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211B1 - 지문인식 인감보안장치 - Google Patents

지문인식 인감보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211B1
KR101797211B1 KR1020160106185A KR20160106185A KR101797211B1 KR 101797211 B1 KR101797211 B1 KR 101797211B1 KR 1020160106185 A KR1020160106185 A KR 1020160106185A KR 20160106185 A KR20160106185 A KR 20160106185A KR 101797211 B1 KR101797211 B1 KR 101797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ing
seal
fingerprint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현
박준규
방지환
조우진
박성준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06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02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with one or more flat stamping surfaces having fixed images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를 저장하고 정보와 인감의 도용을 방지하는 인감보안장치에 있어서,
관체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외로 돌출되거나 매입가능하게 구비되는 인감부;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인감부의 인입을 제어하여 상기 인감부를 외부의 노출로부터 차단시키는 보안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보안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보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유닛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로 설정된 지문을 인식하여 상기 인감부의 사용을 위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보안을 위해 상기 하우징으로 매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지문인식부를 통해서 지문정보를 수신한 컨트롤러에 의해 인감부와 저장부의 하우징 내외로 출입을 제어하면서 인감도장과 개인정보의 도용을 방지하고, 유에스비 포트, 저장매체 수용부, 리셋버튼을 구비하여 정보 저장을 확장시키며 저장된 지문을 초기화 하여 타인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지문인식 인감보안장치{FINGERPRINT DEVICE SECURITY SEAL}
본 발명은 인감보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문인식을 통해 인감의 도용을 방지하는 기능이 구비된 지문인식 인감보안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특정 문서에 자신의 표식을 남기는 도장을 사용며, 본인의 신분을 증명하기 위하여 인감도장을 사용하고 있다.
첨단 디지털산업이 발달해 감에 따라 산업이나 개인적인 일상의 전 범위에서 응용이 가능하여 생체를 인식시켜서 디지털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금융거래가 가능하다.
개인적인 정보인 생체를 인식하거나 디지털화된 인감 등을 이용해서 각종의 기기들의 작동이나 금융거래 등이 가능하므로 타인에 의해서 이러한 개인의 중요한 정보들이 손쉽게 유출되거나 악용될 우려가 다분하다.
따라서, 상기 장치나 시스템들의 보완성을 확보하면서 안전하게 이용하기 위한 각종의 장치들이나 보안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459593호(발명의 명칭: 스마트스탬프)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9-0096100호(발명의 명칭: 지문인식을 이용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인감도장 혹은 공인인증서 등과 같은 보안문서가 보관된 외부저장 장치의 분실 시 보안성이 취약한 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능이 구비된 지문인식 인감보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지문인식이라는 생체보안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이외의 타인의 사용을 불가능하게 하여 기존의 번호 키 혹은 열쇠 잠금식과 같은 아날로그식 잠금장치의 단점을 보완하는 지문인식 인감보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문인식 인감보안장치는, 정보를 저장하고 정보와 인감의 도용을 방지하는 인감보안장치에 있어서, 관체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외로 돌출되거나 매입가능하게 구비되는 인감부;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인감부의 인입을 제어하여 상기 인감부를 외부의 노출로부터 차단시키는 보안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보안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보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유닛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로 설정된 지문을 인식하여 상기 인감부의 사용을 위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보안을 위해 상기 하우징으로 매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유닛은, 상기 하우징 외부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이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지문인식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문인식부로 인식된 지문을 전송받은 상기 컨트롤러에 제어에 의해 상기 인감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외로 출입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지문인식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문인식부는, 설정된 이용자의 지문을 인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시키는 지문인식센서; 및 상기 지문인식센서가 일부분에 구비되며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돌출된 부분이 외력에 의한 눌려짐에 의해 상기 인감부를 상기 하우징으로 매입시키는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보안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감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제작되며 상기 인감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형성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문인식 인감보안장치는, 지문인식부를 통해서 지문정보를 수신한 컨트롤러에 의해 인감부와 저장부의 하우징 내외로 출입을 제어하면서 인감도장과 개인정보의 도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에스비 포트, 저장매체 수용부, 리셋버튼을 구비하여 정보 저장을 확장시키며 저장된 지문을 초기화 하여 타인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 인감보안장치의 개념도.
도 2는 상기 지문인식 인감보안장치의 블록도.
