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454B1 - 시아니딘-3-글루코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시아니딘-3-글루코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454B1
KR101797454B1 KR1020160085704A KR20160085704A KR101797454B1 KR 101797454 B1 KR101797454 B1 KR 101797454B1 KR 1020160085704 A KR1020160085704 A KR 1020160085704A KR 20160085704 A KR20160085704 A KR 20160085704A KR 101797454 B1 KR101797454 B1 KR 101797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ell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omposition
prom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5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yanidin-3-glucoside; C3G)와 이의 약학적으로 혀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시아니딘-3-글루코시드는 Opn , BglapAlp 뼈 기질 단백질 및 전사인자 Osx의 발현을 증가시켜 조골세포의 분화를 증가 또는 촉진하는바, 골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골형성 촉진용 건강 기능식품 및 조골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시아니딘-3-글루코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omoting bone formation, comprising Cyanidin-3-glucosid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본 발명은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yanidin-3-glucoside; C3G)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건강 기능식품 및 조골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뼈는 사람의 골격을 이루는 가장 단단한 조직으로서, 인체의 연조직과 체중을 지탱해주고 내부기관을 둘러싸서 내부 장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근육이나 장기를 구조적으로 지탱할 뿐만 아니라 체내의 칼슘이나 다른 필수 무기질 즉, 인이나 마그네슘과 같은 물질을 저장하는 인체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따라서 성장이 끝난 성인의 뼈에서 오래된 뼈는 제거하고 새로운 뼈로 대체하는 생성과 흡수 과정을 역동적, 지속적으로 반복 재생하면서 균형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를 골재형성(bone remodeling)이라고 하며, 골재형성에는 뼈를 생성하는 조골세포(osteoblast) 및 뼈를 파괴하는 파골세포(osteoclast)가 관여한다.
조골세포는 RANKL(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ligand), 및 그의 유도 수용체인 OPG(osteoprotegerin)를 분비해 골흡수를 담당하는 파골세포의 분화를 조절함으로써 체내의 골 항상성을 유지한다. RANKL이 파골 전구세포 표면 수용체인 RANK와 결합하면 파골 전구 세포가 파골세포로 성숙화되어 골흡수가 일어나며 OPG가 RANKL과 결합하면 RANKL과 RANK간의 결합이 차단되어 파골세포의 형성이 억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Monocyte/macrophage 전구체는 1α,25-(OH)2D3, IL-1 과 PTH와 같은 다양한 osteoactive factors의 자극을 받은 조골세포가 분비하는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M-CSF)와 RANKL, 이 두 개의 싸이토카인(Cytokines)에 의해 파골세포로 성숙된다(Hofbauer et al. 1998; Hofbauer et al. 1999; Huang et al. 2004). 또한, 조골세포는 파골세포의 분화와 기능을 둘 다 억제하는 역할을 가진 RANK decoy receptor, OPG를 생산한다. 따라서, 뼈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면역 체계를 유지함에 있어서 RANKL/RANK/OPG의 정교한 조절과 균형은 대단히 중요하다(Walsh and Choi 2014).
RANKL이 파골세포 전구체 표면 수용체인 RANK와 결합하면 TNF receptor-associated factor 6 보충이 일어나고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ERK), c-Jun N-terminal kinase(JNK), p38, nuclear factor-B 신호 경로를 포함하는 mitogen-activated kinase(MAPKs)이 활성화되어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한다(Walsh et al.2006). 또한 RANKL-RANK간 상호작용은 생체 내뿐만 아니라 생체 외 둘 다에서 파골세포 형성을 위한 주요 전사 인자로 작용하는 activated T cells의 nuclear factor, cytoplasmicⅠ(NFATc1)의 발현을 유도한다(Takayanagi 2007; Kim and Kim 2014). 이전 연구들은 파골세포 분화와 활성이 M-CSF와 RANKL와 협력하여 작동함과 동시에 여러 다양한 분자들에 의한 자극이 필요함을 밝혀냈다(Walsh et al. 2006; Crotti et al. 2015).
DNAX adaptor protein 12와 Fc receptor γ와 같은 Adaptor 단백질들이 조골세포형성을 위해 myeloid 세포에서 발현된다. 최근 연구들은 osteoclast-associated receptor가 extracellular matrix 안 fibrillar collagens 내의 특이적 모티프들에 결합함을 증명하고 체내 파골세포형성을 촉진함을 입증하였다(Barrow et al. 2011). 그러나 다른 수용체(receptor)들과 결합하는 리간드들은 여전히 불명확하다.
