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301B1 -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 Google Patents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301B1
KR101797301B1 KR1020150157262A KR20150157262A KR101797301B1 KR 101797301 B1 KR101797301 B1 KR 101797301B1 KR 1020150157262 A KR1020150157262 A KR 1020150157262A KR 20150157262 A KR20150157262 A KR 20150157262A KR 101797301 B1 KR101797301 B1 KR 101797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uter container
heating
switch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733A (ko
Inventor
윤현호
Original Assignee
윤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현호 filed Critical 윤현호
Priority to KR1020150157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301B1/ko
Publication of KR20170054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01M13/003Enclosures for fumigation, e.g. containers, bags or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에 관한 것으로; 상측 및 하측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측 외부용기와, 상기 상측 외부용기의 내부에 장착되되 상단 테두리가 상기 상측 외부용기의 내부 상측에 일체로 결합되며 일측에 통기공이 형성되는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상측 외부용기의 하측에 일체로 결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외기 유입공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상측 외부용기로 안내하는 하측 외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방제용 약제를 가열하는 히팅수단과, 상기 상측 외부용기의 상측 개구부를 개폐하되 상기 내부용기의 방제용 약제를 가열하여 발생하는 연무를 배출되는 약제토출구가 형성되는 뚜껑부재와, 상기 하측 외부용기의 외기 유입공으로 외부공기를 강제 유입시키는 송풍수단과, 상기 히팅수단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원공급원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히팅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측 외부용기와 하측 외부용기를 분할 제작하고 상측 외부용기의 내부에 내부용기를 안정적으로 설치함으로서 내부용기의 고정을 위한 부속을 줄이고 배선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THE FUMIGATOR TO CONTROL HONEYBEE PEST AND DISEASES}
본 발명은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내부용기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사용 후 방제용 약제의 제거를 위한 세척이 용이하며 방제용 약제가 외부용기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방제용 약제가 히팅수단 및 송풍수단에 노출되어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에 관한 것이다.
양봉산업은 꿀벌을 사양하여 벌꿀과 밀랍(bee wax)을 생산하는 산업이다. 이러한 양봉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꿀벌응애, 중국가시응애 등의 꿀벌 병해충으로부터 꿀벌을 보호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응애병(acariasis)이란 꿀벌의 유충, 번데기, 성충벌에 응애가 기생하여 체액을 빨아 먹음으로써 꿀벌의 발육저해, 체중감소, 기형벌 출현, 꿀벌의 활동저하, 꿀벌의 수명감소를 초래하는 질병을 지칭한다.
이러한 꿀벌의 응애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예전에는 응애 방제용 약제가 함침되어 있는 훈연지, 이를테면 등 전훈연지, 진멸지, 홀벡스브이에이(Folbex-VA), 바로컷트(Varocut)등을 벌통 안에서 태워 연기를 발생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해 꿀벌의 응애병을 방제하면 열에 의하여 꿀벌의 일부가 폐사한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나무재질 등으로 된 꿀벌집(벌통)에서는 적용 가능하지만, 최근에 발포수지(스티로폼)재로 된 벌통의 보급이 급속도로 이루어져 내부에서 훈연지를 태우는 방법에 의해 응애병을 치료 내지 방제하는 경우 벌통이 타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 같은 점에 착안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10-1513428호)를 제안한 바 있다. 이는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투입공이 형성되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상단은 개구된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내측 중앙에 구비되며 상측과 하측이 개방되어 방제용 약제가 채워지는 약실공간이 형성되고 하단 테두리로 배출부가 형성되는 약실통과, 상기 내부용기의 방제용 약제를 가열하는 히팅수단과, 상기 외부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되 상기 내부용기의 방제용 약제를 가열하여 발생하는 연무가 배출되는 약제토출구가 형성되는 뚜껑부재와, 상기 외부용기의 공기투입공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송풍수단과 히팅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공급원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히팅스위치 및 송풍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구성에 의해 꿀벌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방제용 약제를 단시간 내에 가열하여 연무를 발생하고 그 연무를 분사하여 꿀벌의 치료 및 응애병 등의 예방을 수행할 수 있어 그 사용이 매우 간편해졌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를 통해 제안한 훈증기는 하나의 외부용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용기의 하부 테두리에는 제1안내홈이 일측에 형성되는 제1구획부재가 끼워지고 상부에는 제2안내홈이 일측에 형성되는 제2구획부재가 끼워진 상태로 외부용기의 제1공간 바닥에 구비되는 받침대에 지지된 상태여서 외부용기의 내부에 내부용기를 장착하기 어렵고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내부용기가 불안정한 상태로 지지되어 파손 및 고장의 우려가 높다.
