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191B1 - 속감재의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 Google Patents

속감재의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191B1
KR101369191B1 KR1020120041490A KR20120041490A KR101369191B1 KR 101369191 B1 KR101369191 B1 KR 101369191B1 KR 1020120041490 A KR1020120041490 A KR 1020120041490A KR 20120041490 A KR20120041490 A KR 20120041490A KR 101369191 B1 KR101369191 B1 KR 101369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fabric
urethane foam
outer fabric
thermoelectr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8541A (ko
Inventor
전영환
Original Assignee
전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환 filed Critical 전영환
Priority to KR1020120041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191B1/ko
Publication of KR20130118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6Humidity
    • A47G2200/066Humidity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 A47G2200/166Temperature sens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겉감용 직물의 내측을 가로방향으로 칸막이를 형성하고, 상기 칸막이를 통해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구분한후 상부층에는 속감용 직물을 삽입하고 하부층에는 우레탄폼을 장착시키도록 함으로서 속감용 직물만을 별도로 세탁할 수 있어 베개의 오염상태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감재의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
상부 공간부와, 하부 공간부 및, 칸막이로 이루어지며 외곽에는 분리 및 폐쇄수단으로서 지퍼가 장착되는 겉감용 직물과; 상기 겉감용 직물의 상부 공간부에 삽입 설치하되, 속감용 커버체가 구비되고, 상기 속감용 커버체의 내부에 세라믹을 함유한 합성수지 입자, 발포수지 입자, 닭이나 오리 또는 양 등의 동물털이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상부층 속감재와; 상기 겉감용 직물의 하부 공간부에 삽입 설치하되, 속감용 커버체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 우레탄폼 또는 메모리 우레탄폼이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하부층 속감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베개의 겉감용 직물을 2개의 공간부를 갖도록 칸막이를 통해 분리하고, 상부층은 부드러운 직물이나 동물털과 같은 속감재로 제작하고 하부층은 우레탄폼 또는 메모리 우레탄으로 제작하여 상부층의 속감재만을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속감재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속감재의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A Functional Pillow}
본 발명은 속감재의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겉감용 직물의 내측을 가로방향으로 칸막이를 형성하고, 상기 칸막이를 통해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구분한후 상부층에는 속감용 직물을 삽입하고 하부층에는 우레탄폼을 장착시키도록 함으로서 속감용 직물만을 별도로 세탁할 수 있어 베개의 오염상태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감재의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머리부분을 적당한 높이로 받쳐주면서 적당한 쿠션닝을 제공함에 따라 잠자리를 편안하게 유도하는 침구류의 하나로써,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당한 크기의 베개속(10)과, 상기 베개속에 내장되는 충전물(도시생략)과, 상기 베개속의 외부에 씌워지는 베개커버(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베개속에 내장하는 충전물로는, 예전에는 메밀껍데기 또는 왕겨와 같은 곡물 껍데기를 주로 많이 사용하였고 최근에는 약초를 건조시킨 것이나 세라믹을 함유한 합성수지 입자, 발포수지 입자, 닭이나 오리 또는 양 등의 동물털과 폴리에스테르 및 라텍스 계열의 합성고무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베개속(10)은 내장된 충전물이 세탁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베개속은 세탁하지 못하고 베개커버만(20)을 세탁함에 따라, 베개의 전체적인 위생상태가 양호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베개는 각종 세균이나 진드기 등의 번식을 유발하게 되고, 각종 피부염이나 알레르기를 발생되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세탁이 가능한 충전물이 베개속(10)에 내장되더라 상기 충전물은 베개속에서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없이 촘촘한 상태로 베개속에 내장됨에 따라, 세탁시 충전물의 사이사이에 세탁수가 유입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충전물은 물론 베개속도 깨끗하게 세탁할 수 없게 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여전히 있었다.