조골세포는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Runx2), Osterix(Osx), 그리고 β-catenin을 포함하는 신호 단백질들 그리고 일련의 전사 인자들에 의해 조절되는 다중 세포 신호 경로를 경유하여 간엽 줄기 세포(mesenchymal stem cell)로부터 분화된다(Komori 2006; Zhang 2010).
Runx2는 간엽 줄기 세포(mesenchymal stem cell)를 전조골세포(preosteoblasts)로 분화시키는 조골세포 분화에 있어 주요 전사인자이다(Komori et al. 1997). Osx는 전조골세포를 성숙한 조골세포로 분화함에 있어서 필수적이며 Runx2의 하위경로(downstream)에서 기능한다(Nakashima et al. 2002; Komori 2006). 이러한 전사 인자들은 알칼라인 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Alp),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Opn), 오스테오칼신 (osteocalcin)(Bglap), 및 다른 조골세포 분화 마커들의 발현을 조절한다(Komori 2011).
따라서, 인체의 뼈는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의 작용으로 형성(bone modeling)과 재형성(bone remodeling) 과정을 통해 그 항상성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고령화 사회 및 식생활의 변화로 골흡수가 증가되어 골조직이 취약해져 골다공증, 골절 등의 각종 골질환들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항상성 유지를 위한 골형성 촉진제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조골세포를 효과적으로 생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골조직의 기능을 강화하거나 손상을 치료하고자 하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는데, 현재 골형성 첨가물(Osteogenic supplement)로 사용되고 있는 아스코르브산, 베타-글리세로포스페이트(β-glycerophosphat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등이 조골세포 분화유도에 효과적임이 보고된 바 있고(Karp JM et al., 2006; Cao T et al., 2005; Bielby RC et al., 2004; Sottile V et al., 2003), 엑티빈, 골형성 단백질(Bone Morphogenic Protein: BMP), 인히빈, 성장/분화 인자(growth/differentiation factor: GDF) 등을 포함하는 변형 성장 인자 베타계 (Transforming Growthfactor-beta(TGF-beta) subfamily)가 골조직의 형성과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부작용이 없고 치료 효과가 우수한 치료제는 부재한 실정이다.
안토시아닌(Anthocyanin)은 많은 과일, 꽃과 채소의 파랑, 보라, 빨강 색을 내는 생물활성 플라보노이드(flavonoids)의 하위 집단에 속한다. 안토시아닌은 심혈관계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암, 염증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다(Middleton et al. 2000; Fang 2014). 추가적인 최근 연구들은 안토시아닌이 구강 건강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입증하였는데, 안토시아닌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ts) 와 후소박테리움 뉴클레이툼(Fusobacterium nucleatum)을 포함하는 구강 세균들에 대한 항생 활성뿐만 아니라 치주 조직에 있어서 치조골(alveolar bone)치료, 세포보호와 항염 활성 효과를 보여준다(Desjardins et al. 2012;Al-Obaidi et al.2014;Hrynash et al. 2014).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yanidin-3-glucoside; C3G) 관련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등록특허 제601,320호는 흑미에서 추출한 C3G의 고지혈증 치료 용도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고, 대한민국등록특허 제880,876호는 검정콩에서 추출한 C3G의 허혈-재관류 손상 치료 용도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2011-0014401호는 C3G를 함유하는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염 및 위궤양 치료 용도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와 같이, C3G의 다양한 약리활성이 보고되어 있지만, 이의 골형성 촉진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져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안정한 천연물 유래 물질을 이용한 골형성 촉진제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C3G가 Opn, Bglap 및 Alp 뼈 기질 단백질, 및 Osx의 발현을 현저히 증가시켜 조골세포의 분화를 증가 또는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C3G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골형성 촉진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등록특허 제 601,320호 국내등록특허 제 880,876호 국내공개특허 제 2011-0014401호
Hofbauer LC, Dunstan CR, Spelsberg TC, Riggs BL, Khosla S. 1998. Osteoprotegerin production by human osteoblast lineage cells is stimulated by vitamin D, bone morphogenetic protein-2, and cytokine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50(3):776-781 Hofbauer LC, Lacey DL, Dunstan CR, Spelsberg TC, Riggs BL, Khosla S.1999. Interleukin-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but not interleukin-6, stimulate osteoprotegerin ligand gene expression in human osteoblastic cells. Bone. 25(3):255-259. Huang JC, Sakata T, Pfleger LL, Bencsik M, Halloran BP, Bikle DD, Nissenson RA. 2004. PTH differentially regulates expression of RANKL and OPG. J Bone Miner Res. 19(2):235-244. Walsh MC, Choi Y. 2014. Biology of the RANKL-RANK-OPG system in immunity, bone, and beyond. Front Immunol. 