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209B1 -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209B1
KR101797209B1 KR1020160015136A KR20160015136A KR101797209B1 KR 101797209 B1 KR101797209 B1 KR 101797209B1 KR 1020160015136 A KR1020160015136 A KR 1020160015136A KR 20160015136 A KR20160015136 A KR 20160015136A KR 101797209 B1 KR101797209 B1 KR 101797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pet
air
cushion cover
ca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3565A (ko
Inventor
송단비
Original Assignee
송단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단비 filed Critical 송단비
Priority to KR1020160015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20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3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01K1/0353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서 애완동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앉거나 엎드리는 용도 외에 유희 기능을 부여하여 애완동물에게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은,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에 있어서,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방석커버; 상기 방석커버의 내부에 수용되는 쿠션층; 상기 방석커버의 상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털이 구비된 안착패드; 및 상기 방석커버 또는 상기 안착패드에 설치되는 안전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에 의하면, 알갱이 형태의 쿠션층이 내장되어 있어 애완동물의 형태나 자중에 따라 변형되면서 감싸는 형태로 보호하게 되므로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고,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을 안전하게 결속할 수 있어서 주행 중 애완동물의 방해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급제동이나 급출발시에도 애완동물이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애완동물이 입을 수 있는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에 의하면,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 제1 공기주입체에 의해 애완동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에어백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여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제2 공기주입체의 출몰 작용으로 애완동물에게 유희기능이 부여되어 운전자의 운전을 방해하는 행동을 줄일 수 있어서 보다 안전한 주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CAR SEAT CUSHION FOR FE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서 애완동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앉거나 엎드리는 용도 외에 유희 기능을 부여하여 애완동물에게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의 고령화 및 핵가족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독신 가정의 증가로 강아지나 고양이 등과 같은 애완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애완동물은 먹이를 먹거나 쉴 경우 바닥에 앉거나 엎드리지 않고 주로 방석에 앉거나 엎드리므로 별도의 방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애완동물용 방석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14936호로 개시된 '애완동물용 방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129490호로 개시된 '확장과 변형이 가능한 애완동물용 방석',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17614호로 개시된 '애완동물용 항균방석' 등 다양한 제품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14936호로 개시된 애완동물용 방석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용 방석(10)은 애완동물이 앉았을 때 안락함을 주는 솜 부재(12)가 채워진 섬유(14)로 이루어지고, 이 섬유(14)에는 솜 부재(12)를 넣거나 빼내기 위해 지퍼(10A)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섬유(14)는 섬유부분(11)에, 항균성이 우수하며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효과가 뛰어나고 탈취효과가 있는 기능성 세라믹(2)이 도포되어 있는 구성이다.
전술한 종래 애완동물 방석은 애완동물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애완동물 방석은 실내에서 사용시 특별한 문제점이 없지만 자동차에서 사용할 경우 급제동이나 급출발시에 애완동물이 쉽게 이탈될 수 있어서 안전사고가 유발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애완동물 방석은 방석의 표면에 단순히 애완동물이 올려지는 형태이므로 쉽게 미끄러지는 등 안착감이 결여되고 포근함을 제공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종래 애완동물 방석은 앉거나 엎드리는 용도 외에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애완동물이 쉽게 실증을 느껴 장시간 사용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애완동물이 운전자의 신체 부위나 주변 등을 배회하면서 안전운행을 방해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14936호 '애완동물용 방석'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129490호 '확장과 변형이 가능한 애완동물용 방석' 한국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17614호 '애완동물용 항균방석'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 내부에서 