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476B1 -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476B1
KR101613476B1 KR1020150006924A KR20150006924A KR101613476B1 KR 101613476 B1 KR101613476 B1 KR 101613476B1 KR 1020150006924 A KR1020150006924 A KR 1020150006924A KR 20150006924 A KR20150006924 A KR 20150006924A KR 101613476 B1 KR101613476 B1 KR 101613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face
information
module
loc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희
Original Assignee
동강엠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강엠텍(주) filed Critical 동강엠텍(주)
Priority to KR1020150006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72Sign-, picture- or letter-based permut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설치된 도어폰과 도어락 장치에 얼굴 인식 기술과 저전력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적용하도록 간편하게 설치가능한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도어락 장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어폰과 제2 도어락 장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어락 간의 통신을 통하여 방문자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하는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이고, 상기 제1 도어락 장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방문자의 얼굴 또는 방문자가 소지하는 비접촉 IC 카드를 인식하며, 상기 인식 결과를 암호화하여 인식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인식 정보를 제2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제2 도어락 장치는 상기 인식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인식 정보를 복호화하여 개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개폐 정보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개폐하는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FACE RECOGNITION BASED AUTHENTICABLE DOOR-LOCK CONTROL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얼굴 인식 기술과 저전력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간편하게 설치가능한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까지 다양한 기술의 발전으로 비밀번호 버튼식 전자 도어락 및 지문 인식이나 얼굴 인식과 같은 바이오 인식 기술에 의한 사용자 인증 수준이 강화된 전자 도어락 등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것들은 스탠드 얼론 타입의 전자 도어락 일체형으로 제공되며 내장된 배터리를 사용하여 구동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중 특히 사용자 얼굴 인식을 활용하는 경우는 편리성이 한층 개선되지만 한편으로 얼굴 인식 모듈의 영상 처리와 인증 처리에 소요되는 전원 소비량이 다른 기기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고 따라서 배터리를 사용하는 스탠드 얼론 기기에서는 자주 배터리를 교체해주어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일체형으로 설치될 때 기존에 설치된 디지털 전자 도어락을 전부 교체해야 하는 비경제적, 비효율성을 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바이오 인식을 활용하는 경우, 비밀번호 버튼식에 비해 아직은 100%에 이르는 인식율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적인 RF카드나 기존 버튼식 인터페이스를 함께 제공해야 하는 현실이다. 보통 이러한 보조 RF-ID 카드나 RF 동글은 사용자가 지갑에 휴대하여 사용하는 것도 번거롭게 생각해서 거의 사용하지 않게 되며 분실 위험도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전자 도어락의 교체시에 현실적으로 아직 사용이 가능한 기존 전자 도어락을 폐기하는 것도 자원의 낭비일 수 있으며, 바이오 인식을 활용하는 경우에는 배터리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개선해야 하는 요구도 발생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47055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등록특허공보 제10-0809044호 '비접촉식 얼굴인증 도어락 시스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설치된 도어폰과 도어락 장치에 얼굴 인식 기술과 저전력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적용하도록 간편하게 설치가능한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은 제1 도어락 장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어폰과 제2 도어락 장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어락 간의 통신을 통하여 방문자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하는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이고, 상기 제1 도어락 장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방문자의 얼굴 또는 방문자가 소지하는 비접촉 IC 카드를 인식하며, 상기 인식 결과를 암호화하여 인식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인식 정보를 제2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제2 도어락 장치는 상기 인식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인식 정보를 복호화하여 개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개폐 정보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락 장치는 방문자에 대한 인증 모드가 선택되는 모드 선택 모듈;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방문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 모듈; 방문자의 비접촉 IC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인식 모듈; 사용자의 얼굴 정보와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상기 얼굴 인식 모듈 또는 카드 인식 모듈에 의한 인식 결과를 암호화하여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암호화 모듈; 상기 인식 정보를 상기 제2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는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1 도어락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어락 장치는 상기 제1 도어락 장치로부터 상기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 모듈; 상기 인식 정보가 정상 신호인 경우 상기 인식 정보를 복호화하여 개폐 정보를 생성하는 암호 처리 모듈; 상기 인식 정보가 비정상 신호인 경우 외부로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 모듈; 상기 개폐 정보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개폐하는 개폐 모듈; 및 상기 제2 