each of the both sides of the upper ground hole 107 at a position 5 cm away from the outer side along the folding line 105 to make the measurement sample 104 completely folded. Next, as shown in Fig. 13C, the inside of the hole 107 of the ground is observed at a magnification of 30 times using a microscope (VHX-900 manufactured by KEYENCE CO., LTD.) And the folding line 105 The number of brushed fibers brushed above the imaginary line 108 formed at a position shifted upward by 0.2 mm is measured. In the nonwoven fabric to be measured at this time, if the width of the brushed portion is 1 cm or more, three pieces of 20 cm x 20 cm pieces are cut out so as to include the brushed portion. Also, if the width of the brushed part is less than 1 cm, cut out three pieces of 20 cm × 20 cm pieces randomly and measure them. The above operations are measured for three nonwoven fabrics to be measured, and an average of 9 portions in total is taken as the number of wired constituent fibers.

또한 기모한 구성 섬유의 수를 셀 때에는 예를 들면 도 13(c)에 나타내는 섬유(106a)와 같이, 접힘선(105)에서 0.2mm 위쪽에 있는 가상선(108)을 2회 가로지르는 섬유가 있을 경우, 그 섬유는 2개로 센다. 구체적으로는, 도 13(c)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가상선(108)을 1회 가로지르는 섬유가 4개, 가상선(108)을 2회 가로지르는 섬유(106a)가 1개 존재하는데, 2회 가로지르는 섬유(106a)는 2개로 세어서 기모된 구성 섬유의 개수는 6개가 된다. Further, when counting the number of brushed constituent fibers, fibers that cross the imaginary line 108, which is 0.2 mm above the folding line 105 twice, such as the fibers 106a shown in Fig. 13 (c) If present, the fibers count as two. Specifically,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3 (c), there are four fibers crossing the imaginary line 108 once, and one fiber 106a crossing the imaginary line 108 twice. The number of constituent fibers that are brushed by the number of the crossing fibers 106a is six.

본 발명의 부직포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구성 섬유가 기모된 부직포는 식모와는 달리, 부직포에 접착제 등을 이용해서 새로운 섬유를 부착시키는 조작이 없기 때문에, 사용되는 접착제 등의 약제로 인해 피부에 악영향을 끼칠 위험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시의 식모 섬유의 벗겨짐, 접착면 노출 등의 문제도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면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고 있는 부직포 중 하나인 스펀본드 부직포는 얇아, 일반적인 기모 가공에서는 찢어짐이 생기기 쉬워 곤란하지만, 본 발명의 부직포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모 밀도가 높고 촉감이 좋은 기모(스펀본드) 부직포가 얻어진다. Unlike woolen fabrics, the nonwoven fabrics obtained by the method for producing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 adverse effect on the skin due to the use of adhesives or the like, So that the risk of being exposed can be reduced. Also, problems such as flaking of the flocked fiber and exposure of the adhesive surface do not occur during use. For example,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which is one of the nonwoven fabrics used in the absorbent article is thin and tends to be easily torn in general bridging. However, according to the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rass with high bristiness and good feel ) Nonwoven fabric is obtained.

본 발명의 부직포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부직포는, 또한 두께는 없지만 푹신하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 가공전 부직포와 고하중하에서의 두께는 거의 변하지 않지만, 저하중하에서의 두께에 차이가 보인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부직포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 및 가공전의 통상적인 스펀본드 부직포 모두 평량 15g/㎡에서는, 10gf/㎠의 고하중하에서는 두께가 0.15mm~0.18mm 정도로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0.05gf/㎠의 저하중하에서는 가공전의 통상적인 스펀본드 부직포에서는 0.41mm~0.46mm인 데 반해, 본 발명의 부직포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에서는 0.5mm~0.6mm로, 다른 두께가 된다. 한편, 0.05gf/㎠라는 하중은 부직포를 가볍게 눌렀을 때의 사람의 손가락 하중에 상당하며, 이 근소한 두께 차이를 인식하여 사람은 푹신함을 느낀다. The nonwoven fabric obtained by the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by being fluffy although there is no thickness. 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before working is hardly changed, but the difference is small in thickness under low load. For example, both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obtained by the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spunbonded nonwoven fabric before processing have a thickness of 0.15 mm to 0.18 mm under a high load of 10 gf / cm 2 at a basis weight of 15 g / m 2. However, under the reduction of 0.05 gf / cm 2, the spun bond nonwoven fabric before processing has a thickness of 0.41 mm to 0.46 mm, while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obtained by the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t thickness of 0.5 mm to 0.6 mm . On the other hand, the load of 0.05 gf / cm &lt; 2 &gt; corresponds to the finger load of a person when the nonwoven fabric is lightly pressed, and the person feels fluffy by recognizing this slight thickness difference.

본 발명의 부직포 제조방법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 전혀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The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부직포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가공장치(1)에서는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분 연신 가공부(2)에, 1쌍의 서로 맞물리는 요철 롤(21, 22)로 이루어지는 스틸 매칭 엠보싱 롤러(23)를 구비하고 있지만, 스틸 매칭 엠보싱 롤러(23) 대신에, 서로 맞물리는 톱니홈이 둘레면에 마련된 1쌍의 톱니홈 롤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1쌍의 톱니홈 롤은 반송방향으로 맞물려도 되고, 반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맞물려도 된다. 반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맞물리는 1쌍의 톱니홈 롤의 경우, 밀어넣는 양을 많이 하더라도 1쌍의 톱니홈 롤이 회전 가능해지기 때문에 기계 연신 배율이 높은 가공을 할 수 있어, 촉감이 좋은 부직포가 얻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미연신 부분이 간헐적으로 분포함으로써, 부직포의 파단 강도 저하가 적고, 가공시에 주름이 가기 어려운 점에서, 또한 MD방향과 CD방향 양쪽에 연신이 가해져 촉감이 뛰어난 점에서 스틸 매칭 엠보싱 롤러가 좋다. For example, in the processing apparatus 1 used in the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9 and 10, a pair of uneven rolls 21 and 22 ), But instead of the steel matching embossing roller 23, there may be provided a pair of tooth groove rolls provided on circumferential surface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pair of tooth groove rolls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carrying direction or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arrying direction. In the case of a pair of toothed groove rolls which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conveying direction, a pair of the toothed groove rolls can be rotated even if the amount of pushing is large, Is obtained. More preferably, since the non-woven portion is intermittently distributed, the lowering of the breaking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is less, the wrinkle hardly occurs during processing, and the stretching is applied to both the MD and CD directions, Roller is good.

또한 의장성을 부여하기 위해, 스트라이프형상으로 기모하거나, 패턴적으로 모양을 내서 부분적으로 기모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Further, in order to give designability, it is also preferable to brushed in a stripe shape or partially brushed in a patterned shape.

또한 본 실시형태의 부직포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가공장치(1)에서는 도 9,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모 가공부(3)에, 둘레면에 볼록부(310)가 마련된 볼록 롤(31)을 구비하고 있지만, 볼록 롤(31) 대신에, 서로 맞물리는 톱니홈이 둘레면에 마련된 1쌍의 톱니홈 롤을 구비해도 되고, 루울렛 가공한 롤(knurled roller)이나 용사 가공한 롤(thermal sprayed roller), 카딩 와이어(carding wire)여도 된다. 또 마찰 저항이 있는 소재를 둘레면에 마련한 롤을 구비해도 된다. 상기 롤의 둘레면에 마련되는 마찰 저항이 있는 소재로는 고무나 샌드 페이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부분 연신과 기모 가공은 연속해서 실시해도 되고, 순차적으로 실시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부직포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모 가공 후, 부직포 원단으로서 감음으로써 기모된 섬유가 일단은 찌부러지더라도, 그 후 풀어냈을 때 손에 닿거나, 언와인딩 머신(unwinding machine) 등의 가이드 롤에 통과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찌부러진 기모 섬유가 일어나, 촉감이 좋은 부직포 및 흡수성 물품이 얻어진다는 이점도 있다. 9 and 12, in the machining apparatus 1 used in the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vex roll 31 having the convex portions 310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s provided on the brushed portion 3,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air of toothed groove rolls provided on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oothed groove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instead of the convex rolls 31. Alternatively, a knurled roller or a thermal sprayed roller, or carding wire. Further, a roll provided with a material having frictional resistance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provided. Examples of the material having the frictional resistanc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 include rubber and sand paper. The partial stretching and brushed processing may be performed continuously or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after the brushed fabric is wound as the nonwoven fabric fabric, the brushed fibers are once collapsed, and then they come into contact with the hands when unwound, The bristles easily crushed and broken, and the nonwoven fabric and the absorbent article having good feel are obtained.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실시예 1] [Example 1]

