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631B1 - 역류차단 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 - Google Patents

역류차단 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631B1
KR101797631B1 KR1020170121402A KR20170121402A KR101797631B1 KR 101797631 B1 KR101797631 B1 KR 101797631B1 KR 1020170121402 A KR1020170121402 A KR 1020170121402A KR 20170121402 A KR20170121402 A KR 20170121402A KR 101797631 B1 KR101797631 B1 KR 101797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eight
cap
container body
na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금빈
Original Assignee
임금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금빈 filed Critical 임금빈
Priority to KR1020170121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45Containers therefor, e.g. with heating means or with storage means for cann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54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 A61M3/0262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manually, e.g. by squeezing a bul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비강에 유입된 세척액가 다시 비강 세척용기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본체에 증류수와 식염분말을 넣고 흔들어 생리식염수인 세척액를 만들 때 용기캡에 형성된 분사공을 밀폐함으로써 세척액가 비산되지 않도록 하여 주변 오염을 막고 세척액를 원활하게 혼합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역류차단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역류차단 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Nasal wash container}
본 발명은 역류차단 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강에 유입된 세척액가 다시 비강 세척용기내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고, 용기본체에 증류수와 식염분말을 넣고 흔들어 생리식염수인 세척액를 만들 때 용기캡에 형성된 분사공을 밀폐함으로써 세척액가 비산되지 않도록 하여 주변 오염을 막고 세척액를 원활하게 혼합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역류차단 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배기가스로 인한 대기오염, 화분과 황사 및 미세먼지 등이 호흡중에 비강에 축적되어 각종 호흡기 질환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호흡기 질환의 치료 일환으로 비강 세척이 바람직하게 권유되고 있다.
비강 세척은 보통 비강 세척용기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비강 세척용기는 세척액를 저장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투입구에 체결되고 저장된 세척액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공이 형성된 용기캡을 포함한다.
비강은 코의 등쪽에 있는 코 안의 빈 공간을 일컫는 것으로 그 내부에 점막이 형성되어 있고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아주 미세한 솜털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솜털들은 동일한 방향으로만 진동을 하고 있어 마치 바람에 파도치는 밀밭과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 솜털의 표면에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바이러스 꽃가루와 같은 유해한 물질을 걸러내는 점액이 코팅되어 있으며, 일방향으로 진동하는 솜털들의 움직임에 의해 점막이 컨베어밸트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므로 걸러진 물질들은 점액과 함께 코에서부터 목구멍을 통해 위장에까지 이동되고 걸러진 순순한 공기만이 폐에 전달되어 신체활동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받게 된다.
그런데, 유해공기 중에서 호흡할 경우 유해공기는 비강 내부의 점막을 심하게 자극하게 되고, 이와 같은 영향으로 비강내의 점막은 점차적으로 그 기능과 정상적인 방어능력을 상실하게 되어 염증성 비염을 발생시키며, 더 나아가 유해공기에 유해한 바이러스가 포함되었을 경우, 축농증과 같은 호흡기질환을 일으켜 사회생활을 어렵게 한다.
때문에, 비강 세척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세척에 사용되는 식염분말과 세척액를 용기본체에 넣고 흔들어 혼합한 후 한 쪽 코를 통해 비강으로 주입한 후 다른 쪽 코를 통해 배출하는 방식으로 세척하게 된다.