도어락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도어락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랜덤 난수의 생성을 상기 제2 도어락 장치에 요청하는 랜덤 난수 생성 요청부; 상기 제2 도어락 장치로부터 수신된 랜덤 난수와 암호화 인증 토큰을 검증하는 암호화 인증 토큰 검증부; 상기 검증된 랜덤 난수와 제1 암호화 인증 토큰에 제1 도어락 장치의 인증 토큰을 부가한 개폐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개폐 제어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2 도어락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되, 상기 생성된 개폐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도어락 장치로부터 요청된 랜덤 난수를 생성하는 랜덤 난수 생성부; 상기 생성된 랜덤 난수에 대응되는 제2 도어락 장치의 고유 키와 채널 키로 인증 토큰을 형성한 다음, 상기 인증 토큰을 암호화한 암호화 인증 토큰을 생성하는 암호화 인증 토큰 생성부; 상기 제1 도어락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되, 상기 생성된 암호화 인증 토큰을 상기 제1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제1 도어락 장치로부터 수신된 개폐 제어 신호를 검증하는 제어 신호 검증부; 및 상기 검증된 개폐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제어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굴 인식 모듈은 상기 인식된 방문자의 얼굴 정보와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사용자의 얼굴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지 여부에 대한 인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얼굴 인식 모듈은 상기 촬영된 방문자의 얼굴을 추출하는 얼굴 추출부; 상기 추출된 방문자의 얼굴을 조명 또는 컬러 패턴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얼굴 보정부; 상기 보정된 방문자의 얼굴 정보와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사용자의 얼굴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얼굴 판단부; 및 상기 얼굴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방문자의 얼굴에 대한 인식 결과를 생성하는 결과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 인식 모듈은 상기 인식된 방문자의 비접촉 IC 카드 정보와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사용자의 카드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지 여부에 대한 인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락 장치와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도어락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3 통신부;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부;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을 얼굴 패턴 정보로 암호화하는 얼굴 암호화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암호화된 얼굴 패턴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여 등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도어락 장치에 제3 통신부를 통하여 접속한 후,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암호화된 얼굴 패턴 정보에 대한 등록 권한을 부여받는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도어락 장치에 탈착 가능하도록 후크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도어락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속 단자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은 카메라를 내장한 기존의 도어폰에 얼굴 인식 모듈과 개량된 무선 통신 모듈을 체결하고, 기존 전자 도어락에 개량된 통신 모듈과 도어락 개폐부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무선 통신 모듈 간의 제어 신호 송수신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안전한 상호 인증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별도의 기계적인 입력없이 얼굴 인식 또는 사용자의 IC 카드 등록 및 인증 방식을 사용하여 업그레이드가 용이하고,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도어락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잦은 배터리 교체없이 기존의 도어폰과 도어락 장치의 전원을 사용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줄이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의 제1 도어락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얼굴 인식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제1 통신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제2 도어락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제2 통신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서 방문자의 얼굴 인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서 방문자의 비접촉 IC 카드를 이용한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c는 도 4a 또는 4b의 과정을 통한 출입문의 개폐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에서의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 간의 안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사용자 단말과 제1 도어락 장치 간의 사용자 등록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는 도 1의 제1 도어락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얼굴 인식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제1 통신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a는 도 1의 제2 도어락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제2 통신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서 방문자의 얼굴 인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서 방문자의 비접촉 IC 카드를 이용한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c는 도 4a 또는 4b의 과정을 통한 출입문의 개폐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b는 도 5a에서의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 간의 안전한 통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은 제1 도어락 장치(10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어폰(10)과 제2 도어락 장치(20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도어락(20) 간의 통신을 통하여 방문자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제1 도어락 장치(100)는 일반적인 현관 도어폰 내부에 내장될 수 도 있으나, 거실 내부의 비디오폰 내부에 쉽게 함포되는 장치로서, 카메라(11)로부터 촬영된 방문자의 얼굴 또는 방문자가 소지하는 비접촉 IC 카드를 인식하며, 인식 결과를 암호화하여 인식 정보를 생성한 후 인식 정보를 제2 도어락 장치(200)에 전송한다.