섬유직경 14.7㎛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층을 가지는, 평량 15g/㎡의 부직포(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적층 부직포, 이하 SMS라고 함)를 사용하였다(이 상태의 부직포를 비교예 4로 함). 다음으로 이 SMS 부직포를, 도 3에 나타내는 스틸 매칭 엠보싱 롤러(43)에 통과시켜, 도 4에 나타내는 볼록 롤(51)로 표면 가공하고, 2단계 처리하여 부직포를 얻었다. 이용한 스틸 매칭 엠보싱 롤러(43)의 롤(41)에서의 각 볼록부(410)는 그 높이가 2.8mm이고, 롤(41)의 각 볼록부(410)와 롤(42)의 각 오목부(420)의 맞물림 깊이는 2.7mm였다. 또한 회전축방향으로 이웃하는 볼록부(410)끼리의 거리(피치)는 7mm이고, 둘레방향으로 이웃하는 볼록부(410)끼리의 거리(피치)는 7mm였다. 또한 이용한 볼록 롤(51)의 각 볼록부(510)의 높이는 0.6mm이고, 회전축방향으로 이웃하는 볼록부(510)끼리의 거리(피치)는 1.4mm이며, 둘레방향으로 이웃하는 볼록부(510)끼리의 거리(피치)는 2.1mm였다. 부직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4배의 속도로 볼록 롤을 회전시켰다. 포위각은 130도였다. 각각의 반송 속도는 10m/분이었다. A nonwoven fabric (spunbond-meltblown-spunbond laminated nonwoven fabric,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S) having a basis weight of 15 g / m 2 and having a spunbond layer made of an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resin having a fiber diameter of 14.7 μm was used Is referred to as Comparative Example 4). Next, the SMS nonwoven fabric was passed through a steel matching embossing roller 43 shown in Fig. 3, surface-processed with a convex roll 51 shown in Fig. 4, and subjected to two-step treatment to obtain a nonwoven fabric. Each convex portion 410 of the roll 41 of the steel matching embossing roller 43 used has a height of 2.8 mm and the convex portion 410 of the roll 41 and each concave portion of the roll 42 420) was 2.7 mm. The distance (pitch) between adjacent convex portions 410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was 7 mm, and the distance (pitch) between neighboring convex portions 4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as 7 mm. The height of each convex portion 510 of the convex roll 51 used is 0.6 mm and the distance (pitch) between adjacent convex portions 510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is 1.4 mm and the circumferential convex portions 510 (Pitch) was 2.1 mm. The convex roll was rotated at a speed four tim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The enclosure angle was 130 degrees. Each conveying speed was 10 m / min.

[실시예 2] [Example 2]

섬유직경 17.7㎛의 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층을 가지는, 평량 15g/㎡의 부직포(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적층 부직포, 이하 SMS라고도 함)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이 SMS 부직포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2단계 처리하여 부직포를 얻었다. A nonwoven fabric (spunbond-meltblown-spunbond laminated nonwoven fabric,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MS) having a basis weight of 15 g / m 2 and having a spunbond layer made of propylene resin having a fiber diameter of 17.7 μm was used. Next, the SMS nonwoven fabric was subjected to two-step treatmen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to obtain a nonwoven fabric.

[실시예 3] [Example 3]

섬유직경 12.9㎛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층을 가지는, 평량 18g/㎡의 부직포(스펀본드-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적층 부직포, 이하 SSMS라고도 함. 이 SSMS 부직포의 양면의 스펀본드층에는 유연제를 이겨넣었다.)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이 SSMS 부직포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2단계 처리하여 부직포를 얻었다. (Spunbond-spunbond-meltblown-spunbond laminated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of 18 g / m &lt; 2 &gt;,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SMS) having a spunbond layer composed of an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resin having a fiber diameter of 12.9 mu m, Of the spunbond layer was overlaid with a softening agent). Next, this SSMS nonwoven fabric was treated in two steps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to obtain a nonwoven fabric.

[실시예 4] [Example 4]

섬유직경 14.6㎛의 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층을 가지는, 평량 12g/㎡(스펀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본드 적층 부직포, 이하 SMMS라고도 함)의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이 SMMS 부직포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2단계 처리하여 부직포를 얻었다. (Spunbond-meltblown-meltblown-spunbond laminated nonwoven fabric,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MMS) having a spunbond layer made of propylene resin having a fiber diameter of 14.6 占 퐉 and a basis weight of 12 g / m 2 was used. Next, the SMMS nonwoven fabric was treated in two steps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to obtain a nonwoven fabric.

[실시예 5] [Example 5]

섬유직경 14.9㎛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층을 가지는, 평량 18g/㎡(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적층 부직포, 이하 SMS라고도 함)의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 SMS의 부직포의 한 면의 스펀본드층에는 유연제를 이겨넣었다. 다음으로 이 SMS 부직포의 유연제를 이겨넣은 층측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2단계 처리하여 부직포를 얻었다. A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of 18 g / m 2 (spunbond-meltblown-spunbond laminated nonwoven fabric,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MS) having a spunbond layer made of an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resin having a fiber diameter of 14.9 μm was used. Also, a softener was put into the spunbond layer on one side of the SMS nonwoven fabric. Next, the side of the SMS nonwoven fabric on which the softener was put was treated in two steps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to obtain a nonwoven fabric.

[실시예 6] [Example 6]

섬유직경 15.0㎛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층을 가지는, 평량 18g/㎡(스펀본드-스펀본드-스펀본드 적층 부직포, 이하 SSS라고도 함)의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 SSS의 부직포에는 유연제를 이겨넣었다. 다음으로 이 SSS 부직포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2단계 처리하여 부직포를 얻었다. A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of 18 g / m 2 (a spunbond-spunbond-spunbond laminated nonwoven fabric,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SS) having a spunbond layer made of an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resin having a fiber diameter of 15.0 μm was used. The nonwoven fabric of this SSS was also mixed with a softener. Next, this SSS nonwoven fabric was subjected to two-step treatmen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to obtain a nonwoven fabric.

[실시예 7] [Example 7]

섬유직경 14.9㎛의 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층을 가지는, 평량 18g/㎡(스펀본드-스펀본드-스펀본드 적층 부직포, 이하 SSS라고도 함)의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이 SSS 부직포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2단계 처리하여 부직포를 얻었다. A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of 18 g / m 2 (spunbonded-spunbond-spunbonded laminated nonwoven fabric,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SS) having a spunbond layer made of propylene resin having a fiber diameter of 14.9 m was used. Next, this SSS nonwoven fabric was subjected to two-step treatmen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to obtain a nonwoven fabric.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섬유직경 14.7㎛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층을 가지는, 평량 15g/㎡의 부직포(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적층 부직포, 이하 SMS라고도 함)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이 SMS 부직포에, 니들 펀치 처리를 재현하기 위해 끝이 뾰족한 핀셋(TWEEZERS 제품, 핀셋 K-14)을 이용해서, 5cm×5cm SMS 부직포의 상부면측에서 표면의 섬유를 끝이 뾰족한 부분으로 부직포 표면의 섬유를 걸어서 잡아당겨 올림으로써, 걸린 섬유를 잡아 뜯는 조작을 30회 실시함으로써 표면의 섬유가 들뜬 부직포를 얻었다. A nonwoven fabric (spunbond-meltblown-spunbond laminated nonwoven fabric,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MS) having a basis weight of 15 g / m 2 and having a spunbond layer made of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resin having a fiber diameter of 14.7 μm was us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Respectively. Next, in order to reproduce the needle punching process, the surface of the 5 cm x 5 cm SMS nonwoven fabric was woven with a sharp-pointed tweezers (TWEEZERS product, tweezers K-14) By pulling the fibers of the surface by pulling up, the operation of pulling the stuck fibers 30 times was performed to obtain a nonwoven fabric having a surface of fibers.

[비교예 2] [Comparative Example 2]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섬유직경 14.7㎛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층을 가지는, 평량 15g/㎡의 부직포(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적층 부직포, 이하 SMS라고도 함)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이 SMS 부직포에 컷팅 처리를 실시하여 부직포를 얻었다. 이용한 컷팅 방법은 액체 질소에 5분 담가 얼린 스펀본드 부직포를 면도칼로 절단함으로써 얻었다. A nonwoven fabric (spunbond-meltblown-spunbond laminated nonwoven fabric,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MS) having a basis weight of 15 g / m 2 and having a spunbond layer made of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resin having a fiber diameter of 14.7 μm was us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Respectively. Next, this SMS nonwoven fabric was subjected to cutting treatment to obtain a nonwoven fabric. The cutting method used was obtained by cutting a spun bonded nonwoven fabric immersed in liquid nitrogen for 5 minutes with a razor blade.

[비교예 3] [Comparative Example 3]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섬유직경 14.7㎛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층을 가지는, 평량 15g/㎡의 부직포(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적층 부직포, 이하 SMS라고도 함)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트러스코(trusco) 나카야마(주)제 샌드 페이퍼 입도 #240을 110φ의 롤 전체둘레에 양면 테이프로 접착하고, 그 롤의 전체둘레 360도 중 8.5도 접촉하는 상태로 둘러서, 이 SMS 부직포를 10m/min로 흘려보냈다. 그 때 샌드 페이퍼를 접착한 롤은 50m/min로 진행방향과는 반대회전으로 회전시켜, 섬유를 파단시킨 부직포를 얻었다. A nonwoven fabric (spunbond-meltblown-spunbond laminated nonwoven fabric,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MS) having a basis weight of 15 g / m 2 and having a spunbond layer made of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resin having a fiber diameter of 14.7 μm was us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Respectively. Next, the sand paper size # 240 made by Trusco Nakayama Co., Ltd. was adhered to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roll of 110 by double-sided tape, and the roll of the SMS nonwoven fabric 10 m / min. At that time, the roll adhering the sand paper was rotated at a rotation speed of 50 m / mi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advance to obtain a nonwoven fabric in which the fibers were broken.

[비교예 4] [Comparative Example 4]

실시예 1에 이용한, 섬유직경 14.7㎛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층을 가지는, 평량 15g/㎡의 부직포(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적층 부직포, 이하 SMS)를 사용하였다. 특별히 기모 가공은 실시하지 않았다. (Spunbond-meltblown-spunbond laminated nonwoven fabric,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S) having a basis weight of 15 g / m &lt; 2 &gt; and having a spunbond layer made of an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resin having a fiber diameter of 14.7 mu m used in Example 1 was used. No brushed finish was applied.