또한 내부용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약실통 역시 내부용기의 바닥면에 스폿 용접 등의 방식으로 일체로 고정됨에 따라 분리가 어려워 약실통 및 내부용기의 세척이 어렵고, 내부용기의 상단 테두리 외측이 노출된 구조여서 훈증기가 넘어지는 경우 방제용 약제가 히팅수단으로 쉽게 유입될 수 있어 고장 발생의 우려가 높은 구조적 결함이 존재한다.
아울러, 내부용기의 상단 테두리 외측이 노출된 구조로 이루어져 제2구획부재의 제2안내홈을 통해 방제용 약제를 가열하여 발생하는 연무가 역류하여 히팅수단의 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높고, 역류된 연무가 송풍수단으로 유입우려가 있음에 따라 역류방지수단을 더 구비함에 따라 전체적인 훈증기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도 있다.
더욱이 바이메탈스위치와 같은 온도감응형 스위치가 외부용기의 내부 벽면에 구비되어 과열을 감지하지만 감지신호전송을 위한 배선을 외부로 노출하기 어려워 실제 제작시에는 배선을 외부용기의 상단 테두리로 노출시켜야 함에 다라 뚜껑부재의 잦은 개폐에 따라 단선의 우려도 높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내부용기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사용 후 방제용 약제의 제거를 위한 세척이 용이한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내부용기의 방제용 약제가 외부용기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방제용 약제가 히팅수단 및 송풍수단에 노출되어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체적인 배선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전원투입 및 신호감지를 위한 배선의 단선 우려가 없는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측 및 하측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측 외부용기와, 상기 상측 외부용기의 내부에 장착되되 상단 테두리가 상기 상측 외부용기의 내부 상측에 일체로 결합되며 일측에 통기공이 형성되는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상측 외부용기의 하측에 일체로 결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외기 유입공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상측 외부용기로 안내하는 하측 외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방제용 약제를 가열하는 히팅수단과, 상기 상측 외부용기의 상측 개구부를 개폐하되 상기 내부용기의 방제용 약제를 가열하여 발생하는 연무를 배출되는 약제토출구가 형성되는 뚜껑부재와, 상기 하측 외부용기의 외기 유입공으로 외부공기를 강제 유입시키는 송풍수단과, 상기 히팅수단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원공급원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히팅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상측 외부용기는 하측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하부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하측 외부용기의 상측 개구부에 삽입 지지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는 하부가 막히고 상부가 개구된 제3공간이 형성되는 원통의 몸체의 상부에 외측으로 확장되며 일측 특히 손잡이 방향인 후측으로 통기공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공기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안내부의 단부에 외측으로 확장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측 외부용기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통기공에는 유입되는 외부공기 중의 먼지를 거르기 위한 금속재 걸름망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용기의 내측 중앙에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되어 방제용 약제가 놓여지는 약실공간이 형성되고 하단 테두리로 배출부가 형성되는 약실통이 착탈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약실통의 외부면에는 상기 내부용기의 내부면에 탄성지지되는 탄성지지편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측 외부용기의 내측 바닥면에는 온도감응형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상측 외부용기의 후측에는 고정식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식 손잡이에는 상기 전원공급원의 전원이 히팅수단인 PTC히터 및 밴드히터로 투입되는 것을 온/오프시키는 히팅스위치와, 상기 전원공급원의 전원이 히팅수단으로 투입되는 경우 점등되는 히팅확인용 램프와, 상기 송풍수단의 모터 구동을 위한 송풍스위치와, 상기 송풍수단의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속도조절스위치는 모터에 투입되는 전류를 조정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다단의 셀렉터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측 외부용기의 하부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공이 형성되고, 하측 외부용기의 제2공간 내부에 송풍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상측 및 하측 외부용기의 후측에 결합되는 브라켓에 고정되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통공을 통해 외부공기를 상기 공간부로 강제로 유입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하측 외부용기의 제2공간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공간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공기유입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는 