특히, 베개속(10)이 하나의 직물로 이루어진 경우 겉감만을 세탁할 수 밖에 없어서 오염을 제거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베개의 겉감용 직물을 2개의 공간부를 갖도록 칸막이를 통해 분리하고, 상부층은 부드러운 직물이나 동물털과 같은 속감재로 제작하고 하부층은 우레탄폼 또는 메모리 우레탄으로 제작하여 상부층의 속감재만을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속감재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겉감용 직물과 속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베개에 있어서, 상부 공간부와, 하부 공간부 및, 칸막이로 이루어지며 외곽에는 몸체를 분리 및 폐쇄수단으로서 지퍼가 장착되는 겉감용 직물(100)과; 상기 겉감용 직물의 상부 공간부에 삽입 설치하되, 속감용 커버체가 구비되고, 상기 속감용 커버체의 내부에 세라믹을 함유한 합성수지 입자, 발포수지 입자, 닭이나 오리 또는 양 등의 동물털이 삽입된 충전물로 이루어지는 상부층 속감재(200)와; 상기 겉감용 직물의 하부 공간부에 삽입 설치하되, 속감용 커버체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 우레탄폼 또는 메모리 우레탄폼이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하부층 속감재(300)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우레탄폼(310)은, 상기 우레탄폼 몸체에 삽입되며, 자체 회전에 의해서 통풍호스(311a)를 통해 바람을 상부방향으로 전달하는 통풍팬(311)과; 상기 베개에서 발생하는 습도를 센싱하여 사용자가 땀을 많이 흘릴 경우 통풍팬이 작동하도록 데이터를 수집하기위한 습도감지 센서(312)와; 상기 베개에서 발생하는 온도를 센싱하기위한 온도감지 센서(313)와; 상기 베개에 눌려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베개에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압력감지 센서(314)와; 상기 통풍호스의 하단에 위치하며 우레탄폼 상부로 냉기 또는 온기를 발산시키기 위한 열전소자(315)와; 상기 베개에 압력이 일정시간 존재하지 않으면 외부로 경보음을 출력하기 위한 경보음 출력단(316)과; 상기 통풍팬과, 습도감지 센서와, 온도감지센서와, 압력감지센서와, 열전소자 및 경보음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온도감지 센서의 입력 데이터를 파악하여 열전소자의 냉기 또는 온기를 결정하고, 습도감지 센서의 입력 데이터를 파악하여 통풍팬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며, 압력감지 센서의 입력 데이터를 파악하여 경보음 출력을 결정하기 위한 제어부(3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315)는, 냉기 또는 온기를 발생시키는 소자로서 열전 반도체(BiTe, PbTe 등) 또는 열전쌍과 같이 에너지 준위가 서로 다른 소자인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개의 겉감용 직물을 2개의 공간부를 갖도록 칸막이를 통해 분리하고, 상부층은 부드러운 직물이나 동물털과 같은 속감재로 제작하고 하부층은 우레탄폼 또는 메모리 우레탄으로 제작하여 상부층의 속감재만을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속감재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통상적인 베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베개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베개 겉감용 직물 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우레탄폼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우레탄폼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기적 연결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베개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베개 겉감용 직물 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우레탄폼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우레탄폼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기적 연결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베개 구성요소는 크게 겉감용 직물(100)과, 상부층 속감재(200)와, 하부층 속감재(3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층 속감재(300)는 우레탄폼(310)을 포함하고 상기 우레탄 폼에는 통풍팬(311)과, 통풍 호스(311a)와, 습도감지센서(312)와, 온도감지센서(313)와, 압력감지센서(314)와, 열전소자(315)와, 경보음 출력단(316)과, 제어부(317)를 장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겉감용 직물(100)은 상부 공간부(110)와, 하부 공간부(120) 및, 칸막이(130)로 이루어지며 외곽에는 겉감용 직물을 분리 또는 폐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퍼(140)가 장착된다.
상기 상부층 속감재(200)는 속감용 커버체(220)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체(220)의 내부에는 세라믹을 함유한 합성수지 입자, 발포수지 입자, 닭이나 오리 또는 동물털과 같은 충전물(210)이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층 속감재(300)는 쿠션감이 있는 것으로서, 속감용 커버체(320)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 우레탄폼(310) 또는 메모리 우레탄폼이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의 우레탄폼(310)은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메모리 우레탄폼이 더 바람직스럽다. 일반적으로 우레탄폼의 제조방법은 폴리올(PPG: polypropy lene glycol)과 이소시아네이트(TDI: toluene di-isocyanate) 그리고 물을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물리적 발포제, 아민계 촉매(amine catalyst), 틴 촉매(Tin catalyst), 실리콘 정포제(silicone surfactant), 발포제(blowing agents), 난연제(flame retardant), 안료(colorlant) 등의 첨가제를 부재료로 사용하여, 이들 원재료와 부재료의 배합비를 일정하게 조절ㆍ 혼련한 후, 연속식(continuous) 또는 회분식(batch)으로 발포시켜 얻는다. 상기와 같은 우레탄폼의 제조방법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방법이다.