이러한 제1 도어락 장치(100)는 기존에 일반적인 아파트 등에서 현관의 외벽에 위치한 방문자 초인종 및 방문자 영상 정보 수신용의 외벽 도어폰(10) 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폰(10) 내에 이미 내장된 카메라(11)와 이미 배선되어 있는 전원 인계선(미도시)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락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제1 통신 모듈(160)과 방문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 모듈을 탑재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어락 장치(10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로 사용자가 이미 휴대하고 있는 비접촉 IC 카드를 사전 등록만 해놓으면 병행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근거리 비접촉 IC카드 인증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제2 도어락 장치(200) 내부에 구비된 소형화된 특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손쉽게 출입문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도어락 장치(100)는 모드 선택 모듈(110), 얼굴 인식 모듈(120), 카드 인식 모듈(130), 저장 모듈(140), 암호화 모듈(150), 제1 통신 모듈(160) 및 제1 제어 모듈(17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얼굴 인식 모듈(120)과 카드 인식 모듈(130)은 현관 외벽의 도어폰(10) 내부의 전원선과 영상선 오디오선 단자를 현관 측면 내벽으로 인계받아 이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모드 선택 모듈(110)은 기존의 도어폰(10)에 설치된 푸쉬 버튼(미도시)을 활용하여 방문자에 대한 인증 모드가 선택되는 장치로서, 방문자의 조작에 의하여 방문자의 얼굴 인식 또는 비접촉 IC카드 인식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드 선택 모듈(110)은 방문자에 의하여 인증 모드, 즉 일반 인증 요청 패턴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제1 제어 모듈(170)에 전송하고, 제1 제어 모듈(170)을 통하여 카메라(1)를 통한 방문자의 촬영 영상을 기존 실내 비디오 폰 등에 그대로 바이패스 처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얼굴 인식 모듈(120)은 카메라(11)로부터 촬영된 방문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장치로서, 기존의 도어폰(10) 등에 구비된 카메라(11)를 통하여 촬영된 방문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이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굴 인식 모듈(120)은 카메라(11)로부터 촬영되어 인식된 방문자의 얼굴 정보와 저장 모듈(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얼굴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지 여부에 대한 인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얼굴 인식 모듈(120)의 동작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가 도어폰의 버튼을 누르거나 별도로 추가된 인증 버튼을 누르게 되면, 이러한 버튼 신호가 모드 선택 모듈에 의하여 일반 초인종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대로 거실 내부에 있는 비디오 폰에 차임벨 신호와 함께 영상 신호를 전달해주고, 또한 버튼 신호가 모드 선택 모듈(110)에 의하여 인증을 위한 스타트 신호일 경우에는 기존 도어폰 카메라 영상을 수신하여 얼굴 추출부(121)를 통하여 얼굴을 추출하고, 이를 다시 얼굴 보정부(122)에서 얼굴 인식 판독을 위한 조명 및 컬러 패턴을 보정한 후, 얼굴 판단부(123)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초기 버튼 신호가 사용자 등록 모드일 경우에는 마스터키 값을 인증한 후에 인가된 사용자 목록에 해당 얼굴 인식 패턴 정보를 기록하고, 방문자 인증 모드일 경우에는 얼굴 판단부(123)에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 저장 모듈(140)로부터 추출된 얼굴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결과 생성부(124)에서 출입문 개폐 여부에 대한 결과값을 생성한 후, 제1 통신 모듈(160)을 통하여 제2 도어락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얼굴 인식 모듈(12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굴 추출부(121), 얼굴 보정부(122), 얼굴 판단부(123) 및 결과 생성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얼굴 추출부(121)는 카메라(11)에 의하여 촬영된 방문자의 얼굴을 추출한다. 즉, 상기 얼굴 추출부(121)는 카메라(11)에 의하여 촬영된 방문자의 얼굴 패턴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얼굴 보정부(122)는 추출된 방문자의 얼굴을 조명 또는 컬러 패턴을 이용하여 보정한다. 즉, 상기 얼굴 보정부(122)는 얼굴 추출부(121)에 의하여 추출된 방문자의 얼굴 패턴에서 주변 환경, 즉 조명이나 주변의 컬러 패턴을 보정한다.
상기 얼굴 판단부(123)는 얼굴 보정부(122)에 의하여 보정된 방문자의 얼굴 정보와 저장 모듈(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얼굴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얼굴 판단부(123)는 보정된 방문자의 얼굴 패턴 정보와 기저장된 사용자의 얼굴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결과 생성부(124)는 얼굴 판단부(123)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방문자의 얼굴에 대한 인식 결과를 생성한다. 즉, 상기 결과 생성부(124)는 보정된 방문자의 얼굴 패턴 정보와 기저장된 사용자의 얼굴 패턴 정보의 일치 여부에 대한 결과 정보를 생성한 후, 암호화 모듈(150)로 전송한다.