히팅수단과 송풍팬을 작동시키는 히팅스위치와 작동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측 외부용기의 상단에는 매미고리가 일체로 구비되어 뚜껑부재에 구비되는 클램프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상측 및 하측 외부용기의 후측에 결합되는 브라켓에 설치되는 풀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는 상측 외부용기와 하측 외부용기를 분할 제작하고 상측 외부용기의 내부에 내부용기를 안정적으로 설치함으로서 내부용기의 고정을 위한 부속을 줄이고 배선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로 본 발명은 내부용기 내부에 착탈식 약실통을 구비하여 사용시에는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사용 후 내부용기를 세척시에는 착탈식 약실통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세척이 용이하고, 방제용 약제가 외부용기를 통해 히팅수단 및 송풍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약제로 인한 히팅수단 및 송풍수단의 수명단축을 방지함은 물론 방제용 약제의 역류 방지를 위한 구조 역시 간소화하여 제작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의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의 구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내부용기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사용 후 방제용 약제의 세척이 용이하고, 방제용 약제가 외부용기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방제용 약제가 히팅수단 및 송풍수단에 노출되어 파손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체적인 배선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전원투입 및 신호감지를 위한 배선의 단선 우려가 없어 꿀벌 병해충 방제용으로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훈증기(100)는 꿀벌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방제용 약제(D)로서 가격이 저렴하면서 친환경적인 옥살산을 사용한다. 옥살산은 수산이라고도 하는데, 화학식은 C2H2O4이고, 무수물은 흡습성 고체로서 분자량 90.0, 비중1.90(25℃)이며, 180∼190℃ 범위에서 분해되어 포름산(개미산), 일산화탄소(CO) 및 이산화탄소(CO2)를 만든다. 이때, 생성되는 포름산은 꿀벌의 치료 및 응애병 등의 예방 효과가 탁월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훈증기(100)는 상측 및 하측 개구부(112,113)가 형성되는 상측 외부용기(110)와,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의 내부에 장착되되 상단 테두리가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의 내부 상측에 일체로 결합되며 일측에 통기공(122)이 형성되는 내부용기(120)와, 상기 내부용기(120)가 결합된 상태의 상측 외부용기(110)의 하측에 일체로 결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외기 유입공(132)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로 안내하는 하측 외부용기(130)와, 상기 내부용기(120)의 내측 중앙에 착탈식으로 구비되며 상측과 하측이 개방되어 방제용 약제(D)가 놓여지는 약실공간(142)이 형성되고 하단 테두리로 배출부(144)가 형성되는 약실통(140)과, 상기 내부용기(120)의 방제용 약제(D)를 가열하는 히팅수단(150)과,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의 상측 개구부(112)를 개폐하되 상기 내부용기(120)의 방제용 약제를 가열하여 발생하는 연무를 배출되는 약제토출구(162)가 형성되는 뚜껑부재(160)와, 상기 하측 외부용기(130)의 외기 유입공(132)으로 외부공기를 강제 유입시키는 송풍수단(170)과, 상기 송풍수단(170)과 히팅수단(150)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원공급원(S)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히팅스위치(180) 및 송풍스위치(182)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훈증기(100)의 상측 외부용기(11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공간(111)이 형성되며 상측 및 하측 개구부(112,113)가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111)에는 상기 내부용기(120)가 일체로 장착된다.
이때, 상측 외부용기(110)의 하측 개구부(113)는 제2공간(131)이 형성되는 하측 외부용기(130)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된다. 하측 외부용기(130)는 제2공간(131)이 형성되고 상단이 개구된 상측 개구부(133)가 형성되어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의 하측에 일체로 결합되며 일측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공(132)이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는 하측 개구부(113)의 테두리를 따라 하부단턱(114)이 형성되어 상기 하측 외부용기(130)의 상측 개구부(133)에 삽입 지지되며,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측 외부용기(110)와 하측 외부용기(130)를 분할 제작함은 상측 외부용기(110)의 내부에 내부용기(120)를 안정적으로 설치하면서 내부용기(120)의 고정을 위한 부속을 줄이고 불필하게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며, 수리의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측 외부용기(110)에는 히팅 수단(150)이 설치된 상태의 내부용기(120)를 우선 설치한 상태에서 상측 외부용기(110)의 하부에 하측 외부용기(130)를 일체로 결합하여 마감하게 된다.