5:511. Walsh MC, Kim N, Kadono Y, Rho J, Lee SY, Lorenzo J, Choi Y. 2006.Osteoimmunology: interplay between the immune system and bone metabolism.Annu Rev Immunol. 24:33-63. Komori T. 2006. Regulation of osteoblast differentiation by transcription factors. J Cell Biochem. 99(5):1233-1239. Zhang C. 2010.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bone formation by the osteoblastspecific transcription factor Osx. J Orthop Surg Res. 5:37. Komori T, Yagi H, Nomura S, Yamaguchi A, Sasaki K, Deguchi K, Shimizu Y, Bronson RT, Gao YH, Inada M, et al. 1997. Targeted disruption of Cbfa1 results in a complete lack of bone formation owing to maturational arrest of osteoblasts. Cell. 89(5):755-764. Nakashima K, Zhou X, Kunkel G, Zhang Z, Deng JM, Behringer RR, de Crombrugghe B. 2002. The novel zinc finger-containing transcription factor osterix is required for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bone formation. Cell. 108(1):17-29. Komori T. 2011. Signaling networks in RUNX2-dependent bone development. J Cell Biochem. 112(3):750-755. Walsh MC, Kim N, Kadono Y, Rho J, Lee SY, Lorenzo J, Choi Y. 2006. Osteoimmunology: interplay between the immune system and one metabolism. Annu Rev Immunol. 24:33-63. Fang J. 2014. Bioavailability of anthocyanins. Drug Metab Rev. 46(4):508-520. Desjardins J, Tanabe S, Bergeron C, Gafner S, Grenier D. 2012. Anthocyaninrich black currant extract and cyanidin-3-O-glucoside have cytoprotective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J Med Food. 15(12):1045-1050. Al-Obaidi MM, Al-Bayaty FH, Al Batran R, Hassandarvish P, Rouhollahi E. 2014. Protective effect of ellagic acid on healing alveolar bone after tooth extraction in rat: a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Arch OralBiol. 59(9):987-999 Devareddy L, Hooshmand S, Collins JK, Lucas EA, Chai SC, Arjmandi BH. 2008. Blueberry prevents bone loss in ovariectomized rat model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J Nutr Biochem. 19(10):694-699. Chen JR, Lazarenko OP, Wu X, Kang J, Blackburn ML, Shankar K, Badger TM, Ronis MJ. 2010. Dietary-induced serum phenolic acids promote bone growth via p38 MAPK/beta-catenin canonical Wnt signaling. J Bone Miner Res. 25(11):2399-2411. Dou C, Li J, Kang F, Cao Z, Yang X, Jiang H, Yang B, Xiang J, Xu J, Dong S.2014. Dual effect of cyanidin on RANKL-induced differentiation and fusion of osteoclasts. J Cell Physiol [epub ahead of print 24 Dec 2014] in press. doi:10.1002/jcp.24916 Moriwaki S, Suzuki K, Muramatsu M, Nomura A, Inoue F, Into T, Yoshiko Y, Niida S. 2014. Delphinidin, one of the major anthocyanidins, prevents bone loss through the inhibition of excessive osteoclastogenesis in osteoporosis model mice. PLoS One. 9(5):e97177. Kong JM, Chia LS, Goh NK, Chia TF, Brouillard R. 2003. Analysi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anthocyanins. Phytochemistry. 64(5):923-933.
본 발명의 목적은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yanidin-3-glucoside; C3G)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yanidin-3-glucoside; C3G)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C3G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형성 촉진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C3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골세포 분화 또는 활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yanidin-3-glucoside; C3G)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조골세포의 증식, 분화를 촉진하고 뼈 형성을 촉진하므로, 골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세포 생존력에 있어서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yanidin-3-glucoside; C3G)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의 (A)는 골수-유래 대식세포(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BMMs)(1ⅹ104 cells/well)를 96-well 배양용기에 M-CSF(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30 ng/mL)를 처리하고 다양한 농도의 C3G(100 μM)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이다. (B) BMMs(1ⅹ104 cells/well)를 96-well 배양용기에 M-CSF를 처리하고 C3G(100 μM) 처리 또는 C3G 미처리(대조군)한 조건에서 x축에 표시된 기간동안 배양한 결과이다. 세포 생존력 수치는 각각의 기간에서 ㅂ베히클 샘플(대조군)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백분위로 나타내었다. 데이터들은 3가지의 독립적인 실험에서의 mean ±SD 값이다.