상기의 메모리 우레탄폼은 일반 우레탄폼 제조와 거의 유사하나, 폴리올(polyol)의 주사슬(back bone)에 이중결합을 갖고 있는 특수 폴리올을 일반 폴리올(ether polyol) 또는 에스테르 폴리올(ester polyol) 1에 대하여 중량비로 0.5∼2.0의 비율로 혼합시키고, 여기에 2관능 또는 다관능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발포제, 실리콘 정포제, 촉매 등의 각종 첨가제와 혼합시켜 반응시킨다. 이 경우, 중합부에서 가교반응이 일어나고 발열반응을 동반하면서 블로우(blowing)반응과 겔(gelling)반응으로 우레탄 수지화되어 발포되어짐으로써 메모리 우레탄폼을 얻게 된다.
상기의 메모리 우레탄폼은 상기의 일반 우레탄폼에 비하여 그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오늘날 건강용품의 내장재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의 메모리 우레탄폼은 외부에서 힘을 가하여 압축한 후 힘을 제거하면, 온도와 시간의 함수에 따라 원래 위치로 서서히 회복되는 특성을 갖는데, 온도가 낮아지면 메모리 우레탄폼은 딱딱해지고, 압축 후 원래의 위치로 회복되는데 걸리는 시간도 길어지게 된다. 상기의 메모리 우레탄폼을 베개나 매트의 건강용품으로 사용할 경우, 신체가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하여 체중이 베개나 매트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게 하므로, 신체의 부분적인 혈관 압박을 피하여 인체 전체의 혈액순환을 돕는 장점이 있다.
상기 통풍팬(311)은 우레탄폼(310)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자체 회전에 의해서 통풍호스를 통해 바람을 상부방향으로 전달한다.
상기 습도감지 센서(312)는 베개에서 발생하는 습도를 센싱하여 사용자가 땀을 많이 흘릴 경우 통풍팬이 작동하도록 데이터를 수집한다.
상기 온도감지 센서(313)는 베개에서 발생하는 온도를 센싱한다.
상기 압력감지 센서(314)는 베개에 눌려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베개에 존재하는지를 파악한다.
상기 열전소자(315)는 냉기 또는 온기를 발생시키는 소자로서 열전 반도체(BiTe, PbTe 등)나 열전쌍과 같이 에너지 준위가 서로 다른 열전소자로서, 이러한 열전소자가 전류 통과시 에너지준위 차이만큼 모듈노출홈(38)을 통해 흡열 또는 발열되면서 베개를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킨다.
상기 경보음 출력단(316)은 베개에 압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외부로 경보음을 출력시키는 수단으로서 특히 유아의 경우 베개에서 벗어난 경우 경보음을 출력하여 보호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317)는 통풍팬(311)과, 습도감지 센서(312)와, 온도감지 센서(313)와, 압력감지 센서(314)와, 열전소자(315) 및 경보음 출력단(3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온도감지 센서(313)의 입력 데이터를 파악하여 열전소자(315)의 냉기 또는 온기를 결정하고, 습도감지 센서(312)의 입력 데이터를 파악하여 통풍팬(311)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며, 압력감지 센서(314)의 입력 데이터를 파악하여 경보음 출력을 결정한다.
물론, 상기 센서는 개별적으로 온오프 동작이 가능한바, 유아일 경우에는 압력감지 센서를 별도로 작동시켜 베개에서 벗어날 경우 경보음을 출력시킴으로서 보호자에게 유아 보호를 유도할 수 있다.
즉, 유아가 자신이 사용하는 베개에서 벗어날 경우 유아가 잘못 움직여서 침대 사이에 끼임 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압력감지 센서를 적용하게 되면 압력이 일정시간 유지되지 않으면 경보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서 유아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베개를 겉감용 직물과 속감재로 구분하되, 겉감용 직물(100)을 2개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중앙에 칸막이(130)를 형성하였으며, 상기 칸막이(130)의 상부에는 상부층 속감재(200)를 삽입하고, 칸막이의 하부에는 하부층 속감재(300)를 삽입하여 구성하였다.