[비교예 5] [Comparative Example 5]

실시예 2에 이용한, 섬유직경 17.7㎛의 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층을 가지는, 평량 15g/㎡의 부직포(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적층 부직포, 이하 SMS라고도 함)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이 SMS 부직포에 니들 펀치 처리를 재현하기 위해 뾰족한 핀셋(TWEEZERS제, 핀셋 K-14)을 이용해서, 5cm×5cm SMS 부직포의 상부면측에서 표면의 섬유를 끝이 뾰족한 부분으로 부직포 표면의 섬유를 걸어서 잡아당겨 올림으로써, 걸린 섬유를 잡아 뜯는 조작을 30회 실시함으로써 표면의 섬유가 들뜬 부직포를 얻었다. A nonwoven fabric (spunbond-meltblown-spunbond laminated nonwoven fabric,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MS) having a basis weight of 15 g / m &lt; 2 &gt; and having a spunbond layer made of propylene resin having a fiber diameter of 17.7 mu m used in Example 2 was used. Next, in order to reproduce the needle punching treatment on the SMS nonwoven fabric, the surface fibers of the 5 cm x 5 cm SMS nonwoven fabric were cut into sharp-pointed portions using a sharp tweezers (TWEEZERS, Tweezers K-14) And the pulled-up fibers were pulled and pulled out 30 times to obtain a nonwoven fabric having a surface of fibers.

[비교예 6] [Comparative Example 6]

실시예 2에 이용한, 섬유직경 17.7㎛의 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층을 가지는, 평량 15g/㎡의 부직포(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적층 부직포, 이하 SMS라고도 함)를 사용하였다. 특별히 기모 가공은 실시하지 않았다. A nonwoven fabric (spunbond-meltblown-spunbond laminated nonwoven fabric,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MS) having a basis weight of 15 g / m &lt; 2 &gt; and having a spunbond layer made of propylene resin having a fiber diameter of 17.7 mu m used in Example 2 was used. No brushed finish was applied.

[비교예 7] [Comparative Example 7]

실시예 3에 이용한, 섬유직경 12.9㎛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층을 가지는, 평량 18g/㎡의 부직포(스펀본드-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적층 부직포, 이하 SSMS라고도 함. 이 SSMS 부직포의 양면의 스펀본드층에는 유연제를 이겨넣었다.)를 사용하였다. 특별히 기모 가공은 실시하지 않았다. A nonwoven fabric (spunbond-spunbond-meltblown-spunbond laminated nonwoven fabric,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SMS) having a basis weight of 18 g / m 2 and having a spunbond layer made of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resin having a fiber diameter of 12.9 탆 used in Example 3 The spunbond layer on both sides of this SSMS nonwoven fabric was overlaid with a softener. No brushed finish was applied.

[비교예 8] [Comparative Example 8]

실시예 4에 이용한, 섬유직경 14.6㎛의 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층을 가지는, 평량 12g/㎡(스펀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본드 적층 부직포, 이하 SMMS라고도 함)의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특별히 기모 가공은 실시하지 않았다. A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of 12 g / m 2 (spunbond-meltblown-meltblown-spunbond laminated nonwoven fabric,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MMS) having a spunbond layer made of propylene resin having a fiber diameter of 14.6 탆 and used in Example 4 Respectively. No brushed finish was applied.

[비교예 9] [Comparative Example 9]

실시예 5에 이용한, 섬유직경 14.9㎛의 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층을 가지는, 평량 18g/㎡(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적층 부직포, 이하 SMS라고도 함)의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 SMS 부직포의 한 면의 스펀본드층에는 유연제를 이겨넣었다. 특별히 기모 가공은 실시하지 않았다. A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of 18 g / m 2 (spunbond-meltblown-spunbond laminated nonwoven fabric,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MS) having a spunbond layer made of propylene resin having a fiber diameter of 14.9 탆 and used in Example 5 was used. Also, a softener was put into the spunbond layer on one side of the SMS nonwoven fabric. No brushed finish was applied.

[비교예 10] [Comparative Example 10]

실시예 6에 이용한, 섬유직경 15.0㎛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층을 가지는, 평량 18g/㎡(스펀본드-스펀본드-스펀본드 적층 부직포, 이하 SSS라고도 함)의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 SSS의 부직포에는 유연제를 이겨넣었다. 특별히 기모 가공은 실시하지 않았다. A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of 18 g / m 2 (spunbonded-spunbond-spunbond laminated nonwoven fabric,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SS) having a spunbond layer made of an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resin having a fiber diameter of 15.0 탆 and used in Example 6 was used. The nonwoven fabric of this SSS was also mixed with a softener. No brushed finish was applied.

[비교예 11] [Comparative Example 11]

실시예 7에 이용한, 섬유직경 14.9㎛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층을 가지는, 평량 18g/㎡(스펀본드-스펀본드-스펀본드 적층 부직포, 이하 SSS라고도 함)의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특별히 기모 가공은 실시하지 않았다. A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of 18 g / m 2 (spunbonded-spunbond-spunbonded laminated nonwoven fabric,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SS) having a spunbond layer made of an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resin having a fiber diameter of 14.9 μm and used in Example 7 was used. No brushed finish was applied.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실시예 1~7, 비교예 1~3, 비교예 5에서 얻어진 부직포에 대하여, 상술한 섬유직경의 측정법으로 섬유직경을 측정하여, 선단 섬유직경의 증가 비율을 구하고, 구해진 선단 섬유직경의 증가 비율이 15% 이상인 경우에 ○로 하고, 15% 미만인 경우에 ×로 해서 표 1, 표 2, 표 3, 표 4에 나타냈다. The nonwoven fabrics obtained in Examples 1 to 7,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5 were measured for fiber diameter by the above-mentioned measurement method of fiber diameter to determine the increasing ratio of the fiber diameter at the end, Is shown in Table 1, Table 2, Table 3, and Table 4 as &quot;? &Quot;

또한 실시예 1~7, 비교예 1~3, 비교예 5에서 얻어진 부직포에 대하여, 상술한 섬유직경의 측정법에 의해, 일단부(20a)만이 열융착부(3)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섬유(20)(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는 섬유(21) 및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지 않은 섬유(22))에 있어서의,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는 섬유(21)의 비율을 구하고, 구해진 굵어져 있는 섬유(21)의 비율이 20% 이상인 경우에 ○로 하고, 20% 미만인 경우에 ×로 해서 표 1, 표 2, 표 3, 표 4에 나타냈다. The nonwoven fabric obtained in Examples 1 to 7,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5 was subjected to the above-described fiber diameter measurement method so that only one end portion 20a of the nonwoven fabric was fixed by the heat- The free ends 20b of the fibers 21 in the free ends 20b of the fibers 21 in the free ends 20b (the fibers 21 having the thick free ends 20b and the fibers 22 having no thick free ends 20b) The ratios were obtain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Table 2, Table 3 and Table 4 when the ratio of the obtained thickened fibers 21 was 20% or more.

또한 실시예 1~7, 비교예 1~3, 비교예 5에서 얻어진 부직포에 대하여, 상술한 섬유직경의 측정법에 의해,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일단부(20a)만이 열융착부(3)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섬유(20)(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는 섬유(21) 및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지 않은 섬유(22)) 및 루프형상 섬유(23))에 있어서의, 루프형상 섬유(23)의 비율을 구하고, 구해진 루프형상 섬유(23)의 비율이 50%보다 적을 경우에 ○로 하고, 50% 이상일 경우에 ×로 해서 표 1, 표 2, 표 3, 표 4에 나타냈다. The fibers (one end portion 20a only) of the nonwoven fabric were bonded to the heat-sealed portion 3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measuring the fiber diameter with respect to the nonwoven fabric obtained in Examples 1 to 7,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5 In the fiber 20 (the fiber 21 having the free end 20b thickened and the fiber 22 having the free end 20b not thickened) and the loop-shaped fiber 23 fixed by the fiber- The ratio of the loop-shaped fibers 23 was found to be ◯ when the ratio of the obtained loop-shaped fibers 23 was less than 50%, and when the ratio was 50% or more, Respectively.

또한 실시예 1~7, 비교예 1~11에서 얻어진 부직포에 대하여, 상술한 섬유직경 분포의 측정법에 의해, 부직포에서의 섬유직경의 분포를 구하고, 구해진 섬유직경의 분포가 0.33 이상인 경우에 ○로 하고, 0.33 미만인 경우에 ×로 해서 표 1, 표 2, 표 3, 표 4에 나타냈다. The distribution of the fiber diameters in the nonwoven fabric was determined for the nonwoven fabrics obtained in Examples 1 to 7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11 by the above-mentioned measurement method of the fiber diameter distribution. When the distribution of the obtained fiber diameters was 0.33 or more, And when it was less than 0.33,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Table 2, Table 3, and Table 4.