애완동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앉거나 엎드리는 용도 외에 유희 기능을 부여하여 애완동물에게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은,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에 있어서,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방석커버; 상기 방석커버의 내부에 수용되는 쿠션층; 상기 방석커버의 상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털이 구비된 안착패드; 및 상기 방석커버 또는 상기 안착패드에 설치되는 안전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은,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에 있어서,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방석커버; 상기 방석커버의 내부에 수용되는 쿠션층; 상기 방석커버의 상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털이 구비된 안착패드; 상기 방석커버 또는 상기 안착패드에 설치되는 안전벨트; 및 상기 방석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주입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주입체는 상기 방석커버의 내부 가장자리 부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공기주입밸브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주입체는 상기 방석커버의 내부 가장자리 부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제1 공기주입체, 및 상기 제1 공기주입체로 둘러싸인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수축 및 팽창되는 제2 공기주입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공기주입체는 내부 공기주입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단일의 공기주입밸브로 공기의 주입 및 배기가 이루어지는 일체형 구조, 또는 독립적으로 배치된 각각의 공기주입밸브를 통해 공기의 주입 및 배기가 이루어지는 독립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쿠션층은 다수의 알갱이로 형성되고, 상기 쿠션층의 하부에 해당되는 상기 방석커버의 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안착패드는 다수의 털로 구성되는 털층과, 통기성이 부여되도록 상기 털층의 하부에 부착되는 매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은 상기 방석커버, 상기 안착패드, 및 상기 안전벨트 중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에 일측이 결속되고 타측이 차량에 구비된 차량용안전벨트에 결속되는 연결벨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에 의하면, 알갱이 형태의 쿠션층이 내장되어 있어 애완동물의 형태나 자중에 따라 변형되면서 감싸는 형태로 보호하게 되므로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고,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을 안전하게 결속할 수 있어서 주행 중 애완동물의 방해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급제동이나 급출발시에도 애완동물이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애완동물이 입을 수 있는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에 의하면,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 제1 공기주입체에 의해 애완동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에어백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여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제2 공기주입체의 출몰 작용으로 애완동물에게 유희기능이 부여되어 운전자의 운전을 방해하는 행동을 줄일 수 있어서 보다 안전한 주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 애완동물용 방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의 단면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의 시제품을 나타낸 사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의 단면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의 변형예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의 단면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의 시제품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은 방석커버(1), 쿠션층(2), 안착패드(3), 베이스층(4), 및 안전벨트(5)가 구비되어 있다.
방석커버(1)는 쿠션층(2) 및 베이스층(4)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면상체로서, 통기성을 갖는 직물지를 이용하여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박음질하여 구성한다.
쿠션층(2)은 방석커버(1)의 내부에 형성되어 쿠션작용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애완동물의 형태나 자중에 따라 변형되면서 포근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수의 알갱이(21)가 투입되어 일정 두께로 형성된다. 이때, 알갱이(21)는 황토를 소성하여 형성한 황토알갱이 등을 투입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보온성과 완충성을 갖도록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한 합성수지 폼 알갱이로 형성되어 있다.
안착패드(3)는 방석커버(1)의 상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털이 구비된 구성요소로서, 다수의 털로 구성되는 털층(31)과, 통기성이 부여되도록 털층(31)의 하부에 부착되고 통풍구가 형성되도록 격자형으로 형성된 매쉬부재(3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털층(31)은 밍크털과 같은 천연털이나 섬유사를 이용하여 제작한 기모털과 같은 인조털이 구비된 패드 형태로 형성된다.
베이스층(4)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에서 골격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쿠션층(2)의 하부에 해당되는 방석커버(1)의 저면에 배치되는 면상체로 구성된다. 이때 면상체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판형으로 발포 성형한 발포패드로 구성되어 있다.