한편, 종래 비강세척용기는 역류차단기능이 없기 때문에 비강으로 주입된 세척액가 다시 용기내로 주입되어 용기내의 세척액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용기캡에 형성된 분사공이 개방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식염분말과 세척액를 혼합하기 위해 용기본체를 잡고 흔들게 되면 분사공을 통해 세척액가 흘러 나와 비산되면서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비강에 유입된 세척액가 다시 용기본체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고, 용기본체에 증류수와 식염분말을 넣고 흔들어 생리식염수인 세척액를 만들 때 용기캡에 형성된 분사공을 밀폐함으로써 세척액가 비산되지 않도록 하여 주변 오염을 막고 세척액를 원활하게 혼합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역류차단 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단에는 세척액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돌출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세척액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하단은 상기 용기본체의 투입구와 체결되고 상단 중앙에는 용기본체 내부의 세척액이 분사되는 분사공이 상하방향으로 천공되며, 상단 중앙 저면에는 용기본체의 저장공간 내부로 인입되는 분사노즐이 장착되는 용기캡과; 상기 용기캡을 덮어 마감하되 내부 중앙에는 상기 용기캡의 분사공에 끼워져 밀봉하는 밀봉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차단 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분사노즐 내부에는 역류차단밸브가 내설되되, 상기 역류차단밸브는 상기 분사노즐 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에 유동공이 형성되도록 몸체 중앙 내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지지대와; 상기 환형지지대의 유동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환형지지대 상측에서 몸체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역류차단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봉돌기는 3-15㎛ 입도를 갖는 구형실리카 5-10중량%와, 수산화알루미늄 1.5-2.5중량%와, 수용성 SiO3 2.5-4.5중량%와, 오레가노 오일 5.5-8.5중량%와, 자일리톨 1.5-2.5중량%와, 에리스리톨 1.5-2.5중량%와, 멘톨(Menthol) 1.5-2.5중량%와, DL-캄파(DL-Camphor) 1.5-2.5중량%와, 멜라노이딘 1.0-2.0중량%, 폴리페놀 1.0-2.0중량%와, 3-15㎛ 입도를 갖는 토르말린 분말 5-10중량% 및 나머지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성형조성물로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류차단 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는 비강에 유입된 세척액가 다시 용기본체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본체에 증류수와 식염분말을 넣고 흔들어 생리식염수인 세척액를 만들 때 용기캡에 형성된 분사공을 밀폐함으로써 세척액가 비산되지 않도록 하여 주변 오염을 막고 세척액를 원활하게 혼합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차단 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의 분리단면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차단 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의 결합단면도이며,
도3 및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비강세척용기에서 역류차단밸브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역류차단 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차단 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의 분리단면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차단 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의 결합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역류차단 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는 용기본체(110), 용기캡(120) 및 마감캡(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10)는 상단에는 세척액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111)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투입구(111)의 외면에는 숫나사산(1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세척액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용기캡(120)은 하단은 상기 용기본체의 투입구(111)와 체결되며 이를 위해 내면에는 상기 숫나사산(112)과 치합되는 암나사산(1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캡(120)의 상단 중앙에는 용기본체 내부의 세척액이 분사되는 분사공(122)이 상하방향으로 천공되며, 상단 중앙 저면에는 용기본체의 저장공간 내부로 인입되는 분사노즐(125)이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용기캡의 상단 중앙 저면에는 하향돌기(123)가 돌설되며, 상기 하향돌기(123)에 분사노즐(125)이 장착되어서 용기본체의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 