도2는 RANKL(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의 효능, 즉 파골세포의 분화를 유도함을 실험결과로 나타낸다. BMMs(1ⅹ104 cells/well)를 RANKL과 M-CSF가 존재하는 96-well 배양용기에서 다양한 C3G 농도 조건에서 4일간 배양하였다. (A) TRAP으로 염색된 파골세포의 사진을 나타낸다. (B) ≥3 nuclei 를 가지고 있는 TRAP+ multinuclear 세포들을 성숙한 파골세포로 간주하고 그 개수를 측정하였다. (C) TRAP+mono-, di- 및 multinuclear 세포들에 상기 서술한 물질 및 실험방법에 따라 실험한 후 전체 TRAP 활성을 측정하였다. (D) BMMs(6ⅹ104 cells/well)를 표시된 기간동안 M-CSF와 RANKL가 존재하고 C3G(100μM) 또는 C3G가 없는(control) 24-well 배양용기에서 배양하였다. 파골세포 분화 마커 유전자들의 발현을 실시간 PCR로 측정하였다. mRNA의 발현 정도는 Gapdh로 정규화하였고 fold change하여 나타내었다. Data 들은 mean ± SD 로 나타내었고 적어도 3개의 독립적인 실험들을 대표한다. *p<0.05, **P<0.01 그리고 P<0.01 versus control(no C3G)은 1원변량분석(1-way ANOVA)에 기초하였다. Scale bar, 200 μm.
도3은 RANKL에 있어서 C3G의 효과 즉, 파골세포 안에서 세포 내 신호와 전사 인자들의 발현 유도효과를 보여준다. (A) RANKL-유도성 세포 내부 신호들을 조사하기 위해 BMMs(1ⅹ106 cells/well)와 M-CSF(30 ng/mL)를 함께 6-well 배양용기 에서 배양하였다. 하룻밤 동안 배양한 후 BMMs는 C3G(100 μM)를 처리 또는 미처리한 상태에서 2시간 동안 사전 배양한 후 다양한 시간동안 RANKL(100 ng/mL)를 처리하였다. Lysate(30 μg)을 SDS-PAGE 대상으로 하여 면역침강법(immuno blotting)으로 분석하였다. 미토겐 활성 키네이즈(mitogen-activated kinases)(ERK, JNK, 그리고 p38)와 IKBα activation은 각각의 항체들을 사용해 측정하였다.(도3 B,C) BMMs(3ⅹ105 cells/well)를 C3G(100 μM) 처리 또는 미처리한 조건에서 지시된 시간동안 M-CSF와 RANKL이 들어있는 6-well 배양용기에서 배양하였다. C-Fos와 NFATcⅠ의 발현은 anti-c-Fos와 NFATcⅠ 항체를 이용해 각각 탐지하였으며 그 결과를 미토겐 활성 키네이즈, IKBα 또는 Actin fold change 값으로 나타내었다. Data는 3개의 독립적 실험들로 부터 얻었고 각각의 data를 나타내었다.
도 4는 공배양한 파골세포에 있어 C3G의 효과를 나타낸다. Iα,25-(OH)2D3 (50 nM)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골수 세포(1ⅹ105 cells/well)를 두개골 유래 조골세포(calvaria-derived osteoblast)(1ⅹ104 cells/well)와 함께 96-well 배양용기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A) 세포를 TRAP에 의해 고정하고 염색하였다. (B) ≥3 nuclei TRAP+ multinuclear cells를 파골세포로 여겨 개수를 측정하였다. (C) 전체 TRAP활성은 405 nm 파장에서 흡수 여부로 평가하였다. (D) 두개골 유래 조골세포(7ⅹ104 cells/well)를 Iα,25-(OH)2D3를 포함하고 C3G(100 μM)를 처리 또는 미처리한 24-well 배양 용기에서 각각의 기간동안 배양하였다.