안전벨트(5)는 애완동물을 결속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구성요소로서, 방석커버(1)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벨트(51)와, 이 벨트(51)의 일측에 결속되는 수결속구와, 이 수결속구에 체결되는 암결속구로 구성된 버클(52)로 구성된다. 그리고, 안전벨트(5)의 벨트(51)는 방석커버(1) 외에 안착패드(3)에 결속하는 방식으로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안전벨트(5)는 애완동물을 안정적으로 결속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2쌍의 안전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은 차량에 구비된 차량용안전벨트(미도시)에 접속되는 연결벨트(미도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연결벨트(미도시)는 방석커버(1), 안착패드(3), 안전벨트(5) 중에서 적어도 한 곳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차량용안전벨트의 허리벨트나 어께벨트에 결속되는 띠 형상의 부재라면 형태나 구조에 특별한 제한없이 구성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은 베이스층(4)의 상면에 전원의 인가시에 열기를 방출하도록 설치되는 가온모듈(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가온모듈은 안착패드(3)의 저면에 발열선(미도시)을 설치하거나 열전모듈(미도시)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가온모듈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의 시거 잭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결케이블(미도시)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은 송풍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송풍수단(미도시)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수단(미도시)은 베이스층(4)에 설치홀(미도시)을 천공하고, 이 설치홀에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송풍팬은 정방향 회전시에 하측의 공기를 상방으로 분출하고, 역방향 회전시에 상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방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애완동물이 쾌적하게 머무를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방석커버(1)를 제작하고, 이 방석커버(1)의 내부 바닥에 발포 패드를 삽입하여 베이스층(4)을 형성하는 한편 다수의 알갱이(21)를 투입하여 일정 두께의 쿠션층(2)를 형성한 다음 방석커버(1)를 봉제하여 밀봉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방석커버(1)의 상부에 안착패드(3)를 봉제하여 결합하고 안전벨트(5)를 결속하게 되면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의 제작이 완료된다.
전술한 바와 조립된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을 차량의 시트 표면에 설치하고 애완동물을 올려놓게 되면 자중에 의해 쿠션층(2)을 구성하는 알갱이(21)들이 주변으로 밀려 이동되므로 애완동물을 감싸는 형태로 보호할 수 있다.
이후, 안전벨트(5)의 벨트(51)를 애완동물의 신체 전후에 감고 버클(52)를 결속하게 되면 안전하게 애완동물이 고정되므로 운전자는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고 애완동물의 운전방해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안전벨트(5)에 연결벨트(미도시)를 연결하여 차량용안전벨트(미도시)의 허리벨트나 어께벨트에 결속하게 되면 주행 중 급제동이나 급출발시에도 애완동물이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애완동물이 입을 수 있는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서로 간에 채용 가능한 구조라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상 도시는 생략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의 단면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은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는 방석커버(1), 방석커버(1)의 내부에 수용되는 알갱이에 의해 형성되는 쿠션층(2), 방석커버(1)의 상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털이 구비된 안착패드(3), 방석커버(1) 또는 안착패드(3)에 설치되는 안전벨트(5)를 구비하는 한편, 방석커버(1)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주입체(6)가 더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주입체(6)는 방석커버(1)의 내부 가장자리 부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공기주입밸브(61)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수축 및 팽창동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구조라면 형태나 구조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효과적인 수축 및 팽창 동작이 가능하도록 합성수지시트에 의해 주름부를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주입체(6)는 팽창시에 상방 돌출되어 애완동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측벽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공기주입밸브(61)는 공기주입체(6)에 접속되는 에어라인(62)의 단부에 설치되고 공기주입홀이 형성된 주입구몸체(미도시)와, 이 주입구몸체의 공기주입홀 부분을 밀폐하는 마개로 구성된 공지된 제품 중에서 선택하여 구성한다. 