상기 카드 인식 모듈(130)은 방문자의 비접촉 IC 카드를 인식하는 장치로서, 방문자의 비접촉 IC 카드 정보와 저장 모듈에 저장된 사용자의 카드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지 여부에 대한 인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카드 인식 모듈(130)은 방문자의 비접촉 IC 카드 정보와 저장 모듈에 저장된 사용자의 카드 정보의 일치 여부에 대한 결과 정보를 생성한 후, 암호화 모듈(150)로 전송한다.
상기 카드 인식 모듈(130)의 동작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모드 선택 모듈(110)에서 IC 카드 사용을 위한 동작 신호가 선택 또는 입력되는 경우에 이미 등록된 비접촉 IC카드가 비접촉 IC칩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감지되면, 저장 모듈(140)에 별도로 저장된 방문자 정보 DB를 참조하여 도어락 개폐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도어락 개폐를 위한 신호를 암호화 모듈(15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카드 인식 모듈(130)은 ISO 14443 표준에 기반한 Vcc Clk, Rst, I/O를 통해 ATR 수신 및 APDU 표준 데이터 판독을 통하여 인가 등록 스마트 카드의 고유 키 값을 생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인가자를 저장 모듈(140)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IC 카드는 범용 ISO/IEC 14443 표준과 버스 카드 대용 IC칩 동글(토큰) 타입의 휴대형 소형 디바이스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초기 마스터 키로서 상기의 다양한 비접촉 카드형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인증하는 방법이나 별도의 전용 주 사용자 인증 RF 카드를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 모듈(140)은 사용자의 얼굴 정보, 카드 정보, 출입 인가자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 모듈(150)은 얼굴 인식 모듈(120) 또는 카드 인식 모듈(130)에 의한 인식 결과를 암호화하여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암호화 모듈(150)은 얼굴 인식 모듈(120) 또는 카드 인식 모듈(130)에 의한 인식 결과를 제2 도어락 장치(200)로의 전송을 위하여 암호화 및 인코딩하여 인식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1 통신 모듈(160)은 인식 정보를 제2 도어락 장치(200)에 전송하는 장치로서, 근거리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1 통신 모듈(160)의 통신 방식을 지그비 방식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이나, 3G, 4G, 5G, WiBro 또는 LT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 모듈(160)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덤 난수 생성 요청부(161), 암호화 인증 토큰 검증부(162), 개폐 제어 신호 생성부(163) 및 제1 통신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랜덤 난수 생성 요청부(161)는 제2 도어락 장치(200)와의 통신을 위한 랜덤 난수의 생성을 제2 도어락 장치(200)에 요청한다.
상기 암호화 인증 토큰 검증부(162)는 랜덤 난수 생성 요청부(161)에 의하여 요청된 랜덤 난수를 암호화 인증 토큰을 제2 도어락 장치(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랜덤 난수와 암호화 인증 토큰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증한다.
상기 개폐 제어 신호 생성부(163)는 암호화 인증 토큰 검증부(162)에 의하여 검증된 랜덤 난수와 암호화 인증 토큰에 제1 도어락 장치(100)의 인증 토큰을 부가한 개폐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1 통신부(164)는 제2 도어락 장치(200)와의 전반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되, 개폐 제어 신호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개폐 제어 신호를 제2 도어락 장치(200)에 전송한다.