도 5는 조골세포 분화와 석회화 결절 형성(mineral nodule formation)에 있어서 C3G의 효과를 나타낸다. 두개골 유래 조골세포(7ⅹ104 cells/well)를 골형성(osteogenic)배지 안의 24-well 배양용기에 도말하였다. C3G(100 μM)를 처리 또는 미처리한 조건에서 지시된 기간동안 배양하였다. (A) ALP, ALP 기질 혼합물(ALP substrate mixture)(BCIL 및 NBT)를 함께 갖는 석회화 결절을 알리자린 레드 S(alizarin red S)로 각각 염색한 결과이다. (B) 조골세포 분화에 있어 용해성 ALP활성을 분광광도계로 측정한 결과이다. (C) 조골세포 분화 마커와 전사 인자 유전자들의 발현을 실시간 PCR로 측정하였다. mRNA 수치의 발현은 GADPH에 의해 정규화하였으며 mRNA 수준의 fold change로 기술하였다. Data들은 mean±SD로 나타내었으며 적어도 3개 실험들을 대표한다. *p < 0.05, **p < 0.01, 그리고 †p<0.001 versus control(no C3G)는 1원변량분석(1-way ANOVA)에 기초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yanidin-3-glucoside; C3G)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C3G는 하기 [화학식 Ⅰ]의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Ⅰ]
Figure 112016065539010-pat00001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조골세포 분화에 있어서 C3G의 효능을 확인한 결과, C3G는 Csf1, Tnfs11 및 Opg 등 파골세포 분화 인자의 생산력을 감소시키지 않아 파골세포 분화를 도와주는 조골세포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C3G가 조골세포 자체의 분화에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한 결과, C3G에 의해 용해성 ALP활성과 ALP활성 또는 석회화 결절 형성이 증가하고 Opn , BglapAlp와 같은 뼈 기질 단백질들과 전사인자 Osx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됨을 확인하였다(도5A, B 참조).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C3G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은 Opn , BglapAlp 뼈 기질 단백질 및 전사인자 Osx의 발현을 증가시켜 조골세포의 분화를 증가 또는 촉진하는바, 골형성 촉진 용도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C3G뿐만 아니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용매화물, 수화물, 라세미체, 또는 입체이성질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염의 형태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사용될 수 있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상기 화합물들을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들은 염기를 사용하여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의 형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슈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슈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1일 1 내지 2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골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로 투여하거나 다른 골형성 약학적 조성물과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약학적 조성물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yanidin-3-glucoside; C3G)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형성 촉진용 건강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C3G는 조골세포에 있어 ALP활성과 석회화 결절의 형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키고, 뼈 기질 단백질들과 전사인자 Osx의 발현을 현저히 증가시켜 조골세포 분화를 촉진시킴을 확인하였다.(도 5 참고)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C3G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조골세포 분화를 증가 또는 촉진시키는 바, 골형성 촉진용 건강기능 식품으로써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C3G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골형성 촉진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C3G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상기 C3G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yanidin-3-glucoside; C3G)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골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골세포'는 골을 형성하는 입방형의 세포로, 골형성 및 재형성 작용을 하는 세포를 의미한다. 조골세포는 파골세포에 의해 분해된 부분의 콜라겐을 격자모양으로 만들고 그곳에 칼슘, 마그네슘, 인 등을 부착시켜 골기질을 새롭게 만들어 궁극적으로 골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조골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은 의약조성물 등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예를 들면, 배양액에 첨가하여 배양 조골세포에 투여하여 분화를 촉진시키고, 피검 화합물이 분화 억제 능력을 갖는지 여부의 스크리닝 실험이나, 세포에 첨가하여 배양함으로써 그 세포가 조골세포로의 분화 능력을 갖는지를 검정하는 시험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조골세포 기능을 해석하기 위해, 혹은 생체 외에서 골재생을 유도하기 위해, 효율적으로 조골세포를 유도하기 위한 보조제 등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C3G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유의적인 조골세포 분화 촉진 효과를 가지므로 조골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실험용 쥐와 시약 준비
C57BL/6J 쥐(6~8주령)들은 오리엔트바이오(성남, 한국)에서 구입하였으며 파골세포(Osteoclast)와 조골세포(Osteoblast)를 만들어 내는데 사용되었다. 쥐를 사용한 연구들은 원광 대학교의 동물 취급 및 사용 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규약을 준수하며 시행되었다. C3G는 Polyphenol AS(Sandnes, Norway)에서 구입하였다.