공기주입밸브(61)는 대표적으로 주입된 공기가 쉽게 빠지지 않고 주입구몸체를 눌러 변형시키게 되면 내부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방석커버(1)는 공기주입체(6)의 팽창시에 쉽게 늘어날 수 있도록 스판사 등으로 호칭되는 고분자신축사가 포함된 직물지로 형성되고, 안착패드(3) 또한 공기주입체(6)의 팽창시에 변형 가능하도록 여유장을 가지고 있어 가요성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의 변형예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은 수용공간부가 마련된 방석커버(1), 방석커버(1)의 내부에 수용되는 쿠션층(2), 방석커버(1)의 상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털이 구비된 안착패드(3), 방석커버(1) 또는 안착패드(3)에 설치되는 안전벨트(5), 및 방석커버(1)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주입체(6)를 구비하되, 상기 공기주입체(6)는 방석커버(1)의 내부 가장자리 부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제1 공기주입체(6a)와, 방석커버(1)의 대략 중앙 부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제2 공기주입체(6b)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공기주입체(6a)는 전술한 도5에 도시된 공기주입체와 마찬가지로 방석커버(1)의 내부 가장자리 부위에 위치하도록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공기주입체(6b)는 제1 공기주입체(6a)에 둘러싸인 베이스층(4)의 상면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에어라인(6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공기주입체(6b)는 복수의 주름부를 갖는 벨로우즈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층(4)에 부착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를 어느 정도 주입하고 공기주입밸브(61)를 밀폐한 상태에서 일측 제2 공기주입체(6b)에 가압력을 인가하여 누르게 되면 공기가 에어라인(62)를 경우 이동되면서 타측 제2 공기주입체(6b)가 상방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공기주입체(6a,6b)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기주입공간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공기의 주입경로인 공기주입밸브가 각각의 공기주입체에 배치된 독립형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공기주입체(6a,6b)는 도7에 도시된 방식 외에도 제1 및 제2 공기주입체(6a,6b)의 내부 공기주입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공기주입밸브로도 공기의 주입 및 배기가 가능한 일체형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과 마찬가지로 애완동물을 올려놓고 안전벨트(5)를 이용하여 결속하게 되면 안전하게 고정되므로 운전자는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는데. 이때 공기주입밸브(61)에 수동식 공기주입펌프(미도시)를 접속하여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공기주입체(6)가 사각틀 형태로 상방으로 돌출되므로 애완동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측벽의 기능과 함께 추돌시 충격력을 흡수하는 에어백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보다 안전하게 애완동물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에 따르면,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 제1 공기주입체(6a)에 의해 애완동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제2 공기주입체(6b)의 출몰 작용으로 애완동물에게 유희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서 애완동물이 운전자에게 운전방해를 유발하지 않으므로 보다 안전한 주행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벨로우즈 형상으로 형성된 두 개의 제2 공기주입체(6b)가 배치되어 있어서 애완동물이 일측 제2 공기주입체(6b)에 가압력을 인가하여 누르게 되면 공기가 에어라인(62)를 경우 이동되면서 타측 제2 공기주입체(6b)가 상방 돌출되고, 반대로 타측 제2 공기주입체(6b)를 누르게 되면 일측 제2 공기주입체(6a)가 상방 돌출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애완동물 스스로 놀이하면서 시간을 보내게 되므로 운전자의 운전을 방해하는 행동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방석커버 2:쿠션층
21:알갱이 3:안착패드
31:털층 32:매쉬부재
4:베이스층 5:안전벨트
51:벨트 52:버클
6:공기주입체 6a:제1 공기주입체
6b:제2 공기주입체 61:공기주입밸브
62:에어라인

Claims (6)

  1. 삭제
  2.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에 있어서,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방석커버; 상기 방석커버의 내부에 수용되는 쿠션층; 상기 방석커버의 상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털이 구비된 안착패드; 상기 방석커버 또는 상기 안착패드에 설치되는 안전벨트; 및 상기 방석커버의 내부 가장자리 부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공기주입밸브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된 공기주입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체는 상기 방석커버의 내부 가장자리 부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제1 공기주입체, 및 상기 제1 공기주입체로 둘러싸인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에어라인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수축 및 팽창되는 복수의 제2 공기주입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공기주입체는 내부 공기주입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단일의 공기주입밸브로 공기의 주입 및 배기가 이루어지는 일체형 구조, 또는 독립적으로 배치된 각각의 공기주입밸브를 통해 공기의 주입 및 배기가 이루어지는 독립형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은 다수의 알갱이로 형성되고,
