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357B1 - 등산스틱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등산스틱 - Google Patents

등산스틱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등산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357B1
KR101797357B1 KR1020160055165A KR20160055165A KR101797357B1 KR 101797357 B1 KR101797357 B1 KR 101797357B1 KR 1020160055165 A KR1020160055165 A KR 1020160055165A KR 20160055165 A KR20160055165 A KR 20160055165A KR 101797357 B1 KR101797357 B1 KR 101797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asing
handle
air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재
Original Assignee
이명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재 filed Critical 이명재
Priority to KR1020160055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산스틱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등산스틱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등산스틱을 지면을 짚었을 때 탄력적으로 하중을 지탱하여 완충하는 한편, 손잡이에서 충격을 완충하여 손목으로 전달되는 충격 등으로 인한 손목 부상을 방지하며, 사용자의 신체조건 등에 따라 손잡이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등산스틱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등산스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등산스틱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등산스틱{SHOCK ABSORBER APPARATUS FOR MOUNTAINEERING STICK AND MOUNTAINEERING STICK}
본 발명은 등산스틱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등산스틱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등산스틱을 지면을 짚었을 때 탄력적으로 하중을 지탱하여 완충하는 한편, 손잡이에서 충격을 완충하여 손목으로 전달되는 충격 등으로 인한 손목 부상을 방지하며, 사용자의 신체조건 등에 따라 손잡이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등산스틱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등산스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용 스틱은 등산객이 산행 등을 할 때 지면을 짚음으로써 체중을 분산시켜 장시간의 산행에 따른 피로감을 경감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등산용 스틱은 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의 30% 정도를 분담하여 체력의 소모를 줄이고, 보행의 균형을 통한 안정적인 등반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하산할 때에는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킨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2258호에는 등산용 스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등산용 스틱은 손잡이에서 충격을 완충할 수 없기 때문에 손목 등으로 전달되는 충격 등을 완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2258호(2011.02.1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등산스틱을 지면을 짚었을 때 탄력적으로 하중을 지탱하여 완충하는 한편, 손잡이에서 충격을 완충하여 손목으로 전달되는 충격 등으로 인한 손목 부상을 방지하며, 사용자의 신체조건 등에 따라 손잡이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등산스틱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등산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등산스틱에 구비되는 완충장치로써, 상,하부를 가지며, 그 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손잡이의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결합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하부를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편, 개방된 상기 케이싱의 하부를 기밀하여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공기가 밀폐되도록 하는 패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손잡이를 하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하강되면서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밀폐공기를 압축하고, 상기 손잡이를 가압해제함에 따라 그 밀폐공기의 반발력에 의해 승강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스틱용 완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싱은, 하부 내측으로 상기 지지봉이 인입될 수 있도록 내경이 상기 지지봉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은,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패킹부는, 하부가 상기 지지봉의 상부 내측으로 결합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싱과 접하면서 상기 공간부를 기밀하는 한편, 상기 케이싱이 상기 이동부재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압축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면서 상기 케이싱을 가이드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은, 상기 케이싱의 하부 외측에 나사결합되는 상부연결관; 및 상기 상부연결관으로부터 하방항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 내측으로 상기 지지봉의 상부가 인입되는 하부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연결관은, 내경이 상기 지지봉의 상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연결관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상부에 단턱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연결관은, 상기 케이싱과의 나사결합에 따라 상기 단턱이 상기 케이싱의 하부와 접하면서 승강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밀폐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로부터 상기 공간부로 공기를 흡입하면서 상기 손잡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손잡이에는,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이 결합되는 하부결합공간과, 상기 하부결합공간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상부결합공간을 포함하는 결합공간 및 상기 상부결합공간과 연통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은, 상부면에 상기 공간부 및 