[촉감의 관능 평가] [Sensory evaluation of touch]

실시예 1~7, 비교예 1~3, 비교예 5~11에서 얻어진 부직포에 대하여, 비교예 4의 부직포를 기준(3점)으로 했을 때의 10단계의(10점에 근접할수록 보다 좋은 촉감)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각 부직포에 대하여 3장의 평균값을, 정수자리로 사사오입하여 구하고, 실시예 1~7, 비교예 1~3, 비교예 5에서 얻어진 부직포 각각이, 각각의 미처리 부직포에 비해(실시예 1과 비교예 5, 실시예 2와 비교예 6, 비교예 5와 비교예 6, 실시예 3과 비교예 7, 실시예 4와 비교예 8, 실시예 5와 비교예 9, 실시예 6과 비교예 10, 실시예 7과 비교예 11, 비교예 1~4와 비교예 5), 구해진 관능 평가의 평균값이 향상되었으면 ○로 하고, 평균값이 변하지 않은 것은 ×로 해서 표 1, 표 2, 표 3, 표 4에 나타냈다. The nonwoven fabrics obtained in Examples 1 to 7,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5 to 11 were evaluated in terms of the number of nonwoven fabrics of Comparative Example 4 as the reference (3 points) ) Were subjected to sensory evaluation to obtain an average value of three sheets for each nonwoven fabric by rounding off to an integer and the respective nonwoven fabrics obtained in Examples 1 to 7,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5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5,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6, Comparative Example 5 and Comparative Example 6,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7, Example 4 and Comparative Example 8, Example 5 and Comparative Example 9,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Example 6 and Comparative Example 10, Example 7 and Comparative Example 11, Comparative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 5 When the average value of the sensory evaluation obtained was improved, Table 2, Table 3 and Table 4 show the results.

[파단 강도의 비의 평가] [Evaluation of rupture strength ratio]

실시예 1~7, 비교예 1~11에서 얻어진 부직포에 대하여, 상술한 파단 강도의 측정법에 의해, X방향(폭방향)으로 200mm, Y방향(길이방향)으로 50mm의 측정 샘플을 취하고, 척간을 150mm로 한 인장 시험기(시마즈세이사쿠쇼 제품)로, 인장 속도 300mm/분으로 잡아당겨 X방향(폭방향)의 강도를 측정하고, 4장의 평균값을 X방향(폭방향)의 강도로 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1~7, 비교예 1~3, 비교예 5에서 얻어진 부직포의 기모 가공전의 원래의 부직포(예를 들면 실시예 1에서는 비교예 5)의 X방향(폭방향)의 강도를 측정하고, 실시예 1~7, 비교예 1~3, 비교예 5에서 얻어진 부직포와, 기모 가공전의 원래의 부직포의 파단 강도의 비를 구해, 구해진 비가 50% 이상인 경우를 ○, 50% 미만인 경우를 ×로 해서 표 1, 표 2, 표 3, 표 4에 나타냈다. Measurement samples of 200 mm in the X direction (width direction) and 50 mm in the Y direction (length direction) were taken with respect to the nonwoven fabric obtained in Examples 1 to 7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11 by the measurement of breaking strength described above, (Width direction) was pulled at a tensile speed of 300 mm / min with a tensile tester (manufactured by Shimadzu Seisakusho Co., Ltd.) having a width of 150 mm, and the average value of four sheets was taken as the strength in the X direction (width direction). Next, the intensities in the X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he original nonwoven fabric (for example, Comparative Example 5 in Example 1) before brick processing of the nonwoven fabric obtained in Examples 1 to 7,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5 were measured , The ratios of the breaking strengths of the nonwoven fabric obtained in Examples 1 to 7,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5 to the original nonwoven fabric before brushed processing were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Table 2, Table 3, and Table 4.

[털 빠짐(shedding of fuzz) 평가] [Evaluation of shedding of fuzz]

실시예 1~7, 비교예 1~11에서 얻어진 부직포에 대하여, X방향(폭방향)으로 200mm, Y방향(세로방향)으로 200mm의 시험편을 취하고, 이 시험편의 한쪽 면을 평가면으로 해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이 평가면을 위로 하고, 시험편의 사방을 검 테이프로 플레이트에 고정하였다. 스폰지(몰토프렌(Moltoprene) MF-30)을 감은 마찰판을 시험편 위에 세팅하였다. 스폰지의 하중은 240g이었다. 정회전 3회, 역회전 3회를 1세트로 해서 마찰판을 회전시켰다. 이것을 15세트 실시하였다. 1회전은 3초의 속도로 하였다. 그 후, 상기 회전에 의해 스폰지에 부착된 모든 섬유를 투명한 점착 테이프에 부착시켰다. 이 점착 테이프를 흑색 대지에 붙였다. 시험편의 표면 상태와 점착 테이프에 부착된 섬유로부터, 털 빠짐 정도를,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표 2, 표 3, 표 4에 나타냈다. Test pieces having a length of 200 mm in the X direction (width direction) and 200 mm in the Y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were taken from the nonwoven fabric obtained in Examples 1 to 7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11, and one surface of this test piece was evaluated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evaluation surface was set up, and the four sides of the test piece were fixed to the plate with a check tape. A friction plate wound with a sponge (Moltoprene MF-30) was set on the test piece. The load of the sponge was 240 g. Three sets of forward rotation and three sets of reverse rotation were set as one set, and the friction plate was rotated. 15 sets of these were performed. One rotation was performed at a speed of 3 seconds. Then, all the fibers attached to the sponge by the rotation were attached to the transparent adhesive tape. This adhesive tape was attached to a black ground. From the surface state of the test piece and the fibers adhering to the adhesive tape, the degree of hair dropping was visually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The obtained results are shown in Tables 1, 2, 3 and 4.

○: 시험편에 보풀이나 보풀 뭉치가 거의 없다. 점착 테이프에 섬유의 부착이 거의 없다. ○: The test piece has little fluff or fluff. There is almost no adhesion of the fibers to the adhesive tape.

△: 시험편에 보풀 또는 보풀 뭉치가 인정되지만, 점착 테이프에 섬유의 덩어리형상은 없다. ?: The test piece was found to have a lint or a lint bundle, but the adhesive tape had no lump shape of the fiber.

×: 시험편에 보풀 또는 보풀 뭉치가 인정되며, 점착 테이프에 섬유의 덩어리형상이 많이 인정된다. X: The test piece is allowed to have a lint or a lint bundle, and the lint shape of the fiber is much recognized on the adhesive tape.

또한 실시예 1~7, 비교예 1~11에서 얻어진 부직포에 대하여, 상술한 미소 하중시의 압축 특성값의 측정법에 의해, 부직포에 있어서의 미소 하중시의 압축 특성값을 구하고, 구해진 압축 특성값이 18.0(gf/㎠)/mm 이하인 경우에 ○로 하고, 18.0(gf/㎠)/mm보다 클 경우에 ×로 해서 표 1, 표 2, 표 3, 표 4에 나타냈다. The nonwoven fabric obtained in Examples 1 to 7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11 was subjected to the above-mentioned measurement of the compression characteristic value at the time of the minute load to determine the compression characteristic value at the time of the minute load in the nonwoven fabric, (Gf / cm &lt; 2 &gt;) / mm or les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Table 2, Table 3, and Table 4 when x is larger than 18.0 (gf / cm2) / mm.

또한 실시예 1~7, 비교예 1~11에서 얻어진 부직포에 대하여, 상술한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측정법에 의해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개수를 구하고, 구해진 섬유의 개수가 8개/cm 이상인 경우에 ○로 하고, 8개/cm보다 적을 경우에 ×로 해서 표 1, 표 2, 표 3, 표 4에 나타냈다. Further, the number of fibers brushed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of measuring the worn-out fibers was determined for the nonwoven fabric obtained in Examples 1 to 7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11, and when the number of the obtained fibers was 8 / cm or more, , And when the number is less than 8 / cm,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Table 2, Table 3, and Table 4.

또한 실시예 1~7, 비교예 1~11에서 얻어진 부직포에 대하여, 상술한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높이 측정법에 의해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높이를 구하고, 구해진 섬유의 높이가 1.5mm 이하인 경우에 ○로 하고, 1.5mm보다 높을 경우에 ×로 해서 표 1, 표 2, 표 3, 표 4에 나타냈다. The height of the fibers brushed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of measuring the height of the brushed fibers was determined for the nonwoven fabrics obtained in Examples 1 to 7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11, and when the height of the obtained fibers was 1.5 mm or less, And when it is higher than 1.5 mm,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Table 2, Table 3, and Table 4.

Figure 112013026838274-pct00003
Figure 112013026838274-pct00003

Figure 112013026838274-pct00004
Figure 112013026838274-pct00004

Figure 112013026838274-pct00005
Figure 112013026838274-pct00005

Figure 112013026838274-pct00006
Figure 112013026838274-pct00006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명확하듯이, 실시예 1의 부직포는 비교예 1~3의 부직포에 비해, 자유단부(20b)가 굵어져 있는 섬유(21)의 비율이 높아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부직포는 비교예 1~3의 부직포에 비해, 선단 섬유직경의 증가 비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1의 부직포는 비교예 1~3의 부직포에 비해, 루프형상 섬유(23)의 비율이 적고, 섬유직경의 분포도 넓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의 부직포는 미처리의 비교예 4의 부직포에 비해 촉감이 뛰어나고, 파단 강도의 감소도 적으며, 털 빠짐이나 보풀 뭉치가 생기기 어렵고, 피부에 걸리지 않는 부직포가 얻어졌다. 한편, 비교예 1, 2의 부직포는 미처리의 비교예 4의 부직포와 촉감 평가가 바뀌지 않고, 비교예 3의 부직포는 미처리의 비교예 4의 부직포에 대하여 촉감은 향상되지만, 파단 강도의 감소가 현저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1의 부직포가 미처리의 비교예 4의 부직포에 비해 촉감이 뛰어난 것은 실시예 1의 부직포가 미처리의 비교예 4의 부직포에 비해 미소 하중시의 압축 특성값이 낮고,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개수가 많은 것으로부터도 판단할 수 있다. As is apparent from the results shown in Table 1, the nonwoven fabric of Example 1 has a higher ratio of the fibers 21 having the free end portion 20b thicker than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Further, it can be seen that the nonwoven fabric of Example 1 has a higher rate of increase of the fiber diameter at the end than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It is also understood that the nonwoven fabric of Example 1 has a smaller proportion of the loop-shaped fibers 23 and a wider distribution of fiber diameters than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The nonwoven fabric of Example 1 was superior in touch to the untreated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4, less in the breaking strength, less prone to hair loss and fluff, and was non-stick to the skin. On the other hand,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had no change in tactile evaluation with the untreated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4, and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3 had an improved tactile feel against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4, . The nonwoven fabric of Example 1 described above is superior to the untreated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4 in that the nonwoven fabric of Example 1 has a lower compression characteristic value at the time of minute load than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4 that is untreated, It is also possible to judge from the fact that the number is large.