도 3은 상기 보안유닛의 블록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 인감보안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상기 지문인식 인감보안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3은 상기 보안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를 저장하고 정보와 인감의 도용을 방지하는 인감보안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하우징(100), 인감부(200), 보안유닛(300) 및 컨트롤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강재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관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인감부(200)는 하우징(100)의 일단부에서 하우징(100)의 내외로 돌출되거나 매입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안유닛(300)은 하우징(100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인감부(200)의 인입을 제어하여 인감부(200)를 외부의 노출로부터 차단시킬 수 있다.
보안유닛(300)은 컨트롤러(400)의 제어로 설정된 지문을 인식하여 인감부(200)의 사용을 위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보안을 위해 하우징(100)으로 매입시킬 수 있다.
보안유닛(300)은 지문인식부(310), 구동부(320) 및 전원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부(310)는 하우징(100) 외부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이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컨트롤러(400)에 전송할 수 있다.
지문인식부(310)는 지문인식센서(312)와 보안버튼(3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312)는 설정된 이용자의 지문을 인지하여 컨트롤러(4000에 전송시킬 수 있다.
상기 보안버튼(314)은 지문인식센서(312)가 일부분에 구비되며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돌출된 부분이 외력에 의한 눌려짐에 의해 인감부(200)를 하우징(100)으로 매입시키는 신호를 컨트롤러(4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용자가 보안버튼(314)을 누르면 그 신호가 컨트롤러(400)에 전송되고, 컨트롤러(400)는 구동부(320)를 작동시키고 인감부(200)를 하우징(100)의 내부로 매입시켜서 인감의 도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버튼(314)은 가압을 이용한 누르는 방식 뿐만아니라 터치패널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도 있다.
상기 구동부(32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지문인식부(310)로 인식된 지문을 전송받은 컨트롤러(400)에 제어에 의해 인감부(200)를 하우징(100)의 내외로 출입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320)는 일반적으로 랙피니언, 리니어모터 또는 리니어 액츄에이터 등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는 수평으로 선(線)운동을 하는 모터를 말하는 것으로, 최근의 메카트로닉스 기계나 로봇은 직동(直動)운동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아 갖가지 기기에서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쓰인다.
회전식의 교류 모터를 직선상으로 늘인 구조의 리니어 액추에이터나 회전식 모터와 랙 앤 피니언 기구를 사용한 리니어 액추에이터 등이 있다. 또, 전자석을 기계적 운동에 이용하는 솔레노이도 등도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일종이다.
상기 전원부(33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의해 지문인식부(310)와 구동부(3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330)은 부피를 소형화시키기 위해 내부 리튬 폴리머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본 발명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400)는 하우징(10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보안유닛(300)과 연결되어 보안유닛(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장부(500), 유에스비 포트(110), 리셋버튼(120) 및 저장매체 수용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00)는 인감부(2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제작되며 인감부(200)에 대응하여 하우징(100)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에스비 포트(110)는 하우징(100)의 일부분에 형성되며 전원부(330)에 연결되며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저장부(500)에 연결되어 외부와 정보를 소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유에스비 포트(110)를 통해서 일반 가정용 직류전원장치를 이용하여 손쉽게 충전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상기 리셋버튼(120)은 하우징(100)의 외부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컨트롤러(400)에 연결되어 보안유닛(300)의 재사용을 위해 보안유닛(300)에 저장된 지문을 초기화시킬 수 있다.
즉, 지문정보를 초기화 하고 타인의 지문정보를 저장하여 본 발명의 장치의 원활한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매체 수용부(130)는 하우징(100)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컨트롤러(400)와 연결되고 저장부(500)와 별도로 외부저장매체를 수용하여 저장용량을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장매체 수용부(130)에 외장 저장매체를 삽입하여 저장공간이 확장이 가능하므로 인감 및 개인정보저장 뿐만아니라 일반적인 정보 정장매체로의 기능도 구비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 지문인식 인감보안장치의 이용밥법은, 이용자는 지문인식센서(312)에 지문을 인식시키고 하우징(100)에 매입되어 있는 인감부(200)와 저장부(500)를 외부로 노출시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안버튼(314)의 누름에 의해 구동부(320)를 작동시켜서 인감부(200)와 저장부(500)를 다시 하우징(100)의 내부로 매입하여 인감의 도용 방지와 공인인증서와 같은 개인 신상정보 등의 보안이 가능하다.
또한, 리셋버튼(120)을 이용하여 장치를 초기화하고 새로운 지문을 저장하고 새로운 사람의 재사용이 가능하고, 유에스비 포트(110)를 구비하여 저장능력의 확장 및 외부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내부 저장부와 별도로 저장매체 수용부(130)를 구비하여 각종의 외부저장매체를 삽입하여 저장능력을 확장시켜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인감보안장치
100 : 하우징
200 : 인감부
300 : 보안유닛
310 : 지문인식부
312 : 지문인식센서
314 : 보안버튼
320 : 구동부
330 : 전원부
400 : 컨트롤러
500 : 저장부
110 : 유에스비 포트
120 : 리셋버튼
130 : 저장매체 수용부