특히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는 하측 외부용기(130)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여 안정감을 갖도록 하며, 하측 외부용기(13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외기 유입공(132)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외기)가 제2공간(131)으로 유입되며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의 제1공간(111)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2공간(131)은 제1공간(111)과 연속적으로 결합되므로 제2공간(131)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막힘없이 고르게 제1공간(111)으로 고르게 확산되면서 상측 외부용기(110)와 내부용기(12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퍼지면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내부용기(120)는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히팅수단(150)에 의해 가열되어 약제인 옥살산을 분해 및 액화시켜 연무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측 외부용기(110)의 내측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내부용기(120)가 가열되더라도 내부용기(120)의 벽면의 열이 상측 및 하측 외부용기(110,130)의 벽면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훈증기 사용자의 화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내부용기(120)는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와 마찬가지로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3공간(121)이 형성되고 상단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용기(120)의 제3공간(121)에는 약실통(140)이 착탈식으로 구비된다. 상기 내부용기(120)는 스텐레스스틸 재질로 제작하면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알루미늄으로 제작하는 경우 열전도효율이 높아 옥살산 분해를 통한 연무 분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용기(120)는 상측 외부용기(110)에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로서, 이를 위해 상기 내부용기(120)는 하부가 막히고 상부가 개구된 제3공간(121)이 형성되는 원통의 몸체의 상부에 외측으로 확장되며 일측 특히 손잡이 방향인 후측으로 통기공(122)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공기 안내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안내부(123)의 단부에 외측으로 확장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결합부(12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통기공(122)에는 유입되는 외부공기 중의 먼지를 거르기 위한 금속재 걸름망(122a)이 용접 등의 방식으로 부착된다.
이와 같은 내부용기(120)는 히팅수단(150)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 내부에 삽입하여 내부용기(120)의 결합부(124)를 상측 외부용기(110) 내부면 상측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용접 등의 방식으로 일체로 결합시킨다. 이상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내부용기(120)이 상단부는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의 내측 상단에 일체로 고정되므로 상기 내부용기(120)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상기 상측 및 하측 외부용기(110,130)와 내부 용기(120)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 또는 시보리 가공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약실통(140)은 상측과 하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내부용기(120)의 제3공간(121)과 연통되는 배출부(14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약실통(140)은 원통 이외에도 삼각, 사각, 육각 등의 다양한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약실통(140)은 약제를 넣을 수 있도록 약실공간(141)이 마련되는 원통형상의 몸체(143)와, 상기 몸체(143)의 하단에 구비되어 내부용기(120)의 제3공간(121)과 연통되는 배출부(142)를 형성하는 지지부(14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부(144)는 몸체(143)의 하단 테두리에 복수가 구비되어 지지부(144) 사이에 배출부(14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44)의 단부가 상기 내부용기(120)의 제3공간(121) 바닥면에 지지된다.
한편, 상기 약실통(140)의 몸체(143) 외부면에는 상기 내부용기(120)의 내부면에 탄성지지되는 탄성지지편(145)이 일체로 구비된다. 이때, 탄성지지편(145)은 복수가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며 구비되도록 하여 내부용기(120)의 내부에 균형을 갖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약실통(140)의 몸체(143) 외부면에 3개의 탄성지지편(145)을 구비하는 경우 120°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3개의 탄성지지편(145)을 구비하는 경우 90°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구조에 의하면 훈증기(100)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더라도 탄성지지편(145)에 의해 약실통(140)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내부용기(120)의 내부 일측으로 쏠리지 않아 안정적으로 훈증기(10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부용기(120)의 내부에 약실통(140)를 안착시키게 되면 히팅수단(150)의 구동을 통해 내부용기(120)가 가열되면서 약실통(140) 내부의 약제인 옥살산이 분해되면서 액화되어 배출부(142)를 통해 내부용기(120)의 제3공간(121) 바닥면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이동하면서 내부용기(120)와 약실통(14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내부용기(120)에는 방제용 약제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150)이 구비된다. 상기 히팅수단(150)은 상기 내부용기(120)의 바닥면 하부에 장착되어 내부용기(120) 바닥면을 가열하는 PTC히터(151)와. 상기 내부용기(12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밴드히터(15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PTC히터(151)는 전원 투입시 즉시 가열되는 것으로 수초 내에 150 ~ 200℃로 급격히 온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약제를 초기상태에서 빠르게 가열하여 배출하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 PTC히터(151)는 상기 내부용기(120)의 하부를 가열함은 물론 상기 하측 외부용기(130)의 제2공간(131)을 통해 하측 외부용기(130)와 내부용기(120) 사이로 상승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상기 밴드히터(152)는 내부용기(120)의 외주면 특히 하측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서서히 가열되며 내부용기(120)와 약실통(14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연무를 가열하여 연무의 빠른 확산을 돕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약실통(140)에 방제용 약제인 옥살산을 투입하고, PTC히터(151)에 전원이 투입되면 신속하게 가열되면서 방제용 약제(D)인 옥살산이 분해되며 액화되어 배출부(142)를 통해 내부용기(120)의 제3공간(121) 바닥면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이동하면서 내부용기(120)과 약실통(14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옥살산을 1회 투약을 위해 예를 들어 200g을 투입하여 가열함이 바람직하며 이 같은 히팅수단(150)인 PTC히터(151) 및 밴드히터(152)의 구동에 따라 40 ~ 50분이면 모두 연무상태로 소진된다.