마감캡(130)은 용기캡(120)을 덮어 용기캡을 마감하는 캡으로 내부 중앙에는 상기 용기캡의 분사공(122)에 끼워져 밀봉하는 밀봉돌기(131)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분사노즐(125) 내부에는 역류차단밸브(140)가 내설되되, 상기 역류차단밸브(140)는 상기 분사노즐(125) 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몸체(141)와, 상기 몸체(141)의 중앙에 유동공(142)이 형성되도록 몸체 중앙 내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지지대(143)와, 상기 환형지지대(143)의 유동공(14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환형지지대 상측에서 몸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역류차단판(144)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역류차단밸브(140)는 분사노즐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데, 역류차단밸브의 직경을 분사노즐 직경 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역류차단밸브가 분사노즐에 삽입되면 합성수지 재질의 분사노즐이 직경이 늘어나면서 역류차단밸브가 분사노즐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강세척용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강세척용기는 비강에 유입된 세척액가 다시 비강세척용기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비강세척용기를 통해 비강을 세척할 경우 용기본체(110)를 눌러 압력을 가하면 용기본체내의 세척액이 분사노즐(125)을 통해 용기캡(120)의 분사공(122)으로 분사되어 사용자의 비강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분사노즐(125)을 통해 상승하는 세척액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차단밸브(140)의 역류차단판(144)을 밀어 올리면서 용기캡의 분사공(122)으로 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110)의 압력을 해제하면 비강으로 유입된 세척액이 용기캡의 분사공(122)으로 통해 다시 용기본체 내부로 들어오는 역류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비강세척용기는 분사노즐의 내부에 역류차단밸브(140)가 내설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캡의 분사공으로 유입되는 세척액이 상기 역류차단판(144)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차단판(144)이 환형지지대(143)에 지지되면서 역류차단밸브의 유동공(142)을 밀폐하여 세척액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강세척용기는 분사노즐 내부에 역류차단밸브(140)을 형성함으로써 세척액이 용기본체에서 사용자의 비강측으로 유입될 때는 역류차단밸브의 유입공이 개방되고, 사용자의 비강측에서 용기본체로 유입될 때는 역류차단밸브의 유입공이 밀폐된다. 따라서, 용기본체의 세척액이 역류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강세척용기는 마감캡(130)이 용기캡에 형성된 분사공(122)을 밀폐함으로써 세척액가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비강세척용기는 용기캡을 마감하는 마감캡(130)을 구비하고 상기 마감캡의 중앙 저면에는 용기캡의 분사공에 끼워져 밀봉하는 밀봉돌기(131)가 형성된다. 따라서, 용기본체에 증류수와 식염분말을 넣고 흔들어 생리식염수인 세척액를 만들 때 용기캡에 형성된 분사공을 마감캡의 밀봉돌기가 밀폐함으로써 세척액가 비산되지 않도록 하여 주변 오염을 막고 세척액를 원활하게 혼합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분사노즐 내부에 역류차단밸브(140)가 내설되어 있으나, 세게 흔들거나 흔들때 용기본체에 압력을 가해 흔들 경우 역류차단판(144)이 역류차단밸브의 유동공(142)이 개방되고 개방된 유동공을 통해 세척액이 비산될 수 있는 데, 상기 마감캡의 밀봉돌기가 세척액의 비산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밀봉돌기에 인체 유익성분을 함유시켜 세척수를 만들기 위해 용기본체를 흔들 때 세척수가 분사공을 밀폐하고 있는 밀봉돌기와 접촉되면서 유익성분이 세척수 내부로 용출되도록 하여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밀봉돌기(131)는 3-15㎛ 입도를 갖는 구형실리카 5-10중량%와, 수산화알루미늄 1.5-2.5중량%와, 수용성 SiO3 2.5-4.5중량%와, 오레가노 오일 5.5-8.5중량%와, 자일리톨 1.5-2.5중량%와, 에리스리톨 1.5-2.5중량%와, 멘톨(Menthol) 1.5-2.5중량%와, DL-캄파(DL-Camphor) 1.5-2.5중량%와, 멜라노이딘 1.0-2.0중량%, 폴리페놀 1.0-2.0중량%와, 3-15㎛ 입도를 갖는 토르말린 분말 5-10중량% 및 나머지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성형조성물로 성형된다.
이때, 상기 구형실리카는 발수성과 방수성을 증대시키고, 이를 통해 내오염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10중량%를 초과하면 분산성과 교반성을 저해하고, 5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발수성과 방수성이 약화되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수산화알루미늄은 알루미늄의 양쪽성 수화물로서 소수화를 막고 친수화를 유도하여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2.5중량%를 초과하면 습식 분말량이 증가되어 도포성을 약화시키고, 1.5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친수화 성이 떨어지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된다.