상기 제1 제어 모듈(170)은 제1 도어락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미리 설정된 도어락 개폐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카메라(11)로부터 촬영된 방문자의 얼굴 또는 방문자가 소지하는 비접촉 IC 카드를 인식하며, 인식 결과를 암호화하여 인식 정보를 생성한 후 인식 정보를 제2 도어락 장치(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어락 장치(200)는 제1 도어락 장치(100)로부터 출입문 개폐 신호를 수신하여 기존의 도어락(20)을 통한 출입문의 개폐 제어를 위한 장치로서, 기존의 전자 도어락(20)에 함포시켜 제1 도어락 장치(100)로부터 암호화된 출입문 개폐 신호를 안전하게 수신하여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도어락 장치(200)는 별도의 배터리를 설치할 필요없이 도어폰(10) 내부에서 인계되는 전원선을 인계받아 현관문의 측면 내벽이나 상단부 내벽에 전동으로 구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어락 장치(200)는 제1 도어락 장치(100)로부터 인식 정보를 수신하며, 해당 인식 정보를 복호화하여 개폐 정보를 생성하고, 그 개폐 정보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도어락 장치(200)는 제1 도어락 장치(100)와 같이 기존 전자 도어락(2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현관 외벽의 내부 전원선을 인계받아서 배터리없이 출입문 내부 측면이나 상단부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2 도어락 장치(20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락 장치(100)로부터 출입문 개폐에 대한 암호화 제어 신호를 정상 신호인지 여부를 판독하고, 인가되지 않은 비정상적인 신호일 경우에는 경고음 송출후 작동을 종료하고, 인가된 정상 신호인 경우에는 전자 도어락(20)을 개폐하게 된다. 이러한 제2 도어락 장치(200)는 기존의 전자 도어락(20)에 접합시켜 사용하는 경우에 기존 전자 도어락(20)의 개폐 처리 신호선을 그대로 활용하여 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도어락 장치(200)는 기존 전자 도어락(20)이 구비된 경우에 도어락(20) 안쪽면의 내부에 접합, 내장되고, 기존 전자 도어락(20)의 개폐 전기 신호선을 분기하여 전원을 공급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도어락 장치(20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전자 도어락(20)을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도어폰(10) 내벽으로부터 전원선을 인계받아 독립적인 별도 도어 개폐 제어 장치(201)를 간단히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도어락 장치(2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통신 모듈(210), 암호 처리 모듈(220), 경보음 출력 모듈(230), 개폐 모듈(240) 및 제2 제어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모듈(210)은 제1 도어락 장치(100)로부터 인식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도어락(20)의 개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근거리 지그비 통신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2 통신 모듈(210)의 통신 방식을 지그비 방식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이나, 3G, 4G, 5G, WiBro 또는 LT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통신 모듈(21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덤 난수 생성부(211), 암호화 인증 토큰 생성부(212), 제2 통신부(213), 제어 신호 검증부(214) 및 개폐 제어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랜덤 난수 생성부(211)는 제1 도어락 장치(100)의 랜덤 난수 생성 요청부(161)로부터 요청된 랜덤 난수를 생성한다.
상기 암호화 인증 토큰 생성부(212)는 랜덤 난수 생성부(211)에 의하여 생성된 랜덤 난수에 대응되는 제2 도어락 장치(200)의 고유 키와 채널 키로 인증 토큰을 형성한 다음, 인증 토큰을 암호화한 암호화 인증 토큰을 생성한다.
상기 제2 통신부(213)는 제1 도어락 장치(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되, 암호화 인증 토큰 생성부(212)에 의하여 생성된 암호화 인증 토큰을 제1 도어락 장치(100)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 신호 검증부(214)는 제1 도어락 장치(100)의 제1 통신 모듈(160)로부터 수신된 개폐 제어 신호를 검증한다.
상기 개폐 제어부(215)는 제어 신호 검증부(214)에 의하여 검증된 개폐 제어 신호를 제2 제어 모듈(250)로 전송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한다.