한편, 상기 하측 외부용기(130)의 내측 바닥면에는 바이메탈스위치와 같은 온도감응형 스위치(18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온도감응형 스위치(184)는 상기 상측 및 하측 외부용기(110,13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상측 외부용기(110)의 내부 벽면에 구비할 수 있지만, 상측 외부용기(110)의 내부에는 히팅수단(150)인 PTC히터(151) 및 밴드히터(152)이 장착된 내부용기(120)가 장착되므로 히팅수단(150)의 가열된 공기로 인해 오작동의 우려가 있어 상측 및 하측 외부용기(130)의 온도를 정확히 감지하지 못하므로, 하측 외부용기(130)의 일측에 밀착시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온도감응형 스위치(18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외부용기(130)의 제2공간(131) 바닥면에 부착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온도감응형 스위치(184)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60℃ 중에 세팅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전원공급원(S)으로부터 히팅수단(150)에 투입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이후 설정된 온도 이하로 하강이 되는 경우 다시 히팅수단(150)에 전원을 투입함으로서 사용자의 화상 및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에는 들고다니기 편리하도록 회동식 손잡이(185)가 구비되어 훈증기(100)를 사용시에 액화된 약제가 내부용기(120) 내에서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고르게 가열하면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동식 손잡이(185)는 손잡이부(185a)와, 그 손잡이부(185a) 양단으로 돌출되게 연결되어 상측 외부용기(110)의 외부 상측에 힌지결합되는 힌지연결부(185b)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뚜껑부재(160)는 일측으로 약제토출구(162)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약제토출구(162)에는 PVC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연질인 연결호스(163)의 일단부가 탄성 클립(164)으로 고정되고, 그 연결호스(163)의 타단부에는 토출되는 연무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관(166)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호스(163)의 타단부 내측에는 금속재 원형 연결구(165)의 일부가 삽입 고정되며, 그 연결구(165)에 토출관(166)이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토출관(166)은 연결구(165)에서 착탈이 용이한 구조를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측 외부용기(110)의 상단테두리에는 '┛'형상의 체결홈(117)이 형성되고, 뚜껑부재(160)의 하부 내주면에는 체결돌기(167)가 형성되어, 뚜껑부재(160)를 상측 외부용기(110)의 상단테두리에 덮고 체결돌기(167)를 '┛'형상의 체결홈(117)에 밀어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뚜껑부재(160)가 상측 외부용기(110)의 상단테두리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의 후측에는 고정식 손잡이(19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식 손잡이(190)에는 상기 전원공급원(S)의 전원이 히팅수단(150)인 PTC히터(151) 및 밴드히터(152)로 투입되는 것을 온/오프시키는 히팅스위치(180)와, 상기 전원공급원(S)의 전원이 히팅수단(150)으로 투입되는 경우 점등되는 히팅확인용 램프(181)와, 상기 송풍수단(170)의 모터(171) 구동을 위한 송풍스위치(182)와, 상기 송풍수단(170)의 모터(171)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스위치(17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히팅스위치(180)는 한 번의 조작으로 지속적인 온/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절환스위치를 사용하고, 상기 송풍스위치(182)는 푸시 락 스위치로 구성되어 한번 누르면 모터가 작동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모터가 정지하도록 하며, 상기 속도조절스위치(173)는 모터(171)에 투입되는 전류를 조정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다단의 셀렉터스위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셀렉터스위치는 초보자도 조작이 용이한 것으로, 4단으로 풍속을 조절할 수 있는 4단 셀렉터 스위치를 사용함이 적합하다. 이와 같은 속도조절스위치(173)는 다단으로 풍속을 조절할 수 있어, 약제의 가열 초기에 연무의 양이 적거나 하절기 외부온도가 높은 경우 시인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저속으로 송풍수단(170)을 작동시키고 배출되는 연무의 양이 많아지면 고속으로 조절하여 풍량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측 외부용기(130)의 후측에는 송풍수단(170)이 구비되어 외기 유입공(132)을 통해 외기를 제2공간(131)으로 강제 순환시키게 되며, 상기 하측 외부용기(130)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히팅수단(150)인 PTC히터(151) 및 밴드히터(152)의 가열 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온도조절기(175)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조절기(175)는 회전노브 타입으로 0 ~ 200℃ 범위 내에서 조절 가능한 것으로, 약제인 옥살신은 190℃에서 녹기 시작하므로 190℃ 이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온도조절기(175)는 기기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액팽창식 온도조절기를 사용한다. 액팽창식 온도조절기는 일반적으로 감온부, 모세관, 다이아프램 및 매체로 구성되어 감온부에서 열을 감지하면 매체액이 팽창되어 그 압력으로 다이아프램의 간격을 넓혀주고 그 힘으로 스위치 접점을 개폐하는 것으로, 설정된 온도가 되면 일정 범위 내에서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는 자동 복귀형이다.