상기 하부결합공간과 연통되는 유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유출입구를 개방하여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유출입구를 밀폐하여 상기 공간부를 밀폐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유출입구의 개방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지지봉 방향으로 하강되거나, 상기 지지봉의 반대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싱은, 상기 유출입구를 이루는 둘레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 및 상기 상부결합공간과 연통되는 가이드관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며, 상기 유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캡; 상기 개폐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유출입구, 상기 가이드관 및 상기 손잡이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의 상부에 결합되는 조절버튼; 및 상기 조절버튼을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개폐캡에 의한 상기 유출입구의 차단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유출입구는, 상기 조절버튼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스프링이 수축되는 한편, 상기 개폐캡이 하강되면서 개방되고, 상기 조절버튼의 가압해제에 따라 수축된 상기 스프링이 이완되면서 상기 조절버튼 및 상기 개폐캡의 승강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등산스틱용 완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스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등산스틱을 지면에 짚을 때 탄력적으로 하중을 지탱하여 완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손잡이에서 충격을 완충할 수 있음으로써 손목으로 전달되는 충격 등으로 인한 손목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조건 등에 따라 손잡이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산스틱용 완충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산스틱용 완충장치가 구비된 등산스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산스틱용 완충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산스틱용 완충장치에서 밀폐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산스틱용 완충장치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등산스틱용 완충장치(1)는 지지봉(110) 및 상기 지지봉(110)의 상부에 연결되는 손잡이(120)를 포함하는 등산스틱(100)에 구비되는 완충장치로써, 상,하부를 가지며 그 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부(11)가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손잡이(120)의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결합되는 케이싱(10), 상기 케이싱(10)의 하부를 상기 지지봉(110)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편, 개방된 상기 케이싱(10)의 하부를 기밀하여 상기 공간부(11)에 수용된 공기가 밀폐되도록 하는 패킹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등산스틱용 완충장치(1)는 상기 손잡이(120)를 하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케이싱(10)이 하강되면서 상기 공간부(11)에 수용된 밀폐공기를 압축하며, 상기 손잡이(120)를 가압해제함에 따라 상기 케이싱(10)이 밀폐공기의 반발력에 의해 승강되면서 충격을 완충한다.
여기서, 상기 밀폐공기는 상기 케이싱(10)이 기밀하게 밀폐된 상태에서의 상기 공간부(11)에 채워진 공기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120)의 하강은 상기 등산스틱(100)을 지면에 짚었을 때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의 가압시, 상기 손잡이(120)의 승강이 어려운 경우에는 상기 공간부(11)에 수용된 밀폐공기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지지봉(110)이 하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상기 케이싱(10)과 상기 지지봉(110)이 상기 패킹부(20)에 의해 상호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공간부(11)에 수용된 밀폐공기의 반발력에 의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상기 등산스틱용 완충장치(1)는 상기 등산스틱(100)으로 지면을 짚었을 때 탄력적으로 하중을 지탱하여 완충하는 한편, 상기 손잡이(120)에서 충격을 완충하여 손목으로 전달되는 충격 등으로 인한 손목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20)를 하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하강되면서 상기 공간부(11)에 수용된 밀폐공기를 압축하며, 상기 손잡이(120)를 가압해제함에 따라 그 밀폐공기의 반발력에 의해 승강되면서 충격을 완충한다.
즉, 상기 등산스틱(100)은 상기 손잡이(120)를 하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공간부(11)에 수용된 밀폐공기가 압축되면서 수축되고, 상기 손잡이(120)를 가압 해제함에 따라 밀폐공기의 반발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충격을 완충한다.
상기 손잡이(12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 'ㄱ'자형, 'I'자형 등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측으로 상기 케이싱(10)이 결합되는 결합공간(12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닿는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단으로 이루어져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되는 원통 형태를 이루며, 상기 손잡이(120)로의 결합시 하부가 상기 손잡이(120)의 하부보다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0)은 하부 내측으로 상기 지지봉(110)이 인입될 수 있도록 내경이 상기 지지봉(1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패킹부(20)는 상기 지지봉(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싱(10)의 하부 내측으로 끼움결합되면서 상기 케이싱(10)이 상기 지지봉(110)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지지봉(110)이 상기 케이싱(10)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패킹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상기 지지봉(110)의 상부 내측으로 결합되는 이동부재(21) 및 상기 이동부재(21)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싱(10)의 하부를 기밀하는 압축패킹(22)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봉(110)은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이동부재(21)는 하부가 개방된 상기 지지봉(110)의 상부 내측으로 결합된다.