    상기 쿠션층의 하부에 해당되는 상기 방석커버의 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안착패드는 다수의 털로 구성되는 털층과, 통기성이 부여되도록 상기 털층의 하부에 부착되는 매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석커버, 상기 안착패드, 및 상기 안전벨트 중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에 일측이 결속되고 타측이 차량에 구비된 차량용안전벨트에 결속되는 연결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
KR1020160015136A 2016-02-05 2016-02-05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 KR101797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136A KR101797209B1 (ko) 2016-02-05 2016-02-05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136A KR101797209B1 (ko) 2016-02-05 2016-02-05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565A KR20170093565A (ko) 2017-08-16
KR101797209B1 true KR101797209B1 (ko) 2017-11-13

Family

ID=5975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136A KR101797209B1 (ko) 2016-02-05 2016-02-05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2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282A (ko) * 2018-02-12 2019-08-22 주식회사 유로 반려동물 냉온매트
KR20240003453A (ko) 2022-07-01 2024-01-09 고일곤 애완동물용 심장박동 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42Y1 (ko) 2017-09-12 2019-07-04 미라클통상 주식회사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
KR102206064B1 (ko) * 2019-10-23 2021-01-21 이정호 애완 동물용 통풍매트
KR102136044B1 (ko) * 2020-01-14 2020-07-20 이정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
KR102448914B1 (ko) * 2020-01-23 2022-10-07 최광휘 크기가 가변되는 반려동물용 방석
US20220401204A1 (en) * 2021-06-21 2022-12-22 Mikhael Vitenson Inflatable animal support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501Y1 (ko) * 2002-02-07 2002-05-11 서남숙 애완동물 깔끔이매트
KR200306617Y1 (ko) * 2002-12-23 2003-03-12 윤복현 애완동물용 매트
KR200319921Y1 (ko) 2003-04-08 2003-07-16 김한국 다용도 쿠션
KR101344237B1 (ko) * 2012-10-24 2013-12-23 강지향 이탈방지밸트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차량안전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501Y1 (ko) * 2002-02-07 2002-05-11 서남숙 애완동물 깔끔이매트
KR200306617Y1 (ko) * 2002-12-23 2003-03-12 윤복현 애완동물용 매트
KR200319921Y1 (ko) 2003-04-08 2003-07-16 김한국 다용도 쿠션
KR101344237B1 (ko) * 2012-10-24 2013-12-23 강지향 이탈방지밸트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차량안전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282A (ko) * 2018-02-12 2019-08-22 주식회사 유로 반려동물 냉온매트
KR102068266B1 (ko) * 2018-02-12 2020-01-21 주식회사 유로 반려동물 냉온매트
KR20240003453A (ko) 2022-07-01 2024-01-09 고일곤 애완동물용 심장박동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565A (ko)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209B1 (ko)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
KR102136044B1 (ko)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
US10118510B2 (en) Impact protection for child car seat
US20210076833A1 (en) Mattress topper
EP2414190B1 (en) Booster cushion for use with a vehicle seat
US11375685B1 (en) Pressure activated recharging cooling platform
US7717062B2 (en) Pet seat arrangement
US8276986B2 (en) Seat pad that promotes cooling and ventilation
KR200489542Y1 (ko)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
JP2016530164A (ja) 6点拘束方式の改善された補助拘束システム
US20180056824A1 (en) Infant carrier
KR101691523B1 (ko) 메모리폼 매트리스
US7574975B2 (en) Pet seat arrangement
KR101369191B1 (ko) 속감재의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101471178B1 (ko) 유아용 차량 안전벨트
KR100930289B1 (ko) 유아 침구
US9950654B1 (en) Method of making a headrest and headrest construction
US11778979B2 (en) Travel pet bed
KR102044542B1 (ko) 애완동물용 카시트
KR200455081Y1 (ko) 아기용 놀이 매트
JP2006180793A (ja) 愛玩動物用ベッド
JP2007029165A (ja) マッサージユニット及び該マッサージユニットを具えるマッサージ機
JP3213646U (ja) ミニクッション
JP3117377U (ja) ペット用ベッド
KR200310530Y1 (ko) 쿠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