또한 표 2, 표 3, 표 4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명확하듯이, 실시예 1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성분이 다른 수지를 이용했을 경우나, 실시예 1의 부직포와 평량, 유연제의 유무를 변경한 실시예 2~7의 부직포에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미처리의 비교예 6~9의 부직포에 비해 촉감이 향상되고, 파단 강도의 감소를 억제한 부직포가 얻어졌다. 촉감이 뛰어난 것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예 2~7의 부직포에서도, 미처리의 비교예 6~11의 부직포에 비해 미소 하중시의 압축 특성값이 낮고,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개수가 많은 것으로부터도 판단할 수 있다. 단, 비교예 5의 부직포와 같이, 미처리의 비교예 6의 부직포보다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개수가 많아져도,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높이가 너무 높아지면 촉감 평가가 나빠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수지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나 유연제를 이겨넣으면, 보다 촉감이 좋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6, 7의 부직포는 미소 하중시의 압축 특성값이 양호하기 때문에, 촉감이 좋은 결과가 나왔다. Further, as apparent from the results shown in Tables 2, 3 and 4, when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of Example 1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whe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oftening agent and the basis weight of the nonwoven fabric of Example 1 were changed Similar to the nonwoven fabric of Examples 2 to 7,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s 6 to 9 was improved in tactility and reduced in the breaking strength, as compared with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s 6 to 9, which was not treated. The nonwoven fabrics of Examples 2 to 7 had lower compressive characteristics at the time of a minute load than those of the nonwoven fabrics of Comparative Examples 6 to 11 which were not treated and the number of worn fibers was large It can be judged. However, even if the number of fibers brushed more than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6, which is not treated, as in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5, becomes too high, it becomes evident that the tactile evaluation becomes worse. It is also understood that when an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or a softening agent is mixed with the resin, the feel is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the nonwoven fabrics of Examples 6 and 7 have good compressive characteristics at the time of a minute load, and thus have good tactile sensation.

[실시예 8] [Example 8]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을 가지는, 평량 15g/㎡, 1.3dtex, 열압착부(엠보싱에 의한 열융착부)의 면적률이 15%인 SMS 부직포를 이용하였다. 도 9~도 12에 나타낸 전술한 가공방법으로 기모 가공을 실시한 실시예 8의 부직포를 얻었다. 이용한 스틸 매칭 엠보싱 롤러(23)의 롤에서의 각 볼록부(210)는 그 높이가 2.8mm이고, 롤(21)의 각 볼록부(210)와 롤(22)의 각 볼록부의 맞물림 깊이(D)는 2.7mm였다. 또한 기계 연신 배율은 2.9배이며, 회전축방향으로 이웃하는 볼록부(210)끼리의 거리(피치 P2)는 7mm이고, 둘레방향으로 이웃하는 볼록부(210)끼리의 거리(피치 P1)는 7mm였다. 스틸 매칭 엠보싱 롤의 주속도(V2)는 20m/min이고, 부직포의 반송 속도(V1)는 26m/min였다. 또한 기모에 이용한 볼록 롤(31)의 각 볼록부(310)의 높이는 0.6mm이며, 회전축방향으로 이웃하는 볼록부끼리의 거리(피치)는 1.4mm이고, 둘레방향으로 이웃하는 볼록부끼리의 거리(피치)는 2.1mm였다. 부직포의 반송 속도(V3)는 20m/min이며, 부직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4배의 주속도(V4)로 볼록 롤(31)을 회전시켰다. 포위각은 130도였다. 실시예 8에서는 한 면만 기모하였다. 부직포의 토탈 연신 배율은 1.7배였다. 부직포 열압착부의 피치와, 요철 롤의 볼록부의 피치의 비(부직포 열압착부의 피치/볼록부의 피치)는 MD방향(롤 둘레방향)이 0.43, CD방향(롤 회전축방향)이 0.37로 실시하였다. 부직포의 열압착부의 면적률과 부직포의 토탈 연신 배율의 비는 0.088이었다. An SMS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of 15 g / m 2 and 1.3 dtex and an area ratio of a thermocompression bonding portion (thermal fusion portion by embossing) having a spunbonded nonwoven fabric layer made of an ethylene-propylene copolymer resin was used. To obtain a nonwoven fabric of Example 8, which was brushed by the above-described working method shown in Figs. 9 to 12. The convex portions 210 of the rolls of the steel matching embossing rollers 23 used are of a height of 2.8 mm and the depths D of the convex portions 210 of the roll 21 and the convex portions of the roll 22 ) Was 2.7 mm. The distance (pitch P 2 ) between adjacent convex portions 210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is 7 mm and the distance (pitch P 1 ) between neighboring convex portions 2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7 mm. The main speed V2 of the steel-matched embossing roll was 20 m / min, and the conveying speed V1 of the nonwoven fabric was 26 m / min. Further, the height of each convex portion 310 of the convex roll 31 used for brushed was 0.6 mm, the distance (pitch) between adjacent convex portions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was 1.4 mm, the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convex portion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Pitch) was 2.1 mm. The conveying speed V3 of the nonwoven fabric was 20 m / min, and the convex roll 31 was rotated at a main speed V4 four tim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The enclosure angle was 130 degrees. In Example 8, only one side was brushed. The total draw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was 1.7 times. (Ratio of the pitch of the nonwoven fabric thermocompression bonding portion to the pitch of the convex portion) was 0.43 in the MD direction (roll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0.37 in the CD direction (roll rotation axis direction). The ratio of the area ratio of the thermocompression bonded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to the total stretching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was 0.088.

[실시예 9] [Example 9]

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을 가지는, 평량 13g/㎡, 섬유직경 15.9㎛, 열압착부(엠보싱에 의한 열융착부)의 면적률이 13%인 SMS 부직포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8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공하여 실시예 9의 부직포를 얻었다. 부직포의 토탈 연신 배율은 1.7배였다. 부직포 열압착부의 피치와, 요철 롤의 볼록부의 피치의 비(부직포 열압착부의 피치/볼록부의 피치)는 MD방향(롤 둘레방향)이 0.41, CD방향(롤 회전축방향)이 0.24로 실시하였다. 부직포의 열압착부의 면적률과 부직포의 토탈 연신 배율의 비는 0.076이었다. An SMS nonwoven fabric having a layer of a spunbonded nonwoven fabric made of propylene resin having a basis weight of 13 g / m 2, a fiber diameter of 15.9 탆, and an area ratio of a thermocompression bonding portion (heat fusion portion by embossing) of 13% was used. The resultant was process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8 to obtain a nonwoven fabric of Example 9. The total draw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was 1.7 times. (Pitch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thermocompression bonding portion) was 0.41 and the CD direction (roll rotation axis direction) was 0.24. The ratio of the pitch of the nonwoven fabric thermocompression portion to the pitch of convex portions of the concave- The ratio of the area ratio of the thermocompression bonded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to the total stretching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was 0.076.

[실시예 10] [Example 10]

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을 가지는, 평량 18g/㎡, 1.8dtex, 열압착부(엠보싱에 의한 열융착부)의 면적률이 12%인, 멜트블로운층이 없는 스펀본드층만의 부직포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8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공하여 실시예 10의 부직포를 얻었다. 부직포의 토탈 연신 배율은 1.7배였다. 부직포 열압착부의 피치와, 요철 롤의 볼록부의 피치의 비(부직포 열압착부의 피치/볼록부의 피치)는 MD방향(롤 둘레방향)이 0.3, CD방향(롤 회전축방향)이 0.3으로 실시하였다. 부직포의 열압착부의 면적률과 부직포의 토탈 연신 배율의 비는 0.071이었다. A spunbond layer having a layer of a spunbonded nonwoven fabric made of propylene resin having a basis weight of 18 g / m 2 and 1.8 dtex and an area ratio of a thermocompression bonding portion (thermally fused portion by embossing) of 12% Respectively. The resultant was process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8 to obtain a nonwoven fabric of Example 10. The total draw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was 1.7 times. (Pitch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thermocompression bonding portion) was 0.3 in the MD direction (roll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0.3 in the CD direction (roll rotation axis direction) of 0.3 in terms of the pitch of the nonwoven thermocompression bonding portion and the pitch of convex portions of the uneven roll. The ratio of the area ratio of the thermocompression bonded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to the total stretching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was 0.071.