상기 압축패킹(22)은 고무재나,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복수의 환형돌기(21a)가 형성되면서 상기 이동부재(21)로부터 상기 압축패킹(22)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압축패킹(22)은 외주면이 상기 복수의 환형돌기(21a)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케이싱(10) 간의 기밀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압축패킹(22)은 상기 케이싱(10) 간의 접촉면적이 최소가 되면서 상기 손잡이(120)로의 가압 또는 가압 해제에 따라 원활하게 승,하강되면서 상기 공간부(11)에 밀폐되는 밀폐공기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한다.
이때, 상기 압축패킹(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돔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지지부재(21)의 상부면과의 사이로 빈공간(22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이동부재(21)가 상기 케이싱(10)의 내측으로 인입됨에 따라 측면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케이싱(10)과의 기밀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등산스틱용 완충장치(1)는 상기 손잡이(120)로의 가압 또는 가압해제에 따라 상기 케이싱(1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연결관(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30)은 상기 케이싱(10)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는 상부연결관(31) 및 상기 상부연결관(31)으로부터 하방항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110)의 상부가 인입되는 하부연결관(32)을 포함한다.
상기 상,하부연결관(31,32)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10)은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연결관(31)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케이싱(1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관(32)은 상기 상부연결관(31)보다 내경이 작게 형성되면서 상부에 단턱(32a)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연결관(31)은 상기 케이싱(10)과의 나사결합에 따라 상기 케이싱(10)의 하부가 상기 단턱(32a)에 접하면서 승강이 정지되는 한편,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상기 단턱(32a)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봉(110)은 상기 패킹부(20)의 상부가 상기 단턱(32a)에 접하면서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손잡이(120)는 승강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21)가 상기 단턱(32a)에 접하면서 상기 지지봉(110)으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등산스틱용 완충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11)에 수용된 밀폐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로부터 상기 공간부(11)로 공기를 흡인하면서 상기 손잡이(1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20)의 높낮이는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즉, 상기 지지봉(110)의 하부로부터의 이격거리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은 상부면에 상기 공간부(11)와 연통되는 유출입구(12)가 형성된다.
상기 유출입구(12)는 상기 공간부(11)를 이루는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10)은 상부면이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뿔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공간(121)은 상기 케이싱(10)이 결합되는 하부결합공간(121a)과, 상기 하부결합공간(121a)과 연통되며 상기 공간부(11)와 연통되는 상부결합공간(121b)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공간(121)은 상기 상부결합공간(121b)이 이루는 둘레가 상기 하부결합공간(121a)이 이루는 둘레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10)은 상기 하부결합공간(121a)을 이루는 둘레와 기밀하게 밀착되면서 그 사이로 빈공간을 형성하지 않으며, 상기 상부결합공간(121b)은 상기 유출입구(12)를 통해 상기 공간부(11)와 연통된다.
상기 손잡이(120)에는 상기 상부결합공간(121b)과 연통되는 공기통로(122)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통로(122)는 상기 손잡이(12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면서 수평인 상태를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부로부터의 빗물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케이싱(10)은 상기 유출입구(12)를 이루는 둘레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결합공간(121b)에 위치되는 가이드관(1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관(13)은 외경이 상기 상부결합공간(121b)을 이루는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한편, 상,하단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공간부(11)와 상기 상부결합공간(121b)이 상호 연통되도록 한다.
상기 조절수단(40)은 상기 유출입구(12)를 개방하여 상기 공간부(11)에 수용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유출입구(12)를 밀폐하여 상기 공간부(11)를 밀폐한다.
상기 손잡이(120)는 상기 유출입구(12)의 개방과 함께 하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공간부(11)에 수용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하강되거나, 상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공간부(11)로 외부의 공기가 흡인되면서 승강된다.