아울러, 상기 수용성 SiO3는 독성을 제거하여 인체 유해성을 없애기 위해 첨가되는데,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중금속 등의 6대 유해물질을 흡착 제거하여 인체 유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다만, 4.5중량%를 초과하면 기름성분을 신속히 분해하여 유화를 가속화시키며, 2.5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면 유해물질 흡착 제거기능이 떨어지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오레가노 오일(oregano oil)은 세척수에 용출되어 흔하게 빈발할 수 있는 오염세균인 노로바이러스나 혹은 로타바이러스를 살균하기 위한 항균 기능을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미국 애리조나대학 환경학부의 켈리 R. 브라이트 박사 연구팀이 밝힌 보고서에 따르면 오레가노 오일(oregano oil)에 들어있는 '카르바크롤(carvacrol)'이 노로바이러스나 로타바이러스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미국 응용미생물학회(SAM)가 발간하는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다만, 과량 사용시 눈 건강을 악화시키므로 8.5중량%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고, 5.5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항균 효과 떨어지기 때문에 상기 범위로 한정해야 한다.
아울러, 상기 자일리톨과 에리스리톨은 당알코올로 수분과 반응하여 흡열반응을 일으켜 주변의 열을 빼앗아 시원함을 느끼게 하며, 또한 피부와 접촉시에는 강한 청량감(시원한 느낌)을 주므로 이를 위해 첨가되며, 또한, 상기 멘톨(Menthol)과 DL-Camphor(DL-캄파)는 혈관을 확장시켜 시원한 느낌을 주는 청량감을 강화시킨다. 다만, 과량첨가시 점도 조절을 저해하고, 사용시 너무 강한 청량감에 의한 거부반응이 증대되므로 상기와 같이 동일량 첨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멜라노이딘은 용출에 의해 비강내 면역력을 증강시켜 특히, EB(Epstein Barr)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폴리페놀은 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첨가된다. 다만, 이들은 약리성 물질이므로 상기 범위로 제한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토르말린 분말은 4-14 미크론의 파장대역의 전자파 방출시켜 비강 세포의 활성화를 촉진함으로써 건강한 비강을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여기에 더하여 포도상구균, 폐렴균, 대장균 등에 대한 강한 항균력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성형조성물에는 상기 실리콘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은(Ag) 나노분말이 5-8중량부 더 첨가될 수 있고, 자외선에 대한 내변색성을 강화시키도록 살리실산에스테르를 상기 실리콘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5-2.5중량부 더 첨가할 수 있다.
덧붙여, 용출특성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 상기 밀봉돌기의 외표면에는 표면코팅층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표면코팅층은 세바스산 6-10중량%와, SEP(Polystyrene-b-polyethylene) 5-10중량%와, 3-15㎛의 입도를 갖는 귤껍질 분말 15-20중량%와, 말토덱스트린 4-8중량%와, 셀레늄 2.5-3.5중량% 및 나머지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세바스산은 이물부착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점도 저하를 막고 실리콘 기재와의 접착성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범위로 사용된다.
아울러, 실리콘 기재와의 접착성을 강화시키면서 수축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인 SEP(Polystyrene-b-polyethylene)를 상기 범위로 첨가한다.
그리고, 상기 귤껍질 분말은 리모넨이 함유되어 있어 비강 접촉시 수분증발을 억제하고 얇은 막을 형성시켜 점막을 보호하도록 첨가되는데, 과량 첨가시 수지의 흐름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상기 범위로 한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말토덱스트린은 알레르기를 억제하고, 독성을 분해 제거하기 위해 첨가되는데, 다만 말토덱스트린은 분해가 쉬운 다당류의 탄수화물에 속하기 때문에 단백질 교란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셀레늄은 표면코팅층의 표면 산화를 막고, 살균기능도 수행하도록 상기 범위로 한정된다.
그리고,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는 내약품성 및 내화학성이 뛰어나다.
이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비강 세척용기를 구성하는 밀봉돌기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시료를 만들었다.