[실시예 11] [Example 11]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을 가지는, 평량 15g/㎡, 1.3dtex의 SMS 부직포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스틸 매칭 엠보싱 롤러에 의한 가공을 실시하였다. 부직포의 토탈 연신 배율은 1.7배였다. 부직포 열압착부의 피치와, 요철 롤의 볼록부의 피치의 비(부직포 열압착부의 피치/볼록부의 피치)는 MD방향(롤 둘레방향)이 0.43, CD방향(롤 회전축방향)이 0.37로 실시하였다. 부직포의 열압착부의 면적률과 부직포의 토탈 연신 배율의 비는 0.088이었다. 그 후, 기모에는 돌기 높이가 최대 약 0.07mm, 돌기의 밀도가 약 2000개/㎠인 볼록 롤을 이용하였다. 부직포의 반송 속도(V3)는 20m/min이고, 부직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4배의 주속도(V4)로 볼록 롤(31)을 회전시켰다. 포위각은 60도였다. 실시예 11에서도 한 면만 기모하였다. As in Example 8, an SMS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of 15 g / m 2 and 1.3 dtex and having a spunbond nonwoven fabric layer made of an ethylene-propylene copolymer resin was used. Like in the eighth embodiment, machining was carried out by a steel-matched embossing roller. The total draw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was 1.7 times. (Ratio of the pitch of the nonwoven fabric thermocompression bonding portion to the pitch of the convex portion) was 0.43 in the MD direction (roll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0.37 in the CD direction (roll rotation axis direction). The ratio of the area ratio of the thermocompression bonded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to the total stretching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was 0.088. Thereafter, convex rolls having a protrusion height of about 0.07 mm and a protrusion density of about 2000 protrusions / cm 2 were used for the bristles. The conveying speed V3 of the nonwoven fabric was 20 m / min, and the convex roll 31 was rotated at a main speed V4 four tim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The enclosure angle was 60 degrees. In Example 11, only one side was brushed.

[비교예 12] [Comparative Example 12]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을 가지는, 평량 15g/㎡, 1.3dtex의 SMS 부직포를, 비교예 12의 부직포로 하였다. Similarly to Example 8, an SMS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of 15 g / m 2 and 1.3 dtex and having a spunbonded nonwoven fabric layer made of an ethylene-propylene copolymer resin was used as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12.

[비교예 13] [Comparative Example 13]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을 가지는, 평량 15g/㎡, 1.3dtex의 SMS 부직포를 이용하였다. 다음으로, 트러스코 나카야마(주)제 샌드 페이퍼 입도 #240을 110φ의 롤 전체둘레에 양면 테이프로 접착, 그 롤의 전체둘레 360도 중 8.5도 접촉하는 상태로 둘러서, 이 SMS 부직포를 10m/min로 흘려보냈다. 그 때 샌드 페이퍼를 접착한 롤은 40m/min로 진행방향과는 반대회전으로 회전시켜서 기모한 비교예 13의 부직포를 얻었다. As in Example 8, an SMS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of 15 g / m 2 and 1.3 dtex and having a spunbond nonwoven fabric layer made of an ethylene-propylene copolymer resin was used. Next, the sand paper size # 240 made by Trus KONAKAYA CO., LTD. Was adhered to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roll of 110 by double-sided tape, and the SMS nonwoven fabric was rolled up at a rate of 10 m / min . At that time, the roll adhered with the sandpaper was rotated at a rotation speed of 40 m / mi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unning direction to obtain a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13 which was worn.

[비교예 14] [Comparative Example 14]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을 가지는, 평량 13g/㎡, 섬유직경 15.9㎛의 SMS 부직포를 비교예 14의 부직포로 하였다. As in Example 9, an SMS nonwoven fabric having a spunbonded nonwoven fabric layer made of propylene resin having a basis weight of 13 g / m 2 and a fiber diameter of 15.9 탆 was used as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14.

[비교예 15] [Comparative Example 15]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을 가지는, 평량 13g/㎡, 섬유직경 15.9㎛의 SMS 부직포를 이용하였다. 다음으로 비교예 13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공하여 비교예 15의 부직포를 얻었다. As in Example 9, an SMS nonwoven fabric having a spunbonded nonwoven fabric layer made of propylene resin and having a basis weight of 13 g / m 2 and a fiber diameter of 15.9 탆 was used. Next,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15 was obtained by processing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Comparative Example 13.

[비교예 16] [Comparative Example 16]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을 가지는, 평량 18g/㎡, 1.8dtex의, 멜트블로운층이 없는 스펀본드층만의 부직포를 비교예 16의 부직포로 하였다. Similarly to Example 10, a nonwoven fabric having a spunbonded nonwoven fabric layer made of propylene resin and having a basis weight of 18 g / m 2 and 1.8 dtex and having no meltblown layer was used as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16.

[비교예 17] [Comparative Example 17]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을 가지는, 평량 18g/㎡, 1.8dtex의, 멜트블로운층이 없는 스펀본드층만의 부직포를 이용하였다. 다음으로 비교예 13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공하여 비교예 17의 부직포를 얻었다. As in Example 10, a nonwoven fabric having a spunbonded nonwoven fabric layer made of propylene resin and having a basis weight of 18 g / m 2 and 1.8 dtex and having no meltblown layer was used. Next,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17 was obtained by processing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Comparative Example 13.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촉감의 관능 평가] [Sensory evaluation of touch]

실시예 8~11, 비교예 12~16에서 얻어진 부직포에 대하여, 비교예 12의 부직포를 기준(3점)으로 했을 때의 10단계의(10점에 근접할수록 보다 좋은 촉감) 관능 평가를 실시하고, 각 부직포에 대하여 3장의 평균값을 정수자리로 사사오입하여 구하고, 실시예 8~11, 비교예 12~16에서 얻어진 부직포 각각이, 각각의 미처리 부직포에 비해(실시예 8과 비교예 12, 실시예 9와 비교예 14, 실시예 10과 비교예 16, 비교예 13과 비교예 12, 비교예 15와 비교예 14, 비교예 17과 비교예 16), 구해진 관능 평가의 평균값이 향상되었으면 ○로 하고, 평균값이 변하지 않은 것은 ×로 해서 표 5, 표 6, 표 7에 나타냈다. Sensitivity evaluation was performed on the nonwoven fabric obtained in Examples 8 to 11 and Comparative Examples 12 to 16 in 10 steps (better tactile feeling toward 10 points) when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12 was used as a reference (3 points) Woven fabric obtained in Examples 8 to 11 and Comparative Examples 12 to 16 was compared with each of the untreated nonwoven fabrics in Example 8 and Comparative Example 12 and Comparative Example 12 Examples 9 and 14, Example 10 and Comparative Example 16, Comparative Example 13 and Comparative Example 12, Comparative Example 15 and Comparative Example 14, and Comparative Example 17 and Comparative Example 16). When the average value of the sensory evaluation obtained was improved, And those in which the average value did not change were indicated by X in Tables 5, 6, and 7.

[기모한 구성 섬유의 평가] [Evaluation of brushed constituent fibers]

실시예 8~11, 비교예 12~16에서 얻어진 부직포에 대하여, 전술한 기모한 구성 섬유의 개수의 측정방법에 의해 기모한 구성 섬유의 개수를 측정하였다. 기모한 구성 섬유의 개수가 10개 이상인 경우에 ○로 하고, 20개 이상인 경우에 ◎로 하고, 10개 미만인 경우에 ×로 해서 표 5, 표 6, 표 7에 나타냈다. For the nonwoven fabric obtained in Examples 8 to 11 and Comparative Examples 12 to 16, the number of constituent fibers brushed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of measuring the number of woven constituent fibers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Table 6, and Table 7 as &quot;? &Quot; when the number of worn constituent fibers is 10 or more,?

[파단 강도의 평가] [Evaluation of breaking strength]

실시예 8~11, 비교예 12~16에서 얻어진 부직포에 대하여, 전술한 파단 강도의 측정법에 의해, X방향(폭방향, CD방향)으로 200mm, Y방향(길이방향, MD방향)으로 50mm의 측정 샘플을 취하고, 척간을 150mm로 한 인장 시험기(시마즈세이사쿠쇼 제품)로 인장 속도 300mm/분으로 잡아당겨 X방향(폭방향, CD방향)의 강도를 측정하고, 4장의 평균값을 X방향(폭방향, CD방향)의 강도로 하였다. 다음으로 각각의 미처리 부직포에 비해(실시예 8과 비교예 12, 실시예 9와 비교예 14, 실시예 10과 비교예 16, 비교예 13과 비교예 12, 비교예 15와 비교예 14, 비교예 17과 비교예 16), X방향(폭방향, CD방향) 강도의 비가 50% 이상인 경우에 ○로 하고, 50% 미만인 경우에 ×로 해서 표 5, 표 6, 표 7에 나타냈다. The nonwoven fabric obtained in Examples 8 to 11 and Comparative Examples 12 to 16 was measured for the breaking strength in the X direction (width direction, CD direction) by 200 mm and in the Y direction (length direction, MD direction) by 50 mm The measurement sample was taken and pulled at a tensile speed of 300 mm / min with a tensile tester (manufactured by Shimadzu Seisakusho Co., Ltd.) with a chuck distance of 150 mm to measure the strength in the X direction (width direction and CD direction) Width direction, CD direction). Next, compared with the respective untreated nonwoven fabrics (Example 8 and Comparative Example 12, Example 9 and Comparative Example 14, Example 10 and Comparative Example 16, Comparative Examples 13 and 12, Comparative Examples 15 and 14, (Example 17 and Comparative Example 16), and the intensity ratio in the X direction (width direction, CD direction) was 50% or more, and when the ratio was less than 50%, the result was shown in Tables 5, 6 and 7.