이로 인해, 상기 등산스틱용 완충장치(1)는 상기 유출입구(12)의 개방과 함께 상기 손잡이(120)를 상,하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손잡이(120)가 상기 지지봉(110) 방향으로 하강되거나, 상기 지지봉(110)의 반대 방향으로 승강됨으로써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조절수단(40)은 상기 공간부(11)에 수용되며 상기 유출입구(12)를 개폐하는 개폐캡(41), 상기 개폐캡(41)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유출입구(12), 상기 가이드관(13) 및 상기 손잡이(120)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가이드바(42), 상기 가이드바(42)의 상부에 결합되는 조절버튼(43) 및 상기 조절버튼(43)을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개폐캡(41)에 의한 상기 유출입구(12)의 차단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스프링(44)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캡(41)은 상부면이 상기 공간부(11)를 이루는 상부면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하부면은 상방향으로 함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공간부(11)에 수용되는 밀폐공기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상기 유출입구(12)를 기밀하게 밀폐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이드바(42)는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버튼(43)은 하부에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42)에 나사결합되는 체결홈(4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등산스틱용 완충장치(1)는 상기 조절버튼(43)과 상기 결합공간(121) 간을 기밀하게 밀폐하여 외부로부터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밀폐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수단(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20)의 표면 전체 또는 상부면을 덮는 커버(5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51)는 실리콘 등의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밀폐수단(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버튼(43)의 상부에 결합되는 밀폐캡(5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밀폐수단(50)은 가압에 의해 눌리면서 상기 조절버튼(43)이 하강될 수 있는 정도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상기 스프링(44)은 일반적인 형태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관(13)의 외측에 결합되는 한편,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조절버튼(43)을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개폐캡(41)에 의해 상기 유출입구(12)의 차단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유출입구(12)는 상기 조절버튼(43)을 하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스프링(44)이 수축되는 한편, 상기 개폐캡(41)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개방된다.
상기 유출입구(12)의 개방에 따라 상기 손잡이(120)를 하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패킹부(20)의 하강에 의해 상기 공간부(11)에 수용된 밀폐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하강된다.
또한, 상기 유출입구(12)의 개방에 따라 상기 손잡이(120)를 상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패킹부(20)의 승강에 의해 상기 공간부(11)로 외부의 공기가 흡인되면서 승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등산스틱(100)은 상기 손잡이(120)가 상기 지지봉(110) 방향으로 하강되거나, 상기 지지봉(110)의 반대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손잡이(1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조절버튼(43)으로의 가압을 해제하면, 수축된 상기 스프링(44)의 이완에 따라 상기 조절버튼(43)이 상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개폐캡(41)이 승강되며 상기 유출입구(12)를 차단한다.
이로 인해, 상기 등산스틱(100)은 상기 공간부(11)로 공기가 밀폐되면서 상기 손잡이(120)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 함에 따라 밀폐된 공기의 반발력에 의해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산스틱(100)은 상기 조절수단(40)의 조절에 따라 상기 손잡이(40)의 높낮이를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등산스틱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등산스틱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등산스틱용 완충장치 10 : 케이싱
11 : 공간부 12 : 유출입구
13 : 가이드관 20 : 패킹부
21 : 이동부재 21a : 환형돌기
22 : 압축패킹 22a : 빈공간
30 : 연결관 31 : 상부연결관
32 : 하부연결관 32a : 단턱
40 : 조절수단 41 : 개폐캡
42 : 가이드바 43 : 조절버튼
43a : 체결홈 44 : 스프링
50 : 밀폐수단 51 : 커버
52 : 밀폐캡 100 : 등산스틱
110 : 지지봉 120 : 손잡이
121 : 결합공간 121a : 하부결합공간
121b : 상부결합공간 122 : 공기통로

Claims (7)

  1.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등산스틱에 구비되는 완충장치로써,
    상,하부를 가지며, 그 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손잡이의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결합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하부를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편, 개방된 상기 케이싱의 하부를 기밀하여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공기가 밀폐되도록 하는 패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손잡이를 하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하강되면서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밀폐공기를 압축하고 상기 손잡이를 가압해제함에 따라 그 밀폐공기의 반발력에 의해 승강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며, 하부 내측으로 상기 지지봉이 인입될 수 있도록 내경이 상기 지지봉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은,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패킹부는,
    하부가 상기 지지봉의 상부 내측으로 결합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싱과 접하면서 상기 공간부를 기밀하는 한편, 상기 케이싱이 상기 이동부재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압축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스틱용 완충장치.
  2. 삭제
  3.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등산스틱에 구비되는 완충장치로써,
    상,하부를 가지며, 그 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손잡이의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결합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하부를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편, 개방된 상기 케이싱의 하부를 기밀하여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공기가 밀폐되도록 하는 패킹부; 및
    상기 케이싱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면서 상기 케이싱을 가이드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손잡이를 하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하강되면서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밀폐공기를 압축하고 상기 손잡이를 가압해제함에 따라 그 밀폐공기의 반발력에 의해 승강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케이싱의 하부 외측에 나사결합되는 상부연결관; 및
    상기 상부연결관으로부터 하방항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 내측으로 상기 지지봉의 상부가 인입되는 하부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연결관은,
    내경이 상기 지지봉의 상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연결관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상부에 단턱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연결관은,
    상기 케이싱과의 나사결합에 따라 상기 단턱이 상기 케이싱의 하부와 접하면서 승강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스틱용 완충장치.