< 실시예 2> 세포 생존력 평가, 및 생체 외 파골세포 분화와 TRAP 염색
세포 생존력 평가는 제조자의 지시사항에 따라 EZ-Cytox Enhanced Cell Viability Assay Kit(Itsbio, Korea)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쥐의 파골세포들은 기존에 알려진 2가지 표준방법을 이용해 골수 세포(bone marrow cell)로부터 제조하였다(Lee et al. 2008). 요약하자면, C57BL/6J 쥐에서 적출해낸 대퇴골(femurs)과 경골(tibias)로부터 골수세포를 얻은 후 10%의 소 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M-CSF(macrophage-specific colony-stimulating factor)(30 ng/mL)를 포함하는 MEM-α에 상기 세포를 처리하고 3일간 배양하였다. 그 후 부착된 BMMs를 배양하고 파골세포의 전구체로 사용하였다. 파골세포 전구체를 파골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하여 BMMs를 10% FBS, M-CSF(30 ng/mL), RANKL(100 ng/mL, 다른 지시사항이 없는 한)이 첨가된 MEM-α에서 4일간 배양하였다. 또한 C3G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C3G(100 μM)를 첨가 또는 미첨가하였다. C3G를 첨가 또는 미첨가한 신선한 배지를 3일차에 첨가하였다. 또한, 96-배양용기(1ⅹ104 cells/well) 안에서 골수 세포들을 10% FBS, C3G를 첨가 또는 미첨가, 50nM 1α,25-(OH)2D3를 첨가한 MEM-α안에서 두개골 유래 일차 조골세포(calvaria-derived primary osteoblast)(1ⅹ104 cells/well)와 함께 7일간 공배양하였다. C3G(100 μM)를 첨가 또는 미첨가한 신선한 배지를 3일마다 첨가하였다. 세포들을 10% 포르말린(formalin)으로 고정하고 TRAP으로 염색하였다. 지름 > 100 μM, 그리고 ≥3 핵(nuclei)를 포함하는, TRAP+ 다핵세포(multinuclear cells)를 성숙한 파골세포로 간주하였다. 전체 TRAP 활성은 405nm의 흡광도에서 측정하였다.
< 실시예 3> 조골세포 분화와 알칼리 인산분해효소(Alkaline Phosphatase )의 활성도 측정 및 결절 형성
체외에서 조골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두개골 유래 조골세포(calvaria-derived osteoblasts)를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50 μg/mL)과 베타-글리세로포스페이트(β-glycerophosphate)(10 mM)를 포함하고 보충적으로 C3G를 포함 또는 불포함한 골형성 배지(osteogenic media)에서 키웠다. ALP(Alkaline phosphatase)염색과 용해성 ALP 활성을 분석하였으며 석회화 결절 형성(mineralized nodule formation)여부를 이전에 알려진 방법(Lee et al. 2006)을 약간 변형 사용해 분석하였다.
< 실시예 4> 실시간 PCR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수행
파골세포, 조골세포 및 파골세포형성 인자(osteoclastogenic factors)를 탐지하는 표적 유전자들의 발현을 TaqManUniversal PCR Master Mix와 StepOnePlus Real-time PCR System(Life Technologis, Grand Island,NY,USA)을 기존 알려진 방식(Lee et al. 2008)을 사용해 실시간 PCR 분석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TaqMan탐침은 Life-Technologies에서 구입하였다.
< 실시예 5> SDS-PAGE 와 웨스턴 블랏 (Western Blot) 분석
RANKL-유도된 파골세포 신호를 확인하기 위하여 MAPKs의 활성(ERK, JNK, 및 p38)과 IkBα와 전사인자의 발현(c-Fos 와 NFATc1)을 기존에 알려진 방법(Lee et al. 2008)을 사용해 표준 웨스턴 블랏으로 분석하였다. 일차 항체의 1:1,000 희석액 상에서 단백질을 탐침화하였다.
< 실시예 6> 통계적 분석
데이터는 1원변량분석(1-way ANOVA)(SPSS 19.0; SPSS GmbH Software, Munich, Germany)과 post hoc test로 Student-Newman-Keuls 방법을 사용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였고 적어도 3개의 독립적인 실험들로부터 평균값 ± SD로 나타내었다. P <0.05값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았다.