Claims (3)

  1. 정보를 저장하고 정보와 인감의 도용을 방지하는 지문인식 인감보안 장치에 있어서,
    지문인식부를 통해서 지문정보를 수신한 컨트롤러에 의해 인감부와 저장부의 하우징 내외로 출입을 제어하면서 인감도장과 개인정보의 도용을 방지할 수 있는 관체형의 하우징;
    정보를 저장하고 정보와 인감의 도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외로 돌출되거나 매입가능하게 구비되는 인감부;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인감부의 인입을 제어하여 상기 인감부를 외부의 노출로부터 차단시키는 보안유닛(300); 및
    상기 보안유닛(300), 유에스비포트(110), 리셋버튼(120), 저장매체수용부(130)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보안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보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유닛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로 설정된 지문을 인식하여 상기 인감부의 사용을 위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보안을 위해 상기 하우징으로 매입시키고,
    상기 보안유닛은,
    하우징 외부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이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지문인식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문인식부로 인식된 지문을 전송받은 상기 컨트롤러에 제어에 의해 상기 인감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외로 출입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지문인식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문인식부는,
    설정된 이용자의 지문을 인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시키는 지문인식센서; 및
    상기 지문인식센서가 일부분에 구비되며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돌출된 부분이 외력에 의한 눌려짐에 의해 상기 인감부를 상기 하우징으로 매입시키는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보안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 인감보안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감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제작되며 상기 인감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형성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 인감보안장치.
KR1020160106185A 2016-08-22 2016-08-22 지문인식 인감보안장치 KR101797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185A KR101797211B1 (ko) 2016-08-22 2016-08-22 지문인식 인감보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185A KR101797211B1 (ko) 2016-08-22 2016-08-22 지문인식 인감보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211B1 true KR101797211B1 (ko) 2017-12-12

Family

ID=60943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185A KR101797211B1 (ko) 2016-08-22 2016-08-22 지문인식 인감보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2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315B1 (ko) * 2018-10-04 2020-04-02 주식회사 감마누 네트워크 기반의 지문 인식 도장 관리함, 지문 인식 도장 및 이를 활용한 도장 관리 방법
CN111301014A (zh) * 2019-12-24 2020-06-19 青岛向帅广告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盗和溯源功能的智能印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925Y1 (ko) 2005-07-20 2005-10-10 조태인 자기식별 인감도장
JP2010213326A (ja) * 2010-04-26 2010-09-24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認証機能付き印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925Y1 (ko) 2005-07-20 2005-10-10 조태인 자기식별 인감도장
JP2010213326A (ja) * 2010-04-26 2010-09-24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認証機能付き印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315B1 (ko) * 2018-10-04 2020-04-02 주식회사 감마누 네트워크 기반의 지문 인식 도장 관리함, 지문 인식 도장 및 이를 활용한 도장 관리 방법
CN111301014A (zh) * 2019-12-24 2020-06-19 青岛向帅广告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盗和溯源功能的智能印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8604B2 (ja) 電子ロック装置
US9224015B2 (en) Smart wallet
KR101797211B1 (ko) 지문인식 인감보안장치
US7404081B2 (en) Electronic storage apparatus,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authentication method
KR102377147B1 (ko) 지문 인증 가능 장치
EP1547002A1 (en) A method of secure transmission
US20150127951A1 (en) Multi-function identific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10174029A1 (en) Electromechanical lock
NZ571961A (en) A method for making a secure personal card and its working process
MX2013005206A (es) Dispositivos, sistemas y metodos de bloqueo de seguridad monitoreados electronicamente.
MD4012B2 (ro) Cartelă de identificare
CN109791714A (zh) 使用指纹传感器控制对物理空间的访问
KR20150102427A (ko) 차량용 지문인식 시스템
EP1471408A3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mory card
US20190180543A1 (en) Wireless Biometrics-Based Locking System
US11486173B2 (en) Fluidic elastomer actuator-based mechanical control systems for vehicle door handles
CN106663216B (zh) 具有传感器机构的证件
KR101613476B1 (ko)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WO2003079168A3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unauthorized operation of identification and financial document production equipment
US11428029B2 (en) Collet latch
JP2007070999A (ja) 携帯電話からqrコードを発行し鍵の開放と施錠を行うシステム。
KR200393181Y1 (ko) Rfid를 이용한 전자자물쇠
KR20190046031A (ko) 경보기능을 구비하며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지문인식 전자자물쇠 시스템 및 그 자물쇠시스템을 이용한 보안관리방법
CN210003074U (zh) 一种箱包电子锁
JP2007293396A (ja) 行動体操作管理システム,ゲートの入退出管理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