시료는 1cm ×1cm × 0.5cm의 판형으로 만들었으며, 시료의 성분은 10㎛ 입도를 갖는 구형실리카 8중량%와, 수산화알루미늄 2중량%와, 수용성 SiO3 3중량%와, 오레가노 오일 7중량%와, 자일리톨 2중량%와, 에리스리톨 2중량%와, 멘톨(Menthol) 2중량%와, DL-캄파(DL-Camphor) 2중량%와, 멜라노이딘 1.5중량%, 폴리페놀 1.5중량%와, 10㎛ 입도를 갖는 토르말린 분말 8중량% 및 나머지 실리콘으로 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되, 실리콘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은(Ag) 나노분말 6.5중량부와, 살리실산에스테르 2.0중량부를 더 첨가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되, 세바스산 8중량%와, SEP(Polystyrene-b-polyethylene) 7중량%와, 10㎛의 입도를 갖는 귤껍질 분말 17중량%와, 말토덱스트린 6중량%와, 셀레늄 3중량% 및 나머지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코팅액으로 표면코팅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각 실시예에 따른 시료1,2,3의 발수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 시료의 표면에 19개의 노즐분사공(직경 0.9mm)을 갖는 스프레이 테스터로 JIS L-1092에 따른 발수도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험결과, 각 시료의 외면 및 내면 모두에서 발수특성이 있는 것으로 '정상' 통과되었다.
또한, 청량감이 생기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판중이 일반 비강세척용기와 본 발명에 따른 비강세척용기를 수십회 흔들어 사용토록 5명의 30대 남자 시험자에게 사용케 하였다. 이때, 한 번 사용 후 수십회 흔든 후 20분 후에 다시 사용케 한 후 청량감 여부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 결과, 일반 비강세척용기에서는 청량감, 시원함이 전혀 없고, 오히려 코속 접촉시 거부감, 이물감이 들었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시료1,2,3의 경우 모두 청량감과 시원함을 느꼈다고 답하였다.
아울러, 항균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료1,2,3의 각 시료 외표면에 배양된 노로바이러스를 떨어뜨린 후 20℃로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15일간 방치하였다. 그리고, 15일이 지난 후 바이러스의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확인 결과 모든 사료에서 바이러스의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 활성이 현저히 둔화되었고, 대부분 사멸하였음이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대한 내변색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료1,2,3을 실외에 노출시킨 상태로 5일간 방치한 후 변색 여부를 확인하였다.
확인결과, 시료1에서는 미세하게 노란색감으로 변화된 부분이 발생하였으나, 시료2,3의 경우는 전혀 변색이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시료2,3의 경우 자외선에 대한 내변색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유용성분 용출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특성 확인을 위해, 각각 분리된 용기에 증류수에 시료1,2,3을 각각 분리하여 투입한 후 6시간이 경과된 시점에서 TDS(Total Dissolved Solids) 측정기를 이용하여 용출물질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험전, 증류수의 TDS는 0이었고, 실험 후 시료1의 TDS는 8.5였고, 시료2는 8.8이었으며, 시료3은 19.4였다.
이로써, 표면코팅층을 통해 인체 유용물질의 용출이 더 크게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0: 용기본체 120: 용기캡
122: 분사공 125: 분사노즐
130: 마감캡 131: 밀봉돌기
140: 역류차단밸브 144: 역류차단판

Claims (3)

  1. 상단에는 세척액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돌출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세척액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하단은 상기 용기본체의 투입구와 체결되고 상단 중앙에는 용기본체 내부의 세척액이 분사되는 분사공이 상하방향으로 천공되며, 상단 중앙 저면에는 용기본체의 저장공간 내부로 인입되는 분사노즐이 장착되는 용기캡과;
    상기 용기캡을 덮어 마감하되 내부 중앙에는 상기 용기캡의 분사공에 끼워져 밀봉하는 밀봉돌기가 형성되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밀봉돌기는 3-15㎛ 입도를 갖는 구형실리카 5-10중량%와, 수산화알루미늄 1.5-2.5중량%와, 수용성 SiO3 2.5-4.5중량%와, 오레가노 오일 5.5-8.5중량%와, 자일리톨 1.5-2.5중량%와, 에리스리톨 1.5-2.5중량%와, 멘톨(Menthol) 1.5-2.5중량%와, DL-캄파(DL-Camphor) 1.5-2.5중량%와, 멜라노이딘 1.0-2.0중량%, 폴리페놀 1.0-2.0중량%와, 3-15㎛ 입도를 갖는 토르말린 분말 5-10중량% 및 나머지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성형조성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차단 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 내부에는 역류차단밸브가 내설되되, 상기 역류차단밸브는
    상기 분사노즐 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에 유동공이 형성되도록 몸체 중앙 내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지지대와;