그리고, 겉감용 직물(100)에 지퍼(140)와 같은 분리 폐쇄수단을 더 장착하므로 상기 지퍼(140)를 이용하여 개방시킨후에 겉감용 직물(100)을 세탁함은 물론 상부층 속감재(200)도 세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일개의 겉감용 직물(100) 내부에 상부층 속감재(200)를 얇게 구성하고, 하부층 속감재(300)를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상부층 속감재(200)를 세탁할 수 있으며, 따라서 오염물질이 겉감용 직물과 상부층 속감재(200)에 스며들었을 경우 겉감용 직물(100)을 세탁함을 물론 상부층 속감재(200)를 모두 세탁할 수 있는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부층 속감재(300)를 구성하는 우레탄폼(310)에 각종 편의장치를 더 설치할 수 있는바, 통풍팬(311)과, 통풍호스(311a)와, 습도감지 센서(312)와, 온도감지센서(313)와, 압력감지센서(314)와, 열전소자(315) 및 경보음 출력단(316)을 설치하며, 상기 장치들은 모두 제어부(3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온도감지 센서(313)의 데이터 분석 결과 기준온도 이상으로 베개의 열이 상승하면 열전소자(315)를 이용하여 냉기를 제공함과 동시에 통풍팬(311)을 구동하여 통풍호스(311a) 및 통풍구(311b)를 통해 냉기를 베개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또한 베개의 열이 기준온도 이하로 하강하면 역시 열전소자(315)를 이용하여 온기를 제공함과 동시에 통풍팬(311)을 이용하여 온기를 베개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습도감지 센서(312)를 설치하기 때문에 온도가 기준범위 이내일지라도 습도가 기준이상이면 통풍팬(311)을 가동하여 베개의 상부방향으로 바람이 전달되도록 하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땀을 시킬 수 있게 되고, 아울러 베개의 겉감용 직물(100)과 상부층 속감재(200)가 땀으로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력감지 센서(314)를 설치하기 때문에 일정 시간동안 압력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용자 특히 유아가 베개에서 멀어진 것이기 때문에 경보음 출력수단을 통해 경보음을 출력함으로서 보호자가 유아를 신속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우레탄폼(310)을 제외하고 베개의 겉감용 직물(100)과 상부층 속감재(200)를 별도로 세탁할 수 있으므로 베개의 오염물질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하부층 속감재(300)를 구성하는 우레탄폼(310)에 냉기장치와 온기장치 및 통풍장치등을 설치하기 때문에 기능성이 대폭 강화된 베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00: 겉감용 직물
200: 상부층 속감재
210: 충전물
220: 상부층 속감재의 커버체
300: 하부층 속감재
310: 우레탄폼
311: 통풍팬
311a: 통풍 호스
311b: 통풍구
312: 습도센서
313: 온도감지 센서
314: 압력감지 센서
315: 열전소자
316: 경보음 출력단
317: 제어부
320: 하부층 속감재의 커버체

Claims (3)

  1. 겉감용 직물과 속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베개에 있어서,
    상부 공간부와, 하부 공간부 및, 칸막이로 이루어지며 외곽에는 몸체를 분리 및 폐쇄수단으로서 지퍼가 장착되는 겉감용 직물(100)과;
    상기 겉감용 직물의 상부 공간부에 삽입 설치하되, 속감용 커버체가 구비되고, 상기 속감용 커버체의 내부에 세라믹을 함유한 합성수지 입자, 발포수지 입자, 닭이나 오리 또는 양의 동물털이 삽입된 충전물로 이루어지는 상부층 속감재(200)와;
    상기 겉감용 직물의 하부 공간부에 삽입 설치하되, 속감용 커버체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 우레탄폼 또는 메모리 우레탄폼이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하부층 속감재(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우레탄폼(310)은,
    상기 우레탄폼 몸체에 삽입되며, 자체 회전에 의해서 통풍호스(311a)를 통해 바람을 상부방향으로 전달하는 통풍팬(311)과;
    상기 베개에서 발생하는 습도를 센싱하여 사용자가 땀을 많이 흘릴 경우 통풍팬이 작동하도록 데이터를 수집하기위한 습도감지 센서(312)와;
    상기 베개에서 발생하는 온도를 센싱하기위한 온도감지 센서(313)와;
    상기 베개에 눌려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베개에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압력감지 센서(314)와;
    상기 통풍호스의 하단에 위치하며 우레탄폼 상부로 냉기 또는 온기를 발산시키기 위한 열전소자(315)와;
    상기 베개에 압력이 일정시간 존재하지 않으면 외부로 경보음을 출력하기 위한 경보음 출력단(316)과;
    상기 통풍팬과, 습도감지 센서와, 온도감지센서와, 압력감지센서와, 열전소자 및 경보음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온도감지 센서의 입력 데이터를 파악하여 열전소자의 냉기 또는 온기를 결정하고, 습도감지 센서의 입력 데이터를 파악하여 통풍팬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며, 압력감지 센서의 입력 데이터를 파악하여 경보음 출력을 결정하기 위한 제어부(3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속감재의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17)는,