Figure 112013026838274-pct00007
Figure 112013026838274-pct00007

Figure 112013026838274-pct00008
Figure 112013026838274-pct00008

Figure 112013026838274-pct00009
Figure 112013026838274-pct00009

표 5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명확하듯이, 실시예 8의 부직포는 촉감이 뛰어나고 파단 강도 감소도 적은 부직포였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8의 부직포는 비교예 12의 부직포에 비해 촉감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3의 부직포는 비교예 12의 부직포에 비해 촉감이 좋아졌지만, 파단 강도의 감소가 현저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의 부직포에 관해서는, 기모한 섬유 대부분이 루프형상이 아니라 단부가 잘라져 있어, 손끝 걸림도 없었다. 또 롤부에는 섬유 찌꺼기가 보이지 않아 양호하였다. 한편, 비교예 13의 부직포 제조시에는 샌드 페이퍼에 섬유 찌꺼기의 부착이 보여지고, 샌드 페이퍼의 내구성에도 문제를 발생시켰다. As is clear from the results shown in Table 5, the nonwoven fabric of Example 8 was a nonwoven fabric excellent in touch and less in breaking strength. Specifically, it can be seen that the nonwoven fabric of Example 8 has significantly improved tactility as compared to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12. On the other hand,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13 had better tactile feel than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12, but the decrease in the breaking strength was remarkable. Regarding the nonwoven fabric of Example 8, most of the brushed fibers were not loop-shaped, but had their ends cut off, and there was no fingertip. Also, since the fiber residue was not visible on the roll part, it was good.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producing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13, adhesion of fiber residue to the sandpaper was observed, and durability of the sandpaper was also problematic.

표 6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명확하듯이, 실시예 9의 부직포도 실시예 8의 부직포와 마찬가지로, 촉감이 향상되고 파단 강도 감소도 적은 부직포였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예 15의 부직포는 원래의 비교예 14의 부직포에 비해, 파단 강도는 그다지 떨어지지 않았지만 촉감 향상이 보여지지 않았고, 실시예 9의 부직포만 원래의 비교예 14의 부직포에 비해 촉감이 향상되고, 파단 강도 감소도 억제할 수 있었다. As is clear from the results shown in Table 6, the nonwoven fabric of Example 9 was also a nonwoven fabric having improved tactile feel and reduced breaking strength, like the nonwoven fabric of Example 8. Specifically,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15 did not show much improvement in tear strength compared with the original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14, but the nonwoven fabric of Example 9 had a tactile feel compared to the original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14 And the reduction of fracture strength was also suppressed.

표 7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명확하듯이, 실시예 10의 부직포도 실시예 8의 부직포와 마찬가지로, 촉감이 향상되고 파단 강도 감소도 적은 부직포였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예 17의 부직포는 원래의 비교예 16의 부직포에 비해, 파단 강도는 떨어지지 않았지만 촉감 향상이 보여지지 않았고, 실시예 10의 부직포만 원래의 비교예 16의 부직포에 비해 촉감이 향상되고, 파단 강도 감소도 억제할 수 있었다. As is apparent from the results shown in Table 7, the nonwoven fabric of Example 10 was also a nonwoven fabric having improved tactile feel and reduced breaking strength, like the nonwoven fabric of Example 8. Specifically, the breaking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17 was not lowered than that of the original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16, but the improvement of the tactile feeling was not observed. Only the nonwoven fabric of Example 10 was improved in touch compared to the original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16 And the reduction of the breaking strength was also suppressed.

본 발명의 부직포에 의하면, 파단 강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에 푹신함이 있어 촉감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에 의하면, 루프형상 섬유가 적어 피부에 걸리기 어려워 촉감이 향상된다. According to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though the breaking strength is high, the overall feel is soft and the feel is improved. Further, according to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umber of the loop-shaped fibers is small, it is hard to be caught on the skin, and the feel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 제조방법에 의하면, 구성 섬유가 기모된 촉감이 좋은 부직포가 얻어지는 동시에, 얻어진 기모 부직포의 부직포 파단 강도의 저하를 경감한 부직포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 제조방법에 의하면, 구성 섬유가 기모된 부직포가 얻어지는 동시에, 제조 속도가 빠르고 비용이 억제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ducing a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nwoven fabric in which the constituent fibers are worn with good touch is obtained, and a nonwoven fabric obtained by reducing the deterioration of the nonwoven fabric breaking strength of the obtained woven nonwoven fabric is obtained. Further, according to the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woven fabric in which the constituent fibers are woven is obtained, and the manufacturing speed is fast and the cost is reduced.

Claims (24)

장섬유로 이루어지는 웹을 열융착부에 의해 고정한 부직포로서, 상기 장섬유의 일부가 파단되어, 일단부(一端部)만이 상기 열융착부에 의해 고정되는 동시에, 타단부(他端部)측의 자유단부가 굵어져 있는 섬유를 구비하고 있는 부직포. Wherein a part of the long fibers is broken and only one end portion is fixed by the heat fusion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is fixed on the other end portion side Wherein the nonwoven fabric has fibers having a free end portion thickened. 제1항에 있어서,
자유단부가 굵어져 있는 상기 섬유는 그 선단 섬유직경의 증가 비율이 15% 이상인 부직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ber having a free end portion of increased thickness has an increasing ratio of the fiber diameter of the end portion of 15% or mo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일단부만이 상기 열융착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섬유에 있어서, 자유단부가 굵어져 있는 상기 섬유의 비율이 20% 이상인 부직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bers are fixed at one end only by the heat-sealed portion, and the ratio of the fiber having the free end portion is 20% or mo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부 사이에서 루프형상으로 기립하는 루프형상 섬유를 가지며, 상기 루프형상 섬유 및 일단부만이 상기 열융착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섬유의 총 수에 있어서, 상기 루프형상 섬유의 비율이 50%보다 적은 부직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Like fibers having loop-shaped fibers rising between the heat-sealed portions, wherein the loop-shaped fibers and the total number of fibers in which only one end portion is fixed by the heat-sealed portion, the ratio of the loop- Less than% nonwove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직경 분산도가 0.33~100인 부직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have a fiber diameter dispersion degree of 0.33 to 10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스펀본드층과 멜트블로운층의 적층 부직포를 바탕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직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nonwoven fabric is formed on the basis of a spunbonded nonwoven fabric or a laminated nonwoven fabric comprising a spunbond layer and a meltblown lay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스펀본드층과 멜트블로운층의 상기 적층 부직포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를 5중량% 이상, 또는 재생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25중량% 이상 포함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or the laminated nonwoven fabric of the spunbond layer and the meltblown layer is made of a polypropylene resin containing not less than 5% by weight of an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resin or not less than 25% by weight of a recycled polypropylene resi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가 유연제를 포함하는 것인 부직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punbonded nonwoven fabric comprises a softening ag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스펀본드층과 멜트블로운층의 상기 적층 부직포를 바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 부직포의 상기 스펀본드층은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섬유의 일부가 파단되어, 일단부만이 상기 열융착부에 의해 고정되는 동시에, 타단부측의 자유단부가 굵어져 있는 섬유를 구비하고 있는 스펀본드층이 유연제를 포함하는 것인 부직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nonwoven fabric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laminated nonwoven fabric of the spunbond layer and the meltblown layer, the spunbond layer of the laminated nonwoven fabric comprises a plurality of layers,
Wherein the spunbond layer comprises fibers in which a part of the long fibers is broken so that only one end portion is fixed by the heat fusion portion and the free end portion on the other end side is thick.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미소 하중시의 압축 특성값이 18.0(gf/㎠)/mm 이하이고, CD방향의 파단 강도값이 5.00N/5cm 이상이며, 평량이 5~25g/㎡인 부직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compression property value at a minute load is 18.0 (gf / cm2) / mm or less, a breaking strength value in the CD direction is 5.00 N / 5 cm or more, and a basis weight is 5 to 25 g / m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평균 섬유직경이, 같은 면의 기모되어 있지 않은 부위의 표면 섬유의 평균 섬유직경보다 작은 부직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verage fiber diameter of the brushed fibers is smaller than the average fiber diameter of the surface fibers of the non-brushed portions of the same surfa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모되어 있는 섬유가 8개/cm 이상이면서 기모되어 있는 섬유의 높이가 1.5mm 이하인 부직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nonwoven fabric having a bristle fiber of 8 / cm or more and a bristle height of 1.5 mm or les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의 일부의 파단은 상기 열융착부의 주변부인 부직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portion of the long fibers is broken at the periphery of the heat-sealed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기재된 부직포를 구성 부재로서 이용한 흡수성 물품. An absorbent article using th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claim 1 as a constituent member. 50℃ 이하의 온도로 부직포의 복수 개소 각각에 부분 연신 가공을 실시하고, 상기 부분 연신 가공이 실시된 부직포에 상기 부직포의 구성 섬유를 기모하는 기모 가공을 실시하는 부직포의 제조방법. Wherein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nonwoven fabric are subjected to partial stretching at a temperature of 50 DEG C or lower and brass processing is carried out to wring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to the partially drawn nonwoven fabric.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연신 가공은 상기 부직포의 상기 복수 개소 각각을 기계 연신 배율 1.05~20배로 연신하는 부직포의 제조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partial stretching process is a process of stretching each of the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nonwoven fabric at a mechanical stretch ratio of 1.05 to 20 times.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연신 가공에 의해 상기 부직포의 상기 복수 개소 각각에 반송방향 및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 가공을 실시하는 부직포의 제조방법.
1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or 17,
And performing stretching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nonwoven fabric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arrying direction and the carrying direction by the partial stretching process.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연신 가공은 1쌍의 요철 롤을 이용해서 실시하고,
한쪽 롤이 둘레면에 복수개의 볼록부를 가지며, 다른 쪽 롤이 둘레면에 한쪽 상기 롤의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볼록부가 들어가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부직포를 1쌍의 상기 요철 롤 사이에 공급하여, 상기 부직포에 상기 부분 연신 가공을 실시하는 부직포의 제조방법.
1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or 17,
The partial stretching process is carried out using a pair of concave-convex rolls,
One of the rolls has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ther roll has a concave portion in which the convex portion is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 of one of the rolls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Wherein the nonwoven fabric is fed between a pair of the uneven rolls, and the partial stretch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nonwoven fabric.
제19항에 있어서,
1쌍의 상기 요철 롤은 공급된 상기 부직포의 총 면적에 대하여 10%~80%의 부분에 상기 부분 연신 가공을 실시하는 부직포의 제조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pair of uneven rolls are subjected to the partial stretching process at a portion of 10% to 80% of the total area of the supplied nonwoven fabric.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를 1쌍의 상기 요철 롤 사이에 공급할 때의 공급 속도(V1)와 1쌍의 상기 요철 롤의 주속도(V2)와의 관계를 V1>V2로 한 부직포의 제조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a relationship between a feeding speed (V1) when the nonwoven fabric is fed between the pair of uneven rolls and a main speed (V2) of a pair of the uneven rolls is V1 &gt; V2.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모 가공은 둘레면에 복수개의 볼록부를 가지는 볼록 롤을 이용해서 실시하고,
상기 볼록 롤의 회전방향을 상기 부직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부분 연신 가공이 실시된 부직포의 반송 속도(V3)와 상기 볼록 롤의 주속도(V4)의 관계를 V4/V3=0.3~10으로 한 부직포의 제조방법.
1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or 17,
The brushed work is carried out using a convex roll having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convex roll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Where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veying speed (V3) of the nonwoven fabric subjected to the partial stretching process and the main speed (V4) of the convex roll is V4 / V3 = 0.3 to 1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토탈 연신 배율이 1.3~4.0배인 부직포의 제조방법.
1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or 17,
Wherein the nonwoven fabric has a total draw ratio of 1.3 to 4.0.
제19항에 있어서,
원래의 상기 부직포는 평면방향에 규칙적으로 분산되는 열압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열압착부의 피치와 1쌍의 상기 요철 롤의 상기 볼록부의 피치의 비(열압착부의 피치/볼록부의 피치)가 0.05~0.7인 부직포의 제조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original nonwoven fabric has a thermocompression bonding portion which is regularly dispersed in a plane direction,
Wherein the ratio of the pitch of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portion to the pitch of the convex portions of one pair of the concave-convex rolls (pitch / convex portion pitch of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portion) is 0.05 to 0.7.
KR1020137007873A 2010-09-30 2011-05-26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non-woven fabric KR10179814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21940 2010-09-30
JPJP-P-2010-221941 2010-09-30
JP2010221941 2010-09-30
JPJP-P-2010-221940 2010-09-30
JPJP-P-2011-095916 2011-04-22
JPJP-P-2011-095915 2011-04-22
JP2011095916A JP4982616B2 (en) 2010-09-30 2011-04-22 Nonwoven manufacturing method
JP2011095915A JP4982615B2 (en) 2010-09-30 2011-04-22 Non-woven
PCT/JP2011/062083 WO2012042972A1 (en) 2010-09-30 2011-05-26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non-woven fabr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619A KR20130137619A (en) 2013-12-17
KR101798140B1 true KR101798140B1 (en) 2017-11-15