    상기 환형지지대의 유동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환형지지대 상측에서 몸체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역류차단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차단 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
  3. 삭제
KR1020170121402A 2017-09-20 2017-09-20 역류차단 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 KR101797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402A KR101797631B1 (ko) 2017-09-20 2017-09-20 역류차단 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402A KR101797631B1 (ko) 2017-09-20 2017-09-20 역류차단 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631B1 true KR101797631B1 (ko) 2017-11-14

Family

ID=60387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402A KR101797631B1 (ko) 2017-09-20 2017-09-20 역류차단 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6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749B1 (ko) 2018-03-26 2018-05-10 임금빈 비강세척기 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8020B2 (ja) * 1991-09-30 2001-02-26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パワーセーブ方式
KR200232557Y1 (ko) 2001-01-31 2001-10-26 이재봉 스프레이식 코세정기
CN202095765U (zh) * 2011-02-28 2012-01-04 陈鑫生 口鼻腔卫生冲刷器
CN205796035U (zh) 2016-05-16 2016-12-14 东莞市万佳医疗科技有限公司 防倒流洗鼻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8020B2 (ja) * 1991-09-30 2001-02-26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パワーセーブ方式
KR200232557Y1 (ko) 2001-01-31 2001-10-26 이재봉 스프레이식 코세정기
CN202095765U (zh) * 2011-02-28 2012-01-04 陈鑫生 口鼻腔卫生冲刷器
CN205796035U (zh) 2016-05-16 2016-12-14 东莞市万佳医疗科技有限公司 防倒流洗鼻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749B1 (ko) 2018-03-26 2018-05-10 임금빈 비강세척기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548B1 (ko) 비강 세척용기
CN109562197B (zh) 用于在气溶胶中使病原体失活的材料、装置及方法与用于制造其的方法
US20110125111A1 (en) Bottle for packaging liquid that is to be dispensed drop by drop, with antibacterial protection
EP3456200B1 (en) Article having an antimicrobial solid and use thereof
BRPI0614927A2 (pt) composições antimicrobianas
EP1919282A2 (en) Antimicrobial substrates
KR101797631B1 (ko) 역류차단 및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비강세척용기
ES2275552T3 (es) Composiciones de neutralizacion de alergenos.
CA2836070A1 (en) Container closure system with integral antimicrobial additives
US5197636A (en) Fast activation chlorine dioxide delivery apparatus
CN105054401A (zh) 改性纳米竹炭口罩
Tharayil et al. Contact transmission of SARS-CoV-2 on fomite surfaces: surface survival and risk reduction
ES2764873T3 (es) Artículo portable y procedimiento de producción de un artículo portable
CA3199912A1 (en) Luminol for the prophylaxis and the treatment of sequelae of a sars-cov-2 infection
US20230241427A1 (en) Improved filtering mask
KR20220137052A (ko) 희귀 만성 염증성 폐질환 치료용 5-아미노-2,3-디히드로-1,4-프탈라진디온
KR20170102679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샤워장치
JP2006212370A (ja) 呼吸用空気濾過器
JP6868916B1 (ja) 殺菌性ナノカプセル、ブドウ状微粒集合体、消毒殺菌フィルター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TWI720025B (zh) 無菌液體分配器
US20230172211A1 (en) Spray formulations comprising metal nanoparticle agglomerates and surface disinfection therewith
FR3020246A1 (fr) Masque a face exterieure en polypropylene non tisse comprenant du bronopol
TWI661811B (zh) 具有奈米銀絲的殺菌裝置
JP2007333240A (ja) 防カビ方法、防カビ装置、及び、防カビ機能を有する換気装置
KR101433034B1 (ko) 휴대용 연무연막 살충기 및 그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