    온도감지 센서(313)의 데이터 분석 결과 기준온도 이상으로 베개의 열이 상승하면 열전소자(315)를 이용하여 냉기를 제공함과 동시에 통풍팬(311)을 구동하여 통풍호스(311a) 및 통풍구(311b)를 통해 냉기를 베개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또한 베개의 열이 기준온도 이하로 하강하면 역시 열전소자(315)를 이용하여 온기를 제공함과 동시에 통풍팬(311)을 이용하여 온기를 베개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감재의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315)는,
    냉기 또는 온기를 발생시키는 소자로서 열전 반도체(BiTe, Pb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감재의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1020120041490A 2012-04-20 2012-04-20 속감재의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101369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490A KR101369191B1 (ko) 2012-04-20 2012-04-20 속감재의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490A KR101369191B1 (ko) 2012-04-20 2012-04-20 속감재의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541A KR20130118541A (ko) 2013-10-30
KR101369191B1 true KR101369191B1 (ko) 2014-03-03

Family

ID=49636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490A KR101369191B1 (ko) 2012-04-20 2012-04-20 속감재의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1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108B1 (ko) 2018-10-23 2020-02-17 엄원당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102078107B1 (ko) 2018-10-23 2020-02-17 엄원당 세탁이 가능한 베개
KR102078109B1 (ko) 2018-10-23 2020-02-17 엄원당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20210098734A (ko) 2020-02-03 2021-08-11 황상문 베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61832A (zh) * 2021-07-15 2021-08-17 广东省大湾区集成电路与系统应用研究院 一种智能加湿枕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4076U (ko) * 1989-03-22 1990-10-12
JPH0515872U (ja) * 1991-08-21 1993-03-02 隆夫 五藤 高低枕
JP2002262977A (ja) * 2001-03-09 2002-09-17 Kanebo Ltd
KR20120015788A (ko) * 2010-08-13 2012-02-22 김충배 건강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4076U (ko) * 1989-03-22 1990-10-12
JPH0515872U (ja) * 1991-08-21 1993-03-02 隆夫 五藤 高低枕
JP2002262977A (ja) * 2001-03-09 2002-09-17 Kanebo Ltd
KR20120015788A (ko) * 2010-08-13 2012-02-22 김충배 건강베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108B1 (ko) 2018-10-23 2020-02-17 엄원당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102078107B1 (ko) 2018-10-23 2020-02-17 엄원당 세탁이 가능한 베개
KR102078109B1 (ko) 2018-10-23 2020-02-17 엄원당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20210098734A (ko) 2020-02-03 2021-08-11 황상문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541A (ko)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191B1 (ko) 속감재의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101285974B1 (ko) 유아 침구용 쿠션매트
EP3378357B1 (en) Air-conditioned mattress
US7178186B2 (en) Inflatable support apparatus
KR101581722B1 (ko) 구들장 온풍 및 온열 안마용 매트리스 침대
US20050210592A1 (en) Infant sleep positioner
US7097243B2 (en) Child's car seat cushion
US20090100602A1 (en) Self-ventilating self-cooling cushion apparatus
KR200485552Y1 (ko) 애완동물용 돌침대
KR20190005330A (ko) 온풍 매트리스
KR200467271Y1 (ko) 온풍장치가 장착된 침대용 매트리스
KR101356788B1 (ko) 우레탄층 및 쿠션층을 갖는 기능성 매트
KR200493474Y1 (ko) 냉난방 돌침대
KR100930289B1 (ko) 유아 침구
KR200482902Y1 (ko) 침구용 통풍매트
KR102227553B1 (ko) 유아용 시트
EP3505017A1 (en) Pillow
KR101283458B1 (ko) 강제송풍식 요
JP2005118097A (ja) 体圧分散マットレス
JP3205161U (ja) マット
JP2009125255A (ja) マットレス
CN1298680A (zh) 一种睡垫
KR101561452B1 (ko)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
KR100841991B1 (ko) 침대용 매트리스의 가열방법 및 그 장치
WO2017160188A1 (ru) Детское амортизирующее поддер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5