상기 암호 처리 모듈(220)은 제1 도어락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인식 정보가 정상 신호인 경우 인식 정보를 복호화하여 개폐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상기 경보음 출력 모듈(230)은 제1 도어락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인식 정보가 비정상 신호인 경우 외부로 경보음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경보음 출력 모듈(230)은 제1 도어락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인식 정보가 비정상 신호인 경우 이외에도, 별도로 인식 정보에 경보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도 외부로 경보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 모듈(240)은 암호화 처리 모듈(220)에 의하여 생성된 개폐 정보에 따라 제2 제어 모듈(2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출입문을 개폐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2 제어 모듈(250)은 제2 도어락 장치(2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미리 설정된 도어락 개폐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제1 도어락 장치(100)로부터 인식 정보를 수신하며, 해당 인식 정보를 복호화하여 개폐 정보를 생성하고, 그 개폐 정보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은 기존 도어폰(10)의 카메라(11)와, 제1 도어락 장치(100)의 얼굴 인식 모듈(120)과 제2 도어락 장치(200)의 출입문 개폐를 위한 제어 모듈(250)을 모두 이원화시켜 연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a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도어락 장치(100)의 제1 제어 모듈(170)에 결부되는 근거리 무선 지그비 장치인 제1 통신 모듈(즉, Zigbee_Host)(160)과, 전자 도어락(20) 쪽의 제2 도어락 장치(200)에 결부되는 근거리 무선 지그비 장치인 제2 통신 모듈(즉, Zigbee_Client)(210)로 이원화시켜 장치를 구성한다. 이때, 본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은 제1 통신 모듈(160) 및 제2 통신 모듈(210) 간에 타인이 해킹 수법(예를 들면, Middle in men Attack 등)에 강인한 보안 프로토콜로 상호 부호화된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안전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 모듈(160) 및 제2 통신 모듈(210) 사이에는 사전에 마스터 키(Master Key)와 장치 고유 키(Device Key) 그리고 채널 키(Channel-Key)가 셋업되어 있다는 전제 하에서 도 5b에서와 같이 매 제어 신호 통신 세션마다 상호 인증 프로세스를 따르게 된다. 우선, 상기 제1 통신 모듈(160)은 출입문 개폐 신호의 안전한 전송을 위하여 제2 도어락 장치(200)에서 랜덤 난스를 생성하도록 제2 통신 모듈(210)로 요청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런 다음, 제2 도어락 장치(200)는 랜덤 난수를 발생하고 이에 대하여 자신의 장치 고유 키(Device-Key) 및 채널 키(Channel Key)로 인증 토큰을 생성하여 함께 부호화된 답신 데이터로 제1 통신 모듈(160)에 답신하며, 제1 도어락 장치(100)는 인증 토큰 및 랜덤 난수를 검증하고, 다시 암호화된 제어 신호에 자신의 인증 토큰을 부가하여 최종 부호화된 제어 신호를 제2 도어락 장치(200)에 송신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도어락 장치(200)는 최종 제어 신호 수신 후 이를 송신자 검증 및 제어 신호 인증 토큰 검증 후에 출입문 개폐 여부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의 사용자 단말과 제1 도어락 장치(100) 간의 사용자 등록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의 제1 도어락 장치(100)와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300)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이하에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새로운 구성인 사용자 단말(300)의 구성을 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제1 도어락 장치(100)의 저장 모듈에 사용자의 인가자 리스트를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등록할 수 있는 휴대형 안면 정보 등록 장치(Handheld Face Enroll Device)로서, 제1 도어락 장치(100)와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출입 인가를 위한 사용자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300)은 기존 도어폰(10) 구성으로부터 출입문 안쪽 벽까지의 전원선 인계 과정이 어려운 환경에 대비하여 출입 인가를 위한 사용자 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즉, 제3 통신부(310))과 카메라 모듈(즉, 촬영부(320))을 구비하고, 등록권한 자의 사전 셋팅된 비밀 번호나 인증 ID카드로 제1 도어락 장치(100)에 인증 절차를 거치고 인증된 후에는,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얼굴 정보를 내장된 촬영부(320) 및 디스플레이부(350)를 활용하여 수신하고, 해당 영상 정보로부터 인가자 얼굴 패턴 정보로 부호화된 데이터를 안전한 보안 통신을 통해 제1 도어락 장치(100)로 전송 및 등록 시켜서 허가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제2 도어락 장치(200)에 탈착 가능하도록 후크 결합되고, 제2 도어락 장치(20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속 단자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제2 도어락 장치(200)의 기능이 사용자 단말(300)에 내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제3 통신부(310), 촬영부(320), 얼굴 인식부(330), 얼굴 암호화부(340), 정보 입력부(미도시) 및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상기 제3 통신부(310)는 제1 도어락 장치(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근거리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3 통신부(310)의 통신 방식을 지그비 방식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이나, 3G, 4G, 5G, WiBro 또는 LT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촬영부(320)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이다.
상기 얼굴 인식부(330)는 촬영부(320)에 의하여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을 미리 저장된 얼굴 인식 프로그램에 의하여 인식한다.
상기 얼굴 암호화부(340)는 얼굴 인식부(330)에 의하여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을 얼굴 패턴 정보로 암호화한다.