  4.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등산스틱에 구비되는 완충장치로써,
    상,하부를 가지며, 그 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손잡이의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결합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하부를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편, 개방된 상기 케이싱의 하부를 기밀하여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공기가 밀폐되도록 하는 패킹부; 및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밀폐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로부터 상기 공간부로 공기를 흡입하면서 상기 손잡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손잡이를 하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하강되면서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밀폐공기를 압축하고 상기 손잡이를 가압해제함에 따라 그 밀폐공기의 반발력에 의해 승강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며, 상부면에 상기 공간부 및 하부결합공간과 연통되는 유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이 결합되는 하부결합공간과, 상기 하부결합공간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상부결합공간을 포함하는 결합공간 및 상기 상부결합공간과 연통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유출입구를 개방하여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유출입구를 밀폐하여 상기 공간부를 밀폐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유출입구의 개방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지지봉 방향으로 하강되거나, 상기 지지봉의 반대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스틱용 완충장치.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유출입구를 이루는 둘레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 및 상기 상부결합공간과 연통되는 가이드관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며, 상기 유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캡;
    상기 개폐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유출입구, 상기 가이드관 및 상기 손잡이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의 상부에 결합되는 조절버튼; 및
    상기 조절버튼을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개폐캡에 의한 상기 유출입구의 차단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유출입구는,
    상기 조절버튼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스프링이 수축되는 한편, 상기 개폐캡이 하강되면서 개방되고, 상기 조절버튼의 가압해제에 따라 수축된 상기 스프링이 이완되면서 상기 조절버튼 및 상기 개폐캡의 승강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스틱용 완충장치.
  7. 제 1, 3, 4, 6항 중 어느 한 항의 등산스틱용 완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스틱.
KR1020160055165A 2016-05-04 2016-05-04 등산스틱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등산스틱 KR101797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165A KR101797357B1 (ko) 2016-05-04 2016-05-04 등산스틱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등산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165A KR101797357B1 (ko) 2016-05-04 2016-05-04 등산스틱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등산스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357B1 true KR101797357B1 (ko) 2017-12-12

Family

ID=60943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165A KR101797357B1 (ko) 2016-05-04 2016-05-04 등산스틱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등산스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3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03794A1 (en) * 2002-04-26 2003-10-30 Shih-Ming Huang Bouncing rod with adjustable pneumatic press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03794A1 (en) * 2002-04-26 2003-10-30 Shih-Ming Huang Bouncing rod with adjustable pneumatic press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5636B1 (en) Prosthetic socket liner
US7273155B1 (en) Trash receptacle with suction means for drawing a flexible bag liner against its interior walls
US10507482B2 (en) Container for discharging powder
KR101144500B1 (ko) 진공화 장치
CN105408644B (zh) 可拆卸真空支撑装置
US9770347B2 (en) Adjustable prosthesis leg
KR101521849B1 (ko) 공기압에 의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EP2826398A1 (en) Tubular cosmetic container
JP6792590B2 (ja) 液体吐出容器
KR101797357B1 (ko) 등산스틱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등산스틱
CN210311619U (zh) 盖子
KR20190042264A (ko) 디스펜서 펌프
US20100132121A1 (en) Support cushion for fast inflation and deflation
KR101615145B1 (ko) 액상 화장품 용기용 펌프 뚜껑
US9474636B2 (en) Valve for prosthetic device
US20140182639A1 (en) Patio Umbrella with Air Pump
KR101763405B1 (ko)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
CN207666132U (zh) 一种基于气压调节的登山杖
KR20160109277A (ko)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CN208896051U (zh) 一种电力安装维修平台
JP6362165B2 (ja) スポイト付き容器
KR101709738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
KR102658991B1 (ko) 가압버튼을 구비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JP5945875B2 (ja) 解除機能付吸盤およびこれを用いた人体固定具
US8177088B1 (en) Adjustable sealing device for storage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