Family

ID=46725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873A KR101798140B1 (en) 2010-09-30 2011-05-26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non-woven fabric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623657B1 (en)
KR (1) KR101798140B1 (en)
CN (1) CN103080399B (en)
EA (1) EA025743B1 (en)
MY (1) MY182143A (en)
SG (1) SG188511A1 (en)
TW (1) TWI456096B (en)
WO (1) WO201204297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5698A (en) 2012-09-21 2015-12-1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Articles with soft nonwoven layers
JP5530023B1 (en) * 2012-12-19 2014-06-25 花王株式会社 Non-woven
JP5514948B1 (en) * 2012-12-19 2014-06-04 花王株式会社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622921B2 (en) * 2012-12-19 2014-11-12 花王株式会社 Non-woven
JP6228814B2 (en) * 2013-06-28 2017-11-08 花王株式会社 Sheet fusion body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JP6170822B2 (en) * 2013-11-28 2017-07-26 花王株式会社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560015B2 (en) * 2014-05-30 2019-08-14 花王株式会社 Disposable diapers
JP6108417B2 (en) * 2014-10-17 2017-04-05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DE102014119519B4 (en) * 2014-12-23 2022-11-17 Coroplast Fritz Müller Gmbh & Co. Kg Adhesive tape with a long-fiber sewn fleece
CN106192213B (en) * 2016-08-15 2019-01-08 东莞市悠悠美居家居制造有限公司 A kind of flexible nonwoven cloth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1334941A (en) * 2020-04-14 2020-06-26 湖南工程学院 Line tracing and positioning integrated device for garment decoration splicing seam process
JP2021188206A (en) * 2020-06-03 2021-12-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Fiber structure manufacturing device, fiber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fiber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4068A (en) 1999-05-07 2000-11-14 Nippon Kyushutai Gijutsu Kenkyusho:Kk Bulky processing of non-woven fabric and bulky non- woven fabric obtained by the same
KR100497583B1 (en) * 1998-03-24 2005-07-01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lexible nonwoven fabric laminate
JP2007516364A (en) 2003-12-23 2007-06-21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Nonwoven composite fabric treated with roughened surfa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5645A (en) 1973-10-18 1975-06-03
JPS5246181A (en) 1975-10-08 1977-04-12 Toyo Boseki Manufacture of unwoven fabrics
JPS5810504B2 (en) 1978-02-09 1983-02-25 東レ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nonwoven fabric
JPS59187665A (en) 1983-04-05 1984-10-24 東レ株式会社 Treatment of raised sheet
JPH0730501B2 (en) * 1986-01-29 1995-04-05 旭化成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napped long fiber non-woven sheet
JPH1119015A (en) 1997-07-02 1999-01-26 Mitsui Chem Inc Nonwoven fabric for wiping member and manufacture thereof
JPH11318791A (en) * 1998-05-18 1999-11-24 Uni Charm Corp Raised wiping sheet, its manufacture, and cleaning article using the wiping sheet
JP3732377B2 (en) 2000-01-19 2006-01-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Sanitary flocking sheet
JP2002302861A (en) 2001-04-09 2002-10-18 Chisso Corp Raised nonwoven fabric,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textile product using the same
JP3926587B2 (en) * 2001-07-12 2007-06-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4338578B2 (en) * 2004-04-28 2009-10-07 花王株式会社 Bulky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827597B2 (en) 2005-06-17 2011-11-30 花王株式会社 Elastic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S2347804T3 (en) * 2005-06-21 2010-1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UPLED FIBER BAND.
JP5099752B2 (en) * 2007-05-24 2012-12-19 花王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surface sheet
WO2009063889A1 (en) * 2007-11-12 2009-05-22 Mitsui Chemicals, Inc. Eccentric hollow composite long fiber, long-fiber nonwoven fabric made therefrom, and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583B1 (en) * 1998-03-24 2005-07-01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lexible nonwoven fabric laminate
JP2000314068A (en) 1999-05-07 2000-11-14 Nippon Kyushutai Gijutsu Kenkyusho:Kk Bulky processing of non-woven fabric and bulky non- woven fabric obtained by the same
JP2007516364A (en) 2003-12-23 2007-06-21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Nonwoven composite fabric treated with roughened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619A (en) 2013-12-17
EA201390431A1 (en) 2013-07-30
TW201224239A (en) 2012-06-16
EP2623657A4 (en) 2016-03-23
CN103080399B (en) 2016-01-20
EA025743B1 (en) 2017-01-30
TWI456096B (en) 2014-10-11
SG188511A1 (en) 2013-05-31
WO2012042972A1 (en) 2012-04-05
MY182143A (en) 2021-01-18
EP2623657B1 (en) 2016-12-28
CN103080399A (en) 2013-05-01
EP2623657A1 (en)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140B1 (en)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non-woven fabric
JP6099030B2 (en) Absorbent articles
JP4982615B2 (en) Non-woven
JP5898421B2 (en) Absorber and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JP5529524B2 (en) Brushed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843396B2 (en) Nonwoven manufacturing method
JP5622921B2 (en) Non-woven
JP2004000465A (en) Absorbent article
CN104220662B (en) Non-woven fabrics and its manufacture method
JP5779011B2 (en) Absorbent articles
JP5530023B1 (en) Non-woven
JP7188959B2 (en) absorbent article
JP4705369B2 (en) Interlabial pad
JP2017169805A (en) Absorbent article
JP7319042B2 (en) Composite stretch sheet manufacturing method
JP654643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non-woven fabric
JP6538410B2 (en)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0054251A (en) Nonwoven fabric and absorbing article using the same
WO202403435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on-woven fabric for absorbent articles, and absorbent article
WO2024034356A1 (en) Absorbent article
RU2575448C1 (en) Non-woven fabric
JP2020092743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composite stretchable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