상기 정보 입력부는 제1 도어락 장치(100)에 제3 통신부(310)를 통하여 접속한 후, 사용자 정보(예를 들면, 성명, 비밀 번호나 인증 ID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입력하고, 얼굴 암호화(340)부에 의하여 암호화된 얼굴 패턴 정보에 대한 등록 권한을 부여받는다. 이러한 정보 입력부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는 디스플레이부(35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60)는 사용자의 안면 등록을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해당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되, 얼굴 암호화부(340)에 의하여 암호화된 얼굴 패턴 정보를 제3 통신부(310)를 통하여 제1 도어락 장치(100)에 전송하여 등록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카메라를 내장한 기존의 도어폰에 얼굴 인식 모듈과 개량된 무선 통신 모듈을 체결하고, 기존 전자 도어락에 개량된 통신 모듈과 도어락 개폐부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무선 통신 모듈 간의 제어 신호 송수신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안전한 상호 인증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기계적인 입력없이 얼굴 인식 또는 사용자의 IC 카드 등록 및 인증 방식을 사용하여 업그레이드가 용이하고,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도어락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잦은 배터리 교체없이 기존의 도어폰과 도어락 장치의 전원을 사용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줄이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도어폰 11: 카메라
20: 도어락 100: 제1 도어락 장치
110: 모드 선택 모듈 120: 얼굴 인식 모듈
121: 얼굴 추출부 122: 얼굴 보정부
123: 얼굴 판단부 124: 결과 생성부
130: 카드 인식 모듈 140: 저장 모듈
150: 암호화 모듈 160: 제1 통신 모듈
161: 랜덤 난수 요청부 162: 암호화 인증 토큰 검증부
163: 개폐 제어 신호 생성부 164: 제1 통신부
170: 제1 제어 모듈 200: 제2 도어락 장치
210: 제2 통신 모듈 211: 랜덤 난수 생성부
212: 암호화 인증 토큰 생성부 213: 제2 통신부
214: 제어 신호 검증부 215: 개폐 제어부
220: 암호 처리 모듈 230: 경보음 출력 모듈
240: 개폐 모듈 250: 제2 제어 모듈
251: 전용/독립 제어모듈 300: 사용자 단말
310: 제3 통신부 320: 촬영부
330: 얼굴 인식부 340: 얼굴 암호화부
350: 디스플레이부 360: 제어부

Claims (11)

  1. 제1 도어락 장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어폰과 제2 도어락 장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어락 간의 통신을 통하여 방문자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하는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이고,
    상기 제1 도어락 장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방문자의 얼굴 또는 방문자가 소지하는 비접촉 IC 카드를 인식하며, 상기 인식 결과를 암호화하여 인식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인식 정보를 제2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제2 도어락 장치는 상기 인식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인식 정보를 복호화하여 개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개폐 정보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개폐하며,
    상기 제1 도어락 장치와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도어락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3 통신부;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부;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을 얼굴 패턴 정보로 암호화하는 얼굴 암호화부;
    상기 제1 도어락 장치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암호화된 얼굴 패턴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여 등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락 장치는
    방문자에 대한 인증 모드가 선택되는 모드 선택 모듈;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방문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 모듈;
    방문자의 비접촉 IC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인식 모듈;
    사용자의 얼굴 정보와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상기 얼굴 인식 모듈 또는 카드 인식 모듈에 의한 인식 결과를 암호화하여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암호화 모듈;
    상기 인식 정보를 상기 제2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는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1 도어락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락 장치는
    상기 제1 도어락 장치로부터 상기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 모듈;
    상기 인식 정보가 정상 신호인 경우 상기 인식 정보를 복호화하여 개폐 정보를 생성하는 암호 처리 모듈;
    상기 인식 정보가 비정상 신호인 경우 외부로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 모듈;
    상기 개폐 정보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개폐하는 개폐 모듈; 및
    상기 제2 도어락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도어락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랜덤 난수의 생성을 상기 제2 도어락 장치에 요청하는 랜덤 난수 생성 요청부;
    상기 제2 도어락 장치로부터 수신된 랜덤 난수와 암호화 인증 토큰을 검증하는 암호화 인증 토큰 검증부;
    상기 검증된 랜덤 난수와 제1 암호화 인증 토큰에 제1 도어락 장치의 인증 토큰을 부가한 개폐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개폐 제어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2 도어락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되, 상기 생성된 개폐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도어락 장치로부터 요청된 랜덤 난수를 생성하는 랜덤 난수 생성부;
    상기 생성된 랜덤 난수에 대응되는 제2 도어락 장치의 고유 키와 채널 키로 인증 토큰을 형성한 다음, 상기 인증 토큰을 암호화한 암호화 인증 토큰을 생성하는 암호화 인증 토큰 생성부;
    상기 제1 도어락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되, 상기 생성된 암호화 인증 토큰을 상기 제1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제1 도어락 장치로부터 수신된 개폐 제어 신호를 검증하는 제어 신호 검증부; 및