< 실험예 1> 시아니딘 -3-글루코시드( Cyanidin -3- glucoside ; C3G )의 세포 생존력(Cell Viability)확인
C3G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BMMs에 M-CSF와 다양한 농도의 C3G를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결과, 200μM 까지는 C3G의 어떤 농도도 BMMs의 생존력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1A). C3G(100μM)가 존재할 때 BMMs 의 생존력을 매일 측정한 결과 모든 시간 포인트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이 비슷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1B).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된 100μM C3G가 BMMs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RANKL - 매개된 파골세포형성( RANKL -mediated Osteoclastogenesis )에 있어 C3G의 효과 확인
파골세포의 분화와 형성에 있어서 C3G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MMs를 RANKL과 M-CSF가 보충되고 기질세포 미첨가 조건(stromal cell-free condition)에서 4일간 배양하였다. 파골세포의 분화와 형성은 TRAP 염색과 상기 전체 TRAP 활성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TRAP+ 다핵세포(TRAP+ multinucleated cells) >100 μM 즉, 지름 >100 μM 그리고 ≥3 핵(nuclei)을 포함하는 TRAP+ 다핵세포를 성숙한 파골세포로 간주하고 개수를 측정하였다. C3G 처리시 성숙한 파골세포의 형성이 용량 의존적으로 25 ~ 200μM 범위에서 급격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2A, 도 2B). 추가적으로, C3G 처리 시 Total TRAP 활성 감소 효과를 TRAP 염색법으로 확인하였다(도2C). 따라서 C3G가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C3G(100μM)를 배양조직에 첨가한 후 파골세포 마커 유전자들의 발현을 실시간 PCR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과 비교해 보았을 때 Acp5, CtsK, Oscar, Tm7sf4, Atp6v0d2Nfatc1를 포함하는 모든 파골세포 마커 유전자들의 발현정도가 C3G를 처리한 파골세포에서 상당히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2D).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C3G가 기질세포 미첨가 배양 조건하에서 RANKL-자극에 의한 파골세포 분화와 형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C3G의 파골세포 형성 억제 기전 확인
C3G가 파골세포 형성을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MAPKs와 NF-B를 포함하는 RANKL-매개 세포내부 신호(RANKL-mediated intracellular signaling) 전사 인자들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BMMs를 C3G(100 μM)를 처리 또는 미처리한 상태로 2시간 동안 전배양한 후 RANKL(100 ng/mL)을 다양한 기간 동안 처리하였다. 그 결과, RANKL은 MAPKs(ERK, JNK, 및 p38)와 IkBα을 활성화시킴을 확인하였다(도 3A). 세포들이 C3G와 함께 전배양될 때, ERK, JNK 및 RANKL에 의해 유도된 p38의 활성은 극적으로 감소하였고, 그 중 p38 활성이 가장 눈에 띄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IkBα의 활성은 C3G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 다음으로 파골세포를 형성시키는 주요 전사 인자인 c-Fos와 NFATc1의 RANKL-유도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6시간 내 RANKL이 c-Fos를 유도하였고 12시간 이후에 광범위하게 발현됨을 확인하였다(도 3B). 반면에 C3G 첨가시 c-Fos의 발현이 극적으로 감소하였으며 NFATc1의 발현 또한 극적으로 감소(도 3C) 하였다. 따라서 RANKL-매개 파골세포형성자(RANKL-mediated osteoclastogenesis) 억제인자의 C3G-유도 억제 메커니즘은 c-Fos와 NFATc1을 포함한 파골세포 분화와 형성에 있어 중요 전사 인자들의 발현을 억제하며 추가적으로 MAPKs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4> 조골세포들의 파골세포 형성기능에 있어 C3G의 효능 확인
파골세포 분화와 형성에 있어 C3G의 효능을 추가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1α,25-(OH)2D3 존재하에서 두개골-유래 조골세포(calvaria-derived osteoblasts)와 골수세포들을 공배양하였다. 기질세포 미첨가 조건에서 BMM 배양(Stromal cell-free BMM culture)하고 C3G를 처리한 결과 파골세포 형성과 전체 TRAP 활성이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도4A-C). 따라서 C3G가 공배양 조건 하에서 파골세포 분화와 형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1α,25-(OH)2D3가 처리된 파골세포에서 생성된 파골세포 분화 인자들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Csf1(M-CSF)의 발현이 시간-의존적으로 약간 증가하였다(도4D, left panel). 1일간 1α,25-(OH)2D3를 처리했을 때 Tnfsf11(RANKL) 발현이 극적으로 유도(도4, D, middle panel)된 반면, Opg 발현은 극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 효과들은 6일간 지속됨을 확인하였다(도4, D, right panel). 공배양시 C3G가 1α,25-(OH)2D3에 의해 유도된 파골세포 형성을 억제하지만 Csf1, Tnfs11Opg의 발현 정도에는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4D). 따라서 C3G가 조골세포에 있어 Csf1 , Tnfs11Opg 파골세포 분화 인자의 생산을 감소시키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5> 조골세포 분화에 있어서 C3G의 효능 확인
C3G가 파골세포 분화를 도와주는 조골세포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음이 밝혔기에 본 발명자들은 C3G가 조골세포 자체의 분화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실험하였다. 배양액에서 두개골-유래 조골세포(Calvaria-derived osteoblast)들에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과 베타-글리세르포스페이트(β-glycerophosphate)와 같은 파골세포 형성 인자들을 다양한 시간 간격으로 처리한 후 배양한 세포들의 용해성 ALP 활성(soluble ALP activity)과 ALP 활성(ALP activity) 또는 석회화 결절 형성 평가(mineralized nodule formation assay)를 하기 위해 염색하였다.