물론 상기 온도조절기(175)는 필요에 따라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투입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방식의 온도조절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전에 사용자가 온도조절기(175)의 조절을 통해 온도 제한을 설정하여 설정된 화재 예방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원(S)은 가정용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플러그(S1)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식 손잡이(190)에는 전원공급원(S)인 가정용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고 이를 다시 설정된 전압으로 감압하는 어댑터(또는 변압정류기)(S2)를 내장하여 이와 같은 어댑터(S2)를 거친 직류 전원이 직류식의 모터(171)에 투입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히팅스위치(180)를 조작하여 상기 전원공급원(S)의 전원을 투입하는 경우에는 온도조절기(175)에서 설정된 온도범위에서 PTC히터(151)와 밴드히터(152)를 구동시켜 내부용기(120)의 바닥면과 내부용기(120) 내부가 고르게 가열하게 된다.
상기 내부용기(120)가 가열되면 방제용 약제인 옥살산이 분해되어 포름산, 일산화탄소(CO) 및 이산화탄소(CO2) 등이 포함된 형태의 연무가 발생하게 되며, 그 연무는 약실통(140) 하측의 배출부(142)를 통해 내부용기(120)의 제3공간(121) 바닥면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이동하면서 내부용기(120)과 약실통(14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며 뚜껑부재(160)의 연무배출구(162)와 연결된 연결호스(163)를 따라 이동하며 토출관(166)으로 토출된다.
이 경우 송풍스위치(182)를 누르면 송풍수단(170)의 모터(171)가 작동되어 외부공기가 하측 외부용기(130)의 후측을 통해 유입되어 상측 외부용기(110)와 내부용기(1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하며, 내부용기(120)의 공기 안내부(123) 후측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통기공(122)을 통해 내부용기(120)의 상측으로 빠르게 이동하며 뚜껑부재(160)의 약제토출구(162)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에 내부용기(120)에서 상승하는 연무가 벤츄리 효과로 인해 함께 약제토출구(162)로 빠르게 배출되도록 유도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약실통(140) 내부에 약제인 옥살산을 채우고 내부용기(120)가 PTC히터에 의해 가열되면 옥살산이 녹아 흘러내리면서 약실통(14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내부용기(120)과 약실통(14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연무상태로 상승 배출함에 따라 연무가 배출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약실통(140)의 내부에 채워진 옥살산이 하부로 서서히 균일하게 내려옴에 따라 지속적이면서도 일정하게 연무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하측 외부용기(130)의 하부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공(132)이 형성되고, 하측 외부용기(130)의 제2공간(131) 내부에 송풍수단(170)이 구비된다. 이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훈증기(100)의 외형을 단순화되고, 송풍수단(170)의 구동시 송풍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이때, 온도감응형 스위치(184)는 상기 하측 외부용기(130)의 내부 벽면 일측에 구비한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로서, 훈증기(100)에 별도의 고정형 손잡이를 구비하지 않고 상측 및 하측 외부용기(110,130)의 후측에 결합되는 브라켓(177a)에 송풍수단(170)을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히팅수단(150)을 구비하여 히팅스위치(180)의 작동시에 전원공급원(S)의 전원을 투입하여 약제를 가열할 수 있는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송풍수단(170)은 상기 브라켓(177a)에 고정되되 내부에 공간부(177b)가 형성되고 일측에 통공(177c)이 형성되는 하우징(177d)과, 상기 하우징(177d)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통공(177c)을 통해 외부공기를 상기 공간부(177b)로 강제로 유입하는 송풍팬(177e)과, 상기 송풍팬(177e)의 작동에 의해 하측 외부용기(130)의 제2공간(131)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공간부(177b)의 하측에 연결되는 공기유입관(177f)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77d)의 외부에는 히팅수단(150)과 송풍팬(177e)을 작동시키는 히팅스위치(180)와 작동스위치(182)가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177d)에는 외부 공기가 상기 송풍팬(177e)으로 유입되는 통공(177c)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77d)의 하측에는 상기 송풍팬(177e)의 작동에 의해 하측 외부용기(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외기 유입공(132)을 통해 제2공간(131)으로 공기를 투입한다.