    상기 검증된 개폐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제어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얼굴 인식 모듈은 상기 인식된 방문자의 얼굴 정보와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사용자의 얼굴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지 여부에 대한 인식 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얼굴 인식 모듈은
    상기 촬영된 방문자의 얼굴을 추출하는 얼굴 추출부;
    상기 추출된 방문자의 얼굴을 조명 또는 컬러 패턴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얼굴 보정부;
    상기 보정된 방문자의 얼굴 정보와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사용자의 얼굴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얼굴 판단부; 및
    상기 얼굴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방문자의 얼굴에 대한 인식 결과를 생성하는 결과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인식 모듈은 상기 인식된 방문자의 비접촉 IC 카드 정보와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사용자의 카드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지 여부에 대한 인식 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도어락 장치에 제3 통신부를 통하여 접속한 후,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암호화된 얼굴 패턴 정보에 대한 등록 권한을 부여받는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도어락 장치에 탈착 가능하도록 후크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도어락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속 단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KR1020150006924A 2015-01-14 2015-01-14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KR101613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924A KR101613476B1 (ko) 2015-01-14 2015-01-14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924A KR101613476B1 (ko) 2015-01-14 2015-01-14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476B1 true KR101613476B1 (ko) 2016-04-19

Family

ID=55917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924A KR101613476B1 (ko) 2015-01-14 2015-01-14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4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7381A (zh) * 2020-09-07 2020-12-04 广州李博士科技研究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人脸识别用智能锁
KR20220058297A (ko)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대림 인공지능 영상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주택단지 통합 보안시스템
CN114495343A (zh) * 2021-12-31 2022-05-13 深圳亿达天下科技有限公司 门禁控制管理系统及门禁控制管理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7381A (zh) * 2020-09-07 2020-12-04 广州李博士科技研究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人脸识别用智能锁
CN112037381B (zh) * 2020-09-07 2021-05-07 广州李博士科技研究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人脸识别用智能锁
KR20220058297A (ko)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대림 인공지능 영상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주택단지 통합 보안시스템
CN114495343A (zh) * 2021-12-31 2022-05-13 深圳亿达天下科技有限公司 门禁控制管理系统及门禁控制管理方法
CN114495343B (zh) * 2021-12-31 2024-02-13 深圳亿达天下科技有限公司 门禁安全控制管理系统及门禁安全控制管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8473B2 (en) Creation and authentication of biometric information
US8307207B2 (en) Biometric key
EP3037998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cure and standalone-operable biometric authentication
JP6430540B2 (ja) 生体認証に基づく携帯型本人確認装置
KR101668958B1 (ko) 휴대용 스마트 단말기 및 안면인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
WO20161289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ly managing biometric data
JP2011002994A (ja) Usb型トークン
US9111084B2 (en) Authentication platform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US8339240B2 (en) Semiconductor element,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and mobile terminal
KR101613476B1 (ko)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KR20110096576A (ko) 액세스 식별 및 제어 장치
KR101500947B1 (ko) 생체 정보 생성 및 인증
CN107070663B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现场认证方法和现场认证系统
TW201329873A (zh) 二維條碼產生方法、身分驗證方法及門禁系統
KR101688633B1 (ko) 인증 번호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개폐 처리 방법
KR20130126357A (ko) 도어락 시스템
KR101611522B1 (ko) 생체 정보의 재사용을 방지하는 개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20230376721A1 (en) Touchless identity card emulator systems and methods
KR102289145B1 (ko) 디지털 식별자 위변조 방지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101693271B1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지정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106339A (ko) 생체 코드 저장 매체를 이용한 생체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85094B1 (ko) 바이오 인증서가 내장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바이오 인증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462547B1 (ko) 생체 정보의 재사용을 방지하는 개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TW201947454A (zh) 生物特徵量測資料之安全登記
KR20150032684A (ko) 아이씨칩을 이용한 서비스 별 다중 생체정보 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