염색된 용해성 ALP활성은 파골세포형성 인자들을 처리한 조골세포 배양액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석회화 결절(mineralized nodules)의 형성도 현저하게 증가하였다(도 5A,B). C3G 첨가 시 ALP활성과 석회화 결절의 형성이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C3G 처리시 조골세포 분화와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5 C). 비록 Colla1Runx2의 발현수치가 변하지 않았지만, 조골세포 분화기간 동안 C3G처리 시 Opn, Bglap Alp와 같은 뼈 기질 단백질들과 전사인자 Osx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즉 조골세포 분화 마커 유전자들의 발현 증진과 뼈 기질 생산의 결과로써 C3G가 뼈 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C3G는 조골세포 분화를 위한 양성적 조절 시약으로써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9)

  1.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yanidin-3-glucoside; C3G)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비트로(in vitro)에서 조골세포 분화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3G는 하기 화학식1로 기재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골세포 분화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063184048-pat00002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3G는 Opn, Bglap 및 Alp 뼈 기질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전사인자 Osx의 발현을 증가시켜 뼈 기질 생산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골세포 분화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0085704A 2016-07-06 2016-07-06 시아니딘-3-글루코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97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704A KR101797454B1 (ko) 2016-07-06 2016-07-06 시아니딘-3-글루코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704A KR101797454B1 (ko) 2016-07-06 2016-07-06 시아니딘-3-글루코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454B1 true KR101797454B1 (ko) 2017-11-15

Family

ID=6038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704A KR101797454B1 (ko) 2016-07-06 2016-07-06 시아니딘-3-글루코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4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7274A (ja) 2008-01-15 2009-07-30 Kankyo Sozo:Kk 廃プラスチック油化還元装置
US20140057843A1 (en) 2010-05-28 2014-02-27 Mark John Berry Compositions for dietary health manag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7274A (ja) 2008-01-15 2009-07-30 Kankyo Sozo:Kk 廃プラスチック油化還元装置
US20140057843A1 (en) 2010-05-28 2014-02-27 Mark John Berry Compositions for dietary health managemen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dvances in Food Technology and Nutritional Sciences, S27-S33, 2016.3.11.
Journal of Medicinal Food, 18(6), 690-697, 2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696B1 (ko) 목단피, 백지 및 시호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 퇴행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JP5562515B2 (ja) 骨疾患の予防及び/又は治療用組成物、その組成物を含有する機能性食品もしくは健康食品、並びにその組成物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製剤
KR102187951B1 (ko) 녹각 영지버섯 추출물 및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엡스타인 바 바이러스-양성 위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08144B1 (ko) 아젤라신 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67465B1 (ko) 인슐린 민감성 강화제 및 항당뇨병제로서의 식물 추출물
EP2185144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bone metabolism disorder comprising D-pinitol as an active ingredient
KR101819509B1 (ko) Th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또는 호르몬 저항성 유방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050967A (ko) axial―equatorial aryl배향의 furofuran형 리그난을 함유하는 골 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 기능성 식품 및 건강 식품
KR101797454B1 (ko) 시아니딘-3-글루코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111342A (ko)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72440B1 (ko) 비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대사성 질환으로 유발된 골소실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332074B1 (ko) 에스큘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손실 억제용 조성물
KR101770523B1 (ko) 아르테아뉴인 b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90048493A (ko) 플라즈마 처리된 플로리진 유래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305555B1 (ko) 신이 활성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57117B1 (ko)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80052258A (ko) 감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로로탄닌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64014B1 (ko) 아미노쿠마린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대사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10703B1 (ko) 석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20975B1 (ko) 신이 활성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51643B1 (ko) 표고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20974B1 (ko) 신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082457A (ko) 5-(3&#39;,4&#39;-디하이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을 함유하는 뇌 신경세포 보호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WO2018062895A1 (ko) 오스문드아세톤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35840B1 (ko)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의 위장관기질종양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