아울러, 상측 외부용기(110)의 상단에는 매미고리(119)가 일체로 구비되어 뚜껑부재(160)에 구비되는 클램프(169)에 체결함으로서 뚜껑이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매미고리(119)는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한 공지의 구조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 같은 구조에 의하면 별도의 고정형 손잡이를 구비하지 않아 훈증기의 구조를 더욱 간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송풍수단(170)을 전기식이 아닌 수동식으로 구비하는 것으로, 상측 및 하측 외부용기(110,130)의 후측에 결합되는 브라켓(179a)에 설치되는 송풍수단(170)으로 풀무를 적용할 수 있다.
송풍수단(170)인 풀무는 상기 브라켓(179a)에 고정되는 고정판(179b)과, 상기 고정판(179b)과 상측은 멀고 하부는 근접하게 배치되는 가동판(179c)과, 상기 고정판(179b)과 가동판(179c) 사이에 공간부(179d)를 형성하도록 상기 고정판(179b)과 가동판(179c)의 테두리를 감싸는 마감커버(179e)와, 상기 가동판(179c)과 고정판(179) 사이에 구비되어 가동판(179c)과 고정판(179b)이 벌어지도록 가압하는 스프링(179f)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의 구조로 인해 전기적인 구조를 최소화하는 형태로 훈증기(100)를 제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00: 훈증기 110: 상측 외부용기
120: 내부용기 130: 하측 외부용기
140: 약실통 145: 탄성지지편
150: 히팅수단 160: 뚜껑부재
170: 송풍수단 180: 히팅스위치
184: 온도감응형 스위치 190: 고정식 손잡이
D: 방제용 약제

Claims (13)

  1. 상측 및 하측 개구부(112,113)가 형성되는 상측 외부용기(110)와,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의 내부에 장착되되 상단 테두리가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의 내부 상측에 일체로 결합되며 일측에 통기공(122)이 형성되는 내부용기(120)와, 상기 내부용기(120)가 결합된 상태의 상측 외부용기(110)의 하측에 일체로 결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외기 유입공(132)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로 안내하는 하측 외부용기(130)와, 상기 내부용기(120)의 방제용 약제(D)를 가열하는 히팅수단(150)과,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의 상측 개구부(112)를 개폐하되 상기 내부용기(120)의 방제용 약제를 가열하여 발생하는 연무를 배출되는 약제토출구(162)가 형성되는 뚜껑부재(160)와, 상기 하측 외부용기(130)의 외기 유입공(132)으로 외부공기를 강제 유입시키는 송풍수단(170)과, 상기 히팅수단(150)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원공급원(S)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히팅스위치(180)로 구성되되;
    상기 내부용기(120)는 하부가 막히고 상부가 개구된 제3공간(121)이 형성되는 몸체의 상부에 외측으로 확장되며 통기공(122)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공기 안내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안내부(123)의 단부에 외측으로 확장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결합부(124)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용기(120)의 내측 중앙에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되어 방제용 약제(D)가 놓여지는 약실공간(142)이 형성되고 하단 테두리로 배출부(144)가 형성되는 약실통(140)이 착탈식으로 구비되며;
    상기 약실통(140)의 외부면에는 상기 내부용기(120)의 내부면에 탄성지지되는 탄성지지편(145)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는 하측 개구부(113)의 테두리를 따라 하부단턱(114)이 형성되어 상기 하측 외부용기(130)의 상측 개구부(133)에 삽입 지지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122)에는 유입되는 외부공기 중의 먼지를 거르기 위한 금속재 걸름망(122a)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외부용기(130)의 내측 바닥면에는 온도감응형 스위치(18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의 후측에는 고정식 손잡이(19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식 손잡이(190)에는 상기 전원공급원(S)의 전원이 히팅수단(150)인 PTC히터(151) 및 밴드히터(152)로 투입되는 것을 온/오프시키는 히팅스위치(180)와, 상기 전원공급원(S)의 전원이 히팅수단(150)으로 투입되는 경우 점등되는 히팅확인용 램프(181)와, 상기 송풍수단(170)의 모터(171) 구동을 위한 송풍스위치(182)와, 상기 송풍수단(170)의 모터(171)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스위치(17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절스위치(173)는 모터(171)에 투입되는 전류를 조정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다단의 셀렉터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외부용기(130)의 하부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공(132)이 형성되고, 하측 외부용기(130)의 제2공간(131) 내부에 송풍수단(1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170)은 상기 상측 및 하측 외부용기(110,130)의 후측에 결합되는 브라켓(177a)에 고정되되 내부에 공간부(177b)가 형성되고 일측에 통공(177c)이 형성되는 하우징(177d)과, 상기 하우징(177d)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통공(177c)을 통해 외부공기를 상기 공간부(177b)로 강제로 유입하는 송풍팬(177e)과, 상기 송풍팬(177e)의 작동에 의해 하측 외부용기(130)의 제2공간(131)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공간부(177b)의 하측에 연결되는 공기유입관(177f)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177d)의 외부에는 히팅수단(150)과 송풍팬(177e)을 작동시키는 히팅스위치(180)와 작동스위치(18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외부용기(110)의 상단에는 매미고리(119)가 일체로 구비되어 뚜껑부재(160)에 구비되는 클램프(169)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170)은 상기 상측 및 하측 외부용기(110,130)의 후측에 결합되는 브라켓(179a)에 설치되는 풀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157262A 2015-11-10 2015-11-10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KR101797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262A KR101797301B1 (ko) 2015-11-10 2015-11-10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262A KR101797301B1 (ko) 2015-11-10 2015-11-10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733A KR20170054733A (ko) 2017-05-18
KR101797301B1 true KR101797301B1 (ko) 2017-11-14

Family

ID=59048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262A KR101797301B1 (ko) 2015-11-10 2015-11-10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3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0051A (zh) * 2019-03-20 2019-05-10 河南工业大学 一种用于粮仓熏蒸的施药装置及施药方法
CN109874777A (zh) * 2019-04-26 2019-06-14 安阳工学院 一种使用北艾精油防治储粮害虫的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9864A (zh) * 2018-11-27 2019-03-19 安徽正峰日化有限公司 一种新型电热液体蚊香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351B1 (ko) * 2013-05-23 2013-08-20 윤현호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KR101443519B1 (ko) * 2013-04-24 2014-09-23 윤현호 훈연기
KR101513428B1 (ko) * 2014-10-07 2015-04-21 윤현호 개량형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519B1 (ko) * 2013-04-24 2014-09-23 윤현호 훈연기
KR101298351B1 (ko) * 2013-05-23 2013-08-20 윤현호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KR101513428B1 (ko) * 2014-10-07 2015-04-21 윤현호 개량형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0051A (zh) * 2019-03-20 2019-05-10 河南工业大学 一种用于粮仓熏蒸的施药装置及施药方法
CN109874777A (zh) * 2019-04-26 2019-06-14 安阳工学院 一种使用北艾精油防治储粮害虫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733A (ko)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0612B2 (en) Scent dispersion device
KR101797301B1 (ko)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US8051579B2 (en) Dryer for hair shaving device
USRE33864E (en) Self-contained air freshener and cartridge therefor
KR101298351B1 (ko)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KR101691786B1 (ko) 방향제 분산 장치
KR101611026B1 (ko) 공기 청정기
US20110284653A1 (en) Adaptive Emanator of a Fluid
KR101513428B1 (ko) 개량형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US20050028254A1 (en) Automatic sanitizer and deodorizer
CN111050810B (zh) 包括安全帽的帽子的杀菌/干燥/除臭装置
BRPI0718769B1 (pt) Dispositivo para a evaporação de um líquido volátil
US20140334801A1 (en) Fragrance producing lighting device
JP4400646B2 (ja) 体毛処理器具用乾燥器
KR101888753B1 (ko)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KR200337480Y1 (ko) 전기 발향기
KR20210101171A (ko) 공기청정기
US11350675B2 (en) Vape coil cleaning device
CN116057314A (zh) 具有火焰状蒸气的加湿器
JP2002345931A (ja) 殺菌脱臭剤燻蒸装置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殺菌脱臭剤容器
JP2002174444A (ja) サーキュレータ
JPH064892Y2 (ja) 空調機器
KR940007913Y1 (ko) 로터리 팬히터의 송풍덕트
KR101012995B1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KR200294509Y1 (ko) 거치가 용이한 향 발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